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381B1 -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 - Google Patents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381B1
KR101837381B1 KR1020150171155A KR20150171155A KR101837381B1 KR 101837381 B1 KR101837381 B1 KR 101837381B1 KR 1020150171155 A KR1020150171155 A KR 1020150171155A KR 20150171155 A KR20150171155 A KR 20150171155A KR 101837381 B1 KR101837381 B1 KR 101837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compressed air
supply
chemical solution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116A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농
Priority to KR1020150171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38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시설, 과수·원예 시설 및 재배용 시설 등과 같은 시설물 내에 각각 설치되는 약액공급관과 압축공기공급관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약액공급관과 압축공기공급관 각각으로부터 약액과 압축공기를 각각 공급받아 내부로 유입 안내하도록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가 형성되는 공급부재와, 상기 공급부재의 하부에 수용되게 나사결합되어 공급부재로부터 유입 안내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가 내부로 나뉘어 유입되도록 각각의 제3유입구와 제4유입구가 형성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 하부에 결합되어 체결부재로부터 유입 안내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를 내부로 공급받아 함께 외부로 배출시켜 안개형태로 약액을 시설물 내에 고루 분포시키는 노즐부재로 이루어지는 이류체 분사노즐의 공급부재의 하단부와 체결부재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부재의 하단부와 체결부재 상단부 사이공간으로 약액 및 압축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밀폐하고 체결부재로 약액 및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재의 하단부와 체결부재 상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공급부재의 하단부와 체결부재 상단부 사이공간을 밀폐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 몸체의 상단측면 중심으로 형성되어 공급부재의 제1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약액을 안내하는 안내홈; 상기 안내홈의 일측 몸체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약액을 체결부재의 제3유입구로 공급되게 안내하는 제1관통공; 상기 공급부재의 제2유입구와 상호 마주하는 몸체의 상단측면으로부터 수직 하부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공급부재의 제2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체결부재의 제4유입구로 공급되게 안내하는 제2관통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Spraying nozzle rubber packing for dual fluid}
본 발명은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류체 분사노즐의 공급부재 하단부와 체결부재 상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약액 및 압축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공급부재 하단부와 체결부재 상단부 사이공간을 완전히 밀폐하며, 공급부재로부터 체결부재로 이동되어 유입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의 유입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 체결부재로 유입되도록 함은 물론, 체결부재로 유입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가 혼합되지 않게 이동시키는 분사노즐용 패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시설, 과수·원예 시설 및 재배용 시설 등과 같은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시설물에는 관수로 설비 즉 파이프라인이 설치되는 바, 이 파이프라인에는 다수의 노즐이 설치되어 용수, 비료, 소독제 등의 약액을 공급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시설물 내에서 가축을 기르거나 과수, 원예 및 농작물을 재배할 때, 시설물 내의 골조에 호스를 설치하고, 상기 호스에 노즐을 설치하게 되며, 호스 내에 흐르는 약액을 노즐을 통하여 분사하여 축사를 소독하거나 시설물 내의 과수, 원예 및 농작물에 용수 또는 비료 등의 약액을 공급하게 된다.
즉 종래의 노즐은 호스에 고정 설치되는 노즐본체의 양측에 노즐팁을 각각 내장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노즐팁을 통하여 약액이 분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노즐을 이용하여 겨울철에 비닐하우스와 같은 시설물 내의 과수, 원예 및 농작물에 용수 또는 비료 등의 약액을 분사시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차가 극심하여 내부와 외부의 사이 공간부에 바깥기온에 따라 성에나 물방울이 생기거나 결빙되는 문제점이 생겨 이로 인하여 비닐하우스가 파손되거나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특허 등록번호 제10-1368807호(명칭: 이류체 회전노즐)에서 축사시설, 과수·원예 시설 및 재배용 시설 등과 같은 시설물 내부에 용수, 비료, 소독제 등과 같은 약액을 회전노즐을 통해 안개형태로 분사함으로써, 시설물 내부에 수막을 형성하여 시설물 온도를 유지시켜주고 여름철에는 복사열을 식혀줌은 물론, 회전노즐에 구성되는 저속회전수단으로 인해 회전노즐이 저속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회전노즐에서 분사되는 안개형태인 약액의 분사범위가 넓어져 분사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시설물 내부 전체에 미세한 입자로 이루어진 약액을 고루 분포시킬 수 있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사출성형으로 제작하는 과정 중 미세한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오차로 인해 공급부재와 체결부재의 결합부분에 틈이 발생되고 그 틈으로 약액 및 압축공기가 누출하게 됨으로 분사압력이 저하되어 노즐로부터 외부로 원활하게 약액이 분사되지 않으며, 약액 및 압축공기가 외부로 누출됨으로 인해 약액 및 압축공기의 소모량이 증가해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002998호 (1996.04.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이류체 분사노즐의 공급부재 하단부와 체결부재 상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약액 및 압축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공급부재 하단부와 체결부재 상단부 사이공간을 완전히 밀폐하며, 공급부재로부터 체결부재로 이동되어 유입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의 유입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 체결부재로 유입되도록 함은 물론, 체결부재로 유입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가 혼합되지 않게 이동시키는 분사노즐용 패킹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축사시설, 과수·원예 시설 및 재배용 시설 등과 같은 시설물 내에 각각 설치되는 약액공급관과 압축공기공급관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약액공급관과 압축공기공급관 각각으로부터 약액과 압축공기를 각각 공급받아 내부로 유입 안내하도록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가 형성되는 공급부재와, 상기 공급부재의 하부에 수용되게 나사결합되어 공급부재로부터 유입 안내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가 내부로 나뉘어 유입되도록 각각의 제3유입구와 제4유입구가 형성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 하부에 결합되어 체결부재로부터 유입 안내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를 내부로 공급받아 함께 외부로 배출시켜 안개형태로 약액을 시설물 내에 고루 분포시키는 노즐부재로 이루어지는 이류체 분사노즐의 공급부재의 하단부와 체결부재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부재의 하단부와 체결부재 상단부 사이공간으로 약액 및 압축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밀폐하고 체결부재로 약액 및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재의 하단부와 체결부재 상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공급부재의 하단부와 체결부재 상단부 사이공간을 밀폐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 몸체의 상단측면 중심으로 형성되어 공급부재의 제1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약액을 안내하는 안내홈; 상기 안내홈의 일측 몸체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약액을 체결부재의 제3유입구로 공급되게 안내하는 제1관통공; 상기 공급부재의 제2유입구와 상호 마주하는 몸체의 상단측면으로부터 수직 하부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공급부재의 제2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체결부재의 제4유입구로 공급되게 안내하는 제2관통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은 이류체 분사노즐의 공급부재 하단부와 체결부재 상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력으로 공급부재의 하단부와 체결부재 상단부 각각에 밀착되어 압박함으로써 공급부재 하단부와 체결부재 상단부 사이공간이 완전히 밀폐되며, 몸체에 형성되는 안내홈, 제1관통공, 제2관통공으로 인해 공급부재로부터 체결부재로 이동되어 유입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의 유입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 체결부재로 유입되도록 함은 물론, 체결부재로 유입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가 혼합되지 않게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상·하단부에 링 형태로 형성되는 제1,2,3밀폐돌기부로 인해 재차 약액 및 압축공기의 외부누출이 방지되고, 제1,2,3밀폐돌기부가 돌출 형성됨으로 인해 압박력이 증가되며, 압박력이 증가됨에 따라 밀폐력 또한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류체 분사노즐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의 설치상태를 알 수 있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보면 축사시설, 과수·원예 시설 및 재배용 시설 등과 같은 시설물 내에 각각 설치되는 약액공급관(2)과 압축공기공급관(5)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약액공급관(2)과 압축공기공급관(5) 각각으로부터 약액과 압축공기를 각각 공급받아 내부로 유입 안내하도록 제1유입구(11)와 제2유입구(12)가 형성되는 공급부재(10)와, 상기 공급부재(10)의 하부에 수용되게 나사결합되어 공급부재(10)로부터 유입 안내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가 내부로 나뉘어 유입되도록 각각의 제3유입구(21)와 제4유입구(22)가 형성되는 체결부재(20)와, 상기 체결부재(20)하부에 결합되어 체결부재(20)로부터 유입 안내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를 내부로 공급받아 함께 외부로 배출시켜 안개형태로 약액을 시설물 내에 고루 분포시키는 노즐부재(30)로 이루어지는 이류체 분사노즐의 공급부재(10)의 하단부와 체결부재(20)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부재(10)의 하단부와 체결부재(20) 상단부 사이공간으로 약액 및 압축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밀폐하고 체결부재(20)로 약액 및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본 발명에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은 몸체(100), 안내홈(200), 제1관통공(300), 제2관통공(400)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는 공급부재(10)의 하단부와 체결부재(20) 상단부 사이공간을 밀폐하도록 원판 형성되어 공급부재(10)의 하단부와 체결부재(20) 상단부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몸체(100)의 상·하측면 각각이 탄성력으로 공급부재(10)의 하단부와 체결부재(20) 상단부 각각에 밀착되어 압박되도록 상기 몸체(100)는 고무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기 몸체(100)의 상단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 몸체(100)의 상단측면 중심으로 안내홈(200)이 형성되어 공급부재(10)의 제1유입구(11)로부터 유입되는 약액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안내홈(200)의 일측 상단부에 공급부재(10)의 제1유입구(11) 내경 일측으로 삽입되는 안내돌기부(50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기부(500)가 공급부재(10)의 제1유입구(11) 내경에 삽입되어 공급부재(10)의 제1유입구(11) 내경에서부터 약액을 바로 안내홈(200)으로 안내해 줌으로써, 약액이 안내홈(200)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안내홈(200) 내부로 원활하게 이동된다.
또한 상기 안내홈(200)의 일측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기부(500)가 공급부재(10)의 제1유입구(11) 내경 일측으로 삽입됨으로 인해 안내홈(200)이 공급부재(10)의 제1유입구(11)와 상호 마주하는 올바른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홈(200)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약액이 외부 누출되지 않게 방지하는 제1밀폐돌기부(600)가 돌출 형성되며, 제1밀폐돌기부(600)가 공급부재(10)의 하단부를 밀착 압박하도록 돌출 형성됨으로 인해 압박력이 증가되고, 압박력이 증가됨에 따라 밀폐력 또한 증가된다.
한편 상기 안내홈(200)을 따라 안내되는 약액을 체결부재(20)의 제3유입구(21)로 공급되게 안내하는 제1관통공(300)이 안내홈(200)의 일측 몸체(100)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부재(10)의 제2유입구(12)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체결부재(20)의 제4유입구(22)로 공급되게 안내하는 제2관통공(400)이 공급부재(10)의 제2유입구(12)와 상호 마주하는 몸체(100)의 상단측면으로부터 수직 하부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관통공(400)을 통해 몸체(100)의 하단부 이동하여 체결부재(20)의 제4유입구(22)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방지하는 제2밀폐돌기부(700)가 링 형태로 몸체(100)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밀폐돌기부(700) 내측방향으로 이격되는 몸체(100)의 하단부에 제1관통공(300)으로 이동하여 체결부재(20)의 제3유입구(21)로 공급되는 약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방지하고, 제2관통공(400)을 통해 몸체(100) 하단부로 이동되는 압축공기가 체결부재(20)의 제3유입구(21)로 유입되지 않게 방지하는 제3밀폐돌기부(800)가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3밀폐돌기부(700,800)가 체결부재(20)의 상단부를 밀착 압박하도록 돌출 형성됨으로 인해 압박력이 증가되며, 압박력이 증가됨에 따라 밀폐력 또한 증가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다른 실시예로서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통공(300)의 하부측 내경에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900)가 더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900)로 인해 제1관통공(300)을 따라 이동하여 체결부재(20)의 제3유입구(21)로 공급되는 약액이 외측방향으로 분산되어 이동되지 않고 중심으로 모아지져 이동하게 되고, 경사부(900)의 하부가 상부 보다 좁게 형성됨으로 인해 약액이 경사부(900)를 통과시 압력이 높아져 이동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부재(10)로부터 체결부재(20)로 이동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가 안내홈(200), 제1관통공(300), 제2관통공(400), 안내돌기부(500) 외측 표면과 지속적으로 마찰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안내홈(200), 제1관통공(300), 제2관통공(400), 안내돌기부(500)의 약한 테두리 부분이 쉽게 마모가 발생되어 파손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홈(200), 제1관통공(300), 제2관통공(400), 안내돌기부(500) 외측 표면에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하는 강화코팅층(201,301,401,501)이 몸체(100) 보다 단단한 재질로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으로 인해 이류체 분사노즐의 공급부재(10) 하단부와 체결부재(20) 상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몸체(100)의 탄성력으로 공급부재(10)의 하단부와 체결부재(20) 상단부 각각에 밀착되어 압박함으로써 공급부재(10) 하단부와 체결부재(20) 상단부 사이공간이 완전히 밀폐되며, 몸체(100)에 형성되는 안내홈(200), 제1관통공(300), 제2관통공(400)으로 인해 공급부재(10)로부터 체결부재(20)로 이동되어 유입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의 유입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 체결부재(20)로 유입되도록 함은 물론, 체결부재(20)로 유입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가 혼합되지 않게 이동시키게 된다.
100 : 몸체 200 : 안내홈
300 : 제1관통공 400 : 제2관통공

Claims (5)

  1. 축사시설, 과수·원예 시설 및 재배용 시설 등과 같은 시설물 내에 각각 설치되는 약액공급관(2)과 압축공기공급관(5)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약액공급관(2)과 압축공기공급관(5) 각각으로부터 약액과 압축공기를 각각 공급받아 내부로 유입 안내하도록 제1유입구(11)와 제2유입구(12)가 형성되는 공급부재(10)와, 상기 공급부재(10)의 하부에 수용되게 나사결합되어 공급부재(10)로부터 유입 안내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가 내부로 나뉘어 유입되도록 각각의 제3유입구(21)와 제4유입구(22)가 형성되는 체결부재(20)와, 상기 체결부재(20)하부에 결합되어 체결부재(20)로부터 유입 안내되는 약액 및 압축공기를 내부로 공급받아 함께 외부로 배출시켜 안개형태로 약액을 시설물 내에 고루 분포시키는 노즐부재(30)로 이루어지는 이류체 분사노즐의 공급부재(10)의 하단부와 체결부재(20)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부재(10)의 하단부와 체결부재(20) 상단부 사이공간으로 약액 및 압축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밀폐하고 체결부재(20)로 약액 및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재(10)의 하단부와 체결부재(20) 상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공급부재(10)의 하단부와 체결부재(20) 상단부 사이공간을 밀폐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상단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 몸체(100)의 상단측면 중심으로 형성되어 공급부재(10)의 제1유입구(11)로부터 유입되는 약액을 안내하는 안내홈(200);
    상기 안내홈(200)의 일측 몸체(100)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안내홈(200)을 따라 안내되는 약액을 체결부재(20)의 제3유입구(21)로 공급되게 안내하는 제1관통공(300);
    상기 공급부재(10)의 제2유입구(12)와 상호 마주하는 몸체(100)의 상단측면으로부터 수직 하부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공급부재(10)의 제2유입구(12)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체결부재(20)의 제4유입구(22)로 공급되게 안내하는 제2관통공(400);
    상기 안내홈(200)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약액이 외부 누출되지 않게 방지하는 제1밀폐돌기부(60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하단부에 제2관통공(400)으로 이동하여 체결부재(20)의 제4유입구(22)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방지하는 제2밀폐돌기부(700)가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밀폐돌기부(700) 내측방향으로 이격되는 몸체(100)의 하단부에 제1관통공(300)으로 이동하여 체결부재(20)의 제3유입구(21)로 공급되는 약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방지하는 제3밀폐돌기부(800)가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200)의 일측 상단부에 공급부재(10)의 제1유입구(11) 내경 일측으로 삽입되는 안내돌기부(500)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300)의 하부측 내경에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900)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200), 제1관통공(300), 제2관통공(400), 안내돌기부(500) 외측 표면에 강화코팅층(201,301,401,501)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
KR1020150171155A 2015-12-03 2015-12-03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 KR101837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155A KR101837381B1 (ko) 2015-12-03 2015-12-03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155A KR101837381B1 (ko) 2015-12-03 2015-12-03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116A KR20170065116A (ko) 2017-06-13
KR101837381B1 true KR101837381B1 (ko) 2018-03-12

Family

ID=5921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155A KR101837381B1 (ko) 2015-12-03 2015-12-03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3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115B1 (ko) * 2020-02-18 2020-12-03 강범용 이류체 분무장치
CN111604813A (zh) * 2020-06-28 2020-09-01 长春理工大学 一种复合喷嘴磨粒流抛光夹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822B1 (ko) * 1998-08-10 2000-11-15 이호영 2성분 혼합물을 분사하기 위한 장치
KR101368807B1 (ko) * 2013-11-28 2014-03-03 주식회사 선농 이류체 회전노즐
KR101489602B1 (ko) * 2013-11-21 2015-02-04 백상진 이류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822B1 (ko) * 1998-08-10 2000-11-15 이호영 2성분 혼합물을 분사하기 위한 장치
KR101489602B1 (ko) * 2013-11-21 2015-02-04 백상진 이류체분사에 의한 회전식 살포장치
KR101368807B1 (ko) * 2013-11-28 2014-03-03 주식회사 선농 이류체 회전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116A (ko)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168B1 (ko) 저압분무장치
US11376613B2 (en) Spray nozzle assembly with expanded pressure responsive liquid flow rate control
KR101837381B1 (ko) 이류체 분사노즐용 패킹
KR101096464B1 (ko) 농사용 살수방제 회전노즐
KR101880552B1 (ko) 분무기용 분사노즐
KR101693260B1 (ko) 다기능 스프링클러
KR102091926B1 (ko)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KR100960080B1 (ko) 농사용 살수방제 회전노즐
CN203884321U (zh) 大棚自动灌溉系统
KR20050028001A (ko) 점적관수장치
KR101754815B1 (ko)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KR101692337B1 (ko) 방제용 스프링클러
RU2015116371A (ru) Комплексный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микроклимат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и защиты виноградных плантаций и стационарна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их воздуш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20140010254A (ko) 식물재배용 관수호스
CN209768372U (zh) 一种农业温室大棚自动化滴灌水肥一体装置
CN204443437U (zh) 新型农业灌溉装置
CN208230149U (zh) 一种果园灌溉系统及其倒挂雾化微喷头组件
KR101715805B1 (ko) 스프링클러 배관용 퇴수밸브
KR101343934B1 (ko) 관수노즐
KR101194116B1 (ko) 농업용 분사노즐
CN107218447B (zh) 喷滴式水管
CN101554621A (zh) 一种自旋式喷洒器
KR101024597B1 (ko) 스프링클러
CN201543522U (zh) 一种转盘式三头防滴阀
US20080163938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water-conserving irrigation utilizing check-valve scre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