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389A - 페달식 도어스토퍼 - Google Patents

페달식 도어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389A
KR20160149389A KR1020150086261A KR20150086261A KR20160149389A KR 20160149389 A KR20160149389 A KR 20160149389A KR 1020150086261 A KR1020150086261 A KR 1020150086261A KR 20150086261 A KR20150086261 A KR 20150086261A KR 20160149389 A KR20160149389 A KR 20160149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elastic pad
pedal
door stopper
attach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재
Original Assignee
김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재 filed Critical 김민재
Priority to KR102015008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9389A/ko
Publication of KR20160149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pivoted lever or eccentric type, e.g. for slidin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달식 도어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지지대(20)의 작동시 절도감을 얻기 위한 스프링은 압축스프링(36)으로서 부착판(14)이 갖는 작동실(32)에 서치하여 걸림구(34)를 통하여 지지대(20)와 접촉하도록 하고, 탄성패드(24)는 지지대(20)에 스프링(58)과 연결볼트(60)를 이용하여 완충가능케 연결설치하여 마모시 자체적으로 길이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페달식 도어스토퍼{DOOR STOPPER OF PEDAL TYPE}
본 발명은 페달식 도어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부품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고장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물이나 사무용 건물의 출입문에는 자동닫힘을 위한 도어클로저가 설치되므로 이러한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출입문에는 열림상태유지를 위한 도어스토퍼를 부설해 주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스토퍼들 중 페달식으로 이루어진 도어스토퍼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는 등록실용신안 20-0367636호 '페달식 도어스토퍼'를 예로 들 수가 있으며, 이는 도어측에 부착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하부에 고정부재로 연결되는 지지대 사이에 상기 지지대의 노출된 절개홈 내에 위치하는 인장스프링을 고리핀으로 연결설치하고, 고정판 상부에는 가압돌기부를 갖는 페달을 힌지축으로 연결설치하여 지지대가 페달에 의한 해지되도록 하며, 바닥면과의 접촉을 위한 탄성패드는 볼트축을 이용하여 지지대측이 갖는 휠너트와 나사결합하여 반복사용에 의한 마모시 상기 휠너트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해 주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페달식 도어스토퍼는 요구되는 기능은 만족할 수 있다 하겠으나 지지대의 작동시 절도감을 얻기 위한 긴 인장스프링과 상기 인장스프링을 수용하는 절개홈 및 탄성패드의 높낮이조절을 위한 휠너트 등이 외관상 크게 노출되므로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며, 특히 해지상태의 지지대를 큰 각도롯 회전시켜서 도어의 정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시 인장스프링은 큰폭으로 인장되면서 인장력이 약화되므로 사용수명단축을 가져오게 된다.
더 나아가 반복되는 사용에 따른 탄성패드의 마모시 마모정도에 따른 즉각적인 대처가 어려운만큼 도어정지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가 없게 되고 또 수시로 휠너트를 회전시켜서 지지대로부터 탄성패드의 높낮이를 조절해 주는데 많은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20-0367636호 '페달식 도어스토퍼'
본 발명의 목적은 관련부품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가 있고 또 반복되는 사용에도 스프링의 탄성약화에 의한 수명단축을 방지해 줄 수가 있으며, 반복사용에 따른 탄성패드의 마모시 자체적이고 즉각적인 길이보정으로 상시 최적의 도어정지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높낮이조절에 따른 번거로움을 없애줄 수가 있는 페달식 도어스토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 페달식 도어스토퍼는 부착판이 갖는 작동실에 압축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되는 걸림구가 지지대와 접촉하여 도어의 정지 또는 해지를 위한 지지대의 회전시 절도감이 주어지도록 하고, 탄성패드는 지지대에 연결볼트와 스프링을 이용하여 완충가능케 연결하여 탄성패드의 마모시 자체적인 길이보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페달식 도어스토퍼(10)는 지지대(20)의 작동시 절도감부여를 위한 압축스프링(36)은 부착판(14)이 갖는 작동실(32) 내에 설치되고 또 탄성패드(24)의 연결부위가 외관상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갖게 되므로 상품성을 높여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지지대(20)에 절도감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은 압축스프링(36)으로서 부착판(14)이 갖는 작동실(32)내에서 걸림구(34)를 통하여 지지대(20)와 접촉하게 되므로 지지대(20)의 작동시 압축스프링(58)에 무리한 힘이 가해질 우려가 전혀 없어 사용수명을 보장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더 나아가 탄성패드(24)는 지지대(20)에 연결볼트(60)와 스프링(58)을 통하여 탄력있게 연결하여 마모시 자체적으로 길이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상시 최적의 탄성으로 도어정지기능을 유지할 수가 있게 됨은 물론 높낮이조절을 위한 번거로움을 없애줄 수가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정지작동시의 단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의 해지작동시의 단면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동일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기술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 페달식 도어스토퍼(10)는 도어(12)에 부착고정되는 부착판(14)의 상부 전방에 페달(16)을 축핀(18)으로 연결설치하고, 부착판(14)의 하부전방에는 지지대(30)를 축핀(22)으로 연결설치하며, 지지대(20)의 하단부에는 탄성패드(24)를 연결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에 있어 부착판(14)은 고정공을 갖는 부착부(26)의 전방상하에 각각 연결공을 갖는 한쌍의 연결편(28)(30)을 돌출형성하고 또 하부연결편(30)의 내측후방에는 작동실(32)을 형성한뒤 상기 작동실(32) 내에 걸림구(34)를 압축스프링(36)으로 탄력설치하여 상기 걸림구(34)가 갖는 만곡돌부가 하부연결편(30) 사이로 돌출하여 지지대(20)와 탄성을 갖고 접촉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페달(16)은 그 후단부에 갖는 연결부(38)의 연결공을 통하여 부착판(14)이 갖는 상부연결편(28) 사이에 축핀(18)으로 연결설치하고, 그 하부 중앙부에는 지지대(20)를 가압하는 가압돌부(40)를 돌출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지지대(20)는 그 상부에 갖는 연결부(42)의 연결공을 통하여 부착판(14)이 갖는 하부연결편(30) 사이에 축핀(22)으로 연결설치하고, 상기 연결부(42)의 후방 상부에는 페달(16)의 가압돌부(40)와 접촉을 위한 요입홈(44)을 형성하고, 연결부(42)의 상부중앙부에는 걸림구(34)와의 걸림을 위한 걸림돌부(46)를 형성하며, 그 하단부에는 탄성패드(24)를 결합하는 안내홈(48) 및 상기 안내홈(48)의 내벽에 위치하는 나사공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탄성패드(24)는 접촉부(50) 상부에 스프링실(52)을 갖는 안내부(54)를 돌출형성하고, 접촉부(50)의 저부로부터는 스프링실(52)을 관통하는 결합공(56)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실(52)에 스프링(58)을 끼운 상태에서 그 안내부(54)를 지지대(20)가 갖는 안내홈(48)에 여유있게 결합한뒤 결합공(56)을 관통하는 긴 연결볼트(60)를 지지대(20)가 갖는 나사공에 나사결합고정하여 지지대(20)와는 연결볼트(60)에 의해 연결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프링(58)에 의해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 페달식 도어스토퍼(10)는 지지대(20)의 작동시 절도감을 부여하기 위한 압축스프링(36)이 부착판(14)이 갖는 작동실(32) 내에 위치하여 외관상 전혀 노출되지 않고 또 탄성패드(24)의 연결부품이나 높낮이 조절수단이 외관상 전혀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가 있게 되므로 상품성을 높여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도어(12)의 정지 또는 해지를 위한 지지대(20)의 회전작동시 절도감을 얻기 위한 스프링은 길이가 짧은 압축스프링(36)으로서 부착판(14)이 갖는 작동실(2) 내에 설치되어 걸림구(34)를 통하여 지지대(20)와 접촉하게 되므로 지지대(20)의 작동시 압축스프링(36)에 무리한 힘이 가해질 우려가 전혀 없어 사용수명을 보장해 줄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탄성패드(24)는 지지대(20)에 안내기능을 겸한 긴 연결볼트(60)와 스프링(58)으로 연결설치되므로 도어(12)의 정지를 위한 바닥면과의 접촉이 상시 최적의 탄성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가 있게 됨은 물론 반복사용에 따른 마모시 작업자의 도움없이도 높낮이조절이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되므로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 권리범위는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자명한 것이다.
(10)--페달식 도어스토퍼 (12)--도어
(14)--부착판 (16)--페달
(18)--축핀 (20)--지지대
(22)--축핀 (24)--탄성패드
(26)--부착부 (28)(30)--연결편
(32)--작동실 (34)--걸림구
(36)--압축스프링 (38)--연결부
(40)--가압돌부 (42)--연결부
(44)--요입홈 (46)--걸림돌부
(48)--안내홈 (50)--접촉부
(52)--스프링실 (54)--안내부
(56)--결합공 (58)--스프링
(60)--연결볼트

Claims (2)

  1. 부착판(14)의 상부 전방에 페달(16)을 축핀(18)으로 연결설치하고, 부착판(14)의 하부 전방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절도감이 부여되는 지지대(20)를 축핀(22)으로 연결설치하며, 상기 지지대(20)의 하단부에는 탄성패드(24)를 높낮이 조절가능케 연결설치하되, 상기 스프링은 압축스프링(36)으로서 걸림구(34)와 함께 부착판(14)이 갖는 작동실(32) 내에 설치하여 걸림구(34)를 통하여 지지대(20)와 접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식 도어스토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24)는 접촉부(50) 상부의 안내부(54)가 갖는 스프링실(52)에 스프링(58)을 끼운 상태에서 그 안내부(54)를 통하여 지지대(20) 하단에 갖는 안내홈(48)에 결합되게 하여 탄성패드(24)를 관통하는 연결볼트(60)를 이용하여 지지대(20)에 완충가능케 연결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식 도어스토퍼.
KR1020150086261A 2015-06-18 2015-06-18 페달식 도어스토퍼 KR20160149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261A KR20160149389A (ko) 2015-06-18 2015-06-18 페달식 도어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261A KR20160149389A (ko) 2015-06-18 2015-06-18 페달식 도어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389A true KR20160149389A (ko) 2016-12-28

Family

ID=5772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261A KR20160149389A (ko) 2015-06-18 2015-06-18 페달식 도어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93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6690A (zh) * 2017-08-08 2017-12-15 宁波市鄞州呈汇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铜制门吸
KR20180110871A (ko) 2017-03-30 2018-10-11 주식회사 나노렉스 다기능 도어 스토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636Y1 (ko) 2004-05-07 2004-11-10 김경호 페달식 도어스토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636Y1 (ko) 2004-05-07 2004-11-10 김경호 페달식 도어스토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871A (ko) 2017-03-30 2018-10-11 주식회사 나노렉스 다기능 도어 스토퍼
CN107476690A (zh) * 2017-08-08 2017-12-15 宁波市鄞州呈汇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铜制门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7231B2 (en) Hinge
US8683652B2 (en) Furniture hinge
US20040163212A1 (en) Hinge
JP2009507147A (ja) 蝶番を有した構造体
TW201102486A (en) Displacement device for pivotally held separation elements and article furniture
US20140210330A1 (en) Device for Releasably Connecting a Furniture Pull-Out, Which is Movable Guided in a Furniture Carcass via a Guidance Unit to Said Guidance Unit
KR20160149389A (ko) 페달식 도어스토퍼
KR101641584B1 (ko) 도어용 지지장치
AU2013245482A1 (en) Pulley mechanism
KR100948435B1 (ko) 미닫이식 도어 하부 롤러장치
CN108952225A (zh) 一种简易淋浴房
US2999268A (en) Friction hinge, especially for pivot windows
JP2007533398A (ja) 便蓋のための緩速閉止機構
KR101874254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US20090229076A1 (en) Absorption mechanism for furniture doors
JP6033188B2 (ja) ゲーム機用蝶番
KR101089783B1 (ko) 미닫이 도어의 완충장치
JP2016013400A (ja) パチンコ台枠の上部取付け装置
US704109A (en) Attachment for chairs.
KR200350534Y1 (ko) 문 고정장치
JP5210623B2 (ja) 非常用扉の閉鎖装置
JP2013048872A (ja) 遊技機の取付け装置
KR101727120B1 (ko)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KR200266300Y1 (ko) 이동식 절첩문의 하부슬라이드 롤러
KR200325946Y1 (ko) 도어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