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491A -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491A
KR20170011491A KR1020150104192A KR20150104192A KR20170011491A KR 20170011491 A KR20170011491 A KR 20170011491A KR 1020150104192 A KR1020150104192 A KR 1020150104192A KR 20150104192 A KR20150104192 A KR 20150104192A KR 20170011491 A KR20170011491 A KR 20170011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rocessor
door
sensor
sensor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3434B1 (ko
Inventor
권오영
Original Assignee
권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영 filed Critical 권오영
Priority to KR1020150104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4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자의 근접을 감지하여 출입문의 손잡이 부위에 살균 약액을 도포하여 줄 수 있도록 발명한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감지센서(S1)의 센서신호에 의해 출입문(D)의 손잡이(H) 주변 영역에 살균(방역) 약액을 살포하여 주기 위한 약액 살포장치(20)와, 출입문(D)을 지지하는 프레임(P)과 마주하는 개폐면(D1)에 설치되어 프레임(P)과 개폐면(D1)의 이탈에 따른 센서신호를 발생시켜 살포장치(20)의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에 송출하도록 한 센서수단(S2)과, 출입문(D)을 지지하는 프레임(P)에 설치되에 센서수단(S2)과 상호 반응하도록 한 감응수단(S3) 등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출입자의 근접을 인식하여 살균 약액을 손잡이 주위에 살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잡이를 파지하는 출입자 개개인에 대한 철저한 방역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출입문의 개방시에는 개방상태를 인식하여 사람이 출입문 가까이 근접해도 살균 약액의 살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살균 약액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sterilization system for a doors}
본 발명은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출입자의 근접을 감지하여 출입문의 손잡이 부위에 살균 약액을 도포하여 줄 수 있도록 발명한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질병을 전파하는 바이러스나 각종 유해 세균으로부터 인체를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개인위생을 생활화하여야 함은 물론이라 할 것이고, 바이러스나 세균 전파의 근원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매개수단에 대한 철저한 방역이 이루어져야 한다.
근래에 들어 이동수단의 비약적인 발달로 인해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국가 간의 교류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외국 여행문화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데, 그로 인해 특정 지역의 전염병 바이러스가 타지역을 오염시키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메르스(mers)나 홍콩독감, 신종플루, 사스(sars) 등과 같이 전염성 및 치사율이 높은 바이러스가 창궐하게 되면 상당한 인명 손실이 발생함은 물론이고, 이동의 제약과 심리위축 등으로 인해 소비생활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방역에 따른 방대한 인력과 재화가 투입되므로 국가적으로 엄청난 경제손실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
메르스(mers)나 홍콩독감, 신종플루, 사스(sars) 등과 같은 바이러스는 사람을 통해 전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공항이나 항만의 출입국 단계에서의 엄중한 검역(quarantine)을 통해 바이러스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바이러스의 유입을 100% 차단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더라도 출입국 시점에서 증상이 발현하지 않은 사람을 스크린(screen)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특정 국가나 지역에 바이러스 또는 각종 유해 세균에 의한 전염병이 발생하면 대대적인 방역작업이 진행되는데, 방역작업은 의료기관이나 다수인이 출입하는 공공건물(장소) 등과 같은 특정 시설물에 대한 방역과 감염지역의 폐쇄, 감염이 의심되는 물건에 대한 방역이나 폐기, 특정 감염지역의 통행 차량 및 사람에 대한 방역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염병이 발생하더라도 개인의 방역, 위생문제는 개개인의 의지에 맞길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방역작업은 전염병이 크게 확산할 경우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전염병의 확산시 가장 큰 문제는 개인생활의 시작과 끝이 이루어지는 출입문에서 발생할 것이다.
출입문이라는 것은 타인과의 소통이나 특정 장소의 출입을 위해서는 반드시 거칠 수밖에 없는 구조물인바, 전염병이 확산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출입문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상당한 전염병(바이러스)의 전파를 불러올 것이 분명하다.
본 발명은 전염병 대확산이라는 국가적 재난의 방지에 일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인체 간 전염병(바이러스) 감염의 근원이 될 수 있는 출입문에 대한 철저한 살균(방역)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 향상된 방역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일상생활에서 개인위생이 철저히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살균(방역) 약액을 살포하여 주기 위한 약액 살포장치와, 출입문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마주하는 출입문의 개폐변에 설치되어 프레임과 개폐변의 이탈에 따른 센서신호를 발생시켜 살포장치의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송출하도록 한 센서수단과, 출입문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설치하여 센서수단과 상호 반응하도록 한 감응수단으로 살균 시스템을 구성하며;
상기 약액 살포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배출관을 구비하는 약액 저장조를 설치하고, 약액 저장조에 구비되는 배출관의 단부에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살포용 노즐을 설치하며, 하우징 일측에 물체의 접근에 따른 센서신호를 발생시켜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송하도록 한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내부에 시스템의 기동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 장착하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조작패널에 살포 약액의 분사량 조절을 위한 조절스위치, 약액 살포의 주기를 설정하여 줄 수 있는 타이머 스위치를 설치하고, 하우징 전측에 시스템 내부 상태(정보)를 출력해주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은 사람의 신체가 출입문 가까이 근접한 것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손잡이 주위에 살균 약액을 살포하여 방역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많지 않은 비용으로 시공·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국가시책으로 진행하기도 용이하고 개인 설치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출입문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며, 살균 시스템을 설치해놓은 상태에서는 접근자의 인식, 방역 등과 같은 작업이 무인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시스템의 운용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공장소의 출입문 및 화장실, 병원 등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는 장소의 출입문(손잡이)를 주기적으로 살균 소독하여 각종 세균과 전염병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위생관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출입자의 근접을 인식하여 살균 약액을 손잡이 주위에 살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잡이를 파지하는 출입자 개개인에 대한 철저한 방역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출입문의 개방시에는 개방상태를 인식하여 사람이 출입문 가까이 근접해도 살균 약액의 살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살균 약액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본 발명은 기대되는 효과가 매우 큰 유익한 발명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살균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살균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한 참고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살포장치의 내부 구조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살균 시스템에 의한 살균(방역) 과정의 동작순서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살균 시스템의 블록도(10)가 도시되고 도 2에 살균 시스템(10)의 구성 예를 도시한 참고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를 통해 본 발명은 살균(방역) 약액을 살포하여 주기 위한 약액 살포장치(20)와, 출입문(D)을 지지하는 프레임(P)과 마주하는 출입문(D)의 개폐변(D1)에 설치되어 프레임(P)과 개폐변(D1)의 이탈에 따른 센서신호를 발생시켜 살포장치(20)의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에 송출하도록 한 센서수단(S2)과, 출입문(D)을 지지하는 프레임(P)에 설치하여 센서수단(S2)과 상호 반응하도록 한 감응수단(S3) 등으로 구성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 구성부의 상세한 실시는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살포장치(20)의 내부 구조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 살포장치(20)는 출입문(D)의 손잡이(H) 상부 또는 측면 영역에 설치하여 손잡이(H) 주변에 살균 약액을 살포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21) 내부에 살균 약액의 배출을 위한 배출관(22a)을 구비하는 약액 저장조(22)를 설치하여 약액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약액 저장조(22)에 구비되는 배출관(22a)의 단부에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살포용 노즐(23)을 설치하여 약액을 미세한 입자 형태로 분무하여 줄 수 있도록 하며, 하우징(21)의 일측에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센서신호를 발생시켜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에 전송하도록 한 감지센서(S1)를 설치하고, 하우징(21)의 전면에 설치되는 조작패널에 살포 약액의 분사량을 조절해주기 위한 조절스위치(25), 약액 살포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정하여 줄 수 있는 타이머 스위치(26)를 설치하며, 하우징(21)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4)에 시스템의 상태를 알려주는 표시등과 약액 저장조(22)에 저장된 살균 약액의 잔여량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표시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21)은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구성하고, 약액 저장조(22)의 상단에 마련되는 개구부를 개폐뚜껑을 밀폐시켜 구성함으로써 약액 저장조(22)에 살균 약액의 보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우징(21)에 관측창을 형성하고 약액 저장조(22)의 일측에 투명창을 형성하여 투명창 주변에 식별눈금을 표시하면 약액 살포장치(20)를 통해서도 약액 저장조(22)에 저장된 약액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시스템의 기동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B)를 장착하고, 하우징(21)의 내부 일측에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도 1에 개시된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와 조작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24)의 후면에 장치되는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29)가 연계되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29)는 외부 입력 정보(데이터)를 처리하여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에 전송함과 아울러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로부터 전송받은 내부 상태 및 정보와 관련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24)에 출력하여 주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는 감지센서(S1)의 센서신호가 수신될 경우 살포용 노즐(23)에 대한 작동개시 신호를 송출하는 제1 센서신호 감지부(281), 센서수단(S2)과 감응수단(S3)이 이탈하여 상호 반응에 의한 감응 센서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살포용 노즐(23)에 대한 작동중지 신호를 송출하는 제2 센서신호 감지부(282), 제1 센서신호 감지부(281)의 작동개시 신호에 의해 살포용 노즐(23)을 작동시켜 주거나 제2 센서신호 감지부(282) 작동중지 신호에 의해 살포용 노즐(23)의 작동을 중지시켜 주기 위한 살포 제어부(283), 입력된 살포 데이터에 따라 살포용 노즐(23)의 작동시간을 제어해주기 위한 분사량 제어부(284), 내부 상태 및 정보와 관련한 데이터를 출력해주기 위한 디스플레이 출력부(285), 외부 입력정보에 따라 살균 약액의 분사량과 작동 형태를 설정하여 주기 위한 구동정보 설정부(286) 등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수단(S2)은 약액 살포장치(20)의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감응센서(S3)는 별도의 전원 공급수단(건전지 등)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7" 은 약액 살포장치(2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여 주기 위한 "전원스위치" 이다.
한편, 본 발명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센서신호를 발생시켜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에 전송하도록 한 감지센서(S1)를 설치함에 있어 감지센서(S1)가 출입문(D)의 손잡이(H) 방향을 센싱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구성할 경우에는 사람이 손잡이(H)를 잡을 경우에만 감지센서(S1)의 감지신호에 의해 약액의 살포가 이루어지므로 출입문(D)의 개폐변(D1)과 출입문을 지지하는 프레임(P)에 설치되는 센서수단(S2)과 감응센서(S3)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수단(S2)과 감응센서(S3)는 출입문(D)의 개방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수단이며, 센서수단(S2) 및 감응센서(S3)는 출입문(D)의 개방 여부에 따라 전기적인 접점 및 해제가 이루어져 출입문의 개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위칭 수단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약액 살포장치(20)는 출입문(D)의 손잡이(H) 상부 영역에 설치하고, 출입문(D)의 개폐변(D1)과 출입문을 지지하는 프레임(P)에 센서수단(S2)과 감응센서(S3)를 각각 대응하게 설치하여 출입문(D)의 손잡이(H)에 대한 살균(방역)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6에 개시된 동작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살균 시스템(10)을 기동시킨 상태에서 조절스위치(25)를 조작하여 원하는 분사량(살포 시간)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감지센서(S1)에 의해 출입문(D)에 대한 접근 감시가 이루어진다.(A5 단계)
감지센서(S1)가 출입문(D)에 접근한 사람을 인식하면 감지센서(S1)에서 발생한 센서신호를 수신한 제1 센서신호 감지부(281)가 살포용 노즐(23)에 대한 작동개시 신호를 송출하는데,(A6 단계) 이때, 센서수단(S2)과 감응수단(S3)의 상호 반응에 의한 센서신호를 수신받던 제2 센서신호 감지부(282)가 센서신호의 유무를 통해 출입문(D)의 개방상태를 확인하고,(A7 단계) 센서수단(S2)과 감응수단(S3)이 이탈하여 상호 반응에 센서신호가 제2 센서신호 감지부(282)에 수신되지 않으면 출입문(D)에 사람이 접근하였음에도 제2 센서신호 감지부(282)가 살포용 노즐(23)에 대한 작동중지 신호를 송출하여 약액의 살포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센서수단(S2)과 감응수단(S3)의 상호 반응에 의한 센서신호가 제2 센서신호 감지부(282)에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있으면 살포 제어부(283)의 구동명령에 의해 살포용 노즐(23)이 작동하여 약액을 살포하고,(A8 단계) 살포용 노즐(23)을 통해 살포된 살균 약액은 출입문(D)의 손잡이(H)에 도포되어 손잡이(H)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면서 손잡이(H)를 파지하는 사람의 손에 대한 살균(소독)도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의 접근에 관계없이 일정한 주기로 살균 약액의 살포가 이루어지도록 구동 데이터를 입력하여 시스템의 운용 상태를 셋팅할 수 있으며,(A2 단계) 타이머 스위치(26)를 조작하여 살포 설정시간(주기)을 설정하고(A3 단계) 조절스위치(25)를 조작하여 분사량(살포 시간)을 설정하면(A4 단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분가량의 약액 살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20: 약액 살포장치
21: 하우징 22: 약액 저장조
23: 살포용 노즐 24: 디스플레이 패널
25: 조절스위치 26: 타이머 스위치
28: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 29: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
B : 배터리 D : 출입문
D1: 개폐변 H : 손잡이
P : 프레임 S1: 감지센서
S2: 센서수단 S3: 감응센서

Claims (2)

  1. 살균(방역) 약액을 살포하여 주기 위한 약액 살포장치(20)와, 출입문(D)을 지지하는 프레임(P)과 마주하는 개폐변(D1)에 설치되어 프레임(P)과 개폐변(D1)의 이탈에 따른 센서신호를 발생시켜 살포장치(20)의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에 송출하도록 한 센서수단(S2)과, 출입문(D)을 지지하는 프레임(P)에 설치하여 센서수단(S2)과 상호 반응하도록 한 감응수단(S3)으로 살균 시스템(10)을 구성하며;
    상기 약액 살포장치(20)는 하우징(21) 내부에 배출관(22a)을 구비하는 약액 저장조(22)를 설치하고, 약액 저장조(22)에 구비되는 배출관(22a)의 단부에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살포용 노즐(23)을 설치하며, 하우징(21)의 내부에 시스템의 기동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B)를 장착하고, 하우징(21) 일측에 물체의 접근에 따른 센서신호를 발생시켜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에 전송하도록 한 감지센서(S1)를 설치하며, 하우징(21)의 전면에 설치되는 조작패널에 살포 약액의 분사량 조절을 위한 조절스위치(25), 약액 살포의 주기를 설정하여 줄 수 있는 타이머 스위치(26)를 설치하고, 하우징(21) 전면에 시스템 내부 상태(정보)를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24)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살포장치(20)의 하우징(21)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와 조작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24)의 후면에 장치되는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29)를 연계하여 상호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하고, 상기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29)는 외부 입력 정보(데이터)를 처리하여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에 전송함과 아울러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로부터 전송받은 내부 상태 및 정보와 관련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24)에 출력하여 주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28)는 감지센서(S1)의 센서신호가 수신될 경우 살포용 노즐(23)에 대한 작동개시 신호를 송출하는 제1 센서신호 감지부(281), 센서수단(S2)과 감응수단(S3)이 이탈하여 상호 반응에 의한 감응 센서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살포용 노즐(23)에 대한 작동중지 신호를 송출하는 제2 센서신호 감지부(282), 제1 센서신호 감지부(281)의 작동개시 신호에 의해 살포용 노즐(23)을 작동시켜 주거나 제2 센서신호 감지부(282) 작동중지 신호에 의해 살포용 노즐(23)의 작동을 중지시켜 주기 위한 살포 제어부(283), 입력된 살포 데이터에 따라 살포용 노즐(23)의 작동시간을 제어해주기 위한 분사량 제어부(284), 내부 상태 및 정보와 관련한 데이터를 출력해주기 위한 디스플레이 출력부(285), 외부 입력정보에 따라 살균 약액의 분사량과 작동 형태를 설정하여 주기 위한 구동정보 설정부(28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KR1020150104192A 2015-07-21 2015-07-21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KR101703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192A KR101703434B1 (ko) 2015-07-21 2015-07-21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192A KR101703434B1 (ko) 2015-07-21 2015-07-21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491A true KR20170011491A (ko) 2017-02-02
KR101703434B1 KR101703434B1 (ko) 2017-02-22

Family

ID=5815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192A KR101703434B1 (ko) 2015-07-21 2015-07-21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4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346B1 (ko) * 2019-07-04 2020-03-03 주식회사 오션바이오 인공지능형 소독액 자동분사장치
KR102263083B1 (ko) * 2020-10-14 2021-06-10 윤승현 공기 정화 및 소독장치
KR20230048885A (ko) * 2021-10-05 2023-04-12 임종혁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CN117717636A (zh) * 2024-02-07 2024-03-19 成都市青羊区中医医院 一种玻璃火罐消毒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519B1 (ko) 2020-04-21 2021-05-14 주식회사 천연살균의학처 수산화칼슘 포그 노즐을 이용한 모듈형 방역 시스템
KR102243562B1 (ko) 2020-07-29 2021-04-23 양정윤 전자분사기
KR102466186B1 (ko) 2020-11-09 2022-11-14 주식회사 비아 무인 소독 출입 시스템
KR102280233B1 (ko) 2020-12-04 2021-07-22 주식회사 오픈코리아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CN112690957B (zh) * 2020-12-17 2021-08-24 德阳市人民医院 一种救护车自动消毒系统及控制方法
KR20230071795A (ko) 2021-11-15 2023-05-24 주식회사 천연살균의학처 통행자의 발 부위의 소독이 가능한 발판 소독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041U (ja) * 1991-08-19 1993-03-05 義雄 鈴木 トイレ扉用ノブの消毒装置
JP2008527213A (ja) * 2005-01-10 2008-07-24 ハイソ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ドアハンドル消毒システムおよびバルブ取付装置
KR20090120021A (ko) * 2008-05-19 2009-11-24 최호식 살균기능이 있는 도어용 손잡이
KR20120090678A (ko) * 2011-02-08 2012-08-17 주식회사 매인 공간살균 및 방향을 위한 자동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041U (ja) * 1991-08-19 1993-03-05 義雄 鈴木 トイレ扉用ノブの消毒装置
JP2008527213A (ja) * 2005-01-10 2008-07-24 ハイソ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ドアハンドル消毒システムおよびバルブ取付装置
KR20090120021A (ko) * 2008-05-19 2009-11-24 최호식 살균기능이 있는 도어용 손잡이
KR20120090678A (ko) * 2011-02-08 2012-08-17 주식회사 매인 공간살균 및 방향을 위한 자동분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346B1 (ko) * 2019-07-04 2020-03-03 주식회사 오션바이오 인공지능형 소독액 자동분사장치
KR102263083B1 (ko) * 2020-10-14 2021-06-10 윤승현 공기 정화 및 소독장치
KR20230048885A (ko) * 2021-10-05 2023-04-12 임종혁 IoT 기반 자동 분사 문 소독 시스템
CN117717636A (zh) * 2024-02-07 2024-03-19 成都市青羊区中医医院 一种玻璃火罐消毒装置
CN117717636B (zh) * 2024-02-07 2024-04-16 成都市青羊区中医医院 一种玻璃火罐消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434B1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434B1 (ko)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US9922534B2 (en) Automatic hygiene compliance assistance
US10751435B2 (en) Sanitation compliance
US201102732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Hygiene
KR101908929B1 (ko) 신체 소독기 및 그 사용방법
KR20050000283A (ko) 자동 손 살균 소독 장치
KR20150115422A (ko) 카트 살균장치
CN211797855U (zh) 一种非接触测温消毒装置
CN201470544U (zh) 一种自动喷雾器
Karn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automated monitored hand hygiene system to curb infection spread in institutional settings during COVID-19 Pandemic
KR102271542B1 (ko) 손 소독장치
KR20220043503A (ko) 출입구 스마트 소독장치
CN212281994U (zh) 一种医疗隔离仓转换给药装置
CN210605424U (zh) 垃圾房空气质量自动管控系统
KR100468386B1 (ko) 공동주택 실내 출입용 인체 소독기구 박스 설치 구조
CN111184359A (zh) 一种电商自提柜及其投递和取件的方法
US118370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and hygiene, wellness, and human interactions
Rahul et al. Contactless Fog based Handwash Kit for COVID Safety
RU198893U1 (ru)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ый модуль терминала самообслуживания
CN215690181U (zh) 一种消毒装置
Adeleye et al. Design of Automated Walk-Through Sanitizing Booth: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Re-Emergence and Spread of COVID-19 Related Diseases
CN219721373U (zh) 一种智能电梯用的消毒装置
CN203777362U (zh) 三维式除污抗菌走道
KR102252519B1 (ko) 수산화칼슘 포그 노즐을 이용한 모듈형 방역 시스템
CN217279697U (zh) 一种具有雾化喷雾消毒装置的扫码开门无人售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