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959B1 -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959B1
KR102031959B1 KR1020180141362A KR20180141362A KR102031959B1 KR 102031959 B1 KR102031959 B1 KR 102031959B1 KR 1020180141362 A KR1020180141362 A KR 1020180141362A KR 20180141362 A KR20180141362 A KR 20180141362A KR 102031959 B1 KR102031959 B1 KR 102031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nnection
sprinkler
valve mounting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미나
박대한
Original Assignee
문미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81714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3195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문미나 filed Critical 문미나
Priority to KR1020180141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external piece comprising segments pressed against the hose by wedge 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를 매개로 스프링클러유닛과 연질배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연질배관의 연결시 꺽임현상을 방지하여 배관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농작지에서 다수의 스프링클러유닛을 설치하여 살수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살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스프링클러유닛의 발생시 살수작업의 중단없이 문제가 되는 스프링클러유닛만을 현장에서 즉시 교체하거나 보수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작지의 살수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유닛(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내부에 살수액의 유동을 위한 유로부(15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속연결바디(100); 상기 결속연결바디(100)의 유로부(150)와 연통되는 밸브장착홈(21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결속연결바디(100)의 길이방향 하측에 형성되는 일측이 개구된 밸브장착부(200);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개구된 일측을 통해 상기 밸브장착홈(211)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일방향 회전시 살수액이 상기 유로부(150)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타방향 회전시 살수액이 상기 유로부(150)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동밸브유닛(300);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하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중공형 연결조임부(400);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밸브장착홈(211)과 연통되고,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주연과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내주연 사이에 연질배관(30)의 삽입을 위한 삽입공간(550)이 형성된 호스끼움부(500); 상기 연결조임부(40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호스끼움부(500)에 끼워진 상기 연질배관(30)이 상기 연결조임부(4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임장착캡(6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VALVE ONE BODY TYPE CONNECTING APPARATUS OF SPRINKLER}
본 발명은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를 매개로 스프링클러유닛과 연질배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연질배관의 연결시 꺽임현상을 방지하여 배관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농작지에서 다수의 스프링클러유닛을 설치하여 살수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살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스프링클러유닛의 발생시 살수작업의 중단없이 문제가 되는 스프링클러유닛만을 현장에서 즉시 교체하거나 보수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작지의 살수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2015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의 농산물 시설재배 면적은 약90,500ha(약 2억7천만평)이며, 농가경영주 50%이상이 65세 이상의 고령농이다. 특히, 시설재배 특성상 농작물 생산활동, 시설 관리측면에서 고령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애로사항을 많이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농작물 재배시 용수나 약액이 필수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온실이나 넓은 경작지에서는 용수나 약액의 공급작업을 대부분 작업자가 직접 수행하고 있으며, 일부는 다수개의 스프링클러에 의해 공급하도록 이루어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농작물 재배시 용수나 약액을 공급하는 스프링클러는 저수조와, 저수조에 연결된 주관(主管)과, 주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지관(支管)과, 지관의 말단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구비한다. 관개수는 저수조로부터 주관 및 지관을 통하여 스프링클러 헤드로 이송되며, 스프링클러 헤드는 선택적으로 지표면 위로 노출된 상태에서 관개수를 식물에 분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에 상기 지관의 설치한 상태에서 살수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고수압으로 인한 상기 지관의 분리 이탈문제와 작업자의 신체에 걸림되는 견인력에 의해 상기 지관이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쉽게 분리되어 농작물의 살수효율성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넓은 경작지에 다수의 스프링클러를 설치한 상태에서 일부 스프링클러의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막힘현상으로 인해 살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가 되는 스프링클러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살수작업을 중단하고, 문제가 되는 스프링클러를 교체한 후, 다시 살수작업을 재게하는 번거러움이 따름은 물론 넓은 경작지 중 일부 구간에 식재되는 농작물에는 살수액이 필요치 않음에도 지속적으로 살수액이 공급되는 문제로 농작물의 성장방해는 물론 저품질의 농작물 생산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1242호의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방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를 매개로 스프링클러유닛과 연질배관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연질배관을 연결장치에 연결시 상기 연질배관의 꺽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스프링클러유닛 중 문제가 되는 스프링클러유닛의 발생시 살수작업의 중단없이 문제가 되는 스프링클러유닛만을 보수하거나 새로운 스프링클러유닛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농작지의 살수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밸브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넓은 경작지에 다수의 스프링클러유닛이 설치된 상태에서 일부 농작물에는 물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연결장치의 밸브를 조작하여 물이 필요하지 않은 농작물의 식재구간에 설치된 스프링클러유닛에서 살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농작물의 재배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유닛(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내부에 살수액의 유동을 위한 유로부(15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속연결바디(100); 상기 결속연결바디(100)의 유로부(150)와 연통되는 밸브장착홈(21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결속연결바디(100)의 길이방향 하측에 형성되는 일측이 개구된 밸브장착부(200);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개구된 일측을 통해 상기 밸브장착홈(211)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일방향 회전시 살수액이 상기 유로부(150)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타방향 회전시 살수액이 상기 유로부(150)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동밸브유닛(300);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하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중공형 연결조임부(400);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밸브장착홈(211)과 연통되고,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주연과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내주연 사이에 연질배관(30)의 삽입을 위한 삽입공간(550)이 형성된 호스끼움부(500); 상기 연결조임부(40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호스끼움부(500)에 끼워진 상기 연질배관(30)이 상기 연결조임부(4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임장착캡(6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밸브유닛(300)은,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내측에 삽입되는 수밀회전구(310)와, 상기 수밀회전구(310)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패킹부재(320)와, 상기 수밀회전구(3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회전조작을 위해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330)와, 상기 수밀회전구(31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유로부(150)와 연통되는 유동공(341)이 형성된 조립형유도고정구(34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밸브장착부(200)는, 상기 수밀회전구(310)를 수용하는 통체의 수용몸체구(210)와, 상기 수용몸체구(210)보다 큰 외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수용몸체구(210)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단(230)을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단(230)에는 상기 파지부(330)에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제한구(3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홈(231)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31) 사이에는 상기 수용몸체구(210)의 외측방향으로 외향 경사지는 경사가이드면(2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조임부(400)는, 외주연에 상기 조임장착캡(600)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연결구(410)와, 상기 나사연결구(410)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임장착캡(600)의 결합시 상기 삽입공간(550)에 위치한 상기 연질배관(30)의 외주연을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길이방향 일측 내측면에 다수개의 가압날(421)이 형성된 다수개의 배관가압구(42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클러유닛에 연질배관의 연결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를 매개로 연결함으로써 연질배관의 꺽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연결장치에 상기 연질배관이 견고히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어 고수압이나 작업자의 신체 걸림에 의한 연질배관의 분리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다수의 스프링클러유닛 중 문제가 되는 스프링클러유닛의 발생시 살수작업의 중단없이 문제가 되는 스프링클러유닛만을 보수하거나 새로운 스프링클러유닛을 신속히 장착할 수 있어 농작지의 살수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넓은 경작지에 다수의 스프링클러유닛이 설치된 상태에서 일부 농작물에는 물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연결장치의 밸브를 조작하여 물이 필요하지 않은 농작물의 식재구간에 설치된 스프링클러유닛에서 살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의 재배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가 스프링클러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착부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밸브유닛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유도고정구가 수밀회전구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걸림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걸림부에 의해 연질배관이 물리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가 스프링클러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착부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밸브유닛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유도고정구가 수밀회전구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걸림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걸림부에 의해 연질배관이 물리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는 스프링클러유닛(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결속연결바디(100)와, 상기 결속연결바디(100)의 길이방향 하측에 순차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밸브장착부(200)와 연결조임부(400), 상기 밸브장착부(200)에 설치되는 유동밸브유닛(300)과,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호스끼움부(500) 및 상기 연결조임부(400)에 나사결합되는 조임장착캡(600)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는 상기 스프링클러유닛(10)에 연질배관(30)을 연결시 상기 연질배관(30)의 꺽임현상을 방지하여 배관의 손상을 방지하고, 농작지에서 다수의 스프링클러유닛을 설치하여 살수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과정에서 다수의 스프링클러유닛 중 어느 하나의 스프링클러유닛 내부 노즐이 막혀 살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살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스프링클러유닛에 장착된 본 발명의 연결장치를 조작하여 살수액의 유동을 차단한 후, 고장난 스프링클러유닛을 유지/보수하거나 새로운 스프링클러유닛을 연결장치에 재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살수작업의 중단없이 문제가 되는 스프링클러유닛만을 손쉽게 유지보수하거나 새로운 스프링클러유닛을 장착하여 농작지의 살수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넓은 경작지에 다수의 스프링클러유닛이 설치된 상태에서 일부 농작물에는 물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물이 필요하지 않은 농작물의 식재구간에 설치된 스프링클러유닛에서 물의 살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본 발명의 연결장치에 설치되는 유동밸브유닛을 조작하여 스프링클러유닛을 통한 살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의 재배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결속연결바디(100)는 스프링클러유닛(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내부에 살수액의 유동을 위한 유로부(15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결속연결바디(100)는 상기 스프링클러유닛(10)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조립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결속연결바디(100)는 상기 스프링클러유닛(1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형 결속나사구(110)와 상기 결속나사구(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몸체구(120)와, 상기 메인몸체구(120)의 하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연결구(13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통체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때, 상기 결속연결바디(100)에는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강선지주부재(20)를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강선끼움구(14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농작지에 상기 스프링클러유닛(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여 살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즉, 상기 강선지주부재(20)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강선끼움구(140)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 타측이 지중에 박혀 상기 스프링클러유닛(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강선지주부재(20)의 길이방향 타측을 뾰족하게 하여 지중에 박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밸브장착부(200)는 일측이 개구된 통형으로 상기 결속연결바디(100)의 유로부(150)와 연통되는 밸브장착홈(21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결속연결바디(100)의 길이방향 하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동밸브유닛(300)은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개구된 일측을 통해 상기 밸브장착홈(211)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일방향 회전시 살수액이 상기 유로부(150)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타방향 회전시 살수액이 상기 유로부(150)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동밸브유닛(300)의 일측을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개구된 일측을 통해 내부로 삽입하여 장착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연질배관(30)에서 유동한 살수액이 상기 스프링클러유닛(10)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살수액이 상기 결속연결바디(100)의 유로부(150)로 유동되지 않아 상기 스프링클러유닛(10)에 의한 살수액의 살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밸브유닛(300)을 상기 밸브장착부(2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동밸브유닛(300)의 파손이나 조작불량시 숙련자가 아니라도 손쉽게 상기 유동밸브유닛(300)의 교체를 신속히 이룰 수 있게 되어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밸브장착부(200)에 상기 유동밸브유닛(300)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됨에 따라 농작지에서 다수의 스프링클러유닛에 의한 살수작업의 진행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스프링클러유닛 중 어느 하나의 스프링클러유닛 내부 노즐이 막혀 살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그 스프링클러유닛의 하부에 설치되는 유동밸브유닛(300)을 조작하여 살수액의 유동을 차단한 후, 스프링클러유닛을 유지/보수하거나 새로운 스프링클러유닛을 재장착면 되므로 살수작업을 중단할 필요가 없게 되고, 넓은 경작지에 다수의 스프링클러유닛이 설치된 상태에서 물의 공급이 필요하지 않은 농작물의 식재구간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유닛에서 물의 살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유동밸브유닛(300)을 조작하면 되므로 살수작업의 효율성 및 농작물의 재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유동밸브유닛(3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유동밸브유닛(300)은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내측에 삽입되는 수밀회전구(310)와, 상기 수밀회전구(310)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패킹부재(320)와, 상기 수밀회전구(3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회전조작을 위해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330)와, 상기 수밀회전구(31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유로부(150)와 연통되는 유동공(341)이 형성된 조립형유도고정구(34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수밀회전구(310)는 통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내측에 삽입되되 길이방향 일측단에서 타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장공(311)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외주연에 다수개의 패킹수용홈부(312)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패킹수용홈부(312)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장공(311) 사이의 수밀회전구 외주연에 원형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패킹홈(313)과, 상기 가이드장공(311)의 끝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상기 수밀회전구(310)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패킹홈(31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패킹홈(313)은 상기 결속연결바디(100)에 형성된 상기 유로부(150) 내경 및 후술되는 상기 호스끼움부(500)의 내경 보다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320)는 상기 수밀회전구(310)의 패킹수용홈부(312)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패킹홈(313)에 장착되는 링형의 제1패킹구(321)와 상기 제2패킹홈(314)에 장착되는 링형의 제2패킹구(32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유동밸브유닛(300)을 회전시켜 상기 결속연결바디(100)로의 살수액 유동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제1패킹홈(313)에 장착된 상기 제1패킹구(321)가 상기 밸브장착부(200)에 위치하는 상기 유로부(150)의 입구(151)와 상기 호스끼움부(500)의 출구(560) 주변의 밸브장착부(200) 내주연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호스끼움부(500)로부터 유동하는 살수액의 누수나 유동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결속연결바디(100)에 남아 있는 살수액이 상기 밸브장착부(200)로 흘러드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밸브유닛(300)을 회전시켜 상기 조립형유도고정구(340)의 유동공(341)과 상기 유로부(150)의 연통에 의해 상기 스프링클러유닛(10)방향으로의 살수액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 상기 호스끼움부(500)에서 상기 유동공(341)의 내부로 유동하는 살수액 중 일부 살수액이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내주연과 상기 수밀회전구(310)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개구된 일측으로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패킹홈(314)에 장착된 상기 제2패킹구(322)가 살수액의 외부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파지부(330)는 상기 수밀회전구(310)의 길이방향 타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수밀회전구(31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걸이턱(333)이 마련된다.
즉, 상기 파지부(330)는 상기 수밀회전구(310)의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수밀회전구(31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형 결합판(331)과 상기 결합판(331)의 면부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파지구(332)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이턱(333)은 상기 파지구(332)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결합판(331)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수밀회전구(310)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판(331)에는 후술되는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선단 가이드홈(231)에 삽입되는 회전제한구(33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립형유도고정구(340)는 상기 수밀회전구(310)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유로부(150)와 연통되어 살수갱의 유동을 위한 유동공(341)이 폭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유동공(341)에 인접된 길이방향 일측 외주연에는 상기 가이드장공(311)을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돌출슬라이딩구(34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내측방향을 바라보는 조립형유도고정구(34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조립형유도고정구(340)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연장인서트(34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조립형유도고정구(340)를 상기 수밀회전구(310)의 내측에 삽입설치시 상기 돌출슬라이딩구(342)가 상기 가이드장공(311)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삽입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장공(311)의 길이방향 끝단에 상기 조립형유도고정구(340)의 유동공(341)이 위치되게 장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유동밸브유닛(300)이 삽입되는 상기 밸브장착부(200)는 상기 수밀회전구(310)를 수용하는 통체의 수용몸체구(210)와 상기 수용몸체구(210)보다 큰 외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수용몸체구(210)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단(2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단(230)에는 상기 파지부(330)에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제한구(3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홈(231)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231) 사이에는 상기 수용몸체구(210)의 외측방향으로 외향 경사지는 경사가이드면(2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유동밸브유닛(300)을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내측에 삽입설치시 상기 파지부(330)에 마련된 상기 걸이턱(333)이 상기 걸림단(230)에 형성된 상기 경사가이드면(232)을 따라 상기 수용몸체구(210)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걸림단(230)에 걸림되고, 상기 회전제한구(334)가 상기 가이드홈(231)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몸체구(210)의 내측에는 상기 조립형유도고정구(340)에 형성된 연장인서트(34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원형 띠 형상의 돌출대응편(2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유동밸브유닛(300)을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내측에 설치하게 되면 상기 연장인서트(343)가 상기 돌출대응편(220)에 삽입되면서, 상기 돌출대응편(220)이 상기 연장인서트(343)의 외주연과 상기 수밀회전구(310)의 내주연 사이에 형성되는 대응홈(345)에 위치하게 되어 고수압의 살수액 유동시 상기 수밀회전구(310)에 삽입된 상기 조립형유도고정구(340)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조임부(400)는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하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중공형으로, 외주연에 상기 조임장착캡(600)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연결구(410)와, 상기 나사연결구(410)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임장착캡(600)의 결합시 상기 호스끼움부(500)에 형성된 삽입공간(550)에 위치한 상기 연질배관(30)의 외주연을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길이방향 일측 내측면에 다수개의 가압날(421)이 형성된 다수개의 배관가압구(4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호스끼움부(500)는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밸브장착홈(211)과 연통되고,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주연과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내부연 사이에 연질배관(30)의 삽입을 위한 상기 삽입공간(550)이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호스끼움부(500)는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밀착바디(510)와 상기 밀착바디(51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단차진 상태로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안내구(5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밀착바디(510)와 연장안내구(530) 사이에는 상기 밀착바디(510)에서 상기 연장안내구(530) 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슬로프안내면(520)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안내구(53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내향경사지는 내향슬로프면(54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연질배관(30)의 일측을 상기 연장안내구(530)방향으로 끼움결합하게 되면 상기 내향슬로프면(540)으로 인해 상기 연질배관(30)의 단부가 상기 연장안내구(530)의단부에 걸림되지 않은 상태로 슬라이딩 끼움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되고, 상기 슬로프안내면(520)으로 인해 상기 연질배관(30)이 일정직경 강제 확장된 상태로 상기 밀착바디(510) 방향으로 슬라이딩 끼움결합됨에 따라 상기 연질배관(30)의 내주연이 상기 밀착바디(510)의 외주연에 강한 조임력으로 면밀히 밀착되어 상기 연질배관(30)의 이탈을 1차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조임장착캡(600)을 상기 연결조임부(400)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조임장착캡(600)의 나사결합과정에서 상기 배관가압구(420)가 상기 연질배관(30)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배관가압구(420)의 가압날(421)이 상기 연질배관(30)의 외주연에 가압되어 물게 되므로 상기 연질배관(30)의 이탈을 2차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연질배관(3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고수압의 살수액에도 상기 연질배관(3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임장착캡(600)이 상기 연결조임부(400)에 나사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호스끼움부(500)의 연장안내구(530)가 상기 조임장착캡(600)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연질배관(30)의 내부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연질배관(30)의 꺽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더욱이 상기 내향슬로프면(540)으로 인해 상기 연질배관(30)의 내주연에 상기 연장안내구(530)의 단부 모서리부분이 밀착되지 않아 상기 연질배관(30)의 꺽임이나 내주연 손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임장착캡(600)은 상기 연결조임부(40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호스끼움부(500)에 끼워진 상기 연질배관(30)이 상기 연결조임부(4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호스끼움부(500)의 길이방향 일측 즉 상기 연장안내구(530)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나사연결구(410)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조임장착캡(600)의 내주연에는 상기 나사연결구(41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연결섹터(610)와 상기 배관가압구(420)를 가압하도록 내향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단턱면(6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조임장착캡(600)을 상기 연결조임부(400)에 나사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턱면(620)에 의해 상기 배관가압구(420)가 상기 연질배관(30)의 외주연방향을 가압되면서 상기 가압날(421)이 상기 연질배관(30)의 외주연에 가압밀착되어 물게 되므로 상기 연질배관(30)의 고정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임장착캡(600)의 외주연에는 조임공구의 걸림을 위한 공구걸림턱(631)과 다수개의 공구걸림홈(632)으로 이루어진 공구걸림부(630)가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상기 조임장착캡(600)을 상기 연결조임부(400)에 조임공구를 이용하여 힘껏 나사결합할 수 있어 상기 배관가압구(420)를 통한 연질배관의 물림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나사연결구(410)에는 상기 조임장착캡(600)의 나사결합시 상기 삽입공간(550)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호스끼움부(500)에 끼워진 상기 연질배관(30)를 가압고정하는 가압걸림부(70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가압걸림부(700)는 상기 나사연결구(410)에 형성된 관통설치공(411)에 장착되는 탄성편(710)과 상기 탄성편(7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삽입공간(550)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이동구(72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가압이동구(720)의 상부면이 호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측단면상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작아지도록 이루어지는 역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조임장착캡(600)을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나사연결구(410)에 나사결합하게 되면, 상기 조임장착캡(600)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상기 가압이동구(720)가 상기 삽입공간(550)방향으로 일정길이 인입되고, 그로 인해 상기 가압이동구(720)의 하측단부가 상기 밀착바디(510)에 끼움결합된 상기 연질배관(30)의 외주연에 가압되어 상기 연질배관(30)의 내부를 유동하는 살수액의 고수압이나 작업자의 신체에 상기 연질배관(30)이 걸림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견인력에 의해 상기 연질배관(30)이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바디(510)의 길이방향 타측 외주연에는 상기 삽입공간(550)으로 인입된 상기 연질배관(30)의 끝단을 벌릴 수 있도록 하는 확개구(511)가 형성되어 상기 연질배관(30)의 수평구간(31)과 확개구간(32)사이에 상기 가압걸림부(700)의 가압이동구(720)가 가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연질배관(30)의 분리이탈을 더욱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스프링클러유닛 20: 강선지주부재
30: 연질배관 100: 결속연결바디
110: 결속나사구 120: 메인몸체구
130: 연장연결구 140: 강선끼움구
150: 유로부 200: 밸브장착부
210: 수용몸체구 211: 밸브장착홈
220: 돌출대응편 230: 걸림단
231: 가이드홈 232: 경사가이드면
300: 유동밸브유닛 310: 수밀회전구
311: 가이드장공 312: 패킹수용홈부
320: 패킹부재 321: 제1패킹구
322: 제2패킹구 330: 파지부
331: 결합판 332: 파지구
333: 걸이턱 340: 조립형유도고정구
341: 유동공 342: 돌출슬라이딩구
343: 연장인서트 400: 연결조임부
410: 나사연결구 411: 관통설치공
420: 배관가압구 421: 가압날
500: 호스끼움부 510; 밀착바디
520: 슬로프안내면 530: 연장안내구
540: 내향슬로프면 550: 삽입공간
600: 조임장착캡 610: 나사연결섹터
620: 단턱면 630; 공구걸림부
700: 가압걸림부 710: 탄성편
720: 가압이동구

Claims (5)

  1. 스프링클러유닛(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내부에 살수액의 유동을 위한 유로부(15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속연결바디(100); 상기 결속연결바디(100)의 유로부(150)와 연통되는 밸브장착홈(21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결속연결바디(100)의 길이방향 하측에 형성되는 일측이 개구된 밸브장착부(200);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개구된 일측을 통해 상기 밸브장착홈(211)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일방향 회전시 살수액이 상기 유로부(150)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타방향 회전시 살수액이 상기 유로부(150)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동밸브유닛(300);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하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중공형 연결조임부(400);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밸브장착홈(211)과 연통되고,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주연과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내주연 사이에 연질배관(30)의 삽입을 위한 삽입공간(550)이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된 호스끼움부(500); 상기 연결조임부(40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호스끼움부(500)에 끼워진 상기 연질배관(30)이 상기 연결조임부(4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임장착캡(6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조임부(400)는, 외주연에 상기 조임장착캡(600)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연결구(410)와, 상기 나사연결구(410)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임장착캡(600)의 결합시 상기 삽입공간(550)에 위치한 상기 연질배관(30)의 외주연을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길이방향 일측 내측면에 다수개의 가압날(421)이 형성된 다수개의 배관가압구(420)로 구성되며,
    상기 호스끼움부(500)는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밀착바디(510)와 상기 밀착바디(51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단차진 상태로 상기 연결조임부(4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안내구(5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안내구(53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내향경사지는 내향슬로프면(5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밸브유닛(300)은, 상기 밸브장착부(200)의 내측에 삽입되는 수밀회전구(310)와, 상기 수밀회전구(310)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패킹부재(320)와, 상기 수밀회전구(3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회전조작을 위해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330)와, 상기 수밀회전구(31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유로부(150)와 연통되는 유동공(341)이 형성된 조립형유도고정구(3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착부(200)는, 상기 수밀회전구(310)를 수용하는 통체의 수용몸체구(210)와, 상기 수용몸체구(210)보다 큰 외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수용몸체구(210)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단(230)을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단(230)에는, 상기 파지부(330)에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제한구(3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홈(231)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31) 사이에는 상기 수용몸체구(210)의 외측방향으로 외향 경사지는 경사가이드면(2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80141362A 2018-11-16 2018-11-16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2031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362A KR102031959B1 (ko) 2018-11-16 2018-11-16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362A KR102031959B1 (ko) 2018-11-16 2018-11-16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959B1 true KR102031959B1 (ko) 2019-10-14

Family

ID=6817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362A KR102031959B1 (ko) 2018-11-16 2018-11-16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9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850A (ko) 2021-05-12 2022-11-21 김춘일 이물질 여과와 배출구조를 갖는 어댑터
KR102593268B1 (ko) * 2022-12-29 2023-10-23 임영균 나선형 분출수 노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240B1 (ko) * 2006-09-18 2008-04-11 김춘일 라인밸브
KR20170004410U (ko) * 2017-04-27 2017-12-28 서한호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용 어댑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240B1 (ko) * 2006-09-18 2008-04-11 김춘일 라인밸브
KR20170004410U (ko) * 2017-04-27 2017-12-28 서한호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용 어댑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850A (ko) 2021-05-12 2022-11-21 김춘일 이물질 여과와 배출구조를 갖는 어댑터
KR102593268B1 (ko) * 2022-12-29 2023-10-23 임영균 나선형 분출수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1698B2 (en) Irrigation device and system
US4017958A (en) Irrigation apparatus
KR102031959B1 (ko)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US5158231A (en) Mini-sprinkler stake assembly and mini-sprinkler unit and deflector therefore
US4726527A (en) Drip irrigation emitter
US4456180A (en) Spray nozzle assemblies
KR102247842B1 (ko) 수경 및 토양 재배용 균일 물분사장치
KR102026680B1 (ko) 송수관 조임연결장치
JP4423270B2 (ja) 水耕栽培装置
KR20130063883A (ko) 농업용 자동 이동식 급수장치
CN208675993U (zh) 一种可根据田间数据自动调节的灌溉喷洒装置
US20180071765A1 (en) Articulated joint for sprinklers
KR101052269B1 (ko) 스프링클러
US20110186658A1 (en) Irrigation system and nozzle assembly and methods thereof
KR102153316B1 (ko) 농업용 고압호스 연결 분기관과 분기밸브의 이탈방지 결합구조
JP4359937B2 (ja) 園芸用散水装置の水分岐具および園芸用散水装置
KR20100058221A (ko) 스프링클러
KR101946487B1 (ko) 농업용 스프링클러의 배관시스템
JP4505660B2 (ja) 園芸用散水装置の散水ノズル
CN210840981U (zh) 一种脐橙种植用高效浇水装置
CN111066628A (zh) 一种苗木种植用灌溉设备
CN107912286B (zh) 一种用于农业灌溉的滴水灌溉装置及其灌溉方法
KR101833296B1 (ko) 센서탑재형 회전분무노즐
CN220991362U (en) Flow-adjustable pressure compensation type spray head and irrigation system
CN104221819A (zh) 一种节水喷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