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392B1 -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 - Google Patents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392B1
KR102325392B1 KR1020210038678A KR20210038678A KR102325392B1 KR 102325392 B1 KR102325392 B1 KR 102325392B1 KR 1020210038678 A KR1020210038678 A KR 1020210038678A KR 20210038678 A KR20210038678 A KR 20210038678A KR 102325392 B1 KR102325392 B1 KR 102325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infectant
human body
entran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 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 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 더블유
Priority to KR1020210038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ina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출입부에 설치되어 인체를 살균하는데 사용되는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부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근접함을 센서로 확인하고 열감지 센서로 인체의 열을 측정한 후 소독분무와 살균램프의 동작에 의하여 출입자의 인체를 자동으로 살균 및 소독하고, 인체감지센서부가 상기 출입부에 진입하는 상기 출입자를 감지하면, 하우징부의 후방에서 돌출되는 자동 개폐부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상기 하우징부의 후방에 삽입되는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ENTRNACE GATE WITH EFFECTIVE STERILIZATION SYSTEM}
본 발명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출입부에 설치되어 인체를 살균하는데 사용되는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부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근접함을 센서로 확인하고 열감지 센서로 인체의 열을 측정한 후 소독분무와 살균램프의 동작에 의하여 출입자의 인체를 자동으로 살균 및 소독하고, 인체감지센서부가 상기 출입부에 진입하는 상기 출입자를 감지하면, 하우징부의 후방에서 돌출되는 자동 개폐부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상기 하우징부의 후방에 삽입되는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철저한 위생 관리가 요구되는 의료 시설과 높은 수준의 방진 처리가 요구되는 제조 시설 등의 경우 작업자들이 드나드는 출입부 관리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
각종 이물질과 세균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시설로는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 학교의 급식실, 연구소, 식품회사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시설에는 근무자 및 출입자들의 몸을 통해 이물질이나 병원균 등과 같은 것들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살균장치를 출입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이러한 살균장치는 코로나 19와 같은 전염병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다중이용시설인 영화관, 놀이동산, 터미널과 같은 장소를 넘어 가정에서도 일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출입자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고 살균하기 위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살균과 집진 기능이 분리되어 있거나 불분명하게 혼재되어 집진 효율 및 살균 효율이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에어 커튼과 같이 실내와 외부 경계 부근에서 강한 바람을 출입자에게 가하여 먼지를 비산시키는 방식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내부로 비산되는 상당량의 먼지가 다시 출입자의 신체에 부착되기도 한다.
또한, 종래의 종래 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6-08053호(공개일: 2016년 07월 25일) 체온 연동 전신소독장치는,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전신에 소독제를 분사하여 소독하는 전신소독장치에 있어서, 장치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한 체온에 따라 소독제의 분무량을 조절하는 보조 소독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체온 연동 전신소독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체온에 따라 분무되는 소독제제의 분무량을 조절하는 특징은 있으나, 순간적인 일회성 소독제의 분무로는 질병의 치료 및 완전한 인체의 소독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전염병의 전염을 안정적으로 차단하기 어려운 구성의 곤란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소독액이 분사되는 경우 소독액에 의해 먼지가 부착되기 더 용이하여 방진 및 살균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체온에 따라 분무되는 소독제제의 분무량을 조절하여 완전한 인체의 소독이 가능하게 하여 이로 인하여 전염병의 전염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살균소독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8053호
종래의 살균 장치는 순간적인 일회성 소독제의 분무로는 질병의 치료 및 완전한 인체의 소독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전염병의 전염을 안정적으로 차단하기 어려운 구성의 곤란성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체온에 따라 분무되는 소독제제의 분무량을 조절하여 완전한 인체의 소독이 가능하게 하여 이로 인하여 전염병의 전염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살균소독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입부가 형성된 본체 프레임부, 본체 프레임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하우징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인식부, 본체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출입자를 향해 소독제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부, 본체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인체를 살균하는 복수 개의 살균램프 및 출입부에 진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부를 포함하고, 하우징부는 하우징부의 일면에 형성되되, 출입자의 QR 코드를 인식시킬 수 있는 QR 코드부를 포함하고, QR 코드부를 통해 상기 출입자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식부는 하우징부에 일부가 수용된 수용 홈, 출입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체온을 측정하는 안면인식카메라 및 출입자의 체온이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부는 내부에는 소독제가 저장되는 소독제 통, 소독제 통의 소독제를 압송시키는 펌프, 출입자 측으로 소독제를 분사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부 및 소독제 통과 노즐부가 연결되는 배관을 포함하고, 인체감지센서부가 출입자를 감지하면, 소독제 통에서 배관을 통하여 출입자를 향하여 분무되어 출입자의 인체를 살균 및 소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부는 인체감지센서부가 출입부에 진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면, 하우징부의 후방에서 돌출되는 자동 개폐부를 포함하고, 본체 프레임부는 본체 프레임부의 좌측면에 광고가 삽입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면부는 출입자의 체온이 정상일 경우, "정상"이라는 문구가 표시되고,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일 경우, "비정상 이라는 문구가 표시되고, 자동 개폐부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하우징부의 내부로 삽입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는 건물의 출입부나 진입로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인체에 소독제를 분무형태로 분사하여 출입자가 거부감 없이 인체의 소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소독제의 부유시간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어 소독제를 이용한 인체의 소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일정시간 점등되는 적외선 살균램프를 통하여 인체의 소독과 살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염성이 강한 질병의 전염을 완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식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QR 코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부의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폐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의 좌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도 1을 기준으로'길이 방향'은 X축 방향이고, '폭 방향'은 Y축 방향이고, '수직 방향'은 Z축 방향이다. '일측'이라 함은 하우징부(300)가 구성된 부분이고, '타측'이라 함은 디스플레이부(800)가 구성된 부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는 본체 프레임부(100), 출입부(200), 하우징부(300), 인식부(400), QR 코드부(500), 인체감지센서부(600), 자동 개폐부(700), 디스플레이부(800)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체 프레임부(100)의 하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의 내부에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부(200)가 형성된다.
본체 프레임부(100)는 제1 프레임부(110)를 중심으로 일측은 90°로 형성되며, 타측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 프레임부(100)의 일측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노즐부(320)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체 프레임부(100)의 일측에는 하우징부(300)가 맞닿아 구성되되, 하우징부(300)의 외부에는 인식부(400) 및 QR 코드부(500)가 구성된다.
본체 프레임부(100)의 상측에는 인체감지센서부(60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인체감지센서부(600)가 출입부(200)에 진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면, 후술할 소독제가 출입자를 향해 배출되어 출입자를 살균 및 소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인식부(4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인식부(400)는 수용 홈(410), 안면인식카메라(420), 화면부(430), 탈착부(440)로 구성된다.
수용 홈(410)에는 안면인식카메라(420)와 화면부(430)가 삽입되므로, 네 개의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된다.
안면인식카메라(420) 및 화면부(430)는 수용 홈(410)에 수용되어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안면인식카메라(420)를 통해 출입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마스크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온도를 측정한다.
또한, 안면인식카메라(420)를 통해 출입자를 촬영하여 화면부(430)에 온도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표시해준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출입자의 온도가 정상일 시, 화면부(430)에 초록색으로 '정상'이라는 문구가 표시되며, 출입자의 온도가 비정상일 시, 화면부(430)에 붉은색으로'비정상'이라는 문구가 표시된다.
또한, 화면부(430)가 수용 홈(410)의 내부에 삽입될 때, 수용 홈(410)의 내부에 탈착부(440)가 구비되어 있다.
탈착부(440)의 양 측면에 탈착 홈이 구성되어 있어 화면부(430)가 단단하게 고정되어 화면부(430)가 수용 홈(410)의 외부로 낙하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QR 코드부(500)는 하우징부(300)의 외부에 구성되며, 도 4를 참조하여 QR 코드부(5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QR 코드부(500)에는 화면 인식부(510) 및 코드부(5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의 내부에 사람이 출입할 때, 인식부(400)에서 출입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온도를 측정하고, 화면부(430)에서 출입자를 촬영하여 출입자의 온도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화면에 표시한 후, QR 코드부(500)에 구성된 화면 인식부(510)에 출입자 휴대기기에 있는 각자의 QR 코드를 인식시킬 수 있다.
화면 인식부(510)에 출입자 휴대기기에 있는 각자의 QR 코드를 인식시키면 출입자의 출입 정도, 출입 시간 및 건물의 지체시간 등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며 QR코드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동선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인체체온등의 변화가 있는 경우 질병본부 등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신속하게 출입자의 동선을 제공함으로서 전염병의 전염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코드부(5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 자체의 QR 코드가 구성된다.
코드부(520)에 구성된 QR 코드를 출입자의 휴대기기로 인식시키면, 출입자의 휴대기기에 본 발명에 따른 출입자의 빈도 수, 출입자들의 평균 온도, 출입자의 인체온도가 변화가 있었던 경우 등을 알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하우징부(300)의 내부에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부(30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310), 노즐부(320), 소독제 통(330), 펌프(340), 배관(350), 살균램프(360), 보조 소독제(370)가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부(300)의 내부는 중공부가 형성된 중공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소독제 통(330)에는 저장된 소독제가 다 사용된 후에는 새로운 소독제를 보충시킬 수 있도록 보조 소독제(37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소독제(370)는 소독제 통(330)과 보충 배관(351)으로 연결되어 있다.
펌프(340)는 액체 상태인 소독제를 상기 소독제 통(330)에서 노즐부(320)로 공급시키는데 사용하는 장치로서, 소독제를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 사용되어야 한다.
펌프(340)는 소독제 통(330)의 내부의 일측에 삽입되어 형성되되, 펌프(340)와 소독제 통(330)은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소독제 통(330)의 내부의 타측에는 배관(350)이 삽입되어 설치되되, 펌프(340)에서 발생된 소독제를 배관(350) 및 노즐부(320)를 통해 출입자를 향하여 분무하게 된다.
노즐부(320)는 하우징부(300)의 수용공간(310)에 형성되어 출입부(200) 측으로 소독제를 분사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노즐부(320)는 상기 펌프(340)에 의해 가압되며 이송된 소독제를 미세한 입자로 분무하는 것으로서, 출입자의 키에 대응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독제 통(330), 펌프(3400), 노즐부(320)는 배관(350)으로 서로 연결되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의 노즐부(320)에는 배관(350)과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된다.
또한, 펌프(340)의 일측에 보조 소독제(370)를 설치하여 즉석에서 생산된 소독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소독제의 변질이나 소독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노즐부(320)에 의하여 출입자가 출입부(200) 측으로 이동하면 후술할 인체감지센서부(600)가 출입자를 감지하고 소독제 통(330)에서 배관(350)을 통하여 출입부(200)로 분무되어 출입자의 인체를 살균 및 소독하는 것이다.
살균램프(360)는 일 예로 UV램프가 사용되며 수용공간(310)에 형성된 보조 소독제(3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체 프레임부(100)의 일면에 설치되어 출입자에게 일정시간 조사하여 출입자의 인체를 살균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즐부(320)와 살균램프(360) 및 인식부(400)는 수용공간(310)에 형성된 보조 소독제(370)와 서로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프로그램 된다.
즉, 인체감지센서부(600)가 출입자를 감지함과 동시에 소독제를 펌프(340) 내부에 발생시키면 생성된 소독제가 배관(350)을 통하여 출입부(200) 측으로 배출되어 출입자가 출입부(200)로 진입 시 인체에 소독제가 접촉되도록 함으로서 인체를 소독한다.
이러한 소독제를 이용한 인체의 소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일정시간 점등되는 살균램프(360)를 통하여 인체의 소독과 살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염성이 강한 질병의 전염을 완전 차단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자동 개폐부(7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자동 개폐부(700)는 외여닫이 도어; 쌍여닫이 도어; 외여닫이 자유 도어; 쌍여닫이자유문; 슬라이딩 도어; 포켓도어; 접이식 도어를 포함하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적용 및 활용할 수 있는 도어 및 개폐방식, 기타 출입통제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소의 자동 개폐부(700)는 하우징부(300)의 후방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일 실시 예로, 상기 자동 개폐부(700)는 평소에는 출입을 통제하도록 하우징부(300)에서 돌출되어 닫혀 있다가, 출입자가 출입부(200)에 진입하고, 인체감지센서부(600)가 출입자를 감지한 뒤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상기 출입자에 대한 출입자 신원 확인 및 방역이 완료되면, 상기 자동 개폐부(700)가 자동으로 하우징부(30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출입자에 대한 출입을 허가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인체감지센서부(600)가 출입부(200)에 진입한 출입자를 감지한다. 이 때 자동 개폐부(700)는 자동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한다.
이후, 도 6의 (b)를 참조하면,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출입자의 신원 및 상태를 확인하고, 노즐부(320)를 통해 출입자의 인체에 소독제가 접촉되도록 함으로서 인체를 소독하여 방역을 진행한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자동 개폐부(700)는 설정되어 있던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하우징부(3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출입자에 대한 출입을 허가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 놓은 기준은 출입자의 신원 확인; 출입자의 출입 권한 확인; 출입자의 마스크 착용상태 확인; 출입자의 체온 확인; 출입자의 출입시간 확인; 출입자에 대한 화학적 소독; 출입자에 대한 광소독 등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는 사항을 모두 포함한다.
자동 개폐부(700)는 본 발명의 후방의 일부를 덮게 되며, 자동 개폐부(700)는 투명인 것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설정에 따라 출입자가 출입부(200)에 진입 시, 인체감지센서부(600)가 출입자를 감지하면 자동 개폐부(700)는 자동으로 하우징부(300)의 후방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정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와는 달리 최초에 돌출되어 있지 않고 하우징부(300) 내부에 삽입되어 열려있게 된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인체감지센서부(600)가 출입부(200)에 진입한 출입자를 감지하여 자동 개폐부(700)가 자동으로 돌출된다. 이후, 노즐부(320)를 통해 출입자의 인체에 소독제가 접촉되도록 함으로서 인체를 소독한다. 도 9의 (c)를 참조하면, 자동 개폐부(700)는 설정되어 있던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하우징부(30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자동 개폐부(700)는 출입자가 노즐부(320)를 통해서 인체를 소독할 때, 소독제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소독을 하지 않고 지나치는 출입자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입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 통제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 있는 사용자에게 소독제가 묻지 않아 출입부(200) 내의 출입자가 거부감 없이 인체의 소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출입자에게 소독할 수 있는 소독 시간이 충분히 주어져 출입자들에게 행해지는 소독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분별한 소독제의 분사에 따른 소독제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의 타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좌측면에는 디스플레이부(800)가 구비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800)는 PDP 또는 LCD로 만든 평판디스플레이이며, 영상 또는 음성신호의 입력단자를 구비하여 도시된 외부의 영상 또는 음성저장장치로부터 영상 또는 음성신호를 입력 받아 출력하거나, 튜너를 구비하여 공중파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플레이어 또는 멀티미디어 저장장치를 내장하여 자체적으로 영상 또는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800)에는 광고나 질병정보 등의 정보를 제공될 수 있으며, 광고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광고 영상을 상영하고, 평상시에는 투명 상태로 일반 쇼 윈도우 상태로 제공하도록 하여 고객들의 광고 인지율을 높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는 출입자 및 사용자에게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광고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광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800)의 전면과 후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현수막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 형광등, 백열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투사수단(810)이 구비되어, 야간이나 흐린 날에도 홍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내부에서는 인체감지센서부(600)가 출입자를 감지함과 동시에 하우징부(300)의 후방에서 자동 개폐부(700)가 돌출되고, 노즐부(320)에서 분무가 출입부(200) 측으로 배출되어 출입자가 출입부(200)로 진입 시 인체에 소독제가 접촉되도록 함으로서 인체를 소독하며, 외부에서는 디스플레이부(800)를 통해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다수의 광고를 홍보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중적인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인식부(400)에 구성된 안면인식카메라(420)를 통해 출입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마스크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온도를 측정하고, 안면인식카메라(420)를 통해 출입자를 촬영하여 화면부(430)에 온도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표시해준다.
만약, 안면인식카메라(420)를 통해 출입자의 얼굴을 인식할 때, 어린이나 초등학생의 경우 안면인식카메라(420)의 인식범위에 들어오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의 경우에도 안면인식카메라(420)의 인식범위에 들어오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 인식부(400)의 상부에 인식 센서(470)가 구비되어 있어, 출입자의 키를 인식할 수 있다.
인식 센서(470)가 출입자의 키를 인식하면, 인식부(400)가 출입자의 키에 대응되도록 높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인식부(400)의 높이가 출입자의 키에 대응되어 조절됨으로써 모든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모든 출입자의 체온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체 프레임부(100)의 타측에는 손 소독제(120)가 구비되어 있다.
안면인식카메라(420)가 출입자를 인식한 후, 체온 측정 및 체온 정상 여부 판단이 끝나고 출입자가 출입부(200)로 진입하기 전에 손 소독제(120)를 이용하여 손을 한번 더 살균하여 방역을 극대화할 수 있다.
자동 개폐부(700)는 인체감지센서부(600)가 출입부(200)에 진입한 출입자를 감지하여 자동 개폐부(700)가 자동으로 돌출되거나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노즐부(320)를 통해 출입자의 인체에 소독제가 접촉되도록 함으로서 인체를 소독하고, 자동 개폐부(700)는 설정되어 있던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하우징부(30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 때, 자동 개폐부(700)의 표면에는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항균 처리된 항균필름을 부착함으로써, 자동 개폐부(700)의 표면에 접촉되는 손이나 얼굴 등 인체에 묻어 있는 세균은 항균필름에 의해 자동 개폐부(700)에 묻거나 옮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동 개폐부(700)의 표면에 세균이 묻을 경우, 세균은 항균필름에 의해 살균 처리되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자동 개폐부(700)의 표면에는 인체에 해로운 세균이 서식 및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자동 개폐부(700)의 표면으로 외부의 환경에 의해 옮겨지거나 전해지는 세균은 항균 필름에 의해 증식 억제 및 살균 처리되어 제거되므로 자동 개폐부(700)의 표면은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도 있다.
출입부의 하면에는 방역 발판(900)이 구비되어 있는데, 방역 발판(900)의 하측에 복수 개의 살균램프(3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살균램프(36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며, 방역 발판(900)에 구비된 살균램프(360)는 배관(350)을 통하여 출입부(200) 측으로 배출되어 출입자를 소독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본체 수용공간(310)에 형성된 보조 소독제(3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체 프레임부(100)의 하면에 설치되어 출입자에게 일정시간 조사하여 출입자의 인체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출입자에게 소독제를 분사한 후, 방역 발판(900)의 표면으로 떨어지는 소독제로 인해 출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역 발판(900)의 상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소독제는 상기 소독제 통(330)에 저장되는 것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 친화적이면서 병원체 사멸을 높일 수 있는 살균 및 소독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살균 및 소독용 조성물은 털잎솔나물(Galium verum L. var.) 추출물, 갯쇠돌피(Polypogon monspeliensis) 추출물, 그늘취(Artemisia sylvatica Maxim.)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여, 병원균에 대한 살균력이 매우 뛰어나면서도 피부 자극이 없는 소독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털잎솔나물(Galium verum L. var.)은 잎은 8-10개가 윤생하며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2-3cm, 폭1.5-3cm로서 뒷면은 마디 및 화서와 더불어 많은 털이 있다.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북부지방의 산지 숲 가장자리와 풀밭, 하천가에 주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솔나물에 비해 잎 앞면에 짧은 털과 가시 모양 털이 있어 구분되며, 털솔나물에 비해 잎 앞면에 짧은 털과 가시 모양 털이 있다.
상기 갯쇠돌피(Polypogon monspeliensis)는 포아풀아과 쇠돌피속에 속하는 잡초이다. 남부 유럽 원산이나 현재는 전세계에 퍼져 있고, 키가 5 센티미터에서 1 미터 사이인 1년생 목초이다.
상기 그늘취(Artemisia sylvatica Maxim.)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 숲속에서 자란다. 뿌리에서 난 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장미꽃 모양으로 퍼지며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길이 11 내지 20cm, 나비 7 내지 9.5cm로서 표면에 약간 꼬불꼬불한 털이 나고 뒷면에는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줄기에서 난 잎도 뿌리에서 난 잎과 비슷하나 크기가 다르다.
상기 살균 및 소독용 조성물에 털잎솔나물 추출물, 갯쇠돌피 추출물, 그늘취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병원균에 대한 살균 효과가 우수하며, 특히, 천연물 성분의 사용으로 인체에 무해하여 피부 자극이 없는 보다 안정적인 사용환경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천연물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 후 천연물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장치는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 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 mL 또는 물 100 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장치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살균 및 소독용 조성물은 상기 털잎솔나물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갯쇠돌피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그늘취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단순 혼합에 비해 높은 살균 및 소독 효과를 나타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살균 효과를 잃지 않고 오래 지속할 수 있어, 추가적인 오염에 의한 살균 및 소독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제조예 1: 살균 및 소독용 조성물의 제조]
1. 천연 추출물의 제조
털잎솔나물을 세척하고 건조한 뒤 이를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을 물에 혼합하고 이를 2시간 동안 98 내지 100℃를 유지하고, 이를 냉각시킨 뒤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털잎솔나물 추출물(GE)을 제조하였다.
갯쇠돌피 및 그늘취의 경우에도 털잎솔나물 추출물(GE)의 제조 장치와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여 갯쇠돌피 추출물(PE) 및 그늘취 추출물(AE)을 제조하였다.
이후, 하기 표 1와 같이 천연 추출물을 혼합하여 살균 및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CC1 CC2 CC3 CC4 CC5 CC6
GE 100 100 100 100 100 100
PE - 30 40 50 60 70
AE - 30 40 50 60 70
(단위: 중량부)
[ 실험예 1: 세포 독성 평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살균 및 소독용 조성물 CC1 내지 CC6의 세포 독성 평가를 확인하기 위해, 인간신장 세포주인 HEK293 세포는 10% FBS(Fetal Bovine Serum), 100unit/mL의 페니실린(penicilin) 및 100ng/mL의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e)을 포함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WELGENE, Korea) 배지에서 37℃ 및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상기 인간 신장세포주인 HEK293 세포에 상기 살균 및 소독용 조성물 CC1 내지 CC6을 농도별(100, 200 및 300㎍/㎖)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MTT(3-(4,5-디메틸디아졸-2-일)-2,5-데펜테르라졸리움 프로미드) 분석 진행하였다.
그 결과, 살균 및 소독용 조성물 CC1 내지 CC6을 300㎍/㎖의 농도까지 처리하여도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Normal)의 세포 생존율과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병원균 살균 효과]
살균 및 소독용 조성물의 병원균 살균 효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살균 및 소독용 조성물 CC1 내지 CC6의 병원균 살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서 공시한 표준 시험법으로 측정하였다. 효력시험에 사용하는 일반 병원체의 공시 균주는 Salmonella typhimurium(국립수의과학검역원) 및 Bacillus subtillis(한국미생물보존센터)이고, 고압 멸균된 영양 배지(nutrient broth)에 심어 37℃에서 24시간 동안 계대 배양한 후 시험에 공시하였다. McFarland 등의 세균 농도의 측정방법에 따라 세균의 농도가 109CFU/mL 이상인 것을 시험에 공시하였다.
또한, 세균으로 E. coli O-157:H7, Bacillus subtilies 균주를 25 ℃에서 24시간 진탕(진탕횟수 :150회/분)배양하여, 살균 및 소독용 조성물 CC1 내지 CC6 20 ㎕을 첨가하여 배양한 실험군과, 첨가하지 않고 배양한 대조군의 배양액을 일부 채취하여 균수를 측정하였다. 항균활성은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환산하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계산식 1]
항균활성=((대조군의 균수 - 실험군의 균수)/ 대조군의 균수) × 100
E. coli O-157:H7 Bacillus subtilies
CC1 79.88 79.68
CC2 84.65 85.78
CC3 99.88 99.87
CC4 99.98 99.99
CC5 99.95 99.91
CC6 87.34 86.34
(단위: %)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살균 및 소독용 조성물 CC3 내지 CC5에서 99% 이상의 살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구성성분들의 배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로 판단된다.
[ 실험예 3: 피부 자극 발생 실험]
피부 자극에 예민한 10세 여성 30명을 선정하여, 6명씩 5개 그룹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살균 및 소독용 조성물 CC1 내지 CC6을 물에 희석시켜 10일 동안 사용하게 한 이후, 피부 자극 발생 여부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 전혀 자극이 없음
○: 거의 자극이 없음
△: 약간의 자극이 있어, 민감한 점막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
Х: 자극이 심해, 사용이 불가함
CC1 CC2 CC3 CC4 CC5 CC6
1그룹
2그룹
3그룹 Х
4그룹 Х
5그룹 Х
상기 표 3에 의하면, 털잎솔나물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경우(CC1)에 비해, 갯쇠돌피 추출물 및 그늘취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CC3 내지 CC5의 경우에 피부 자극이 거의 없는 것으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본체 프레임부,
110 : 제1 프레임부,
120 : 손 소독제,
200 : 출입부,
300 : 하우징부,
310 : 수용 공간,
320 : 노즐부,
330 : 소독제 통,
340 : 펌프,
350 : 배관,
351 : 보충배관
360 : 살균램프,
370 : 보조 소독제,
380 : 제어부,
400 : 인식부,
410 : 수용 홈,
420: 안면 인식 카메라,
430 : 화면부,
440 : 탈착부,
450 : 고정부,
460 : 각도 조절부,
470 : 인식 센서,
500 : QR 코드부,
510 : 화면 인식부,
600 : 인체감지센서부,
700 : 자동 개폐부,
800 : 디스플레이부,
810 : 광투사수단,
900 : 방역 발판.

Claims (7)

  1. 출입부가 형성된 본체 프레임부;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인식부;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출입자를 향해 소독제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부;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자의 인체를 살균하는 복수 개의 살균램프; 및
    상기 출입부에 진입하는 상기 출입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출입자의 QR 코드를 인식시킬 수 있는 QR 코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QR 코드부를 통해 상기 출입자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인식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일부가 수용된 수용 홈;
    상기 출입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체온을 측정하는 안면인식카메라; 및
    상기 출입자의 체온이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내부에는 소독제가 저장되는 소독제 통;
    상기 소독제 통의 상기 소독제를 압송시키는 펌프; 및
    상기 소독제 통과 상기 노즐부가 연결되는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부가 상기 출입자를 감지하면, 상기 소독제 통에서 상기 배관과 상기 노즐부를 통해 상기 출입자를 향하여 분무되어 상기 출입자의 인체를 살균 및 소독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부가 상기 출입부에 진입하는 상기 출입자를 감지하면, 상기 하우징부의 후방에서 돌출되는 자동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좌측면에 광고가 삽입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부는,
    상기 출입자의 체온이 정상일 경우, 정상 이라는 문구가 표시되고,
    상기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일 경우, 비정상 이라는 문구가 표시되고,
    상기 자동 개폐부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출입부는,
    상기 출입부의 하면에 구성되는 방역발판; 및
    상기 방역발판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살균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독제는 살균 및 소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되,
    상기 살균 및 소독용 조성물은 털잎솔나물 추출물; 갯쇠돌피 추출물; 그늘취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38678A 2021-03-25 2021-03-25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 KR102325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678A KR102325392B1 (ko) 2021-03-25 2021-03-25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678A KR102325392B1 (ko) 2021-03-25 2021-03-25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392B1 true KR102325392B1 (ko) 2021-11-11

Family

ID=7851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678A KR102325392B1 (ko) 2021-03-25 2021-03-25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3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308B1 (ko) 2021-12-31 2022-08-22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053A (ko) 2014-07-11 2016-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6579A (ko) * 2017-12-22 2019-07-02 (주)아성온 출입자 살균소독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053A (ko) 2014-07-11 2016-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6579A (ko) * 2017-12-22 2019-07-02 (주)아성온 출입자 살균소독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308B1 (ko) 2021-12-31 2022-08-22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에어 샤워와 발열 체크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게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ksman The conquest of tuberculosis
Kiechle Smell detectives: an olfactory history of nineteenth-century urban America
CN102792976B (zh) 一个用于空间喷雾消毒的植物药消毒剂
CN102845485B (zh) 一种中药提取物消毒剂
CN107349170B (zh) 一种艾叶驱蚊止痒花露水及其制备方法
CN102939998A (zh) 一种驱蚊药液及其制备方法
CN102440266A (zh) 一种抗菌、抑菌、杀菌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325392B1 (ko)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이 가미된 출입 게이트
CN108785161A (zh) 一种含甘草黄酮的抑菌漱口水及其制备方法
CN1739358A (zh) 一种灭蚊杀菌剂
CN1048381C (zh) 灭菌消毒香
KR20110000216A (ko) 솔잎 추출물, 쑥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향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84061B1 (ko) 소형 자동인식 방역기
CN105726439A (zh) 金蝉花美白保湿药妆品及其制备方法
CN106359472A (zh) 杀菌性复方精油及其制备方法
KR101514240B1 (ko) 아로마테라피용 솔루션오일 안티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N104490662B (zh) 一种三七养肤护颈露及其制备方法
Nyambe Phytochemical and antibacterial analysis of indigenous chewing sticks, Diospyros lycioides and Euclea divinorum
Muhith et al.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y House Condition and Dyspnea Frequency of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Kim et al. Chamaecyparis obtusa suppresses virulence genes in Streptococcus mutans
CN105878530A (zh) 空气清新抑菌剂及其制备方法
CN104888260A (zh) 一种档案室用于驱虫、杀菌的蒙中药空气清新剂
Osuntokun et al. Comparative study of ethanolic wild african nutmeg (Pycnanthus angolensis (Welw.) stem bark extract potentials and selected conventional toothpaste against hidden resident mouth cavity microfora
CN110313394A (zh) 一种具有预防和治疗呼吸道感染的中草药植培系统及装置
Ali et al. Antibacterial efficacy of green tea mouth rinse in children with early childhood ca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