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883B1 -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883B1
KR101029883B1 KR1020080121827A KR20080121827A KR101029883B1 KR 101029883 B1 KR101029883 B1 KR 101029883B1 KR 1020080121827 A KR1020080121827 A KR 1020080121827A KR 20080121827 A KR20080121827 A KR 20080121827A KR 101029883 B1 KR101029883 B1 KR 101029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ressure
liquid
unit
spray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579A (ko
Inventor
이종복
Original Assignee
삼양철강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양철강 (주) filed Critical 삼양철강 (주)
Priority to KR1020080121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8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5Permanently-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e.g. for spreading grit, for spraying de-ic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B08B3/028Spray gu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0Hydraulically loosening or dislodging undesirable matter; Raking or scraping apparatus ; Removing liquids or semi-liquids e.g., absorbing water, sliding-off mud
    • E01H1/101Hydraulic loosening or dislodging, combined or not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dislodging, e.g. road washing machines with brushes or wi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부(20)와, 상기 저장탱크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를 고압 압송시키기 위한 펌핑부(30)와, 상기 펌핑부(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저장탱크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를 고압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한 연결배관부(50)와, 상기 연결배관부(50)와 연결되어 액체 살포위치에 적응적으로 위치하며, 외주면에 액체를 고압으로 살포하기 위한 노즐(6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어 있는 살포배관부(60)와, 상기 살포배관부(60)로의 유로를 차단하여 노즐(62)를 통한 액체의 살포동작을 중지시키는 차단밸브부(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은 액체 살포 위치에 적응적이고, 고압의 액체, 예를 들어 고압의 염수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노면에 살포할 수 있어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결빙, 노면, 액체 고압 살포, 저장탱크부, 펌핑부, 제어부, 연결배관부, 살포배관부, 차단밸브부

Description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System for spraying liquid in high pressure}
본 발명은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 액체 살포 위치에 적응적이고, 노면의 결빙구간에서 결빙방지 액체, 예를 들어 염수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살포할 수 있는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이나 비에 의해 발생되는 노면의 결빙현상은 차량의 통행을 어렵게 만들 뿐 아니라 각종 교통사고를 유발하여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입힌다.
이러한 노면의 결빙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염화칼슘 용액이나 소금용해액(염수)을 살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염수와 같은 결빙 방지 액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탱크가 탑재된 탑재차량이 도로를 주행하면서 노면의 결빙구간을 향해 염수를 직접적으로 살포하고 있으나, 탑재차량의 진입이 불가하거나 어려운 지역에서는 염수의 살포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차량의 통행료를 징수하는 유료도로의 톨게이트, 차량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검문소 부근, 경사로, 커브 구간 또는 램프구간 등에서는 노면의 결빙 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이 상당히 많이 야기되고 있으나, 탑재차량을 이용하여 염수를 살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제동장치(브레이크)가 필수적으로 작동되는 톨게이트, 검문소 부근, 경사로, 커브 구간 또는 램프구간 등에서는 노면의 결빙으로 인해 차량의 미끄럼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며, 이 경우 충돌사고로 이어져 차량 및 인명 피해는 물론이고 극심한 교통정체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톨게이트, 검문소 부근, 경사로, 커브 구간 또는 램프구간 등에 염수와 같은 결빙 방지 액체를 효율적으로 살포할 수 있는 장비가 거의 전무함으로써 매년 엄청난 사회적·경제적 손실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고압 액체 살포 위치에 적응적이고, 눈이나 비에 의해 발생되는 노면의 결빙구간에서 결빙방지 액체, 예를 들어 염수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살포할 수 있는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전용 갓길 및 중앙분리대에 설치하여 눈으로 인한 결빙을 방지하고 제설 작업을 촉진하기 위해 결빙방지 액체, 예를 들어 염수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살포할 수 있는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면이나 주변시설물을 고압 액체로 청소 및 세척하고, 도로주변 수목의 관수 및 소독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이동식으로 차량에 탑재 가 가능하여 고압 액체로 차량, 축사 내부 등의 청소가 가능한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은, 결빙방지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부와, 상기 저장탱크부에 저장되어 있는 결빙방지 액체를 고압으로 송출시키기 위한 펌핑부와, 상기 저장탱크부에 저장되어 있는 결빙방지 액체를 고압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한 연결배관부와, 상기 연결배관부와 연결되고 도로의 노면 상에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설치되되, 결빙방지 액체 살포위치에 적응적으로 설치되어 곡선부 도로에도 시공설치가 가능한 가요성 재질의 탄성체 고압호스로 구성된 살포배관부와, 상기 살포배관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펌핑부에 의해 고압으로 송출되는 결빙방지 액체를 도로의 노면에 고압으로 살포하는 복수개의 노즐과, 상기 살포배관부로의 유로를 차단하여 노즐을 통한 결빙방지 액체의 살포동작을 중지시키는 차단밸브부와, 상기 펌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상기 차단밸브부에 의해 상기 살포배관부로의 유로가 차단되어 상기 노즐을 통한 결빙방지 액체의 살포동작이 중지되면, 상기 차단밸브부에 의해 상기 살포배관부로의 결빙방지 액체의 흐름이 차단된 상기 연결배관부 내의 상승되는 결빙방지 액체의 압력을 감지하여 그 압력이 일정 이상의 압력이 되면 상기 펌핑부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살포배관부는 가요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포배관부는 탄성체 고압호스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곡선부 도로에 시공 설치가 가능하며 통과차량에 의한 파손 또는 절단시 용이하게 접속하여 연결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밸브부에 의해 상기 살포배관부로의 유로가 차단되어 상기 노즐을 통한 액체의 살포동작이 중지되면, 상기 차단밸브부에 의해 상기 살포배관부로의 액체의 흐름이 차단된 상기 연결배관부 내의 상승되는 액체의 압력을 감지하여 그 압력이 일정 이상의 압력, 예를 들어 80㎏/㎠ 이상이 되면 상기 펌핑부의 가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부에 연통되어 설치되 는 적어도 하나의 순간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순간연결유닛에는 고압호스가 연결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압호스의 선단에는 고압살포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살포배관부를 통해 톨게이트, 검문소 부근, 경사로, 커브 구간 또는 램프구간 등에서 고압 액체 살포 위치에 적응적이면서도 결빙방지 액체, 예를 들어 염수를 노면에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살포할 수 있게 됨으로써 노면의 결빙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면의 결빙으로 인한 사회적·경제적 비용의 불필요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제어부 및 차단밸브부를 통해 고압 액체, 예를 들어 염수의 살포동작을 쉽게 제어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을 기할 수 있고, 또한 순간연결유닛을 구비하여 이와 연결되는 고압살포기에 의해 고압 액체의 광역 살포와 살포 위치의 선정이 가능하여 고압 액체 살포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노면이나 주변시설물을 고압 액체로 청소 및 세척하고, 도로주변 수목의 관수 및 소독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이동식으로 차량에 탑재가 가능하여 고압 액체로 차량, 축사 내부 등의 청소가 가능한 광범위한 적용가능성을 지닌 추가적인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하고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은 저장탱크부(20)와, 상기 저장탱크부(20)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펌핑부(30)와, 상기 펌핑부(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저장탱크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 예를 들어 염수를 이송시키기 위한 연결배관부(50)와, 상기 연결배관부(50)와 연결되며, 외주면에 대략 10M 간격으로 복수 개의 노즐(62)이 구비되어 있는 살포배관부(60)와, 상기 살포배관부(60)에 설치되는 차단밸브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저장탱크부(20)는 지하 80∼100M 정도에 위치하는 지하공간에 위치할 수 있고 내부에는 결빙 방지를 위한 액체, 예를 들어 염수가 저장된다. 저장탱크부(20)의 구조 및 용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1에 박스 부분으로 표시된 저장탱크부(20), 펌핑부(30), 제어부(40) 및 연결배관부(50) 등이 지하공간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박스 부분의 유닛이 지상의 옥상, 창고, 차량의 탑재부에 설치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펌핑부(30)는 저장탱크부(20)가 지하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저장탱크 부(20)에 저장되어 있는 결빙방지 액체, 예를 들어 염수를 지상으로 고압 압송시키는 장치이다. 펌핑부(30)로는 결빙방지 액체를 고압으로 압송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부(30)는 모터(32)와, 모터(32)에 의해 구동되는 고압펌프(34)로 이루어진다. 고압펌프(34)는 피스톤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기종의 당업계에 잘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펌프형 동력분무기(모델명: 동력분무기 HCS; 제조사: 경상북도 상주 소재 해청기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펌핑부(30)에는 고압 액체, 예를 들어 염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감지센서(미도시) 및 액체의 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압력감지센서는 펌핑부(30)의 고압펌프(34)에 설치되는데 고압펌프(34)로서 전술한 펌프형 동력분무기(모델명: 동력분무기 HCS; 제조사: 경상북도 상주 소재 해청기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무기용 전자개폐기(제조사: 경상북도 상주 소재 해청기계)를 사용한다.
제어부(40)에는 스위치(42)가 구비되며, 스위치(42)의 스위칭 동작을 통해 펌핑부(30)가 가동/정지된다. 제어부(40)는 펌핑부(30)의 모터(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고압펌프(34)에 구비된 압력감지센서(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의 스위치(42)를 ON으로 하면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펌핑부(30)의 모터(32)가 동작하고 모터(32)의 회전력이 고압펌프(34)로 전달되어 저장탱크부(20)의 액체, 예를 들어 염수가 고압으로 송출되면서 연결배관부(50)로 고압 압송된다.
한편, 고압 액체는 지하에서 지상의 톨게이트, 검문소 부근, 경사로, 커브 구간 또는 램프구간에 설치된 살포배관부(60)에 고압으로 이송되어 노즐(62)을 통해 분사된다. 이때, 차단밸브부(70)가 수동으로 열림상태로 되어 있거나, 툴부스(99)에 설치된 전기적인 ON/OFF 스위치에 의해 열림상태로 되어 있으면 고압 액체, 즉 염수가 살포된다.
한편, 고압의 액체 살포를 중지시키기 위해서는 차단밸브부(70)를 수동으로 돌려 잠그거나 툴부스(99)에 설치된 전기적인 ON/OFF 스위치를 OFF 상태로 해야 하는데, 이때 고압펌프(34)로부터 연결배관부(50) 및 살포배관부(60)로 공급되는 액체, 예를 들어 염수의 압력이 강하여 배관의 균열이나 장치의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제어부(40)는 차단밸브부(70)에 의해 살포배관부(60)로의 유로가 차단되어 노즐(62)을 통한 액체의 살포동작이 중지되면, 차단밸브부(70)에 의해 살포배관부(60)로의 액체의 흐름이 차단된 연결배관부(50) 내의 상승되는 액체의 압력을 감지하여 그 압력이 일정 이상의 압력, 예를 들어 80㎏/㎠ 이상이 되면 펌핑부(30)의 가동을 정지시킨다.
이 때, 일정 이상의 상승 압력은 펌핑부(30)의 압력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되고, 이렇게 감지된 일정 이상의 상승 압력은 압력감지센서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전환되고, 압력감지센서로부터의 제어신호(출력신호)는 압력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40)로 전달된다. 펌핑부(30)의 고압펌프(34)에 설치된 압력감지센서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한 제어부(40)는 제어신호의 전위값에 의해 제어 부 내의 스위칭 장치, 예를 들어 릴레이를 동작시켜 제어부(40)와 모터(30)와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고압 액체를 고압 압송하는 펌핑부(30)의 모터(32)가 정지되어 펌핑부(30)의 고압펌프(34)의 동작도 정지됨으로써 추가적인 고압 액체의 이송이 중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에 의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고압으로 인한 연결배관부(50) 또는 살포배관부(6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원거리에서도 간단히 고압살포되는 액체를 살포조정할 수 있고 살포의 중지도 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박스 부분의 유닛이 지하공간에 설치된 경우 고압 액체의 살포 중지를 위해 사용자가 차단밸브부(70)로부터 대략 300M 정도 떨어진 지하에 설치된 제어부(40)의 스위치(42)를 OFF 상태로 차단해야 하는 불편이 없는 것이다.
한편, 펌핑부(30)의 고압펌프(34)에는 압력조절밸브(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압력조절밸브의 조절을 통해 고압펌프(34)로부터 고압으로 압송되는 액체의 살포 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살포 액체의 살포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부(30) 및 제어부(40)는 받침대(36)에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외부환경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개폐 가능한 케이싱(38)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38)은 지하공간, 지상의 옥상, 창고, 차량의 탑재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배관부(50)는 저장탱크부(20)와 펌핑부(30), 그리고 펌핑부(30)와 살포 배관부(60) 사이에 연결된다. 연결배관부(50)는 150㎏/㎠ 정도의 고압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살포배관부(60)는 일정의 길이 및 직경을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액체 살포 위치에 적응적이기 위해 가요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살포배관부(60)는 직경이 대략 10-13mm 정도이고 100㎏/㎠ 정도의 고압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하면 좋다.
이러한 살포배관부(60)는 지상에 위치하며, 그 외주면에 액체, 즉 염수를 고압으로 살포하기 위한 노즐(6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예를 들어 10M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노즐(62)은 50㎏/㎠ 정도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하면 좋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살포배관부(60)는 탄성체 고압호스로 되어 있어 곡선부 도로에 시공 설치가 가능하며, 통과차량에 의한 파손 또는 절단시 용이하게 접속하여 연결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노즐(62)에 의해 살포되는 액체의 살포거리는 전술한 바와 같은 펌핑부(30)의 고압펌프(34)에 설치된 압력조절밸브의 조절에 의한 고압펌프(34)의 펌핑 압력 조절에 의해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노즐(62)의 형상은 물론이고 그 형성개수 및 배치형태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살포배관부(60)에 설치된 노즐(62)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고압 액체, 즉 염수의 살포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거리 살포를 위해서는 노즐(62)을 살포배관부(60)에 대해 상방향으로 설치하면 된다.
살포배관부(60)는 톨게이트, 검문소 부근, 경사로, 커브 구간 또는 램프구간 등의 노면(10)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도로에 중앙분리대가 설치된 경우에는 중앙분리대를 중심으로 좌우 노면(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의 살포배관부(60)를 고속도로의 하이패스 구간에 설치할 경우, 하이패스 구간 통과장치 진,출입로 전후방으로 200M 거리까지 고압 액체, 즉 염수를 살포할 수 있다. 살포되는 범위는 1차선까지로 조정할 수도 있고 2차선까지로 조정할 수도 있다.
살포배관부(60)가 직선구간에 설치될 경우에는 경질 또는 연질의 것을 둘 다 사용할 수 있으며, 곡선구간일 경우에는 연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포배관부(60)의 설치위치 및 설치높이 등은 고압 액체, 즉 염수의 살포거리를 감안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예를 들어, 1차선까지만 살포할 경우에는 살포배관부(60)를 낮게 설치하고, 2차선까지 살포할 경우에는 살포배관부(60)를 높게 설치하면 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밸브부(70)는 살포배관부(60)로의 유로를 차단하여 노즐(62)을 통한 고압 액체, 즉 염수의 살포동작을 선택적으로 중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차단밸브부(70)는 살포배관부(60)로의 액체 유입을 차단하여 노즐(62)을 통한 고압 액체, 즉 염수의 살포동작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차단밸브부(70)는 사용자가 직접 회전 개폐하는 수동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툴부스(99)에 설치된 전기적인 ON/OFF 스위치 구조를 채택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은 연결배관부(50)에 적어도 하나의 순간연결유닛(80)이 설치되어, 고압호스(92)를 추가적으로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3 참조).
순간연결유닛(80)은 통상 퀵 커플러(Quick coupler)라고 불리우며, 배관과 배관을 서로 신속하게 그리고 순간적으로 연결/분리하는 데 사용된다.
순간연결유닛(80)은 공지된 기술의 일부이므로 그 기술적 구성 및 연결배관부(50)와의 결합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순간연결유닛(80)에 연결되는 고압호스(92)는 이동수레(94)에 의해 150M 정도까지 권상·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고압호스(92)의 선단에는 염수와 같은 액체를 고압으로 살포할 수 있는 고압살포기(96)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배관부(50)가 설치된 지하 통로와 같은 통로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순간연결유닛(80)에 고압호스(92)를 순간적으로 탈착하여 사용하면 고압살포기(96)의 이동성 및 적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
고압호스(92)는 내구성 등과 같은 물적 특성이 우수한 연질의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살포기(96)는 대략 반경 20M 정도까지 광역으로 염수와 같은 액체를 고압으로 살포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고압살포기(96)로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고압살포기(96)는 건(gun) 방식의 고압살포기로서 방아쇠 부분을 당기게 되면 연결배관부(50), 순간 연결유닛(80) 및 고압호스(92)를 통한 고압의 액체, 즉 염수가 고압 살포된다.
한편, 도 4의 미설명 도면부호 99는 톨케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부스(Booth)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을 통한 염수와 같은 결빙방지 액체의 살포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저장탱크부(20)에 결빙방지 액체를 저장한 후, 제어부(40)의 스위치(42)를 ON으로 하여 펌핑부(30)를 가동시키면 저장탱크부(20)에 저장되어 있는 결빙방지 액체가 연결배관부(50) 및 살포배관부(60)로 공급되어 최종적으로 살포배관부(60)의 노즐(62)을 통해 고압 살포된다.
이 때, 차단밸브부(70)는 결빙방지 액체가 살포배관부(60)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살포배관부(60)의 노즐(62)을 통한 결빙방지 액체의 살포작업을 중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차단밸브부(70)를 동작시켜 연결배관부(50)로부터 살포배관부(60)로의 유로를 완전히 차단하면 된다.
이 때, 차단밸브부(70)에 의해 차단된 연결배관부(50)내에는 펌핑부(30)를 통해 고압의 액체가 계속 공급되고 차단밸브부(70)의 차단으로 연결배관부(50)내의 압력은 서서히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고압펌프(34)에 설치된 압력감지센서는 압력의 증가를 감지하고 액체의 압력이 일정 이상의 압력이 되면 제어신호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40)로 출력하고 제어부(40)는 이러한 제어신호에 의해 펌핑부(30)의 가동을 중지시켜 고압으로 인한 연결배관부(50)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간 편하게 고압 액체의 살포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의 펌핑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의 순간연결유닛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의 살포배관부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노면 20 : 저장탱크부
30 : 펌핑부 40 : 제어부
50 : 연결배관부 60 : 살포배관부
62 : 노즐 70 : 차단밸브부
80 : 순간연결유닛 92 : 고압호스

Claims (5)

  1. 결빙방지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부와,
    상기 저장탱크부에 저장되어 있는 결빙방지 액체를 고압으로 송출시키기 위한 펌핑부와,
    상기 저장탱크부에 저장되어 있는 결빙방지 액체를 고압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한 연결배관부와,
    상기 연결배관부와 연결되고 도로의 노면 상에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설치되되, 결빙방지 액체 살포위치에 적응적으로 설치되어 곡선부 도로에도 시공설치가 가능한 가요성 재질의 탄성체 고압호스로 구성된 살포배관부와,
    상기 살포배관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펌핑부에 의해 고압으로 송출되는 결빙방지 액체를 도로의 노면에 고압으로 살포하는 복수개의 노즐과,
    상기 살포배관부로의 유로를 차단하여 노즐을 통한 결빙방지 액체의 살포동작을 중지시키는 차단밸브부와,
    상기 펌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상기 차단밸브부에 의해 상기 살포배관부로의 유로가 차단되어 상기 노즐을 통한 결빙방지 액체의 살포동작이 중지되면, 상기 차단밸브부에 의해 상기 살포배관부로의 결빙방지 액체의 흐름이 차단된 상기 연결배관부 내의 상승되는 결빙방지 액체의 압력을 감지하여 그 압력이 일정 이상의 압력이 되면 상기 펌핑부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상기 연결배관부 내의 압력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부에 연통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순간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순간연결유닛에는 고압호스가 연결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압호스의 선단에는 고압살포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
KR1020080121827A 2008-12-03 2008-12-03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 KR101029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827A KR101029883B1 (ko) 2008-12-03 2008-12-03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827A KR101029883B1 (ko) 2008-12-03 2008-12-03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579A KR20090096579A (ko) 2009-09-11
KR101029883B1 true KR101029883B1 (ko) 2011-04-15

Family

ID=4129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827A KR101029883B1 (ko) 2008-12-03 2008-12-03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403A (ko) 2019-03-04 2020-09-14 신준하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788B1 (ko) * 2010-03-25 2010-06-24 이텍산업 주식회사 램프구간용 염수 살포시스템
KR101244928B1 (ko) * 2010-12-20 2013-03-18 종 화 이 광역화 다차선 도로의 액체 살포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557155B1 (ko) 2021-08-30 2023-07-18 임형택 도로용 자동 살포 시스템
KR102404672B1 (ko) 2021-08-30 2022-05-31 임형택 염수 살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3593A (ja) * 1988-12-26 1990-07-05 Nissei Build Kogyo Co Ltd 駐車場の融雪システム
JPH08193313A (ja) * 1995-01-13 1996-07-30 Kawamoto Seisakusho:Kk 消雪用ポンプ装置
JPH11323866A (ja) * 1998-05-15 1999-11-26 Taisei Rotec Corp 溶液散布装置
KR200384702Y1 (ko) 2005-02-14 2005-05-17 주식회사 텐코리아 도로 결빙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3593A (ja) * 1988-12-26 1990-07-05 Nissei Build Kogyo Co Ltd 駐車場の融雪システム
JPH08193313A (ja) * 1995-01-13 1996-07-30 Kawamoto Seisakusho:Kk 消雪用ポンプ装置
JPH11323866A (ja) * 1998-05-15 1999-11-26 Taisei Rotec Corp 溶液散布装置
KR200384702Y1 (ko) 2005-02-14 2005-05-17 주식회사 텐코리아 도로 결빙 방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403A (ko) 2019-03-04 2020-09-14 신준하 이동식 무펌프 분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579A (ko) 200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883B1 (ko)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
KR101594155B1 (ko) 도로 물청소 기능을 구비한 제설제 살포장치
KR100980361B1 (ko) 미세 각도로 정역회전이 가능한 융설액 분사장치
KR100939807B1 (ko) 제설시스템
KR101244928B1 (ko) 광역화 다차선 도로의 액체 살포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069229B1 (ko)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형 자동살포시스템
US9144814B2 (en) Snow-lutions
US20140182637A1 (en) Snow removing apparatus for a vehicle
KR200413443Y1 (ko) 염화칼슘용액 및 물 고압 살포차
KR102073513B1 (ko) 설치가 간편한 다기능 차선분리대용 살수시스템
KR101565568B1 (ko) 초산칼륨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액상 동결방지제 분사장치
KR101011998B1 (ko) 액상 제설재 살포장치
KR20040024698A (ko) 도로의 결빙방지용 융빙액 분사장치
KR101589095B1 (ko) 이동식 결빙방지제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빙 방지 시스템
KR101963377B1 (ko) 고온수를 이용한 제설 방법 및 장치
KR101031330B1 (ko) 액체 살포장치
KR101280979B1 (ko) 융설액 분사 경계블록 및 이를 포함한 융설액 분사 경계블록 시스템
CN206090433U (zh) 一种多功能洒水车
US20060204647A1 (en) De-icing system for driveways, walkways, sidewalks and other surfaces
CN207331598U (zh) 一种采用喷洒融雪剂的智能融雪除冰系统
CN205557433U (zh) 一种环保型除冰系统的管道内除冰液自动化回收装置
KR100965788B1 (ko) 램프구간용 염수 살포시스템
KR100720958B1 (ko) 램프구간용 염수 살포장치
KR101335661B1 (ko) 근접 펌프 구동형 액상 살포장치
KR20140132207A (ko) 원격제설 방재 및 다목적 물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