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642B1 -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642B1
KR102053642B1 KR1020190069197A KR20190069197A KR102053642B1 KR 102053642 B1 KR102053642 B1 KR 102053642B1 KR 1020190069197 A KR1020190069197 A KR 1020190069197A KR 20190069197 A KR20190069197 A KR 20190069197A KR 102053642 B1 KR102053642 B1 KR 102053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ug
supplied
spray
su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프트아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프트아쿠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프트아쿠아
Priority to KR1020190069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복수의 분무노즐을 이용하여 물과 약품이 혼합된 혼합액을 축사내로 분무하는 안개분무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은 희석된 약물을 공급하는 자동투약장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제1 물에 압력을 가하여 공급하는 가압펌프; 상기 가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제1 물이 통과하면서 여과되는 여과장치; 상기 여과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1 물과 상기 자동투약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이 혼합되는 혼합부; 상기 혼압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물과 상기 약물의 혼합액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상기 축사 내로 공급하는 고압펌프; 상기 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혼압액을 상기 축사 내의 공간으로 이송하는 혼압액 이송배관; 상기 혼압액 이송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혼압액을 분무하는 분무 노즐; 및 상기 축사 내에 수직방향으로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제1 환기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2 환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환기구 및 상기 제2 환기구 사이의 공간부에는 팬부가 구비되는 에어순환기둥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Smart system of barn management with mist spraying system}
본 발명은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 등의 악취 제거 및 방역소독을 위한 환경개선제 등의 약품을 축사 등에 효과적으로 분무할 수 있는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나 퇴비를 제조 보관하는 퇴비사는 이들 가축이 배설하는 대소변 등의 배설물이 부패하거나 또는 퇴비가 발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제거나 분뇨 또는 퇴비의 발효 촉진, 또는 전염병의 방제를 위한 방역소독 등의 목적에서 각종 미생물이나 환경개선제 또는 방역소독제 등을 정기 또는 부정기적으로 살포하고 있고, 최근에는 이를 위한 안개분무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안개분무시스템에 관한 종래기술의 예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등이 있다.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물탱크에 채워진 약품이 혼합된 물을 고압 펌프를 이용하여 송출하여 축사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미세한 입자 형태로 축사 내부로 분사하는 분무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어부는,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와 습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습도로부터 산출된 열량지수와 기입력된 기준 열량지수를 비교하여 기준 열량지수 범위 내에서 분무장치가 구동되도록 각 수단을 제어하며, 실내 온도가 섭씨 10도 이하일 경우 또는 습도가 70 이상일 경우에는 구동을 정지시키는 인공지능 가습모드, 또는 , 습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습도와 기설정된 기준 습도와 비교하여 축사 내의 습도가 기준 습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습도 제어 가습 모드,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가습시간 및 가습 주기에 따라서 제어하는 타이머 가습 모드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축사용 분무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축사의 방역소독은 통상 1개소에 설치된 하나의 분무시스템에 의해 전체 축사를 한꺼번에 소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넓은 면적의 축사를 한꺼번에 방역소독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물과 약품의 혼합액이 필요하므로 대용량의 물탱크가 필요하다.
그러나 축사용 분무시스템 전체 면적에서 물탱크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중은 비교적 크므로 대용량의 물탱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만큼 분무시스템이 차지하는 면적도 증가할 수밖에 없고, 반대로 소규모의 축사를 방역소독하거나 또는 대규모 축사의 일부만을 방역소독하는 경우에는 소량의 물만 있어도 충분하므로 굳이 큰 용량의 물탱크를 갖는 분무시스템이 불필요한 경우도 있다.
또한 일단 물과 혼합된 약품 혼합액은 혼합 즉시 사용하지 않으면 약품이 물탱크 바닥에 침전되거나 굳어지거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재사용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축사용 분무시스템의 설치면적의 축소 및 이에 따른 비용 감소를 위해서는 축사용 분무시스템이 차지하는 전체 면적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물탱크의 크기를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좋으며, 물과 약품의 혼합액은 가능한 적게 만들어서 혼합한 즉시 모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축사용 분무시설에서는 분무를 위해 약제와 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하고 있고, 이 혼합액을 만들기 위한 물로 통상 지하수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하수에는 물 이외의 다른 이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축사용 분무장치는 분무노즐을 통해서 물과 약품의 혼합액을 축사 내로 분무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들 이물질이 분무노즐을 막아서 분무가 곤란해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가사 지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통상의 여과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물과 약품의 혼합액을 일정한 압력으로 분무노즐로 압송하는 압송용 펌프의 압송력이 여과장치에서 소모되어서, 결과적으로 분무노즐의 압력이 저하되게 된다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분무노즐에 공급되는 혼합액의 압력이 적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혼합액이 안개 형상의 미세한 입자상태로 분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약물의 낭비량을 저감하고, 필요에 따라 적합한 양의 혼합액을 공급할 수 있는 안개분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축사 내의 환경을 고려하여 약물을 포함하는 혼합액을 분무할 수 있는 안개분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복수의 분무노즐을 이용하여 물과 약품이 혼합된 혼합액을 축사내로 분무하는 안개분무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은 희석된 약물을 공급하는 자동투약장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제1 물에 압력을 가하여 공급하는 가압펌프; 상기 가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제1 물이 통과하면서 여과되는 여과장치; 상기 여과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1 물과 상기 자동투약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이 혼합되는 혼합부; 상기 혼압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물과 상기 약물의 혼합액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상기 축사 내로 공급하는 고압펌프; 상기 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혼압액을 상기 축사 내의 공간으로 이송하는 혼압액 이송배관; 상기 혼압액 이송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혼압액을 분무하는 분무 노즐; 및 상기 축사 내에 수직방향으로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제1 환기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2 환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환기구 및 상기 제2 환기구 사이의 공간부에는 팬부가 구비되는 에어순환기둥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무 노즐 중 상기 축사의 외벽 측에 구비되는 분무 노즐은 타 분무 노즐에 비하여 고압으로 혼합액을 분사하는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환기구는 상기 축사의 벽체 상부에 구비되는 환기창의 높이에 비하여 같거나 높게 형성되는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창에는 환풍기가 구비되는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사의 바닥 상에 또는 상기 축사의 지면 아래에는 외부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공급관이 구비되고, 상기 에어공급관에는 복수의 에어 배출구가 형성되는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배출구는 상기 에어공급관의 저면에 형성되는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투약장치는, 약물이 저장되는 약물 탱크; 상기 약물 탱크에 저장된 약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는 투약펌프;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2 물을 이용하여 상기 투약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을 희석하는 희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희석부는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희석부 중 어느 한 희석부에 의하여 혼합부에 상기 물과 상기 약물의 희석액이 공급되는 경우 타 희석부에는 상기 제2 물을 이용하여 상기 약물의 희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물의 공급 전 희석액을 순차적으로 일정양을 제조하여 이를 약물의 혼합에 이용함으로써 약물의 낭비량을 저감하고, 필요에 따라 적합한 양의 혼합액을 공급할 수 있으며, 축사 내의 환경을 고려하여 필요한 혼합액의 분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통신 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을 이용하여 축사의 환경 데이터 등을 전송 받고, 이를 활용한 안개분무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축사의 운용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분무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혼합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분무시스템 중 축사 내 구성부들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위한 구성부들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분무시스템의 일부 구성부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분무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혼합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분무시스템(100)은 물탱크(110), 가압펌프(120), 여과장치(130), 홉합부(135), 고압펌프(140), 공기압축기(150), 자동투약장치(17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물탱크(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한다. 종래에는 자동투약장치(170)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을 혼합하여 혼합액(이하, 물과 약품이 혼합된 혼합액을 간단히 '혼합액'이라고 한다.)을 저장하였으나, 이 경우 약물을 직접 물탱크(110)에 혼합하거나 미리 희석하여 물탱크(110)에 혼합하는 것과 관계없이 물탱크에서 비교적 장시간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약물의 침전 등이 발생하게 되며, 장시간 대기 후 혼합액을 축사에 공급하는 경우 약물의 변질이 발생할 우려도 있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110)에는 약물을 포함하지 않으며, 물탱크(110)에 공급되는 물은 지하수 또는 수독물 등일 수 있고, 물은 미 도시의 물 공급용 펌프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급수(1) 된다.
또한 물탱크(110)의 앞쪽에는 외부로부터 물탱크(11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계측하는 유량계(190)가 설치되어 있고, 유량계(190)에 의해 계측된 물의 양은 제어부(미도시)로 통보된다.
가압펌프(120)는 물탱크(110)에 저장된 혼합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장치(130)를 통과하면서 걸러지기에 적절한 압력으로 여과장치(130)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여과장치(130)는 물탱크에 저장한 혼합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장치이며, 여과용 천이나 카트리지 또는 활성탄 등의 다양한 방식의 여과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혼합부(135)는 여과장치(130)를 통과한 물과 자동투약장치(170)로부터 공급되는 약물 희석액을 혼합하는 구성부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부(135)는 혼합부의 입측(여과장치 측) 및 출측(고압펌프 측)의 배관에 비하여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제1 내경 확대부(1351) 및 제2 내경 확대부(1352)를 포함한다. 제1내경 확대부(1351)에는 희석부로부터 희석액이 유입되며, 제1 내경 확대부(1351) 및 제2 내경 확대부(1352) 사이에는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부(1353)이 형성된다. 연결부(1353)는 혼합부의 입측 및 출측의 배관을 잇는 가상의 연장선 상에서 겹치지 않도록 빗겨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입측 출측의 배관의 연장선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물과 희석액의 혼합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연결부(1353)는 제1 내경 확대부(1351) 및 제2 내경 확대부(1352)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펌프(140)는 혼합부(135)를 통과한 혼합액을 축사(200) 내에 설치된 복수의 분무노즐(210)에 공급한다. 이 때 고압펌프(140)는 혼합액을 복수의 분무노즐(210)이 안개 모양의 미세한 입자로 분무하기에 적합한 압력으로 복수의 분무노즐(210)에 공급한다.
공기압축기(150)는 외부 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압축한 압축공기를 복수의 분무노즐(210)에 공급하는 수단이며, 본 발명의 안개분무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축사(210)에 혼합액을 분무한 후에 압축공기를 고압펌프(140)와 복수의 분무노즐(210) 사이를 연결하는 관로 및 복수의 분무노즐(210)에 공급하여 이들 관로의 내부와 복수의 분무노즐(210)의 내부에 잔류하는 잔류 혼합액 및 노즐 팁에 잔류하는 혼합액의 액적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이들이 관로 및 복수의 분무노즐(210) 내에서 응고하여 이들의 틈새를 막거나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겨울철에 관로 및 분무노즐(210)들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자동투약장치(170)는 물탱크(110) 내에 저장된 물에 축사(200)의 방역소독 등에 필요한 약품을 공급하는 수단이며, 약품탱크(173), 투약펌프(175) 및 희석부(177)를 포함한다.
약품탱크(173)는 축사(200)에 투여할 약품을 저장하는 수단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내부에 저장된 약품을 일정한 온도록 유지하기 위한 보온수단 및 약품탱크(173)를 가온하기 위한 히터나 가열용 램프 등의 가온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투약펌프(175)는 후술하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약품탱크(173)에 저장된 약품을 희석부(177)로 공급하는 약품 공급수단이다.
희석부(177)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투약펌프(175)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을 희석한다. 이 때 여과장치(130)로부터 배출되는 여과된 물 중 일부를 이용하여 희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희석부(177)는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희석부(177) 중 어느 한 희석부로부터 혼합부에 희석액이 공급되는 경우 비어있는 타 희석부(177)에는 외부의 물을 이용하여 별도의 약물 희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희석부(177)는 연속적으로 희석액을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희석부를 이용하여 일정한 번갈아 희석액을 제조하여 적정양 만을 혼합부(135)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약품 또는 약물이란 축사(200) 내의 악취의 제거나 분뇨의 발효 촉진 또는 전염병의 방제를 위한 방역소독 등의 목적에서 축사(200) 내로 투여되는 각종 미생물이나 환경개선제 또는 방역소독제 등을 총칭한다.
악취제거제로는 등록 특허 10-1537774호 '악취제거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황산구리(CuSO4·5H2O), 황산, 질산, 염산, 초산, 시트릭산, 살리실산, 주석산, 말레인산, 젖산, 사과산, 아스코빅산 및 피막형성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안개분무 시스템 중 축사 내 구성부들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분무시스템 중 축사 내 구성부들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축사(200)는 예를 들어 소, 돼지, 닭과 같은 가축을 내부에 수용하여 수용된 가축을 사육하는 건물이며, 그 형태나 크기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분무노즐(210)은 축사(200) 내의 천장 등 적절한 장소에 예를 들어 일 열 또는 이 열 이상으로 복수 개소에 복수 개 설치되어서 고압펌프를 통하여 공급되는 혼합액을 축사(200) 내부에 안개 형상의 미세한 입자로 골고루 분무하는 분무수단이다. 혼합액을 이용하여 단시간에 대량의 안개 형태의 분무 입자를 생성하여 분무할 수 있고 노즐 막힘 등이 적은 핀 충격식 노즐을 이용할 수 있다. 혼압액은 혼압액 이송배관(205)들을 통하여 축사(200) 내로 이송된다.
한편, 분무 노즐(210) 중 축사(200)의 외벽 측, 특히 대향하는 환기창(230)들을 잇는 환기 방향의 양끝부분에 구비되는 분무 노즐(211)은 타 분무 노즐에 비하여 고압으로 혼합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압의 혼압액 분사를 외측에서 수행함으로써 일종의 벽을 형성하여 환기가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에도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환기창(230)은 축사(200)의 벽체 상부에 형성되며, 기존의 출입구 등과는 별도로 형성된다. 이 때 환기창(230)에는 환풍기 등을 설치하여 능동적으로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축사환경 조절부(220, 240)는 에어순환기둥(220) 및 에어공급관(240)을 포함한다.
에어순환기둥(220)은 축사(200) 내에 수직방향으로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에어순환기둥(220)의 하부에 제1 환기구(22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2 환기구(223)가 형성된다. 제1 환기구(221) 및 제2 환기구(223) 사이의 공간부에는 팬부(225)가 역방향 및 정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에어순환기둥(220)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상하의 공기 순환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인 축사의 경우 자연 환기 또는 공기 순환에 의할 수 밖에 없으며, 대형 서큘레이터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공기의 순환이 발생함으로써 축사 내 환경 유지에 불리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공기 순환을 위한 기둥구조의 에어순환기둥(220)을 통하여 상하 방향의 공기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제2 환기구(223)는 축사의 벽체 상부에 구비되는 환기창(230)의 높이에 비하여 같거나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 하부의 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축사의 경우 외기 또는 축사 내의 공기에 비하여 저면에 물이 고여 있는 등 습도가 높은 환경이 유지되기가 쉬우며 이 경우 각종 부폐를 유발하는 잡균의 번식이 유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순환기둥(220)을 형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축사 바닥의 습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에어공급관(240)은 축사의 바닥 상에 또는 축사의 지면 아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관 형상으로 구비된다. 에어공급관(240)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주입될 수 있으며, 이 때 에어공급관(240)의 저면에 형성된 에어배출구(241)을 통하여 공급된 에어가 배출될 수 있다. 에어공급관(240)은 예를 들어 에어레이션을 통하여 축사 바닥의 지면으로부터 과도한 수분을 증발시키고 습기를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위한 구성부들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센싱부(400)는 축사 내 및 상기 축사 외의 습도 및 온도와 축사 내의 공기의 질을 측정하는 각종 계측기일 수 있다. 센싱부(400)는 앞서 설명한 각 단위 구역들에 각각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의 질과 관련된 데이터를 측정하여 제어부(300)에 제공한다. 온도계(410)를 통하여 축사 내외의 온도를 측정하고, 습도계(420)를 통하여 축사 내외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공기질 측정센서(430)는 다양한 센서들을 통칭하며,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연소가스(CO, NO2, SO2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 탄화수소류, 타르, 니코틴 등의 공기 내 함유량을 측정하며, 부폐가스의 함유량도 함께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축사 외의 측정은 별도의 정보 제공 서버(5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축사가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외기 온도, 습도 및 대기의 질 정보 등을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5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제어부(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량계(190), 가압펌프(120), 자동투약장치(170), 고압펌프(140) 및 공기압축기(15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를 수행하며, 각종 제어상태와 관련된 정보와 수집된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기(40)에 전송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300)는 센싱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축사 내의 습도 정보로부터 기 저장된 목표 습도를 고려하여 축사 내에 공급될 약물의 희석 농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유량계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양을 더 고려하여 약물의 희석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혼압액의 분사에 따라 예상되는 온도 및 습도의 변동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 및 습도의 변동값을 고려하여 에어순환기둥(220) 및 에어공급관(240)을 이용하여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혼합액의 축사 내 공급 이전에 온도, 습도 및 공기의 질에 대한 목표 축사 환경지수와 혼압액의 공급에 따른 축사 환경 변동지수를 고려하여 축사 내의 온도 제어, 습도 제어 및 환기 제어를 미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목표 축사 환경지수와 센싱부로부터 전달된 습도 및 공기의 질 정보를 비교하여 축사 내의 습도와 공기의 질 수치가 목표 축사 환경지수보다 과도하게 높은 경우 에어공급관을 통하여 에어를 공급하고 에어순환기둥에 의한 에어 순환을 수행함으로써 혼합액의 공급에 따른 예상되는 환경 변화치를 고려한 선행 축사환경 개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센싱부로부터 축사 내외의 온도 및 습도와 상기 축사 내의 공기의 질 데이터를 전달받는 데이터 수집 단계와, 상기 전달된 데이터로부터 목표 습도에 부합하는 상기 혼압액의 농도를 산출하는 농도 산출 단계와, 상기 산출된 혼압액의 농도에 따라 상기 유량계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전달받아 상기 희석부에서의 희석액 농도를 산출하는 희석액 농도 산출단계와, 상기 산출된 희석액 농도 산출단계에 따라 희석부가 희석하는 제1 희석액 제조단계와, 희석액을 물과 혼합하여 상기 축사내로 공급하는 혼합 및 공급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혼압 및 공급단계를 통하여 제1 희석액을 소진하면서 혼합액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산출된 혼압액의 농도에 따라 상기 희석부가 별도의 희석액을 제조하는 제2 희석액 제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혼합 및 공급단계에서는 제1 희석액의 소진 후 상기 제2 희석액을 공급하여 혼합액을 형성하는 방식과 같이 번갈아 일정량의 희석액을 생성한 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혼합액을 분무한 후에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가 유발된다. 따라서 혼합 및 공급단계 이전에 축사환경 조절부가 온도, 습도 및 공기의 질에 대한 목표 축사 환경지수와 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혼압액에 의한 축사 환경 변동지수를 고려하여 축사 내의 온도 제어, 습도 제어 및 환기 제어를 수행하는 사전 환경조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목표 축사 환경지수는 온도, 습도 및 공기의 질 등 축사의 관리를 위하여 목표로하는 값을 의미하며, 축사 환경 변동지수는 혼합액의 일정량 분무를 통하여 변동되는 값을 의미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10: 물탱크
120: 가압펌프
130: 여과장치
135: 혼합부
140: 고압펌프
150: 공기압축기
170: 약품탱크
175: 투약펌프
177: 희석부
190: 유량계
210, 211: 분무 노즐
220: 에어순환기둥
240: 에어공급관
300: 제어부
400: 센싱부
410: 온도계
420: 습도계
430: 공기질 측정부

Claims (8)

  1. 복수의 분무노즐을 이용하여 물과 약품이 혼합된 혼합액을 축사내로 분무하는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으로서,
    희석된 약물을 공급하는 자동투약장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제1 물에 압력을 가하여 공급하는 가압펌프;
    상기 가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제1 물이 통과하면서 여과되는 여과장치;
    상기 여과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1 물과 상기 자동투약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이 혼합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물과 상기 약물의 혼합액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상기 축사 내로 공급하는 고압펌프;
    상기 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혼합액을 상기 축사 내의 공간으로 이송하는 혼합액 이송배관;
    상기 혼합액 이송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액을 분무하는 분무 노즐; 및
    상기 축사 내에 수직방향으로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제1 환기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2 환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환기구 및 상기 제2 환기구 사이의 공간부에는 팬부가 구비되는 에어순환기둥을 포함하는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분무 노즐 중 상기 축사의 외벽 측에 구비되는 분무 노즐은 타 분무 노즐에 비하여 고압으로 혼합액을 분사하는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환기구는 상기 축사의 벽체 상부에 구비되는 환기창의 높이에 비하여 같거나 높게 형성되는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축사의 지면 아래에는 외부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공급관이 구비되고, 상기 에어공급관에는 복수의 에어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 배출구는 상기 에어공급관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축사 지면의 에어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환기창에는 환풍기가 구비되며,
    상기 자동투약장치는,
    약물이 저장되는 약물 탱크;
    상기 약물 탱크에 저장된 약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는 투약펌프;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2 물을 이용하여 상기 투약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을 희석하는 희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희석부는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희석부 중 어느 한 희석부에 의하여 혼합부에 상기 물과 상기 약물의 희석액이 공급되는 경우 타 희석부에는 상기 제2 물을 이용하여 상기 약물의 희석 작업을 수행하는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69197A 2019-06-12 2019-06-12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KR102053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197A KR102053642B1 (ko) 2019-06-12 2019-06-12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197A KR102053642B1 (ko) 2019-06-12 2019-06-12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642B1 true KR102053642B1 (ko) 2020-01-22

Family

ID=6936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197A KR102053642B1 (ko) 2019-06-12 2019-06-12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6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641B1 (ko) 2020-02-27 2020-10-21 동양정보서비스(주) 가축 농가의 축사 관리 시스템 및 축사 관리 방법
CN112023083A (zh) * 2020-09-08 2020-12-04 安徽省天长市周氏羊业有限公司 一种用于羊养殖场的自动消毒装置
KR102213530B1 (ko) * 2019-12-23 2021-02-09 농업회사법인 씨엔테크주식회사 다기능 액체 살포장치
KR20230100392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더블유피 액비화 처리설비와 연계한 악취저감용 안개분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943B1 (ko) * 2007-09-29 2009-08-20 최제영 약제 분무 장치
KR101850683B1 (ko) * 2016-05-16 2018-04-20 박동호 난 재배 전용 하우스
KR20180118350A (ko) * 2017-04-21 2018-10-31 문정곤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KR20190005376A (ko) * 2017-07-06 2019-01-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943B1 (ko) * 2007-09-29 2009-08-20 최제영 약제 분무 장치
KR101850683B1 (ko) * 2016-05-16 2018-04-20 박동호 난 재배 전용 하우스
KR20180118350A (ko) * 2017-04-21 2018-10-31 문정곤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KR20190005376A (ko) * 2017-07-06 2019-01-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독제 희석액 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530B1 (ko) * 2019-12-23 2021-02-09 농업회사법인 씨엔테크주식회사 다기능 액체 살포장치
KR102168641B1 (ko) 2020-02-27 2020-10-21 동양정보서비스(주) 가축 농가의 축사 관리 시스템 및 축사 관리 방법
CN112023083A (zh) * 2020-09-08 2020-12-04 安徽省天长市周氏羊业有限公司 一种用于羊养殖场的自动消毒装置
KR20230100392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더블유피 액비화 처리설비와 연계한 악취저감용 안개분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642B1 (ko)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KR102102732B1 (ko)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KR102053644B1 (ko)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092259B1 (ko) 안개분무 시스템
US10999985B2 (en) Fogponic plant growth system
KR102053639B1 (ko)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제어방법
CN103347820B (zh) 水处理系统
KR101201440B1 (ko) 축사용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1674149B1 (ko)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KR100912943B1 (ko) 약제 분무 장치
KR20130007122A (ko) 약제 분무장치
US20120224994A1 (en) Air cleaning apparatus
CN107135978A (zh) 家禽舍除味系统及除味方法和应用
WO2019088361A1 (ko) 약액분무 시스템
WO2019238503A1 (de) Vorrichtung zum desinfizieren zumindest eines raums, insbesondere personen-aufenthaltsraums, mit einem zerstäuber
CA2892131A1 (en) Fogponic plant growth system
KR102159382B1 (ko)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
CN101422626A (zh) 环境净化装置
KR102345583B1 (ko) 비가열식 방제기 시스템
US20210252179A1 (en) Integrated fogging system providing atomized solution to an enclosed treatment area and related methods
KR101126358B1 (ko)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
KR101896514B1 (ko)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
KR101990544B1 (ko) 식수 및 소독수 겸용 자동 이산화염소 투입기
CN205031596U (zh) 气体除臭洗涤设备
CN216536263U (zh) 一种猪场道路喷淋消毒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