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471A - 밴드톱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밴드톱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471A
KR20190133471A KR1020180058460A KR20180058460A KR20190133471A KR 20190133471 A KR20190133471 A KR 20190133471A KR 1020180058460 A KR1020180058460 A KR 1020180058460A KR 20180058460 A KR20180058460 A KR 20180058460A KR 20190133471 A KR20190133471 A KR 20190133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orming
block
shank
primar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8408B1 (ko
Inventor
상 돈 이
Original Assignee
(주)인성다이아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성다이아몬드 filed Critical (주)인성다이아몬드
Priority to KR1020180058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40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2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5/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6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workpieces or articles from parts, e.g. to form tipp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5/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 B22F2005/001Cutting tools, earth boring or grinding tool other than table 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톱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밴드톱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는, 1차 블록(3)을 제작한 후, 상기 1차 블록(3)을 상기 생크(1)의 결합홈(1a)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열 및 가압하여, 1차 블록(3)이 소결되어 제작되는 팁(2)이 상기 생크(1)의 결합홈(1a)에 융착되도록 하여 밴드톱을 제조함으로, 밴드톱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밴드톱 제조장치{band saw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밴드톱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밴드톱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물체를 절단할 때 사용되는 밴드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립형태로 구성된 생크(1,shank)와, 상기 생크(1)의 전면에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팁(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생크(1)는 강철 등과 같이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스트립의 양단을 용접하여 링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전면에는 상기 팁(2)이 결합되는 다수개의 결합홈(1a)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팁(2)은 분말형태의 원료를 배합한 후, 프레스장치를 이용하여 가압성형하여 일정한 블록형태의 1차 블록을 제조한 후, 소결장치를 이용하여 고온 고압으로 소결하여 제작된 것으로, 상기 결합홈(1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생크(1)에 용접고정된다.
이때, 상기 팁(2)의 원료로는 구리와 주석, 코발트, 니켈, 철, 은 등이 사용된다.
따라서, 일측에 결합홈(1a)이 형성된 생크(1)를 제작하고, 용접기를 이용하여 상기 생크(1)의 결합홈(1a)에 팁(2)을 용접결합함으로써, 밴드톱을 제작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밴드톱을 제작할 경우, 먼저 프레스장치를 이용하여 분말형태의 원료를 가압하여 1차 블록을 제조하고, 별도의 소결장치를 이용하여 1차 블록을 소결하여 팁(2)을 제조한 후, 용접장치를 이용하여 팁(2)을 생크(1)의 결합홈(1a)에 용접을 해야 함으로, 작업이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시간이 많이 걸리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특허 10-1983-0002578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밴드톱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밴드톱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립형태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홈(1a)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생크(1)와, 상기 생크(1)의 결합홈(1a)에 결합된 다수개의 팁(2)으로 구성된 밴드톱을 제조하는 밴드톱 제조장치로써, 상기 팁(2)은 분말형태의 원료를 가압성형하여 일정한 블록형태의 1차 블록(3)을 제조한 후 고온 고압으로 소결하여 제작되며, 상기 밴드톱 제조장치는 본체(A)와, 상기 본체(A)에 구비된 하부성형유닛(B)과, 상기 하부성형유닛(B)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A)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강구동수단(71)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성형유닛(C)과, 상기 하부성형유닛(B)과 상부성형유닛(C)에 연결된 전기공급수단(D)과, 작업자가 조작하는 입력수단(111)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성형유닛(B)과 상부성형유닛(C) 및 전기공급수단(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A)는 하판(11)과, 상기 하판(1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승강가이드(12)와, 상기 승강가이드(12)의 상측에 고정된 상판(13)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성형유닛(B)은 상기 하판(1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하부지지대(20)와, 상기 하부지지대(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팁(2)에 대응되도록 측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하부성형공(3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하부성형대(30)와, 상기 하부지지대(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성형공(32a)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하부가압핀(5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성형유닛(C)은 상기 승강가이드(1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71)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지지대(70)와, 상기 상부지지대(70)의 하측에 구비되어 실린더기구(90)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팁(2)에 대응되도록 측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상부성형공(8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부성형대(80)와, 상기 상부지지대(7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성형공(82a)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상부가압핀(100)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공급수단(D)은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수단(E)은 작업자가 상기 결합홈(1a)이 상기 하부성형공(32a)과 일치되도록 상기 하부성형대(30)에 생크(1)를 배치하고 상기 하부성형공(32a)에 상기 1차 블록(3)을 삽입한 후 상기 입력수단(111)을 조작하여 작업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상부성형유닛(C)을 하강시켜 상기 1차 블록(3)이 상기 하부성형공(32a)과 상부성형공(82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에 의해 가압되도록 한 후, 상기 전기공급수단(D)을 구동시켜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을 통해 상기 1차 블록(3)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1차 블록(3)에 인가된 전원에 의해 1차 블록(3)이 가열되어 소결됨과 동시에 상기 생크(1)에 융착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성형대(30)와 상부성형대(80)를 상호 이격되도록 승강시켜 상기 1차 블록(3)이 소결되어 완성된 팁(2)이 상기 하부성형공(32a)과 상부성형공(82a)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상기 상부성형유닛(C)을 상승시킴으로써, 밴드톱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톱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성형대(30)는 상기 하부지지대(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1a)이 형성된 하부지지패널(31)과, 상기 하부성형공(32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1a)의 상측을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하부지지패널(31)의 상면에 고정된 하부성형블록(32)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성형대(80)는 상기 상부지지대(70)의 하측에 구비되어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81a)이 형성된 상부지지패널(81)과, 상기 상부성형공(82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81a)의 하측을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상부지지패널(81)의 하측면에 고정된 상부성형블록(82)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31a,81a)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성형블록(32)과 상부성형블록(82)의 측방향 폭은 상기 관통공(31a,81a)의 측방향 폭에 비해 좁게 구성되어 상기 관통공(31a,81a)의 양측에 개구부(33,8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1차 블록(3)이 가열되어 소결될 때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으로 전달된 열이 상기 개구부(33,8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톱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성형블록(32)의 후측 상면과 상기 상부성형블록(82)의 후측 하부면에는 상기 생크(1)가 삽입되는 오목부(32b,8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톱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이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성형유닛(B)에는 상기 하부가압핀(50)의 상면에서 상기 하부지지대(20)의 내부로 연장된 가이드공(6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61)에 구비되어 각각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하부성형공(32a)의 내부에 상기 1차 블록(3)을 삽입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E)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삽입감지수단(62)과, 상기 하부성형블록(32)의 상면에 상기 가이드공(6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부성형블록(32)에 올려진 생크(1)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생크감지수단(6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E)에는 경보수단(112)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감지수단(62)은 상기 가이드공(6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핀(62a)과, 상기 승강핀(62a)에 연결되어 승강핀(62a)의 상단이 상기 하부가압핀(5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62b)와, 상기 가이드공(61)의 내부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상기 하부성형공(32a)의 내부에 1차 블록(3)을 삽입하여 상기 승강핀(62a)이 하강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E)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하강감지센서(62c)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삽입감지수단(62)과 생크감지수단(6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생크감지수단(63)에 의해 생크(1)가 감지된 생크감지수단(63)의 전방에 위치된 하부성형공(32a)에 1차 블록(3)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111)을 조작하여 작업명령을 입력할 경우, 상기 상부성형유닛(C)을 하강시키지 않고 상기 경보수단(112)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톱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는, 1차 블록(3)을 제작한 후, 상기 1차 블록(3)을 상기 생크(1)의 결합홈(1a)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열 및 가압하여, 1차 블록(3)이 소결되어 제작되는 팁(2)이 상기 생크(1)의 결합홈(1a)에 융착되도록 하여 밴드톱을 제조함으로, 밴드톱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밴드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F-F선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도 3의 G-G선 단면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의 하부성형유닛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의 하부성형유닛과 상부성형유닛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의 하부성형유닛과 상부성형유닛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의 하부성형유닛과 상부성형유닛의 작용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의 하부성형유닛과 상부성형유닛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의 하부성형블록과 상부성형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15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2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밴드톱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립형태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홈(1a)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생크(1)와, 상기 생크(1)의 결합홈(1a)에 결합된 다수개의 팁(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팁(2)은 분말형태의 원료를 가압성형하여 일정한 블록형태의 1차 블록(3)을 제조한 후, 후술하는 밴드톱 제조장치을 이용하여 상기 생크(1)의 결합홈(1a)에 일체로 융착되도록 고온 고압으로 소결하여 제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는 본체(A)와, 상기 본체(A)에 구비된 하부성형유닛(B)과, 상기 하부성형유닛(B)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A)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강구동수단(71)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성형유닛(C)과, 상기 하부성형유닛(B)과 상부성형유닛(C)에 연결된 전기공급수단(D)과, 작업자가 조작하는 입력수단(111)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성형유닛(B)과 상부성형유닛(C) 및 전기공급수단(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A)는 하판(11)과, 상기 하판(1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승강가이드(12)와, 상기 승강가이드(12)의 상측에 고정된 상판(1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성형유닛(B)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판(1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하부지지대(20)와, 상기 하부지지대(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팁(2)에 대응되도록 측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하부성형공(3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하부성형대(30)와, 상기 하부지지대(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성형공(32a)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하부가압핀(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대(20)는 사각의 패널형상으로 구성되어 둘레부가 상기 승강가이드(1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하측에 구비된 유압실린더(21)에 의해 승강되어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성형대(30)는 상기 하부지지대(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1a)이 형성된 하부지지패널(31)과, 상기 하부성형공(32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1a)의 상측을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하부지지패널(31)의 상면에 고정된 하부성형블록(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패널(31)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양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31b)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기구(40)는 상기 하부지지대(20)에 고정되며 피스톤로드가 상기 연장부(31b)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하부지지패널(31)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31a)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성형블록(32)은 전후방향의 폭이 상기 관통공(31a)의 전후방향의 폭에 비해 넓고, 측방향의 폭은 상기 관통공(31a)의 측방향 폭에 비해 좁은 사각형으로 구성되어, 하부성형블록(32)을 상기 관통공(31a)의 중앙부를 덮도록 상기 하부지지패널(31)에 결합하면, 상기 관통공(31a)의 양측에 개구부(33)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성형공(32a)에 삽입된 1차 블록(3)을 가압, 가열할 때 발생된 열이 상기 개구부(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성형공(32a)은 상기 1차 블록(3)을 소결하여 제작할 팁(2)의 형상에 대응되는 평단면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가압핀(50)은 상기 하부성형공(32a)에 대응되는 평단면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하단은 상기 하부지지대(2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하부성형공(32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기구(40)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성형대(30)를 상승시키면, 도 11 및 도 12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가압핀(50)의 상단이 상기 하부성형공(32a)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성형공(32a)의 내부에 상기 1차 블록(3)을 삽입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1차 블록(3)을 가압, 가열하여 팁(2)을 완성한 후, 상기 실린더기구(40)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성형대(30)를 하강시키면, 도 11 및 도 12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가압핀(50)의 상단이 상기 하부성형공(32a)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성형공(32a)의 내부에서 완성된 팁(2)이 하부성형공(32a)의 상측으로 이탈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성형유닛(C)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가이드(1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71)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지지대(70)와, 상기 상부지지대(70)의 하측에 구비되어 실린더기구(90)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팁(2)에 대응되도록 측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상부성형공(8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부성형대(80)와, 상기 상부지지대(7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성형공(82a)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상부가압핀(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대(70)는 사각의 패널형상으로 구성되어 둘레부가 상기 승강가이드(1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71)은 상기 상판(13)에 고정되며 피스톤로드가 상기 상부지지대(70)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상부지지대(70)가 승강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상부성형대(80)는 상기 상부지지대(70)의 하측에 구비되어 실린더기구(90)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81a)이 형성된 상부지지패널(81)과, 상기 상부성형공(82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81a)의 상측을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상부지지패널(81)의 하측면에 고정된 상부성형블록(8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패널(81)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양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81b)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기구(90)는 상기 상부지지대(70)에 고정되며 피스톤로드가 상기 연장부(81b)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상부지지패널(81)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81a)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성형블록(82)은 전후방향의 폭이 상기 관통공(81a)의 전후방향의 폭에 비해 넓고, 측방향의 폭은 상기 관통공(81a)의 측방향 폭에 비해 좁은 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상부성형블록(82)을 상기 관통공(81a)의 중앙부를 덮도록 상기 상부지지패널(81)에 결합하면, 상기 관통공(81a)의 양측에 개구부(83)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성형공(82a)에 삽입된 1차 블록(3)을 가압, 가열할 때 발생된 열이 상기 개구부(8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성형공(82a)은 상기 1차 블록(3)을 소결하여 제작할 팁(2)의 형상에 대응되는 평단면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가압핀(100)은 상기 상부성형공(82a)에 대응되는 평단면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단은 상기 상부지지대(70)의 하측면에 고정되고 하측단은 상기 상부성형공(82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기구(90)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성형대(80)를 하강시키면, 도 11 및 도 12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가압핀(100)의 하단이 상기 상부성형공(82a)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성형공(82a)의 내부에 상기 1차 블록(3)을 삽입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1차 블록(3)을 가압, 가열하여 팁(2)을 완성한 후, 상기 실린더기구(90)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성형대(80)를 상승시키면, 도 11 및 도 12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가압핀(100)의 하단이 상기 상부성형공(82a)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성형공(82a)의 내부에서 완성된 팁(2)이 상부성형공(82a)의 하측으로 이탈된다.
이때,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성형블록(32)의 후측 상면과 상기 상부성형블록(82)의 후측 하부면에는 상기 생크(1)가 삽입되는 오목부(32b,82b)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성형공(32a)에 1차 블록(3)을 삽입하고, 상기 하부성형블록(32)의 오목부(32b,82b)에 생크(1)를 배치한 후, 상기 상부성형유닛(C)을 하강시키면, 상기 하부성형블록(32)과 상부성형블록(82)의 전방 상면은 상호 밀착되고, 상기 오목부(32b,82b)는 상기 생크(1)의 상하면을 가압하여 생크(1)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전기공급수단(D)은 탄성이 있는 도전체재질의 통전부재(121)를 통해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가압핀(50) 또는 상부가압핀(100)에 고압의 전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E)은 작업자가 상기 하부성형유닛(B)의 하부성형공(32a)에 상기 1차 블록(3)을 삽입하고, 상기 1차 블록(3)이 상기 결합홈(1a)에 삽입되도록 상기 생크(1)를 하부성형대(30)의 상면에 배치한 후, 상기 입력수단(111)을 조작하여 작업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71)과 하부성형유닛(B)과 상부성형유닛(C) 및 전기공급수단(D)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하부성형공(32a)에 삽입된 1차 블록(3)을 가압, 가열하여, 1차 블록(3)이 상기 생크(1)의 결합홈(1a)에 융착고정됨과 동시에 소결되도록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평상시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성형유닛(C)은 상승되고, 상기 하부성형대(30)와 상부성형대(80)는 상호 인접방향으로 승강되어,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이 상기 하부성형공(32a)과 상부성형공(82a)의 내부로 후퇴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1a)이 상기 하부성형공(32a)에 일치되도록 상기 하부성형블록(32)의 오목부(32b)에 상기 생크(1)를 배치하고, 상기 하부성형블록(32)의 하부성형공(32a)에 각각 1개씩 상기 1차 블록(3)을 삽입한 한 후, 상기 제어수단(E)의 입력수단(111)을 조작하여 작업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E)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71)을 신장시켜 상기 상부성형유닛(C)이 하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부성형유닛(C)이 하강되면, 상기 하부성형블록(32)과 상부성형블록(82)이 상호 맞물리면서 상기 생크(1)를 가압고정하며, 이때, 상기 1차 블록(3)의 상하단은 상기 하부성형공(32a)과 상부성형공(82a)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에 의해 상하면이 가압되어 팁(2)의 형태로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전기공급수단(D)을 구동시켜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을 통해 상기 1차 블록(3)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1차 블록(3)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면, 전원이 1차 블록(3)을 통과하면서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고, 이와 같이 발생된 열과 압력에 의해 1차 블록(3)의 둘레부가 상기 생크(1)의 결합홈(1a)에 융착됨과 동시에 소결되어, 상기 생크(1)에 결합된 팁(2)이 제조된다.
이때, 상기 1차 블록(3)이 가열됨에 따라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이 가열되며,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의 열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33,8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이 과도하게 가열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실린더기구(40,90)를 제어하여,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성형대(30)와 상부성형대(80)를 상호 이격되도록 승강시켜, 상기 1차 블록(3)이 소결되어 완성된 팁(2)이 상기 하부성형공(32a)과 상부성형공(82a)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다시 상기 승강구동수단(71)을 축소시켜, 도 2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성형유닛(C)이 상승되도록 하다.
그리고, 상부성형유닛(C)이 완전히 상승되면, 상기 제어수단(E)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성형대(30)와 상부성형대(80)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생크(1)를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팁(2)이 고정되지 않은 결합홈(1a)이 하부성형공(32a)에 일치되도록 배치한 후,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생크(1)의 결합홈(1a)에 팁(2)이 1개씩 고정결합된 밴드톱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밴드톱 제조장치는, 상기 팁(2)은 분말형태의 원료를 가압성형하여 일정한 블록형태의 1차 블록(3)을 제조한 후 고온 고압으로 소결하여 제작되며, 상기 밴드톱 제조장치는 본체(A)와, 상기 본체(A)에 구비된 하부성형유닛(B)과, 상기 하부성형유닛(B)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A)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강구동수단(71)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성형유닛(C)과, 상기 하부성형유닛(B)과 상부성형유닛(C)에 연결된 전기공급수단(D)과, 작업자가 조작하는 입력수단(111)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성형유닛(B)과 상부성형유닛(C) 및 전기공급수단(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A)는 하판(11)과, 상기 하판(1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승강가이드(12)와, 상기 승강가이드(12)의 상측에 고정된 상판(13)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성형유닛(B)은 상기 하판(1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하부지지대(20)와, 상기 하부지지대(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팁(2)에 대응되도록 측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하부성형공(3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하부성형대(30)와, 상기 하부지지대(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성형공(32a)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하부가압핀(50)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성형유닛(C)은 상기 승강가이드(1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71)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지지대(70)와, 상기 상부지지대(70)의 하측에 구비되어 실린더기구(90)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팁(2)에 대응되도록 측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상부성형공(8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부성형대(80)와, 상기 상부지지대(7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성형공(82a)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상부가압핀(1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기공급수단(D)은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수단(E)은 작업자가 상기 결합홈(1a)이 상기 하부성형공(32a)과 일치되도록 상기 하부성형대(30)에 생크(1)를 배치하고 상기 하부성형공(32a)에 상기 1차 블록(3)을 삽입한 후 상기 입력수단(111)을 조작하여 작업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상부성형유닛(C)을 하강시켜 상기 1차 블록(3)이 상기 하부성형공(32a)과 상부성형공(82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에 의해 가압되도록 한 후, 상기 전기공급수단(D)을 구동시켜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을 통해 상기 1차 블록(3)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1차 블록(3)에 인가된 전원에 의해 1차 블록(3)이 가열되어 소결됨과 동시에 상기 생크(1)에 융착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성형대(30)와 상부성형대(80)를 상호 이격되도록 승강시켜 상기 1차 블록(3)이 소결되어 완성된 팁(2)이 상기 하부성형공(32a)과 상부성형공(82a)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상기 상부성형유닛(C)을 상승시킴으로써, 밴드톱을 제조함으로, 밴드톱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밴드톱은 먼저 프레스장치를 이용하여 분말형태의 원료를 가압하여 1차 블록(3)을 제조하고, 별도의 소결장치를 이용하여 1차 블록(3)을 소결하여 팁(2)을 제조한 후, 용접장치를 이용하여 팁(2)을 생크(1)의 결합홈(1a)에 용접하여 제작됨으로, 작업이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시간이 많이 걸리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밴드톱 제조장치는 1차 블록(3)을 제작한 후, 상기 1차 블록(3)을 상기 생크(1)의 결합홈(1a)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열 및 가압하여, 1차 블록(3)이 소결되어 제작되는 팁(2)이 상기 생크(1)의 결합홈(1a)에 융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1차 블록(3)을 소결하는 과정과, 팁(2)을 생크(1)의 결합홈(1a)에 용접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밴드톱을 제조하는 데 걸리는 작업공정과, 작업시간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성형대(30)는 상기 하부지지대(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1a)이 형성된 하부지지패널(31)과, 상기 하부성형공(32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1a)의 상측을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하부지지패널(31)의 상면에 고정된 하부성형블록(32)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성형대(80)는 상기 상부지지대(70)의 하측에 구비되어 실린더기구(90)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81a)이 형성된 상부지지패널(81)과, 상기 상부성형공(82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81a)의 하측을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상부지지패널(81)의 하측면에 고정된 상부성형블록(82)으로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31a,81a)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성형블록(32)과 상부성형블록(82)의 측방향 폭은 상기 관통공(31a,81a)의 측방향 폭에 비해 좁게 구성되어 상기 관통공(31a,81a)의 양측에 개구부(33,8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1차 블록(3)이 가열되어 소결될 때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으로 전달된 열이 상기 개구부(33,8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이 과도하게 가열되어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1차 블록(3)을 소결하여 팁(2)을 제조할 때는, 상기 상부성형유닛(C)이 하강되어, 1차 블록(3)을 가압하고, 상기 전기공급수단(D)을 이용하여 1차 블록(3)에 전원을 인가하여 1차 블록(3)이 가열되어 소결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은 1차 블록(3)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1차 블록(3)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가열된 1차 블록(3)의 열이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으로 전달되며, 이때,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으로 전달된 열이 신속하게 배출되지 못할 경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으로 전달된 열에 의해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에 열부하가 축적되며, 작업이 반복될 경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관통공(31a,81a)의 양측에 개구부(33,83)가 형성되어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으로 전달된 열이 상기 개구부(33,83)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어,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이 빠르게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에 열부하가 축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성형블록(32)의 후측 상면과 상기 상부성형블록(82)의 후측 하부면에는 상기 생크(1)가 삽입되는 오목부(32b,82b)가 형성됨으로, 상부성형유닛(C)이 하강되었을 때, 상기 하부성형블록(32)과 상부성형블록(82)에 형성된 하부성형공(32a)과 상부성형공(82a)이 정확히 연결되면서 생크(1)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4 내지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하부성형유닛(B)에는 상기 하부가압핀(50)의 상면에서 상기 하부지지대(20)의 내부로 연장된 가이드공(6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공(61)에 구비되어 각각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하부성형공(32a)의 내부에 상기 1차 블록(3)을 삽입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E)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삽입감지수단(62)과, 상기 하부성형블록(32)의 상면에 상기 가이드공(6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부성형블록(32)에 올려진 생크(1)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생크감지수단(63)이 더 구비된다.
상기 삽입감지수단(62)은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공(6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핀(62a)과, 상기 승강핀(62a)에 연결되어 승강핀(62a)의 상단이 상기 하부가압핀(5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62b)와, 상기 가이드공(61)의 내부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상기 하부성형공(32a)의 내부에 1차 블록(3)을 삽입하여 상기 승강핀(62a)이 하강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E)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하강감지센서(62c)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62b)는 상기 승강핀(62a)의 둘레부에 결합되어 승강핀(62a)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하강감지센서(62c)는 상기 가이드공(61)의 내부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핀(62a)이 하강되면 이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하부성형공(32a)의 내부에 1차 블록(3)을 삽입하면, 도 28 및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가압핀(50)의 상측으로 돌출된 승강핀(62a)의 상단이 하측으로 가압되어 하강되며, 이때, 상기 하강감지센서(62c)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E)으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어수단(E)이 복수개의 하부성형공(32a) 중에서, 어느 하부성형공(32a)의 내부에 1차 블록(3)이 삽입되고, 어느 하부성형공(32a)의 내부에 1차 블록(3)이 삽입되지 않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생크감지수단(63)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성형블록(32)의 오목부(32b) 상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푸쉬버튼이 구비된 푸쉬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가압핀(5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오목부(32b)에 생크(1)를 올려놓으면,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돌출된 푸쉬버튼이 가압되어 생크(1)가 올려진 것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수단(E)은 경보수단(112)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감지수단(62)과 생크감지수단(6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생크감지수단(63)에 의해 생크(1)가 감지된 생크감지수단(63)의 전방에 위치된 하부성형공(32a)에 1차 블록(3)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111)을 조작하여 작업명령을 입력할 경우, 상기 상부성형유닛(C)을 하강시키지 않고 상기 경보수단(112)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성형공(32a)에 1차 블록(3)을 삽입하고, 상기 1차 블록(3)을 가열, 가압하여 제조된 팁(2)이 생크(1)에 융착되도록 할 때는, 상황에 따라,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생크(1)가 상기 오목부(32b) 전체를 덮거나,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32b)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생크(1)가 오목부(32b) 전체를 덮은 경우, 복수개로 구성된 하부성형공(32a) 모두에 1차 블록(3)을 1개씩 삽입하여야 하며,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크(1)가 오목부(32b)의 일부를 덮은 경우, 생크(1)가 덮은 부분의 전방에 있는 하부성형공(32a)에만 1차 블록(3)을 1개씩 삽입하여야 한다.
한편, 이러한 작업을 하는 중에, 작업자가 실수로 1차 블록(3)을 삽입하지 않은 하부성형공(32a)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오목부(32b)에 생크(1)를 배치하면,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생크감지수단(6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생크(1)가 오목부(32b)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었는지, 아니면, 생크(1)가 오목부(32b)의 일부만을 덮도록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작업자가 상기 하부성형공(32a)에 1차 블록(3)을 삽입하면, 상기 삽입감지수단(62)의 신호를 수신하여, 하부성형공(32a)에 1차 블록(3)이 삽입된 것을 감지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실수로 1차 블록(3)이 삽입되어야 할 하부성형공(32a)에 1차 블록(3)을 삽입하지 않고 상기 입력수단(111)을 조작하여 작업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상부성형유닛(C)을 하강시키지 않고 상기 경보수단(112)을 구동시켜 경보를 출력함으로써, 작업자에게 1차 블록(3)이 삽입되지 않은 하부성형공(32a)이 있음을 알려준다.
따라서, 작업자가 실수로 1차 블록(3)이 삽입되어야 할 하부성형공(32a)에 1차 블록(3)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상부성형유닛(C)이 하강되어, 1차 블록(3)을 소결함으로써, 생크(1)의 결합홈(1a)에 팁(2)이 결합되지 않은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본체 B. 하부성형유닛
C. 상부성형유닛 D. 전기공급수단
E. 제어수단

Claims (4)

  1. 측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립형태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홈(1a)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생크(1)와, 상기 생크(1)의 결합홈(1a)에 결합된 다수개의 팁(2)으로 구성된 밴드톱을 제조하는 밴드톱 제조장치로써,
    상기 팁(2)은 분말형태의 원료를 가압성형하여 일정한 블록형태의 1차 블록(3)을 제조한 후 고온 고압으로 소결하여 제작되며,
    상기 밴드톱 제조장치는
    본체(A)와,
    상기 본체(A)에 구비된 하부성형유닛(B)과,
    상기 하부성형유닛(B)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A)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강구동수단(71)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성형유닛(C)과,
    상기 하부성형유닛(B)과 상부성형유닛(C)에 연결된 전기공급수단(D)과,
    작업자가 조작하는 입력수단(111)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성형유닛(B)과 상부성형유닛(C) 및 전기공급수단(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A)는
    하판(11)과,
    상기 하판(1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승강가이드(12)와,
    상기 승강가이드(12)의 상측에 고정된 상판(13)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성형유닛(B)은
    상기 하판(1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하부지지대(20)와,
    상기 하부지지대(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팁(2)에 대응되도록 측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하부성형공(3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하부성형대(30)와,
    상기 하부지지대(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성형공(32a)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하부가압핀(5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성형유닛(C)은
    상기 승강가이드(1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71)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지지대(70)와,
    상기 상부지지대(70)의 하측에 구비되어 실린더기구(90)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팁(2)에 대응되도록 측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상부성형공(8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부성형대(80)와,
    상기 상부지지대(7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성형공(82a)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상부가압핀(100)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공급수단(D)은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수단(E)은 작업자가 상기 결합홈(1a)이 상기 하부성형공(32a)과 일치되도록 상기 하부성형대(30)에 생크(1)를 배치하고 상기 하부성형공(32a)에 상기 1차 블록(3)을 삽입한 후 상기 입력수단(111)을 조작하여 작업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상부성형유닛(C)을 하강시켜 상기 1차 블록(3)이 상기 하부성형공(32a)과 상부성형공(82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에 의해 가압되도록 한 후, 상기 전기공급수단(D)을 구동시켜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을 통해 상기 1차 블록(3)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1차 블록(3)에 인가된 전원에 의해 1차 블록(3)이 가열되어 소결됨과 동시에 상기 생크(1)에 융착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성형대(30)와 상부성형대(80)를 상호 이격되도록 승강시켜 상기 1차 블록(3)이 소결되어 완성된 팁(2)이 상기 하부성형공(32a)과 상부성형공(82a)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상기 상부성형유닛(C)을 상승시킴으로써, 밴드톱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톱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대(30)는
    상기 하부지지대(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1a)이 형성된 하부지지패널(31)과,
    상기 하부성형공(32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1a)의 상측을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하부지지패널(31)의 상면에 고정된 하부성형블록(32)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성형대(80)는
    상기 상부지지대(70)의 하측에 구비되어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81a)이 형성된 상부지지패널(81)과,
    상기 상부성형공(82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81a)의 하측을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상부지지패널(81)의 하측면에 고정된 상부성형블록(82)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31a,81a)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성형블록(32)과 상부성형블록(82)의 측방향 폭은 상기 관통공(31a,81a)의 측방향 폭에 비해 좁게 구성되어 상기 관통공(31a,81a)의 양측에 개구부(33,8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1차 블록(3)이 가열되어 소결될 때 상기 하부가압핀(50)과 상부가압핀(100)으로 전달된 열이 상기 개구부(33,8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톱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블록(32)의 후측 상면과 상기 상부성형블록(82)의 후측 하부면에는 상기 생크(1)가 삽입되는 오목부(32b,8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톱 제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유닛(B)에는 상기 하부가압핀(50)의 상면에서 상기 하부지지대(20)의 내부로 연장된 가이드공(6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61)에 구비되어 각각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하부성형공(32a)의 내부에 상기 1차 블록(3)을 삽입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E)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삽입감지수단(62)과,
    상기 하부성형블록(32)의 상면에 상기 가이드공(6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부성형블록(32)에 올려진 생크(1)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생크감지수단(6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E)에는 경보수단(112)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감지수단(62)은
    상기 가이드공(6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핀(62a)과,
    상기 승강핀(62a)에 연결되어 승강핀(62a)의 상단이 상기 하부가압핀(5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62b)와,
    상기 가이드공(61)의 내부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상기 하부성형공(32a)의 내부에 1차 블록(3)을 삽입하여 상기 승강핀(62a)이 하강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E)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하강감지센서(62c)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삽입감지수단(62)과 생크감지수단(6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생크감지수단(63)에 의해 생크(1)가 감지된 생크감지수단(63)의 전방에 위치된 하부성형공(32a)에 1차 블록(3)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111)을 조작하여 작업명령을 입력할 경우, 상기 상부성형유닛(C)을 하강시키지 않고 상기 경보수단(112)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톱 제조장치.
KR1020180058460A 2018-05-23 2018-05-23 밴드톱 제조장치 KR102068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460A KR102068408B1 (ko) 2018-05-23 2018-05-23 밴드톱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460A KR102068408B1 (ko) 2018-05-23 2018-05-23 밴드톱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471A true KR20190133471A (ko) 2019-12-03
KR102068408B1 KR102068408B1 (ko) 2020-01-20

Family

ID=6883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460A KR102068408B1 (ko) 2018-05-23 2018-05-23 밴드톱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40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3308A (en) * 1965-12-30 1967-09-26 Fessel Paul Cutting and grinding devices
JPS6238088B2 (ko) * 1983-09-22 1987-08-15 Sanwa Daiyamondo Kogyo Kk
JPH08168920A (ja) * 1994-12-14 1996-07-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バンドソーロボット
JP2007144528A (ja) * 2005-11-24 2007-06-14 Shin Nippon Koki Co Ltd バンドソー型切断装置
KR100857424B1 (ko) * 2007-05-02 2008-09-08 주식회사골드라인 스틸밴드 절단장치
JP2013158853A (ja) * 2012-02-02 2013-08-19 Yamabiko Corp バンドソー装置
JP2016008347A (ja) * 2014-06-26 2016-01-18 株式会社デンソー 焼結拡散接合部材の製造方法及び焼結拡散接合部材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3308A (en) * 1965-12-30 1967-09-26 Fessel Paul Cutting and grinding devices
JPS6238088B2 (ko) * 1983-09-22 1987-08-15 Sanwa Daiyamondo Kogyo Kk
JPH08168920A (ja) * 1994-12-14 1996-07-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バンドソーロボット
JP2007144528A (ja) * 2005-11-24 2007-06-14 Shin Nippon Koki Co Ltd バンドソー型切断装置
KR100857424B1 (ko) * 2007-05-02 2008-09-08 주식회사골드라인 스틸밴드 절단장치
JP2013158853A (ja) * 2012-02-02 2013-08-19 Yamabiko Corp バンドソー装置
JP2016008347A (ja) * 2014-06-26 2016-01-18 株式会社デンソー 焼結拡散接合部材の製造方法及び焼結拡散接合部材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408B1 (ko)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63888A (ja) 板金成形用油圧プレス機械
KR101134942B1 (ko) 클린칭 동시성형용 프레스 금형
KR100654318B1 (ko) 펀치를 일체로 구비한 프레스 금형
KR102068408B1 (ko) 밴드톱 제조장치
KR102080988B1 (ko) 밴드톱 제조방법
CN211128457U (zh) 一种高效的加热加压设备
CN107552784B (zh) 粉末冶金液压机
KR101932550B1 (ko) 패널 접착용 스탬핑 머신
KR102121664B1 (ko) 전철 창틀 성형방법
CN216263162U (zh) 一种机械防压安全机构
KR0124755Y1 (ko) 반도체 팩키지 성형용 몰드프레스
CN202726364U (zh) 模块式快换焊接工装
KR101562868B1 (ko) 가압구동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프레싱장치
KR102252426B1 (ko) 슬리브가공장치
CN109513797B (zh) 压制成型方法和压制成型装置
KR102337777B1 (ko) 히팅지그조립체를 이용한 패널 접착용 프레싱 장치
CN213288362U (zh) 一种热成型模具
KR100551304B1 (ko) 프레스용 패널 검출장치
CN106563735A (zh) 一种适用于汽车零部件制造的冲铆系统及其操作方法
KR102427264B1 (ko) 히팅지그조립체를 이용한 패널 접착용 프레싱 장치
CN117161152B (zh) 一种带有纠偏检测的智能全自动液压精整设备
CN216183035U (zh) 一种加热保压的电感制造模具
JP2020001052A (ja) プレス成形異常検出方法
CN203737846U (zh) 一种具有光电控制装置的冲压模具
CN203751106U (zh) 冲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