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815B1 -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815B1
KR101754815B1 KR1020150173686A KR20150173686A KR101754815B1 KR 101754815 B1 KR101754815 B1 KR 101754815B1 KR 1020150173686 A KR1020150173686 A KR 1020150173686A KR 20150173686 A KR20150173686 A KR 20150173686A KR 101754815 B1 KR101754815 B1 KR 101754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water
supply pipe
unit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245A (ko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동서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서그린 filed Critical (주)동서그린
Priority to KR1020150173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81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4Field atomisers, e.g. orchard atomisers,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농축산용 시설물 내에 설치되어 분사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 공급관과 연결된 유체 공급관을 통해 상기 분사부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와, 상기 유체 공급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사부에 공급되는 유체를 자화시키는 자화수 제조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시스템은 농축산용 시설물 내부로 공급되는 약액 또는 물을 자화시키므로 농축산용 시설물로 공급되는 약액 또는 물을 정수 및 연수시킬 수 있고, 약액의 효능 및 지속시간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Odor and pest control system for agriculture and stockbreeding}
본 발명은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농축산용 시설물의 악취 및 병해충 방제를 위해 공급되는 약액이나 가축의 음용수로 제공되는 물을 자화시켜 공급하는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하우스는 계절에 관계 없이 채소류, 과일과 같은 식용 식물을 재배하거나 축산용으로 가축을 사육할 수 있도록 된 시설로서, 농촌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설하우스 내에서 재배되는 농작물 또는 가축에 대해 생육기간 동안 용수공급, 약액의 공급 및 방제 작업이 수시로 이루어지며, 최근 약액방제작업을 무인방제장치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118865호에는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비닐하우스용 무인 방제장치는 상부로 수직골조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골조의 길이방향으로 수평골조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비닐하우스에 설치되는 것이나 단순히 물에 약제를 녹인 약액을 비닐하우스 내부에 분사하므로 약제의 효과가 비교적 크기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농축산용 시설물 내부에 공급되는 약액의 효능 및 지속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해 약액을 자화시켜 공급하거나 가축들의 음용수를 자화시켜 연수 및 정수할 수 있는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시스템은 농축산용 시설물 내에 설치되어 분사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 공급관과 연결된 유체 공급관을 통해 상기 분사부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와, 상기 유체 공급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사부에 공급되는 유체를 자화시키는 자화수 제조유닛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시스템은 상기 유체 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의 분사공이 잔여 유체 또는 이물질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체 공급관을 통해 상기 노즐에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유체 공급부는 연결관을 통해 상기 유체 공급관에 연결되며, 내부에 약액 또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저수탱크와, 공급관을 통해 상기 저수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저수탱크로 상기 약액 또는 물을 공급하는 공급유닛과,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탱크에 저수된 약액 또는 물을 펌핑하여 상기 유체 공급관에 살포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자화수 제조유닛은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저수탱크로 유입되는 약액 또는 물을 자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관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 공급부는 연통관을 통해 상기 유체 공급관에 연결되며, 내부에 약액 또는 물이 저수된 저수부로부터 상기 약액 또는 물을 펌핑하여 상기 유체 공급관에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자화수 제조유닛은 상기 저수부로부터 상기 유체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약액 또는 물을 자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통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자화수 제조유닛은 내부에 약액 또는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케이스의 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석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자석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약액 또는 물의 흐름에 의해 상기 자석부를 따라 진동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들 사이에 각각 개제되어 상기 진동판이 상기 자석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진동판을 상기 자석부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상기 유로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유로로 약액 또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유로를 통과한 상기 약액 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자석부는 상기 캡에 상단이 고정되며,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진동판은 상기 케이스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고, 상기 자석부의 위치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자석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자석통과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시스템은 농축산용 시설물 내부로 공급되는 약액 또는 물을 자화시키므로 농축산용 시설물로 공급되는 약액 또는 물을 정수 및 연수시킬 수 있고, 약액의 효능 및 지속시간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의 자화수 제조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화수 제조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화수 제조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화수 제조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화수 제조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화수 제조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화수 제조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100)은 농축산용 시설물(15) 내에 설치되어 분사 공급관(201)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노즐(202)을 통해 분사하는 분사부(200)와, 상기 분사 공급관(201)과 연결된 유체 공급관(310)을 통해 상기 분사부(200)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300)와, 상기 유체 공급부(3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사부(200)에 공급되는 유체를 자화시키는 자화수 제조유닛(400)과, 상기 유체 공급관(310)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202)의 분사공이 잔여 유체 또는 이물질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체 공급관(310)을 통해 상기 노즐(202)에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부(500)를 구비한다.
분사부(200)는 농축산용 시설물(15)들의 천장면에 설치된 다수의 노즐(202)과, 상기 노즐(202)들에 연결되는 분사 공급관(201)들을 구비한다. 상기 분사 공급관(201)은 단부가 농축산용 시설물(15)의 외부로 돌출되어 유체 공급관(310)에 연결된다.
여기서 농축산용 시설물(15)은 농작물, 원예작물 재배 또는 축산용으로 구축 시설로서 비닐하우스, 유리 하우스, 축사 등 내부 공간을 갖게 형성된 시설을 말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분사부(200)가 비닐하우스 상부에 설치되는 약액분사용 노즐(202)이 구비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분사부(20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축사, 양돈장 등의 상부에 설치되어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액 분사용 노즐(202) 또는 가축에 음용수를 제공하는 음용수 제공용 노즐(202)이 적용될 수도 있다.
유체 공급부(300)는 상기 분사 공급관(201)들에 연결되는 유체 공급관(310)과, 연결관(321)을 통해 상기 유체 공급관(310)에 연결되며, 내부에 물을 저수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저수탱크(320)와, 공급관(331)을 통해 상기 저수탱크(320)에 연결되어 상기 저수탱크(320)로 상기 물을 공급하는 공급유닛(330)과, 상기 연결관(321)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탱크(320)에 저수된 약액 또는 물을 펌핑하여 상기 유체 공급관(310)에 살포유닛(340)을 구비한다.
상기 유체 공급관(310)은 내부에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일측면에 다수의 분사 공급관(201)들이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속구가 형성된 매니폴드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관(321)은 일단이 유체 공급관(310)의 타측에 연결되며, 타단은 저수탱크(320)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저수탱크(32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저수공간이 마련되며, 물에 의해 부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저수탱크(320)에는 저수탱크(320) 내에 수용된 물에 약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약제투입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공급유닛(330)은 공급관(331)에 의해 저수탱크(320)에 연결되며, 내부에 약액 또는 물이 저수된 저수부로부터 상기 약액 또는 물을 펌핑하여 상기 유체 공급관(310)에 공급하는 공급펌프(332)를 구비한다. 상기 저수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하에 매립되며, 내부에 물이 수용된 물탱크이거나 지하에 지하수가 저수된 저수공간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급유닛(330)은 저수부 대신에 건축물에 설치된 수도시설과 저수탱크(320)를 연결하는 공급관(331)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공급유닛(33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에 물과 약제가 혼합된 약액이 수용되고, 공급관(331)에 의해 상기 저수탱크(320)에 연결되는 약액탱크와, 상기 공급관(331)에 설치되어 약액탱크에 수용된 약액을 저수탱크(320)에 펌핑하는 공급펌프(332)를 구비할 수도 있다.
살포유닛(34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압축탱크와, 압축탱크에 설치되어 공기를 압축탱크에 압축시키기 위한 공기압축기와, 상기 공기 압축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저수탱크(320)에 수용된 유체를 흡입하기 위해 저수탱크(320) 측에 설치된 연결관(321)에 연결된 약액흡입관과, 흡입된 유체를 토출하기 위해 유체 공급관(310) 측에 설치된 연결관(321)에 연결되는 약액토출관이 마련된 약액 압축기와, 상기 공기압축기 및 약액압축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엔진을 구비한다.
자화수 제조유닛(400)은 상기 공급유닛(330)으로부터 상기 저수탱크(320)로 유입되는 약액 또는 물을 자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관(331)에 설치된다. 상기 자화수 제조유닛(400)은 내부에 약액 또는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케이스(410)와, 상기 케이스(4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캡(420)과, 상기 케이스(410)의 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석부(430)와,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상기 자석부(43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약액 또는 물의 흐름에 의해 상기 자석부(430)를 따라 진동하는 진동판(440)과, 상기 진동판(440)들 사이에 각각 개제되어 상기 진동판(440)이 상기 자석부(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진동판(440)을 상기 자석부(430)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450)을 구비한다.
케이스(410)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케이스(410)는 하부에 상기 유로로 공급관(331)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급관(331)에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기 위해 공급관(331)에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410)는 상부에 캡(4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플랜지(4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플랜지(411)는 케이스(4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케이스(410)로부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캡(420)은 케이스(410)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클램프(421)에 의해 케이스(410)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캡(420)은 상면에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캡(420)은 케이스(410)에 결합시 케이스(410)와의 수밀을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탄성을 갖는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421)는 케이스(410)와 캡(420)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캡(420)과 결합플랜지(411)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3개의 링크(422)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측 끝에 위치하는 링크(422)의 단부에는 각각 체결부재(423)와 체결홈(4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423)를 젖혀 체결홈(424)에 삽입한 상태로 체결부재(423)를 조이면 캡(420)과 결합플랜지(411)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 및 캡(420)과 결합플랜지(411)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캡(420)과 케이스(410) 사이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자석부(430)는 케이스(410)의 유로에 배치되어 유로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캡(420)의 천장면에 상단이 고정되며,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자석부(430)는 외주면과 케이스(410) 내주면 사이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410)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자석부(430)는 케이스(410)의 길이방향으로 다른 자극이 마주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진동판(440)은 다수의 자석부(430)에 각각 다수개가 자석부(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케이스(410)의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자석부(430)를 따라 진동한다.
상기 진동판(440)은 상기 케이스(41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고, 상기 자석부(430)의 위치와 각각 대응하는 중앙부에 상기 자석부(4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자석통과구멍(4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440)은 상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유체통과구멍(442)이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물결모양의 요철부(4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450)은 진동판(440)들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상기 진동판(440)이 자석부(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동시킬 수 있도록 진동판(440)을 자석부(430)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자화수 제조유닛(4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유입구를 통해 케이스(410)의 유로에 공급유닛(330)으로부터 공급된 약액 또는 물 즉,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의 이동에 의해 유입구와 가장 인접한 측에 위치하는 진동판(440)(제1진동판)이 먼저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동하게 되며, 유체가 제1진동판(440)을 통과하면 제1진동판(440)은 스프링(450)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후퇴하게 된다.
이후, 제1진동판(440)을 통과하는 유체가 그 다음에 위치하는 진동판(440)(제2진동판)에 도달하면 제1진동판(440)과 마찬가지로 제2진동판(440)이 유체의 이동에 의해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동하게 되며, 이후 유체가 제2진동판(440)을 통과하면 제2진동판(440)이 스프링(450)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진동판(440)들은 유체의 연속적인 이동에 따라 간섭되면서 케이스(410)의 길이방향 및 자석부(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진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유체를 효과적으로 교반시킴으로써 자석부(430)에서 제공되는 자기력이 유체에 효과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자화수 제조유닛(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321)에 설치되어 연결관(321)을 통해 유체 공급관(310)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자화시킬 수도 있다. 즉, 즉, 케이스(410)의 유입구 및 배출구는 연결관(321)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화수 제조유닛(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공급관(331) 및 연결관(321)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에어주입부(500)는 일단이 유체 공급관(310)에 연결되는 에어주입관(501)과, 에어주입관(501)의 타단에 설치되며, 에어주입관(501)을 통해 고압의 에어를 유체 공급관(310)으로 공급하는 콤프레샤(502)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주입관(501)에는 에어주입관(501)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는 분사부(200)를 통해 농축산용 시설물(15) 내부에 물 또는 약액의 분사가 완료되면 콤프레샤(502)를 작동시켜 고압의 에어를 유체 공급관(310)으로 주입하는데, 상기 에어는 유체 공급관(310)을 통해 분사 공급관(201)들로 주입되고, 노즐(20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노즐(202)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는 노즐(202) 내의 잔여 유체 또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잔여유체 및 이물질에 의해 노즐(202)이 폐쇄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시스템(100)은 농축산용 시설물(15) 내부로 공급되는 약액 또는 물을 자화시키므로 농축산용 시설물(15)로 공급되는 약액 또는 물을 정수 및 연수시킬 수 있고, 약액의 효능 및 지속시간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체 공급부(35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체 공급부(350)는 연통관(351)을 통해 상기 유체 공급관(310)에 연결되며, 내부에 약액 또는 물이 저수된 저수부로부터 상기 약액 또는 물을 펌핑하여 상기 유체 공급관(310)에 공급하는 공급펌프(352)를 구비한다. 상기 저수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하에 매립되며, 내부에 물이나 약액이 수용된 탱크이거나 지하에 지하수가 저수된 저수공간이 적용될 수 있고, 유체 공급부(350)는 저수부 대신에 건축물에 설치된 수도시설과 저수탱크(320)를 연결하는 보조관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자화수 제조유닛(400)은 상기 저수부로부터 상기 유체 공급관(310)으로 공급되는 상기 약액 또는 물을 자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통관(351)에 설치되어 있다. 즉, 케이스(410)의 유입구 및 배출구는 연통관(351)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화수 제조유닛(6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자화수 제조유닛(600)의 케이스(610)는 하부에 지주(611)와 지주(611)에 결합된 고정플랜지(612)가 구비되어 설치대상물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610)의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나선형상의 나선홈(6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선홈(613)은 케이스(610)의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가 케이스(610)를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므로 상기 유체의 교반효율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화수 제조유닛(62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자화수 제조유닛(620)은 케이스(610)에 설치되는 원통부(621)를 더 구비한다. 상기 원통부(621)는 케이스(6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케이스(610)의 유로를 제1유로와 제2유로로 각각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자석부(430)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621)는 외주면에 다수의 연통구멍(6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원통부(621)에 의해 유입구를 통해 케이스(610) 내측 즉, 제1유로로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의 일부가 제1유로를 따라 흐르게 되고 나머지 일부는 연통구멍(622)을 통해 제2유로로 이동 및 제2유로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상기 원통부(621)에는 다수의 연통구멍(6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유체가 상기 연통구멍(622)을 통해 제1유로 측에서 제2유로 측으로 이동하거나, 제2유로 측에서 제1유로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된 원통부(621)는 케이스(610)의 유로를 제1유로 및 제2유로로 구획하고, 연통구멍(622)을 통해 유체가 제1유로 및 제2유로 사이를 교차하며 유동하므로 유체의 교반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판(631)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진동판(631)은 상기 몸체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고, 상기 자석부(430)의 위치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자석부(4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자석통과구멍(4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진동판(631)은 상기 스프링(45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유체의 이동에 의해 다수의 자석부(430)를 따라 상하로 진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케이스(610) 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원통부(621)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632)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632)은 각각의 자석부(430)에 설치된 진동판(631)들 사이에 설치되는 구조가 아닌 다수의 자석부(430)에 걸쳐지게 설치된 진동판(631) 사이에 설치한 구조를 적용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610) 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원통부(621)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200: 분사부
201: 분사 공급관
202: 노즐
300: 유체 공급부
310: 유체공급관
320: 저수탱크
321: 연결관
330: 공급유닛
331: 공급관
332: 공급펌프
340: 살포유닛
400: 자화수 제조유닛
410 케이스
420: 캡
430: 자석부
440: 진동판
443: 요철부
450: 스프링
500: 에어주입부
501: 에어주입관
502: 콤프레샤

Claims (6)

  1. 농축산용 시설물 내에 설치되어 분사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 공급관과 연결된 유체 공급관을 통해 상기 분사부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와;
    상기 유체 공급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사부에 공급되는 유체를 자화시키는 자화수 제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자화수 제조유닛은
    내부에 약액 또는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케이스의 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석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자석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약액 또는 물의 흐름에 의해 상기 자석부를 따라 진동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들 사이에 각각 개제되어 상기 진동판을 상기 자석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진동판을 상기 자석부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판은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유체통과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자석부의 위치와 각각 대응하는 중앙부에 상기 자석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자석통과구멍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체의 연속적인 이동에 따라 간섭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 및 상기 자석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진동하게되어 상기 자석부에서 제공되는 자기력이 유체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유체를 교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의 분사공이 잔여 유체 또는 이물질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체 공급관을 통해 상기 노즐에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연결관을 통해 상기 유체 공급관에 연결되며, 내부에 약액 또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저수탱크와,
    공급관을 통해 상기 저수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저수탱크로 상기 약액 또는 물을 공급하는 공급유닛과,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탱크에 저수된 약액 또는 물을 펌핑하여 상기 유체 공급관에 살포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자화수 제조유닛은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저수탱크로 유입되는 약액 또는 물을 자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연통관을 통해 상기 유체 공급관에 연결되며, 내부에 약액 또는 물이 저수된 저수부로부터 상기 약액 또는 물을 펌핑하여 상기 유체 공급관에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자화수 제조유닛은 상기 저수부로부터 상기 유체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약액 또는 물을 자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통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상기 유로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유로로 약액 또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유로를 통과한 상기 약액 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자석부는 상기 캡에 상단이 고정되며,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KR1020150173686A 2015-12-08 2015-12-08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KR101754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686A KR101754815B1 (ko) 2015-12-08 2015-12-08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686A KR101754815B1 (ko) 2015-12-08 2015-12-08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245A KR20170067245A (ko) 2017-06-16
KR101754815B1 true KR101754815B1 (ko) 2017-07-06

Family

ID=59278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686A KR101754815B1 (ko) 2015-12-08 2015-12-08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300B1 (ko) 2017-09-05 2019-05-30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약액분무장치
KR101964640B1 (ko) 2017-09-05 2019-04-02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천장설치형 약액분무장치
KR102436257B1 (ko) * 2017-11-24 2022-08-26 이정언 초미세 액적을 이용하여 에너지 절감 가능한 비닐하우스의 항온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73B1 (ko) * 2006-12-21 2007-12-14 주식회사 이레 약제분사장치
KR101370690B1 (ko) * 2013-08-08 2014-03-06 이용재 약제를 나노포그 미립화 상태로 분무하여 최상 방제 효과를 얻고 농약중독 예방이 가능한 무인방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73B1 (ko) * 2006-12-21 2007-12-14 주식회사 이레 약제분사장치
KR101370690B1 (ko) * 2013-08-08 2014-03-06 이용재 약제를 나노포그 미립화 상태로 분무하여 최상 방제 효과를 얻고 농약중독 예방이 가능한 무인방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245A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9985B2 (en) Fogponic plant growth system
US8621781B2 (en) Hydroponic irrigation system
KR101049150B1 (ko) 친환경 방제 시스템
KR101041168B1 (ko) 저압분무장치
KR101547833B1 (ko) 약액분무기
KR101754815B1 (ko)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KR101951750B1 (ko) 이동식 포그 방제 시스템
KR100786373B1 (ko) 약제분사장치
KR101917249B1 (ko) 비닐하우스의 약액 이동관 및 분사노즐 청소 시스템
KR101407074B1 (ko) 약제분사장치
KR101746816B1 (ko) 자동관수장치
US10737950B2 (en) Methods for filtering effluent water for recycled use
CN202406699U (zh) 一种作物喷灌设备
CA2892131A1 (en) Fogponic plant growth system
KR102091926B1 (ko)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KR20050028001A (ko) 점적관수장치
KR101346827B1 (ko)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
US8919366B2 (en) Electromechanical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dispensing or purging fluids
CN102511359A (zh) 一种作物喷灌设备
KR102159382B1 (ko)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
CN215873208U (zh) 用于大棚的喷药装置
KR101271515B1 (ko) 비닐하우스의 다중화시스템
KR101499749B1 (ko) 비닐하우스용 약액 분사장치.
KR20180064000A (ko) 약액분무 시스템
CN208933088U (zh) 多功能曝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