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452A -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 Google Patents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452A
KR20190133452A KR1020180058411A KR20180058411A KR20190133452A KR 20190133452 A KR20190133452 A KR 20190133452A KR 1020180058411 A KR1020180058411 A KR 1020180058411A KR 20180058411 A KR20180058411 A KR 20180058411A KR 20190133452 A KR20190133452 A KR 20190133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opening
nozzle
nozzle structure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1926B1 (ko
Inventor
홍재의
박서윤
Original Assignee
홍재의
박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재의, 박서윤 filed Critical 홍재의
Priority to KR1020180058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92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4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급수호스를 통해 저압으로 급수 공급이 이루어지더라도 효율적인 분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 공급이 이루어지는 호스(300)의 분기관(200)에 연결 장착이 이루어지는 노즐 구조체(100)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200)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노즐본체(10)와; 상기 노즐본체(10)의 일단부에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캡(20)과; 상기 노즐본체(10)에 형성된 내부 통공(11)을 개폐 단속하기 위해 구성되는 개폐구(30)와; 상기 체결캡(20)에 형성된 토출구(21)를 통한 분무량 조절을 위해 구성되는 체크변(40)과; 상기 개폐구(30)와 체크변(40) 사이를 상호 탄성 지지하며 구비되는 탄성스프링(5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NOZZLE ASSEMBLY FOR WATER MIST SPRAYER}
본 발명은 노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작물, 양계장, 돈사, 축사, 건물 외벽이나 도로 등에 설치되어 물을 안개 형태로 분무시키는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노즐을 통해 물 등의 액체를 분무시키는 분무장치는 주로 식물의 성장을 위한 농작물 재배용이나 양계장이나 돈사 등 축사의 온도 저하용 또는 여름철 건물의 외벽이나 도로 등의 열섬 온도를 낮추기 위한 용도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각종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하우스에는 식물성장을 위해 농작물에 물이나 약제 등의 액체를 살포하는 분무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식물의 성장을 위한 분무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의 일 예로는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9357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건물의 외벽 상부에는 여름철과 같이 온도의 상승이 높은 시기에 온도의 상승을 방지함과 동시에 온도를 낮추기 위해 외벽에 물을 안개 형태로 분사하는 문무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물의 외벽 온도를 낮추기 위한 분무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의 일 예로는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4106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분무장치는 물을 공급하는 호스와, 상기 호스에 연결되는 다수의 티(T)형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에 각각 연결되어 물을 안개 형태로 분무시키는 다수의 노즐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노즐을 통해 분무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급수되는 물이 일정압력 이상으로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수압이 약한 지역에서는 별도의 고압 펌프를 추가로 연결하여 설치가 이루어져야 함으로 설치 환경에 따른 사용에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9357호(공개일자 : 2011.06.23) (선행기술 00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4106호(등록일자 : 2006.12.1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분사노즐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압으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더라도 안개형태로의 분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물 공급이 이루어지는 호스의 분기관에 연결 장착이 이루어지는 노즐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일단부에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캡과; 상기 노즐본체에 형성된 내부 통공을 개폐 단속하기 위해 구성되는 개폐구와; 상기 체결캡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한 분무량 조절을 위해 구성되는 체크변과; 상기 개폐구와 체크변 사이를 상호 탄성 지지하며 구비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분무장치용 노즐구조체는, 급수호스를 통해 저압으로 급수 공급이 이루어지더라도 효율적인 분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분기관의 출수구와의 결합이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누구나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무장치용 노즐 구조체 분리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노즐 구조체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노즐 구조체 분리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노즐 구조체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노즐 구조체의 분기관 연결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 노즐 구조체의 분기관 연결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노즐 구조체의 분기관 연결부 상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폐구 부품 단면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노즐 구조체(100)는 물 공급이 이루어지는 호스(300)의 분기관(200)에 연결 장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분기관(200)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노즐본체(10)와, 노즐본체(10)의 일단부에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캡(20)과, 노즐본체(10)에 형성된 내부 통공(11)을 개폐 단속하기 위해 구성되는 탄성재질의 개폐구(30)와, 체결캡(20)에 형성된 토출구(21)를 통한 분무량 조절을 위해 구성되는 체크변(40)과, 개폐구(30)와 체크변(40) 사이를 상호 탄성 지지하며 구비되는 탄성스프링(50)으로 구성된다.
이때, 내부 통공(11)에는 경사형태의 테이퍼면(11a)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30)의 일측은 반원형상의 곡면형태를 이루며, 상기 개폐구(30) 타측에는 탄성스프링(50)의 일측에 삽입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삽입돌부(31)가 구비된다.
또한, 체크변(40)은 탄성스프링(50)에 삽입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삽입돌부(41)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42)을 형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42) 구조를 이룸으로서 내부 수압의 작용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됨으로서 체크변(40)의 개폐구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캡(20)에는 체크변(40)에 의한 단속이 이루어지는 분무 토출공(71)이 형성된 필터막(70)이 구비된다. 미설명 부호 60은 패킹제를 나타낸다.
한편, 노즐본체(10)의 외벽면에는 걸림홈(1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2)과 대응되는 분기관(200)에는 원터치 커플링(210)이 구성되며, 상기 원터치 커플링(210) 내부에는 걸림홈(12)에 걸려질 수 있는 걸림구(211)가 구비되고, 상기 원터치 커플링(210) 일측에는 걸림구(211)의 걸림상태 해지를 위한 해지버튼(220)이 연결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물안개 분무장치용 노즐 구조체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노즐 구조체(100)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분기관(200)에 원터치 커플링(210) 부위에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때에는 노즐본체(10)를 원터치 커플링(210) 부위에 삽입하게 되면, 내부의 걸림구(211)에 걸림홈(12)이 걸려짐으로서 체결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스(300)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면 분기관(200)을 통해 급수된 물이 노즐본체(10)로 유입된 후 체결캡(20)에 체결된 필터막(70)을 통해 안개형태로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이때 노즐본체(10) 내부에서는 개폐구(30)와 체크변(40)이 상호 탄성스프링(50)에 의해 탄성 지지를 받는 가운데 급수되는 물의 단속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체결캡(20)이 노즐본체(10)와 나사 체결이 이루어진 상태를 이룸으로서 회전 조절을 통해 개폐구(30)와 체크변(40) 상호간의 이격 간격 조절을 통해 급수 압력에 따른 분무량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분무 토출과정에서는 내부 압력에 의해 체크변(40)의 경사면(42)에 수압이 작용되어짐으로서 분무 토출공(71)을 막고 있던 체크변(40)이 미세하게 상승되어짐으로서 작은 입자형태로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노즐 구조체(100)는 내부에서 개폐구(30)와 체크변(40)이 탄성스프링(50)에 의해 탄성 지지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체결캡(20)의 나사 치합 조절을 통해 내부 부품간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저압의 수압에서도 안개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노즐 구조체(100)를 교체 또는 분리코자 하는 경우에는 해지버튼(220)을 상승시켜서 걸림구(211)에 의한 걸림홈(12) 걸림상태를 해제시킴으로서 신속한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개폐구(30)는 내부가 빈공간을 이루도록 성형 제작되되, 내부 공간에는 크기를 달리하는 2개의 탄성볼(32,33)이 상부와 하부에 상호 일정 이격 간격을 유지하여 구비되며, 상기 탄성볼(32,33)은 상호간에 코일스프링(34)에 의해 탄성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상부 탄성볼(32)과 하부 탄성볼(33)이 코일스프링(34)에 의해 연결되어 상부와 하부에서 개별적인 탄성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서, 개폐구(30)의 탄성지지력이 더욱 증대되어질 수 있게 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노즐 구조체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노즐본체 11 : 내부통공
20 : 체결캡 21 : 토출구
30 : 개폐구 31 : 삽입돌부
40 : 체크변 41 : 삽입돌부
42 : 경사면 50 : 탄성스프링
60 : 패킹제 70 : 필터막
100 : 노즐 구조체 200 : 분기관
210 : 원터치 커플링 211 : 걸림구
220 : 해지버튼 300 : 호스

Claims (6)

  1. 물 공급이 이루어지는 호스(300)의 분기관(200)에 연결 장착이 이루어지는 노즐 구조체(100)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200)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노즐본체(10)와;
    상기 노즐본체(10)의 일단부에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캡(20)과;
    상기 노즐본체(10)에 형성된 내부 통공(11)을 개폐 단속하기 위해 구성되는 탄성재질의 개폐구(30)와;
    상기 체결캡(20)에 형성된 토출구(21)를 통한 분무량 조절을 위해 구성되는 체크변(40)과;
    상기 개폐구(30)와 체크변(40) 사이를 상호 탄성 지지하며 구비되는 탄성스프링(50);
    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공(11)에는 경사형태의 테이퍼면(11a)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30)의 일측은 반원형상의 곡면형태를 이루며, 상기 개폐구(30) 타측에는 탄성스프링(50)의 일측에 삽입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삽입돌부(3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크변(40)은 탄성스프링(50)에 삽입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삽입돌부(41)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4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캡(20)에는 체크변(40)에 의한 단속이 이루어지는 분무 토출공(71)이 형성된 필터막(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10)의 외벽면에는 걸림홈(1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2)과 대응되는 분기관(200)에는 원터치 커플링(210)이 구성되며, 상기 원터치 커플링(210) 내부에는 걸림홈(12)에 걸려질 수 있는 걸림구(211)가 구비되고, 상기 원터치 커플링(210) 일측에는 걸림구(211)의 걸림상태 해지를 위한 해지버튼(220)이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30)는 내부가 빈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크기를 달리하는 2개의 탄성볼(32,33)이 상부와 하부에 상호 일정 이격 간격을 유지하여 구비되며, 상기 탄성볼(32,33)은 상호간에 코일스프링(34)에 의해 탄성 지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KR1020180058411A 2018-05-23 2018-05-23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KR102091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411A KR102091926B1 (ko) 2018-05-23 2018-05-23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411A KR102091926B1 (ko) 2018-05-23 2018-05-23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452A true KR20190133452A (ko) 2019-12-03
KR102091926B1 KR102091926B1 (ko) 2020-03-20

Family

ID=6883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411A KR102091926B1 (ko) 2018-05-23 2018-05-23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9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377B1 (ko) 2020-03-17 2020-09-02 홍재의 디지털 안개노즐 구조체
KR20220096649A (ko) * 2020-12-31 2022-07-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맨홀 뚜껑에 장착 가능한 악취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560B1 (ko) 2020-12-18 2021-04-01 홍재의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안개노즐 구조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126Y1 (ko) * 1989-02-28 1991-10-12 윤호상 원터치식 유체커플링
JPH06507110A (ja) * 1990-12-04 1994-08-11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逆流を防止するためのノズルアセンブリ
KR200434106Y1 (ko) 2006-09-21 2006-12-15 김복환 먼지 제거 분무장치
KR100957840B1 (ko) * 2009-09-10 2010-05-14 플러스파운틴(주) 분수 노즐 어셈블리
KR20110069357A (ko) 2009-12-17 2011-06-23 이규용 하우스용 무인방제기구
JP5118410B2 (ja) * 2007-08-02 2013-01-16 株式会社いけうち チェックバルブ及び該チェックバルブを備えたスプレーノズル
WO2016067212A1 (en) * 2014-10-29 2016-05-06 Maurizio Grande Misting nozzl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126Y1 (ko) * 1989-02-28 1991-10-12 윤호상 원터치식 유체커플링
JPH06507110A (ja) * 1990-12-04 1994-08-11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逆流を防止するためのノズルアセンブリ
KR200434106Y1 (ko) 2006-09-21 2006-12-15 김복환 먼지 제거 분무장치
JP5118410B2 (ja) * 2007-08-02 2013-01-16 株式会社いけうち チェックバルブ及び該チェックバルブを備えたスプレーノズル
KR100957840B1 (ko) * 2009-09-10 2010-05-14 플러스파운틴(주) 분수 노즐 어셈블리
KR20110069357A (ko) 2009-12-17 2011-06-23 이규용 하우스용 무인방제기구
WO2016067212A1 (en) * 2014-10-29 2016-05-06 Maurizio Grande Misting nozz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377B1 (ko) 2020-03-17 2020-09-02 홍재의 디지털 안개노즐 구조체
KR20220096649A (ko) * 2020-12-31 2022-07-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맨홀 뚜껑에 장착 가능한 악취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926B1 (ko)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7276B2 (en) Ultra low flow spray head
KR20190133452A (ko)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KR101041168B1 (ko) 저압분무장치
KR102087803B1 (ko) 과수목 무인 방제용 설치구조물 및 그 설치구조물을 이용한 방제방법
KR101952517B1 (ko) 물안개 분무 장치
US10183302B2 (en) Micro fogging device and method
US6732947B2 (en) Apparatus for intermittent liquid dispersal
US20210291203A1 (en) Digital mist nozzle structure
KR101681970B1 (ko) 하우스용 미스트 분무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하우스 재배작물의 생육환경 조절장치
KR101096464B1 (ko) 농사용 살수방제 회전노즐
KR101917984B1 (ko) 농업용 액체 분무 노즐
KR102026680B1 (ko) 송수관 조임연결장치
KR20170067245A (ko)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CN107889727A (zh) 一种用于中药灌溉的喷淋系统
KR101837381B1 (ko)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
KR200398810Y1 (ko) 식물재배용 자동급수장치
KR200289164Y1 (ko)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KR101715805B1 (ko) 스프링클러 배관용 퇴수밸브
KR101053837B1 (ko) 농사용 살수방제 노즐
KR101833296B1 (ko) 센서탑재형 회전분무노즐
KR102220305B1 (ko) 분무 라인용 드레인 노즐
KR20150090809A (ko) 저압용 낙수 방지기
KR200418909Y1 (ko) 약액 분사 장치
JP3200702B2 (ja) 散布装置
KR102556635B1 (ko) 돈사용 플라잉 급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