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809A - 저압용 낙수 방지기 - Google Patents

저압용 낙수 방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809A
KR20150090809A KR1020140106170A KR20140106170A KR20150090809A KR 20150090809 A KR20150090809 A KR 20150090809A KR 1020140106170 A KR1020140106170 A KR 1020140106170A KR 20140106170 A KR20140106170 A KR 20140106170A KR 20150090809 A KR20150090809 A KR 20150090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acking
pipe
housing
low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1471B1 (ko
Inventor
신홍건
Original Assignee
신홍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홍건 filed Critical 신홍건
Publication of KR2015009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18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dditional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혹은 기체를 저압에서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저압용 낙수방지기(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해 조립이 간편하고 패킹부재의 신축을 편심방향으로 키워 이물질 걸림으로 인한 낙수의 염려가 해소될 수 있도록 한 저압용 낙수 방지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저압용 낙수 방지기에 있어서; 하측으로 호스결합관이 일체로 형성된 경계평판의 상측으로 나사부를 형성하고, 나사부의 상단에는 하우징결합부를 형성하며, 하우징결합부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패킹안치면을 형성하고, 패킹안치면의 중심에는 호스결합관 내부의 공급유로와 연통되는 배출유로가 측방으로 형성되는 패킹끼움부를 돌출시키고, 패킹끼움부의 상측으로 잘록한 연결목에 의해 연결되도록 타원형 유도헤드를 구비한 방지기본체와; 오링과 연결된 시트관의 상단에 축관된 배출관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방지기본체의 링홈에 오링이 안치되도록 유도헤드와 패킹끼움부에 끼움 결합하는 패킹부재와; 상기 패킹부재의 외부에 씌워지며 대기압유도공이 형성된 몸체의 상측으로 배출관이 끼워지는 관수장치 결합관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링홈에 안치된 오링을 가압하는 링가압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링가압부의 가장자리에 방지기본체에 형성한 하우징결합부에 끼워지는 결합환테를 하향 돌출형으로 형성한 개폐기하우징과; 개폐기하우징의 링가압부를 가압하는 가압링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방지기본체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는 나사구멍을 형성한 밀착너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압용 낙수 방지기{raindrops prevention device for low pressure}
본 발명은 액체 혹은 기체를 저압에서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저압용 낙수방지기(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해 조립이 간편하고 패킹부재의 신축을 편심방향으로 키워 이물질 걸림으로 인한 낙수의 염려가 해소될 수 있도록 한 개량된 저압용 낙수 방지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저용용 낙수 방지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개폐기하우징의 관수장치 결합관에 관수장치의 호스결합관에 동축상으로 형성되는 나사관에 체결되는 나사공을 형성하여 각종 관수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저압용 낙수 방지기는 하우스시설 재배단지 등과 같은 농업, 원예용 분무설비의 경우 저압(0.5~2.51㎏/㎠)으로 물이나 액비 등을 공급하고, 즉시 공급을 중단해야 하나 저압에서 유체를 단속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물 혹은 액비와 같은 유체를 과도하게 부분적으로 공급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축산농가 등에 설치되는 오폐수 처리기에서의 경우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산기관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데, 대부분 산기관이 막히거나 공기공급 배관이 오폐수의 찌꺼기에 의해서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산기관 장치는 무겁고 오폐수에 의해서 모터 부하가 크게 발생하므로 시스템의 내구성도 저하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451503호(2010.12.17.)의 저압용 체크밸브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저압용 체크밸브는 유체를 단속하는 저압용 체크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하측으로 관통되는 공급구멍이 형성되도록 아래 위쪽에 형성한 나사관 및 결합돌관과, 결합돌관의 양측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한 ㄱ자형 걸림턱으로 구성한 베이스부재와; 상기 결합돌관의 상측에서 공급구멍에 끼워지는 지지관과, 결합돌관에 안치되도록 지지관의 상단에 형성한 지지링과, 지지링의 직경보다 작게 지지링의 상측에 일체 형성되며 공급구멍과 연결되는 공급공이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끼움관으로 구성된 연결부재와; 연질 합성고무로 구성되며 끼움관에 결합되는 시트관의 하측으로 지지링의 상면과 접하는 고정편을 형성하고, 시트관의 상단에는 시트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배출관을 형성한 패킹부재와; 상기 고정체는 결합돌관에 씌워지며 결합돌관의 양측으로 형성된 걸림턱에 내입되어 걸림되는 고정턱이 형성된 하부관과, 하부관의 상측으로 지지링에 안치된 패킹부재에 형성된 고정편을 가압하는 단턱이 형성되게 형성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압력조절구멍을 갖는 상부관과, 배출관이 끼워지도록 상부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한 노즐로 구성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의 고정편 하측으로는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하여 고정부재로 패킹부재를 가압할 때 고정편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한 것과, 상기 노즐에 형성되어 있는 노즐공에는 2~4개의 파쇄날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저압용 체크밸브의 경우 분해 조립이 쉽고 패킹관등 부속의 청소 및 교체가 용이하고, 액체 혹은 기체를 저압에서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패킹관의 신축량이 작아 작은 이물질 등이 통과되지 못하고 패킹관에 걸려 지수 능력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저압용 체크밸브에 각종 관수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에는 저압용 체크밸브와 관수장치를 연결관으로 상호 연결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KR 200451503 Y1 2010.12.17.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저압용 체크밸브(낙수 방지기)에서 발생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좁은 공간 내에서 유체 흐름성을 보장하면서 유로 공간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패킹부재의 신축을 편심방향으로 키워 이물질 걸림으로 인한 낙수의 염려가 해소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분해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함과 아울러 개폐기하우징의 관수장치 결합관에 관수장치의 호스결합관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r다양한 구성의 관수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에 있어서; 하측으로 호스결합관이 일체로 형성된 경계평판의 상측으로 나사부를 형성하고, 나사부의 상단에는 하우징결합부를 형성하며, 하우징결합부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패킹안치면을 형성하고, 패킹안치면의 중심에는 호스결합관 내부의 공급유로와 연통되는 배출유로가 측방으로 형성되는 패킹끼움부를 돌출시키고, 패킹끼움부의 상측으로 잘록한 연결목에 의해 연결되도록 타원형 유도헤드를 구비한 방지기본체와;
오링과 연결된 시트관의 상단에 축관된 배출관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방지기본체의 링홈에 오링이 안치되도록 유도헤드와 패킹끼움부에 끼움 결합하는 패킹부재와; 상기 패킹부재의 외부에 씌워지며 대기압유도공이 형성된 몸체의 상측으로 배출관이 끼워지는 관수장치 결합관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링홈에 안치된 오링을 가압하는 링가압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링압부의 가장자리에 방지기본체에 형성한 하우징결합부에 끼워지는 결합환테를 하향 돌출형으로 형성한 개폐기하우징과; 개폐기하우징의 링가압부를 가압하는 가압링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방지기본체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는 나사구멍을 형성한 밀착너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하우징결합부 상에는 상향 돌출된 회전방지돌기를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하고; 상기 개폐기하우징에 구비된 결합환테에는 회전방지돌기가 내입될 수 있도록 회전방지홈을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개폐기하우징의 몸체 내부에 형성된 결합공간을 패킹끼움부 상단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타원형의 유도헤드의 넓은 폭이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유도헤드의 좁은 폭방향으로 확장홈을 더 형성하여 시트관의 팽창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관과 동축상에 일체로 호스결합관이 형성된 방지기본체와; 방지기본체에 형성되며, 상부에 유도헤드가 일체 형성된 패킹끼움부에 끼워지는 패킹부재와; 상측으로 관수장치 결합관이 형성되며, 상기 패킹부재의 외부에 씌워지는 개폐기하우징과; 상기 개폐기하우징을 방지기 본체에 밀착 고정하도록 방지기본체의 상부에 형성한 나사부에 결합하는 밀착너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기하우징의 관수장치 결합관에는 관수장치의 호스결합관에 동축상으로 형성되는 나사관에 체결되는 나사공을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구성이 간단하여 염가 제작이 가능하다.
방지기본체에 밀착너트를 나사 결합하는 방법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해 조립이 간편하다.
페킹끼움관의 상측으로 타원형의 유도헤드를 형성한 상태에서 패킹부재의 시트관이 결합된 상태에서 신축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타원형의 좁은 폭 쪽의 신축량이 많아지게 되므로 이물질 등이 시트관 내에 잔존할 확률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누수의 염려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기하우징의 관수장치 결합관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관수장치에 형성된 나사관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저압용 포그, 미스트, 스프링 클러 등을 별도의 결합수단이나 공구 없이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유로헤드에 결합된 시트관이 팽창되기 전후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의 관수장치 결합관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관수장치를 결합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적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예의 관수장치를 보인 사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저안용 낙수 방지기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의 분해사시도, 도 3,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유로헤드에 결합된 시트관이 팽창되기 전후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1)는 액체 혹은 기체를 저압에서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분해 조립이 간편하고 패킹부재(3)의 신축을 편심방향으로 키워 이물질 걸림으로 인한 낙수의 염려가 해소될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방지기본체(2)와, 방지기본체(2)에 형성된 패킹끼움부(26)에 끼움 결합되는 패킹부재(3)와, 패킹부재(3)의 외부에 씌워지는 개폐기하우징(4)과, 개폐기하우징(4)을 방지기본체(2)쪽으로 가압하도록 방지기본체(2)에 나사 결합하는 밀착너트(5)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하에서 각 구성부재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방지기본체(2)-
방지기본체(2)는 경계평판(21)을 기준으로 하측에 호스결합관(22)이 일체로 형성한다. 호스결합관(22)은 하단에 호스(6)를 나사결합식으로 결합하도록 나사관(22a)을 형성하며, 그 상측으로는 상부로 점차 직경이 커지는 역테이퍼형의 미늘(22b)을 형성하여 다양한 직경의 호스(6)를 조립할 수 있게 한다. 즉, 나사관(22a)에 부합하는 호스(6)의 경우 나사관(22a)에 마치 너트를 체결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하며, 나사관(22a) 보다 큰 직경의 호스(6)를 결합코자 할 시에는 미늘(22b) 부분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경계평판(21)과 미늘(22b)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호스(6)의 상단부분을 밴드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방법으로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경계평판(21)과 호스결합관(22)의 경계에는 리브(22c)를 형성하여 경계평판(21)과 호스결합관(22)의 경계부분이 외부충격에 의해 꺾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경계평판(21)의 상측으로는 나사부(23)를 형성하고, 나사부(23)의 상단에는 하우징결합부(24)를 형성하며, 하우징결합부(24)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패킹안치면(25)을 형성한다. 또한 하우징결합부(24) 상에는 상향 돌출된 회전방지돌기(24a)를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회전방지돌기(24a)가 형성된 예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사부(23)의 중심에는 패킹끼움부(26)를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패킹끼움부(26)에는 측방으로 배출유로(26a)를 형성하며, 배출유로(26a)는 호스결합관(22)에 형성되어 있는 용수공급공(27)과 연통되어 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패킹끼움부(26)의 상측으로는 잘록한 연결목(28a)에 의해 연결되는 유도헤드(28)를 형성한다. 유도헤드(28)는 타원형으로 형성하며, 이와 같은 구성은 후술할 패킹부재(3)를 결합상태에서 시트관(31)의 팽창에 따른 유체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패킹부재(3)-
패킹부재(3)는 시트관(31)의 하단에 확관된 구성으로 일체 형성한 오링(32)을 형성하며, 시트관(31)의 상측으로 배출관(33)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패킹부재(3)는 신축 복원력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구성하며, 오링(32)은 방지기본체(2)의 나사부(23) 상면에 형성한 패킹안치면(25)에 안치되며, 시트관(31)은 패킹끼움부(26)와 그 상측으로 형성된 타원형의 유도헤드(28)에 씌워지며, 패킹끼움부(26)에 형성된 배출유로(26a)를 통해 유체가 공급되면 시트관(31)이 확장되면서 유체를 상부의 배출관(33)으로 배출하는 것으로 이의 작용은 다음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키로 한다.
-개폐기하우징(4)-
개폐기하우징(4)은 상기 패킹부재(3)의 외부에 씌워지는 부재로서, 시트관(31)의 외부에 씌워지는 원통형상의 몸체(41)를 형성하고, 몸체(41)의 하측으로 패킹부재(3)의 오일을 가압하는 링가압부(42)를 도넛형으로 형성하며, 링가압부(42)의 가장자리에는 방지기본체(2)에 형성한 하우징결합부(24)에 끼워지는 결합환테(43)를 하향 돌출형으로 형성한다. 이때 결합환테(43)에는 하우징결합부(24) 상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방지돌기(24a)가 내입될 수 있도록 회전방지홈(43a)을 형성한다.
몸체(41)의 중상단에는 측방으로 대기압유도공(44)을 형성하여 시트관(31)의 팽창에 따른 몸체 내부의 공기압이 대기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몸체(41)의 상단에는 관수장치 결합관(45)을 돌출식으로 형성한다. 이때 관수장치 결합관(45)의 내부에는 패킹부재(3)에 형성된 배출관(33)이 내입상태로 조립한다.
또한 몸체(41)의 내부에는 상기 방지기본체(2)에 형성되어 있는 패킹끼움부(26)에 시트관(31)이 씌워진 상태로 위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1) 내부의 결합공간(41a)을 패킹끼움부(26) 상단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타원형의 유도헤드(28)의 넓은 폭(P1)이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유도헤드(28)의 좁은 폭(P2) 방향으로 확장홈(41b)을 더 형성하여 시트관(31)의 팽창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밀착너트(5)-
밀착너트(5)는 상기 개폐기하우징(4)을 방지기본체(2) 쪽으로 밀착시키는 기능성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중앙으로 개폐기하우징(4)이 끼워진 상태에서 링가압부(42)를 가압하도록 가압링(51)을 형성하고, 내부에 나사구멍(52)을 형성하여 방지기본체(2)에 형성된 나사부(23)에 체결하도록 한다. 또한 외부에는 논슬립돌기(53)가 형성되어 밀착너트(5)를 별도의 공구 없이 손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의 관수장치 결합관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관수장치를 결합한 예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에 적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예의 관수장치를 보인 사진이다.
본 발명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저압용 낙수 방지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개폐기하우징(4)의 상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수장치 결합관(45)에 다양한 구성의 관수장치(7)들을 별도의 공구 없이도 간편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관수장치 결합관(45)에 나사공(45a)을 형성하고, 이 나사공(45a)에 관수장치(7)의 호스결합관(71)에 동축상으로 형성되는 나사관(72)을 나사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관수장치 결합관(45)에 형성된 나사공(45a)의 직경은 방지기본체(2)의 아래쪽 호그결합관(22)에 형성된 나사관(22a)과 부합하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관수장치 결합관(45)에 나사공(45a)을 형성하고 각종 관수장치(7)의 호스결합관(71)에 나사관(72)을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관수장치 결합관(45)의 외주연에 나사를 형성하고, 이에 너트타입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관수장치(7)를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 관수장치 결합관(45)에 관수장치(7)를 연결하기 위해 호스를 결합하여 상호 연결해야 하는 어려움을 단번에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관수장치 결합관(45)에 형성된 나사공(45a)과 결합될 수 있는 관수장치(7)는 다양한 구성의 것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도 7에서 제공하고 있는 사진과 같이 각종 채소 및 원예작물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나 축사 등에는 약액 살포나 습도 및 온도 조절을 위한 목적으로 마치 안개와 같은 미세 물방울을 만들 수 있는 포그 또는 미스트, 저압으로 공급되는 물을 살수하는 스프링클러 등 다양한 관수장치(7)가 선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지기본체(2)에 형성되어 있는 패킹끼움부(26)에 패킹부재(3)를 끼운 상태에서 그 외측으로 개폐기하우징(4)을 씌우고, 밀착너트(5)를 방지기본체(2)에 형성된 나사부(23)에 체결하면 패킹부재(3)에 형성되어 있는 오링(32)이 하우징결합부(24)의 상면에 형성한 패킹안치면(25)과 개폐기하우징(4)의 가압링(51)에 사이에서 가압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패킹끼움부(26)에 결합된 시트관(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기하우징(4)의 몸체(41) 내부의 결합공간(41a) 상에서 유도헤드(28)에 수밀 상태로 수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방지기본체(2)의 하측 호스결합관(22)에 호스(6)를 결합하여 유체를 공급하면, 유체를 공급하면 유체압에 의해 패킹끼움부(26)에 결합된 시트관(31)이 팽창하게 되는데, 이때 유도헤드(28)에 결합된 시트관(3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하게 된다.
팽창 상태를 살펴보면 유도헤드(28)의 넓은 폭(P1) 쪽으로는 개폐기하우징(4)의 몸체(41) 내벽과 근접한 상태여서 팽창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가 되고, 유도헤드(28)의 좁은 폭(P2) 쪽으로는 몸체(41) 내벽 쪽에 형성된 확장홈(41b) 쪽으로 밀착되면서 팽창되므로 충분한 유체 통로가 제공되어 유입되는 소형 이물질을 통과시킬 수 있어 시트관(31)과 유체헤드 사이에 이물질이 끼여 누수되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도 6과 같이 구성하는 경우 다양한 구성의 관수장치(7)를 별도의 공구 없이 직접 결합식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저압용 낙수 방지기 2:방지기본체
21:경계평판 22:호스결합관
22a:나사관 22b:미늘
22c:리브 23:나사부
24:하우징결합부 24a:회전방지돌기
25:패킹안치면 26:패킹끼움부
26a:배출유로 27:용수공급공
28:유도헤드 28a:연결목
3:패킹부재 31:시트관
32:오링 33:배출관
4:개폐기하우징 41:몸체
41a:결합공간 41b:확장홈
42:링가압부 43:결합환테
43a:회전방지홈 44:대기압유도공
45:관수장치 결합관 45a:나사공
5:밀착너트 51:가압링
52:나사구멍 53:논슬립돌기
6:호스 7:관수장치
71:호스결합관 72:나사관

Claims (4)

  1. 저압용 낙수 방지기(1)에 있어서;
    하측으로 호스결합관(22)이 일체로 형성된 경계평판(21)의 상측으로 나사부(23)를 형성하고, 나사부(23)의 상단에는 하우징결합부(24)를 형성하며, 하우징결합부(24)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패킹안치면(25)을 형성하고, 패킹안치면(25)의 중심에는 호스결합관(22) 내부의 공급유로와 연통되는 배출유로(26a)가 측방으로 형성되는 패킹끼움부(26)를 돌출시키고, 패킹끼움부(26)의 상측으로 잘록한 연결목(28a)에 의해 연결되도록 타원형 유도헤드(28)를 구비한 방지기본체(2)와;
    오링(32)과 연결된 시트관(31)의 상단에 축관된 배출관(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방지기본체(2)의 링홈에 오링(32)이 안치되도록 유도헤드(28)와 패킹끼움부(26)에 끼움 결합하는 패킹부재(3)와;
    상기 패킹부재(3)의 외부에 씌워지며 대기압유도공(44)이 형성된 몸체(41)의 상측으로 배출관(33)이 끼워지는 관수장치 결합관(45)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링홈에 안치된 오링(32)을 가압하는 링가압부(42)를 일체로 형성하고, 링가압부(42)의 가장자리에 방지기본체(2)에 형성한 하우징결합부(24)에 끼워지는 결합환테(43)를 하향 돌출형으로 형성한 개폐기하우징(4)과;
    개폐기하우징(4)의 링가압부(42)를 가압하는 가압링(51)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방지기본체(2)에 형성된 나사부(23)에 체결되는 나사구멍(52)을 형성한 밀착너트(5)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결합부(24) 상에는 상향 돌출된 회전방지돌기(24a)를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하고;
    개폐기하우징(4)에 구비된 결합환테(43)에는 회전방지돌기(24a)가 내입될 수 있도록 회전방지홈(43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개폐기하우징(4)의 몸체(41) 내부에 형성된 결합공간(41a)을 패킹끼움부(26) 상단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타원형의 유도헤드(28)의 넓은 폭(P1)이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유도헤드(28)의 좁은 폭(P2)방향으로 확장홈(41b)을 더 형성하여 시트관(31)의 팽창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
  4. 나사관(22a)과 동축상에 일체로 호스결합관(22)이 형성된 방지기본체(2)와;
    방지기본체(2)에 형성되며, 상부에 유도헤드(28)가 일체 형성된 패킹끼움부(26)에 끼워지는 패킹부재(3)와;
    상측으로 관수장치 결합관(45)이 형성되며, 상기 패킹부재(3)의 외부에 씌워지는 개폐기하우징(4)과;
    상기 개폐기하우징(4)을 방지기본체(2)에 밀착 고정하도록 방지기본체(2)의 상부에 형성한 나사부(23)에 결합하는 밀착너트(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기하우징(4)의 관수장치 결합관(45)에는 관수장치(7)의 호스결합관(71)에 동축상으로 형성되는 나사관(72)이 조립되는 나사공(45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용 낙수 방지기.
KR1020140106170A 2014-01-29 2014-08-14 저압용 낙수 방지기 KR101551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758 2014-01-29
KR20140011758 2014-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809A true KR20150090809A (ko) 2015-08-06
KR101551471B1 KR101551471B1 (ko) 2015-09-09

Family

ID=5388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170A KR101551471B1 (ko) 2014-01-29 2014-08-14 저압용 낙수 방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8527A (zh) * 2019-09-23 2021-01-12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接头组件、压力式喷洒系统及可移动平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957B1 (ko) * 2019-01-22 2019-10-10 홍광희 역류 방지를 임의 제어하는 밸브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1214A (ja) 2000-12-18 2002-06-26 Miura Co Ltd 逆止弁
KR200451503Y1 (ko) 2008-07-16 2010-12-17 신홍건 저압용 체크밸브
JP5469434B2 (ja) 2009-01-08 2014-04-16 コロナ技研工業株式会社 逆止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8527A (zh) * 2019-09-23 2021-01-12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接头组件、压力式喷洒系统及可移动平台
CN112218527B (zh) * 2019-09-23 2023-04-0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接头组件、压力式喷洒系统及可移动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471B1 (ko)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1516B2 (en) Liquid sprayer for plants
CA2030132A1 (en) Self-draining backflow prevention valves
US4456180A (en) Spray nozzle assemblies
KR101551471B1 (ko) 저압용 낙수 방지기
TWI708638B (zh) 噴灑頭及噴灑裝置
CN103003603B (zh) 用于低压的自动水关断阀
KR20160061458A (ko)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US9217580B2 (en) Hose attachment device for clearing drain lines
KR102091926B1 (ko)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CA2893177C (en) Self-cleaning sprinkler
TW201636108A (zh) 噴灑裝置及用於噴灑裝置的噴灑頭
US6371392B1 (en) Nozzle construction
CN103521371A (zh) 一种农用喷雾器无滴漏水的喷啃装置
KR200451503Y1 (ko) 저압용 체크밸브
CN105409731A (zh) 农作物滴灌控制器
KR102026680B1 (ko) 송수관 조임연결장치
CA1041032A (en) Milking cup
KR200410621Y1 (ko) 소화전 방수구
WO2019004978A3 (en) DRINKING STRUCTURE FOR USE IN AGRICULTURAL IRRIGATION
JP3677262B2 (ja) ハウス栽培作物への散水ノズル
US7152816B1 (en) Mister nozzle apparatus
KR101692337B1 (ko) 방제용 스프링클러
US11938499B2 (en) Pressure actuated valves and methods of use
KR101715805B1 (ko) 스프링클러 배관용 퇴수밸브
KR102220305B1 (ko) 분무 라인용 드레인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