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837A -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837A
KR20190133837A KR1020180058709A KR20180058709A KR20190133837A KR 20190133837 A KR20190133837 A KR 20190133837A KR 1020180058709 A KR1020180058709 A KR 1020180058709A KR 20180058709 A KR20180058709 A KR 20180058709A KR 20190133837 A KR20190133837 A KR 20190133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ils
reference line
coil componen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956B1 (ko
Inventor
이동진
안영규
윤찬
이동환
심원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8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956B1/ko
Priority to US16/175,168 priority patent/US11087919B2/en
Priority to CN201910057213.0A priority patent/CN110534315B/zh
Publication of KR2019013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Details of via holes for interconnecting th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2017/048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encapsulating core, e.g. made of resin and magnetic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제1 내지 제4 코일을 포함하며, 제1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단면 및 제2 단면, 제2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 및 제3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과 연결되는 복수의 외부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 부품{COIL COMPONENT}
본 개시는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인덕터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 소형화된 전자제품의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고전류용, 고효율, 및 고성능화된 소형 사이즈의 박형화된 파워 인덕터의 수요가 증가한다.
이와 동시에, 실장 면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지닌 어레이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하는데, 어레이는 복수의 코일부 사이의 결합 계수 혹은 상호 인덕턴스에 따라 논커플드 (Noncoupled) 혹은 커플드 (Coupled) 인덕터 형태 혹은 상기 형태의 혼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코일이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서로 자속의 영향을 받지 않는 논커플드 (Noncoupled) 인덕터 어레이 칩의 경우 각 코일의 인덕턴스를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면 실장 면적의 감소 효과와 더불어 인덕터 어레이 칩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논커플드 인덕터 어레이의 경우, 두 코일 간의 결합계수를 낮추어 상호 인덕턴스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정 결합계수 이상일 경우, 두 코일 간의 상호 인덕턴스로 인하여 미소전류영역에서의 전압 상승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고자 결합계수가 대략 0.05 이하인 것이 요구되는데, 두 코일 간의 결합계수를 낮추기 위해서는 두 코일 간의 간격을 증가시켜야 하지만, 칩 사이즈의 한계로 인해, 모든 코일 간의 결합 계수를 특정 결합계수 이하로 유사하게 낮추기 위해 두 코일 간의 간격을 증가시키기만 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08-0102993호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여러 과제 중 하나는 논커플드 인덕터의 코일 부품에서, 서로 인접하는 코일 간의 결합계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도출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제1 내지 제4 코일을 포함하며, 제1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단면 및 제2 단면, 제2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 및 제3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과 연결되는 복수의 외부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방향은 서로 수직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은 상기 제1 및 제2 코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가상의 제1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이고, 상기 제3 및 제4 코일은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의 중심에 배치되는, 가상의 제2 기준선을 기준으로, 각각 제1 및 제2 코일과 대칭이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이 상기 제1 기준선을 기준으로 거울 대칭이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의 각각의 코일 중심은 상기 제2 기준선 상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의 각각은 서로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코일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상기 제1 코일의 상부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의 상부 코일은 상기 바디의 상기 제1 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코일의 하부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의 하부 코일은 상기 바디의 상기 제2 측면으로 노출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상기 제3 코일의 상부 코일 및 상기 제4 코일의 상부 코일은 상기 바디의 제2 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3 코일의 하부 코일 및 상기 제4 코일의 하부 코일은 상기 바디의 제1 측면으로 노출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의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코일은 상기 바디의 상면 및 하면의 중심이 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이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제1 및 제2 코일은 제1 그룹이며, 제3 및 제4 코일은 제2 그룹이고, 상기 제1 그룹과 제2 그룹은 제1 및 제2 그룹 간의 중심에 대한 점대칭으로 배열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제2 및 제3 코일은 상기 제2 기준선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향하여 이격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상기 제2 코일의 상부 코일의 인출부는 하부 코일의 인출부보다 짧고, 상기 제3 코일의 상부 코일의 인출부는 하부 코일의 인출부보다 짧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상기 제1 코일의 상부 코일의 인출부는 하부 코일의 인출부와 동일하고, 상기 제4 코일의 상부 코일의 인출부는 하부 코일의 인출부와 동일하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상기 제1 및 제4 코일은 상기 제2 기준선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제2 측면 및 제1 측면을 향하여 이격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상기 제1 코일의 상부 코일의 인출부는 하부 코일의 인출부보다 길고, 상기 제4 코일의 상부 코일의 인출부는 하부 코일의 인출부보다 길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상기 바디는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을 봉합하는 봉합재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상기 제1 및 제4 코일의 각각은 코일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본 개시의 여러 효과 중 하나는 한정된 공간 내에서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이 낮은 결합계수를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 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 는 도1 의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3 은 도1 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4 는 도1 의 코일 부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5 는 도4 의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6 은 도4 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7 은 도1 의 코일 부품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8 은 도7 의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9 는 도7 의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설명하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1 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2 는 도1 을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3 은 도1 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 을 참고하면, 코일 부품 (100) 은 내부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인덕터 어레이에 해당한다. 도1 내지 도3 의 코일 부품은 총 4개의 코일을 포함하는 것인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4개 보다 더 많은 개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일 부품 (100) 은 바디 (1) 와 바디의 외면에 배치된 외부전극 (2)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 (1) 는 코일 부품의 외관을 결정하는데, 제1 방향인 길이 (L)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단면 및 제2 단면, 제2 방향인 폭 (W)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제3 방향인 두께 (T)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 단면 간의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 간의 거리에 비하여 크며, 이는 복수의 코일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구조를 형성하기 용이하게 한다.
상기 바디 (1) 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코일 (111, 112, 113, 114) 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코일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는 것은 각각의 코일의 코일 패턴의 선폭, 두께 및 권취횟수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도1 내지 도4 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코일의 귄취 횟수를 1turn 으로 표현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요구되는 인덕턴스 내지 Rdc 등의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2 를 참고하여, 상기 복수의 코일 (111, 112, 113, 114) 의 배열 구조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복수의 코일 중 바디의 제1 면에 가장 인접한 제1 코일 (111) 과 그와 인접한 제2 코일 (112) 은 서로 폭 방향과 나란한 제1 기준선 (S1) 을 기준으로 대칭인 구조를 가진다. 제2 코일은 제1 코일을 제1 기준선에 대하여 거울 대칭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제1 기준선은 폭방향과 나란하며, 제1 및 제2 코일로부터 각각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가상선이다.
다음, 제1 코일 및 제2 코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는 제3 및 제4 코일 (113, 114)이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및 제4 코일은 제1 및 제2 코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것과 동시에, 길이 방향과 나란한 제2 기준선 (S2) 을 기준으로 대칭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제2 기준선은 길이 방향과 나란하며,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가상선이다. 제1 및 제2 코일을 제1 그룹이라 하고, 제3 및 제4 코일을 제2 그룹이라고 할 때, 제1 그룹과 제2 그룹은 제1 및 제2 그룹 간의 중심 (S12) 에 대한 점대칭으로 배열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중심 (S12) 의 두께 방향의 위치는 후술하는 중심선 (S3) 상에 배치된다.
상기 배열 구조로 인해, 제1 그룹의 상부 코일은 바디의 제1 측면으로 노출되는 반면, 제2 그룹의 상부 코일은 상기 제1 측면과 마주하는 바디의 제2 측면으로 노출된다. 마찬가지로, 제1 그룹의 하부 코일은 상부 코일과 비아를 통해 연결되며, 바디의 제2 측면으로 노출되는 반면, 제2 그룹의 하부 코일은 상부 코일과 비아를 통해 연결되며, 바디의 제1 측면으로 노출된다.
한편, 제1 코일 (111) 은 바디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외부전극 (21, 22) 와 연결되고, 제2 코일 (112) 은 바디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3 및 제4 외부전극 (23, 24) 과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3 코일 및 제4 코일 (113, 114) 는 각각 바디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5 및 제6 외부전극 (25, 26) 과 제7 및 제8 외부전극 (27, 28) 과 연결된다.
상기 제1 내지 제8 외부전극은 바디의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으로부터 바디의 상면 및 하면까지 연장되어 한글 자음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알파벳 L자형 전극 또는 I자형 전극 등으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3 을 참고하면, 제1 코일 (111) 은 상부 코일 (111a) 과 하부 코일 (111b) 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코일은 비아 (v1) 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코일의 각각은 지지 부재 (13) 의 상면 및 하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비아는 상기 지지 부재를 관통하는 비아홀을 충진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 코일은 바디 두께의 1/2 가 되는 가상의 중심선 (S3) 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코일과 대칭으로 배열된다. 제2 내지 제4 코일 (112, 113, 114) 에도 동일한 내용이 적용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 (111, 112, 113, 114) 은 봉합재 (12) 에 의해 봉합되며, 상기 봉합재 (12) 는 자성 특성을 가지는 재질이며 상관없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봉합재 (12) 는 자성 입자가 수지에 분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자성 입자는 예를 들어 금속계 연질 자성 분말로서, 철 (Fe), 규소 (Si), 붕소 (B), 크롬 (Cr), 알루미늄 (Al), 구리 (Cu), 니오븀 (Nb), 및 니켈 (Ni)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일수도 있고, 열경화성 수지일 수도 있는데,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예로는, 벤조사이클로부텐(BCB), 에폭시 수지, 페놀수지, 비닐 에스테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PI), 폴리비닐 벤질 에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수지(PE),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부텐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봉합재가 실질적으로 바디의 외형을 결정하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봉합재 상에 절연 시트 등을 도포하여, 외부전극로부터 발생된 도금액의 침투나 코일 부품을 실장할 때 요구되는 솔더링의 솔더의 침투로부터 바디를 보호할 수 있다.
전술한 도1 내지 도3 의 코일 부품 (100) 의 구조를 통해, 서로 이격된 4 개의 코일을 포함하는 인덕터 어레이에서, 코일들 간의 결합 계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4 는 상기 코일 부품 (100) 에 대한 일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 (200) 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5 는 도4 의 코일 부품을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6 은 도4 의 Ⅱ-Ⅱ'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6 에 개시된 코일 부품 (200) 은 도1 내지 도3 을 통해 설명한 코일 부품 (100) 과 대비하여 제2 및 제3 코일의 배열 위치 이외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서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4 내지 도6 을 참고하면 코일 부품 (200) 은, 제1 내지 제4 코일 (2110, 2120, 2130, 2140) 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은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의 각각은 제1 및 제2 외부전극 (2210, 2220), 제3 및 제4 외부전극 (2230, 2240), 제5 및 제6 외부전극 (2250, 2260), 제7 및 제8 외부전극 (2270, 2280) 과 연결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 중 제2 및 제3 코일 (2120, 2130) 은 제2 기준선 (S22) 을 기준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어긋나도록 위치한다. 제2 코일 (2120) 은 제2 기준선으로부터 바디의 제1 측면과 가깝도록 위치되고, 제3 코일 (2130) 은 제2 기준선으로부터 바디의 제2 측면과 가깝도록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코일의 상부 코일의 인출부는 하부 코일의 인출부에 비해 짧고, 제3 코일의 상부 코일의 인출부도 하부 코일의 인출부에 비해 짧다. 이는, 제2 및 제3 코일의 중심이 제2 가상선 상에 배치되어 상부 및 하부의 인출부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코일 부품 (100) 과 구별된다.
그 결과, 동일한 코일 부품의 사이즈 내에서 상기 제2 및 제3 코일 간의 이격된 거리 (L1) 는 전술한 코일 부품 (100) 에서 보다 증가되어 코일 간 결합계수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 때, 제2 및 제3 코일 간의 이격된 정도 (L1) 는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7 은 전술한 코일 부품 (100) 에 대한 또 다른 일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 (300) 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8 은 도7 을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9 는 도7 의 Ⅲ-Ⅲ'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상기 코일 부품 (300) 은 도4 내지 도6 을 통해 설명한 코일 부품 (200) 과 대비하여 제1 및 제4 코일의 배열 위치 이외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서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8 을 참고하면, 제2 및 제3 코일 (3120, 3130) 은 길이 방향과 나란한 제2 가상선 (S32) 을 기준으로 각각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향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제1 및 제4 코일 (3110, 3140) 은 제2 가상선을 기준으로 각각 제2 측면 및 제1 측면을 향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도4 내지 도6 의 코일 부품 (200) 에서 제1 및 제4 코일은 실질적으로 제2 가상선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과 상이하게, 코일 부품 (300) 에서는 제2 및 제3 코일 (3120, 3130) 이 제2 가상선으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4 코일 (3110, 3140) 도 제2 가상선으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물론, 제1 및 제4 코일은 각각 인접하는 제2 및 제3 코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가되도록 배치된 것이다.
그 결과, 서로 인접한 코일 간의 결합 계수는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일 예"라는 표현은 서로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각 서로 다른 고유한 특징을 강조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시된 일 예들은 다른 일례의 특징과 결합되어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한 일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일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일례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일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때,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100: 코일 부품
1: 바디
2: 외부전극
21, 22, 23, 24, 25, 26, 27, 28 : 제1 내지 제8 외부전극
11: 코일
12: 바디

Claims (16)

  1. 제1 내지 제4 코일을 포함하며, 제1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단면 및 제2 단면, 제2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 및 제3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과 연결되는 복수의 외부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방향은 서로 수직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은 상기 제1 및 제2 코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가상의 제1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이고,
    상기 제3 및 제4 코일은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의 중심에 배치되는, 가상의 제2 기준선을 기준으로, 각각 제1 및 제2 코일과 대칭인, 코일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이 상기 제1 기준선을 기준으로 거울 대칭인, 코일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의 각각의 코일 중심은 상기 제2 기준선 상에 배치되는, 코일 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의 각각은 서로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의 상부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의 상부 코일은 상기 바디의 상기 제1 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코일의 하부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의 하부 코일은 상기 바디의 상기 제2 측면으로 노출되는, 코일 부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코일의 상부 코일 및 상기 제4 코일의 상부 코일은 상기 바디의 제2 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3 코일의 하부 코일 및 상기 제4 코일의 하부 코일은 상기 바디의 제1 측면으로 노출되는, 코일 부품.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의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코일은 상기 바디의 상면 및 하면의 중심이 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코일 부품.
  8.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코일은 제1 그룹이며, 제3 및 제4 코일은 제2 그룹이고, 상기 제1 그룹과 제2 그룹은 제1 및 제2 그룹 간의 중심에 대한 점대칭으로 배열되는 코일 부품.
  9. 제1항에 있어서,
    제2 및 제3 코일은 상기 제2 기준선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향하여 이격된, 코일 부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의 상부 코일의 인출부는 하부 코일의 인출부보다 짧고, 상기 제3 코일의 상부 코일의 인출부는 하부 코일의 인출부보다 짧은, 코일 부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의 상부 코일의 인출부는 하부 코일의 인출부와 동일하고, 상기 제4 코일의 상부 코일의 인출부는 하부 코일의 인출부와 동일한, 코일 부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4 코일은 상기 제2 기준선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제2 측면 및 제1 측면을 향하여 이격된, 코일 부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의 상부 코일의 인출부는 하부 코일의 인출부보다 길고, 상기 제4 코일의 상부 코일의 인출부는 하부 코일의 인출부보다 긴, 코일 부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을 봉합하는 봉합재를 더 포함하는, 코일 부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4 코일의 각각은 코일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코일 부품.

KR1020180058709A 2018-05-24 2018-05-24 코일 부품 KR102584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709A KR102584956B1 (ko) 2018-05-24 2018-05-24 코일 부품
US16/175,168 US11087919B2 (en) 2018-05-24 2018-10-30 Inductor array including coil components
CN201910057213.0A CN110534315B (zh) 2018-05-24 2019-01-22 线圈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709A KR102584956B1 (ko) 2018-05-24 2018-05-24 코일 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837A true KR20190133837A (ko) 2019-12-04
KR102584956B1 KR102584956B1 (ko) 2023-10-05

Family

ID=6861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709A KR102584956B1 (ko) 2018-05-24 2018-05-24 코일 부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87919B2 (ko)
KR (1) KR1025849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544A (ko) * 1997-07-04 1999-02-25 무라따미치히로 복합전자부품
KR20080102993A (ko) 2007-05-21 2008-11-26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공통 모드 초크 코일
KR20170004121A (ko) * 2015-07-01 2017-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20170058609A (ko) * 2015-11-19 2017-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JP2017199766A (ja) * 2016-04-26 2017-11-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コイルアレイおよび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4817A (ja) 1998-02-06 1999-08-17 Murata Mfg Co Ltd 積層型インダクタアレイ
JP2003217935A (ja) 2002-01-24 2003-07-31 Murata Mfg Co Ltd 積層インダクタアレ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544A (ko) * 1997-07-04 1999-02-25 무라따미치히로 복합전자부품
KR20080102993A (ko) 2007-05-21 2008-11-26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공통 모드 초크 코일
KR20170004121A (ko) * 2015-07-01 2017-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20170058609A (ko) * 2015-11-19 2017-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JP2017199766A (ja) * 2016-04-26 2017-11-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コイルアレイおよび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956B1 (ko) 2023-10-05
US11087919B2 (en) 2021-08-10
US20190362888A1 (en) 2019-11-28
CN110534315A (zh)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3324B2 (en) Inductor array
KR101865047B1 (ko) 적층 코일 부품
US9984807B2 (en) Coil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US9412510B2 (en) Three-phase reactor
KR102117512B1 (ko) 코일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20130111274A (ko) 적층 코일 부품
US20170194088A1 (en) Isolation Transformer Topology
US11270834B2 (en) Electronic device and the method to make the same
KR20170118897A (ko) 적층형 전자 부품
JP6407549B2 (ja) 静止誘導電器
JP2012160506A (ja) 積層型インダクタ
JP7288288B2 (ja) 磁気結合型コイル部品
JP5200494B2 (ja) カップルドインダクタ
KR20190133837A (ko) 코일 부품
JP2010062409A (ja) インダクター部品
US20210304942A1 (en) Common mode noise filter
KR102597155B1 (ko) 코일 부품
CN110534315B (zh) 线圈组件
US9111678B2 (en) Planar core-type uniform external field equalizer and fabrication
KR20230067710A (ko) 권선을 포함하는 변압기
JP2018133397A (ja) 積層コイル部品
JP6477956B1 (ja) コイル装置
JP6668113B2 (ja) インダクタ
US20230063602A1 (en) Coil component
JP6524408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