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308B1 -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 Google Patents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308B1
KR102433308B1 KR1020210193673A KR20210193673A KR102433308B1 KR 102433308 B1 KR102433308 B1 KR 102433308B1 KR 1020210193673 A KR1020210193673 A KR 1020210193673A KR 20210193673 A KR20210193673 A KR 20210193673A KR 102433308 B1 KR102433308 B1 KR 102433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unit
air
gate body
air sh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준
연장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중원환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중원환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210193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61B5/706Indicia not located on the patient, e.g. floor mar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의 출입구에 이동식으로 설치하여, 에어 샤워를 통해 출입자의 의류에 묻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출입자의 체온을 체크하여 일정 온도 이상인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여,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의 청정도와 위생도를 높이는 발명으로, 게이트 몸체(100), 에어 샤워부(200), 발열 체크부(300), 정보 제공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An access control gate that has air shower and temperature check function to a person}
본 발명은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의 출입구에 이동식으로 설치하여, 에어 샤워를 통해 출입자의 의류에 묻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출입자의 체온을 체크하여 일정 온도 이상인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여,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의 청정도와 위생도를 높이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청결하고 위생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기술과 제도가 발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기, 통신, 상하수도, 도로, 항만, 공항과 같은 사회간접자본의 구축, 국민건강보험, 국민연금, 의무교육과 같은 사회제도의 확충, 각종 산업기술, 생활기술, 의료기술 등의 발달로, 국민의 삶은 건강하고 쾌적해지고 있다.
청결하고 위생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기술과 제도가 발달하고 있지만, 2003년의 사스(SARS), 2015년의 메르스(MERS), 2020년의 코로나 바이러스 19(Corona virus 19) 사태로 인해, 국민의 건강하고 쾌적한 삶이 바이러스와 신종 질병에 대한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사실을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알게 되었다.
즉, 단일 국가의 노력만으로 계속적으로 출현하는 신종 호흡기 감염병을 효과적으로 대처하는데 한계가 있어, 신종 호흡기 감염병에 대한 국가 간의 협력과 정보공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의 경우,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다중 이용 공간에 출입하는 경우, 건강한 다른 사람들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할 가능성이 높아 집단 감염의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도록,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의 출입구에 이동식으로 설치하여, 에어 샤워를 통해 출입자의 의류에 묻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출입자의 체온을 체크하여 일정 온도 이상인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여,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의 청정도와 위생도를 높이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80233호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0-0494117호 클린 게이트 장치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25392호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
본 발명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의 출입구에 이동식으로 설치하여, 에어 샤워를 통해 출입자의 의류에 묻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의 출입구에 이동식으로 설치하여, 출입자의 체온을 체크하여 일정 온도 이상인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는,
출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게이트 몸체(100)와;
상기 게이트 몸체(100)를 통과하는 출입자를 에어 샤워시키도록 게이트 몸체(100)에 설치되는 에어 샤워부(200)와;
상기 게이트 몸체(100)를 통과하는 출입자의 발열을 체크하여 출입을 통제하도록 게이트 몸체(100)에 설치되는 발열 체크부(300)와;
출입자의 체온 정보와 상기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환경 정보를 출입자에게 제공하도록 게이트 몸체(100)에 설치되는 정보 제공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의 출입구에 이동식으로 설치하여, 에어 샤워를 통해 출입자의 의류에 묻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출입자의 체온을 체크하여 일정 온도 이상인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여,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의 청정도와 위생도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게이트 몸체 및 정보 제공부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 샤워부 및 발열 체크부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로형 레이저 바, 격자형 레이저 바가 형성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10, 이하 ‘본 발명’)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의 출입구에 이동식으로 설치하여, 에어 샤워를 통해 출입자의 의류에 묻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출입자의 체온을 체크하여 일정 온도 이상인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여,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의 청정도와 위생도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게이트 몸체(100), 에어 샤워부(200), 발열 체크부(300), 정보 제공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인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게이트 몸체(100)와;
상기 게이트 몸체(100)를 통과하는 출입자를 에어 샤워시키도록 게이트 몸체(100)에 설치되는 에어 샤워부(200)와;
상기 게이트 몸체(100)를 통과하는 출입자의 발열을 체크하여 출입을 통제하도록 게이트 몸체(100)에 설치되는 발열 체크부(300)와;
출입자의 체온 정보와 상기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환경 정보를 출입자에게 제공하도록 게이트 몸체(100)에 설치되는 정보 제공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 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사각 아치 형태의 구성으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의 출입구에 설치된다.
상기 게이트 몸체(100)에는 에어 샤워를 통해 출입자의 의류에 묻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에어 샤워부(200)와 출입자의 체온을 체크하여 일정 온도 이상인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발열 체크부(300)와 출입자에게 체온 정보, 환경 정보 등을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게이트 몸체(100)가 사각 아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게이트 몸체(100)는 상호 모듈 타입으로 조립되는 1개의 지붕(110)과 2개의 기둥(120)으로 구성된다.
1개의 지붕(110)과 2개의 기둥(120)에 의해 사각 아치 형태의 구조를 갖는 게이트 몸체(100)를 출입자가 통과하면서, 에어 샤워, 발열 체크, 정보 제공을 받게 된다.
게이트 몸체(100)를 상호 모듈 타입으로 조립되는 1개의 지붕(110)과 2개의 기둥(120)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본 발명(10)의 출입통제 게이트(10)는 코로나 19와 같은 호흡기 감염병이 유행할 때,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의 출입구에 설치하고, 필요가 없을 때는 보관 장소에 보관해야 하며, 장거리 운반이 필요한 경우, 상당한 중량을 갖는 게이트 몸체(100)는 장거리 운반을 위해 분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보관과 장거리 운반의 편리성을 위해, 게이트 몸체(100)를 상호 모듈 타입으로 분해 및 조립되는 1개의 지붕(110)과 2개의 기둥(120)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게이트 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2개의 기둥(120)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어느 한 다중 이용 공간의 출입구에 게이트 몸체(100)를 설치한 후, 게이트 몸체(100)를 같은 다중 이용 공간의 다른 출입구로 근거리 이동시키는 경우, 게이트 몸체(100)를 분해할 필요 없이 이동용 바퀴(1300를 이용해 이동시키면 되고, 만일, 본 발명(10)의 출입통제 게이트(10)가 필요가 없어 보관할 때나 본 발명(10)의 출입통제 게이트(10)를 멀리 떨어진 다른 다중 이용 공간으로 운반하여 재설치하는 경우, 게이트 몸체(100)를 1개의 지붕(110)과 2개의 기둥(120)으로 분해하여 보관하거나 장거리 운반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몸체(100)는 1개의 지붕(110)과 지붕(110) 좌/우측에 각각 1개의 기둥(120)이 결합하여 사각 아치 형태가 되며, 1개의 지붕(110)과 2개의 기둥(120)에는 상호 모듈 타입으로 분해 및 조립되도록 하는 결합 수단이 형성된다.
도 3의 하단 확대도를 참조하면, 이동용 바퀴(130)가 2개의 기둥(120)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데, 이동용 바퀴(130)는 안정성과 이동 효율성을 위해 2개의 기둥(120) 하부에 각각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용 바퀴(130)는 현장에 설치된 본 발명(10)의 출입통제 게이트(10)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캐스터 휠(caster wheel)이 적용된다.
상기 에어 샤워부(200)는 게이트 몸체(100)를 통과하는 출입자를 에어 샤워시키도록 게이트 몸체(100)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도 1과 같이, 상기 게이트 몸체(100)에 의해 형성된 출입 공간에 위치한 출입자를 감지하고, 출입자의 신체로 살균된 송풍용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여 출입자 의류에 묻어 있는 오염 물질이나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는 것을 통해, 출입자가 진입할 다중 이용 공간의 청정도와 위생도를 높이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 샤워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몸체(100)를 통과하는 출입자를 감지하고, 출입자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 신호를 에어 펌프(220)로 제공하도록 게이트 몸체(100) 일측에 형성되는 인체 감지센서(210)와,
상기 인체 감지센서(210)가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동작하여 송풍용 공기를 생산하도록 게이트 몸체(100)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 펌프(220)와,
에어 펌프(220)가 생산한 송풍용 공기가 이송되도록 게이트 몸체(100)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 이송관(230)과,
상기 에어 이송관(230)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송풍용 공기를 살균하는 UV 살균램프(240)와,
에어 이송관(230)이 연결되고, 살균된 송풍용 공기가 외부로 입체적으로 분사되도록 게이트 몸체(100)를 구성하는 지붕(110)과 기둥(120)에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구(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체 감지센서(210)는 게이트 몸체(100)를 통과하는 출입자를 감지하고, 출입자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 신호를 에어 펌프(220)로 제공하도록 게이트 몸체(100) 일측(도 4에는 게이트 몸체(100)를 구성하는 지붕(110)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함)에 형성되는 센서이다.
여기서, 상기 인체 감지센서(210)는 출입자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서, 움직임 감지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몸체(100)를 통과하는 출입자는 후술할 측정 위치 알림부(340)를 통해 출입 공간 바닥에 형성된 양발 모양의 영상 이미지상에 직립 위치하게 되는데, 인체 감지센서(210)는 직립 위치한 출입자를 감지한 후, 감지 신호를 에어 펌프(220)로 제공한다.
상기 에어 펌프(220)는 인체 감지센서(210)가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동작하여 송풍용 공기를 생산하도록 게이트 몸체(100) 내부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 펌프(220)는 게이트 몸체(100)를 형성하는 기둥(120) 내부에 형성(적어도 1개 이상 형성, 도 4에는 2개의 기둥(120)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함)되어, 기둥(120)에 형성된 다수의 흡입구(221)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이용해 송풍용 공기를 생산한다.
생산된 송풍용 공기는 에어 이송관(230)을 통해 이송된 후, 다수의 분사구(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출입 공간에 위치한 출입자를 에워 샤워 시킨다.
상기 에어 이송관(230)은 에어 펌프(220)가 생산한 송풍용 공기가 이송되도록 게이트 몸체(100) 내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메인 배관과 메인 배관에 연결되는 다수의 지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메인 배관은 에어 펌프(220)에 연결되고, 다수의 지관은 다수의 분사구(250)에 연결되어, 메인 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송풍용 공기는 다수의 지관으로 분기된 후, 다수의 분사구(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UV 살균램프(240)는 에어 이송관(230)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송풍용 공기를 살균하는 구성으로, UV 살균램프(240)는 자외선을 발생시켜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을 살균한다.
즉, 코로나 19와 같은 호흡기 감염병이 유행할 때, 공기 중에는 이물질뿐만 아니라 세균이나 바이러스도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출입자의 에어 샤워를 위해 분사되는 송풍용 공기에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있으면, 출입자에게 해로울 수 있어, 에어 샤워를 위해 분사되는 송풍용 공기를 UV 살균램프(240)를 이용해 살균하는 것이다.
특히, 살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에어 이송관(230) 내부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UV 살균램프(24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분사구(250)는 에어 이송관(230)(구체적으로는 에어 이송관의 지관)이 연결되고, 살균된 송풍용 공기가 외부로 입체적으로 분사되도록 게이트 몸체(100)를 구성하는 지붕(110)과 기둥(120)에 각각 형성되는 구성으로, 도 4와 같이, 게이트 몸체(100)를 구성하는 지붕(110)과 기둥(120)에는 다수의 분사구(250)가 형성되어 출입자를 향해 살균된 송풍용 공기가 입체적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다수의 분사구(250)에는 출입 공간 바닥에 형성된 양발 모양의 영상 이미지상에 직립 위치한 출입자의 신체 전체에 살균된 송풍용 공기가 고르게 분사되도록, 특정 방향으로의 분사 방향성이 생기도록 하는 노즐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다수의 분사구(250)에 형성된 노즐 구조에 의해 출입 공간 바닥에 형성된 양발 모양의 영상 이미지상에 직립 위치한 출입자의 신체 전체에 살균된 송풍용 공기가 집중적으로 고르게 분사되는 것이다.
상기 발열 체크부(300)는 게이트 몸체(100)를 통과하는 출입자의 발열을 체크하여 출입을 통제하도록 게이트 몸체(100)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출입통제 게이트를 이용해 외부에서 다중 이용 공간으로 진입하는 출입자가 코로나 19와 같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발열을 체크하여 출입을 통제해야 하며, 이를 위한 구성이 발열 체크부(300)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 체크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몸체(100)를 통과하는 출입자의 체온을 적외선 방식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출입자의 체온이 사전 설정치 이상인 경우, 출입 차단부(320)로 제1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정보 제공부(400)로 감지한 출입자의 체온 정보를 제공하는 체온 측정부(310)와,
상기 체온 측정부(310)가 제1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레이저 빔을 출력하여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레이저 바가 출입 공간에 형성되도록 게이트 몸체(100) 일측에 형성되는 출입 차단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온 측정부(310)는 게이트 몸체(100)를 통과하는 출입자의 체온을 적외선 방식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출입자의 체온이 사전 설정치 이상인 경우, 출입 차단부(320)로 제1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정보 제공부(400)로 감지한 출입자의 체온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체온 측정부(310)는 게이트 몸체(100)를 구성하는 지붕(110) 또는 기둥(120)에 형성되어(도 4에는 지붕(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함), 출입 공간 바닥에 형성된 양발 모양의 영상 이미지상에 직립 위치한 출입자의 체온을 적외선 방식으로 감지한다.
만약, 감지한 출입자의 체온이 사전 설정치 이상인 경우, 출입 차단부(320)로 제1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출입 차단부(320)로 제공하는 제1 제어 신호는 출입 차단부(320)가 레이저 빔을 출력해 출입 공간에 출입 차단용 레이저 바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지한 출입자의 체온이 사전 설정치 이상인 경우, 정보 제공부(400)로 감지한 출입자의 체온 정보를 제공하며, 정보 제공부(400)로 제공된 출입자 체온 정보는 정보 제공부(400)의 디스플레이부(440)에 표시되어 출입자가 자신의 체온이 어느 정도 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다.
상기 출입 차단부(320)는 상기 체온 측정부(310)가 제1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레이저 빔을 출력하여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레이저 바가 출입 공간에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체온 측정부(310)가 제1 제어 신호를 제공하였다는 것은 출입자의 체온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체온(설정치 이상의 체온)인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출입자가 게이트 몸체(100)를 통과해 다중 이용 공간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통제해야 하며, 이를 위해,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레이저 바가 출입 공간에 형성되도록 레이저 빔을 출력하여, 출입자가 자신이 출입이 불허된 상태임을 인지하도록 한다.
출입자가 자신이 출입이 불허된 상태임을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출입 공간에 형성되는 레이저 바 형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로형 레이저 바 이거나 격자형 레이저 바일 수 있다.
도 5의 상단 그림과 같이, 게이트 몸체(100)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기둥(120)에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다수의 출입 차단부(320)를 설치하여 출입 공간에 다수의 가로형 레이저 바가 형성되도록 하거나, 도 5의 하단 그림과 같이, 게이트 몸체(100)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기둥(120)과 지붕(110)에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다수의 출입 차단부(320)를 설치하여 출입 공간에 격자형 레이저 바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입 차단부(320)는, 도 5와 같이,
체온 측정부(310)가 제1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송신부(321)와
레이저 송신부(321)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이 수신되다가 일시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경고 안내부(330)로 제3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레이저 수신부(3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출입 공간에 형성된 가로형 레이버 바 또는 격자형 레이저 바에 의해 출입자는 자신이 출입이 불허되는 상태인 것을 시각적으로 인지하게 된다.
한편, 출입자는 출입 차단부(320)에 의해 출입 공간에 형성된 출입 차단용 레이저 바에 의해 자신이 출입이 불허된 상태임을 시각적으로 인지하게 되지만, 이를 무시하고 무단으로 다중 이용 공간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무단 진입하는 출입자에게 출입이 불허된 상태임을 알림과 동시에 체온이 높아 출입이 허가되지 않은 출입자가 다중 이용 공간으로 진입했음을 주변 관리자에게 청각적 방법으로 알려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발열 체크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온 측정부(310)가 제2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체온이 높아 출입이 불허된다는 내용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고, 출입 차단부(320)가 제3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출입이 불허된 출입자가 무단으로 다중 이용 공간으로 진입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고 안내부(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고 안내부(330)는 게이트 몸체(100) 일측에 형성되는데, 도 4에는 게이트 몸체(100)를 구성하는 지붕(120)에 경고 안내부(330)가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발열 체크부(300)가 경고 안내부(3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체온 측정부(310)는 감지한 출입자의 체온이 사전 설정치 이상인 경우, 경고 안내부(330)로 제2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즉,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경고 안내부(330)가 체온이 높아 출입이 불허된다는 내용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발열 체크부(300)가 경고 안내부(3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출입 차단부(320)(구체적으로는 출입 차단부(320)의 레이저 수신부(322))는 경고 안내부(330)로 제3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출입 차단부(320)의 레이저 수신부(322)가 제3 제어 신호를 경고 안내부(330)로 제공하는 경우는, 출입 차단부(320)의 레이저 송신부(321)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이 수신되다가 일시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온이 높은 출입자의 경우, 다중 이용 공간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통제하기 위해, 출입 공간에 가로형 레이저 바 또는 격자형 레이저 바가 형성되도록 출입 차단부(320)의 레이저 송신부(321)에서 레이저 빔이 조사된다.
출입자가 무단으로 다중 이용 공간으로 진입 통과하는 경우, 출입자 신체가 레이저 바를 형성하기 위해 조사되고 있는 레이저 빔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게 되고, 이로 인해, 출입 차단부(320)의 레이저 수신부(322)에 수신되는 레이저 빔이 일시적으로 수신되지 않게 되는데, 이때, 출입 차단부(320)의 레이저 수신부(322)는 레이저 빔이 수신되다가 일시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 경고 안내부(330)로 제3 제어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3 제어 신호는 경고 안내부(330)가 체온이 높아 출입이 불허된 출입자가 무단으로 다중 이용 공간으로 진입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이다.
예를 들어, 상기 경고 안내부(330)는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이면, “출입자님의 체온이 높아 건물 출입을 통제하오니 대기해 주세요”와 같은 출입 불허 안내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출입 불허 안내 음성 메시지에도 불구하고 무단으로 다중 이용 공간으로 진입을 시도한 출입자를 관리자가 통제할 수 있도록 “출입이 불허된 출입자가 무단으로 다중 이용 공간으로 진입했음”과 같은 경고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여 주변의 관리자가 무단으로 다중 이용 공간으로 진입한 출입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출입자의 정확한 체온 측정과 에어 샤워를 위해서, 출입자는 출입 공간의 특정 위치에 직립해 위치해야 한다. 만일, 부정확한 위치에 있게 되면, 발열 체크부(300)에 의한 체온 측정이 부정확해지고, 에어 샤워부(200)에 의한 에어 샤워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없게 된다.
이를 위해, 발열 체크부(300)는 정확한 출입자 체온 측정과 에워 사워가 가능하도록, 출입자에게 체온 측정 및 에어 샤워 위치를 알리기 위해, 출입 공간 바닥에 양발 모양의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측정 및 샤워 위치 알림부(3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 및 샤워 위치 알림부(340)는 게이트 몸체(100)를 구성하는 기둥(120)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측정 및 샤워 위치 알림부(340)가 레이저 빔을 출입 공간 바닥에 조사하게 되면, 도 4와 같이, 출입 공간 바닥에는 양발 모양의 영상 이미지가 표시된다.
양발 모양의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는 출입 공간 바닥의 해당 지점은 출입자가 양발 모양의 영상 이미지상에 도 1과 같이, 직립 위치하는 경우, 정확한 체온 측정과 효과적인 에어 샤워가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 샤워부(200)의 다수의 분사구(250)에서 분사되는 살균된 송풍용 공기는 다수의 분사구(250)에 형성된 노즐 구조에 의해 특정 방향에 집중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발열 체크부(300)의 체온 측정부(310) 역시 특정 위치에 출입자가 위치했을 때 가정 정확한 체온 측정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출입자가 부정확한 위치에 직립 위치하게 되면, 발열 체크부(300)에 의한 체온 측정이 부정확해지고, 에어 샤워부(200)에 의한 에어 샤워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없게 된다.
즉, 측정 및 샤워 위치 알림부(340)는 출입 공간 바닥에 양발 모양의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출입자가 정확한 체온 측정과 효과적인 에어 샤워를 받을 수 있도록 직립 위치를 안내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측정 및 샤워 위치 알림부(3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몸체(100)를 구성하는 기둥(120) 하측에 형성된다.
만일, 측정 및 샤워 위치 알림부(340)를 게이트 몸체(100)를 구성하는 지붕(110)에 설치하여 출입 공간 바닥에 양발 모양의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경우, 출입 공간에 위치한 출입자의 신체(예: 머리) 부분이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차단하여 출입 공간 바닥에 표시되던 양발 모양의 영상 이미지가 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출입자는 직립 위치를 확인할 수 없어 부정확한 위치에 직립할 가능성이 생기며, 출입자의 신체(예: 머리) 부분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이 출입자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수도 있다.
따라서, 출입자가 출입 공간에 체온 측정과 에어 샤워를 위해 위치하는 경우, 출입 공간 바닥에 양발 모양의 영상 이미지가 지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함과 동시에 출입자의 중요 신체 부위(예: 머리)에 레이저 빔이 조사되지 않도록, 측정 및 샤워 위치 알림부(34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몸체(100)를 구성하는 기둥(120) 하측에 형성하는 것이다.
최근 공기 오염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다. 본 발명의 출입통제 게이트(10)가 설치되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의 환경 상태 역시 출입자들에게는 관심 대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입통제 게이트(10)가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 상태 정보를 표시하여, 출입자들에게 자신이 출입하고자 하는 장소의 환경 상태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한 구성이 본 발명의 정보 제공부(400)이다.
상기 정보 제공부(400)는 출입자의 체온 정보와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환경 정보를 출입자에게 제공하도록 게이트 몸체(100)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 제공부(400)는, 도 1, 4와 같이,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40)로 제공하는 온도 감지 센서(410)와,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습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40)로 제공하는 습도 감지 센서(420)와,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라돈 농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라돈 농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40)로 제공하는 라돈 감지 센서(430)와,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40)로 제공하는 미세먼지 감지 센서(440)와,
발열 체크부(300)가 제공하는 출입자의 체온 정보, 온도 감지 센서(41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 습도 감지 센서(420)가 제공하는 습도 정보, 라돈 감지 센서(430)가 제공하는 라돈 농도 정보, 미세먼지 감지 센서(440)가 제공하는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 감지 센서(410)는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50)로 제공하고, 상기 습도 감지 센서(420)는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습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50)로 제공하고, 상기 라돈 감지 센서(430)는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라돈 농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라돈 농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50)로 제공하며, 상기 미세먼지 감지 센서(440)는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5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450)에는 발열 체크부(300)가 제공하는 출입자의 체온 정보와 온도 감지 센서(41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 습도 감지 센서(420)가 제공하는 습도 정보, 라돈 감지 센서(430)가 제공하는 라돈 농도 정보, 미세먼지 감지 센서(440)가 제공하는 미세먼지 농도 정보 등과 같은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환경 상태 정보가 표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주 내에서 변형한 것까지 포함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100 : 게이트 몸체
200 : 에어 샤워부
300 : 발열 체크부
400 : 정보 제공부

Claims (10)

  1.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에 있어서,
    출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게이트 몸체(100)와;
    상기 게이트 몸체(100)를 통과하는 출입자를 에어 샤워시키도록 게이트 몸체(100)에 설치되는 에어 샤워부(200)와;
    상기 게이트 몸체(100)를 통과하는 출입자의 발열을 체크하여 출입을 통제하도록 게이트 몸체(100)에 설치되는 발열 체크부(300)와;
    출입자의 체온 정보와 상기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환경 정보를 출입자에게 제공하도록 게이트 몸체(100)에 설치되는 정보 제공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 체크부(300)는,
    정확한 출입자 체온 측정과 에워 사워가 가능하도록, 출입자에게 체온 측정 및 에어 샤워 위치를 알리기 위해, 출입 공간 바닥에 양발 모양의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측정 및 샤워 위치 알림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및 샤워 위치 알림부(340)는 게이트 몸체(100)를 구성하는 기둥(120)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측정 및 샤워 위치 알림부(340)의 레이저 빔 조사에 의해 양발 모양의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는 출입 공간 바닥의 위치는 출입자가 양발 모양의 영상 이미지상에 직립 위치하는 경우, 정확한 체온 측정과 효과적인 에어 샤워가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몸체(100)는,
    상호 모듈 타입으로 조립되어 게이트 몸체(100)를 형성하는 1개의 지붕(110)과, 2개의 기둥(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몸체(100)는,
    게이트 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2개의 기둥(120)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용 바퀴(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샤워부(200)는,
    게이트 몸체(100)를 통과하는 출입자를 감지하고, 출입자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 신호를 에어 펌프(220)로 제공하도록 게이트 몸체(100) 일측에 형성되는 인체 감지센서(210)와,
    상기 인체 감지센서(210)가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동작하여 송풍용 공기를 생산하도록 게이트 몸체(100)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 펌프(220)와,
    에어 펌프(220)가 생산한 송풍용 공기가 이송되도록 게이트 몸체(100)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 이송관(230)과,
    상기 에어 이송관(230)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송풍용 공기를 살균하는 UV 살균램프(240)와,
    에어 이송관(230)이 연결되고, 살균된 송풍용 공기가 외부로 입체적으로 분사되도록 게이트 몸체(100)를 구성하는 지붕(110)과 기둥(120)에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구(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사구(250)에는,
    출입 공간 바닥에 형성된 양발 모양의 영상 이미지상에 직립 위치한 출입자의 신체 전체에 살균된 송풍용 공기가 고르게 분사되도록, 특정 방향으로의 분사 방향성이 생기도록 하는 노즐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 체크부(300)는,
    게이트 몸체(100)를 통과하는 출입자의 체온을 적외선 방식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출입자의 체온이 사전 설정치 이상인 경우, 출입 차단부(320)로 제1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정보 제공부(400)로 감지한 출입자의 체온 정보를 제공하는 체온 측정부(310)와,
    상기 체온 측정부(310)가 제1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레이저 빔을 출력하여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레이저 바가 출입 공간에 형성되도록 게이트 몸체(100) 일측에 형성되는 출입 차단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출입 차단부(320)는,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다수의 가로형 레이저 바가 출입 공간에 형성되도록 게이트 몸체(100)의 기둥(120)에 다수개 형성되거나,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격자형 레이저 바가 출입 공간에 형성되도록 게이트 몸체(100)의 지붕(110)과 기둥(120)에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발열 체크부(300)는,
    체온 측정부(310)가 제2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체온이 높아 출입이 불허된다는 내용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고, 출입 차단부(320)가 제3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출입이 불허된 출입자가 무단으로 다중 이용 공간으로 진입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고 안내부(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온 측정부(310)는,
    감지한 출입자의 체온이 사전 설정치 이상인 경우, 경고 안내부(330)로 제2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출입 차단부(320)는 출입 공간에 형성된 레이저 바를 출입자가 통과하는 경우, 경고 안내부(330)로 제3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체온 측정부(310)가 제1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송신부(321)와
    레이저 송신부(321)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이 수신되다가 일시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경고 안내부(330)로 제3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레이저 수신부(3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400)는,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40)로 제공하는 온도 감지 센서(410)와,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습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40)로 제공하는 습도 감지 센서(420)와,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라돈 농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라돈 농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40)로 제공하는 라돈 감지 센서(430)와,
    게이트 몸체(100)가 설치된 장소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40)로 제공하는 미세먼지 감지 센서(440)와,
    발열 체크부(300)가 제공하는 출입자의 체온 정보, 온도 감지 센서(41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 습도 감지 센서(420)가 제공하는 습도 정보, 라돈 감지 센서(430)가 제공하는 라돈 농도 정보, 미세먼지 감지 센서(440)가 제공하는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KR1020210193673A 2021-12-31 2021-12-31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KR102433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673A KR102433308B1 (ko) 2021-12-31 2021-12-31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673A KR102433308B1 (ko) 2021-12-31 2021-12-31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308B1 true KR102433308B1 (ko) 2022-08-22

Family

ID=8310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673A KR102433308B1 (ko) 2021-12-31 2021-12-31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427B1 (ko) * 2023-12-01 2024-04-01 박재효 스마트 도어락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117B1 (ko) 2002-12-26 2005-06-13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얕은 트랜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JP2006215796A (ja) * 2005-02-03 2006-08-17 Omron Corp ゲート装置
KR20130085299A (ko) * 2012-01-19 2013-07-29 변영권 빔 게이트웨이
KR102280233B1 (ko) 2020-12-04 2021-07-22 주식회사 오픈코리아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KR102303659B1 (ko) * 2020-08-27 2021-09-23 (주)아이지 방역게이트
KR102325392B1 (ko) 2021-03-25 2021-11-11 주식회사 우성 더블유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
KR102337679B1 (ko) * 2021-05-28 2021-12-20 박성준 살균 게이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117B1 (ko) 2002-12-26 2005-06-13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얕은 트랜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JP2006215796A (ja) * 2005-02-03 2006-08-17 Omron Corp ゲート装置
KR20130085299A (ko) * 2012-01-19 2013-07-29 변영권 빔 게이트웨이
KR102303659B1 (ko) * 2020-08-27 2021-09-23 (주)아이지 방역게이트
KR102280233B1 (ko) 2020-12-04 2021-07-22 주식회사 오픈코리아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KR102325392B1 (ko) 2021-03-25 2021-11-11 주식회사 우성 더블유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
KR102337679B1 (ko) * 2021-05-28 2021-12-20 박성준 살균 게이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427B1 (ko) * 2023-12-01 2024-04-01 박재효 스마트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6200B1 (ko) 미리 결정된 임계 강도에서 미리 결정된 스펙트럼 범위 내의 광으로 공간의 서브-부분을 노출하기 위한 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10174992A1 (en) Irradiation system for door handle
KR102433308B1 (ko)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KR102280233B1 (ko) 게이트형 방역 시스템
US20130240756A1 (en) Escalator and/or Moving Walkway Rail Sterilization System
KR20210102033A (ko)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기능의 항바이러스 공조 모듈 및 시스템
KR102514375B1 (ko) 지능형 안티 바이러스 엘리베이터
KR102168808B1 (ko) 손 소독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및 이의 운용방법
CN111346243A (zh) 人员通行智能检测安全消毒装置
KR102182543B1 (ko) 인공지능 방역 시스템
JP2011212146A (ja) ウイルスや菌への感染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173979B1 (ko) 가습공기를 이용한 살균소독장치
WO2021195538A1 (en) Infection risk simulation and control system
KR102337679B1 (ko) 살균 게이트 시스템
KR20210132516A (ko) Iot 살균 스마트 화장실 시스템
KR101990846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를 이용한 공기 오염 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TWI821760B (zh) 具有物理消毒之出入控制裝置及方法與照射構件之用途
KR20220022229A (ko) 소독부스
US20210369879A1 (en) Decontamination of body surfaces and articles with harmless radiation and related methods
KR102225028B1 (ko) 초음파 스캔을 통해 자외선 최적화 드라이빙 기술을 적용한 인체적용 자외선 살균 세이프 게이트웨이 시스템
KR20220040052A (ko) 광플라즈마 방역소독 및 출입관리 시스템
CN113503067A (zh) 一种适用于社区的模块化多功能防疫岗
KR102577495B1 (ko) 안티 바이러스 센서등 모듈
KR102420055B1 (ko) 살균제 분사 및 체온검사 시스템
TWM606175U (zh) 具體溫監測及噴霧消毒之門禁管理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