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899A -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899A
KR20190134899A KR1020180052980A KR20180052980A KR20190134899A KR 20190134899 A KR20190134899 A KR 20190134899A KR 1020180052980 A KR1020180052980 A KR 1020180052980A KR 20180052980 A KR20180052980 A KR 20180052980A KR 20190134899 A KR20190134899 A KR 20190134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ff
groove
mold
tir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식
Original Assignee
김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식 filed Critical 김준식
Priority to KR1020180052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4899A/ko
Publication of KR2019013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10Formation of a green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20Direct sintering or me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30Process control
    • B22F10/38Process control to achieve specific product aspects, e.g. surface smoothness, density, porosity or hollow structures
    • B22F3/105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B22F2003/105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를 제조함에 있어서 타이어의 외주연에 홈을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그루브와 커프 중, 다수의 피스가 조합되어 복잡한 형상을 가지며 커프를 3D 프린팅 방식으로 단일체로 제작한 후, 이를 그루브와 결합하여 제 2형틀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착함으로써, 복잡한 그루브와 커프 삽입단계의 공정이 축소되고, 제조가 쉽지 않은 커프의 내구성 향상 및 휘어짐도 발생되지 않는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kerf additive type groove integral type tire mold part by 3D printing method}
본 발명은 타이어 주조시 미끄럼방지를 위한 홈을 형성하는 그루브와 커프를 형성하는 타이어 몰드를 제작하되, 커프를 3D 프린팅에 의해 하나의 피스로 일체로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커프의 휘어짐 방지 및 타이어 몰드 제조과정이 신속해질 수 있도록 한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프라 함은 타이어의 트레드부가 다수의 블록으로 구획 형성되는 패턴을 가지는 타이어에 있어서 블록을 다수의 조각으로 분리시키는 작은 폭의 홈을 말한다
이와 같은 커프는 그 깊이가 깊으면 블록의 강성이 낮아져 제동성 및 구동성이 저하되는데 반하여 승차감은 향상되고, 반대로 커프의 깊이를 작게 형성시키게 되면 블록의 강성이 증가되어 제동성과 구동성은 향상되는 반 승차감이 감소하는 이율배반적인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타이어의 설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그루브 하부에 있는 커프를 성형시키는 블레이드는 금형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금속판체로 구성되며, 그 형상은 그루브의 길이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시켜 구성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블레이드에 의해 성형되는 커프는 블레이드의 형상과 동일하게 그루브의 길이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그루브와 커프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사용되었고, 기존의 커프만을 코어인 몰드에 넣은 후, 이어서 그루브를 넣은 후, 주조를 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지만, 상기 그루브는 상당히 얇은 두께로 소정높이로 제조되는 것이기에, 이러한 타이어 주조 제조과정 및 그루브 자체의 제작과정에서 변형발생이 많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그루브와 커프가 개별적으로 제작되어져 사용되기 때문에, 그루브와 커프 상호간 연결부위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하여 품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복잡한 형상의 제작은 더욱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14310호(2011.02.07.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를 제작함에 있어서, 미끄럼방지를 위해 타이어의 외주연에 홈을 형성하는 그루브와 커프를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되, 그루브와 그루브를 연결하는 복잡한 격자형태의 커프를, 3D 프린팅을 통해 하나의 피스로 일체로 제작하여 그루브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잡한 커프 하나하나를 조립 및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에 공정이 단순화되고, 작업효율이 상승함과 동시에, 커프 자체의 휘어짐이나 손상이 방지되는 내구성 향상의 효과 또한 가지게 되는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타이어 주조시, 눈 또는 비로 인한 타이어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어의 외주연에 사전설정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을 함께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사전설정 재질의 제 2형틀(30)에, 타이어 외주연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그루브(51)와 커프(52)의 삽입부(20)가 형성되는 단계(S10); 타이어의 외주연방향을 향해 홈을 형성하기 위한 그루브(GROOVE)가 다수 제작되는 단계(S20); 상호간 수평배열되는 다수의 그루브(51)와 그루브(51) 사이에 장착되어, 그루브(51) 상호간을 연결시키되, 직선형인 다수의 커프 피스(54)가 횡과 종방향을 향해 불규칙적인 격자형태를 가지며, 단일의 조립체 형태로 커프(KERF, 52)가 제조되는 단계(S30); 상기 제 2형틀(30)의 삽입부(20)에 그루브(51)와 커프(52)가 조립된 그루브 커프 일체부(50)가 식입되도록 한 후, 제 2형틀(30)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이, 그루브 커프 일체부(50)가 식입된 성형면에 부어져, 그루브 커프 일체부(50) 형상이 파여져 형성되는 코어(40)가 제작되고, 상기 코어(40)의 성형면에 용해금속이 부어져, 그루브 커프 일체부(50) 형상으로 돌출된 그루브 커프 형상부(61)가 형성된 타이어 몰드(60)가 제작되는 단계(S40); 를 포함하며, 상기 커프(52)를 개별적으로 제작할시, 다수의 커프 피스(54) 상호간의 연결부위의 틈새 발생 및, 일체형이 된 커프(52)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3D 프린팅에 의해 다수의 커프 피스(54)가 일체형을 이루며 커프(52)가 사전제작되어 사용되도록 하고, 상기 그루브 커프 일체부(50)는 스틸 재질이 사용되어 알루미늄 재질의 타이어 몰드(60)와 이종소재로 사용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잡하고 다양한 형상을 가지면서 그루브와 그루브 사이에 결합되는 커프를, 3D 프린팅을 통해 원세트로 일체로 제작하여 하나로 사전제작하여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수많은 커프를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그루브와 함께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공정의 간소화 및 작업시간의 단축, 작업효율의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프를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조립 및 장착시보다, 커프의 휘어짐 발생 및 손상 등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커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은 도 1의 커프에 그루브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루브 커프 일체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루브 커프 일체부를 제 2형틀에 삽입장착하여 사용하는,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체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팅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타이어 주조시, 눈 또는 비로 인한 타이어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어의 외주연에 사전설정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을 함께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사전설정 재질의 제 2형틀(30)에, 타이어 외주연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그루브(51)와 커프(52)의 삽입부(20)가 형성되는 단계(S10); 타이어의 외주연방향을 향해 홈을 형성하기 위한 그루브(GROOVE)가 다수 제작되는 단계(S20); 상호간 수평배열되는 다수의 그루브(51)와 그루브(51) 사이에 장착되어, 그루브(51) 상호간을 연결시키되, 직선형인 다수의 커프 피스(54)가 횡과 종방향을 향해 불규칙적인 격자형태를 가지며, 단일의 조립체 형태로 커프(KERF, 52)가 제조되는 단계(S30); 상기 제 2형틀(30)의 삽입부(20)에 그루브(51)와 커프(52)가 조립된 그루브 커프 일체부(50)가 식입되도록 한 후, 제 2형틀(30)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이, 그루브 커프 일체부(50)가 식입된 성형면에 부어져, 그루브 커프 일체부(50) 형상이 파여져 형성되는 코어(40)가 제작되고, 상기 코어(40)의 성형면에 용해금속이 부어져, 그루브 커프 일체부(50) 형상으로 돌출된 그루브 커프 형상부(61)가 형성된 타이어 몰드(60)가 제작되는 단계(S40); 를 포함하며, 상기 커프(52)를 개별적으로 제작할시, 다수의 커프 피스(54) 상호간의 연결부위의 틈새 발생 및, 일체형이 된 커프(52)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3D 프린팅에 의해 다수의 커프 피스(54)가 일체형을 이루며 커프(52)가 사전제작되어 사용되도록 하고, 상기 그루브 커프 일체부(50)는 스틸 재질이 사용되어 알루미늄 재질의 타이어 몰드(60)와 이종소재로 사용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프(52) 제조를 위한 3D 프린팅은 소정높이로 쌓아진 금속파우더의 최상면에,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커프(52) 형상으로 금속파우더를 레이져로 소결시켜 첫번째 레이어 한층을 형성한 후, 형성된 레이어 상면에 또 다시 금속파우더를 덮어준 후, 레이져로 다시 커프(52)의 형상으로 금속파우더를 소결시켜, 두번째 레이어 한층을 형성하는 반복을 연속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루브 커프 일체부(50)는 상기 그루브(51) 일단에 길이방향을 향해 국부적으로 걸림체(53)가 더 돌출형성되어, 상기 그루브(51)의 걸림체(53)와 커프(52)의 일단이, 상기 제 2형틀(30)의 삽입부(20)에 장착되면서, 그루브 커프 일체부(50)가 탈거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걸림체(53)는 삽입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폭과 너비가 다단으로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으며, 사용자가 사전설정된 순서에 따라, 다수의 기계장치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제조단계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은 타이어 주조시 최종 주물이 되는 타이어 몰드(60)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타이어 몰드(60)를 형성하기 위한 전단계(코어제작시 사용되는 러버형틀(제 2형틀))의 형틀에, 3D 프린팅을 통해 하나의 일체형으로 커프(52)를 사전제작하여, 이를 역시 사전제작한 그루브(51)와 함께 식입(끼워넣어 삽입장착)하여 사용한 것이다.
1. 사전설정 재질의 제 2형틀(30)에, 타이어 외주연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그루브(51)와 커프(52)의 삽입부(20)(그루브(51)와 커프(52)가 타이어 외주연의 미세한 홈을 형성하는 것이다.)가 형성되는 단계(S10):
본 발명에서 일체로 제작되는 그루브 커프 일체부(50)의 삽입부(2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한 단계는 제 2형틀(30) 이외에도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더 많은 사전단계가 진행될 수 있음이다.
즉, 본 발명에서 적용하고 있는 형틀의 순서는, 우드 플라스틱 형틀 -> 러버 형틀 -> 석고 형틀 -> 금속 형틀(타이어 몰드(60), 타이어를 주조하기 위한 최종 주물) 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가공이 손쉬운 우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는 제 1형틀(10)의 일면에 그루브 커프 일체부(50)의 삽입부(20)를 파내어 형성하는 1차 단계를 거친 후, 상기 우드 플라스틱의 일면에(즉 삽입부(20)가 형성된 성형면)에 변형이 용이한 러버(Rubber)를 부어 코아를 제작하기 위한 러버형틀, 즉 제 2형틀(30)을 제작하는 2차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로써, 제 2형틀(30)의 일면(성형면)에는 제 1형틀(10)의 파여진 삽입부(20)가 반대로 외주연으로 돌출되어지는 형태가 되고, 이러한 러버형틀인 제 2형틀(30)의 돌출된 삽입부(20)에 사전에 3D 프린팅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된 커프(52)를, 그루브(51)와 결합하여 그루브 커프 일체부(50)을 만든 후, 이러한 그루브 커프 일체부(50)를 삽입장착 한 것이다.(고무재질인 돌출된 삽입부(20)에 삽입)
2. 타이어의 외주연방향을 향해 홈을 형성하기 위한 그루브(GROOVE)가 다수 제작되는 단계(S20): 그루브(51)와 커프(52)가 결합되어 하나를 이루는 그루브 커프 일체부(50)를 만들기 위해, 제작되어지는 타이어에서 타이어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직선으로 홈을 만드는 그루브를 다수 사전에 다수 제작하는 단계이다.
3. 상호간 수평배열되는 다수의 그루브(51)와 그루브(51) 사이에 장착되어, 그루브(51) 상호간을 연결시키되, 직선형인 다수의 커프 피스(54)가 횡과 종방향을 향해 불규칙적인 격자형태를 가지며, 단일의 조립체 형태로 커프(KERF, 52)가 제조되는 단계(S30): 별도로 제작되어진 그루브(51)와 연결조합되어 그루브 커프 일체부(50)를 이루기 위한 커프를 사전제작하는 단계이다. 물론, 그루브(51)를 먼저 제작하든 커프(52)를 먼저 제작하든, 그 순서는 중요하지 않고 사전제작되어져 준비되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한 커프(52)는 직선형의 작은 다수의 커프 피스(54)들이, 작업자 또는 사용자에 따라 불규칙적 또는 규칙적으로 횡과 종방향으로 연속배열되면서 연결되어, 격자형태의 이루는 것으로, 기존에는 이러한 다수의 커프 피스(54)들을 일일히 하나씩 제작한 후, 이를 개별적으로 그루브(51)와 함께 제 2형틀(30)의 삽입부(20)에 삽입장착하는 공정을 거쳐야 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루브(51)와 그루브(51) 사이에 결합되어지는 이러한 복잡한 형상의 커프(52)를 3D 프린팅을 통해 사전제작함으로써, 다수의 커프 피스(54)들이 하나의 세트형태로 일체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커프(52)는 개별적으로 커프 피스(54)를 제작하여 상호간 연결하여 하나의 커프(52)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연결부위가 벌어지거나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며, 작고 얇기에 주조로 제작하는게 쉽지 않기에, 본 발명에서는 3D 프린팅(3D 프린팅 장치에 의해서)에 의해 커프(52)를 하나의 일체형으로 사전제작한 후, 이를 그루브(51)와 함께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커프(52) 제조를 위한 3D 프린팅 방식은, 일정공간에 소정높이로 금속파우더를 쌓아놓은 후, 이러한 금속파우더의 최상면에,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커프(52) 형상으로 금속파우더를 레이져(레이져 장치를 이용한)로 소결시켜 첫번째 레이어 하나의 층을 형성하도록 한 후, 형성된 레이어 상면에 또 다시 금속파우더를 골고루 펴서 덮어준 후, 하나의 레이어를 이룬 그 상면의 금속파우더에 다시 커프(52)의 형상으로 금속파우더를 레이져로 소결시켜, 두번째 레이어 한층을 형성하는 반복을 연속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즉, 금속파우더 상면을 레이져로 일정 형상(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커프(52) 형상)대로 1차 소결시키고, 그 위에 다시 금속파우더를 일정높이로 펴서 올린 후, 다시 레이져로 1차 소결시와 동일하게 레이져로 새로 깔아올린 금속파우더를 2차 소결하는 것으로, 이렇게 연속적으로 반복시행하여 3D 형상의 커프(52)가 제작되어지도록 한다.
더불어,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이렇게 제작되어지는 커프(52) 및 그루브(51)의 일체형인 그루브 커프 일체부(50)는 스틸 재질이 사용되어 알루미늄 재질의 타이어 몰드(60)와 이종소재로 사용되어지도록 할 수 있음이다.
4. 상기 제 2형틀(30)의 삽입부(20)에 그루브(51)와 커프(52)가 조립된 그루브 커프 일체부(50)가 식입되도록 한 후, 제 2형틀(30)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이, 그루브 커프 일체부(50)가 식입된 성형면에 부어져, 그루브 커프 일체부(50) 형상이 파여져 형성되는 코어(40)가 제작되고, 상기 코어(40)의 성형면에 용해금속이 부어져, 그루브 커프 일체부(50) 형상으로 돌출된 그루브 커프 형상부(61)가 형성된 타이어 몰드(60)가 제작되는 단계(S40);
전술된 단계들을 통해, 커프(52)를 그루브(51)와 연결조합하여, 그루브 커프 일체부(50)로 만든 후, 상기 제 2형틀(30)의 삽입부(20)에 그루브 커프 일체부(50)가 식입되도록 한 후, 상기 제 2형틀(30)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 석고를 그루브 커프 일체부(50)가 식입된 성형면에 부어 코어(40)가 제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이렇게 제작된 코어(40)는 별도의 틀 안에 보통 8개의 코어(40)가 원을 이루도록 배치한 후, 틀과 코어(40) 사이 공간(코어(40)의 성형면이 사이 공간을 향하도록(본 발명에서의 성형면이란, 그루브 커프 일체부(50)가 형성되거나, 이러한 그루브 커프 일체부(50)와 맞닿아지는 면을 의미한다)에 용해된 사전설정 금속(쇳물)을 투입하여, 틀과 코어(40) 사이에서 타이어 몰드(60)라는 주물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러한 타이어 몰드(60)로 타이어가 주조되어 생산되도록 한 것이며, 전술된 제 1, 2형틀(10, 30), 및 코어(40)들은 원형을 다수개로 쪼개 분리하여 조합되는 형태로 다수개가 제작되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방식은 널리 공지된 것이다.
즉, 제 1형틀(10)은 삽입부(20)가 파여져 형성되어지고, 이러한 제 1형틀(10)의 삽입부(20)가 있는 성형면에 부어진 러버형틀인 제 2형틀(30)에는, 파여진 삽입부(20)이 채워지며 외부로 돌출되는 삽입부(20)가 형성되어지며 제 2형틀(30)이 제작된다. 이러한 제 2형틀(30)의 삽입부(20)에 그루브 커프 일체부(50)를 꽂아 삽입한 후, 그루브 커프 일체부(50)가 꽂혀진 성형면에 코어(40)를 만들기 위한 석고를 붓게 되면, 석고에는 또다시 반대로 그루브 커프 일체부(50) 형상이 파여지며 함몰된 그루브 커프 형상부(61)가 형성되고, 이러한 함몰된 그루브 커프 형상부(61)가 형성된 코어(40)의 성형면에 다시 용해금속(ex: AC7A)을 부어 굳히게 되면, 그루브 커프 형상부(61)가 돌출되어진 타이어 몰드(60)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처음부터 용해금속을 가지고 타이어 몰드(60)를 제작하게 되면, 불량발생에 대처가 어렵기 때문에, 초기단계에서부터 제조가 용이한 재질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이에, 최종적으로 그루브 커프 형상부(61)가 돌출어진 타이어 몰드(60) 다수개를 원형으로 조합한 후, 이것을 이용하여 타이어를 주조하게 되면, 타이어의 외주연에는 타이어 몰드(60)의 그루브 커프 형상부(61)에 의해 미세한 홈(그루브(51) 및 커프(52))이 파여져 제조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제 1형틀 20: 삽입부
30: 제 2형틀 40: 코어
50: 그루브 커프 일체부 51: 그루브
52: 커프 53: 걸림체
54: 커프 피스 60: 타이어 몰드
61: 그루브 커프 형상부

Claims (3)

  1. 타이어 주조시, 눈 또는 비로 인한 타이어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어의 외주연에 사전설정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을 함께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사전설정 재질의 제 2형틀(30)에, 타이어 외주연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그루브(51)와 커프(52)의 삽입부(20)가 형성되는 단계(S10);
    타이어의 외주연방향을 향해 홈을 형성하기 위한 그루브(GROOVE)가 다수 제작되는 단계(S20);
    상호간 수평배열되는 다수의 그루브(51)와 그루브(51) 사이에 장착되어, 그루브(51) 상호간을 연결시키되, 직선형인 다수의 커프 피스(54)가 횡과 종방향을 향해 불규칙적인 격자형태를 가지며, 단일의 조립체 형태로 커프(KERF, 52)가 제조되는 단계(S30);
    상기 제 2형틀(30)의 삽입부(20)에 그루브(51)와 커프(52)가 조립된 그루브 커프 일체부(50)가 식입되도록 한 후, 제 2형틀(30)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이, 그루브 커프 일체부(50)가 식입된 성형면에 부어져, 그루브 커프 일체부(50) 형상이 파여져 형성되는 코어(40)가 제작되고, 상기 코어(40)의 성형면에 용해금속이 부어져, 그루브 커프 일체부(50) 형상으로 돌출된 그루브 커프 형상부(61)가 형성된 타이어 몰드(60)가 제작되는 단계(S40); 를 포함하며,
    상기 커프(52)를 개별적으로 제작할시, 다수의 커프 피스(54) 상호간의 연결부위의 틈새 발생 및, 일체형이 된 커프(52)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3D 프린팅에 의해 다수의 커프 피스(54)가 일체형을 이루며 커프(52)가 사전제작되어 사용되도록 하고,
    상기 그루브 커프 일체부(50)는 스틸 재질이 사용되어 알루미늄 재질의 타이어 몰드(60)와 이종소재로 사용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52) 제조를 위한 3D 프린팅은
    소정높이로 쌓아진 금속파우더의 최상면에,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커프(52) 형상으로 금속파우더를 레이져로 소결시켜 첫번째 레이어 한층을 형성한 후,
    형성된 레이어 상면에 또 다시 금속파우더를 덮어준 후, 레이져로 다시 커프(52)의 형상으로 금속파우더를 소결시켜, 두번째 레이어 한층을 형성하는 반복을 연속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커프 일체부(50)는
    상기 그루브(51) 일단에 길이방향을 향해 국부적으로 걸림체(53)가 더 돌출형성되어,
    상기 그루브(51)의 걸림체(53)와 커프(52)의 일단이, 상기 제 2형틀(30)의 삽입부(20)에 장착되면서, 그루브 커프 일체부(50)가 탈거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걸림체(53)는 삽입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폭과 너비가 다단으로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
KR1020180052980A 2018-05-09 2018-05-09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 KR20190134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980A KR20190134899A (ko) 2018-05-09 2018-05-09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980A KR20190134899A (ko) 2018-05-09 2018-05-09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899A true KR20190134899A (ko) 2019-12-05

Family

ID=6900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980A KR20190134899A (ko) 2018-05-09 2018-05-09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48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310B1 (ko) 2008-12-02 2011-02-1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가류용 그루브 및 커프 성형 블레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310B1 (ko) 2008-12-02 2011-02-1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가류용 그루브 및 커프 성형 블레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6850A1 (en) Piece for tire mold, method of producing the piece, piece-type tire mol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piece-type tire mold
JP5545749B2 (ja) タイヤ成形用金型の製造方法
EP1010510A3 (en) Metallic mold for tire cur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08290318A (zh) 轮胎硫化模具及其制造方法
CN111902298B (zh) 肋状或鳍状元件、花纹圈区段和产生花纹圈区段的方法
KR20190134899A (ko)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커프 추가형 그루브 일체타입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
CA2010804C (en) Split dies for casting small segments of tire mold
US1634106A (en) Vulcanizing mold
US1025914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olding element of a mold for vulcanizing a tire
KR20190134898A (ko) 3d 프린팅 방식에 의한 그루브와 커프 일체형 타이어 몰드 부품 제조방법
JP2007144997A (ja) タイヤ用モールドの製造方法
CN109396338B (zh) 用于悬浮破碎机下衬板铸造的模具及铸造工艺
CN103406495A (zh) 一种单螺杆压缩机螺杆转子铸造方法
JP2009255303A (ja) 成型用金型の製造方法
CN106862484B (zh) 一种加工铸造模具用的装置、方法及铸造模具
CN113226720B (zh) 用于制造轮胎模具的模具元件的方法
JP2005131685A (ja) タイヤ金型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サイプ成形刃
JP2004322137A (ja) クランクシャフトの鍛造方法および鍛造金型
JPH0214109A (ja) タイヤ加硫用モールドのリブ部に通気孔を形成する方法
JP2001150455A (ja) タイヤ加硫成形用金型
JP4487127B2 (ja) タイヤトレッド部を形成するセクタ−を製造するための石膏型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使用したセクショナル型タイヤ成形金型の製造方法
CN113557117B (zh) 轮胎成形用模具的制造方法
JP2005169929A (ja) タイヤ加硫用金型の製造方法
JP2024006314A (ja) ゴム成形用金型、それを用いた成形方法及びゴム成形品
KR100226456B1 (ko) 트리밍 금형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