KR20190139377A -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377A
KR20190139377A KR1020180065761A KR20180065761A KR20190139377A KR 20190139377 A KR20190139377 A KR 20190139377A KR 1020180065761 A KR1020180065761 A KR 1020180065761A KR 20180065761 A KR20180065761 A KR 20180065761A KR 20190139377 A KR20190139377 A KR 20190139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olylactic acid
melt
modified cellulose
biodegra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0997B1 (ko
Inventor
이재준
주동윤
김창근
윤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일테크
윤태홍
김창근
이재준
주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일테크, 윤태홍, 김창근, 이재준, 주동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일테크
Priority to KR1020180065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99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4Extrusion nozzles or die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together components, e.g. melts within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01/00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e.g. viscose,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은 (ⅰ)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로 이루어진 내층(1a); (ⅱ) 상기 개질 셀룰로오스와 폴리락틱산의 혼합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1b); 및 (ⅲ) 폴리락틱산 수지로 이루어진 외층(1c);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단면 상에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와 폴리락틱산 수지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로 복합 배열된 복합수지 칩(Chip)을 사용하여 상기 중간층(1b)을 제조하기 때문에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와 폴리락틱산의 상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공압출 복합필름의 제조공정성이 크게 개선된다.
본 발명의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1)은 생분해성 수지들로만 구성되어 생분해성이 우수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포장된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내층(1a)은 천연소재인 개질 셀룰로오스이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외층(1c)이 폴리락틱산 수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인쇄성이 우수하고, 중간층(1b)이 외층(1c)의 주성분인 폴리락틱산 수지와 내층(1a)의 주성분인 개질 셀룰로오스가 혼합된 혼합수지로 이루어져 내층(1a) 및 외층(1c)과의 접착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Biodegradable co-extruded composite film for wrapping food}
본 발명은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생분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식품포장용 필름에 요구되는 가스/수분차단성, 투명성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들을 구비하는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포장용 필름의 경우에는 우수한 가스차단성, 수분차단성, 투명성 및 인장강도와 함께 환경보호를 위한 생분해성도 요구되고 있다.
종래 식품포장용 필름으로는 등록특허 제10-1459275호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ⅰ) 기재 필름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와 (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블랜딩되어 있는 블랜드 필름용 혼합 수지를 공압출시켜 기재필름과 블랜드필름이 적층된 공압출 2층 필름이 사용되어 왔으나, 생분해성이 부족하여 사용 후 폐기시 환경을 심하게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5047호에서는 (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내층, (ⅱ) 폴리아미드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수지와 접착제 성분을 함유하는 중간층 및 (ⅲ)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외층들로 구성되는 식품포장용 공압출 다층필름을 게재하고 있으나, 상기 종래의 식품포장용 공압출 다층필름은 생분해성이 부족하여 사용 후 폐기시 환경을 심하게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고, 중간층이 폴리아미드 수지로 구성되면 같은 수지로 이루어진 외층과의 접착성은 우수하나 다른 수지로 이루어진 내층과의 접착성이 나빠지고, 중간층이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되면 반대로 내층과의 접착성은 우수하나 외층과의 접착성이 나빠져 공압출 복합필름의 제조공정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95925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개질 셀루로오스외 폴리락틱산의 혼합수지로 구성된 생분해성 필름을 게재하고 있으나, 상기 종래의 생분해성 필름은 생분해성 수지들로 이루어져 생분해성은 우수하시만 2층 이상 구조인 복합 필름이 아니고 1층 구조이기 때문에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 칩(Chip)과 폴리락틱산 수지 칩(Chip)을 하나의 익스투루더에 투입, 용융하여 혼합수지를 제조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와 폴리락틱산 수지 간의 상용성이 나빠서 고르게 혼합되지 않고, 그로 인해 필름의 제조공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식품포장용 필름에 요구되는 가스차단성, 수분차단성, 투명성 및 인장강도 등과 같은 각종 물성들이 우수함과 동시에 특히 생분해성이 뛰어난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의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 필름을 우수한 제조공정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ⅰ)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를 제1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내층(1a)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하는 공정; (ⅱ) 단면 상에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와 폴리락틱산 수지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로 복합 배열된 복합수지 칩(Chip)을 제2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중간층(1b)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하는 공정; (ⅲ) 폴리락틱산 수지를 제3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외층(1c)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하는 공정; (ⅳ) 상기 내층(1a) 제조용 용융물, 중간층(1b) 제조용 용융물 및 외층(1c) 제조용 용융물들을 함께 환상구조인 하나의 공압출용 다이(Die : 11)를 통해 내층(1a), 중간층(1b) 및 외층(1c)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의 공압출 다층필름(1) 형태로 공압출 하는 공정; 및 (ⅴ) 상기 다이(11)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공압출된 공압출 다층필름(1)을 물로 냉각(수냉)시킨 후 다수개의 압착로울러(11)들을 통과시키면서 무연신 상태로 압착하는 공정;들을 차례로 거쳐서 (ⅰ)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로 이루어진 내층(1a); (ⅱ) 상기 개질 셀룰로오스와 폴리락틱산의 혼합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1b); 및 (ⅲ) 폴리락틱산 수지로 이루어진 외층(1c);들로 구성되는 식품포장용 공압출 복합필름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면 상에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와 폴리락틱산 수지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로 복합 배열된 복합수지 칩(Chip)을 사용하여 상기 중간층(1b)을 제조하기 때문에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와 폴리락틱산의 상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공압출 복합필름의 제조공정성이 크게 개선된다.
본 발명의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1)은 생분해성 수지들로만 구성되어 생분해성이 우수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포장된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내층(1a)은 천연소재인 개질 셀룰로오스이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외층(1c)이 폴리락틱산 수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인쇄성이 우수하고, 중간층(1b)이 외층(1c)의 주성분인 폴리락틱산 수지와 내층(1a)의 주성분인 개질 셀룰로오스가 혼합된 혼합수지로 이루어져 내층(1a) 및 외층(1c)과의 접착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1)의 단면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1)을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서 중간층(1b) 제조에 사용하는 복합수지 칩(Chip)의 단면도.
도 5는 복합수지 칩 제조에 사용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토출구금 일례의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로 이루어진 내층(1a); (ⅱ) 상기 개질 셀룰로오스와 폴리락틱산의 혼합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1b); 및 (ⅲ) 폴리락틱산 수지로 이루어진 외층(1c);들로 구성된다.
상기 개질 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나이트레이트, 메틸 셀룰로오스 및 에틸 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1종이다.
상기 외층(1c)에는 대전방지제가 추가로 함유될 수 있고, 상기 내층(1a)에는 대전방지제 및 항균제가 추가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항균제로는 천연계 항균제인 키토산, 아미노화합물, 삼백초 추출물, 천연유황, 천연광석 또는 세라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층(1a)의 두께는 50~60㎛이고, 중간층(1b)의 두께는 5~15㎛이고, 외층(1c)의 두께는 1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은 상기 내층(1a), 외층(1c) 및 중간층(1b)들은 생분해성 수지인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락틱산 또는 이들의 혼합수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생분해성이 뛰어나고, 그로 인해 사용 후 폐기시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포장된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내층(1a)은 천연소재인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식품이 화학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층(1c)은 폴리락틱산 수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뛰어난 인쇄성을 구현한다.
또한, 중간층(1b)은 외층(1c)의 주성분인 폴리락틱산 수지와 내층(1a)의 주성분인 개질 셀룰로오스가 혼합된 혼합수지로 이루어져 내층(1a) 및 외층(1c)과의 접착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은 (ⅰ)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를 제1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내층(1a)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하는 공정; (ⅱ) 단면 상에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와 폴리락틱산 수지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로 복합 배열된 복합수지 칩(Chip)을 제2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중간층(1b)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하는 공정; (ⅲ) 폴리락틱산 수지를 제3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외층(1c)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하는 공정; (ⅳ) 상기 내층(1a) 제조용 용융물, 중간층(1b) 제조용 용융물 및 외층(1c) 제조용 용융물들을 함께 환상구조인 하나의 공압출용 다이(Die : 11)를 통해 내층(1a), 중간층(1b) 및 외층(1c)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의 공압출 다층필름(1) 형태로 공압출 하는 공정; 및 (ⅴ) 상기 다이(11)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공압출된 공압출 다층필름(1)을 물로 냉각(수냉)시킨 후 다수개의 압착로울러(11)들을 통과시키면서 무연신 상태로 압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상에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와 폴리락틱산 수지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로 복합 배열된 복합수지 칩(Chip)을 사용하여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의 중간층(1b)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먼저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를 제1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내층(1a)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단면 상에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와 폴리락틱산 수지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로 복합 배열된 복합수지 칩(Chip)을 제2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중간층(1b)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한다.
상기 개질 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나이트레이트, 메틸 셀룰로오스 및 에틸 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1종이다.
다음으로, 폴리락틱산 수지를 제3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외층(1c)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한다.
상기 복합수지 칩(Chip)은 (ⅰ)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 용융물과 폴리락틱산 수지 용융물을 하나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 type) 복합토출구금을 통하여 토출하여 단면 상에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와 폴리락틱산 수지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로 복합 배열된 복합수지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공정; 및 (ⅱ) 제조된 상기 복합수지 필라멘트를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공정;을 차례로 거쳐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 type) 복합토출 구금 일례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 용융물의 분배공(a),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폴리락틱산 수지 용융물의 분배공(b) 및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분배공(a,b)들을 연통시켜주는 합류홈(c)들을 구비하는 분배판(I);과 (ⅱ) 상기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 용융물의 분배공(a)과 연통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토출공(d) 및 상기 토출공(d)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e)들을 구비하는 구금판(II);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금판(II)의 상부면이 상기 분배판(I)의 하부면과 접합된 구조인 복합토출구금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층(1a) 제조용 용융물, 중간층(1b) 제조용 용융물 및 외층(1c) 제조용 용융물들을 함께 환상구조인 하나의 공압출용 다이(Die : 11)를 통해 내층(1a), 중간층(1b) 및 외층(1c)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의 공압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다이(11)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공압출된 공압출 다층필름(1)을 물로 냉각(수냉)시킨 후 다수개의 압착로울러(11)들을 통과시키면서 무연신 상태로 압착하여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을 제조한다.
공압출 다층필름을 공압출할 때 하향 압출된 다층필름을 물로 냉각(수냉)시킨 후 무연신 상태에서 압착해 주는 방법(이하 "무연신 하향 수냉식 공압출 방법" 이라고 함)을 적용하는 것이 가스차단성, 수분차단성, 유연성 및 투명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단면 상에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와 폴리락틱산 수지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로 복합 배열된 복합수지 칩(Chip)을 사용하여 상기 중간층(1b)을 제조하기 때문에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와 폴리락틱산의 상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공압출 복합필름의 제조공정성이 크게 개선된다.
본 발명의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1)은 생분해성 수지들로만 구성되어 생분해성이 우수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포장된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내층(1a)은 천연소재인 개질 셀룰로오스이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외층(1c)이 폴리락틱산 수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인쇄성이 우수하고, 중간층(1b)이 외층(1c)의 주성분인 폴리락틱산 수지와 내층(1a)의 주성분인 개질 셀룰로오스가 혼합된 혼합수지로 이루어져 내층(1a) 및 외층(1c)과의 접착성이 우수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실시예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를 제1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내층(1a)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단면 상에 상기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와 폴리락틱산수지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로 복합배열된 복합수지 칩을 제2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중간층(1b)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수지 칩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 용융물의 분배공(a),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폴리락틱산 수지 용융물의 분배공(b) 및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분배공(a,b)들을 연통시켜주는 합류홈(c)들을 구비하는 분배판(I);과 (ⅱ) 상기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 용융물의 분배공(a)과 연통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토출공(d) 및 상기 토출공(d)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e)들을 구비하는 구금판(II);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금판(II)의 상부면이 상기 분배판(I)의 하부면과 접합된 구조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토출구금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한편, 폴리락틱산 수지를 제3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외층(1c)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 내층(1a) 제조용 용융물, 중간층(1b) 제조용 용융물 및 외층(1c) 제조용 용융물들을 함께 환상구조인 하나의 공압출용 다이(Die : 11)를 통해 내층(1a), 중간층(1b) 및 외층(1c)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의 공압출 다층필름(1) 형태로 공압출한 다음, 상기 다이(11)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공압출된 공압출 다층필름(1)을 물로 냉각(수냉)시킨 후 다수개의 압착로울러(11)들을 통과시키면서 무연신 상태로 압착하여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를 제1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내층(1a)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개질 셀룰로오스 칩(Chip)과 폴리락틱산 칩(Chip)을 각각 제2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중간층(1b)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폴리락틱산 수지를 제3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외층(1c)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 내층(1a) 제조용 용융물, 중간층(1b) 제조용 용융물 및 외층(1c) 제조용 용융물들을 함께 환상구조인 하나의 공압출용 다이(Die : 11)를 통해 내층(1a), 중간층(1b) 및 외층(1c)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의 공압출 다층필름(1) 형태로 공압출한 다음, 상기 다이(11)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공압출된 공압출 다층필름(1)을 물로 냉각(수냉)시킨 후 다수개의 압착로울러(11)들을 통과시키면서 무연신 상태로 압착하여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경우 제조된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의 중간층(1b)을 구성하는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와 폴리락틱산 수지간의 상용성이 뛰어나 필름 제조공정성이 양호하였고 내층 및 외층이 중간층에 잘 접착하였으나, 비교실시예 1의 경우에는 제조된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의 중간층(1b)을 구성하는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와 폴리락틱산 수지간의 상용성이 떨어져 필름 제조공정성이 불량하였고, 내층 및 외층이 중간층이 잘 접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1 :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
1a :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의 내층
1b :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의 중간층
1c :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의 외층
10, 10', 10'' : 익스트루더 11 : 공압출 다이(Die)
12 : 에어블로우 13 : 수냉조
14 : 압착 로울러 15 : 권취로울러
A :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 B : 폴리락틱산 수지
I : 분배판 II : 구금판
a :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 용융물의 분배공
b : 폴리락틱산 수지 용융물의 분배공
c : 합류홈
d : 토출공
e : 토출구

Claims (6)

  1. (ⅰ)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를 제1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내층(1a)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하는 공정;
    (ⅱ) 단면 상에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와 폴리락틱산 수지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로 복합 배열된 복합수지 칩(Chip)을 제2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중간층(1b)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하는 공정;
    (ⅲ) 폴리락틱산 수지를 제3익스트루더(40'')에 투입, 용융시켜 외층(1c) 제조용 용융물을 제조하는 공정;
    (ⅳ) 상기 내층(1a) 제조용 용융물, 중간층(1b) 제조용 용융물 및 외층(1c) 제조용 용융물들을 함께 환상구조인 하나의 공압출용 다이(Die : 11)를 통해 내층(1a), 중간층(1b) 및 외층(1c)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의 공압출 다층필름(1) 형태로 공압출 하는 공정; 및
    (ⅴ) 상기 다이(11)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공압출된 공압출 다층필름(1)을 물로 냉각(수냉)시킨 후 다수개의 압착로울러(11)들을 통과시키면서 무연신 상태로 압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개질 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나이트레이트, 메틸 셀룰로오스 및 에틸 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 칩(Chip)은 (ⅰ)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 용융물과 폴리락틱산 수지 용융물을 하나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 type) 복합토출구금을 통하여 토출하여 단면 상에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와 폴리락틱산 수지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로 복합 배열된 복합수지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공정; 및 (ⅱ) 제조된 상기 복합수지 필라멘트를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공정;을 차례로 거쳐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 type) 복합토출구금은 (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 용융물의 분배공(a),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폴리락틱산 수지 용융물의 분배공(b) 및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분배공(a,b)들을 연통시켜주는 합류홈(c)들을 구비하는 분배판(I);과 (ⅱ) 상기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 용융물의 분배공(a)과 연통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토출공(d) 및 상기 토출공(d)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e)들을 구비하는 구금판(II);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금판(II)의 상부면이 상기 분배판(I)의 하부면과 접합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5. (ⅰ) 개질 셀룰로오스 수지로 이루어진 내층(1a);
    (ⅱ) 상기 개질 셀룰로오스와 폴리락틱산의 혼합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1b); 및
    (ⅲ) 폴리락틱산 수지로 이루어진 외층(1c);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개질 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나이트레이트, 메틸 셀룰로오스 및 에틸 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
KR1020180065761A 2018-06-08 2018-06-08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40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761A KR102140997B1 (ko) 2018-06-08 2018-06-08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761A KR102140997B1 (ko) 2018-06-08 2018-06-08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377A true KR20190139377A (ko) 2019-12-18
KR102140997B1 KR102140997B1 (ko) 2020-08-04

Family

ID=6905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761A KR102140997B1 (ko) 2018-06-08 2018-06-08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9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189B1 (ko) 2021-03-09 2022-12-07 주식회사 알토켐 포장물의 신선도 유지기능을 갖는 생분해성 포장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5931A (ko) * 2005-12-15 2008-08-2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생분해성 다성분 섬유
KR101461777B1 (ko) * 2013-01-25 2014-11-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룰로오스 및 폴리락틱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생분해성 필름
KR20160142429A (ko) * 2015-06-02 2016-12-13 (주)엘지하우시스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생분해성 시트
KR101805047B1 (ko) * 2017-07-06 2018-01-10 주식회사 영일테크 식품포장용 공압출 다층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8504292A (ja) * 2014-11-19 2018-02-15 バイオ−テック ビオローギッシュ ナチューフェアパックンゲン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 カーゲー 生分解性多層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5931A (ko) * 2005-12-15 2008-08-2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생분해성 다성분 섬유
KR101461777B1 (ko) * 2013-01-25 2014-11-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룰로오스 및 폴리락틱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생분해성 필름
JP2018504292A (ja) * 2014-11-19 2018-02-15 バイオ−テック ビオローギッシュ ナチューフェアパックンゲン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 カーゲー 生分解性多層フィルム
KR20160142429A (ko) * 2015-06-02 2016-12-13 (주)엘지하우시스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생분해성 시트
KR101805047B1 (ko) * 2017-07-06 2018-01-10 주식회사 영일테크 식품포장용 공압출 다층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997B1 (ko)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047B1 (ko) 식품포장용 공압출 다층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EP1793986B1 (en) Encapsulted barrier for flexible films and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030010755A (ko) 고수분 차단필름
JPS623949A (ja) 酸素障壁配向フイルム
WO2004094141A3 (en) Multi-layer oriented polypropylene films with modified core
CN102811856B (zh) 共挤出的箔复合材料及其在卡体中的应用
BR8302732A (pt) Aparelho para a producao de massas preliminares de multicamadas de materiais polimeros,processo para formacao de uma massa fundida de multicamadas de materiais polimeros,estrutura laminada de multicamadas recipiente plastico de multicamada e processo para fabricacao de um recipiente plastico de multicamada moldado por sopro
KR101459275B1 (ko) 공압출 방법을 이용한 식품 포장용 성형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식품 포장용 성형체
CA2456487A1 (en) Multi-layer monofilamen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monofilament
FI78866C (fi) Flerskiktig haolplatta och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CN1032796C (zh) 塑料层合金属带及其制造方法
EP2939948A1 (en) Wrap film
KR20190139377A (ko)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공압출 복합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60900B1 (ko) 미연신 이형 폴리프로필렌 이층필름의 제조방법
DE3232209C2 (ko)
US20130323488A1 (en) Packaging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90118334A (ko) 식품포장용 공압출 항균 다층필름
US6555242B2 (en) Longitudinally stretched, vacuum vapor coated packaging films
KR20100040460A (ko) 제품포장용 다층 올레핀계 열수축필름
KR101585056B1 (ko) 나일론/나노클레이 복합시트 제조방법
JPH09239889A (ja) 紫外線遮断性及び透視性に富む基本複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実用複合フィルム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2127555B1 (ko)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
KR101208944B1 (ko) 쉽게 분해되는 제약포장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약포지
KR20110137633A (ko) 농업용 반사필름
JPS62577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