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233B1 -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 Google Patents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233B1
KR102280233B1 KR1020200168519A KR20200168519A KR102280233B1 KR 102280233 B1 KR102280233 B1 KR 102280233B1 KR 1020200168519 A KR1020200168519 A KR 1020200168519A KR 20200168519 A KR20200168519 A KR 20200168519A KR 102280233 B1 KR102280233 B1 KR 102280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unit
entrance
body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픈코리아
서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픈코리아, 서용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픈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68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또는 시설물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게이트부의 진입 전 출입자 인증 및 체온 측정이 이루어져, 정상체온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안개화된 살균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하고, UV램프에 의한 추가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게 하는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Gate type quarantine system}
본 발명은 건물 또는 시설물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게이트부의 진입 전 출입자 인증 및 체온 측정이 이루어져, 정상체온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안개화된 살균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하고, UV램프에 의한 추가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게 하는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질병을 전파하는 바이러스나 각종 유해 세균으로부터 인체를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개인위생을 생활화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바이러스나 세균 전파의 근원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매개수단에 대한 철저한 방역이 이루어져야 한다.
근래에 들어 이동수단의 비약적인 발달로 인해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국가 간의 교류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외국 여행문화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데, 그로 인해 특정 지역의 전염병 바이러스가 타지역을 오염시키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메르스(mers), 홍콩독감, 신종플루, 사즈(sars), 코로나19(corona-19) 등과 같이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가 창궐하게 되면, 상당한 손실이 발생함은 물론이고, 이동의 제약과 심리위축 등으로 인해 소비생활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방역에 따른 방대한 인력과 재화가 투입되므로 국가적으로 엄청난 경제손실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은 전염성 바이러스는 사람을 통해 전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공항이나 항만의 출입국 단계에서의 엄중한 검역을 통해 바이러스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바이러스의 유입을 100% 차단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전염병이 발생되면 국가 및 개인차원에서 방역 및 예방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특히, 다수의 사람이 출입하게 되는 특정 장소, 건물 또는 시설물 등을 방역하고, 이에 출입하는 사람이나 차량 등을 방역처리 함으로써 전염병의 확산을 저지하게 된다.
이때, 출입문이라는 것은 특정 장소, 건물 또는 시설물을 방문하는 사람이 반드시 거치는 구조물인 바, 최근에는 출입문에 방역 시스템을 설치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방역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출입문 방역 시스템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703434호(종래기술)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03434호 2017.01.31.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게이트부의 진입 전 출입자 인증 및 체온 측정이 이루어져, 정상체온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안개화된 살균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하고, UV램프에 의한 추가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게 하는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 또는 시설물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면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통과 가능하게 이루어진 게이트부(100); 상기 게이트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측 중심부로 안개화된 살균액을 분사하는 분사부(200); 상기 게이트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출입자의 진입을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400); 상기 게이트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게이트부(100)를 통과하는 출입자의 인증이 이루어지되, 체온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출입인증부(500); 및 상기 출입인증부(500)에서 측정된 체온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진입감지센서(400)에 의해 상기 게이트부(100)로 사람이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분사노즐이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입인증부(500)에서 측정된 체온이 비정상 체온인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사부(200)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이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측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구비된 제 1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분사노즐이 게이트부(100)의 출입통로 중심부를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하는 측면 분사부(210); 및 상기 게이트부(100)가 설치된 바닥면 상에 복수 개가 구비되는 제 2분사노즐(221) 및 상기 제 2분사노즐(221)로부터 분사된 살균액이 상방으로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 2분사노즐(221)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져, 바닥면에 구비되는 보호덮개(222)를 포함하는 바닥 분사부(220);를 포함하는 바닥 분사부(220);를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호덮개(222)의 전단 및 후단측 하부에는, 출입자의 신발 바닥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어내는 이물질 제거부(223)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보호덮개(222)의 하부에는, 상기 보호덮개(222)를 통과하여 하부로 낙하된 이물질을 수거하도록 구성되되,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된 이물질 수거부(224)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UV 램프(12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게이트부(100)의 상부면 전단 및 후단에는, 하방으로 일정 압력을 갖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외부 공기가 서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에어커튼부(30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진입감지센서(400)는, 상기 게이트부(100)로 접근하는 사람의 감지가 이루어지는 인증용 감지센서(410); 및 상기 게이트부(100)의 출입통로로 진입한 사람의 감지가 이루어지는 출입용 감지센서(420);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출입용 감지센서(420)는, 상기 인증용 감지센서(410)보다 작은 범위의 반경 범위 내로 진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출입인증부(500)는, 출입자의 안면을 촬영하되, QR 코드를 촬영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게이트부(100)의 출입방향측에 구비되는 이미지 카메라(510); 상기 이미지 카메라(5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열감지센서(520); 상기 이미지 카메라(510)에 의해 촬영된 출입자의 안면 이미지를 출력하되, 상기 열감지센서(520)에 의해 측정된 출입자의 체온정보를 시각정보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게이트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화면표시패널(530);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음원이 송출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피커(540);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부(100)의 측벽 외측에는, 광고를 송출할 수 있는 광고용 디스플레이부(11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부의 진입 전 출입자 인증 및 체온 측정이 이루어져, 정상체온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안개화된 살균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함에 따라 무인으로 방역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부의 내부에 UV 램프가 구비됨에 따라, 살균액에 의해 1차로 소독이 이루어지고, UV램프에 의해 2차로 소독이 이루어짐에 따라 방역 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부의 상단에 에어커튼부가 구비되어 게이트부의 내외기의 유동을 차단한 상태로 살균액의 분사가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출입자가 게이트부를 통과하면 살균액의 회수가 이루어짐에 따라 살균액이 외부로 분산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의 일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입감지센서의 감지영역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출입인증부의 실시예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부와 관리서버의 개략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역 시스템의 사용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6a는 인증용 감지센서에 사람의 진입이 감지된 상태일 때의 방역 시스템의 동작 실시예이고, 6b는 인증용 감지센서 및 출입용 감지센서에 동시에 사람의 진입이 감지된 상태일 때의 방역 시스템의 동작 실시예이며, 6c는 이탈감지센서에 의해 사람의 이탈이 감지된 상태일 때의 방역 시스템의 동작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의 일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분사부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물 또는 시설물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게이트부의 진입 전 출입자 인증 및 체온 측정이 이루어져, 정상체온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안개화된 살균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하되, UV램프에 의한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게 하는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게이트부(100), 분사부(200), 진입감지센서(400), 출입인증부(5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부(100)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통과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도 1 내지 도 2b와 같이, 상기 게이트부(100)는 한 쌍의 측벽과 이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벽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측벽과 상부벽이 절곡된 형태 또는 휘어진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중심부에 진입통로가 개방 형성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출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이트부(100)는 내부가 빈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이후 후술할 다양한 장비들이 탑재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부(100)의 측벽에는 다양한 광고를 송출할 수 있는 광고용 디스플레이부(11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광고용 디스플레이부(110)는 이후 후술할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광고를 시각영상으로 송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방역 시스템에 선전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광고용 디스플레이부(110)는 게이트부(100)의 측벽 내벽 또는 외벽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측벽의 내벽에 구비되어 출입자가 상기 게이트부(1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광고를 시청함에 따라 광고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부(100)에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이루어진 손소독부(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손소독부(140)는 출입자의 신체(여기서는 손)이 인입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손소독부(140)이 수동인 경우, 상기 홈에 손소독제가 구비되어 출입자가 이를 직접 사용하여 소독액을 분사함으로써 손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손소독부(140)이 자동인 경우, 상기 손소독부(140)은 상기 홈에 인입된 신체를 감지하는 신체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체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소독액이 사용자의 손에 분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손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자동 손소독부(140)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작동 알고리즘은 이미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손소독부(140)은 게이트부(100)의 전면 또는 측벽 내벽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는데, 전면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출입인증부(500)의 화면표시패널(530)의 하단에 구비되도록 하여 출입인증과 동시에 손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게이트부(100)의 측벽 내벽에 구비되는 경우, 광고용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도록 하여 광고를 시청하면서 손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역 시스템은 시설물 또는 건축물의 출입구에 고정 구비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부(100)의 하단에 복수 개의 캐스터(130)를 구비함으로써, 이동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2b에 따르면, 상기 분사부(200)는 실질적으로 건물 또는 시설물 내로 진입하는 출입자를 소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게이트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측 중심부로 안개화된 살균액을 분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하면, 상기 분사부(200)는 상기 케이트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구비되는 초음파 발생부로부터 미스트 형태의 살균액을 전달받아 상기 게이트부(100)의 중심부로 분사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는 측면 분사부(210)과 바닥 분사부(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 분사부(210)은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측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구비된 제 1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분사노즐은 게이트부(100)의 출입통로 중심부를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바닥 분사부(220)은 상기 게이트부(100)가 설치된 바닥면 상에 복수 개가 구비되는 제 2분사노즐(221) 및 상기 제 2분사노즐(221)에서 분사되는 살균액이 통과 가능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제 2분사노즐(221)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져, 바닥면에 구비되는 보호덮개(2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분사노즐(221)은 상방으로 안개화된 살균액을 분사하도록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호덮개(222)는 상기 제 2분사노즐(221)로부터 분사되는 소독액이 상기 보호덮개(222)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분사되게 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여 예를 들면, 좌우방향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되되, 높이가 상기 제 2분사노즐(221)보다 크게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이 전후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제 2분사노즐(221)의 끝단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호덮개(222)를 구성하는 프레임들 중 상기 제 2분사노즐(221)보다 전후방향으로 외측에 구비된 프레임은 도 2b와 같이 전단 및 후단으로 점차 높이가 작아지게 형성되어 휠체어를 탑승한 출입자 또한 상기 게이트부(100)를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프레임들의 사이는 메쉬망 등에 의해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다양한 통행도구 및 장비를 이용하는 출입자들이 안정하게 상기 게이트부(100)를 통과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덮개(222)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분사노즐(221)을 보호하면서 살균액이 통과하여 분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격자형태로 구성된 프레임과 복수 개의 프레임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구비되는 철망을 포함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의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게이트부(1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좌우상하방향에서 살균액이 안개화된 상태로 분사되면서 출입자의 몸 전체가 살균 소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UV 램프(12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UV 램프(120)는 상기 진입감지센서(400)에서 사람의 진입이 감지되면 UV 램프(120)가 발광하면서 출입자의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은 소독액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1차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UV 램프(120)에 의해 2차로 소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이트부(100)의 상부면 전단 및 후단에는 하방으로 일정 압력을 갖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외부 공기가 서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에어커튼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하면, 상기 에어커튼부(300)는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외기 공기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진입통로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게이트부(100)의 상단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커튼부(300)는 출입자가 상기 게이트부(100)에 진입시, 상기 게이트부(100)의 전단과 후단측에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이 상태에서 분사부(200)로부터 살균액이 분사될 수 있게 함에 따라 살균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입감지센서(400)는 출입자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게이트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출입자의 진입을 감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진입감지센서(400)는 적외선 센서, 이미지 센서 등 출입자의 출입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게이트부(100)의 출입방향측 상단 중심부에 구비되도록 하여 출입자의 진입을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진입감지센서(400)에 의해 감지된 결과는 이후 후술할 제어부로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진입감지센서(400)는 게이트부(100)로 접근하는 사람의 감지가 이루어지는 인증용 감지센서(410) 및 상기 게이트부(100)의 출입구로 진입한 사람의 감지가 이루어지는 출입용 감지센서(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인증용 감지센서(410)는 상기 게이트부(100)를 기준으로 이의 진입방향측 일정반경 범위(A영역) 내로 진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출입용 감지센서(420)는 상기 인증용 감지센서(410)보다 작은 범위의 반경 범위(B영역) 내로 진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인증용 감지센서(410)는 시설 또는 건축물 내로 출입을 위해 출입 인증을 하고자 하는 사람의 진입을 감지하게 되며, 상기 출입용 감지센서(420)는 상기 게이트부(100)를 통과하고자 하는 출입자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인증용 감지센서(410)보다 상기 게이트부(100)로 더욱 근접한 범위로 진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진입감지센서(400)는 상기 인증용 감지센서(410)에 의해 출입자의 진입을 1차로 감지하고, 진입한 사람이 게이트부(100)의 진입통로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인증용 감지센서(410)에서 2차로 진입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증용 감지센서(410)와 출입용 감지센서(420)의 감지범위는 상기 게이트부(100)가 설치된 위치와 주변환경에 따라 관리자가 적절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따르면, 상기 출입인증부(500)는 상기 게이트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게이트부(100)를 통과하는 출입자의 인증이 이루어지되, 체온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데, 상술하면, 상기 출입인증부(500)는 이미지 카메라(510), 열감지센서(520), 화면표시패널(530) 및 스피커(540)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카메라(510)는 출입자의 안면을 촬영하되, QR 코드를 촬영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게이트부(100)의 출입방향측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 카메라(510)는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여 출입자의 신장에 따라 회동하면서 출입자의 안면을 촬영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이미지 카메라(510)에 의해 촬영된 QR 코드 정보는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어 전자 출입자 명부의 작성에 사용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열감지센서(520)는 상기 이미지 카메라(5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하면, 상기 열감지센서(520)는 출입자의 안면 표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미지 카메라(510)의 회동시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미지 카메라(5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카메라(510)의 회동시 상기 열감지센서(520)가 함께 회동하면서 출입자의 안면 온도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열감지센서(520)에 의해 측정된 정보는 제어부로 전송되도록 하며, 이는 앞서 설명한 QR 코드 정보와 함께 제어부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화면표시패널(530)은 상기 이미지 카메라(510)에 의해 촬영된 출입자의 안면 이미지를 출력하되, 상기 열감지센서(520)에 의해 측정된 출입자의 체온정보를 시각정보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게이트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화면표시패널(530)은 상기 게이트부(100)의 출입방향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되, 바닥면으로부터 140 ~ 170cm인 범위 내에 구비되도록 하여 출입자가 화면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화면표시패널(530)은 출입자의 출입 허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아 송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출입 허가 여부에 대한 시각 정보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 글귀로 표출되도록 하여 출입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피커(540)는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음원이 송출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술하면, 상기 스피커(540)는 출입자가 정상 체온인 경우 출입 허가 음원을 송출하고, 출입자가 비정상 체온인 경우에는 상기 출입 허가 음원과 상이한 음원으로 이루어진 출입 금지 음원을 송출함으로써 출입 허가 여부를 바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출입인증부(500)는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함과 동시에 출입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자 출입자 명부를 쉽게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에서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출입자 명부를 작성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게이트부(100)에 별도의 인증장치(550)를 구성하여 출입자 인증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인증된 전자정보는 제어부로 전송되어 전자 출입자 명부의 작성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증장치(550)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QR코드, 바코드 등을 인식하여 사용자 인증코드를 형성하는 각종 리더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설치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게이트부(100)의 일측에는 온도, 습도, 미세먼지, 유해가스, 이산화탄소 등의 각종 공기상태를 측정하는 환경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환경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는 상기 화면표시패널(530)에 출력 표시되어 출입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게이트부(100)에는 출입자의 통과를 감지하는 이탈감지센서(600)가 구비되어 출입자가 게이트부(100)를 통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하면, 상기 이탈감지센서(600)는 상기 보호덮개(222)에 구비되는 하중센서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게이트부(100)의 후면측에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게이트부(100)로부터 나아가는 출입자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게이트부(100)의 일측에는 분사된 살균액을 회수하는 회수부(700)가 더 구비되도록 하는데, 상술하면, 상기 회수부(700)는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측면 둘레 또는 하단부에 구비된 상태로 진입통로로 분사된 살균액을 흡입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방역 시스템의 각종 장치를 제어하되, 관리서버와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방역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관리 감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인증부(500)에서 측정된 체온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진입감지센서(400)에 의해 상기 게이트부(100)로 사람이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분사부(200)이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입인증부(500)에서 측정된 체온이 비정상 체온인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하면, 상기 제어부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역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에서 관리되는 각종 정보는 관리서버로 전송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각종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게 되며, 관리자는 이를 통해 별도로 구비된 관리실에서 방역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여, 비정상적인 출입이 이루어지는 경우, 관리자가 바로 출동하여 출입을 제지할 수 있게 한다.
부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인증부(500)로부터 QR코드 등을 포함하는 인증코드와 안면 이미지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여 저장 관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는 체온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함께 전달하여 저장함으로써, 전자 출입자 명단으로 관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방역 시스템의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바, 각종 장치에 대한 구동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방역 시스템의 구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며, 문제 발생시 경고음을 송출하여 관리자가 즉각 이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발명의 방역 시스템에 의해 방역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a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용 감지센서(410)에 의해 사람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출입인증부(500)에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이미지 카메라(510)가 출입자의 신장에 알맞게 회동되면서 출입자의 안면을 촬영할 수 있게 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출입자의 인증시 전달받는 체온정보를 분석하여 기준온도(37.5도)보다 체온이 낮은 경우 정상체온으로 판단하여 상기 화면표시패널(530)과 스피커(540)로 출입허가 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상기한 신호에 따라 도 6b와 같이, 출입자가 이동하여 상기 게이트부(100)에 인접하여 상기 출입용 감지센서(420)에서 사람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분사부(200)가 동작되고, UV 램프(120)가 점등되면서 출입자의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200)의 동작시, 상기 에어커튼부(300)가 함께 동작되도록 하여 분사된 살균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후, 도 6c와 같이, 상기 이탈감지센서(600)에 의해 출입자가 게이트부(100)를 통과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부(700)가 동작되도록 하여 살균액의 회수가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분사부(200)와 에어커튼부(300)가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정지되게 함으로써, 살균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는 출입자 인증시 전달받은 출입자의 체온이 상기 기준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화면표시패널(530)과 스피커(540)로 불허가 신호가 송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비정상 출입이 감지되는 경우, 비상경고신호가 송출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출입자의 체온이 높아 불허가 신호에도 불구하고 상기 출입용 감지센서(420)에서 사람의 진입이 감지되는 경우, 불허가 상태에서 출입을 하고자 하는 경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피커(540)와 관리실 내에 비상경고신호가 송출되게 하여 바로 조취를 취할 수 있게 한다.
또는, 상기 출입인증부(500)의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출입용 감지센서(420)에 사람의 진입이 감지되는 경우, 체온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람이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피커(540)에서 불허가 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불허가 신호 이후에도 출입인증부(500)의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상기 스피커(540)와 관리실 내에 비상경고신호가 송출되게 하여 조취를 취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살균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덮개(222)의 전단 및 후단측 하부에는 출입자의 신발 바닥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어내는 이물질 제거부(2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223)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축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복수 개의 솔기가 배열되어 솔기의 끝단이 상기 보호덮개(222)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솔부 및 상기 회전솔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다.
이때, 상기 보호덮개(222)는 바닥면으로부터 높이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서 전단과 후단으로 각각 점차 높이가 작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이물질 제거부(223)는 상기 보호덮개(222)의 전후방향 경사부에 각각 구비되어 전단에 구비된 회전솔부와 후단에 구비된 회전솔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되, 상기 회전솔부에 의해 신발 바닥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상기 보호덮개(222)의 전후방향 중심부측으로 수집되도록 회전솔부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이물질 제거부(223)는 상기 출입자가 게이트부(1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게이트부(100)에 진입시 및 퇴장시 2차례에 걸쳐 신발 바닥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오염된 흙이나 이물질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보호덮개(222)의 표면에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223)의 솔기가 상방으로 노출되게 하는 제거용 홈(222a)이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제거용 홈(222a)은 상기 회전솔부의 좌우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좌우길이를 갖는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솔부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보호덮개(222)의 표면에 관통 구비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솔부의 다량의 솔기가 상기 제거용 홈(222a)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신발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함에 따라 이물질 제거 효율을 더욱 향상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보호덮개(222)의 하부에는 상기 보호덮개(222)를 통과하여 하부로 낙하된 이물질을 수거하도록 구성되되,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된 이물질 수거부(224)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보호덮개(222)의 좌우방향 내측면에는 슬라이딩 홈(222b)이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수거부(224)의 좌우방향 양단은 상기 슬라이딩 홈(222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됨에 따라 상기 이물질 수거부(224)가 상기 보호덮개(222)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홈(222b)의 최전방 또는 최후방은 밀페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이물질 수거부(224)가 최전방 또는 최후방으로 이동되면 더 이상 전진 또는 후진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게이트부 110 : 광고용 디스플레이부
120 : UV 램프 130 : 캐스터
140 : 손소독부
200 : 분사부 210 : 측면 분사부
220 : 바닥 분사부 221 : 제 2분사노즐
222 : 보호덮개 222a : 제거용 홈
222b : 슬라이딩 홈
223 : 이물질 제거부 224 : 이물질 수거부
300 : 에어커튼부
400 : 진입감지센서 410 : 인증용 감지센서
420 : 출입용 감지센서
500 ; 출입인증부 510 : 이미지 카메라
520 : 열감지센서 530 : 화면표시패널
540 : 스피커 550 : 인증장치
600 : 이탈감지센서 700 : 회수부

Claims (10)

  1. 건물 또는 시설물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면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통과 가능하게 이루어진 게이트부(100);
    상기 게이트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측 중심부로 안개화된 살균액을 분사하는 분사부(200);
    상기 게이트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출입자의 진입을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400);
    상기 게이트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게이트부(100)를 통과하는 출입자의 인증이 이루어지되, 체온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출입인증부(500); 및
    상기 출입인증부(500)에서 측정된 체온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진입감지센서(400)에 의해 상기 게이트부(100)로 사람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분사부(200)이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입인증부(500)에서 측정된 체온이 비정상 체온인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UV 램프(12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200)는,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측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구비된 제 1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분사노즐이 게이트부(100)의 출입통로 중심부를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하는 측면 분사부(210); 및
    상기 게이트부(100)가 설치된 바닥면 상에 복수 개가 구비되는 제 2분사노즐(221) 및 상기 제 2분사노즐(221)로부터 분사된 살균액이 상방으로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 2분사노즐(221)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져, 바닥면에 구비되는 보호덮개(222)를 포함하는 바닥 분사부(220);
    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덮개(222)는,
    바닥면으로부터 높이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서 전단과 후단으로 각각 점차 높이가 작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덮개(222)의 전단 및 후단측 하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축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복수 개의 솔기가 배열되어 솔기의 끝단이 상기 보호덮개(222)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솔부 및 상기 회전솔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출입자의 신발 바닥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어내는 이물질 제거부(223)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223)는,
    전단에 구비된 회전솔부와 후단에 구비된 회전솔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되, 상기 회전솔부에 의해 신발 바닥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상기 보호덮개(222)의 전후방향 중심부측으로 수집되도록 회전솔부의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게이트부(100)의 상부면 전단 및 후단에는,
    하방으로 일정 압력을 갖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외부 공기가 서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에어커튼부(3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출입인증부(500)는,
    출입자의 안면을 촬영하되, QR 코드를 촬영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게이트부(100)의 출입방향측에 구비되는 이미지 카메라(510);
    상기 이미지 카메라(5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열감지센서(520);
    상기 이미지 카메라(510)에 의해 촬영된 출입자의 안면 이미지를 출력하되, 상기 열감지센서(520)에 의해 측정된 출입자의 체온정보를 시각정보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게이트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화면표시패널(530);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음원이 송출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게이트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피커(5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222)의 하부에는,
    상기 보호덮개(222)를 통과하여 하부로 낙하된 이물질을 수거하도록 구성되되,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된 이물질 수거부(224)가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입감지센서(400)는,
    상기 게이트부(100)로 접근하는 사람의 감지가 이루어지는 인증용 감지센서(410); 및
    상기 게이트부(100)의 출입통로로 진입한 사람의 감지가 이루어지는 출입용 감지센서(420);
    를 포함하는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출입용 감지센서(420)는,
    상기 인증용 감지센서(410)보다 작은 범위의 반경 범위 내로 진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부(100)의 측벽에는,
    광고를 송출할 수 있는 광고용 디스플레이부(110)가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KR1020200168519A 2020-12-04 2020-12-04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KR102280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519A KR102280233B1 (ko) 2020-12-04 2020-12-04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519A KR102280233B1 (ko) 2020-12-04 2020-12-04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233B1 true KR102280233B1 (ko) 2021-07-22

Family

ID=7715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519A KR102280233B1 (ko) 2020-12-04 2020-12-04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2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145B1 (ko) * 2021-07-30 2022-03-23 주식회사 후니즈 소독액 분사부를 포함하는 방역 게이트
KR102433308B1 (ko) 2021-12-31 2022-08-22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KR20230092208A (ko) 2021-12-17 2023-06-26 이상익 계단 및 보행 통로용 자동 살균 시스템
KR102547390B1 (ko) * 2022-12-15 2023-07-10 김대선 방역게이트 판넬프레임 제작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434B1 (ko) 2015-07-21 2017-02-22 권오영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KR101748438B1 (ko) * 2015-12-31 2017-06-19 이종업 신발 털이기
KR101956143B1 (ko) * 2018-07-04 2019-03-12 주식회사 프로젝트 융 에어샤워 게이트
KR102134903B1 (ko) * 2020-06-08 2020-07-17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KR102151990B1 (ko) * 2020-04-16 2020-09-04 나영선 출입 게이트형 살균 소독 장치
KR102159727B1 (ko) * 2020-06-19 2020-09-24 이준성 안면인식 발열체크 및 방역용 전신 소독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434B1 (ko) 2015-07-21 2017-02-22 권오영 출입문 방역용 살균 시스템
KR101748438B1 (ko) * 2015-12-31 2017-06-19 이종업 신발 털이기
KR101956143B1 (ko) * 2018-07-04 2019-03-12 주식회사 프로젝트 융 에어샤워 게이트
KR102151990B1 (ko) * 2020-04-16 2020-09-04 나영선 출입 게이트형 살균 소독 장치
KR102134903B1 (ko) * 2020-06-08 2020-07-17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KR102159727B1 (ko) * 2020-06-19 2020-09-24 이준성 안면인식 발열체크 및 방역용 전신 소독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145B1 (ko) * 2021-07-30 2022-03-23 주식회사 후니즈 소독액 분사부를 포함하는 방역 게이트
KR20230092208A (ko) 2021-12-17 2023-06-26 이상익 계단 및 보행 통로용 자동 살균 시스템
KR102433308B1 (ko) 2021-12-31 2022-08-22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KR102547390B1 (ko) * 2022-12-15 2023-07-10 김대선 방역게이트 판넬프레임 제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233B1 (ko)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KR102159727B1 (ko) 안면인식 발열체크 및 방역용 전신 소독시스템
US202002541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ng an Occupied Environment Using Direction Controlled Germicidal Radiation
KR102147505B1 (ko) 이동형 출입통제 부스
KR101575233B1 (ko) 감염증 환자 선별 통제 시스템
KR20210122005A (ko) 체온 감지 및 방역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11042585A (zh) 一种智能自动消杀亭及使用方法
KR102303659B1 (ko) 방역게이트
US20230104820A1 (en) Self-Contained, Portable, Sanitization Device and Telemedicine Station
KR102226976B1 (ko) 고전염성 바이러스의 살균 및 소독을 위한 자동 소독액 분사시스템
KR102388420B1 (ko) 방역 게이트
US202301103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ng an occupied environment using direction controlled germicidal radiation
KR102264493B1 (ko) 터널식 공기 청정 방법 및 시스템
KR102411054B1 (ko) 게이트형 살균 및 소독 장치
KR102433308B1 (ko)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CN115591001A (zh) 一种全自动特种车辆及人员消杀系统
KR102338485B1 (ko) 신발 오염먼지 제거용 진공흡입식 발판매트를 갖춘 살균소독 게이트
US20230381360A1 (en) Device for access control with physical disinfection
KR102405266B1 (ko) 광플라즈마 방역소독 및 출입관리 시스템
KR102332185B1 (ko) 다수 사용자 출입 가능 시설에 관한 비대면 방식의 방역 조치를 지원할 수 있는 방역 게이트 시스템
JP2021186246A (ja) 薬液散布装置、薬液散布システム、薬液散布装置モジュール、薬液散布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80884A (ko) 손 소독 장치가 구비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인식 출입통제 시스템
TWM621661U (zh) 移動式防疫檢測裝置及門禁設備
KR102243562B1 (ko) 전자분사기
CN212176704U (zh) 一种智能自动消杀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