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390A -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390A
KR20190136390A KR1020180062042A KR20180062042A KR20190136390A KR 20190136390 A KR20190136390 A KR 20190136390A KR 1020180062042 A KR1020180062042 A KR 1020180062042A KR 20180062042 A KR20180062042 A KR 20180062042A KR 20190136390 A KR20190136390 A KR 20190136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evice
lower block
adjustable hinge
rotation range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3575B1 (ko
Inventor
윤문형
박준호
송치권
이정훈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62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57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는 하부 블록; 상기 하부 블록에 결합되는 상부 블록 및 상기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을 고정하는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나사의 압축력 및 마찰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망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이 가능하고 회전 범위 설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HINGE DEVICE CAPABLE OF ADJUSTING ROTATION RANGE}
본 발명은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소망하는 위치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힌지는 하부 블록의 고정핀이 스프링에 의해 상부 블록의 구멍에 삽입되어 상부 블록을 고정한다. 작동블록을 눌러 고정핀을 상부 블록에서 하부 블록으로 가압하면 상부 블록이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부 블록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할 수 있다.
종래의 힌지는 작동블록을 아래로 누르면 작동핀이 고정핀을 상부 블록의 구멍에서 하부 블록으로 가압하고, 이 때, 고정핀 하부의 스프링은 압축된다. 고정핀이 상부 블록에서 밀려나면 상부 블록은 하부 블록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작동블록의 힘을 제거하면 고정핀 하부의 스프링력에 의해 고정핀이 올라가 상부 블록의 구멍에 삽입되어 상부 블록에 고정된다. 이 때, 작동블록은 고정핀에 의해 상승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고정핀이 상부 블록의 구멍 및 작동핀의 위치와 일치할 경우만 밀려 올라가기 때문에 일정 간격에서만 상부 블록에 고정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일정 간격 단위로 대상체를 고정하여 사용하는 단점을 해결하여 사용자가 소망하는 위치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힌지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출원 제 10-2006-0131437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이 가능하고 회전 범위 설정이 가능한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부 블록; 상기 하부 블록에 결합되는 상부 블록 및 상기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을 고정하는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블록은 제 1 본체; 상기 제 1 본체로부터 상향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제 1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본체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는 나사 체결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하부 블록은 돌출부에 결합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에는 가이드 홀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은 원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하부 블록은 고정판을 고정하는 접시 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블록은 제 2 본체 및 상기 제 2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는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에는 나사 관통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에는 노브 관통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에는 가이드핀 결합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블록은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블록은 하부 블록과 체결하는 체결 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의 재질은 알루미늄일 수 있다.
상기 노브는 제 3 본체 및 제 3 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본체의 일측에는 노브를 회전시키는 가압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노브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는 종래의 일정 간격 단위로 대상체를 고정하여 사용하던 구조를 개선하여 나사의 압축력 및 마찰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망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이 가능하고 회전 범위 설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100)는 하부 블록(110), 상기 하부 블록(110)에 결합되는 상부 블록(150) 및 상기 상부 블록(150)과 하부 블록(110)을 고정하는 노브(1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블록(150)과 하부 블록(110)의 재질은 알루미늄이 바람직하고, 노브(18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100)의 하부 블록(110)은 제 1 본체(111), 상기 제 1 본체(111)로부터 상향 돌출된 돌출부(112) 및 상기 제 1 본체(111)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1 고정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 1 본체(111)는 원통 형상이 바람직하고, 상기 돌출부(112)에는 나사 체결 구멍(114)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블록(110)은 돌출부(112)에 결합되는 고정판(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고정판(120)에는 가이드 홀(122)이 천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120)은 노브(180)와 동일 재질의 스테인리스강이 바람직하되, 이는 노브(180)와 하부 블록(110) 재질의 경도차에 의한 하부 블록(110)의 마모 내구성이 떨어짐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고정판(120)은 링 형상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이드 홀(122)은 원호 형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 블록(110)은 고정판(120)을 고정하는 접시 나사(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부 블록(110)에 고정판(120)을 고정하게 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상부 블록(150)은 제 2 본체(151) 및 상기 제 2 본체(151)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2 고정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본체(151)는 제 1 본체(111)와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본체(151)에는 중앙부를 관통하는 나사 관통 구멍(153)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 관통 구멍(153)과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노브 관통 구멍(154)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 2 본체(151)의 일측에는 가이드핀 결합 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상부 블록(150)은 가이드 핀(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블록(150)은 상부 블록(150)과 하부 블록(110)을 체결하는 체결 나사(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100)의 상기 노브(180)는 제 3 본체(181) 및 제 3 본체(18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압부(18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본체(181)의 일측에는 노브(180)를 회전시키는 가압 구멍(183)이 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 나사(170)는 하부 블록(1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 블록(150)이 하부 블록(1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하며 하부 블록(110)에 조립되어 있되, 노브(180)는 상부 블록(150)에 고정되어 있고, 고정판(120)은 하부 블록(110)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100)의 작동 관계를 기술하면,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100)는 하부 블록(110), 상기 하부 블록(110)에 결합되는 상부 블록(150) 및 상기 상부 블록(150)과 하부 블록(110)을 고정하는 노브(1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먼저 상기 하부 블록(110)과 상기 상부 블록(150)을 결합하고 노브(180)를 결합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하부 블록(110)은 제 1 본체(111), 상기 제 1 본체(111)로부터 상향 돌출된 돌출부(112) 및 상기 제 1 본체(111)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1 고정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하부 블록(110)의 돌출부(112)의 외주부에 고정판(120)을 결합하고 접시 나사(130)를 이용하여 고정판(120)과 하부 블록(110)을 고정한다.
이어서, 상기 하부 블록(110)과 상기 상부 블록(150)을 결합하는데 상기 상부 블록(150)은 제 2 본체(151) 및 상기 제 2 본체(151)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2 고정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하부 블록(110)의 돌출부(112)를 상기 상부 블록(150)의 나사 관통 구멍(153)에 결합한다.
계속해서, 체결 나사(170)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블록(150)과 상기 하부 블록(110)을 체결하되, 상기 상부 블록(150)의 제 2 본체(151)의 하부에는 가이드 핀(160)을 고정하는 가이드핀 결합 구멍이 천공되어 있어 가이드 핀(160)을 가이드핀 결합 구멍에 삽입한다.
상기 가이드 핀(160)은 상기 고정판(120)에 천공되어 있는 가이드 홀(122)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블록(15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핀(160)이 상기 가이드 홀(12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하부 블록(110)과 상기 상부 블록(150)을 체결 나사(170)를 이용하여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블록(150)과 하부 블록(110)을 고정하는 노브(180)를 고정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노브(180)는 제 3 본체(181) 및 제 3 본체(18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압부(18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제 2 본체(151)에는 노브 관통 구멍(154)이 천공되어 노브(180)의 가압부(182)가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블록(150)을 이동시키면 상기 가이드 핀(160)이 상기 고정판(120)에 천공되어 있는 가이드 홀(122)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소망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노브(18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노브(180)를 회전시키면 노브(180)의 가압부(182)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고정판(120)을 밀어 마찰력을 발생시켜 상기 상부 블록(150)이 고정된다. 즉, 노브(18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하부 블록(110)의 고정판(120)을 밀어상부 블록(150)이 하부 블록(1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간격을 제거하여 노브(180)와 고정판(120)이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는 노브(180)와 고정판(120)이 각각 상부 블록(150)과 하부 블록(1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부 블록(150)과 하부 블록(110)이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핀(160)이 가이드 홀(122)을 따라 회전하게 하여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100)의 회전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노브(180)를 회전시키는 가압 구멍(183)을 통해 공구를 이용하여 힌지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노브(18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노브(180)의 가압부(182)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블록(150)의 고정이 해제되고 다른 위치로 조정하여 고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는 종래의 일정 간격 단위로 대상체를 고정하여 사용하던 구조를 개선하여 나사의 압축력 및 마찰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망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이 가능하고 회전 범위 설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가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110: 하부 블록
111: 제 1 본체
112: 돌출부
113: 제 1 고정부
114: 나사 체결 구멍
120: 고정판
122: 가이드 홀
150: 상부 블록
151: 제 2 본체
152: 제 2 고정부
153: 나사 관통 구멍
154: 노브 관통 구멍
160: 가이드 핀
170: 체결 나사
180: 노브
181: 제 3 본체
182: 가압부
183: 가압 구멍

Claims (20)

  1. 하부 블록;
    상기 하부 블록에 결합되는 상부 블록; 및
    상기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을 고정하는 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블록은,
    제 1 본체;
    상기 제 1 본체로부터 상향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제 1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1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는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나사 체결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블록은 돌출부에 결합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는 가이드 홀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블록은 고정판을 고정하는 접시 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록은,
    제 2 본체; 및
    상기 제 2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2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는 원통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에는 나사 관통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에는 노브 관통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에는 가이드핀 결합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록은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록은 하부 블록과 체결하는 체결 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의 재질은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제 3 본체; 및
    제 3 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본체의 일측에는 노브를 회전시키는 가압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KR1020180062042A 2018-05-30 2018-05-30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KR102063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042A KR102063575B1 (ko) 2018-05-30 2018-05-30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042A KR102063575B1 (ko) 2018-05-30 2018-05-30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390A true KR20190136390A (ko) 2019-12-10
KR102063575B1 KR102063575B1 (ko) 2020-01-08

Family

ID=6900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042A KR102063575B1 (ko) 2018-05-30 2018-05-30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57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6020U (ja) * 1983-04-25 1984-11-07 日本発条株式会社 回動装置におけるロツク装置
JPH053558U (ja) * 1991-07-01 1993-01-19 文化シヤツター株式会社 扉体の開閉支持装置
KR20020056823A (ko) * 2000-12-29 2002-07-10 르끌레르 쟝 루이 힌지기구로 결합된 자동차 시트
KR20060131437A (ko) 2005-06-16 2006-12-20 주식회사 팬택 회전각도의 선택적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스윙힌지모듈
US20100117423A1 (en) * 2008-11-13 2010-05-13 Chang-Chen Lin Positioning Device For Chair
JP2013091901A (ja) * 2011-10-24 2013-05-16 Panasonic Corp ヒンジ装置
JP3198148U (ja) * 2015-04-04 2015-06-18 株式会社木原製作所 機器回転部の多段固定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148B2 (ja) 1992-04-16 2001-08-13 株式会社エーアンドエーマテリアル 水硬性粉体組成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6020U (ja) * 1983-04-25 1984-11-07 日本発条株式会社 回動装置におけるロツク装置
JPH053558U (ja) * 1991-07-01 1993-01-19 文化シヤツター株式会社 扉体の開閉支持装置
KR20020056823A (ko) * 2000-12-29 2002-07-10 르끌레르 쟝 루이 힌지기구로 결합된 자동차 시트
KR20060131437A (ko) 2005-06-16 2006-12-20 주식회사 팬택 회전각도의 선택적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스윙힌지모듈
US20100117423A1 (en) * 2008-11-13 2010-05-13 Chang-Chen Lin Positioning Device For Chair
JP2013091901A (ja) * 2011-10-24 2013-05-16 Panasonic Corp ヒンジ装置
JP3198148U (ja) * 2015-04-04 2015-06-18 株式会社木原製作所 機器回転部の多段固定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575B1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3559B2 (en) Tray assembly
EP3154321A2 (en) Slide rail assembly with bracket
NO20074357L (no) Nagleplatesystem
JP2008513222A (ja) パンチング装置の付勢組立体
KR102063575B1 (ko) 회전 범위 조정 가능 힌지 장치
KR101912025B1 (ko) 하단 부재의 고정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유체 제어 장치
US10061269B2 (en) Balance wheel-spring assembly of timepiece
CN110382808B (zh) 铰链
KR101461487B1 (ko) 고정형 조립 치구
CN108291418A (zh) 杯状暗铰链的缓冲组件
KR20190113949A (ko) 추궁 스페이서 및 추궁 스페이서 키트
CN102595970B (zh) 用于家具附件的固定装置
US55931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terminal
EP2873478A1 (en) Drill hole locating tool
KR20160149389A (ko) 페달식 도어스토퍼
JP4731842B2 (ja) トルク発生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7144500A (ja) 部品組み付け治具
US7102894B1 (en) Circuit board securing device for computer case
EP2979582A1 (en) Slide rail assembly
EP2635817B1 (en) Temporary suspension element, and attachment and disassembly methods using said element
RU2415752C2 (ru) Установка нумерационных устройств на нумерационные барабаны
KR100983201B1 (ko) 안테나 브라켓
TW202112502A (zh) 用於拆卸及安裝碟煞卡鉗彈簧之工具
JP2008070417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EP3446801B1 (en) Mold holder device and pipe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