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6107A -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6107A
KR20240076107A KR1020220158253A KR20220158253A KR20240076107A KR 20240076107 A KR20240076107 A KR 20240076107A KR 1020220158253 A KR1020220158253 A KR 1020220158253A KR 20220158253 A KR20220158253 A KR 20220158253A KR 20240076107 A KR20240076107 A KR 20240076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ing groove
elevator
b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일
Original Assignee
도림엘리베이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림엘리베이터(주) filed Critical 도림엘리베이터(주)
Priority to KR1020220158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6107A/ko
Publication of KR20240076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610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승객으로부터 체온을 감지하여 이상체온이 감지되면 엘리베이터를 자동으로 소독하여 방역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승객이 탑승하는 엘리베이터 캐빈;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감지부;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인체의 체온을 감지하고 감지된 체온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체온감지부;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탑승객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의 각 내부 벽면으로 소독액을 분무하는 소독액분무부;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공간에 음압을 형성하는 음압형성부; 승객이 층수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는 내부조작부의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탑승자가 없을 시 구동되어 상기 내부조작부로 소독액을 분사하여 소독을 수행하는 제1 버튼 청소부와 제2 버튼 청소부; 및 상기 도어감지부, 상기 인체감지부 및 상기 체온감지부의 감지를 인식하고, 상기 인체감지부, 상기 체온감지부,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소독액분무부, 상기 제1 버튼 청소부, 상기 제2 버튼 청소부 및 상기 음압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Elevator with automatic disinfection}
본 발명은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승객으로부터 체온을 감지하여 이상체온이 감지되면 엘리베이터를 자동으로 소독하여 방역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병을 전파하는 바이러스나 각종 유해 세균으로부터 인체를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개인위생을 생활화하여야 함은 물론이라 할 것이고, 바이러스나 세균 전파의 근원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매개수단에 대한 철저한 방역이 이루어져야 한다.
근래에 들어, 이동수단의 비약적인 발달로 인해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국가 간의 교류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외국 여행문화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데, 그로 인해 특정 지역의 전염병 바이러스가 타지역을 오염시키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코로나19, 메르스(mers), 홍콩독감, 신종플루, 사스(sars) 등과 같이 전염성 및 치사율이 높은 바이러스가 창궐하면 상당한 인명 손실이 발생함은 물론이고, 이동의 제약과 심리위축 등으로 인해 소비생활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방역에 따른 방대한 인력과 재화가 투입되므로 국가적으로 엄청난 경제손실을 야기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사람을 통해 전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공항이나 항만의 출입국 단계에서의 엄중한 검역(quarantine)을 통해 바이러스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야 하고, 마스크를 착용하면서 타인과의 거리를 유지하여 호흡기를 통한 바이러스가 전파됨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건물에 설치되어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에 사람들이 서로 근접되는 상태로 일 정시간동안 이용하여야 하므로,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3434호 (2017.01.31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승객으로부터 체온을 감지하여 이상체온이 감지되면 엘리베이터를 자동으로 소독하여 방역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는, 승객이 탑승하는 엘리베이터 캐빈;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감지부;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인체의 체온을 감지하고 감지된 체온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체온감지부;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탑승객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의 각 내부 벽면으로 소독액을 분무하는 소독액분무부;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공간에 음압을 형성하는 음압형성부; 승객이 층수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는 내부조작부의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탑승자가 없을 시 구동되어 상기 내부조작부로 소독액을 분사하여 소독을 수행하는 제1 버튼 청소부와 제2 버튼 청소부; 및 상기 도어감지부, 상기 인체감지부 및 상기 체온감지부의 감지를 인식하고, 상기 인체감지부, 상기 체온감지부,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소독액분무부, 상기 제1 버튼 청소부, 상기 제2 버튼 청소부 및 상기 음압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버튼 청소부는, 상기 내부조작부과 대향하면서 상기 내부조작부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전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의 측면을 따라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노즐 안착홈; 전단이 상기 노즐 안착홈의 전단에 회동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노즐 안착홈을 개폐하는 개폐 덮개; 및 상기 개폐 덮개의 내향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개폐 덮개가 상기 노즐 안착홈을 덮음에 따라 상기 노즐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개폐 덮개가 상기 노즐 안착홈을 개방시켜 줌에 따라 상기 노즐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면 상기 내부조작부로 소독액을 분사하여 소독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버튼 청소부는, 상기 노즐 안착홈의 후단 테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노즐 안착홈을 덮는 상기 개폐 덮개의 후단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덮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 지지부는, 전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노즐 안착홈의 후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되, 전단이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노즐 안착홈을 덮는 상기 개폐 덮개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 상기 지지 블록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 덮개가 상기 지지 블록과 밀착되면 전기를 공급받아 자성을 형성시켜 상기 개폐 덮개를 체결하고, 상기 개폐 덮개가 상기 노즐 안착홈을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기 공급이 차단되어 체결을 해제하는 전자석; 및 상기 블록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 블록의 내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블록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지지부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블록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하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단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를 지지하는 중단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를 지지하는 회전형 지지 원통;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상기 상단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회전 체결 돌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나사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회전형 완충부; 및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함께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회전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중단 지지 기둥; 상기 제1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단 지지부로부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사산;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 상기 제2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완충부 배치홈; 및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블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을 지지하는 지지 유체;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수직 이동 가이드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지지 유체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상기 지지 유체를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완충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지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지지 유체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의 중단에 설치되는 지지 파티션; 및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파티션의 하측을 지지하는 파티션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는,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에 배치되는 곡선형 하부 블록;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하강되는 상기 안착 블록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는 곡선형 실린더;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곡선형 실린더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전단을 지지하며, 상기 곡선형 실린더로 상기 지지 유체가 전달됨에 따라 상기 곡선형 실린더로부터 노출되면서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전단을 밀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상승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을 회전시켜 주는 곡선형 피스톤; 및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후단과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후단을 지지하는 진동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 지지부는, 상기 지지 원통의 회전 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유도 구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승객으로부터 체온을 감지하여 이상체온이 감지되면 외부의 의료센터에 통보하고 엘리베이터를 소독하여 방역할 수 있어서, 아파트에 거주하는 사람들이나 사무실, 학원, 음식점 등이 구비된 건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전파됨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제1 버튼 청소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의 블록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회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5의 중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5의 하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1)는, 엘리베이터 캐빈(10), 도어감지부(20), 인체감지부(30), 체온감지부(40), 영상촬영부(50), 소독액분무부(60), 음압형성부(70), 버튼 청소부(80),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
먼저, 엘리베이터 캐빈(10)는 건물의 층층마다 이동할 수 있다. 도어(11)는 건물의 층에서 개폐되는 도어판들과 엘리베이터 캐빈(10)에서 개폐되는 도어판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캐빈(10)가 특정 층에 도착하면 건물의 도어판들과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도어판들이 동시에 작동되어서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건물의 층층마다에는 엘리베이터 캐빈(10)를 호출하기 위한 외부조작부(13)가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에는 승객이 원하는 건물의 층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된 내부조작부(12)가 설치된다.
따라서, 승객이 외부조작부(13)를 조작하면 엘리베이터 캐빈(10)가 해당 층에 도착한 후에 도어(11)가 개방되므로 승객이 엘리베이터 캐빈(10)에 탑승할 수 있다. 또한, 승객이 내부조작부(12)를 조작하여 층수를 선택하면 엘리베이터 캐빈(10)가 해당 층으로 이동한 후에 도어(11)가 개방되므로 승객이 엘리베이터 캐빈(10)에서 하차하여 해당 층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캐빈(10)가 상승하는 상태인지 하강하는 상태인지 화살표로 표시하고, 엘리베이터 캐빈(10)가 도착하는 층마다 숫자나 문자로 표시하는 층수표시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캐빈(10)를 탑승한 승객은 층수표시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엘리베이터 캐빈(10)가 도착한 층수를 알 수 있다.
한편, 건물의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CCTV(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건물의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건물의 로비, 입구, 출구, 등에도 CCTV들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CCTV에서 건물을 이용하기 위해 이동하는 사람들이 촬영될 수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캐빈(10)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홀(14)이 천정에 형성되고,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홀(15)이 벽체의 하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공기유입홀(14) 및 공기배출홀(15)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공기가 유통되는 메쉬 및 공기를 필터링하여 공기 중의 방사성 미립자를 정화시키는 헤파필터가 설치된다. 이에 의해, 외부공기가 필터링되어서 정화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고, 내부공기가 필터링어서 정화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캐빈(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공기유입홀(14)은 공기배출홀(15)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공기배출홀(15)에 음압형성부(70)가 설치되어서 작동될 수 있어서,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공간에서 많은 양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공간으로 적은 양의 외부공기가 유입되므로,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공간에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감지부(20)는 접촉센서나 적외선센서 또는 광센서로 구성되어 도어(11)가 개방되거나 폐쇄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인체감지부(30)는 적외선센서 또는 광센서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탑승객을 감지할 수 있다.
체온감지부(40)는 열을 추적 및 탐지하면서 인체를 촬영하고 촬영되는 온도영상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열화상카메라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에서 도어(11)를 향하는 상태로 촬영한다. 이러한, 열화상카메라는 이상온도 및 정상온도를 설정하고, 이상온도에 적색을 부여하며 정상온도에 녹색을 부여하는 상태에서, 해당 인체가 체온에 따라 적색이미지 또는 녹색이미지로 촬영되는 온도영상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제어부(9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이상온도는 섭씨 38도로 설정하고 정상온도는 섭씨 36~37.5도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상온도나 정상온도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영상에는 측정되는 온도에 따라 적색의 인체와 녹색의 인체가 촬영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벽과 도어(11)는 설정된 온도들보다 낮으므로 어두운 색상으로 촬영된다.
이러한, 체온감지부(40)는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하는 탑승객을 촬영하여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체온감지부(40)가 도어(11)를 향하는 상태로 엘리베이터 캐빈(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도어(11)가 개방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하는 탑승객의 전신을 촬영하여 저장됨과 동시에 제어부(90)로 전송한다.
영상촬영부(50)는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영상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디지털카메라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에서 도어(11)를 향하는 상태로 촬영한다. 이러한, 영상촬영부(50)는 도어(11)를 향하는 상태로 엘리베이터 캐빈(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도어(11)가 개방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하는 탑승객의 전신을 촬영하는 촬영영상을 제어부(9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촬영부(50)는 엘리베이터 캐빈(10)에 설치된 CCTV로 구성될 수도 있다.
소독액분무부(60)는 엘리베이터 캐빈(10)의 천정에 설치되어 소독액을 소립자로 분산시켜서 분사하는 초음파분사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소독액분무부(60)에 의해 엘리베이터 캐빈(10)의 천정에서 소독액이 분사되므로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공간이 전체적으로 소독될 수 있다.
여기서, 소독액은, 에탄올 60~70 중량% 및 첨가제 30~4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첨가제는 탑승객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글리세린, 정제수, 카보머, 트리에탄올아민,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향기를 위한 허브아로마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음압형성부(70)는 엘리베이터 캐빈(10)의 공기배출홀(15)에 설치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캐빈(10)의 공기유입홀(14)을 통해 외부공기가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음압형성부(70)인 송풍팬이 작동되면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공기배출홀(15)을 통해 급격하게 배출되면서 공기유입홀(14)을 통해 외부공기가 서서히 유입되므로 엘리베이터 캐빈(10)의 내부공간에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도어감지부(20)에서 도어(11)의 개방을 감지하면 인체감지부(30)를 작동시키고, 도어감지부(20)에서 도어(11)의 폐쇄를 감지하면 인체감지부(30)를 정지시키는 인체감지작동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인체감지부(30)에서 인체를 감지하면 체온감지부(40)를 작동시키고, 인체감지부(30)에서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면 체온감지부(40)를 정지시키는 체온감지작동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인체감지부(30)에서 인체를 감지하면 영상촬영부(50)를 작동시키고, 인체감지부(30)에서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면 영상촬영부(50)를 정지시키는 영상촬영작동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체온감지부(40)에서 전송되는 온도영상에서 적색이미지를 검출하면 이상으로 판단하는 이상판단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이상판단부에서 이상으로 판단하면 체온감지부(40)에서 촬영되는 온도영상 및 영상촬영부(50)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영상데이터전송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도어감지부(20)에서 도어(11)의 폐쇄를 감지하고 인체감지부(30)에서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면 소독액분무부(60) 및 버튼 청소부(80)를 작동시키고, 도어감지부(20)에서 도어(11)의 개방을 감지하거나 인체감지부(30)에서 인체를 감지하면 소독액분무부(60)를 정지시키는 소독액작동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이상판단부에서 이상으로 판단한 상태에서 도어감지부(20)에서 도어(11)의 폐쇄를 감지하고 인체감지부(30)에서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면 음압형성부(70)를 작동시키고, 도어감지부(20)에서 도어(11)의 개방을 감지하거나 인체감지부(30)에서 인체를 감지하면 음압형성부(70)를 정지시키는 음압조작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승객이 도어(11)를 개방하여 엘리베이터 캐빈(10)를 탑승하면 도어감지부(20)에서 도어(11)의 개방을 감지하므로, 인체감지부(30)가 작동되어서 승객을 감지한다. 그리고, 인체감지부(30)가 승객을 감지하면 체온감지부(40)가 작동되어서 승객을 촬영하여 온도영상을 획득한다. 또한, 영상촬영부(50)도 작동되어서 승객을 촬영한다. 이때, 제어부(90)의 이상판단부에서 온도영상을 근거로 이상을 판단하면, 촬영영상과 함께 온도영상을 외부의 의료센터에 구비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센터에서 의료진들이 서버로 전송된 온도영상을 근거로 바이러스감염이 의심되는 승객에 대한 이미지를 확인하고, 촬영영상에서도 온도영상에서 확인된 이미지에 일치하는 해당 승객에 대한 인상착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온도영상 및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승객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으므로 바이러스의 감염여부도 신속하게 검진할 수 있다.
그리고, 버튼 청소부(80)는, 제어부(90)에 의해 구동되며, 승객이 층수를 선택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캐빈(10)에 구비되는 내부조작부(12)의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캐빈(10)에 탑승자가 없을 시 구동되어 내부조작부(12)로 소독액을 분사하여 소독을 수행하는 제1 버튼 청소부(81)와 제2 버튼 청소부(82)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1)는,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승객으로부터 체온을 감지하여 이상체온이 감지되면 외부의 의료센터에 통보하고 엘리베이터를 소독하여 방역할 수 있어서, 아파트에 거주하는 사람들이나 사무실, 학원, 음식점 등이 구비된 건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전파됨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제1 버튼 청소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버튼 청소부(81)는, 노즐 안착홈(100), 개폐 덮개(200) 및 다수 개의 분사 노즐(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버튼 청소부(82)는, 후술하는 제1 버튼 청소부(81)와 대칭 구조로서 제1 버튼 청소부(81)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노즐 안착홈(100)은, 내부조작부(12)과 대향하면서 내부조작부(12)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전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엘리베이터 캐빈(10)의 측면을 따라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다수 개의 분사 노즐(300)이 안착된다.
개폐 덮개(200)는, 전단이 노즐 안착홈(100)의 전단에 회동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노즐 안착홈(100)을 개폐한다.
다수 개의 분사 노즐(300)은, 개폐 덮개(200)의 내향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개폐 덮개(200)가 노즐 안착홈(100)을 덮음에 따라 노즐 안착홈(100)에 안착되고, 개폐 덮개(200)가 노즐 안착홈(100)을 개방시켜 줌에 따라 노즐 안착홈(100)으로부터 노출되면 내부조작부(12)로 소독액을 분사하여 소독을 수행한다.
여기서, 분사 노즐(300)은, 상술한 소독액분무부(6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소독액은, 에탄올 60~70 중량% 및 첨가제 30~4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첨가제는 탑승객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글리세린, 정제수, 카보머, 트리에탄올아민,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향기를 위한 허브아로마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버튼 청소부(81)는, 다수 개의 덮개 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 지지부(400)는, 노즐 안착홈(100)의 후단 테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노즐 안착홈(100)을 덮는 개폐 덮개(200)의 후단을 지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덮개 지지부(400)는, 블록 안착홈(410), 지지 블록(420), 전자석(430) 및 블록 지지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안착홈(410)은, 전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노즐 안착홈(100)의 후단 테두리에 형성되며, 블록 지지부(440)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 블록(420)이 안착된다.
지지 블록(420)은, 블록 지지부(440)에 의해 지지되어 블록 안착홈(410)에 안착되되, 전단이 블록 안착홈(410)으로부터 노출되어 노즐 안착홈(100)을 덮는 개폐 덮개(200)의 후단을 지지한다.
전자석(430)은, 지지 블록(420)의 전단에 설치되며, 개폐 덮개(200)가 지지 블록(420)과 밀착되면 전기를 공급받아 자성을 형성시켜 개폐 덮개(200)를 체결하고, 개폐 덮개(200)가 노즐 안착홈(100)을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기 공급이 차단되어 체결을 해제한다.
블록 지지부(440)는, 블록 안착홈(410)의 내측에 설치되어 블록 안착홈(410)에 안착되는 지지 블록(420)의 내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 블록(42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버튼 청소부(81)는, 일정한 주기(예를 들어, 1 시간에 1번씩 등) 또는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내부조작부(12)로 소독액을 분사 도포시켜 줌으로써, 내부조작부(12)를 통한 전염병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블록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부(500)는, 상단 지지부(510), 하단 지지부(520), 회전 지지부(530) 및 중단 지지부(5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지지부(510)와 하단 지지부(520)가 전후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과 같이 뉘인 형태로 설치될 것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단 지지부(510)가 상측에 위치하고 하단 지지부(520)가 하측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단 지지부(510)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 지지부(53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 블록(420)의 내측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지지부(5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 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유도 구체(512)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하단 지지부(520)는, 상측에 설치되는 중단 지지부(540)에 의해 상단 지지부(510)와 이격 설치되며, 블록 안착홈(410)의 내측면에 안착되어 지지한다.
회전 지지부(530)는,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단 지지부(51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단 지지부(510)를 지지한다.
중단 지지부(540)는, 상부가 회전 지지부(530)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하단 지지부(5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블록 지지부(500)는, 고정 설치되는 상단 지지부(51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530)와 상하 방향으로 노출과 삽입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중단 지지부(540)의 회전 또는 수직 이동 과정에서 상단 지지부(51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회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회전 지지부(530)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 회전 체결 돌기(532), 제1 나사산(533), 제1 회전형 완충부(534) 및 제2 회전형 완충부(535)를 포함한다.
회전형 지지 원통(531)은, 내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533)을 형성하면서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지지부(510)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단 지지부(510)를 지지하며, 상측을 따라 회전 체결 돌기(532)가 형성된다.
회전 체결 돌기(532)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상단 지지부(5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단 지지부(510)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51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1 나사산(533)은,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제2 나사산(5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1 회전형 완충부(534)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543)에 안착되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즉, 상단 지지부(5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하방 압력을 받음에 따라 제1 나사산(533)과 제2 나사산(542) 간의 결합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면서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가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것이다.
이때,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회전형 완충부(534)는, 곡선형 하부 블록(5341), 곡선형 실린더(5342), 곡선형 피스톤(5343) 및 진동 완충 스프링(5344)을 포함할 수 있다.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은,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2 회전형 완충부(535)와 대향하면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 완충부 배치홈(543)에 배치되며, 전단 하측에 곡선형 실린더(5342)가 설치된다.
곡선형 실린더(5342)는,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전단에 설치되며,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을 따라 하강되는 안착 블록(521)에 의해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를 전달받아 내측에 설치되는 곡선형 피스톤(5343)을 내측으로부터 노출시켜 준다.
곡선형 피스톤(5343)은,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곡선형 실린더(5342)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전단을 지지하며, 곡선형 실린더(5342)로 지지 유체(523)가 전달됨에 따라 곡선형 실린더(5342)로부터 노출되면서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전단을 밀어 중단 지지 기둥(541)으로부터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을 회전시켜 준다.
진동 완충 스프링(5344)은,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후단과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후단을 지지한다.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대향하면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함께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여기서,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상술한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회전형 완충부(534)의 곡선형 하부 블록(5341), 곡선형 실린더(5342), 곡선형 피스톤(5343) 및 진동 완충 스프링(5344)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 지지부(530)는, 상단 지지부(510)와 중단 지지부(540) 사이에서 각각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회전 운동으로 변형시켜 주는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단 지지부(5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9는 도 5의 중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중단 지지부(540)는, 중단 지지 기둥(541), 제2 나사산(542), 제1 완충부 배치홈(543), 제2 완충부 배치홈(544) 및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를 포함한다.
중단 지지 기둥(541)은,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기둥 안착홈(522)에 안착되어 지지 유체(523)에 의해 지지되며, 제2 나사산(542), 제1 완충부 배치홈(543), 제2 완충부 배치홈(544) 및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2 나사산(54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사산(53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단 지지부(510)로부터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된다.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은, 제1 회전형 완충부(534)가 배치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일측에서 곡선형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2 완충부 배치홈(544)은, 제2 회전형 완충부(535)가 배치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타측에서 곡선형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는,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중단 지지 기둥(541)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중단 지지부(540)는, 회전 지지부(53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를 지지하는 동시에, 회전 지지부(5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에서 지지 유체(523)를 가압하면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5의 하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으 참조하면, 하단 지지부(520)는, 안착 블록(521), 기둥 안착홈(522), 지지 유체(523),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 및 보조 완충부(525)를 포함한다.
안착 블록(521)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기둥 안착홈(522), 지지 유체(523),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 및 보조 완충부(52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기둥 안착홈(522)은, 중단 지지 기둥(54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안착 블록(521)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단 지지 기둥(541)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하측 공간에 지지 유체(523)가 수용된다.
이때, 지지 유체(523)는, 중단 지지 기둥(541)에 의해 밀폐되는 기둥 안착홈(522)의 하단에 수용되는 것이며, 중단 지지 기둥(541)의 기둥 안착홈(522)에서의 상하 이동에 상관 없이 기둥 안착홈(522)으로부터 유출되지 아니하여야 할 것이다.
지지 유체(523)는, 물 또는 오일 등과 같이 그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고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물체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중단 지지 기둥(541)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기둥 안착홈(522)에 삽입되어 있는 중단 지지 기둥(541)을 지지한다.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은,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기둥 안착홈(522)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다.
보조 완충부(52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블록(521)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지지 유체(523)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지지 유체(523)를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중단 지지 기둥(54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완충부(525)는, 이너 하우징(5251), 지지 파티션(5252) 및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5251)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 블록(521)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 지지부(5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중단 지지 기둥(541)에 의해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를 기둥 안착홈(522)으로부터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한다.
여기서, 기둥 안착홈(522)과 이너 하우징(5251) 사이에는, 지지 유체(523)의 이동을 중계하기 위한 유체 이동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파티션(5252)은, 이너 하우징(5251)의 내부 공간을 지지 유체(523)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이 설치되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이너 하우징(5251)의 중단에 설치된다.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은, 이너 하우징(5251)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지지 파티션(5252)의 하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단 지지부(52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단 지지부(540)를 지지하는 동시에, 중단 지지부(540)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중단 지지부(540)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 시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의 배출 또는 유입 과정에서 진동 또는 충격 등의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10: 엘리베이터 캐빈
20: 도어감지부
30: 인체감지부
40: 체온감지부
50: 영상촬영부
60: 소독액분무부
70: 음압형성부
80: 버튼 청소부
90: 제어부

Claims (9)

  1. 승객이 탑승하는 엘리베이터 캐빈;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감지부;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인체의 체온을 감지하고 감지된 체온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체온감지부;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탑승객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의 각 내부 벽면으로 소독액을 분무하는 소독액분무부;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어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공간에 음압을 형성하는 음압형성부;
    승객이 층수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구비되는 내부조작부의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에 탑승자가 없을 시 구동되어 상기 내부조작부로 소독액을 분사하여 소독을 수행하는 제1 버튼 청소부와 제2 버튼 청소부; 및
    상기 도어감지부, 상기 인체감지부 및 상기 체온감지부의 감지를 인식하고, 상기 인체감지부, 상기 체온감지부, 상기 영상촬영부, 상기 소독액분무부, 상기 제1 버튼 청소부, 상기 제2 버튼 청소부 및 상기 음압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 청소부는,
    상기 내부조작부과 대향하면서 상기 내부조작부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전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캐빈의 측면을 따라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노즐 안착홈;
    전단이 상기 노즐 안착홈의 전단에 회동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노즐 안착홈을 개폐하는 개폐 덮개; 및
    상기 개폐 덮개의 내향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개폐 덮개가 상기 노즐 안착홈을 덮음에 따라 상기 노즐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개폐 덮개가 상기 노즐 안착홈을 개방시켜 줌에 따라 상기 노즐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면 상기 내부조작부로 소독액을 분사하여 소독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 청소부는,
    상기 노즐 안착홈의 후단 테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노즐 안착홈을 덮는 상기 개폐 덮개의 후단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덮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지지부는,
    전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노즐 안착홈의 후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되, 전단이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노즐 안착홈을 덮는 상기 개폐 덮개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
    상기 지지 블록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 덮개가 상기 지지 블록과 밀착되면 전기를 공급받아 자성을 형성시켜 상기 개폐 덮개를 체결하고, 상기 개폐 덮개가 상기 노즐 안착홈을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기 공급이 차단되어 체결을 해제하는 전자석; 및
    상기 블록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 블록의 내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블록 지지부;를 포함하는,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지지부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블록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하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단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를 지지하는 중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를 지지하는 회전형 지지 원통;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상기 상단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회전 체결 돌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나사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회전형 완충부; 및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함께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회전형 완충부;를 포함하는,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중단 지지 기둥;
    상기 제1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단 지지부로부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사산;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
    상기 제2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완충부 배치홈; 및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블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을 지지하는 지지 유체;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수직 이동 가이드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지지 유체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상기 지지 유체를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하는,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완충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지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지지 유체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의 중단에 설치되는 지지 파티션; 및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파티션의 하측을 지지하는 파티션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KR1020220158253A 2022-11-23 2022-11-23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KR20240076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253A KR20240076107A (ko) 2022-11-23 2022-11-23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253A KR20240076107A (ko) 2022-11-23 2022-11-23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6107A true KR20240076107A (ko) 2024-05-30

Family

ID=9127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253A KR20240076107A (ko) 2022-11-23 2022-11-23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610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434B1 (ko) 2015-07-21 2017-02-22 권오영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434B1 (ko) 2015-07-21 2017-02-22 권오영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204B1 (ko) 체온 감지 및 방역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US5181883A (en) Smoker's booth
CN111173322A (zh) 一种移动组合式出入口防疫检测隔离通道舱
KR102263908B1 (ko) 복합 청정시스템이 구비된 스마트 게이트 제어시스템
KR102280233B1 (ko)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JP2011229696A (ja) 病原体感染防止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2270838B1 (ko) 에어샤워 살균 게이트
KR102182543B1 (ko) 인공지능 방역 시스템
US20080057854A1 (en) Patient isolation module and use thereof
US20230381364A1 (en) Exhaled air purification unit and system for indoor multi-person venues or environments
JP2011137588A (ja) 飛沫物移動防止方法および飛沫物遮断用エアカーテン装置
KR20240076107A (ko) 자동 방역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US6162118A (en) Portable isolation device and method
US20230175714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rrying out decontamination measures, method for preparing decontamination measures and method for monitoring decontamination measures
KR102442430B1 (ko) 에어 샤워식 순환 소독 부스 조립체
JP5014815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
WO2022019579A1 (ko) 방역을 위한 스피드게이트
KR102286942B1 (ko) 에어샤워 게이트
KR102450800B1 (ko) 스탠드형 에어샤워 방역 시스템
KR102338485B1 (ko) 신발 오염먼지 제거용 진공흡입식 발판매트를 갖춘 살균소독 게이트
JP6914385B1 (ja) 陰陽圧エリアユニットおよび陰陽圧エリアユニットの配置構造
JP2018146167A (ja) 粉体の吸引除去装置と粉体の吸引除去方法
KR102243562B1 (ko) 전자분사기
KR102085142B1 (ko) 천정형 환기장치
KR20220084957A (ko)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