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541B1 - 화분용 급수장치 및 급수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분용 급수장치 및 급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541B1
KR100999541B1 KR1020080035514A KR20080035514A KR100999541B1 KR 100999541 B1 KR100999541 B1 KR 100999541B1 KR 1020080035514 A KR1020080035514 A KR 1020080035514A KR 20080035514 A KR20080035514 A KR 20080035514A KR 100999541 B1 KR100999541 B1 KR 100999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t
water supply
suppl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9983A (ko
Inventor
김샛별
김소연
김동원
Original Assignee
김샛별
김동원
김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샛별, 김동원, 김소연 filed Critical 김샛별
Priority to KR1020080035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541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에 있어서 화분에 안치되어 외부로부터 호스를 통하여 물을 공급받아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및 급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는 상기 화분에 안치되어 외부로부터 호스를 통하여 물을 공급받아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긴 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주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급수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급수시스템은 상기 각 화분에 안치되어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긴 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주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급수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급수장치와 상기 각 급수장치에 연결되어 급수장치로 물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호스와 상기 다수개의 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각 호스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배구가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화분에 물을 용이하게 공급하며 물을 급수하기 위한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방안을 개시한다.
화분, 급수, 분배, 차단, 걸림

Description

화분용 급수장치 및 급수시스템{WATER SUPPLY DEVICE AND SYSTEM FOR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용 급수장치 및 급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에 있어서 화분에 안치되어 외부로부터 호스를 통하여 물을 공급받아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긴 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주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급수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분용 급수장치 및 상기 급수장치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화분에 물을 선택적으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급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식물을 키우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야지에 넓은 공간을 확보하여 두고 식물의 씨앗을 심어서 재배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인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주로 식용 식물을 다량 재배하여 공급하기 위한 방편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와는 달리 취미생활 등을 위하여 꽃을 가꾸거나 하는 경우에는 작은 화분에 꽃 내지는 각종 식물을 심어서 실내에서 가꾸는 경우가 있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직접 화분에 씨앗 내지는 나무를 심어서 가꾸기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고 어느 정도 자란 화분을 구입하여 실내에 서 가꾸기 시작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의 시장을 위하여 많은 식물원에서는 수십 수백 개의 화분에 꽃이나 나무를 심어서 판매할 준비를 하게 되는데, 이때 수십 수백 개의 화분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십 수백 개의 화분에 물을 주어야 하는데 현재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무작위로 물을 뿌려 다수개의 화분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나, 이 경우에는 화분에 공급되는 물의 양보다 화분 외부로 버려지는 물이 더 많기 때문에 불합리한 것으로 물부족 현상이 심각한 근래에 사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게 사실이라 하겠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화분에 설치할 수 있는 급수장치와 상기 급수장치와 연결된 다수개의 호스와 상기 다수개의 호스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장치를 컨트롤함으로써 다수개의 화분에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통해 더욱 용이하고 손쉽게 화분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화분에 안치되어 외부로부터 호스를 통하여 물을 공급받아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화분에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화분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화분에 다수개의 화분과 호스를 연결하여 손쉽게 다수개의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화분용 급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에 다수개의 화분에 효과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는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분에 안치되어 외부로부터 호스를 통하여 물을 공급받아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긴 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주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급수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화분의 턱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고리부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본체는 화분턱과 외측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스에는 화분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 여부 및 물의 양을 조절하기 차단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급수시스템은 다수개의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화분에 안치되어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긴 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주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급수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급수장치와 상기 각 급수장치에 연결되어 급수장치로 물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호스와 상기 다수개의 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각 호스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배구가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기에는 화분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 여부 및 물의의 양을 조절하기 조절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분에 안치되어 외부로부터 호스를 통하여 물을 공급받아 화분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화분에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화분에 다수개의 화분과 호스를 연결하여 손쉽게 다수개의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동시에 다수개의 화분에 효과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화분에 물을 동시에 공급하여 물을 절약하고 물을 급수하기 위한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그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10)는 화분(100)에 안치되는 것으로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호스(2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화분용 급수장치(10)는 호스(20)를 통하여 물을 공급받아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물이 통과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긴 통 형상의 본체(11)와, 본체에 있는 물을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본체의 주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급수공(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는 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을 전부 이루지 않고 원호의 일부만을 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가 원형으로 형성되면, 화분에 안정적으로 안치되고 여러 방향에서 골고루 급수가 된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의 일부가 되도록 구성하면, 안정성이 약간 떨어지나 다양한 형태나 크기의 화분에서 쉽게 적용이 가능하고 화분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에서도 쉽게 안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는 금속재 또는 딱딱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호스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여 변형시켜 안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1)는 화분(100) 내부에 안치되며, 본체에는 본체가 화분의 턱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고리로 구성되는 고리부(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10)는 화분의 외측을 따라, 예를 들어 원형 화분의 경우 원형으로 안치되며 고리가 화분의 턱에 걸리므로 급수장치가 안정되게 안치된다.
또한, 본체와 연결되는 호스(20)에는 화분에 공급되는 물의 급수 및 차단을 선택하기 위한 차단밸브(21)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3의 실시예에서 본체(11)는 화분(100)의 턱 외측에서 화분과 결합되는 구조이며, 화분의 턱과 결합되도록 내측에 길이방향, 즉 원주방향으로 걸림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같은 구조는 화분의 둘레 일부에 장착되기 위한 구조이며, 도 3은 원형 화분의 전체 둘레면에 장착되는 구조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급수장치가 화분의 상단이 외측으로 향한 턱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1)는 화분의 턱과 결합하기 위한 걸림홈(17)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에서 볼 때 본체가 C자형을 이루게 된다.
도 2의 급수장치는 화분과의 결합 안정성이 약간 떨어지나 다양한 형태나 크기의 화분에서 쉽게 적용이 가능하고 화분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에서도 쉽게 안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본체(11)가 원형으로 구성되지 않 을 경우에 있어서는 화분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구(19)와 연결하여 두고 화분에 설치하는 과정에 상기 고정구를 인장시켜 화분 테두리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급수장치의 실시예는 화분에 안정적으로 안치되고 여러 방향에서 골고루 급수가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의 원형의 급수장치는 예를 들어 화분에 넓게 자란 나무나 꽃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원형의 급수장치를 화분의 턱에 올려놓기 어렵기 때문에 꽃이나 나무를 심기 전에 미리 급수장치를 화분에 설치한 상태에서 나무나 꽃을 심어 관리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화분을 관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본체와 연결되는 호스(20)에는 화분에 공급되는 물의 급수 및 차단을 선택하기 위한 차단밸브(21)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급수시스템은 각 화분에 안치되는 급수장치(10)와, 상기 각 급수장치에 연결되어 급수장치로 물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호스(20)와, 상기 다수개의 호스와 연결되어 각 호스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배구(31)가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분배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관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급수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 화분(100)에 안치되어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긴 통 형상의 본체(11)와,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주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급수공(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분배구(31)에는 호스로 들어가는 물의 공급 및 차단과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각각의 화분내에서 자라는 식물의 종류나 성질에 따라 물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30)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분배기에 설치되는 분배구(3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분배기(30)를 통해 각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다수개의 호스가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분배구(31)가 설치되어 있는데, 각 분배구(31)마다 각 화분에 공급되는 물의 양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조는 기존에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기술적 구성에 있어서는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분배구(31)에 조절구를 설치하여 물의 공급 여부 및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차단밸브를 설치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분배구의 구조도로서 상기 분배구(31)에 호스를 연결할 때 자동적으로 분배구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분배구에서 호스(20)를 이탈시키면 다시 분배구가 닫히게 되어 물의 유출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일차적으로 호스(20)와 연결되어 있는 이음부(32)가 있으며 상기 이음부(32)를 감싸는 형태의 암나사(36-a)가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암나사의 구조는 손쉽게 착탈식 내지는 고리식으로 구성되어 분배구와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설치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32)를 분배구의 분배홀(33)에 끼워서 밀어 넣은 상태에서 암나사(36-a)와 상기 암나사과 대응 결합되는 수나사(36-b)가 결합하게 되면, 상기 이음부가 분배홀(33)의 내부에 구비된 차단볼(34)을 밀게되어 분배홀(33)이 개방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차단볼은 분배공간(35)으로 밀려나가게 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음부(32)를 상기 분배홀(33)로 부터 제거하게 되면 상기 분배공간(35)에는 있는 수압에 의하여 상기 차단볼(34)이 분배홀(33)에 밀착되어 분배홀을 막게 되므로 손쉽게 물의 공급과 차단을 호스의 연결과 제거를 통해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급수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
도 4는 도 3의 급수장치를 화분에 설치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급수시스템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의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구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급수장치 11:본체
13:급수공 15:고리부
17:걸림홈 19:고정구
20:호스 21:차단밸브
30:분배기 31:분배구
32:이음부 33:분배홀
34:차단볼 35:분배공간
36-a:암나사 36-b:수나사
100:화분

Claims (6)

  1. 삭제
  2.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분에 안치되어 외부로부터 호스를 통하여 물을 공급받아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긴 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주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급수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는 화분의 턱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고리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급수장치.
  3.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분에 안치되어 외부로부터 호스를 통하여 물을 공급받아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긴 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주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급수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는 화분턱과 외측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급수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에는 화분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 여부 및 물의 양을 조절하기 차단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급수장치.
  5. 다수개의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화분에 안치되어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긴 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주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급수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급수장치와;
    상기 각 급수장치에 연결되어 급수장치로 물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호스와;
    상기 다수개의 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각 호스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배구가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에는 화분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 여부 및 물의의 양을 조절하기 조절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시스템.
KR1020080035514A 2008-04-17 2008-04-17 화분용 급수장치 및 급수시스템 KR100999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514A KR100999541B1 (ko) 2008-04-17 2008-04-17 화분용 급수장치 및 급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514A KR100999541B1 (ko) 2008-04-17 2008-04-17 화분용 급수장치 및 급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983A KR20090109983A (ko) 2009-10-21
KR100999541B1 true KR100999541B1 (ko) 2010-12-08

Family

ID=4153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514A KR100999541B1 (ko) 2008-04-17 2008-04-17 화분용 급수장치 및 급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5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568B1 (ko) * 2013-03-15 2013-11-13 윤문선 화분용 급수장치
KR102547318B1 (ko) * 2019-03-28 2023-06-23 주식회사 애그유니 분사식 양액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983A (ko)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1698B2 (en) Irrigation device and system
US20120080538A1 (en) Plant watering ring
US20210015056A1 (en) Aeration and Irrigation Apparatus for Plants and Seeds
KR100999541B1 (ko) 화분용 급수장치 및 급수시스템
CN207733384U (zh) 一种核桃自动灌溉式装置
KR101845228B1 (ko) 버티컬식 수경재배장치
JP4359937B2 (ja) 園芸用散水装置の水分岐具および園芸用散水装置
CN1972592A (zh) 灌溉设备
US20190098845A1 (en) Dynamic planting grid assembly having internal watering system
KR20090020887A (ko) 다단식 식물재배기
KR200469036Y1 (ko) 작물의 점적 관수장치
KR200398810Y1 (ko) 식물재배용 자동급수장치
JP4505660B2 (ja) 園芸用散水装置の散水ノズル
KR200454293Y1 (ko) 화분 물공급구
CN209861875U (zh) 容器苗滴灌装置
KR102535476B1 (ko) 모종 이식기
US20120012683A1 (en) Watering device for an individual plant container
CN216163706U (zh) 一种便于浇水的花卉养殖装置
KR20180128103A (ko) 농업용 호스 고정유닛
KR101672922B1 (ko) 양방향 밸브기능을 갖는 스프링클러
CN208370221U (zh) 蔬菜种植用液肥施用系统
CN211960329U (zh) 一种农业大棚旋转式喷洒装置
WO2017134538A1 (en) Irrigation arrangement
KR20240026588A (ko) 뿌리 영양 직접 공급장치와 그 공급 방법
JP2009291688A (ja) 液分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