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8350A -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8350A
KR20180118350A KR1020170051525A KR20170051525A KR20180118350A KR 20180118350 A KR20180118350 A KR 20180118350A KR 1020170051525 A KR1020170051525 A KR 1020170051525A KR 20170051525 A KR20170051525 A KR 20170051525A KR 20180118350 A KR20180118350 A KR 20180118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indoor space
disinfection
disinfecting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곤
Original Assignee
문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곤 filed Critical 문정곤
Priority to KR1020170051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8350A/ko
Publication of KR20180118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사용자의 입력 조건에 따라 실내공간에 소독제를 분사하여 방역하는 방역분사부를 구비하는 소독장치; 및 소독장치와 무선통신하여 소독장치의 상태정보를 입력받거나 소독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사용자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소독장치는 실내공간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센서, 미세먼지 농도를 센싱하는 먼지센서를 구비하여 실내조건을 센싱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조건이 아닌 상태에서 센싱한 실내조건이 기설정된 값을 벗어날 경우, 방역분사부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간을 정기적으로 소독할 때에 미세먼지 농도,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센싱하고, 실내의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소독제를 실내공간에 분사하여 살균소독과 미세먼지 농도 및 습도를 개선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 실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공기질환으로 인한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Smart steriliz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내공간을 정기적으로 소독할 때에 미세먼지 농도,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센싱하고, 실내의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소독제를 실내공간에 분사하여 살균소독 및 미세먼지 농도와 습도를 개선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점점 향상되면서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보다 쾌적하고 깨끗한 공기를 원하는 시대가 되었다. 하지만, 공기 속에서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바이러스, 자동차 등에서 배출되는 매연 및 화력발전에 의한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어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미세먼지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유해물질에 노출되고 있다.
특히, 어린이집이나, 학교, 지하터미널, 지하쇼핑센터 또는 지하철 역사 등과 같은 한정된 공간은 많은 사람이 운집되어 있고, 공기의 유동이 크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바이러스 및 유입된 오염물질은 특별하게 처리하지 않는 한 내부공간에 그대로 정체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이유로, 실내에 유입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공기청정기는 실내의 전체적인 환경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실내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만을 제거하기 때문에 실내의 전체적인 환경을 개선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실내공간이 커서 공기청정기를 여러 개 설치한 경우에, 관리자는 복수의 공기청정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데 많은 시간을 사용해야 하는 측면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단순히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만 있을 뿐, 공기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한 물질을 효과적으로 살균하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에, 특정 공간에 거주 또는 유동하는 사람들의 건강 및 편의를 위하여 실내환경을 종합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한국실용신안 제20-0371170호, 2004년 12월 23일)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공간을 정기적으로 소독할 때에 미세먼지 농도,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센싱하고, 실내의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소독제를 실내공간에 분사하여 살균소독과 미세먼지 농도 및 습도를 개선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는 실내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사용자의 입력 조건에 따라 실내공간에 소독제를 분사하여 방역하는 방역분사부를 구비하는 소독장치; 및 소독장치와 무선통신하여 소독장치의 상태정보를 입력받거나 소독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사용자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소독장치는 실내공간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센서, 미세먼지 농도를 센싱하는 먼지센서를 구비하여 실내조건을 센싱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조건이 아닌 상태에서 센싱한 실내조건이 기설정된 값을 벗어날 경우, 방역분사부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소독장치는 실내공간의 미세먼지 농도, 온도 및 습도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소독장치는 비콘을 구비하여 각 상태정보를 공유하고, 소독장치 중 하나는 외부와 통신가능한 통신모듈을 구비한 메인 소독장치이며, 메인 소독장치는 소독장치의 상태 정보를 공유하여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소독장치가 감지된 경우, 통신모듈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는 실내공간을 정기적으로 소독할 때에 미세먼지 농도,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센싱하고, 실내의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소독제를 실내공간에 분사하여 살균소독과 미세먼지 농도 및 습도를 개선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 실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공기질환으로 인한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의 방역분사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의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의 소독장치의 분사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의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적인 UI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의 소독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의 방역분사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의 상세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의 소독장치의 분사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는 소독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독장치(100)는 실내공간(S)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사용자의 입력 조건에 따라 실내공간에 소독제를 분사하여 방역한다. 이러한 소독장치(100)는 도 3과 같이 실내공간(S)에 분산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실내공간(S)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에 소독제를 분사할 수 있는 것으로서,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에 무선통신모듈(110), 방역분사부(120), 온도센서(130), 습도센서(140), 먼지센서(150), 초음파센서(160), 디스플레이부(170), 설정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소독장치(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건에 따라 소독제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분사하며, 시간 또는 분 간격으로 분사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내공간(S)에 유동인구가 많은 시간대와 적은 시간대를 구분하여 분사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모듈(110)은 각 소독장치(100)를 서로 연결하며, 사용자 단말기(20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무선통신모듈(110)은 비콘으로 적용될 수 있다. 비콘이 적용되는 경우, 공장과 같이 실내공간(S)이 큰 경우에도 각 소독장치(100)의 상태정보를 공유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실내공간(S)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소독장치(100) 중 하나는 메인 소독장치(100a)로서 외부와 통신가능한 통신모듈(미표시)을 더 구비한다. 메인 소독장치(100a)의 제어부(190)는 공유된 각 소독장치(100)의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점검이 필요한 소독장치(100)가 있는 경우, 통신모듈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상태정보를 전송하여 점검요청을 함으로써 실내공간(S)에 배치된 모든 소독장치(1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소독장치(100a)는 매일 해당 지역의 날씨 정보 및 바이러스 정보 등 각종 정보를 수신하고, 날씨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를 바탕으로 소독제의 분사농도, 온습도 및 미세먼지 농도를 조정하는 것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소독장치(100a)는 수신된 날씨 정보 및 바이러스 정보와 같은 각종 정보를 각 소독장치(100)에 전달한다.
방역분사부(120)는 사용자의 입력 조건에 따라 실내공간에 소독제를 분사하여 방역한다. 소독제는 사람이 흡입 가능한 소독제이거나, 흡입하면 안 되는 소독제가 실내환경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방역분사부(150)는 소독제를 초립자 분무형태로 분사하며, 소독제는 물에 희석되어 준비될 수 있다.
이때, 방역분사부(120)는 소독제 원액을 수용하는 소독제원액 탱크(121),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152) 및 소독제원액과 물을 혼합한 소독제 탱크(15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탱크가 구비되는 경우, 소독제원액 탱크(121)는 제1 연결관(124)을 통하여 소독제 탱크(123)와 연결되며, 물탱크(122)는 제2 연결관(125)을 통하여 소독제 탱크(123)와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한 조건 또는 날씨 정보 및 바이러스 정보 등 각종 정보를 통하여 실내환경에 가장 적합한 소독제 농도를 자동으로 혼합하여 분사함으로써 방역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소독제원액 탱크(121) 및 물탱크(152)에는 각각 주입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밸브(미도시)를 구비한다.
한편, 온도센서(120), 습도센서(130) 및 먼지센서(140)를 통해 실내조건을 센싱하여 실내의 온도, 습도 및 먼지농도를 측정한다.
이때, 방역분사부(120)가 미작동할 수 있는 상태, 즉, 사용자가 입력한 조건이 아닌 상태인 경우에도, 센싱된 실내조건이 기설정된 값을 벗어나면, 제어부(190)는 방역분사부(120)를 작동시켜 소독제를 분사시킨다. 따라서 실내가 건조하거나, 미세먼지가 높은 상태에서도 방역분사부(120)를 통하여 소독제를 분사함으로써 실내의 건조상태를 완화하고, 분사된 소독제가 공기 중의 먼지와 결합하고, 먼지의 입자가 커지면서 공기의 중의 먼지를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먼지농도의 기설정된 값은 표 1과 같이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의료기관과 같은 시설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가 100μg/㎥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조건이 아닌 상태에서도 미세먼지 농도 기준에 따라 제어부(190)는 방역분사부(120)가 작동하도록 한다.
Figure pat00001
또한, 방역분사부(120)는 실내습도가 기설정한 습도기준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도기준을 30% 미만으로 설정할 경우, 습도가 30% 미만으로 내려가게 되면, 방역분사부(1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건이 아닌 상태에서도 습도기준에 따라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소독장치(100)는 정기적으로 살균하는 것과 더불어 실내의 습도 및 먼지기준에 따라 추가적으로 소독제를 방역함으로써 실내공간(S)의 유해한 세균을 세척함과 동시에 습도를 조절하고 미세먼지를 기준치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사람들의 호흡기관으로 유해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실내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초음파센서(160)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실내공간(S)에 사람이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를 센싱한다. 초음파센서(160)를 통해 사람의 위치가 센싱되면, 제어부(190)는 분사노즐(126)이 사람에게 향하지 않도록 분사조절모터(미도시)를 회동시켜 방역분사부(120)의 분사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소독장치(100)의 각 제어부(190)는 방역분사부(120)를 사람(M)의 중심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서로 엇갈린 방향(A)(B)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S)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사람에게 유해한 소독제의 경우 사람이 직접 흡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초음파센서(160)는 실내공간(S)이 사람이 출입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출입한 사람을 향하여 소독제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소독장치(100)는 출입구 쪽에 배치되어 들어오는 사람이 있는지를 검출하고, 사람을 향하여 직접 소독제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에는 분사조절모터를 구동할 필요없이 분사노즐(126)을 출입구쪽으로 향하게 고정시킨 후에 사람의 유출입을 센싱되는 순간에 소독제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출입하는 사람을 통해 세균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소독장치(100)가 현재 설치된 각 위치의 환경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그 밖의 분사조건 및 외부 통신 연결상태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2.4 인치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크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설정부(180)는 복수의 물리적 버튼을 구비하여 다양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 예약시간, 분사시간, 현재시간, 예약 분사 및 테스트 분사 등 다양한 설정을 위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7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비되고, 설정부(180)의 각 버튼이 터치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버튼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메뉴환경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어부(190)는 날씨정보 또는 바이러스 정보 등을 포함한 각종정보를 이용하여 최적화된 소독제의 분사농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소독제 및 물을 적절히 혼합하여 최적의 소독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건에 따라 소독제 및 물을 혼합하여 소독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190)는 초음파센서(160)를 통하여, 실내에 사람 또는 작업환경에 따라 방역분사부(150)의 분사노즐의 분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각 구비된 구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각 구성에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소독장치(100)와 무선통신하여 소독장치(100)의 상태정보를 입력받거나 소독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프로그램(210) 및 통신모듈(220)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그램(210)은 통신모듈(220)을 통해서 연결된 각 소독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소독장치(100)는 입력값을 소독장치(100)에 구비된 설정부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하여 환경제어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프로그램(210)을 통하여 소독장치(100)의 메뉴환경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의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적인 UI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는 각 소독장치(100) 또는 메인 소독장치와 무선통신으로 통신하여 각 소독장치(100)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각 소독장치(100)의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각 소독장치(100) 별로 작동조건을 무선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의 소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의 소독장치(300)는 온도센서(311), 습도센서(312) 및 먼지센서(313)를 구비하는 센서모듈(310)이 케이블(314)로 연결되며, 센서모듈(310)은 소독장치(300)의 몸체에서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 배치된다. 이때, 센서모듈(310)은 0.8 ~ 1m 정도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센서모듈(310)은 일측면에 점착패드를 구비하여, 금속 또는 나무 재질 등에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도센서(311), 습도센서(312) 및 먼지센서(313)가 방역분사부(320)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습기를 포함하는 소독제로 인해 온습도 센싱이 부정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더욱 정확한 센싱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센싱값을 통하여 실내 공간에 전반적으로 균일한 환경상태가 되도록 방역분사부(320)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방역분사부(320)는 실내를 살균하기 위해 분사되는 제1 방역분사부(321)와 공기개선 기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2 방역분사부(3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방역분사부(321)를 통해서 분사되는 기체는 소독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소독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2 방역분사부(322)를 통해서 분사되는 기체는 습도조절 및 먼지제거를 위한 것으로서 소독제 없이 물로만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방역분사부(321)는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되어 소독제 원액을 수용하는 소독제 원액탱크(미표시) 및 제2 방역분사부(322)를 통해 공급된 물과 소독제 원액을 혼합하여 소독제를 혼합하는 공간(미표시)을 구비한다. 이때, 제2 방역분사부(322)는 제1 방역분사부(321)보다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각의 제1 방역분사부(321) 및 제2 방역분사부(322)는 종단이 굴절되는 굴절부를 구비하고, 굴절부의 종단은 상측을 향하여 굴절된다. 따라서 굴절부의 종단이 상측을 향하여 배치됨으로써 소독제가 상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하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기체가 하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되는 효과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 방역분사부(322)는 실내환경에 따라 상시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소독이 불필요한 상태에서 가습을 통한 습도 조절 및 먼지제거를 할 수 있으며, 불필요하게 소독제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독제를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소독장치 110 : 무선통신모듈
120 : 방역분사부 120 : 온도센서
130 : 습도센서 140 : 먼지센서
160 : 초음파센서 170 : 디스플레이부
180 : 설정부 190 : 제어부
200 : 사용자 단말기 210 : 사용자 프로그램
220 : 통신모듈

Claims (3)

  1. 실내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사용자의 입력 조건에 따라 실내공간에 소독제를 분사하여 방역하는 방역분사부를 구비하는 소독장치; 및
    상기 소독장치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소독장치의 상태정보를 입력받거나 상기 소독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사용자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소독장치는,
    상기 실내공간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센서, 미세먼지 농도를 센싱하는 먼지센서를 구비하여 실내조건을 센싱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조건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센싱한 실내조건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방역분사부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장치는,
    상기 실내공간의 미세먼지 농도, 온도 및 습도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소독장치는,
    비콘을 구비하여 각 상태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소독장치 중 하나는 외부와 통신가능한 통신모듈을 구비한 메인 소독장치이며,
    상기 메인 소독장치는,
    상기 소독장치의 상태 정보를 공유하여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소독장치가 감지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KR1020170051525A 2017-04-21 2017-04-21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KR20180118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525A KR20180118350A (ko) 2017-04-21 2017-04-21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525A KR20180118350A (ko) 2017-04-21 2017-04-21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350A true KR20180118350A (ko) 2018-10-31

Family

ID=6409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525A KR20180118350A (ko) 2017-04-21 2017-04-21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8350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642B1 (ko) * 2019-06-12 2020-01-22 주식회사 소프트아쿠아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KR102053644B1 (ko) * 2019-06-12 2020-01-22 장희정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053639B1 (ko) * 2019-06-12 2020-01-22 주식회사 소프트아쿠아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제어방법
KR102102732B1 (ko) * 2019-06-12 2020-04-21 장희정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KR102207978B1 (ko) * 2020-06-26 2021-01-26 주영식 엘리베이터 자동 방역기
KR200493715Y1 (ko) * 2020-06-18 2021-05-25 (주)공간박사 자동 공간 소독 장치
KR20220095474A (ko) 2020-12-30 2022-07-07 고재수 실내 공간방역 시스템
KR20220097584A (ko) * 2020-12-30 2022-07-08 김계림 스마트 자동분사 방역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44617A (ko) * 2021-09-27 2023-04-04 이구풍 피톤치드 공간방역 항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48885A (ko) * 2021-10-05 2023-04-12 임종혁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642B1 (ko) * 2019-06-12 2020-01-22 주식회사 소프트아쿠아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KR102053644B1 (ko) * 2019-06-12 2020-01-22 장희정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053639B1 (ko) * 2019-06-12 2020-01-22 주식회사 소프트아쿠아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제어방법
KR102102732B1 (ko) * 2019-06-12 2020-04-21 장희정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KR200493715Y1 (ko) * 2020-06-18 2021-05-25 (주)공간박사 자동 공간 소독 장치
KR102207978B1 (ko) * 2020-06-26 2021-01-26 주영식 엘리베이터 자동 방역기
KR20220095474A (ko) 2020-12-30 2022-07-07 고재수 실내 공간방역 시스템
KR20220097584A (ko) * 2020-12-30 2022-07-08 김계림 스마트 자동분사 방역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44617A (ko) * 2021-09-27 2023-04-04 이구풍 피톤치드 공간방역 항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48885A (ko) * 2021-10-05 2023-04-12 임종혁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8350A (ko)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US20230028838A1 (en)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a disinfectant device
EP3434986A1 (e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purification system
US20150064066A1 (en) Room fogging disinfection system and method
JP6661905B2 (ja) 除菌処理方法及び除菌処理装置
KR20120113324A (ko) 이동형 방역 소독장치
KR20190062644A (ko) 실내 소독시스템
JP2014140481A (ja) 除染装置
US20090169420A1 (en) Time controlled scenting system
US20100028217A1 (en) Air decontamination system
KR20220034617A (ko)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US7524454B1 (en) Sanitation method for disinfection of enclosed spaces
KR20180007033A (ko) 실내 공기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9312A (ko) 공간 방역 자동 소독 장치
JP2012120738A (ja) ミスト殺菌装置
KR20160027395A (ko) 모듈형 공기청정기
CN217049010U (zh) 一种处理设备、通风系统和空调系统
KR101618456B1 (ko) 이동형 연무 방제 장치
KR200445336Y1 (ko) 순환식 가습기
KR102277275B1 (ko) 바이러스 살균 및 미세먼지 측정 기능을 결합한 공기정화장치
CN201443828U (zh) 中央空调系统在线空气灭菌装置
CN204006362U (zh) 空气净化设备
JP6874414B2 (ja) 解体方法
CN104001200B (zh) 一种新型自动人员喷雾消毒系统
KR101191945B1 (ko) 원격제어형 가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