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954A - 반사 방지용 편광판, 광학 적층체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사 방지용 편광판, 광학 적층체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954A
KR20190136954A KR1020190061782A KR20190061782A KR20190136954A KR 20190136954 A KR20190136954 A KR 20190136954A KR 1020190061782 A KR1020190061782 A KR 1020190061782A KR 20190061782 A KR20190061782 A KR 20190061782A KR 20190136954 A KR20190136954 A KR 20190136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layer
image display
liquid crystal
tc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612B1 (ko
Inventor
서용원
송병훈
김동휘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6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 배치하여 이용되고, 외부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면의 반사율이 Rp(%)인 화상 표시 패널의 당해 전면에 배치하여 이용되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으로서,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이, 식 (1a)의 관계를 만족하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이다.
Rp×Tcr≤150 (1a)

Description

반사 방지용 편광판, 광학 적층체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ANTIREFLECTION POLARIZING PLATE,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LAMINATE}
본 발명은, 반사 방지용 편광판, 광학 적층체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 표시 장치는, 통상, 화상 표시 패널의 시인(視認)측에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배치하여, 외부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직선 편광판 및 1/4 파장 위상차층을 갖는 위상차판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일본국 특개2012-133312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높은 광학 특성을 갖는 10㎛ 이하의 편광막을 이용하여 구성된 반사 방지용 편광판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12-133312호 공보
본 발명은,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前面)에 배치하여 이용되고, 외부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 당해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 및 당해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 당해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및 당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전면의 반사율이 Rp(%)인 화상 표시 패널의 당해 전면에 배치하여 이용되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으로서,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이, 식 (1a)의 관계를 만족하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
Rp×Tcr≤150 (1a)
[2] 터치 센서 패널, 위상차판, 직선 편광판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이 상기 화상 표시 패널측이 되는 방향에서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 배치하여 이용되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으로서,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이 식 (1d)의 관계를 만족하는, [1]에 기재한 반사 방지용 편광판.
Rp×Tcr≤100 (1d)
[3]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이 식 (1b)의 관계를 만족하는, [1] 또는 [2]에 기재한 반사 방지용 편광판.
Rp×Tcr≤68 (1b)
[4]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가 95% 이상인,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반사 방지용 편광판.
[5]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편광층을 갖는,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반사 방지용 편광판.
[6] 상기 화상 표시 패널과,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 배치된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7] 유기 EL 표시 장치인, [6]에 기재한 광학 적층체.
[8] 전면의 반사율이 Rp(%)인 화상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공정과,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이 식 (1a)를 만족하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 상기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배치하는 공정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Rp×Tcr≤150 (1a)
본 발명의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이용함으로써,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 있어서, 외부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유기 EL 표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유기 EL 표시 장치의 화소의 층 구조와 그 구동 회로의 도면이다.
도 4는 검증용 광학 적층체의 샘플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검증용 광학 적층체의 샘플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 형태의 반사 방지용 편광판, 당해 반사 방지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 및 당해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당해 광학 적층체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구성요소와 조합되어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
본 형태의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구비하고, 전면의 반사율이 Rp(%)인 화상 표시 패널의 당해 전면에 배치하여 이용된다. 바꿔 말하면, 본 형태의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시인측에서 관찰했을 때의 반사율이 Rp(%)인 화상 표시 패널의 시인측에 배치된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 가까운 측에서부터, 위상차판, 직선 편광판의 순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추가로 터치 센서 패널을 구비하고,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 가까운 측에서부터, 터치 센서 패널, 위상차판, 직선 편광판의 순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이, 식 (1a)의 관계를 만족하고, 바람직하게는 식 (1b)의 관계를 만족한다.
 Rp×Tcr≤150 (1a)
 Rp×Tcr≤68 (1b)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식 (1a)의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부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 식 (1b)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부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사율 Rp(%)는,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 제조, CM-2600d)를 이용하여 SCI(정반사광 포함) 모드에서 측정한 값으로 한다. 반사율 Rp(%)는, 시감 반사율, 즉 XYZ 표색계에서의 3자극치의 Y치(%)이다. 반사율 Rp(%)는 JIS Z 8722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 가까운 측에서부터, 터치 센서 패널, 위상차판, 직선 편광판의 순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성인 경우,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이, 바람직하게는 식 (1d)의 관계를 만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 (1b)의 관계를 만족한다.
Rp×Tcr≤100 (1d)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터치 센서 패널을 구비하는 경우에 식 (1d)의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터치 센서 패널의 도전층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화상 표시 패널의 반사율 Rp(%)는, 예를 들면 10% 이상 99% 이하이다. 화상 표시 패널의 반사율 Rp(%)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애노드 전극이나 캐소드 전극의 재료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반사된 외부광에 비해 패널의 발광을 크게 하고, 화면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이, 식 (1c)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Rp×Tcr (1c)
반사 방지용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은,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부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충분한 화면 휘도를 얻는 관점에서, 0.1%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이상 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은, 직선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위상차판의 위상차값 및 파장 분산성, 터치 센서 패널의 층 구성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단체(單體) 투과율 Ty(%)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부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충분한 화면 휘도를 얻는 관점에서, 40% 이상 4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1% 이상 47%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반사 방지용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부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충분한 화면 휘도를 얻는 관점에서, 92% 이상 99.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5% 이상 99.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는, 식 (2a)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 (2b)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p×Tcr×Py≤1.5×104 (2a)
Rp×Tcr×Py≤6.5×103 (2b)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반사된 외부광에 비해 패널의 발광을 크게 하고, 화면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는, 식 (2c)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103≤Rp×Tcr×Py (2c)
반사 방지용 편광판의 두께는, 박형화의 관점에서, 50∼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1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구비하고, 예를 들면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접착층 등의 첩합(貼合)층을 개재하여 적층시킴으로써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구성하는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판은 각각 단층이어도, 복층이어도 된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에 있어서는, 위상차판의 지상축(遲相軸)(광축)과 직선 편광판의 흡수축을 실질적으로 45° 또는 135°가 되도록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차판의 지상축(광축)과 직선 편광판의 흡수축을 실질적으로 45° 또는 135°가 되도록 적층함으로써, 반사 방지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45° 또는 135°란, 통상 45±5° 또는 135±5°의 범위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반사 방지용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산출한 값이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에 대해서, 적분구를 구비한 분광 광도계(니혼분코(주) 제조, V7100)를 이용하여 파장 380∼780nm의 범위에 있어서의 MD 투과율과 TD 투과율을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하여 각 파장에 있어서의 단체 투과율 및 편광도를 산출한다.
단체 투과율(%)=(MD+TD)/2
편광도(%)={(MD-TD)/(MD+TD)}×100
「MD 투과율」이란, 글랜 톰슨 프리즘으로부터 나오는 편광의 방향과 반사 방지용 편광판의 직선 편광판의 투과축을 평행하게 했을 때의 투과율이며, 상기 식에 있어서는 「MD」라고 표시한다. 또, 「TD 투과율」이란, 글랜 톰슨 프리즘으로부터 나오는 편광의 방향과 반사 방지용 편광판의 직선 편광판의 투과축을 직교로 했을 때의 투과율이며, 상기 식에 있어서는 「TD」라고 표시한다. 얻어진 단체 투과율, 편광도 및 직교 투과율(TD 투과율)에 대해서, JIS Z 8701:1999 「색의 표시 방법-XYZ 표색계 및 X10Y10Z10 표색계」의 2도 시야(C 광원)에 의해 시감도 보정을 행하고,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 시감도 보정 편광도(Py) 및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Tcr)을 구한다.
<위상차판>
위상차판은, 직선 편광판과 함께 이용되고, 직선 편광판으로부터의 직선 편광을 위상차에 의해, 원편광(우원편광 또는 좌원편광)으로 변환하고, 화상 표시 패널에서 반사된 원편광(좌원편광 또는 우원편광)을 재차 직선 편광(그때의 직선 편광의 진동 방향은 편광판의 흡수축에 일치한다)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에서 말하는 원편광으로는, 실질적으로 반사 방지 기능을 발현하는 범위이면 타원편광도 포함된다.
위상차판은, 위상차층을 포함하고, 위상차층으로는, 대표적으로 1/4 파장 위상차층이다. 1/4 파장 위상차층은, 파장 550nm에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값인 Re(550)가, 100nm≤Re(550)≤160nm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110nm≤Re(550)≤150nm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위상차층의 파장 분산성으로는, 실질적으로 파장 분산 기능을 발현하는 범위이면 정분산성부터 역분산성의 것까지 폭넓게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파장에 의존하는 일 없이 반사 방지 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점에서 역분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4 파장 위상차층은, 파장 550nm에서 측정한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값인 Rth(550)가 -120∼12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80∼80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위상차판은,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구성했을 때에 실질적으로 반사 방지 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면, 1/4 파장 위상차층을 갖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5 파장 위상차층, 1/6 파장 위상차층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이하, 1/4 파장 위상차층을 갖는 위상차판을 「1/4 파장판」이라고도 칭한다. 위상차판은, 위상차층으로서 추가로 포지티브 C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위상차판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필름으로 지지한 것(또는 그 후, 지지 필름을 박리한 것), 고분자 소재를 1축 또는 2축 연신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액정층의 광학 특성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는, 봉상(棒狀)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원반상(圓盤狀)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봉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기재(基材)에 대하여 수평 배향 또는 수직 배향하여 형성된 배향층의 광축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장축 방향과 일치한다. 원반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배향하여 형성된 배향층의 광축은, 해당 중합성 액정의 원반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존재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액정층이 면내 위상차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적합한 방향으로 배향시키면 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봉상인 경우는, 해당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을 기재 평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향시킴으로써 면내 위상차가 발현한다. 이 경우, 광축 방향과 지상축 방향은 일치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원반상인 경우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을 기재 평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향시킴으로써 면내 위상차가 발현한다. 이 경우, 광축 방향과 지상축 방향은 직교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는, 배향막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조합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란,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액정성을 갖는 화합물이다. 중합성기란,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기를 의미하며, 광중합성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광중합성기란, 후술하는 광중합 개시제로부터 발생한 활성 라디칼이나 산 등에 의해 중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기를 말한다. 중합성기로는,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옥세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이 갖는 액정성은 서모트로픽성 액정이어도 리오트로픽 액정이어도 되고, 서모트로픽 액정을 질서도로 분류하면, 네마틱 액정이어도 스멕틱 액정이어도 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액정 편람(액정 편람 편집위원회편, 마루젠(주) 평성12(2000)년 10월 30일 발행)의 「3.8.6 네트워크(완전 가교형)」, 「6.5.1 액정 재료 b. 중합성 네마틱 액정 재료」에 기재된 화합물 중에서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일본국 특개2002-267838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5-208415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5-208416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5-208414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6-052001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0-270108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0-31223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1-6360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1-207765호 공보, 일본국 특표2010-522893호 공보, 일본국 특표2011-207765호 공보, 미국특허 제6,139,771호 명세서, 미국특허 제6,203,724호 명세서, 미국특허 제5,567,349호 공보에 기재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액정층은, 통상, 1 이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하, 「도포용 액정 조성물」이라고도 칭한다)을, 기재, 배향막 또는 보호층 상에 도포하고, 얻어진 도막 중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도포용 액정 조성물은, 통상 용제를 포함하며, 용제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용해할 수 있는 용제로서, 또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에 불활성인 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포용 액정 조성물에 있어서의 용제의 함유량은, 통상,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 질량부∼1000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5000 질량부이다. 고형분이란, 도포용 액정 조성물에서 용제를 제외한 성분의 합계를 의미한다.
도포용 액정 조성물의 도포는, 통상, 스핀 코팅법, 익스트루전법, 그라비아 코팅법, 다이 코팅법, 슬릿 코팅법, 바 코팅법, 어플리케이터법 등의 도포법이나, 플렉소법 등의 인쇄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도포 후, 통상, 얻어진 도포막 중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중합하지 않는 조건에서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건조 피막이 형성된다. 건조 방법으로는, 자연 건조법, 통풍 건조법, 가열 건조 및 감압 건조법을 들 수 있다.
기재는 통상 투명 기재이다. 투명 기재란, 광, 특히 가시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성을 갖는 기재를 의미하고, 투명성이란, 파장 380∼780nm에 걸친 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80% 이상이 되는 특성을 말한다. 구체적인 투명 기재로는, 투광성 수지 기재를 들 수 있다. 투광성 수지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노르보르넨계 폴리머 등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술피드 및 폴리페닐렌옥시드를 들 수 있다. 입수의 용이함이나 투명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환상 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배향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액정 배향시키는 배향 규제력을 갖는 것이다.
배향막으로는, 도포용 액정 조성물의 도포 등에 의해 용해하지 않는 용제 내성을 갖고, 또, 용제의 제거나 중합성 액정의 배향을 위한 가열 처리에 있어서의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향막으로는, 배향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배향막 및 광배향막 등을 들 수 있고, 배향성 폴리머 형성용 조성물 또는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여 얻을 수 있다.
배향성 폴리머 형성용 조성물 또는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핀 코팅법, 익스트루전법, 그라비아 코팅법, 다이 코팅법, 슬릿 코팅법, 바 코팅법, 어플리케이터법 등의 도포법, 플렉소법 등의 인쇄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광학 필름을, 후술하는 롤투롤(Roll to Roll) 형식의 연속적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당해 도포 방법에는, 통상 그라비아 코팅법, 다이 코팅법 또는 플렉소법 등의 인쇄법이 채용된다.
배향막의 두께는, 통상 10nm∼10000nm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0nm∼1000nm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nm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nm∼500nm의 범위이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은,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을 중합시키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중합 및 광중합을 들 수 있고, 중합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광중합이 바람직하다. 광중합에 의해 중합성 액정을 중합시키는 경우,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한 중합성 액정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 피막 중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액정상(相) 상태로 한 후, 해당 액정 상태를 유지한 채로 광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차판에 포함되는 위상차층은,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액정층이다. 위상차판은,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기재/배향막/액정층」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체여도, 기재를 박리함으로써 얻어지는 「배향막/액정층」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체여도, 기재와 배향막을 박리하고 남는 액정층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며, 또, 「기재/배향막/액정층」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체에 추가로 다른 층을 적층한 것이어도 된다.
위상차층이 연신 필름인 경우, 연신 필름의 형성은, 용액막법 또는 압출 성형법으로 필름을 제조하고, 이것을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은, 기계 흐름 방향으로 연신하는 세로 1축 연신; 기계 흐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로 1축 연신; 세로 및 가로를 동시에 실행하는 2축 연신; 경사 연신 등을 들 수 있다.
필름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고, 구체적으로는, 고유 복굴절치가 정(正), 부(負) 또는 이들의 조합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고유 복굴절치가 정(正)인 재료」는, 분자가 일축성의 질서를 가지고 배향된 경우에, 광학적으로 정의 일축성을 나타내는 재료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정의 원료 수지인 경우, 분자의 배향 방향의 굴절률이 상기의 배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광의 굴절률보다도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고유 복굴절치가 부(負)인 재료」는, 분자가 일축성의 질서를 가지고 배향된 경우에, 광학적으로 부의 일축성을 나타내는 재료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부의 원료 수지인 경우, 분자의 배향 방향의 굴절률이 상기의 배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광의 굴절률보다도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필름의 재료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노르보르넨계 폴리머 등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술피드 및 폴리페닐렌옥시드를 들 수 있다.
위상차층의 두께는, 액정층의 경우는, 통상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5㎛ 이하이다. 연신 필름의 경우는, 통상 1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 50㎛ 이하이다.
<직선 편광판>
직선 편광판은, 외부로부터 입사하는 자연광(외부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고, 화상 표시 패널로부터의 반사광을 차단하여 외부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직선 편광판의 구체예로는, 1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PVA)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PVA 편광층을 고분자 필름(보호 필름)으로 편면 또는 양면을 보호한 직선 편광판(이하, 「PVA 편광판」이라고도 칭한다.)을 들 수 있다. 이때, 보호 필름으로는, 예를 들면, 투명한 수지 필름이 이용되고, 그 투명 수지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나 디아세틸셀룰로오스로 대표되는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대표되는 메타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술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PVA 편광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1∼100㎛이고, 바람직하게는 5∼50㎛이다.
직선 편광판의 구체예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체와 2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층을 갖는 직선 편광판(이하, 「액정형 편광판」이라고도 칭한다.)도 들 수 있다. 액정형 편광판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12-58381, 일본국 특개2013-37115, 국제공개 제2012/147633, 국제공개 제2014/091921에 예시되는 것과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체와 2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층은, 단독으로 편광판으로서 이용해도 되고, 그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구성으로 편광판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당해 보호 필름으로는, 상기한 PVA 편광층의 직선 편광판에서 이용되는 보호 필름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액정형 편광판의 액정층은, 박막화의 관점에서는 얇은 편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너무 얇으면 강도가 저하하여 가공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는 점에서, 통상 2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3㎛ 이하이다.
<터치 센서 패널>
터치 센서 패널은, 터치된 위치를 검출 가능한 센서이면, 검출 방식은 한정되는 일은 없고,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결합 방식, 광센서 방식, 초음파 방식, 전자 유도 결합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등의 터치 센서 패널이 예시된다. 저비용인 점에서,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의 일례는, 서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기판과, 그들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끼워 지지된 절연성 스페이서와, 각 기판의 내측의 전체면에 저항막으로서 설치된 투명 도전막과, 터치 위치 검지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을 설치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이 터치되면, 대향하는 저항막이 단락(短絡)하여, 저항막에 전류가 흐른다. 터치 위치 검지 회로가 이때의 전압의 변화를 검지하여, 터치된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의 일례는, 기판과, 기판의 전체면에 설치된 위치 검출용 전극과, 터치 위치 검지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을 설치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이 터치되면, 터치된 점에서 인체의 정전 용량을 통해 전극이 접지된다. 터치 위치 검지 회로가 투명 전극의 접지를 검지하여, 터치된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은, 전극이나 배선 등의 도전층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패턴층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이하, 「기재층이 없는 터치 센서 패널」이라고도 칭한다.), 터치 센서 패턴층과 이 터치 센서 패턴층을 지지하는 기재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이하, 「기재층이 있는 터치 센서 패널」이라고도 칭한다.). 터치 센서 패널이 터치 센서 패턴층과 기재층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양자는 첩합층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되고, 첩합층을 개재하지 않고 기재층 상에 터치 센서 패턴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첩합층은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이며, 상기한 점착제 조성물 및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터치 센서 패턴층은, 시인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센서 패턴층은, 분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층은, 유리 등의 기판 상에 형성되어, 분리층 상에 형성된 터치 센서 패턴층을 분리층과 함께 기판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설치할 수 있다. 분리층은, 무기물층 또는 유기물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물층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에폭시계 수지 조성물, 폴리이미드계 수지 조성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터치 센서 패턴층은, 추가로 적어도 1층의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은, 도전층에 접하여 도전층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할 수 있다. 보호층은 유기 절연막 및 무기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이들 막은, 스핀 코트법, 스퍼터링법, 증착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전층은, ITO 등의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층이어도 되고, 알루미늄이나 구리, 은, 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이어도 된다. 또, 터치 센서 패턴층은, 전극이나 배선 등의 도전층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층은,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아크릴계 수지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첩합층>
본 발명의 반사 방지용 편광판의 일형태에 있어서, 위상차판과 직선 편광판을 첩합하는 첩합층을 갖는 경우, 위상차판과 터치 센서 패널을 첩합하는 첩합층을 갖는 경우, 또 터치 센서 패널 내에 있어서 각 층의 첩합에 첩합층을 갖는 경우, 첩합층은,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고, 점착제,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첩합층의 두께는, 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외의 층 구성>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종래의 일반적인 타원 편광판, 직선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이 구비하는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예를 들면,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화상 표시 패널에 첩합하기 위한 점착제층(시트), 직선 편광판이나 위상차판의 표면을 상처나 더러움으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이용되는 프로텍트 필름, C 플레이트 등의 광학 보상층 등을 들 수 있다.
<용도>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시인측)에 배치되어 반사 방지 성능을 부여하는 편광판으로서, 다양한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요소로서 이용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는, 화상 표시 패널과,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 배치된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구비한다.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패널과,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 배치된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구비하고, 발광원으로서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장치를 구비한다. 화상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 표시 장치, 무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 표시 장치, 터치 패널 표시 장치, 전자 방출 표시 장치(예를 들면 전기장 방출 표시 장치(FED), 표면 전계 방출 표시 장치(SED)), 전자 페이퍼(전자 잉크나 전기영동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 플라스마 표시 장치, 투사형 표시 장치(예를 들면 그레이팅 라이트 밸브(GLV) 표시 장치,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MD)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압전 세라믹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상 표시 장치는, 2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여도 되고, 3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여도 된다.
[광학 적층체]
광학 적층체의 일형태는, 화상 표시 패널과,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시인측)에 배치된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구비한다.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전면의 반사율이 Rp(%)인 화상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공정과,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이 식 (1a)를 만족하는, 바람직하게는 식 (1b)를 만족하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배치하는 공정을 갖는다. 본 형태의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의 반사율 Rp(%)에 따라서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선택함으로써,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 외부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에 따라서, 식 (1a)를 만족하도록 화상 표시 패널을 선택해도 된다.
광학 적층체의 전면(반사 방지용 편광판이 설치되어 있는 측의 면)의 반사율 Rd(%)는, 외부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관점에서, 6.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율 Rd(%)는,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 제조, CM-2600d)를 이용하여 SCI 모드에서 측정한 값으로 한다.
<유기 EL 표시 장치>
광학 적층체의 일형태인 유기 EL 표시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일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유기 EL 표시 장치는, 본 발명에 관한 광학 적층체이며, 또 화상 표시 장치이기도 하다.
도 1에 나타내는 유기 EL 표시 장치(10)는, 화상 표시 패널인 유기 EL 패널(1)과, 유기 EL 패널(1) 상에 제 1 점착제(11)를 개재하여 접착된 반사 방지용 편광판(2)을 구비한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2)은, 1/4 파장판(3)과, 1/4 파장판(3) 상에 제 2 점착제(12)를 개재하여 접착된 직선 편광판(5)을 구비한다.
유기 EL 패널(1)은,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판(1a)과, 지지 기판(1a)의 표면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프레임체 스페이서(1b)와, 지지 기판(1a)과 함께 프레임체 스페이서(1b)를 끼우는 봉지(封止) 기판(1e)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기판 사이의 공간은 밀폐되며, 당해 공간 내에 복수의 발광 소자가 배치되어 있다.
지지 기판(1a) 상에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Q)가 매트릭스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Q)를 피복하는 피복층(1c)을 개재하여, 화소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R, G, B)가 배치되어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R, G, B)는,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이며, 층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파장의 발광을 행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R, G, B)와 봉지 기판(1e) 사이에, 적색, 녹색, 청색의 컬러 필터(F)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들 필터는 없어도 된다.
피복층(1c)과 봉지 기판(1e) 사이에는, 기체가 봉입(封入)된 공간(1d)이 존재하지만, 이 공간(1d) 내는 수지 등으로 충전해도 된다.
봉지 기판(1e) 상에는, 제 1 점착제(11)가 도포 또는 적층되어 있고, 제 1 점착제는 1/4 파장판(3)을 봉지 기판(1e)의 표면에 접착하고 있다. 1/4 파장판(3) 상에는 제 2 점착제(12)가 도포 또는 적층되어 있고, 제 2 점착제(12)는 직선 편광판(5)을 1/4 파장판(3)의 표면에 접착하고 있다. 직선 편광판(5)은, 편광층(5b)과, 편광층(5b)의 양측에 설치된 제 1 투명 보호 필름(5a)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5c)으로 이루어진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R, G, B)가 발광하면, 그 광은, 필터(F), 봉지 기판(1e), 제 1 점착제(11), 1/4 파장판(3), 제 2 점착제(12), 직선 편광판(5)을 순차 개재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또, 외부로부터의 광은, 유기 EL 표시 장치 내의 다양한 개소에서 반사하여 외부로 반사된다. 특히, 유기 발광 다이오드(R, G, B)의 표면에 위치하는 전극은, 반사율이 높기 때문에, 이것에 의한 반사의 영향이 크다.
도 2에 나타내는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화상 표시 패널인 유기 EL 패널(1)과, 유기 EL 패널(1) 상에 제 1 점착제(11)를 개재하여 접착된 반사 방지용 편광판(20)을 구비한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20)은, 1/4 파장판(3)과, 1/4 파장판(3) 상에 제 2 점착제(12)를 개재하여 접착된 직선 편광판(5)을 구비하고, 추가로 1/4 파장판(3)의 직선 편광판(5)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 상에 제 3 점착제(13)를 개재하여 적층된 터치 센서 패널(14)을 갖는다. 도 2에 나타내는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내는 유기 EL 표시 장치(10)와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20)에 있어서, 제 3 점착제(13)를 개재하여 적층된 터치 센서 패널(14)을 갖는 점만이 다르다. 터치 센서 패널(14)이, 기재층이 있는 터치 센서 패널인 경우, 기재층이 유기 EL 패널(1)측에 있고 터치 센서 패턴층이 시인측에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층 구조와, 그 구동 회로의 도면이다. 상술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R, G, B)의 하나를 대표하여, 부호 10'로 나타낸다.
발광 다이오드(10')는, 캐소드 전극(Ec)과, 캐소드 전극(Ec) 상에 형성된 전자 수송층(10a)과, 발광층(10b)과, 정공 수송층(10c)과, 애노드 전극(Ea)을 구비하고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Q)를 ON으로 하면, 전원 전위(Vc)와 그라운드 사이의 순방향 바이어스 전압이 발광 다이오드(10')에 인가된다. 캐소드 전극(Ec)과 애노드 전극(Ea) 사이에 순방향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면, 이것에 전류가 흘러, 캐소드 전극(Ec)으로부터 전자가, 애노드 전극(Ea)으로부터 정공이, 발광층(10b) 내로 흘러들어가, 발광층(10b) 내에 있어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발광한다. 정공 수송층(10c)으로는, 방향족 아민 화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전자 주입 재료(10a)로는 금속 착체계 재료(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 옥사디아졸계 재료(PBD: 2-(4-Biphenylyl)-5-phenyl-4-t-butylphenyl)-1,3,4-oxadiazole), 트리아졸계 재료(TAZ)를 이용할 수 있다. 발광층(10b)으로는, π공역계 폴리머, 색소 함유 폴리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10')의 구성 재료로는, 다양한 것이 있고, 본 형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유기 EL 표시 장치(10)는 유기 EL 패널(1) 상에 직선 편광판(5)이 위치하고, 이들 사이에 1/4 파장판(3)이 위치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또,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유기 EL 패널(1) 상에 직선 편광판(5)이 위치하고, 이들 사이에 유기 EL 패널(1)측에서부터 순서대로 터치 센서 패널(14), 1/4 파장판(3)이 위치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유기 EL 패널(1)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유기 EL 패널(1)은, 기판 상에 양극과 음극이 적층되고, 상기의 음극과 양극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박막층을 설치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 이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애노드 전극(Ea)은, 예를 들면, ITO, IZO, IGZO, 주석의 산화물, 아연의 산화물, 아연 알루미늄 산화물 및 티타늄 나이트라이드 등의 금속 산화물이나 금속 나이트라이드; 금, 플라티나, 은, 구리, 알루미늄, 니켈, 코발트, 납, 몰리브덴, 텅스텐, 탄탈, 니오브 등의 금속; 이들 금속의 합금 또는 구리의 요오드 화합물의 합금;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페닐렌비닐렌 및 폴리(3-메틸티오펜) 등의 도전성 폴리머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한 종류를 포함하고 있다. 애노드 전극은, 전술의 성분 중 어느 한 종류만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재료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동일 조성 또는 다른 조성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다층 구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캐소드 전극(Ec)은,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져 있던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제한은 없으며, LiF를 전자 주입층으로서 사용하고, Al, Ca, Mg, Ag 등의 일함수가 낮은 금속의 음극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l가 바람직하다.
애노드 전극(Ea)과 캐소드 전극(Ec)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박막층은,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을 실현하기 위해, 발광층(10b)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것에 더하여,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애노드 전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캐소드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의 발광층(10b)은, 주된 재료인 호스트 재료에 더하여, 도펀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호스트 재료 및 도펀트 재료로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도, 다양한 종류의 것이 알려져 있고, 본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유기 EL 표시 패널(1)의 구동 방식으로서, 패시브(PM)형과 액티브(AM) 형이 있지만, 어느 쪽도 적용 가능하다.
애노드 전극(Ea) 및 캐소드 전극(Ec)의 재료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노드 전극(Ea)으로서 알루미늄을 이용한 경우, 애노드 전극(Ea)은, 외부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거울로서도 기능한다. 캐소드 전극(Ec)도 마찬가지이다. 유기 EL 표시 패널(1)의 전면의 반사율 Rp(%)는, 애노드 전극(Ea) 및 캐소드 전극(Ec)의 재료나 구성에 따라 다르고, 예를 들면, 3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반사율 Rp(%)는,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 제조, CM-2600d)를 이용하여 SCI 모드에서 측정한 값으로 한다.
도 1, 도 2에서의 유기 EL 표시 패널(1) 대신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막을 표면에 갖는 반사체를 설치한 광학 적층체의 광학 특성을 조사하면, 외부광의 반사에 관해서는,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략 동일한 거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검증용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고, 광학 특성에 대해서 예의 검토를 행하여, 본 발명에 이른 것이다.
도 4, 도 5는, 검증용 광학 적층체의 샘플의 종단면도이다. 검증용 광학 적층체(10', 100')는, 화상 표시 패널 대신에, 반사체(1D)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도 2의 유기 EL 표시 장치(10, 100)에 있어서의 유기 EL 표시 패널(1) 대신에, 반사체(1D)를 설치하고, 이것을 가상적으로, 화상 표시 패널에 있어서의 반사 요소(예를 들면,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애노드 전극(Ea) 및 캐소드 전극(Ec))로서 취급하고 있다.
실시예
이하, 시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험예 1∼18]
시험예 1∼13으로서, 도 4에 나타내는 검증용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여, 각 광학 적층체의 전면의 반사율 Rd(%)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시험예 14∼18로서, 도 5에 나타내는 검증용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여, 각 광학 적층체의 전면의 반사율 Rd(%)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반사율 Rd(%)는,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 제조, CM-2600d)를 이용하여 SCI 모드에서 측정한 값이다. 또, 시험예 14∼18에 대해서는, 터치 센서 패턴의 시인성에 대해서,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A: 시인측에서 터치 센서 패턴을 시인할 수 없다,
B: 시인측에서 터치 센서 패턴을 조금 시인할 수 있다,
C: 시인측에서 터치 센서 패턴을 시인할 수 있다.
각 시험예에서 이용한 검증용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는 반사체(1D) 및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이하와 같다.
<반사체>
시험예 1∼18에 있어서는,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반사체(1D)로서, 이하의 4종류의 반사체 중, 표 1, 표 2에 나타내는 반사체를 이용했다. 또, 각 반사체에 대해서,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 제조, CM-2600d)를 이용하여, 전면측의 반사율에 대해서 SCI 모드의 반사율을 측정하고, 이것을 반사율 Rp(%)로 했다.
(반사체 1: 미러)
시판품의 미러를 100mm×10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반사체 1로 했다. 반사체 1의 전면의 반사율 Rp(%)는 93.70%였다.
(반사체 2: 알루미늄 호일을 첩합한 유리 기판)
시판품의 알루미늄 호일을 100mm×100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것을 점착제를 이용하여 시판품의 유리 기판에 첩합하여, 반사체 2로 했다. 유리 기판의 알루미늄 호일이 첩합되어 있지 않은 면을 반사체 2의 전면으로 하고, 반사체 2의 전면의 반사율 Rp(%)을 측정한바, 79.28%였다.
(반사체 3: 알루미늄 호일을 첩합한 인쇄층을 갖는 유리 기판)
시판품의 유리 기판의 한 표면에, 검정 잉크를 이용하여 그물코 모양을 인쇄했다. 그물코 모양은, 그물코 모양을 구성하는 각 선의 폭을 100㎛로 하고, 각 선의 간격을 500㎛로 했다. 시판품의 알루미늄 호일을 100mm×100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것을 점착제를 이용하여 유리 기판의 인쇄층을 갖지 않는 측의 표면에 첩합하여, 반사체 3으로 했다. 유리 기판의 알루미늄 호일이 첩합되어 있지 않은 면을 반사체 3의 전면으로 하고, 반사체 3의 전면의 반사율 Rp(%)를 측정한바, 58.61%였다.
(반사체 4: 알루미늄 호일을 첩합한 인쇄층을 갖는 유리 기판)
시판품의 유리 기판의 한 표면에, 검정 잉크를 이용하여 그물코 모양을 인쇄했다. 그물코 모양은, 그물코 모양을 구성하는 각 선의 폭을 300㎛로 하고, 각 선의 간격을 300㎛로 했다. 시판품의 알루미늄 호일을 100mm×100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것을 점착제를 이용하여 유리 기판의 인쇄층을 갖지 않는 측의 표면에 첩합하여, 반사체 4로 했다. 유리 기판의 알루미늄 호일이 첩합되어 있지 않은 면을 반사체 4의 전면으로 하고, 반사체 4의 전면의 반사율 Rp(%)를 측정한바, 17.00%였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
시험예 1∼13에 있어서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2)으로서, 시인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직선 편광판, 1/4 파장판이 적층된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이용했다. 또, 시험예 14∼18에 있어서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20)으로서, 시인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직선 편광판, 1/4 파장판, 터치 센서 패널이 적층된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이용했다. 직선 편광판은, 이하에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PVA 편광판 1, PVA 편광판 2, 액정형 편광판 중, 표 1, 표 2에 나타내는 직선 편광판을 이용했다. 1/4 파장판은, 모든 시험예에 있어서, 이하에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1/4 파장판을 이용했다. 터치 센서 패널은, 이하의 제조 방법에 나타내는 기재층이 있는 터치 센서 패널, 기재층이 없는 터치 센서 패널 중, 표 2에 나타내는 터치 센서 패널을 이용했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이하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했다. 또한, 각 시험예에서 이용한 반사 방지용 편광판에 대해서, 분광 광도계(니혼분코 제조, V7100)를 이용하여 측정을 행하고, 상술한 방법으로 Ty, Tcr, Py를 산출했다. 표 1, 표 2에 산출 결과를 나타낸다.
(PVA 편광판 1)
PVA 필름에 대하여, 연신 처리, 요오드 염색 처리, 붕산 가교 처리 및 건조 처리를 실시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하고, 얻어진 편광 필름의 한쪽 표면에 접착제를 이용해 TAC 필름을 적층하여 PVA 편광판 1을 얻었다.
(PVA 편광판 2)
PVA 필름에 대한 처리 조건이 다른 점 이외에는, PVA 편광판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PVA 편광판 2를 얻었다.
(액정형 편광판)
TAC 필름의 편면에 배향막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 및 편광 노광을 하여 형성한 배향막 상에, 액정 중합성 화합물과 염료를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에,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를 행하여 편광층을 형성하여, 액정형 편광판을 얻었다. 각 액정형 편광판의 Ty, Py, Tcr은, 액정 조성물에 첨가하는 색소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표 1에 나타내는 값으로 제어했다.
(1/4 파장판)
PET 필름의 편면에 배향막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 및 편광 노광을 하여 형성한 배향막 상에, 액정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에,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를 행하여 위상차층을 형성하여, PET 필름 부착 1/4 파장판을 얻었다. 배향막 및 위상차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1/4 파장판으로 했다.
(기재층이 있는 터치 센서 패널)
기재층이 있는 터치 센서 패널로서, 터치 센서 패턴층, 접착제층 및 기재층이 이 순으로 적층된 것을 준비했다. 터치 센서 패턴층은, 투명 도전층으로서의 ITO층과, 분리층으로서의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경화층을 포함하는 것이며, 두께가 7㎛였다. 접착제층은, 터치 센서 패턴층의 분리층측에 설치되며, 두께가 3㎛였다.
(기재층이 없는 터치 센서 패널)
기재층이 없는 터치 센서 패널로서, 터치 센서 패턴층만으로 이루어지는 터치 센서 패널을 준비했다. 터치 센서 패턴층은, 투명 도전층으로서의 ITO층과, 분리층으로서의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경화층을 포함하는 것이며, 두께가 7㎛였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
직선 편광판의 TAC 필름측이 아닌 표면에 점착제를 이용하여 PET 필름 부착 1/4 파장판의 PET 필름측이 아닌 표면을 첩합한 후, PET 필름을 박리하여, 직선 편광판과 1/4 파장판으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얻었다. 또, 1/4 파장판측에 점착제를 개재하여 터치 센서 패널을 첩합하고, 직선 편광판과 1/4 파장판과 터치 센서 패널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얻었다. 터치 센서 패널로서 기재층이 있는 터치 센서 패널을 이용한 경우에는, 터치 센서 패턴층측이 1/4 파장판측에 위치하도록 첩합했다.
(검증용 광학 적층체)
각 시험예에 있어서, 표 1, 표 2에 나타내는 반사체의 전면에, 점착제를 이용하여, 표 1, 표 2에 나타내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첩합하고, 도 4, 도 5에 나타내는 검증용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반사 방지용 편광판은, 직선 편광판이 1/4 파장판에 대하여 시인측이 되도록, 각 반사체에 첩합했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의 Rd(%)의 값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p×Tcr의 값이 68 이하이고, 식 (1a) 및 식 (1b)의 관계를 만족하는 시험예 1∼6은 반사율 Rd(%)가 5.0% 이하로 낮아, 반사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의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했다. Rp×Tcr의 값이 150 이하이고, 식 (1a)의 관계를 만족하는 시험예 7∼11은 반사율 Rd(%)가 6.1% 이하로 낮아, 반사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의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의 Rd(%)의 값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p×Tcr의 값이 100 이하이고, 식 (1a), 식 (1d)의 관계를 만족하는 시험예 14∼17은 반사율 Rd(%)가 6.0% 이하로 낮아, 반사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의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이며, 또 터치 센서 패턴도 시인되기 어려운 것이었다.
1: 유기 EL 표시 패널 2, 20: 반사 방지용 편광판
3: 1/4 파장판 5: 직선 편광판
5b: 편광층 5a, 5c: 투명 보호 필름
10, 100: 유기 EL 표시 장치 11, 12, 13: 점착제(층)
14: 터치 센서 패널 1D: 반사체

Claims (8)

  1. 전면(前面)의 반사율이 Rp(%)인 화상 표시 패널의 상기 전면에 배치하여 이용되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으로서,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이, 식 (1a)의 관계를 만족하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
    Rp×Tcr≤150 (1a) 
  2. 제 1 항에 있어서,
    터치 센서 패널, 위상차판, 직선 편광판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이 상기 화상 표시 패널측이 되는 방향에서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 배치하여 이용되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으로서,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이, 식 (1d)의 관계를 만족하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
    Rp×Tcr≤100 (1d)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이, 식 (1b)의 관계를 만족하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
    Rp×Tcr≤68 (1b)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가 95% 이상인 반사 방지용 편광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편광층을 갖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
  6. 상기 화상 표시 패널과,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의 상기 전면에 배치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한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유기 EL 표시 장치인 광학 적층체.
  8. 전면의 반사율이 Rp(%)인 화상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공정과,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 Tcr(%)이 식 (1a)를 만족하는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의 전면에 상기 반사 방지용 편광판을 배치하는 공정을 갖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Rp×Tcr≤150 (1a)
KR1020190061782A 2018-05-31 2019-05-27 반사 방지용 편광판, 광학 적층체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203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5219 2018-05-31
JP2018105219 2018-05-31
JP2019075029A JP7063841B2 (ja) 2018-05-31 2019-04-10 反射防止用偏光板、光学積層体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JP-P-2019-075029 2019-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954A true KR20190136954A (ko) 2019-12-10
KR102203612B1 KR102203612B1 (ko) 2021-01-15

Family

ID=6884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782A KR102203612B1 (ko) 2018-05-31 2019-05-27 반사 방지용 편광판, 광학 적층체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7063841B2 (ko)
KR (1) KR102203612B1 (ko)
TW (1) TWI7514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5107A1 (ja) * 2018-06-07 2019-12-1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および位相差層付き偏光板
JP2023157234A (ja) 2022-04-14 2023-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4944A (ja) * 2001-06-20 2003-01-08 Sumitomo Chem Co Ltd 半透過半反射性偏光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装置
JP2003084137A (ja) * 2001-07-02 2003-03-19 Sumitomo Chem Co Ltd 半透過半反射性偏光素子及びそれの光学装置への適用
US20120056211A1 (en) * 2010-09-03 2012-03-08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film, optical film laminate including polarizing film, stretched laminate for use in production of optical film laminate including polarizing film, production methods for them,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having polarizing film
JP2013228706A (ja) * 2012-03-30 2013-11-07 Sumitomo Chemical Co Ltd 円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42462A (ja) * 2013-01-23 2014-08-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機能層付きタッチパネル用電極部、円偏光板付きタッチパネル電極部、タッチパネル、画像表示装置
KR101464795B1 (ko) * 2007-05-20 2014-11-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 재순환 중공 공동형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KR20160111363A (ko) * 2014-01-23 2016-09-26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편광기능을 갖는 기재를 구비한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3941B2 (ja) * 2011-11-18 2016-05-2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膜、円偏光板及びそれらを用いた有機el画像表示装置
JP2015232647A (ja) * 2014-06-10 2015-12-24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6071349A (ja) * 2014-09-30 2016-05-0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性積層フィルム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WO2018079651A1 (ja) * 2016-10-31 2018-05-03 日本化薬株式会社 偏光素子、並びにこ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4944A (ja) * 2001-06-20 2003-01-08 Sumitomo Chem Co Ltd 半透過半反射性偏光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装置
JP2003084137A (ja) * 2001-07-02 2003-03-19 Sumitomo Chem Co Ltd 半透過半反射性偏光素子及びそれの光学装置への適用
KR101464795B1 (ko) * 2007-05-20 2014-11-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 재순환 중공 공동형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US20120056211A1 (en) * 2010-09-03 2012-03-08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film, optical film laminate including polarizing film, stretched laminate for use in production of optical film laminate including polarizing film, production methods for them,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having polarizing film
JP2012133312A (ja) 2010-09-03 2012-07-12 Nitto Denko Corp 偏光膜、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及び、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に用いるための延伸積層体、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膜を有する有機el表示装置
JP2013228706A (ja) * 2012-03-30 2013-11-07 Sumitomo Chemical Co Ltd 円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42462A (ja) * 2013-01-23 2014-08-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機能層付きタッチパネル用電極部、円偏光板付きタッチパネル電極部、タッチパネル、画像表示装置
KR20160111363A (ko) * 2014-01-23 2016-09-26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편광기능을 갖는 기재를 구비한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63841B2 (ja) 2022-05-09
TW202003221A (zh) 2020-01-16
JP2019211761A (ja) 2019-12-12
JP2022089827A (ja) 2022-06-16
JP7377303B2 (ja) 2023-11-09
KR102203612B1 (ko) 2021-01-15
TWI751418B (zh) 2022-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372B1 (ko) 인셀 터치 패널 액정 소자의 전방면용 광학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인셀 터치 패널형 액정 표시 장치
TWI547727B (zh) Image display device
JP7377303B2 (ja) 反射防止用偏光板、光学積層体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CN110554452B (zh) 防反射用偏光板、光学层叠体及光学层叠体的制造方法
KR20160036466A (ko)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그 제조 방법
CN106023822B (zh) Oled显示装置以及其制造方法
KR20140133732A (ko) 다층형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JP6510655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CN108627901B (zh) 带防反射层及防映入层的偏振片及其制造方法
KR20180057586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110632693A (zh) 层叠体
TW201439608A (zh) 影像顯示裝置
JP2019215480A (ja) タッチセンサー層付光学積層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該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2008164984A (ja) 積層位相差フィルム
CN111542770B (zh) 相位差膜、带光学补偿层的偏振片、图像显示装置
CN112823298B (zh) 用于制造偏光板的方法
KR20190129677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JP6916940B2 (ja) 画像表示装置
JP7162037B2 (ja) 画像表示装置
WO2023162545A1 (ja) 光学異方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円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EP4361717A1 (en) Optical lami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smart window comprising same, and window and door for vehicle and building, having same applied thereto
KR102426168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12748601A (zh) 图像显示装置
KR20240033882A (ko) 광학표시장치
KR20240024067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