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358B1 -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 - Google Patents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358B1
KR101126358B1 KR1020110042277A KR20110042277A KR101126358B1 KR 101126358 B1 KR101126358 B1 KR 101126358B1 KR 1020110042277 A KR1020110042277 A KR 1020110042277A KR 20110042277 A KR20110042277 A KR 20110042277A KR 101126358 B1 KR101126358 B1 KR 10112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chemical
drug
vehicle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Priority to KR1020110042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61L2/28Devices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r completeness of sterilisation, e.g. indicators which change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약품을 저장할 수 있는 약품저장탱크와 상기 약품저장탱크에 저장된 약품을 분사시키도록 각종 기계 설비들이 실내에 구비되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실과 작업자의 업무 또는 대기를 위한 사무실이 마련되어 동절기에 방역에 사용되는 약품 및 기계설비가 동결되지 않도록 하며, 방역 작업자가 기상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실내에서 차량의 흐름 파악 및 방역에 사용되는 장비 등을 제어할 수 있어 용이하게 방역 작업을 할 수 있는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는, 실내에서 방역 대상 차량을 확인할 수 있는 외부확인창이 구비된 사무실과, 차량의 방역작업을 위한 약품이 저장되는 약품저장탱크와, 상기 약품저장탱크에 저장된 약품을 외부로 공급하도록 고압펌프가 설치된 기계실로 구성된 컨테이너부와, 약품저장탱크에 저장된 약품을 일정시간 노상으로 분무시키는 약품분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약품저장탱크 내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폭 방향 양측 각각의 벽면 방향에서 중앙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바닥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약품저장탱크에는 상기 바닥경사면의 경사면 방향을 따라 고압의 약품이 분사되도록 상기 약품저장탱크 내부의 서로 마주보는 폭 방향 양측 각각에 구비된 고압분사노즐과, 상기 약품저장탱크의 약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고압분사노즐 방향으로 약품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약품을 상기 고압분사노즐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흡입펌프로 이루어진 약품교반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MOVABLE BOOTH HAVING ANTI EPIDEMIC EQUIPMENT}
본 발명은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약품을 저장할 수 있는 약품저장탱크와 상기 약품저장탱크에 저장된 약품을 분사시키도록 각종 기계 설비들이 실내에 구비되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실과 작업자의 업무 또는 대기를 위한 사무실이 마련되어 동절기에 방역에 사용되는 약품 및 기계설비가 동결되지 않도록 하며, 방역 작업자가 기상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실내에서 차량의 흐름 파악 및 방역에 사용되는 장비 등을 제어할 수 있어 용이하게 방역 작업을 할 수 있는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역기는 휴대용으로 제작되어 공장, 빌딩, 주택 등의 방역용이나 과수, 채소, 벼 등과 같은 경작지의 분무소독 및 양돈, 낙농, 양계 등의 축사방역을 위한 농축산용으로 작업자가 직접 들거나 메고 다니면서 방제 및 방역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장치이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방역기를 통해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 구제역과 돼지콜레라와 같은 전염병을 방지하기 위해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9429호에서는 차량방역기에 차량이 통과되면 차량방역기가 차량의 양측 및 하부로 미립화시킨 약액을 분사시켜 차량을 방역하는 장치를 제안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차량방역기는 도1의 사시도와 같이 구성되며, 이에 대한 구성은 약제탱크(108)와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약제탱크(108)에 저장되어 있는 약액을 공급하는 펌프(109)와, 상기 펌프(109)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고, 약액을 자동과 수동으로 분사시키기 위해 일측에 분사기가 구비된 약액공급부(110)와, 상기 약액공급부(110)의 공급호스와 연결되어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분사노즐(104)을 형성하는 수직관(102)과 수평관(103)으로 이루어진 분사관(111)과, 상기 수직관(102)의 일측에 부착되어 수직관(102)을 지지하고,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2단 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2단지지대의 하단 일측에는 권취롤이 설치되어 2단지지대의 조절되는 길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호스가 감겨진 관지지대(105)와, 상기 분사노즐(104)이 구비된 수평관(103)이 중앙에 횡으로 설치되어 차량을 방제하고 차량의 서행을 유도하기 위해 설치되고, 다수개의 조립식블럭이 조립되어 이루어져 하부에 수평관(103)이 설치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수평관(103)의 분사노즐(104)을 통해 약액을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공이 형성된 과속방지턱(101)과, 상기 과속방지턱(101)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통행을 감지하여 수직관과(102) 수평관(103)에 설치된 분사노즐(104)에서 약제가 일정시간 분사되도록 하는 감지카메라(106)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9684호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약액을 절약하고, 작업자가 무인으로 차량의 방역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며, 동절기에 약액이 분사되는 분사관 및 분사노즐이 동파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일시적으로 무인으로 작업이 가능해질 수는 있으나, 방역 장비들의 이상 유무의 파악 및 관리를 위하여 현장에 주기적으로 방문하여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역 작업 방법은 번거럽고 비효율적이었으며, 하절기 및 동절기 등 빈번하게 발생되는 악천후 시에는 작업이 전혀 불가능해지거나, 작업자의 노동 강도가 더욱 높아짐에 따라 방역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약품이 담긴 약품탱크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하절기 및 동절기에 저온 또는 고온 상태가 되어 염소제와 같이 온도 변화에 따라 소독력이 저하되는 약품의 사용시 방역 작업이 효과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악천후 등 기상변화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면서 자동화로 이루어지는 방역 작업의 작업 상태 및 방역에 사용되는 기계 장치를 실내에서 용이하게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절기의 한파로 인해 약품저장탱크 내부에 담긴 약품이 동결되지 않도록 하는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는, 실내에서 방역 대상 차량을 확인할 수 있는 외부확인창이 구비된 사무실과, 차량의 방역작업을 위한 약품이 저장되는 약품저장탱크와, 상기 약품저장탱크에 저장된 약품을 외부로 공급하도록 고압펌프가 설치된 기계실로 구성된 컨테이너부와, 약품저장탱크에 저장된 약품을 일정시간 노상으로 분무시키는 약품분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약품저장탱크 내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폭 방향 양측 각각의 벽면 방향에서 중앙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바닥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약품저장탱크에는 상기 바닥경사면의 경사면 방향을 따라 고압의 약품이 분사되도록 상기 약품저장탱크 내부의 서로 마주보는 폭 방향 양측 각각에 구비된 고압분사노즐과, 상기 약품저장탱크의 약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고압분사노즐 방향으로 약품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약품을 상기 고압분사노즐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흡입펌프로 이루어진 약품교반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는, 상기 약품저장탱크에는 액상 또는 분말 상태의 약품이 동결되지 않도록 히팅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히팅수단은 상기 약품저장탱크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약품저장탱크의 어느 일측 벽면이나 바닥에서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 변화에 따라 발열되는 히팅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는, 상기 약품저장탱크 내부에는 약품의 수위량을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약품저장탱크 외부에는 약품의 수위 상태를 측정하도록 약품저장탱크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창이 설치되되, 상기 컨테이너부에는 상기 흡입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알람표시 및 알람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는, 상기 컨테이너부의 외부 일측에는 방역 대상 차량의 카운터 및 정보 수집을 위한 차량정보확인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는 악천후 등 기상변화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면서 자동화로 이루어지는 방역 작업의 작업 상태 및 방역에 사용되는 기계 장치를 실내에서 용이하게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절기의 한파로 인해 약품저장탱크 내부에 담긴 약품이 동결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방역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의 컨테이너부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의 약품교반수단을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의 컨테이너부가 컨테이너형으로 실시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의 컨테이너부가 트레일러형으로 실시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예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의 컨테이너부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의 약품교반수단을 도시한 단면상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의 컨테이너부가 컨테이너형으로 실시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예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의 컨테이너부가 트레일러형으로 실시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예시도이다.
본 발명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이하에서는 "이동식 초소"라 한다.)는 구제역, 광우병 및 콜레라와 같은 바이러스성 전염병의 발생 및 전염으로부터 가축을 보호 및 예방을 위해 오염지역 또는 축사, 양계장, 사료공장, 가축연구소, 도살장, 식품공장, 식품연구소 및 병원 등을 출입하는 사료운반차, 약품배달차 및 가축운반차 등의 각종 차량의 방역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대기 또는 업무를 볼 수 있도록 사무실(110)과 약품을 분사시키기 위한 약액이 저장된 약품저장탱크(120)와 방역 작업에 사용되는 각종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기계실(130)이 화물차(T)와 같은 차량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컨테이너부(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부(10)의 상기 약품저장탱크(120)에는 약품을 교반시키기 위한 약품교반수단(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1)는, 컨테이너부(10), 약품분무수단(20), 약품교반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테이너부(10)는 사무실(110)과 기계실(130)이 소정 공간으로 분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부(10)의 하부 공간에는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약품저장탱크(120)가 구성된다.
상기 사무실(110)은 방역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가 업무 또는 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사무실(110)은 차량의 방역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내외부로 수시로 드나들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문(11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사무실(110)에는 차량의 진입방향과 상기 약품분무수단(20)이 설치되어 차량의 방역 작업이 실시되는 장소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외부확인창(112)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컨테이너부(10) 실내에서 상기 약품분무수단(20)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고, 악천후 등 기상변화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면서 자동화로 이루어지는 방역 작업의 작업 상태를 편리하게 관리, 감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약품저장탱크(120)는 차량의 방역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약품이 저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약품저장탱크(120)는 방역의 목적에 따라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다양한 성분과 비율로 제조되어 상기 기계실(130)과 외부와 통하도록 연결된 연결관 등을 통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차량 방역에 사용되는 액체 상태의 약품이 담긴 약액탱크가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하절기 및 동절기에 방역 작업이 실시될 경우 염소제와 같이 온도 변화에 따라 소독력이 저하되는 약품을 사용하게 되면 방역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열선과 같은 전기적 장치를 분사관 및 분사노즐에 부설하게 되는 등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설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수분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잦은 고장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테이너부(10)의 바닥 방향으로 상기 약품저장탱크(120)를 구성하여 내부에 저장된 약품이 외부 기상변화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항상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팅수단(122)을 구성하여 동절기에 동파를 예방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에서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다양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약품의 침전방지 및 부유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약품을 교반할 수 있는 약품교반수단(30)이 구성된다. 상기 약품저장탱크(120)에 부설된 상기 히팅수단(122)과 상기 약품교반수단(30)에 대한 구성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기계실(130)은 차량의 방역 작업에 사용되는 다양한 장비들을 실을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의 공간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계실(130)은 상기 사무실(110) 내부로 통하는 출입문(131)과 방역 작업이 실시되는 외부로 통하는 출입문(13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기계실(130) 내부에는 상기 약품저장탱크(120)에 저장된 약품을 상기 약품분무수단(20)으로 공급하도록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고압펌프(132)가 설치되고, 다양한 성분의 약품을 혼합할 수 있는 약품혼합통(133)이 설치된다.
상기 약품혼합통(133)은 생석회가루 등의 혼합물을 물에 희석시켜 소독 작용에 알맞는 비율로 혼합시키기 위해서 구비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생석회가루는 물을 먼저 부은 다음 그 위에 뿌리거나 물에 희석시켜 화학반응을 일으켜 고온과 강 알칼리성을 띠면서 구제역균을 죽이도록 하고 있다. 구제역에 사용되는 약품과 혼합 농도에 관한 지침은 구제역을 담당하고 있는 행정기관에서 별도로 정하여지는 것으로 그에 맞는 농도로 적정량을 혼합하는 작업이 필수적이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약품혼합통(133)은 효과적인 소독방법을 위해 작업자가 실내에서 다양한 성분의 약품을 혼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지는 것이고, 약품의 혼합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기계실(130)의 바닥 부분에서 상기 약품저장탱크(120)로 연결된 약품투입관(133a)을 통해 약품저장탱크(120)에 약품을 공급하여 저장시키게 된다.
상기 약품분무수단(20)은 차량의 방역 작업을 위해 상기 약품저장탱크(120)에 저장된 약품이 상기 약품저장탱크(120)의 일측 부분으로 연결된 약품배출관(123)을 통해 공급받아 일정시간 노상으로 분무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약품분무수단(20)은 무인으로 방역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차량의 진,출입로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약품분무수단(20)은 차량방지턱(21), 차량감지센서(22), 고압분무기(23)로 구성된다.
상기 차량방지턱(21)은 차량이 방역 작업을 위해 설치된 약품분무수단(20)을 저속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차량 진입로를 횡단하여 설치되고, 그 형태는 단면이 쇄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레이트, 나무 또는 시멘트로도 할 수 있을 것이고 다수개의 조립식블럭으로 조립되거나 일체형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등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크게 상관없는 것이다.
상기 차량감지센서(22)는 방역 대상 차량의 차폭 등을 감지하고 종류를 감지하여 대형차와 소형차를 구분하여 방역함으로써 약품의 소비를 줄이면서 방역의 효과를 높이고 무인으로 감지하여 방역하게 되어 인력의 손실을 줄임 수 있는 효과를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압펌프(132)는 원심펌프 또는 피스톤펌프로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압분무기(23)를 통한 약액의 분사는 분사노즐의 직경이 작으므로 수압이 어느정도 유지되어야 분사가 원활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면 상기 고압펌프(132)는 피스톤펌프 즉 농업용에서 사용하는 동력분무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압분무기(23)는 상기 고압분무기(23)는 상기 차량감지센서(22)에서 차량이 감지되면 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고압펌프(132)가 가동되는데, 이때 상기 약품저장탱크(120)의 약품배출관(123)으로 연결된 공급호스(23a)를 통해 약품이 공급되어 분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급호스(23a)는 호스 자체가 압력을 받지 않으므로 어떤 호스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고압펌프(132)로부터 고압의 약액을 받으므로 고압용 호스 즉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동력분무기용 분무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압분무기(23)는 한 쌍의 수직분사관(231)과 바닥에 설치된 수평분사관(232)으로 구성되고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분사노즐(231a,2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분사관(231)은 차도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안정되게 고정 지지되고, 상기 수평분사관(232)은 차도를 횡단하여 수평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분사관(231)을 등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231b)가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31b)는 1개 또는 수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솔레노이드 밸브(231b)를 1개를 구성하게 되면 수직분사관(231)의 중간에 솔레노이드 밸브(231b)를 구성함으로서 분사단수가 2단이 되고, 솔레노이드 밸브(231b)를 2개를 구성하게 되면 수직분사관(231)을 대략 3등분하여 등분한 자리에 솔레노이드 밸브(231b)를 구성함으로써 분사단수가 3단이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차량감지센서(22)에서 감지된 차량의 종류별 높이에 따라서 약품의 공급량과 작동 범위를 선택하여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약품분무수단(20)은 본 발명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1)는 화물차(T)를 이용하여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초소 또는 트레일러형의 이동이 간편하고, 악천후 시 작업자의 대피공간을 제공하여 실내에서 편리하게 방역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가장 큰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 약품분무수단(20)의 구성이 종래의 기술과 큰 차이가 없더라도 차량의 방역 작업이 효과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량감지센서(22)는 별도의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차량이 상기 약품분무수단(20)에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어수단으로 전송하고, 제어수단은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31b)의 개폐 및 상기 고압펌프(132)로 구동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어수단이 상기 컨테이너부(10) 즉, 상기 사무실(110) 또는 기계실(130)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140)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1)는 상기 약품탱크(120)에 저장된 약품이 동결되지 않도록 히팅수단(122)이 구비되고, 이 약품을 교반할 수 있는 약품교반수단(30)이 구성된다.
우선, 상기 약품교반수단(30)은 상기 약품교반수단(30)은 물의 압력 즉, 수압을 이용하여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에 수류 또는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액상 또는 분말 상태의 약품이 침전되거나 부유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 약품교반수단(30)은 고압분사노즐(31), 흡입구(32), 순환관(33), 흡입펌프(34)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폭 방향 양측 각각의 벽면 방향에서 중앙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바닥경사면(1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바닥경사면(121)은 상기 컨테이너부(10)의 하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는 폭 방향의 양측이 상부로 돌출되고 중앙이 움푹한 형태의 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약품교반수단(30)은 상기 바닥경사면(121)의 경사면 방향을 따라 고압으로 약품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에 소용돌이나 와류를 인공적으로 발생시켜 약품의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의 서로 마주보는 폭 방향 양측 각각에 고압분사노즐(3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약품저장탱크크(120)의 내부 바닥 즉, 상기 바닥경사면(121)이 형성된 사이의 중앙 부분에는 약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구(3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32)에는 상기 고압분사노즐(31) 방향으로 약품을 순환시켜 약품저장탱크(120) 내부로 재공급할 수 있도록 순환관(3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순환관(33)의 일단부에는 흡입펌프(34)가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32)를 통해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의 약품을 흡입시키고, 흡입된 약품을 상기 고압분사노즐(31)로 공급하여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를 향해 반복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은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에서 고형분의 약품에 의해 약품이 침전 또는 부유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약품분무수단(20)으로 바람직한 농도로 희석된 약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인 방역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계실(130)에 구비된 상기 약품혼합통(133)에서 약품을 혼합하는 작업이 선행되지 않더라도 상기 컨테이너부(10) 외부에서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로 연결된 외부연결관(120a)을 통해 구제역에 사용되는 소독제 원액 및 생석회 가루 등 다양한 성분의 약품을 행정구역의 지침에 따라 바람직한 양만큼 투입시켜 상기 약품교반수단(30)에 의해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에서 혼합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작용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히팅수단(1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에 저장된 약품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히팅수단(122)은 온도센서(122a)와 히팅봉(122b)으로 구성된다. 상기 온도센서(122a)는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 벽면 또는 바닥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약품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온도센서(122a)에서 측정된 온도는 상기 사무실(110) 또는 기계실(130)에 설치될 수 있는 상기 컨트롤러(140)에 표시하여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는 상기 약품저장탱크(120)의 벽면이나 바닥에서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히팅봉(122b)을 작동시켜 발열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을 통해 상기 약품저장탱크(120)의 약품은 설정 온도만큼 수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1)는 상기 히팅봉(122b)과 같은 발열수단의 대체 수단으로 발열판(122b')이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 바닥 및 벽면에는 코일 형태로 열선이 배열되어 발열되는 발열판(122b')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컨테이너부(10)의 실내쪽에 안전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분이 외부 접촉에 의해 고장나는 현상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에 저장된 약품의 수온 상승 및 하강 작업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1)는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에는 약품의 수위량을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124)가 설치되고,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외부에는 약품의 수위 상태를 측정하도록 약품저장탱크(120)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창(125)이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수위감지센서(124)과 상기 투명창(125)을 통해 약품저장탱크(120)의 약품 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에 저장된 약품이 소진될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140)의 정보창에 약품의 잔량을 표시하거나 별도의 알람장치(도면 미도시)를 통해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약품저장탱크(120)에 약품을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 차량감지센서(22)의 제어를 위해 구성된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컨테이너부(10) 실내 즉, 상기 사무실(110) 또는 기계실(130)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흡입펌프(34)의 작동 및 제어와, 상기 수위감지센서(124)를 통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알람표시 및 알람설정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인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상기 약품저장탱크(120) 내부에 상기 약품교반수단(30)의 교반 작동 상태와 상기 히팅수단(122)을 통한 약품의 온도 확인 및 설정을 상기 사무실(110) 또는 기계실(130)에서 작업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컨테이너부(10)의 내부에서 간편하게 제어 및 관리, 감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1)는 상기 컨테이너부(10)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방역 대상 차량의 카운터 및 정보 수집을 위한 차량정보확인수단(150)이 구비된다.
상기 차량정보확인수단(150)은 상기 컨테이너부(10)의 외부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하거나, 상기 사무실(110)의 벽면 즉, 차량이 진입하는 방향의 벽면과 통하도록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차량정보확인수단(150)은 근접센서, 포토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방역 작업을 실시하는 차량 수를 카운터할 수 있으며, 방역 대상 차량에 대한 정보를 사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는 이동식감지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식감지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무실(1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컨트롤러(140) 또는 별도의 모니터를 통해 작업자가 차량에 대한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로 쉽게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1)는 컨테이너형 초소(10') 또는 트레일러형 초소(10")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a는 상기 컨테이너부(10)가 컨테이너형으로 실시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예시도이고, 도 5b는 상기 컨테이너부(10)가 트레일러형으로 실시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예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컨테이너형 초소(10')는 대형의 화물차(T₁)의 화물칸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이동식화장실과 같은 형태로 쉽게 이동하여 화물차(T₁)를 정차시켜 사용할 수 있는 타입의 컨테이너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트레일러형 초소(10")는 화물차(T₂)가 소형 또는 중형의 종류에 상관없이 상기 트레일러형 초소(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출력을 갖는 화물차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화물차(T₂)의 후미 부분에 구비된 견인장치(T20)를 통해 연결된 트레일러에 적재되는 형태로 상기 트레일러형 초소(10")를 구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컨테이너부 110 사무실
111 출입문 112 외부확인창
120 약품저장탱크 121 바닥경사면
122 히팅수단 122a 온도센서
122b 히팅봉 122b' 발열판
123 약품배출관 124 수위감지센서
125 투명창 130 기계실
131 출입문 132 고압펌프
133 약품혼합통 133a 약품투입관
140 컨트롤러 150 차량정보확인수단
20 약품분무수단 21 차량방지턱
22 차량감지센서 23 고압분무기
23a 공급호스 231 수직분사관
232 수평분사관 231a,232a 솔레노이드밸브
30 약품교반수단 31 고압분사노즐
32 흡입구 33 순환관
34 흡입펌프 T₁,T₂ 화물차
10' 컨테이너형 초소 10" 트레일러형 초소

Claims (4)

  1. 실내에서 방역 대상 차량을 확인할 수 있는 외부확인창이 구비된 사무실과,
    차량의 방역작업을 위한 약품이 저장되는 약품저장탱크와,
    상기 약품저장탱크에 저장된 약품을 외부로 공급하도록 고압펌프가 설치된 기계실로 구성된 컨테이너부와,
    약품저장탱크에 저장된 약품을 일정시간 노상으로 분무시키는 약품분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약품저장탱크 내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폭 방향 양측 각각의 벽면 방향에서 중앙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바닥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약품저장탱크에는 상기 바닥경사면의 경사면 방향을 따라 고압의 약품이 분사되도록 상기 약품저장탱크 내부의 서로 마주보는 폭 방향 양측 각각에 구비된 고압분사노즐과, 상기 약품저장탱크의 약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고압분사노즐 방향으로 약품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약품을 상기 고압분사노즐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흡입펌프로 이루어진 약품교반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저장탱크에는 액상 또는 분말 상태의 약품이 동결되지 않도록 히팅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히팅수단은 상기 약품저장탱크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약품저장탱크의 어느 일측 벽면이나 바닥에서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 변화에 따라 발열되는 히팅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저장탱크 내부에는 약품의 수위량을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약품저장탱크 외부에는 약품의 수위 상태를 측정하도록 약품저장탱크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창이 설치되되,
    상기 컨테이너부에는 상기 흡입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알람표시 및 알람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부의 외부 일측에는 방역 대상 차량의 카운터 및 정보 수집을 위한 차량정보확인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
KR1020110042277A 2011-05-04 2011-05-04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 KR101126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277A KR101126358B1 (ko) 2011-05-04 2011-05-04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277A KR101126358B1 (ko) 2011-05-04 2011-05-04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358B1 true KR101126358B1 (ko) 2012-03-23

Family

ID=4614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277A KR101126358B1 (ko) 2011-05-04 2011-05-04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3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663B1 (ko) * 2016-01-26 2016-08-11 주식회사지티이 Ict 기반 방역용 자동온열 소독액 공급기능을 갖는 온열소독매트 시스템
KR20210079072A (ko) * 2019-12-19 2021-06-29 유한회사 이젠365 터널식 모듈형 소독 시스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733Y1 (ko) 2001-04-20 2001-10-11 김기수 이동식 무인 방역 장치
KR200282860Y1 (ko) 2002-04-24 2002-07-23 박원경 차량용 방역장치
KR20040037991A (ko) * 2002-10-31 2004-05-08 노옥길 차량 자동 방역 장치
KR20090097647A (ko) * 2008-03-12 2009-09-16 고봉수 무인자동 살균 소독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733Y1 (ko) 2001-04-20 2001-10-11 김기수 이동식 무인 방역 장치
KR200282860Y1 (ko) 2002-04-24 2002-07-23 박원경 차량용 방역장치
KR20040037991A (ko) * 2002-10-31 2004-05-08 노옥길 차량 자동 방역 장치
KR20090097647A (ko) * 2008-03-12 2009-09-16 고봉수 무인자동 살균 소독 분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663B1 (ko) * 2016-01-26 2016-08-11 주식회사지티이 Ict 기반 방역용 자동온열 소독액 공급기능을 갖는 온열소독매트 시스템
KR20210079072A (ko) * 2019-12-19 2021-06-29 유한회사 이젠365 터널식 모듈형 소독 시스템 장치
KR102369994B1 (ko) * 2019-12-19 2022-03-03 유한회사 이젠365 터널식 모듈형 소독 시스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680B1 (ko) 방제차
CN103501595B (zh) 治疗动物蹄的装置和方法
KR101219017B1 (ko) 무선제어 및 송풍량이 가변조절되는 스마트 방역방제기
KR102116506B1 (ko) 축산농가용 이동식 방제기
KR101674149B1 (ko)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KR101202696B1 (ko) 무인 차량 방역 및 소독, 방제장치
KR102053642B1 (ko)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KR101088794B1 (ko) 차량소독시스템
KR200412937Y1 (ko) 차량용 방역 방제 장치
KR100786373B1 (ko) 약제분사장치
KR101573763B1 (ko) 거점식 연무 방제 시스템
KR101173263B1 (ko) 차량용 무인방역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07122A (ko) 약제 분무장치
KR101126358B1 (ko) 방역장비가 구비된 이동식 초소
KR102053644B1 (ko) 안개분무 시스템을 구비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185131B1 (ko) 동파방지기능을 갖는 다목적 방제기
KR101086861B1 (ko) 차단 방역장치
KR200429026Y1 (ko) 소독 방역 특장차량
WO2016036008A1 (ko) 무인 자동화 방역시스템
KR200264576Y1 (ko) 비닐하우스용 농약 살포장치
KR102218834B1 (ko) 이동식 방역 소독장치
KR200339684Y1 (ko) 차량방역기
KR102053639B1 (ko)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제어방법
KR102159382B1 (ko)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
KR101105721B1 (ko) 산불진화 및 방역차량의 동파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