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382B1 -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382B1
KR102159382B1 KR1020190024913A KR20190024913A KR102159382B1 KR 102159382 B1 KR102159382 B1 KR 102159382B1 KR 1020190024913 A KR1020190024913 A KR 1020190024913A KR 20190024913 A KR20190024913 A KR 20190024913A KR 102159382 B1 KR102159382 B1 KR 102159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emical liquid
spray
agricultur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403A (ko
Inventor
신준하
이외숙
신준오
신홍건
Original Assignee
신준하
이외숙
신준오
신홍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준하, 이외숙, 신준오, 신홍건 filed Critical 신준하
Priority to KR1020190024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38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811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ir supplying means actuated by the operator to pressurise or compress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7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축산용 시설 동별로 이동하며 약액 분무하는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압축기(C)에 연결되고, 복수동으로 구분되는 농축산업용 시설(1)과 대응하는 위치마다 메인에어포트(12a)를 포함하는 복수의 에어도킹부(12)가 구비되는 메인에어라인(10); 상기 에어도킹부(12)의 메인에어포트(12a) 중 어느 1개소에 연결되어, 공급받은 압축공기를 출력하는 에어출력포트(22)와, 공급받은 압축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약액을 출력하는 약액출력포트(24)가 구비되는 이동식 분무모듈(20); 상기 에어출력포트(22)에 연결되고,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로 연장되어 압축공기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에어분기관(30); 상기 약액출력포트(24)에 연결되고, 에어분기관(30)과 나란히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로 연장되어 약액을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약액분기관(40); 및 상기 에어분기관(30)과 약액분기관(40)에 연결되고, 압축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약액을 미립자로 분무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이류체 포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축산업용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를 이용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압축기 용량 대비 넓은 면적을 효과적으로 약액 분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 {Movable non-pump spraying system and spray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로 농축산업에 사용되는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을 구축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압축기 용량 대비 넓은 면적의 밀폐공간을 효과적으로 약액 분무하기 위한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오리사, 계사, 돈사와 같은 축산 시설 및 비닐하우스와 같은 농업 시설은 격리된 실내공간에서 전염병을 방지하기 위한 방제용 소독약을 포함하는 약액을 주기적으로 분무하는바, 종래에는 인력에 의존하여 시설 내부에서 직접 분무하였으나, 이는 많은 시간과 인건비가 소모하고,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 약액을 다량 흡입으로 인한 약물중독이 심각한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특허등록번호 10-1029883호에서,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부와, 상기 저장탱크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를 고압 압송시키기 위한 펌핑부와, 상기 펌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저장탱크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를 고압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한 연결배관부와, 상기 연결배관부와 연결되어 액체 살포위치에 적응적으로 위치하며, 외주면에 액체를 고압으로 살포하기 위한 노즐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어 있는 살포배관부와, 상기 살포배관부로의 유로를 차단하여 노즐를 통한 액체의 살포동작을 중지시키는 차단밸브부를 포함하는 기술이 선 등록된바 있지만, 액체를 고압 송출하는 단일 펌핑부에 의해 노즐을 통하여 액체가 살포되는 특상상 살포입자가 미립화에 한계가 있고, 이로 인해 농축산업 시설 내부 소독 및 전염병 방제용 약약 분무용으로 부적합한 문제점이 따랐다.
또, 다른 종래에 개시된 실용신안등록번호 20-355109호에서, 버섯사 등을 비롯한 비닐하우스의 급수 및 농약 방제용, 축사나 양계장 또는 이동초소 등에 설치되어 온도조절용 급수나 전염병을 방지하기 위한 방제용 약품을 살포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압축수(약제)와 압축공기를 노즐몸체의 내부로 동시에 공급하면 노즐몸체내부의 혼합실에서 압축수와 압축공기가 혼합되어 외부로 개방된 납작한 형태의 노즐구멍을 통해 미립자상태로 분사되도록 한 것으로, 압축수와 압축공기의 압력을 상대적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살포되는 물이나 약제의 입자크기를 조절할 액체와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여 분무되는 유체의 입자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재배되는 작물이나 사육되는 가축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지만, 압축수(약제)와 압축공기를 각각 압축수공급라인과 압축공기공급라인을 통해 노즐몸체의 내부로 동시에 공급하여 노즐몸체의 내부에서 압축수와 압축공기가 혼합되어 노즐구멍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구성이므로, 복수의 비닐하우스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 동별로 약액 분무 설비를 구축해야 하고, 특히 각 동별로 압축수공급라인과 압축공기공급라만을 확장할 경우 대용량 콤프레셔를 필요로 하므로 대면적 농축산 시설에 대한 약액 분무시스템 구축에 많이 시설비 및 운영비가 소요되는 폐단이 따랐다.
KR 10-1029883 B1 (2003.07.01.) KR 20-355109 Y1 (2004.06.24.)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단일의 메인에어라인을 이용하여 압축공기 및 약액이 복합적으로 출력되는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을 구축하여 농축산업용 시설 동별로 이동하며 해당 구역별로 약액을 분무하므로 저렴한 시설비와 운영비로 압축기 용량 대비 약액 분무 면적이 크게 확대되는 농축산업용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밀폐 공간안에서 분무입자크기를 10~30μm(micrometer)로 만들어서 분무시킬 경우 40분 이상의 시간동안 최대 130미터를 부유하여 이동할 수 있다는 점을 착안하여 적은 수의 분무노즐(포그)로 넓은 밀폐공간을 최소한의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소독할 수 있는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을 제공함을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압축기(C)에 연결되고, 복수동으로 구분되는 농축산용 시설(1)과 대응하는 위치마다 메인에어포트(12a)를 포함하는 복수의 에어도킹부(12)가 구비되는 메인에어라인(10); 상기 에어도킹부(12) 중 어느 하나에 도킹되어, 공급받은 압축공기를 출력하는 에어출력포트(22)와, 공급받은 압축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약액탱크(23)에 저장된 약액을 출력하는 약액출력포트(24)가 구비되는 이동식 분무모듈(20); 상기 에어출력포트(22)에 연결되고, 농축산용 시설(1) 내부로 연장되어 압축공기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에어분기관(30); 상기 약액출력포트(24)에 연결되고, 에어분기관(30)과 나란히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로 연장되어 약액을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약액분기관(40); 및 상기 에어분기관(30)과 약액분기관(40)에 연결되고, 압축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약액을 미립자로 분무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이류체 포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동식 분무모듈(20)은, 상기 이동식 분무모듈(20)은 바퀴가 구비된 대차(26)에 탑재되며, 에어도킹부(12)의 메인에어포트(12a)에 연결되는 에어입력포트(21)와, 에어입력포트(21)로 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레귤레이터 설정압으로 출력되는 에어출력포트(22)와, 에어입력포트(21)로 부터 공급받아 레귤레이터 설정압력으로 출력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약액이 압축되는 약액탱크(23)와, 약액탱크(23)에서 압축된 약액을 출력하는 약액출력포트(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단일의 메인에어라인을 이용하여 압축공기 및 약액이 복합적으로 출력되는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을 구성하여 농축산업용 시설 동별로 이동하며 해당 구역별로 약액분무하므로 저렴한 시설비와 운영비로 압축기 용량 대비 약액 분무 면적이 크게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메인에어라인(10)에 구비되는 복수의 에어도킹부 중 어느 하나에 이동식 분무모듈의 에어입력포트를 연결하고, 에어출력포트 및 약액출력포트에 에어분기관 및 약액분기관을 각각 연결하면, 단일 에어입력포트에 의해 압축공기 및 약액이 복합적으로 출력되는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이 간단하게 구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용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용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의 이동식 분무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농축산업용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농축산업용 이동식 무펌프 약액 분무시스을 이용한 분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농축산업용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에 관련되며, 농축산업용 시설 동별로 이동하며 해당 구역별로 약액 분무하는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을 구축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압축기 용량 대비 넓은 면적을 효과적으로 약액 분무하기 위해 메인에어라인(10), 이동식 분무모듈(20), 에어분기관(30), 약액분기관(40), 이류체 포그(5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용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로, 본 발명에 의한 약액 분무시스템은 먼저 단위 농축산업용 시설(1)이 복수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현장에 일단이 압축기(C)에 연결되는 메인에어라인(10)이 설치되며, 상기 단위 농축산업용 시설(1)과 대응하는 위치마다 메인에어포트(12a)를 포함하는 복수의 에어도킹부(12)가 형성된다. 농축산용 시설(1)은 오리사, 계사, 돈사, 우사를 포함하는 축산 시설 및 비닐하우스를 포함하는 농업 시설을 일컫는다.
상기 메인에어라인(10)은 복수동으로 구분되는 농축산용 시설(1)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압축기(C)에 의해 압축공기가 공급되며, 이때 메인에어라인(10)에는 에어레귤레이터 및 단속밸브가 설치되어 압축기(C)로 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 on/off제어 및 공급 압력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C)의 용량 적어도 하나의 농축산업용 시설(1) 분무영역에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이면 되므로, 별도로 대용량 압축기 구매에 따른 시설비가 불필요하여 기존에 농가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3~5마력의 저출력 압축기로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에어도킹부(12)는 후술하는 이동식 분무모듈(20)이 도킹되는 영역으로, 이를 위해 에어도킹부(12)와 대응하는 메인에어라인(10) 상에 메인에어포트(12a)가 구비되고, 메인에어포트(12a)에 에어피팅 및 단속밸브가 설치된다.
후술하는 이동식 분무모듈(20)의 에어입력포트(21)는 상기 메인에어포트(12a)에 원터치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즉, 복수의 에어도킹부(12) 중 어느 1개소에 이동식 분무모듈(20)이 도킹되어 해당 농축산업용 시설(1)에 약액을 공급하여 기 설치된 이류체포그를 통해 분무되게 된다.
도 2는 농축산업용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의 이동식 분무모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이동식 분무모듈(20)은 상기 에어도킹부(12) 중 어느 하나에 도킹되어, 메인에어라인(10)으로부터 공급받은 압축공기를 출력하는 에어출력포트(22)와, 공급받은 압축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약액탱크(23)에 저장된 약액을 출력하는 약액출력포트(24)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식 분무모듈(20)은, 상기 에어도킹부(12)의 메인에어포트(12a)에 연결되는 에어입력포트(21)와, 에어입력포트(21)로 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레귤레이터 설정압으로 출력되는 에어출력포트(22)와, 에어입력포트(21)로 부터 공급받아 레귤레이터 설정압력으로 출력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약액이 압축되는 약액탱크(23)와, 약액탱크(23)에서 압축된 약액을 출력하는 약액출력포트(24)로 구성된다. 즉, 에어입력포트(21)를 통하여 이동식 분무모듈(2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T형 분배관에 의해 에어라인이 이분할 되어, 어느 하나의 에어라인에는 단속밸브, 레귤레이터 및 튜브피팅이 형성되는 에어출력포트(22)를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에어라인은 약액탱크(23)로 연결되어 레귤레이터에 의해 압축공기 주입압력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약액출력포트(24)는 일단이 약액탱크(23) 내부 바닥까지 연장되고, 다른 일단에 튜브피팅이 구비되며, 압축공기에 주입압력에 의해 약액탱크 내부 압력이 상승 되면, 약액출력포트(24)를 통하여 약액이 출력되므로, 무펌프 약액분무 시스템이 구축된다.
상기 이동식 분무모듈(20)은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구비된 대차(26)에 탑재되어 복수의 에어도킹부(12)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대차(26)에는 약액출력포트(24)를 통한 약액 출력 on/off 작동 및 약액 출력량이 제어부(26a)에 의해 조절되는 전동밸브(26b)가 구비된다. 제어부(26a)는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전동밸브(26b)를 구동하고, 전동밸브(26b)에 의해 약액출력포트(24)는 물론 에어출력포트(22) 및 약액탱크(23)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 on/off 제어 및 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6a)는 타이머에 의해 전동밸브(26b) 작동 시간이 설정되거나, 센서에 의해 약액탱크(23) 내부 수위를 검출하여 약액 소모량에 따라 전동밸브(26b) 작동이 제어되도록 설정되어 무인자동화로 구동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에는 에어분기관(30)과 약액분기관(40)이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에어분기관(30)은 이동식 분무모듈(20)의 에어출력포트(22)에 연결되고,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로 연장되어 압축공기를 이송하게 되며, 상기 약액분기관(40)은 상기 약액출력포트(24)에 연결되고, 에어분기관(30)과 나란히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로 연장되어 약액이 이송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분기관(30) 및 약액분기관(40)은 단부에 피팅플러그가 구비되어 에어출력포트(22) 및 약액출력포트(24)에 원터치방식으로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 고랑이나 중앙라인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류체 포그(50)는 상기 에어분기관(30)과 약액분기관(40)에 연결되고, 압축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약액을 미립자로 분무하도록 복수개소에 구비된다. 이류체 포그(50)는 이중의 분사물질 즉, 약액과 압축공기를 혼합분무하는 장치로서, 이류체 포그(50)는 지주대 또는 로프에 연결되어 지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별도의 튜브라인을 통하여 에어분기관(30) 및 약액분기관(40)에 각각 연결되어 약액과 압축공기가 동시에 공급되면서 압축공기 분사압력에 의해 약액이 미립자(10~30μm)로 균일하게 분무된다. 이때, 상기 에어분기관(30)에서 이류체 포그(5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각각의 튜브라인 마다 레귤레이터가 설치되어 복수의 이류체 포그(5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 압력이 균일하게 설정되어 약액 분무 입자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이류체 포그(50)는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 양측 가장자리부에 정, 역방향으로 배치되는바, 도 3과 같이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 좌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되는 이류체 포그(50)와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 우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되는 이류체 포그(50)는 약액 분무 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약액이 농축산업용 시설(1) 길이방향으로 왕복 분무되면서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 양측 가장자리부 영역을 따라 왕복 순환 기류(A)를 형성하므로 별도로 팬을 설치하지 않고도 10~30μm(micrometer) 크기의 분무액이 오랜시간동안 넓은 공간의 구석구석을 부유하게 되어 방제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농축산업용 시설(1) 폭방향으로 단일의 메인에어라인(10)이 시공되고, 메인에어라인(10)에 메인에어포트(12a)를 포함하는 복수의 에어도킹부(12)가 형성되며, 그 중 어느 하나의 에어도킹부(12)의 메인에어포트(12a)에 이동식 분무모듈(20)의 에어입력포트(21)를 연결하고, 에어출력포트(22) 및 약액출력포트(24)에 에어분기관(30) 및 약액분기관(40)을 각각 연결하면, 단일 에어입력포트(21)에 의해 압축공기 및 약액이 복합적으로 출력되는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이 간단하게 구축되고, 농축산업용 시설(1) 동별로 이동하며 해당 구역별로 약액을 분할 분무하므로 저렴한 시설비와 운영비로 압축기(C) 용량 대비 약액 분무 면적이 크게 확대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도면 및 설명에서는 농축산업에 적용하는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밀폐된 공간을 소독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축산업용 이동식 무펌프 약액 분무시스을 이용한 분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약액 분무시스템을 이용한 분무방법은, 준비단계(S1), 분무라인구축단계(S2), 약액분무단계(S3), 분무위치 변경단계(S4)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준비단계(S1)
본 발명에 따른 준비단계(S1)는, 복수동으로 구분되는 농축산업용 시설(1) 중 적어도 하나의 농축산업용 시설(1) 분무영역에 대응하는 용량의 압축기(C) 및 메인에어라인(10)을 이용하여 메인에어포트(12a)를 포함하는 복수의 에어도킹부(12)를 구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에어라인(10)은 복수동으로 구분되는 농축산용 시설(1)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일단에 압축기(C)가 연결되어 복수의 에어도킹부(12) 메인에어포트(12a) 중 어느 1개소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에어도킹부(12)는 메인에어라인(10)과 농축산업용 시설(1) 사이에 형성되어 이동식 분무모듈(20)이 도킹되는 공간부를 제공함과 더불어 메인에어라인(10)에 연결되는 메인에어포트(12a) 상에 에어레귤레이터 및 단속밸브를 통하여 압축공기 공급 on/off제어 및 압력이 제어된다.
2. 분무라인구축단계(S2)
본 발명에 따른 분무라인구축단계(S2)는, 상기 준비단계(S1) 이후, 이동식 분무모듈(20)을 어느 하나의 에어도킹부(12)로 이동하여, 에어도킹부(12)의 메인에어포트(12a)에 에어입력포트(21)를 연결하고, 에어출력포트(22)와 약액출력포트(24)를 에어분기관(30)과 약액분기관(40)에 각각 연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식 분무모듈(20)에는 에어도킹부(12)의 메인에어포트(12a)에 연결되도록 에어입력포트(21)가 구비되고, 에어입력포트(21)를 통하여 이동식 분무모듈(2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T형 분배관에 의해 에어라인이 이분할되어, 어느 하나의 에어라인은 단속밸브, 레귤레이터 및 튜브피팅이 구비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출력포트(22)를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에어라인은 약액탱크(23)로 연결되어 레귤레이터에 의해 압축공기 주입압력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약액출력포트(24)는 일단이 약액탱크(23) 내부 바닥까지 연장되고, 다른 일단에 튜브피팅이 구비된다. 이에 압축공기에 주입 압력에 의해 약액탱크(23) 내부 압력이 상승되면 약액출력포트(24)를 통하여 약액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식 분무모듈(20)은 대차(26)에 탑재되어 복수의 에어도킹부(12)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 연결되고, 대차(26)에는 약액출력포트(24)를 통한 약액 출력 on/off 작동 및 약액 출력량이 제어부(26a)에 의해 조절되는 전동밸브(26b)가 구비된다. 제어부(26a)는 전동밸브(26b)에 의해 약액출력포트(24)를 통한 약액 출력 on/off 작동 및 약액 출력량 제어, 또 전동밸브(26b)에 의해 에어출력포트(22) 및 약액탱크(23)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 이동 on/off 작동 및 이동량이 제어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제어부(26a)는 타이머에 의해 전동밸브(26b) 작동 시간이 설정되거나, 센서에 의해 약액탱크(23) 내부 수위를 검출하여 약액 소모량에 따라 전동밸브(26b) 작동을 제어하여 무인자동화로 구동가능하게 구비된다.
3. 약액분무단계(S3)
본 발명에 따른 약액분무단계(S3)는, 상기 분무라인구축단계(S2) 이후, 에어도킹부(12)의 메인에어포트(12a)로 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에어출력포트(22)로 출력하고, 에어도킹부(12)의 메인에어포트(12a)로 부터 압축공기 일부를 공급받아 약액탱크(23) 내부 약액을 압축하여 약액출력포트(24)로 출력하며, 에어출력포트(22)와 약액출력포트(24)를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공기와 약액은 이류체 포그(50)를 통하여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에 분무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에어분기관(30)은 에어출력포트(22)에 연결되고,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로 연장되어 압축공기를 이송하도록 구비되고, 약액분기관(40)은 상기 약액출력포트(24)에 연결되고, 에어분기관(30)과 나란히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로 연장되어 약액을 이송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분기관(30) 및 약액분기관(40)은 단부에 피팅플러그가 구비되어 에어출력포트(22) 및 약액출력포트(24)에 원터치방식으로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 고랑이나 중앙라인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류체 포그(50)는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 양측 가장자리부에 정, 역방향으로 배치되는바, 도 3과 같이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 좌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되는 이류체 포그(50)와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 우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되는 이류체 포그(50)는 서로 역방향으로 분사방향이 설정된다. 이로 인해 약액이 농축산업용 시설(1) 길이방향으로 분무되면서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 양측 가장자리부 영역을 따라 왕복 순환 기류(A)를 형성하므로 방제효율이 향상된다.
4. 분무위치 변경단계(S4)
본 발명에 따른 분무위치 변경단계(S4)는, 상기 약액분무단계(S3)가 완료되면, 이동식 분무모듈(20)을 분리한 후, 다른 하나의 농축산업용 시설(1)과 대응하는 에어도킹부(12)로 이동하고, 상기 준비단계(S1), 분무라인구축단계(S2) 및 약액분무단계(S3)를 반복 수행하여 복수의 농축산업용 시설(1)에 대해 약액을 분무하는 단계이다.
즉, 어느 하나의 농축산업용 시설(1)에 대한 약액 분무작업이 완료되면, 에어입력포트(21), 에어출력포트(22) 및 약액출력포트(24)을 분리하는 작업만으로 이동식 분무모듈(20)이 간단하게 분리되고, 이후 다른 농축산업용 시설(1)과 대응하는 에어도킹부(12)의 메인에어포트(12a)에 이동식 분무모듈(20)의 에어입력포트(21)를 연결하고, 에어출력포트(22) 및 약액출력포트(24)에 에어분기관(30) 및 약액분기관(40)을 연결하면 이동설치가 완료된다.
이어서 에어입력포트(21)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주입되면, 에어출력포트(22) 및 약액출력포트(24)를 통하여 압축공기 및 약액이 복합적으로 출력되어 약액 분무작업이 수행된다.
이처럼,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농축산용 시설(1) 동에 대한 약액 분무작업이 완료되면, 다른 에어도킹부(12) 즉, 농축산업용 시설(1) 동별로 이동하며 해당 구역별로 약액이 분무되므로 저렴한 시설비와 운영비로 압축기 용량 대비 약액 분무 면적이 크게 확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농축산용 시설 10: 메인에어라인
12: 에어도킹부 12a: 메인에어포트
20: 이동식 분무모듈 21: 에어입력포트
22: 에어출력포트 23: 약액탱크
24: 약액출력포트 26: 대차
26a: 제어부 26b: 전동밸브
30: 에어분기관 40: 약액분기관
50: 이류체 포그 C: 압축기

Claims (4)

  1. 압축기(C)에 연결되고, 복수동으로 구분되는 농축산용 시설(1)과 대응하는 위치마다 메인에어포트(12a)를 포함하는 복수의 에어도킹부(12)가 구비되는 메인에어라인(10);
    상기 에어도킹부(12) 중 어느 하나에 도킹되어, 공급받은 압축공기를 출력하는 에어출력포트(22)와, 공급받은 압축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약액탱크(23)에 저장된 약액을 출력하는 약액출력포트(24)가 구비되는 이동식 분무모듈(20);
    상기 에어출력포트(22)에 연결되고, 농축산용 시설(1) 내부로 연장되어 압축공기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에어분기관(30);
    상기 약액출력포트(24)에 연결되고, 에어분기관(30)과 나란히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로 연장되어 약액을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약액분기관(40);
    상기 에어분기관(30)과 약액분기관(40)에 연결되고, 압축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약액을 미립자로 분무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이류체 포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업용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분무모듈(20)은 바퀴가 구비된 대차(26)에 탑재되며,
    상기 에어도킹부(12)의 메인에어포트(12a)에 연결되는 에어입력포트(21)와, 에어입력포트(21)로 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레귤레이터 설정압으로 출력되는 에어출력포트(22)와, 에어입력포트(21)로 부터 공급받아 레귤레이터 설정압력으로 출력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약액이 압축되는 약액탱크(23)와, 약액탱크(23)에서 압축된 약액을 출력하는 약액출력포트(24)로 구성됨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업용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류체 포그(50)는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 양측 가장자리부에 정,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농축산업용 시설(1) 길이방향으로 분무되면서 농축산용 시설(1) 내부 양측 가장자리부 영역을 따라 왕복 순환 기류(A)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업용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4. 상기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농축산업용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을 이용하여 약액을 분무하는 농축산업용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을 이용한 분무방법에 있어서,
    복수동으로 구분되는 농축산용 시설(1) 중 적어도 하나의 농축산업용 시설(1) 분무영역에 대응하는 용량의 압축기 및 메인에어라인(10)을 이용하여 메인에어포트(12a)를 포함하는 복수의 에어도킹부(12)를 구축하는 준비단계(S1);
    상기 준비단계(S1) 이후, 이동식 분무모듈(20)을 어느 하나의 에어도킹부(12)로 이동하여, 에어도킹부(12)의 메인에어포트(12a)에 에어입력포트(21)를 연결하고, 에어출력포트(22)와 약액출력포트(24)를 에어분기관(30)과 약액분기관(40)에 각각 연결하는 분무라인구축단계(S2);
    상기 분무라인구축단계(S2) 이후, 에어도킹부(12)의 메인에어포트(12a)로 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에어출력포트(22)로 출력하고, 에어도킹부(12)의 메인에어포트(12a)로 부터 압축공기 일부를 공급받아 약액탱크(23) 내부 약액을 압축하여 약액출력포트(24)로 출력하며, 에어출력포트(22)와 약액출력포트(24)를 통하여 출력되는 압축공기와 약액은 이류체 포그(50)를 통하여 농축산업용 시설(1) 내부에 분무되는 약액분무단계(S3); 및
    상기 약액분무단계(S3)가 완료되면, 이동식 분무모듈(20)을 분리한 후, 다른 하나의 농축산업용 시설(1)과 대응하는 에어도킹부(12)로 이동하고, 상기 준비단계(S1), 분무라인구축단계(S2) 및 약액분무단계(S3)를 반복 수행하여 복수의 농축산업용 시설(1)에 대해 약액을 분무하는 분무위치 변경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업용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을 이용한 분무방법.
KR1020190024913A 2019-03-04 2019-03-04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 KR102159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913A KR102159382B1 (ko) 2019-03-04 2019-03-04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913A KR102159382B1 (ko) 2019-03-04 2019-03-04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403A KR20200106403A (ko) 2020-09-14
KR102159382B1 true KR102159382B1 (ko) 2020-09-23

Family

ID=7247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913A KR102159382B1 (ko) 2019-03-04 2019-03-04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965B1 (ko) * 2020-09-01 2023-01-04 신홍건 다용도 이류체 포그 분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
KR102520778B1 (ko) * 2020-09-23 2023-04-13 고동환 실내 식물 재배기용 물 분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903B1 (ko) 2007-03-03 2009-08-05 이제택 농약살포기
KR101049150B1 (ko) 2008-09-25 2011-07-14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친환경 방제 시스템
KR101951750B1 (ko) 2018-06-29 2019-02-25 (주)동서그린 이동식 포그 방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109Y1 (ko) 2004-03-10 2004-07-03 김범식 농축산용 안개분무장치
KR101029883B1 (ko) 2008-12-03 2011-04-15 삼양철강 (주)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903B1 (ko) 2007-03-03 2009-08-05 이제택 농약살포기
KR101049150B1 (ko) 2008-09-25 2011-07-14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친환경 방제 시스템
KR101951750B1 (ko) 2018-06-29 2019-02-25 (주)동서그린 이동식 포그 방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403A (ko)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9985B2 (en) Fogponic plant growth system
EP3348141B1 (en) Device for controlling pests in plant cultivation room
KR102159382B1 (ko)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
CN202907577U (zh) 气雾栽培系统
KR101551353B1 (ko) 비가열식 무인 연막기
CN103190354A (zh) 一种猪舍系统
CN203934555U (zh) 一种超声波雾化施药装置
KR20130007122A (ko) 약제 분무장치
KR102053642B1 (ko)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WO2019088361A1 (ko) 약액분무 시스템
CN104738011A (zh) 静电喷雾装置及其方法
CA2892131A1 (en) Fogponic plant growth system
KR101956180B1 (ko) 추진 분사식 해충 방제기 및 그를 구비하는 이류체 압축 방식의 추진 분사식 해충 방제시스템
KR20170136100A (ko) 비닐하우스 내 액상물 살포 장치
CN203435505U (zh) 一种自动加湿、降温、消毒控制系统
CN204709457U (zh) 适于畜禽养殖场的高效自动外环境消毒车
KR101754815B1 (ko)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CN204542973U (zh) 一种新型畜牧养殖场空间雾化消毒系统
CN207070701U (zh) 农田灌溉打药系统
CN105900963A (zh) 一种果树喷药装置
CN206507041U (zh) 用于乌骨鸡育成鸡笼架
CN202907580U (zh) 养殖环境加湿、降温、消毒一体控制系统
CN107744598A (zh) 一种精准控制的养殖场消毒设备
KR20190007605A (ko) 관수 및 쿨링 기능을 갖는 공기 와류 발생 무인 방제 장치
KR20180064000A (ko) 약액분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