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680B1 - 송수관 조임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송수관 조임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680B1
KR102026680B1 KR1020180141366A KR20180141366A KR102026680B1 KR 102026680 B1 KR102026680 B1 KR 102026680B1 KR 1020180141366 A KR1020180141366 A KR 1020180141366A KR 20180141366 A KR20180141366 A KR 20180141366A KR 102026680 B1 KR102026680 B1 KR 102026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ightening
cap
longitudinal direction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미나
박대한
Original Assignee
문미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미나 filed Critical 문미나
Priority to KR1020180141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6Apparatus or processes for fitting the drippers to the hoses or the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external piece comprising segments pressed against the hose by wedge shap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 F16L37/2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 F16L37/25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the male part having lugs on its periphery penetrating in the corresponding slots provided in the fema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 Y02A40/23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수관 조임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수액이 유동하는 송수관을 바디부재에 연결시 간단한 조립동작만으로 이탈이 방지되면서 꺽임이 방지되는 구조로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스프링클러로부터 연장된 연질배관을 상기 바디부재에 연결시 조인트유닛을 통해 신속하고 간단히 수밀성이 보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송수관 조임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 양측에 연질의 송수관(10)이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중앙부에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형 연장연결구(110)가 마련된 바디부재(100)과, 스프링클러로부터 연장된 연질배관(20)의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장연결구(110)에 끼움장착되는 조인트유닛(2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인트유닛(200)은, 상기 연장연결구(110)에 형성된 돌출키(111)가 삽입되어 회전시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단(212)이 마련된 하방결합부(210)와, 상기 하방결합부(2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에 사용자의 손가락 파지를 위한 파지날개(221)가 형성된 파지연장부(220)와, 상기 파지연장부(2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형 캡연결구(231) 및 상기 캡연결구(231)의 단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 내주면에 가압날(234)이 형성된 다수개의 물림가압구(233)로 이루어진 조임압박부(230)와,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내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파지연장부(220)의 내측과 연통되는 배관장착부(240)와,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캡연결구(231)에 나사결합시 상기 배관장착부(240)의 길이방향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물림가압구(233)의 일측이 상기 연질배관(20)의 외주면에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임압박부(230)에 나사결합되는 조임장착캡(2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수관 조임연결장치{TIGHTENING TYPE CONNECTION APPARATUS OF WATER SUPPLY TUBE}
본 발명은 송수관 조임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수액이 유동하는 송수관을 바디부재에 연결시 간단한 조립동작만으로 이탈이 방지되면서 꺽임이 방지되는 구조로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스프링클러로부터 연장된 연질배관을 상기 바디부재에 연결시 조인트유닛을 통해 신속하고 간단히 수밀성이 보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송수관 조임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2015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의 농산물 시설재배 면적은 약90,500ha(약 2억7천만평)이며, 농가경영주 50%이상이 65세 이상의 고령농이다. 특히, 시설재배 특성상 농작물 생산활동, 시설 관리측면에서 고령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애로사항을 많이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농작물 재배시 용수나 약액이 필수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온실이나 넓은 경작지에서는 용수나 약액의 공급작업을 대부분 작업자가 직접 수행하고 있으며, 일부는 다수개의 스프링클러에 의해 공급하도록 이루어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농작물 재배시 용수나 약액을 공급하는 스프링클러는 저수조와, 저수조에 연결된 주관(主管)과, 주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지관(支管)과, 지관의 말단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구비한다. 관개수는 저수조로부터 주관 및 지관을 통하여 스프링클러 헤드로 이송되며, 스프링클러 헤드는 선택적으로 지표면 위로 노출된 상태에서 관개수를 식물에 분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프링클러는 상기 주관과 지관 등 다수의 배관을 연결유닛을 매개로 연결하는 작업에 많은 인원과 경비가 소요됨은 물론 장기간 스프링클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유닛에 연결된 배관의 연결부위가 꺽이거나 접혀 용수나 약액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배관의 연결부위가 상기 연결유닛으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1242호의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방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수관을 바디부재에 연결시 간단한 조립동작만으로 이탈이 방지되면서 꺽임이 방지되는 구조로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스프링클러로부터 연장된 연질배관을 상기 바디부재에 연결시 조인트유닛을 통해 신속하고 간단히 수밀성이 보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송수관 조임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 양측에 연질의 송수관(10)이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중앙부에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형 연장연결구(110)가 마련된 바디부재(100)과, 스프링클러로부터 연장된 연질배관(20)의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장연결구(110)에 끼움장착되는 조인트유닛(2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장연결구(110)에는 길이방향 일측단에서 상기 바디부재(100) 방향으로 외향경사지는 외향경사면(112)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재(10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송수관(10)이 인입되는 중공형 링크프레스부(120)와, 상기 바디부재(100)의 내측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송수관(10)이 끼워지는 배관인서트(130)와,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에 나사결합되는 캡부재(140)가 설치되며, 상기 링크프레스부(120)는 상기 캡부재(140)의 나사결합을 위해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링크구(121)와 상기 나사링크구(121)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캡부재(140)의 결합시 상기 송수관(10)의 외주연을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길이방향 일측 내측면에 상기 송수관(10)에 가압되는 걸림날(123)이 형성된 다수개의 프레스편(1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관인서트부(130)는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배관밀착구(131)와 상기 배관밀착구(13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연장구(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관밀착구(131)와 가이드연장구(133) 사이에는 상기 배관밀착구(131)에서 상기 가이드연장구(133) 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슬로프가이드면(13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연장구(133)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내향 경사지는 내향슬로프면(134)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유닛(200)은, 상기 연장연결구(110)에 형성된 돌출키(111)가 삽입되어 회전시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단(212)이 마련된 하방결합부(210)와, 상기 하방결합부(2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에 사용자의 손가락 파지를 위한 파지날개(221)가 형성된 파지연장부(220)와, 상기 파지연장부(2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형 캡연결구(231) 및 상기 캡연결구(231)의 단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 내주면에 가압날(234)이 형성된 다수개의 물림가압구(233)로 이루어진 조임압박부(230)와,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내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파지연장부(220)의 내측과 연통되는 배관장착부(240)와,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캡연결구(231)에 나사결합시 상기 배관장착부(240)의 길이방향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물림가압구(233)의 일측이 상기 연질배관(20)의 외주면에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임압박부(230)에 나사결합되는 조임장착캡(2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임압박부(230)는 상기 파지연장부(2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형 캡연결구(231) 및 상기 캡연결구(231)의 단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 내주면에 가압날(234)이 형성된 다수개의 물림가압구(233)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관장착부(240)는,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배관끼움구(241)와, 상기 배관끼움구(241)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단차져 상기 배관끼움구(24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외측으로 연장되되 길이방향 일측단에 내향경사지는 내향면(244)이 형성된 배관가이드구(2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임장착캡(250)의 외주연에는, 조임공구의 걸림을 위한 다수개의 공구걸림턱(253)이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기 공구걸림턱(253) 사이에는 조임공구의 걸림을 위한 컷팅걸이홈(25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연결구(110)에는, 길이방향 일측단에서 상기 바디부재(100) 방향으로 외향경사지는 외향경사면(1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캡연결구(231)에는 상기 조임장착캡(250)의 나사결합시,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관장착부(240)에 끼워진 상기 연질배관(20)을 가압고정하는 가압걸림부(300)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걸림부(300)는 상기 캡연결구(231)에 형성된 관통설치공(232)에 장착되는 탄성편(310)과, 상기 탄성편(3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질배관(20)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이동구(320)로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살수액이 유동하는 송수관을 바디부재에 연결시 간단한 조립동작만으로 이탈이 방지되면서 꺽임이 방지되는 구조로 손쉽게 연결할 수 있고, 스프링클러로부터 연장된 연질배관을 상기 바디부재에 연결시 조인트유닛을 통해 신속하고 간단히 수밀성이 보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살수액의 고수압 및 작업자의 신체 걸림에 의한 견인력 발생시 상기 조인트유닛에 연결된 연질배관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유닛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유닛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걸림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걸림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걸림부에 의해 연질배관이 걸림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수관 조임연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유닛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유닛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걸림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걸림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걸림부에 의해 연질배관이 걸림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수관조임연결장치는 길이방향 양측에 연질의 송수관(10)이 연결되되 중앙부에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형 연장연결구(110)가 마련된 바디부재(100)와, 스프링클러로부터 연장된 연질배관(20)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장연결구(110)에 연결되는 조인트유닛(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재(100)는 길이방향 양측에 송수관(10)이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중앙부에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형 연장연결구(110)가 마련된다.
즉, 상기 바디부재(100)는 전체적으로 "T" 향상을 갖는 것으로, 길이방향 중앙부에 상기 조인트유닛(200)의 연결을 위한 상기 연장연결구(110)가 일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부는 살수액의 유동을 위해 중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연결구(110)에는 길이방향 일측단에서 상기 바디부재(100) 방향으로 외향경사지는 외향경사면(112)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연장연결구(110)을 상기 조인트유닛(200)의 내부로 삽입하여 끼움결합시 상기 외향경사면(112)이 상기 조인트유닛(200)의 내주면에 가압밀착되어 수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부재(10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송수관(10)이 인입되는 중공형 링크프레스부(120)와, 상기 바디부재(100)의 내측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송수관(10)이 끼워지는 배관인서트부(130)와,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에 나사결합되는 캡부재(140)가 설치된다.
상기 링크프레스부(120)는 상기 캡부재(140)의 나사결합을 위해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링크구(121)와 상기 나사링크구(121)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캡부재(140)의 결합시 상기 송수관(10)의 외주연을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길이방향 일측 내측면에 상기 송수관(10)에 가압되는 걸림날(123)이 형성된 다수개의 프레스편(12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관인서트부(130)는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배관밀착구(131)와 상기 배관밀착구(13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연장구(1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관밀착구(131)와 가이드연장구(133) 사이에는 상기 배관밀착구(131)에서 상기 가이드연장구(133) 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슬로프가이드면(13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연장구(133)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내향 경사지는 내향슬로프면(13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송수관(10)의 일측을 상기 가이드연장구(133) 방향으로 끼움결합하게 되면 상기 내향슬로프면(134)으로 인해 상기 송수관(10)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연장구(133)의 단부에 걸림되지 않은 상태로 슬라이딩 끼움결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슬로프가이드면(132)으로 인해 상기 송수관(10)이 일정직경 강제 확장된 상태로 상기 배관밀착구(131) 방향으로 슬라이딩 끼움결합됨에 따라 상기 송수관(10)의 내주연이 상기 배관밀착구(131)의 외주연에 강한 조임력으로 면밀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캡부재(140)를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캡부재(140)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프레스편(122)이 상기 송수관(10)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프레스편(122)의 걸림날(123)이 상기 송수관(10)의 외주연에 가압되어 물게 됨에 따라 상기 송수관(10) 내부를 유동하는 살수액의 강한 수압에도 상기 송수관(1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캡부재(140)가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에 나사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인서트부(130)의 가이드연장구(133)가 상기 캡부재(140)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송수관(10)의 내부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송수관(10)의 꺽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더욱이 상기 내향슬로프면(134)으로 인해 상기 송수관(10)의 내주연에 상기 가이드연장구(133)의 단부 모서리부분이 밀착되지 않아 상기 송수관(10)의 꺽임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캡부재(140)는 상기 배관인서트부(130)의 길이방향 일측 즉 상기 가이드연장구(133)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의 나사링크구(121)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캡부재(140)의 내주연에는 상기 나사링크구(121)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대응연결섹터(141)와 상기 프레스편(122)을 가압하도록 내향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가압경사면(142)이 연이어 형성된다.
즉, 상기 캡부재(140)를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에 나사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경사면(142)에 의해 상기 프레스편(122)이 상기 송수관(10)의 외주연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프레스편(122)에 형성된 걸림날(123)이 상기 송수관(10)의 외주연에 물림되어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캡부재(140)의 외주연에는 조임공구의 걸림을 위한 돌출걸림턱(146)과 다수개의 컷팅홈(147)으로 이루어진 공구걸림부(145)가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상기 캡부재(140)를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에 힘껏 나사결합할 수 있어 상기 송수관(10)의 고정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인트유닛(200)은 스프링클러로부터 연장된 연질배관(20)의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장연결구(110)에 끼움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조인트유닛(200)을 매개로 상기 스프링클러에 연결된 연질배관(20)을 상기 바디부재(100)에 현장에서 수밀성을 갖는 상태로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누구나 손쉽게 현장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조인트유닛(200)은 상기 연장연결구(110)에 끼움결합되는 하방결합부(210)와 파지연장부(220), 상기 파지연장부(2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조임압박부(230),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내측에 설치디는 배관장착부(240), 상기 조임압박부(230)에 나사결합되는 조임장착캡(2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방결합부(210)는 상기 연장연결구(110)에 형성된 돌출키(111)가 삽입되어 회전시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단(212)이 마련된 것으로, 상기 하방결합부(210)의 하측 입구부(211)에는 호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상기 걸림단(212)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212) 사이에는 상기 돌출키(1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간(213)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하방결합부(210)의 내측에는 상기 삽입공간(213)으로 삽입된 상기 돌출키(11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제한턱(214)이 상기 걸림단(212)과 연결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연장연결구(110)에 형성된 상기 돌출키(111)를 상기 삽입공간(213)을 통해 상기 하방결합부(210)의 내부로 인입한 후, 상기 조인트유닛(200)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돌출키(111)가 상기 제한턱(214)에 걸리면서 회전이 제한되게 되고, 상기 걸림단(212)에 상기 돌출키(111)가 걸림됨에 따라 상기 조인트유닛(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파지연장부(220)는 상기 하방결합부(2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에 사용자의 손가락 파지를 위한 파지날개(221)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파지연장부(220)의 내경은 상기 연장연결구(11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기 연장연결구(110)가 상기 파지연장부(220)의 내부로 강제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장연결구(110)에 형성된 외향경사면(112)이 상기 파지연장부(220)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수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임압박부(230)는 상기 파지연장부(2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형 캡연결구(231) 및 상기 캡연결구(231)의 단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 내주면에 가압날(234)이 형성된 다수개의 물림가압구(23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캡연결구(231)의 외주연에는 후술되는 상기 조임장착캡(250)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물림가압구(233)는 상기 조임장착캡(250)의 나사결합시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연질배관(20)의 외주연을 물어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관장착부(240)는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내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파지연장부(220)의 내측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관장착부(240)는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배관끼움구(241)와, 상기 배관끼움구(241)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단차져 상기 배관끼움구(24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외측으로 연장되되 길이방향 일측단에 내향경사지는 내향면(244)이 형성된 배관가이드구(24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배관장착부(240)에 상기 연질배관(20)을 끼움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조임장착캡(250)을 상기 조임압박부(230)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물림가압구(233)가 상기 조임장착캡(250)에 의해 상기 연질배관(20)의 외주연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가압날(234)이 상기 연질배관(20)의 외주연을 물게 되어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질배관(20)의 일측을 상기 배관장착부(240)의 배관가이드구(243) 방향으로 끼움결합하게 되면 상기 내향면(244)으로 인해 상기 연질배관(20)의 단부가 상기 배관가이드구(243)의 단부에 걸림되지 않은 상태로 슬라이딩 끼움결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배관가이드구(243)의 일측이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외측으로 노출됨에 따라 상기 연질배관(20)의 꺽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관끼움구(241)와 배관가이드구(243)가 상호 단차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배관가이드구(243)에서 상기 배관끼움구(241)로 슬라이딩된 상기 연질배관(20)이 강제 확장된 상태로 상기 배관끼움구(241)의 외주연에 강한 조임력으로 면밀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배관장착부(240)가 상기 배관끼움구(241)와 배관가이드구(243)로 구성되어 상기 연질배관(20)의 끼움결합시 강한 조임력에 의한 면밀한 밀착설치가 가능하게 되고, 상기 배관가이드구(243)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단에 형성된 상기 내향면(244)으로 인해 상기 연질배관(20)의 꺽임을 방지하면서 연질배관의 손상이나 찢김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원활한 살수액의 유동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임장착캡(250)은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캡연결구(231)에 나사결합시 상기 배관장착부(240)의 길이방향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물림가압구(233)의 일측이 상기 연질배관(20)의 외주면에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임압박부(230)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기 조임장착캡(250)의 내주연에는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캡연결구(231)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연결섹터(251)와, 상기 물림가압구(233)를 가압하도록 내향라운드지는 단턱면(252)이 상기 조임장착캡(25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이어 형성된다.
즉, 상기 조임장착캡(250)을 상기 조임압박부(230)에 나사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턱면(252)에 의해 상기 물림가압구(233)가 상기 연질배관(20)의 외주연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가압날(234)이 상기 연질배관(20)의 외주연에 가압밀착되어 견고한 물림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임장착캡(250)의 외주연에는 조임공구의 걸림을 위한 다수개의 공구걸림턱(253)이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기 공구걸림턱(253) 사이에는 조임공구의 걸림을 위한 컷팅걸이홈(254)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조임장착캡(250)을 상기 조임압박부(230)에 결합시 조임공구를 이용하여 힘껏 나사 결합하게 되면 상기 가압날(234)의 물림 상태가 더욱 견고해져 고수압에 의한 상기 연질배관(20)의 분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캡연결구(231)에는 상기 조임장착캡(250)의 나사결합시,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관장착부(240)에 끼워진 상기 연질배관(20)을 가압고정하는 가압걸림부(3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가압걸림부(300)는 상기 캡연결구(231)에 형성된 관통설치공(232)에 장착되는 탄성편(310)과, 상기 탄성편(3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질배관(20)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이동구(3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이동구(320)는 상부면이 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측단면상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작아지도록 이루어지는 역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조임장착캡(250)을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캡연결구(231)에 나사결합하게 되면, 상기 조임장착캡(250)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상기 가압이동구(320)가 상기 연질배관(20) 방향으로 일정길이 하강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가압이동구(320)의 하측단부가 상기 배관장착부(240)에 끼움결합된 상기 연질배관(20)의 외주연에 가압되어 상기 연질배관(20)의 내부를 유동하는 살수액의 고수압이나 작업자의 신체가 상기 연질배관(20)에 걸려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견인력에 의해 상기 연질배관(20)이 조인트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관장착부(240)의 길이방향 타측 외주연 즉 상기 배관끼움구(241)의 외주연에는 상기 연질배관(20)의 끝단을 벌릴 수 있도록 하는 확개구(242)가 형성되어, 상기 연질배관(20)의 수평구간(21)과 확개구간(22) 사이가 상기 가압이동구(32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연질배관(20)의 분리를 더욱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수관조임연결장치는 살수액이 유동하는 송수관(10)을 바디부재(100)에 연결시 간단한 조립동작만으로 이탈이 방지되면서 꺽임이 방지되는 구조로 손쉽게 연결할 수 있고, 스프링클러로부터 연장된 연질배관(20)을 상기 바디부재(100)에 연결시 상기 조인트유닛(200)을 통해 신속하고 간단히 수밀성이 보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고, 살수액의 고수압 및 작업자의 신체 걸림에 의한 견인력 발생시 상기 조인트유닛(200)에 연결된 연질배관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송수관 20: 연질배관
100: 바디부재 110: 연장연결구
120: 링크프레스부 130: 배관인서트부
140: 캡부재 200: 조인트유닛
210: 하방결합부 220: 파지연장부
230: 조임압박부 240: 배관장착부
250: 조임장착캡 300: 가압걸림부
310: 탄성편 320: 가압이동구

Claims (5)

  1. 길이방향 양측에 연질의 송수관(10)이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중앙부에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형 연장연결구(110)가 마련된 바디부재(100)과, 스프링클러로부터 연장된 연질배관(20)의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장연결구(110)에 끼움장착되는 조인트유닛(2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장연결구(110)에는 길이방향 일측단에서 상기 바디부재(100) 방향으로 외향경사지는 외향경사면(112)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재(10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송수관(10)이 인입되는 중공형 링크프레스부(120)와, 상기 바디부재(100)의 내측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송수관(10)이 끼워지는 배관인서트(130)와,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에 나사결합되는 캡부재(140)가 설치되며,
    상기 링크프레스부(120)는 상기 캡부재(140)의 나사결합을 위해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링크구(121)와 상기 나사링크구(121)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캡부재(140)의 결합시 상기 송수관(10)의 외주연을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길이방향 일측 내측면에 상기 송수관(10)에 가압되는 걸림날(123)이 형성된 다수개의 프레스편(1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관인서트부(130)는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배관밀착구(131)와 상기 배관밀착구(13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링크프레스부(1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연장구(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관밀착구(131)와 가이드연장구(133) 사이에는 상기 배관밀착구(131)에서 상기 가이드연장구(133) 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슬로프가이드면(13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연장구(133)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내향 경사지는 내향슬로프면(134)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유닛(200)은, 상기 연장연결구(110)에 형성된 돌출키(111)가 삽입되어 회전시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단(212)이 마련된 하방결합부(210)와, 상기 하방결합부(2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에 사용자의 손가락 파지를 위한 파지날개(221)가 형성된 파지연장부(220)와, 상기 파지연장부(2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형 캡연결구(231) 및 상기 캡연결구(231)의 단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 내주면에 가압날(234)이 형성된 다수개의 물림가압구(233)로 이루어진 조임압박부(230)와,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내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파지연장부(220)의 내측과 연통되는 배관장착부(240)와,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캡연결구(231)에 나사결합시 상기 배관장착부(240)의 길이방향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물림가압구(233)의 일측이 상기 연질배관(20)의 외주면에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임압박부(230)에 나사결합되는 조임장착캡(2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임압박부(230)는 상기 파지연장부(2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형 캡연결구(231) 및 상기 캡연결구(231)의 단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 내주면에 가압날(234)이 형성된 다수개의 물림가압구(233)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관장착부(240)는,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배관끼움구(241)와, 상기 배관끼움구(241)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단차져 상기 배관끼움구(24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외측으로 연장되되 길이방향 일측단에 내향경사지는 내향면(244)이 형성된 배관가이드구(243)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임장착캡(250)의 외주연에는, 조임공구의 걸림을 위한 다수개의 공구걸림턱(253)이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기 공구걸림턱(253) 사이에는 조임공구의 걸림을 위한 컷팅걸이홈(254)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연결구(110)에는, 길이방향 일측단에서 상기 바디부재(100) 방향으로 외향경사지는 외향경사면(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조임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캡연결구(231)에는 상기 조임장착캡(250)의 나사결합시, 상기 조임압박부(23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관장착부(240)에 끼워진 상기 연질배관(20)을 가압고정하는 가압걸림부(300)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걸림부(300)는 상기 캡연결구(231)에 형성된 관통설치공(232)에 장착되는 탄성편(310)과, 상기 탄성편(3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질배관(20)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이동구(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조임연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41366A 2018-11-16 2018-11-16 송수관 조임연결장치 KR102026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366A KR102026680B1 (ko) 2018-11-16 2018-11-16 송수관 조임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366A KR102026680B1 (ko) 2018-11-16 2018-11-16 송수관 조임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680B1 true KR102026680B1 (ko) 2019-09-30

Family

ID=6809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366A KR102026680B1 (ko) 2018-11-16 2018-11-16 송수관 조임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6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892B1 (ko) * 2020-04-02 2020-08-12 이상복 T형 분기연결관
KR20210002179U (ko) * 2020-03-23 2021-10-01 주식회사 탐진 건물 매설용 접지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354B1 (ko) * 2008-01-30 2011-04-05 조구호 농업용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구
KR20140034449A (ko) * 2012-09-12 2014-03-20 태광에이텍 주식회사 밸브 등의 연결관에 점적호스의 밀봉 결속구조
KR20140004509U (ko) * 2014-06-03 2014-07-30 서한호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354B1 (ko) * 2008-01-30 2011-04-05 조구호 농업용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구
KR20140034449A (ko) * 2012-09-12 2014-03-20 태광에이텍 주식회사 밸브 등의 연결관에 점적호스의 밀봉 결속구조
KR20140004509U (ko) * 2014-06-03 2014-07-30 서한호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179U (ko) * 2020-03-23 2021-10-01 주식회사 탐진 건물 매설용 접지봉
KR200494852Y1 (ko) * 2020-03-23 2022-01-11 주식회사 탐진 건물 매설용 접지봉
KR102143892B1 (ko) * 2020-04-02 2020-08-12 이상복 T형 분기연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3019A (en) Quick-connect fittings for a trickle type irrigation system
US6901698B2 (en) Irrigation device and system
KR102026680B1 (ko) 송수관 조임연결장치
US3957292A (en) Quick-connect fittings for a trickle type irrigation system
US4294470A (en) In-line tube junctions
US4456180A (en) Spray nozzle assemblies
US6053427A (en) Sprayer nozzle fluid supply system
US20090051159A1 (en) Fluid fitting for an agricultural drip irrigation system
KR102031959B1 (ko)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200476176Y1 (ko) 자동방제기의 노즐관 각도조정장치
KR101705686B1 (ko) 온실 및 축사용 무인자동방제시스템
US6745985B2 (en) Hose sling for irrigation system
KR20130063883A (ko) 농업용 자동 이동식 급수장치
KR102153316B1 (ko) 농업용 고압호스 연결 분기관과 분기밸브의 이탈방지 결합구조
KR101052269B1 (ko) 스프링클러
JP4359937B2 (ja) 園芸用散水装置の水分岐具および園芸用散水装置
KR101946487B1 (ko) 농업용 스프링클러의 배관시스템
CN107912286B (zh) 一种用于农业灌溉的滴水灌溉装置及其灌溉方法
KR200297750Y1 (ko) 점적호스용 수압 조절밸브
KR101551471B1 (ko) 저압용 낙수 방지기
KR200188526Y1 (ko) 농업용 분기관연결구
KR200282125Y1 (ko) 농업용 급수관 분기구
KR100933591B1 (ko) 농사용 살수방제용 노즐
KR200368066Y1 (ko) 농업용 분기호스의 연결장치
KR20120008743U (ko) 농작물 재배용 물분사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지면 고정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