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885A -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885A
KR20230048885A KR1020210131825A KR20210131825A KR20230048885A KR 20230048885 A KR20230048885 A KR 20230048885A KR 1020210131825 A KR1020210131825 A KR 1020210131825A KR 20210131825 A KR20210131825 A KR 20210131825A KR 20230048885 A KR20230048885 A KR 20230048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isinfectant
spray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290B1 (ko
Inventor
임종혁
Original Assignee
임종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혁 filed Critical 임종혁
Priority to KR1020210131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290B1/ko
Publication of KR20230048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은 문의 작동 정보를 감지하는 도어 모니터링부와, 문의 기설정 영역으로 소독제를 분사하는 소독제 분사부 및 상기 소독제의 잔량을 모니터링하는 소독제 잔량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분사 장치; 및 소독제의 분사에 대한 제어 정보를 설정하는 제어부와, 소독제의 교체 필요 상황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소독제 교체 알림부를 포함하는 관리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SYSTEM FOR DOOR DISINFECTION BY AUTOMATIC SPARAY BASED ON IoT}
본 발명은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19는 2019년 11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최초 발생하여 보고된 새로운 유형의 변종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되는 급성 호흡기 전염병이다.
출입문은 특정 장소의 출입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하는 구조물인데, 불특정 다수의 손에 닿는 문 손잡이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어, 코로나 집단 감염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03434호는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여 출입문 손잡이 부위에 살균 약액을 도포하는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응하도록 분사 제어를 수행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분사 장치와 사용자 디바이스의 통신을 기반으로, 분사량, 분사각, 분사 부위, 분사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고, 소독제의 잔량을 모니터링하여 필요 시 소독제 리필 알림이 가능한 IoT 기반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은 문의 작동 정보를 감지하는 도어 모니터링부와, 문의 기설정 영역으로 소독제를 분사하는 소독제 분사부 및 상기 소독제의 잔량을 모니터링하는 소독제 잔량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분사 장치; 및 소독제의 분사에 대한 제어 정보를 설정하는 제어부와, 소독제의 교체 필요 상황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소독제 교체 알림부를 포함하는 관리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모니터링부는 상기 문의 움직임 정보, 상기 문의 손잡이에 손이 닿는 상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문의 손잡이 외의 영역에 손이 닿는 상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의 손잡이의 형상에 따라 상기 소독제의 분사 각도 및 분사 거리를 조절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독제 분사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소독제를 분사한다.
상기 소독제 잔량 모니터링부는 상기 소독제의 잔량이 기설정 수치 이하인 경우 교체 필요 상황 정보를 상기 소독제 교체 알림부로 전송한다.
상기 소독제 잔량 모니터링부는 상기 소독제의 분사량 및 분사 횟수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소독제의 잔량이 기설정 수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교체 필요 상황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는 분사 타임, 교체 주기, 소독제 량, 문 움직임 횟수 대비 소독제 자동 분사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설정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소독제 분사부는 상기 도어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문 손잡이를 잡는 시점, 문이 열렸다가 닫힌 시점, 문이 열렸다가 닫혔으며 문 주변에 접근하는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시점, 기설정 시간 이상 문이 열리는 것으로 판단한 시점 중 기설정된 분사 타이밍에 소독제를 분사한다.
상기 소독제 분사부는 상기 도어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문의 손잡이 외의 영역에 손이 닿는 영역으로 분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소독제를 분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 장치와 사용자 디바이스의 통신을 기반으로, 소독제의 분사량, 분사각, 분사 부위, 분사 주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소독제 잔량을 모니터링하여 필요 시 소독제 리필을 알림으로써 소독제 소진 상황에 대비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의 모양에 기초한 분사 조절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 움직임 기반 소독제 자동 분사 회수 제어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분사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분사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분사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은 문의 작동 정보를 감지하는 도어 모니터링부(110)와, 문의 기설정 영역으로 소독제를 분사하는 소독제 분사부(120) 및 소독제의 잔량을 모니터링하는 소독제 잔량 모니터링부(130)를 포함하는 분사 장치(100)와, 소독제의 분사에 대한 제어 정보를 설정하는 제어부(250)와, 소독제의 교체 필요 상황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소독제 교체 알림부(260)를 포함하는 관리자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도어 모니터링부(110)는 문의 움직임 정보, 문의 손잡이에 손이 닿는 상황에 대한 정보 및 문의 손잡이 외의 영역에 손이 닿는 상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모니터링한다.
제어부(250)는 문의 손잡이의 형상에 따라 소독제의 분사 각도 및 분사 거리를 조절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소독제 분사부(120)는 제어 정보에 따라 소독제를 분사한다.
소독제 잔량 모니터링부(130)는 소독제의 잔량이 기설정 수치 이하인 경우 교체 필요 상황 정보를 소독제 교체 알림부(260)로 전송한다.
소독제 잔량 모니터링부(130)는 소독제의 분사량 및 분사 횟수를 모니터링하여, 소독제의 잔량이 기설정 수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교체 필요 상황 정보를 전송한다.
소독제 잔량 모니터링부(130)는 비치된 소독제 통에 남아 있는 소독제의 잔량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소독제 교체가 필요한 것에 대한 알림을 소독제 교체 알림부(260)로 전송하고, 소독제 교체 알림부(260)는 푸쉬 메시지, 알람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독제의 교체가 필요한 상황을 관리자에게 알려준다.
다른 예로서, 소독제 잔량 모니터링부(130)는 소독제 분사 횟수 및 분사량 정보를 고려하여, 소독제 교체가 필요한 것에 대한 알림을 소독제 교체 알림부(260)로 전송한다. 예컨대, 소독제의 용량이 1L이고, 1회의 분사 당 10ml의 분사량으로 설정되어 있고, 30% 잔량 이하인 경우 알림이 전송된다고 가정하면, 700번의 분사량 카운팅 이후 알림이 전송된다.
제어부(250)는 분사 타임, 교체 주기, 소독제 량, 문 움직임 횟수 대비 소독제 자동 분사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설정 메뉴를 제공한다.
소독제 분사부(120)는 상기 도어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문 손잡이를 잡는 시점, 문이 열렸다가 닫힌 시점, 문이 열렸다가 닫혔으며 문 주변에 접근하는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시점, 기설정 시간 이상 문이 열리는 것으로 판단한 시점 중 기설정된 분사 타이밍에 소독제를 분사한다.
소독제 분사부(120)는 도어 모니터링부(110)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문의 손잡이 외의 영역에 손이 닿는 영역으로 분사 각도를 조절하여 소독제를 분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문(D)에는 문 손잡이(H) 및 분사 장치(100)가 배치되고, 분사 장치(100)는 관리자 디바이스(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관리자 디바이스(200)의 앱 화면에는 해당 분사 장치의 정보, 설치위치, 분사 타임, 교체 주기, 소독제량, 노즐 레벨, 문 움직임 정보에 대한 설정 메뉴가 표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의 모양에 기초한 분사 조절을 도시한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문(D)에는 분사 장치(100a)가 배치되고, 도 3의 (a)에 도시된 제1 문 손잡이(H1) 대비 도 3의 (b)에 도시된 제3 문 손잡이(H3)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것을 가정한다.
관리자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50)는 제1 문 손잡이(H1) 및 제3 문 손잡이(H3)에 대해 상이한 소독제 분사 거리를 설정하고(도 2의 노즐 레벨), 설정 정보를 제어 정보 저장부(240)에 저장하며, 설정 정보를 분사 장치의 소독제 분사부(120)로 전송한다.
소독제 분사부(120)는 전술한 설정 정보에 따라, 제1 문 손잡이(H1)를 향한 분사 거리 대비 상대적으로 더 먼 거리로 설정된 제3 문 손잡이(H3)를 향한 분사 거리로 소독제를 분사한다.
이 때, 제어부(250)는 문 손잡이의 길이, 형상 정보에 따라 소독제 분사 거리 및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 움직임 기반 소독제 자동 분사 횟수 제어를 도시한다.
관리자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50)는 문 손잡이의 움직임 횟수 대비 소독제 자동 분사 횟수를 기설정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결정하며, 도 4를 참조하면 문 손잡이의 움직임 횟수가 많을수록 소독제 자동 분사 횟수가 많아지게 된다.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디바이스(200)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문 움직임 횟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분사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문(D)에는 분사 장치(100a)가 배치되고, 문 손잡이(H1)가 배치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으로 문 손잡이(H1)를 잡고 제1 방향으로 당겨서 문을 여는 상황을 도시하고, 도 5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으로 문 손잡이(H1)를 잡고 제2 방향으로 밀어서 문을 여는 상황을 도시한다.
도어 모니터링부(110)는 제1 방향으로 당기거나 제2 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한 문(D)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 감지 정보를 소독제 분사부(120)로 전송한다.
소독제 분사부(120)는 움직임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문 손잡이(H1)를 향해 소독제를 분사한다.
이 때, 소독제 분사부(120)는 도 5의 (a) 및 (b)에 도시한 문(D)의 뒷면에도 배치되어, 문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열림에 따라, 문(D)의 양면에 배치된 문 손잡이를 향해 소독제를 분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문(D)에 배치된 탄성 소재에 의해 문(D)이 열린 후 저절로 닫힐 수도 있으나, 예컨대 도 5의 (a)에서 제1 방향으로 문(D)을 잡아 당겨 연 후 반대면에서 당겨 문(D)을 닫는 경우, 도 5의 (a)에서 제1 방향으로 문(D)을 잡아 당겨 연 후 반대면에서 다른 사람이 문(D)을 밀고 나가는 경우, 도 5의 (b)에서 제2 방향으로 문(D)을 밀어 연 후 반대면에서 밀어서 문(D)을 닫는 경우, 도 5의 (b)에서 제2 방향으로 문(D)을 밀어 연 후 반대면에서 다른 사람이 문(D)을 당긴 채 나가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문(D)의 양면에 배치된 소독제 분사부(120)가 각 양면에 배치된 문 손잡이를 향해 소독제를 분사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분사를 도시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문(D)의 제1 면(앞면)에는 제1 분사 장치(100a)와 제1 문 손잡이(H1)가 배치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문(D)의 제2 면(뒷면)에는 제2 분사 장치(100b)와 제2 문 손잡이(H2)가 배치된다.
문(D)을 열고 닫을 때 어느 한 방향으로만 열고 닫혀지도록 스토퍼가 배치된 상황임을 가정하여, 문(D)을 열 때 앞면에서는 제1 방향으로 당겨서 여는 것이 가능하고, 뒷면에서는 제1 방향으로 밀어서 여는 것이 가능한 상황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어 모니터링부(110)는 문(D)이 열리고 닫히는 상황 뿐 아니라, 어느 면에서 사람이 문(D)을 제1 방향으로 당겨서 여는 지(도 6의 (a)), 또는 제1 방향으로 밀어서 여는 지(도 6의 (b))에 대한 상황을 인식한다.
이는 영상 장치, 적외선 센서, 압전 센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의 (a)에서 도어 모니터링부(110)가 제1 면에서 문(D)을 당겨서 여는 것을 감지하면, 제1 분사 장치(100a)는 제1 문 손잡이(H1)를 향해 소독제를 분사한다.
다른 예로서, 도어 모니터링부(110)가 제1 면에서 문(D)을 당겨서 여는 상황을 감지하고, 이어서 문(D)이 닫히는 경우, 제1 분사 장치(100a)는 제1 문 손잡이(H1)를 향해 소독제를 분사하여, 사람이 제1 문 손잡이(H1)를 잡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소독제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도어 모니터링부(110)는 제1 면에서 문(D)을 당겨서 여는 상황을 감지하고, 이어서 문(D)이 닫히고, 근처에 사람이 접근하지 않아서 지금 시점에서 소독제를 분사하더라도 누군가의 손에 소독제가 묻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 정보를 전송하고, 제1 분사 장치(100a)는 그에 따라 제1 분사 장치(100a)는 제1 문 손잡이(H1)를 향해 소독제를 분사한다.
또 다른 예로서, 탄성 소재에 의해 문(D)이 저절로 닫혀지는 상황에서, 다른 누군가의 조작에 의해 문이 열려 있는 시간이 기설정 시간 이상 긴 경우(예컨대, 제1 사용자가 문을 당겨 나가고, 이어서 제2 사용자가 문을 이어 받아 당겨 나가고, 제3 사용자가 문을 이어 받아 밀면서 나가는 경우 등), 양면의 분사 장치(100a, 100b)가 제1 문 손잡이(H1) 및 제2 문 손잡이(H2)를 향해 소독제를 분사시킨다.
또 다른 예로서, 탄성 소재에 의해 문(D)이 저절로 닫혀지는 상황에서, 다른 누군가의 조작에 의해 문이 열려 있는 시간이 기설정 시간 이상 긴 경우(예컨대, 앞면에서 제1 사용자가 문을 당겨 나가고, 이어서 앞면에서 제2 사용자가 문을 이어 받아 당겨서 나가고, 뒷면에서 제3 사용자가 문을 이어 받아 밀면서 나가는 경우 등), 도어 모니터링부(110)는 제1 문 손잡이(H1)가 지속적으로 당겨시며 문이 열리는 것인지, 또는 제1 문 손잡이(H1) 외에 제2 문 손잡이(H2)가 밀어지며 문이 열리는 것인지 그 상황 정보를 감지하고, 양면의 분사 장치(100a, 100b)는 상황 정보를 전달 받아 그에 기초하여 소독제를 분사한다.
도 6의 (b)에서 도어 모니터링부(110)가 제2 면에서 문(D)을 밀어서 여는 것을 감지하면, 제2 분사 장치(100b)는 제2 문 손잡이(H2)를 향해 소독제를 분사한다.
또한, 도어 모니터링부(110)가 문(D)이 열리고 난 후, 도 6의 (b)에 도시한 상황에서 제2 면에 위치한 제2 문 손잡이(H2)를 잡는 상황을 감지하면, 이어서 제2 분사 장치(100b)가 제2 문 손잡이(H2)를 향해 소독제를 분사한다.
마찬가지로, 도어 모니터링부(110)가 문이 열리고 난 후, 도 6의 (b)에 도시한 상황에서 제1 면에 위치한 제1 문 손잡이(H1)를 잡는 상황을 감지하면, 이어서 제1 분사 장치(100a)가 제1 문 손잡이(H1)를 향해 소독제를 분사한다.
소독제의 분사 타이밍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문 손잡이를 잡는 시점, 문이 열렸다가 닫힌 시점, 문이 열렸다가 닫혔으며 문 주변에 접근하는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시점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분사를 도시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문(D)의 앞면에 분사 장치(100a)와 제1 문 손잡이(H1)가 배치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제1 문 손잡이(H1)를 잡고 문(D)을 제2 방향으로 밀어서 여는 상황임을 가정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문(D)의 앞면에 분사 장치(100a)와 제1 문 손잡이(H1)가 배치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제1 문 손잡이(H1)가 아닌 다른 영역을 제2 방향으로 밀어서 문(D)을 여는 상황임을 가정한다.
도어 모니터링부(110)는 단순히 문의 움직임 정보 뿐 아니라, 문의 어느 영역을 사용자가 밀어서(반대의 경우 당겨서) 여는 것인지 영역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영역 정보를 소독제 분사부(120)로 전송한다.
소독제 분사부(120)는 영역 정보에 따라 소독제 분사 노즐의 각도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손이 닿은 영역(문 손잡이 또는 그 외의 영역)으로 소독제를 분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사용자 입력 장치와, 데이터 통신 버스와, 사용자 출력 장치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통신 버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혹은 메모리 및/또는 저장소에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 및 저장소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는 ROM 및 RAM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이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8)

  1. 문의 작동 정보를 감지하는 도어 모니터링부와, 문의 기설정 영역으로 소독제를 분사하는 소독제 분사부 및 상기 소독제의 잔량을 모니터링하는 소독제 잔량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분사 장치; 및
    상기 소독제의 분사에 대한 제어 정보를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소독제의 교체 필요 상황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소독제 교체 알림부를 포함하는 관리자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모니터링부는 상기 문의 움직임 정보, 상기 문의 손잡이에 손이 닿는 상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문의 손잡이 외의 영역에 손이 닿는 상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모니터링하는 것
    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의 손잡이의 형상에 따라 상기 소독제의 분사 각도 및 분사 거리를 조절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독제 분사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소독제를 분사하는 것
    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 잔량 모니터링부는 상기 소독제의 잔량이 기설정 수치 이하인 경우 교체 필요 상황 정보를 상기 소독제 교체 알림부로 전송하는 것
    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 잔량 모니터링부는 상기 소독제의 분사량 및 분사 횟수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소독제의 잔량이 기설정 수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교체 필요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것
    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분사 타임, 교체 주기, 소독제 량, 문 움직임 횟수 대비 소독제 자동 분사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설정 메뉴를 제공하는 것
    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 분사부는 상기 도어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문 손잡이를 잡는 시점, 문이 열렸다가 닫힌 시점, 문이 열렸다가 닫혔으며 문 주변에 접근하는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시점, 기설정 시간 이상 문이 열리는 것으로 판단한 시점 중 기설정된 분사 타이밍에 상기 소독제를 분사하는 것
    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 분사부는 상기 도어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문의 손잡이 외의 영역에 손이 닿는 영역으로 분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소독제를 분사하는 것
    인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KR1020210131825A 2021-10-05 2021-10-05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KR102598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825A KR102598290B1 (ko) 2021-10-05 2021-10-05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825A KR102598290B1 (ko) 2021-10-05 2021-10-05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885A true KR20230048885A (ko) 2023-04-12
KR102598290B1 KR102598290B1 (ko) 2023-11-06

Family

ID=8598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825A KR102598290B1 (ko) 2021-10-05 2021-10-05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2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491A (ko) * 2015-07-21 2017-02-02 권오영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KR20180118350A (ko) * 2017-04-21 2018-10-31 문정곤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JP2020022675A (ja) * 2018-08-08 2020-02-13 株式会社サンライズプロジェクト ドア用取手消毒装置
KR20210029999A (ko) *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세스코 케미컬 분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491A (ko) * 2015-07-21 2017-02-02 권오영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KR20180118350A (ko) * 2017-04-21 2018-10-31 문정곤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JP2020022675A (ja) * 2018-08-08 2020-02-13 株式会社サンライズプロジェクト ドア用取手消毒装置
KR20210029999A (ko) *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세스코 케미컬 분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290B1 (ko)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76233B (zh) 流体连接器组件
CN104302350B (zh) 输液泵组件
Roy et al. Spoken dialogue management using probabilistic reasoning
US937324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occurrences of hand washing events
US7705726B2 (en) Wireless-enabled device with capability of responding to changes in operational state
US10529167B2 (en) Dispense event verification for dispensers
US88493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wireless-enabled devices that are capable of responding to changes in operational state
US98968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door handles
US20110234407A1 (en) Hand hygiene compliance device
US11918698B2 (en) UV disinfection platform
KR101703434B1 (ko)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US9747779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moting hygiene compliance
AU2018284106B2 (en) Opioid management system
US6454185B2 (en) Discharge apparatus for media
EP3108463A1 (en) Electronically monitored and portable point-of-care hand hygiene dispenser having security features
US11964126B2 (en) Infusion pump assembly
KR20230048885A (ko)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US20230360514A1 (en) Systems and method for closed loop tracking of hand hygiene compliance
CA3125744A1 (en) Machine learning based safety controller
KR101805702B1 (ko) 공중화장실용 화장지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
TWI678678B (zh) 用於藥物儲存、分配及管理之系統及方法
US11568577B2 (en) Contamination detection and notification systems
WO2005084737A1 (en) Medicant dispensers and components thereof
US20140139339A1 (en) Electronic Motion-Sensing and Notification Adapter for Patient Room-Entry Sanitizer
SE544717C2 (en) Method and radiation device for controlling disinfection of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