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260B1 - 다기능 스프링클러 - Google Patents

다기능 스프링클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260B1
KR101693260B1 KR1020160055330A KR20160055330A KR101693260B1 KR 101693260 B1 KR101693260 B1 KR 101693260B1 KR 1020160055330 A KR1020160055330 A KR 1020160055330A KR 20160055330 A KR20160055330 A KR 20160055330A KR 101693260 B1 KR101693260 B1 KR 101693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ilter
protrusion
sprinkler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미나
박대한
Original Assignee
(주)파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레인 filed Critical (주)파워레인
Priority to KR1020160055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28Centrifugal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러로 공급되는 액체의 수압에 의해 회전살수부가 회전되면서 액체를 사방으로 살포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급배관의 일측에 결합되는 스프링클러를 누구나 손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성의 일부분이 파손된 경우, 파손된 부품을 현장에서 용이하게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스프링클러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필터링 효과를 증진시켜 살수정밀도의 향상 및 장기간 사용을 가능케 하는 다기능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입니다.
본 발명은 농작물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동하는 공급배관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내측에 상기 공급배관으로부터 공급된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급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공급유로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필터설치홈이 형성된 연결바디; 상기 연결바디에 형성된 상기 필터설치홈의 내측에 수용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배관으로부터 공급된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그 필터부를 거쳐 유동하는 액체의 외부 유출을 제어하는 유출제어부; 상기 유출제어부가 관통되는 중공형 체결구가 상기 연결바디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수용구가 연결편체를 매개로 상기 체결구와 연결되게 형성된 분사부; 상기 체결구를 관통한 상기 유출제어부에 길이방향 일측이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구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유출제어부로부터 유출된 액체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액체를 흩뿌리는 회전살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스프링클러{MULTI-FUNCTIONAL SPRINKLER}
본 발명은 다기능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러로 공급되는 액체의 수압에 의해 회전살수부가 회전되면서 액체를 사방으로 살포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급배관의 일측에 결합되는 스프링클러를 누구나 손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성의 일부분이 파손된 경우, 파손된 부품을 현장에서 용이하게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스프링클러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필터링 효과를 증진시켜 살수정밀도의 향상 및 장기간 사용을 가능케 하는 다기능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밀감, 포도, 딸기 등 과수를 재배하는 과수원이나 상추, 시금치, 오이 등의 밭작물, 녹차등을 재배하는 하우스에서는 재배하고 있는 과수 및 밭작물의 병충해를 막기 위해 방제약을 살포하거나 또는 비료나 물을 살포하고 있다.
종래 과수의 병충해를 막기 위해 방제약을 살포하는 방제시설은 과수 근처에 과수의 키보다 큰 키를 갖는 살포용 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하고, 상기 각 살포용 파이프의 하단을 호스 또는 파이프로 연결시킨 다음 방제약을 펌핑 공급하는 수단으로 각 살포용 파이프의 상단에 부착된 노즐을 통해 사방으로 방제약을 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방제시설로 스프링클러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런 스프링클러는 가압펌프에 의해 송수되는 물, 약제, 액체 비료등을 노즐을 통해 일정 범위로 분무하는 장치이다. 특히 로터리형은 회전본체의 양단에 설치된 추진노즐에 의해 빙빙 돌면서 살포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에 적합하고, 이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로터리형 스프링클러는 송수관에 연결되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송수관을 거쳐 이음관으로 이동된 공급수를 외부로 살수하는 스프링클러헤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137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수관에서 공급되는 공급수가 일측 제1살수노즐로 분사되어 날개부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체를 타격하면서 주축을 기준하여 간헐 구동하면서 원수를 살수토록 하고, 타측 제2살수노즐은 동시에 회전하면서 원수를 살수토록 한 스프링클러에 있어서, 상기 제1,2살수노즐의 용수경유공은 하나 이상 다단으로 형성되고, 각 단의 연결면은 내향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살수노즐의 단부에 3/4 원호형으로 돌출형성되는 부채꼴 타입의 안내편으로 형성하여 원수의 공급압력이 저압에서도 살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철재로 구성되어 있어 구성이 무겁고, 설치시 결합도구가 필요하게 되며, 특히 스프링클러를 사용하는 중 상기 스프링클러헤드의 일부분이 파손되었을 경우 상기 스프링클러헤드 전체를 상기 이음관으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농민들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클러헤드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었을 경우 내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어 스프링클러의 살수 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된 액체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수압이 형성된 상태로 회전살수부로 분출되고, 분출된 액체에 의해 상기 회전살수부가 회전하면서 액체가 사방으로 비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살수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공급배관에서 공급된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의 필터링 효과를 증진시켜 살수정밀도의 향상 및 장기간 사용을 가능케 하는 다기능 스프링클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를 누구나 손쉽게 조립 및 분해 가능토록 하여 구성의 일부가 파손되어 파손된 부품을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나 필터부의 보수 및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현장에서 용이하게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 증진을 통한 스프링클러의 장기간 사용을 가능토록 하여 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가 비닐하우스의 천장이나 농작물 재배공간의 상측에 거꾸로 설치된 상태에서 일정량의 살수가 이루어진 후, 공급되는 액체의 중단시 공급배관에 남아 있는 액체가 스프링클러를 통해 작물로 낙하되는 낙수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돋아나는 새싹이나 성장중인 작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 필터링을 위한 필터체를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상광하협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되 다수개의 이물질걸림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물질이 상당량 누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프링클러의 장기간 사용을 가능케하고, 공급배관이 연결되는 연결바디에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 및 교체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작물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동하는 공급배관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내측에 상기 공급배관으로부터 공급된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급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공급유로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필터설치홈이 형성된 연결바디; 상기 연결바디에 형성된 상기 필터설치홈의 내측에 수용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배관으로부터 공급된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그 필터부를 거쳐 유동하는 액체의 외부 유출을 제어하는 유출제어부; 상기 유출제어부가 관통되는 중공형 체결구가 상기 연결바디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수용구가 연결편체를 매개로 상기 체결구와 연결되게 형성된 분사부; 상기 체결구를 관통한 상기 유출제어부에 길이방향 일측이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구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유출제어부로부터 유출된 액체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액체를 흩뿌리는 회전살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외주연이 상기 필터설치홈의 내주연에 면접되게 설치되는 링형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연결되는 상측이 개구된 상태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상광하협한 형상을 가지되 다수개의 이물질걸림공이 형성된 필터체와, 상기 필터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필터설치홈의 내주연에 면접되어 상기 필터설치홈으로 유입된 액체에 의한 상기 필터체의 요동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요동방지편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출제어부는, 상기 필터설치홈의 상측에 장착되되 내주연에 단턱이 형성된 중공형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단턱에 지지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측에 길이방향 일측이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되 길이방향 타측에 돌출차단구가 형성된 차폐부재와, 상기 돌출차단구의 관통을 위한 관통유로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장착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상기 차폐부재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는, 외주연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액체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모체구와, 상기 모체구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유로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재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돌출차단구와, 상기 모체구의 타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끼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차단구의 외주연에는 패킹설치홈이 형성되고, 그 패킹설치홈에는 상기 돌출차단구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패킹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살수부는, 상기 체결구를 바라보는 하측면이 중심부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원반형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상측면 중심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분사부의 수용구에 수용되는 수용돌기와, 상기 회전구의 하측면 중심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유출제어부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유출제어부의 장착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두갈래로 나누는 액체분배구와, 상기 액체분배구를 거친 액체에 의해 타격되어 상기 회전구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살수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된 액체가 스프링클러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수압이 형성된 상태뢰 회전살수부로 분출되어 먼 거리까지 용이한 비산이 이루어여 살수효과가 증진되는 효과가 있으며, 연결바디의 내측에 설치된 필터부에 의해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의 필터링 효과가 증진되어 살수정밀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프링클러를 누구나 손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어 스프링클러의 구성 일부가 파손되어 파손된 부품을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나 필터부의 보수 및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현장에서 용이하게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스프링클러의 사용성 증진을 통한 스프링클러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닐하우스의 천장이나 농작물 재배공간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공급되는 액체의 중단시, 공급배관에 남아 있는 액체가 스프링클러의 내부를 거쳐 지면의 작물로 낙하되는 낙수현상이 방지되어 새싹이나 성장중인 작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의 일부 절개상태를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의 정면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바디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출제어부의 분리 상태를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출제어부와 필터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살수부의 저면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살수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바디의 끼움결합구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출제어부와 필터부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의 일 실시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의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의 또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의 또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부', '하부', '선단',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의 일부 절개상태를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의 정면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바디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출제어부의 분리 상태를 분리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출제어부와 필터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살수부의 저면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살수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는 농작물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동하는 공급배관(10)에 연결되는 연결바디(100)와, 상기 연결바디(100)에 설치되는 필터부(200) 및 유출제어부(300)와, 상기 연결바디(100)에 체결되는 분사부(400)와, 상기 분사부(400)에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공급된 액체가 흩뿌려지도록 하는 회전살수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바디(100)는 농작물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동하는 상기 공급배관(10)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내측에 상기 공급배관(10)으로부터 공급된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급유로(111)가 마련되고, 상기 공급유로(111)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필터설치홈(1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바디(100)는 상기 공급유로(111)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공급배관(10)에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중공형 끼움결합구(110)와, 상기 끼움결합구(110)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공급유로(111)와 연통되는 상기 필터설치홈(121)이 내측에 형성되는 통체의 체결베이스(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결합구(110)는 일정길이를 갖는 중공형 봉체로써, 상기 공급배관(10)이 PE재질인 경우 그 공급배관(10)에 끼워진 후 수압에 의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이탈방지돌기(113)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급배관(10)의 선단에 너트와 같은 구성이 결합된 경우, 상기 공급배관의 선단에 구성된 너트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결합구(110)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체결베이스(120)는 상기 끼움결합구(110)의 선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 외측벽을 이루는 외벽체(122)와, 상기 외벽체(122)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필터설치홈(121)을 형성하는 내벽체(125)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필터설치홈(121)의 내경은 상기 끼움결합구(110)의 공급유로(111)의 내경 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필터설치홈(121)의 내측에는 후술되는 상기 필터부(200)가 수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체결베이스(120)의 외벽체(122)에는 상기 분사부(400)의 체결을 위한 일정길이의 체결공(123)이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필터부(200)는 상기 연결바디(100)에 형성된 상기 필터설치홈(121)의 내측에 수용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배관(10)으로부터 공급된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200)는 외주연이 상기 필터설치홈(121)의 내주연에 면접되게 설치되는 링형 지지구(210)와, 상기 지지구(210)에 연결되는 상측이 개구된 상태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상광하협한 형상을 가지되 다수개의 이물질걸림공(223)이 형성된 필터체(220)와, 상기 필터체(22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필터설치홈(121)의 내주연에 면접되어 상기 필터설치홈(121)으로 유입된 액체에 의한 상기 필터체(220)의 요동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요동방지편(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210)는 상기 필터설치홈(121)에 억지끼움될 수 있는 외경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구(210)의 외주연이 상기 필터설치홈(121)의 내주연에 면밀히 면접됨으로써 상기 필터체(220)가 상기 필터설치홈(121)에 위치하는 상태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체(220)는 상기 지지구(210)에 결합되는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된 통체 즉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측면에는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이물질 걸림공(223)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체(220)의 길이방향 타측 즉 하측면에는 상기 이물질 걸림공(223)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다수개의 미세통공(2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미세통공(221)이 형성된 상기 필터체(220)의 하측면 면적은 상기 공급유로(111)의 직경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공급유로(111)에서 배출된 액체가 상기 미세통공(221)을 통과하면서 일정한 수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후술되는 차폐부재(330)에 형성된 돌출차단구(333)의 용이한 타격을 통한 상기 차폐부재(330)의 승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액체가 후술되는 회전살수부(500)로의 이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요동방지편(230)은 상기 필터체(22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길이방향 일측단이 상기 지지구(210)에 연결된 상태로 타측단이 상기 필터체(22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필터설치홈(121)의 내주연에 면접됨으로써 상기 공급유로(111)에서 유입된 액체의 유동시 발생하는 수압에 의한 상기 필터체(220)의 요동을 방지하여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의 필터링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급유로(111)로부터 배출된 액체가 상기 필터부(200)를 통과하는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공급유로(111)에서 액체가 배출되면 상기 필터체(220)의 미세통공(221)을 통과한 액체는 일정한 수압이 형성되어 상기 차폐부재(330)의 돌출차단구(333)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차폐부재(330)를 승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미세통공(221)으로 유입되지 않는 액체는 상기 필터체(220)의 외주연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물질걸림공(223)을 통해 상기 필터체(22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차폐부재(330)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필터체(220)를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통체로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면적의 증가로 필터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물질의 상당량 누적을 통해 스프링클러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케 되고, 상기 지지구(210)와 요동방지편(230)으로 인해 수압에 의한 상기 필터체(220)의 요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할 수 있어 필터링 효과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200)가 상기 연결바디(10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청소 및 교체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출제어부(300)는 상기 필터부(200)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그 필터부를 거쳐 유동하는 액체의 외부 유출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유출제어부(300)는 상기 필터설치홈(121)의 상측에 장착되되 내주연에 단턱(313)이 형성된 중공형 장착부재(310)와, 상기 장착부재(31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단턱(313)에 지지되는 탄성스프링(320)과, 상기 탄성스프링(320)의 타측에 길이방향 일측이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되 길이방향 타측에 돌출차단구(333)가 형성된 차폐부재(330)와, 상기 돌출차단구(333)의 관통을 위한 관통유로공(34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장착부재(3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320)의 탄성에 의한 상기 차폐부재(330)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는 수용부재(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부재(310)는 상기 체결베이스(120)의 외벽체(122)와 내벽체(125)사이 공간부에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내벽체(125)가 끼움결합되는 끼움장착구(311)와, 상기 끼움장착구(311)의 길이방향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용지지구(315)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장착구(311)와 수용지지구(315)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끼움장착구(311)에 상기 단턱(3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턱(313)은 원반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중심부에 액체분출공(314)이 형성되는데, 상기 액체분출공(314)은 상기 미세통공(221)이 형성된 상기 필터체(220)의 하측면 면적과 갖거나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장착구(311)의 내측에는 상기 수용부재(340)가 수용되는데, 그 수용부재(340)가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걸림돌기(312)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스프링(320)은 상기 장착부재(310)의 끼움장착구(311) 내측에 수용되어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단턱(313)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상기 차폐부재(330)는 상기 끼움장착구(311)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탄성스프링(32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외주연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액체가이드홈(332)이 형성되는 모체구(331)와, 상기 모체구(331)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유로공(341)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재(34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돌출차단구(333)와, 상기 모체구(331)의 타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320)의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끼움구(3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체구(331)는 원반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기 탄성스프링(32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차단구(333)는 일정길이를 갖는 봉체로 후술되는 상기 수용부재(340)의 관통유로공(341)를 통과하여 외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돌출차단구(333)의 외주연에는 패킹설치홈(334)이 형성되고, 그 패킹설치홈에는 상기 돌출차단구(333)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패킹부재(336)가 설치된다.
상기 끼움구(335)는 상기 모체구(331)의 타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320)의 길이방향 타측에 억지끼움결합된다.
상기 수용부재(340)는 상기 장착부재(310)의 끼움장착구(311) 내측에 수용되어 그 끼움장착구(311)의 내주연에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312)로 인해 외부이탈이 방지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340)는 상기 끼움장착구(311)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차폐부재(330)를 수용하고, 일측면에 상기 차폐부재(330)의 돌출차단구(333)가 관통되는 상기 관통유로공(34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출제어부(300)의 조립상태를 간략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차폐부재(330)의 끼움구(335)를 상기 탄성스프링(320)에 끼움결합하고, 상기 돌출차단구(333)에 링 형상의 상기 패킹부재(336)를 설치한다.
이후, 상기 탄성스프링(320)을 상기 장착부재(310)의 끼움장착구(311) 내측 단턱(313)에 지지되게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재(340)를 상기 끼움장착구(311)의 내측에 설치하여 상기 차폐부재(330)를 수용하게 되면 상기 돌출차단구(333)가 상기 수용부재(340)의 관통유로공(34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재(340)를 상기 끼움장착구(311)의 내측으로 깊숙히 밀어넣어 상기 걸림돌기(312)에 걸림되게 함으로써 그 수용부재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320)에 일정한 탄성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340)가 상기 끼움장착구(311)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차폐부재(330)의 돌출차단구(333)가 상기 관통유로공(341) 외측으로 돌출시, 상기 돌출차단구(333)와 상기 관통유로공(341)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돌출차단구(333)에 설치되는 패킹부재(336)에 의해 밀폐된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320)의 탄성압에 의해 상기 패킹부재(336)의 밀폐가 더욱 면밀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유출제어부(300)는 상기 연결바디(100)에 조립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끼움장착구(311)에 상기 체결베이스(120)의 내벽체(125)가 끼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바디(100)에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유로공(341)을 통해 돌출된 상기 돌출차단구(333)는 상기 필터부(200)의 필터체(220)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사부(400)는 상기 유출제어부(300)가 관통되는 중공형 체결구(410)가 상기 연결바디(100)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구(41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수용구(430)가 연결편체(420)를 매개로 상기 체결구(410)와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410)는 상기 장착부재(310)를 수용하면서 상기 체결베이스(120)의 외벽체(122)와 내벽체(125)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구(410)의 외주연에는 상기 체결베이스(120)의 체결공(123)에 끼워지는 체결끼움편(411)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체(122)의 내주면에는 상기 체결공(123)에 끼워져 체결되는 상기 체결끼움편(411)의 체결을 가이드하는 돌출가이드편(124)이 "ㄱ"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용구(430)는 상기 체결구(410)를 바라보는 일측이 개구된 통체로 후술되는 회전살수부(500)의 타측이 수용된다.
상기 연결편체(420)는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단이 상기 체결구(410)와 수용구(430)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의 연결편체가 상호 마주보게 결합되어 "ㅁ"의 형상을 갖게 된다.
즉, 상기 연결편체(420)는 상측부(421)와 측면부(422), 하측부(423)로 이루어진 "ㄷ"형상을 갖는 구성으로, 상기 상측부(421)와 측면부(422)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진 경사면(425)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분사부(400)를 상기 연결바디(100)에 조립하는 상태를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분사부(400)의 체결구(410)에 상기 유출제어부(300)의 장착부재(310)가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체결구(410)를 상기 체결베이스(120)의 외벽체(122)와 내벽체(125)사이로 인입한다.
이때, 상기 체결구(410)에 형성된 체결끼움편(411)이 상기 체결베이스(120)에 형성된 돌출가이드편(124)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인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상기 분사부(400)를 회전시켜 상기 체결구(410)에 형성된 체결끼움편(411)이 상기 체결베이스(120)의 외벽체(122)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가이드편(124)에 가이드되어 상기 체결공(123)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체결을 완료하면 될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살수부(500)는 상기 체결구(410)를 관통한 상기 유출제어부(300)에 길이방향 일측이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구(43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유출제어부(300)로부터 유출된 액체에 의해 회전되어 유동된 액체를 흩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이 상기 유출제어부(300)의 장착부재와 상기 분사부(400)의 수용구(430)에 수용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출제어부(300)를 통과한 액체에 의해 회전되면서 그 액체를 살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살수부(500)는 상기 체결구(410)를 바라보는 하측면이 중심부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원반형 회전구(510)와, 상기 회전구(510)의 상측면 중심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분사부(400)의 수용구(430)에 수용되는 수용돌기(520)와, 상기 회전구(510)의 하측면 중심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유출제어부(300)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유출제어부(300)의 장착부재(310)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두 갈래로 나누는 액체분배구(530)와, 상기 액체분배구(530)를 거친 액체에 의해 타격되어 상기 회전구(5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살수체(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구(510)는 상기 수용돌기(520)가 형성되는 상측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체분배구(530)가 형성되는 하측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지는 것으로, 상기 장착부재(310)의 수용지지구(315)의 외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수용돌기(520)는 상기 회전구(510)의 상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원추형 형상으로 돌출되는 원추형돌출구(521)와 상기 원추형돌출구(521)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돌출연장구(52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용돌기(520)는 상기 수용구(430)의 내부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액체분배구(530)는 상기 회전구(510)의 하측면 중심부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연장돌출편(531)과, 상기 연장돌출편(531)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그 연장돌출편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편(533)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회전구(510)의 하측면을 바라보는 경우, "H"의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편(533)의 양측면은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회전구(510)방향으로 완만하게 상향 경사지는 라운드경사면(534)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회전살수부(500)의 액체분배구(530)가 상기 장착부재(310)의 수용지지구(315)의 내측에 수용시, 상기 연결편(533)이 상기 장착부재(310)에 형성되는 액체분출공(314)의 상측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액체분출공(314)을 통해 분출된 액체가 상기 연결편(533)의 라운드경사면(534)을 따라 두 갈래로 분기되는 것이다.
상기 액체분배구(530)의 연결편(533)에 의해 분기된 액체는 상기 회전구(510)의 하측면에 형성된 상기 살수체(540)를 타격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회전살수부(500)가 회전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그로 인해 액체가 사방으로 흩뿌려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살수체(540)는 상기 회전구(510)의 하측면 가장자리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평면상 직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상태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살수체(540)의 세 면 중, 경사진 면이 상기 연결편(533)의 라운드경사면(534)과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필터부(200)를 상기 연결바디(100)의 필터설치홈(121)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필터부(200)의 지지구(210)가 상기 필터설치홈(121)의 상측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필터체(220)의 하측면에 형성된 미세통공(221)이 상기 공급유로(111)와 마주보도록 설치한다.
상기 필터부(200)를 상기 필터설치홈(121)의 내측에 설치하게 되면, 상기 지지구(210)와 상기 요동방지편(230)에 의해 상기 필터부(200)의 필터체(220)가 액체의 유동에 따른 수압에 요동하지 않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유출제어부(300)를 상기 연결바디(100)의 체결베이스(120)에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끼움장착구(311)에 상기 체결베이스(120)의 내벽체(125)가 끼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바디(100)에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유로공(341)을 통해 돌출된 상기 돌출차단구(333)는 상기 필터부(200)의 필터체(220)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출제어부(300)를 상기 연결바디(100)에 설치하고 난 다음에는 상기 분사부(400)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분사부(400)를 상기 연결바디(100)에 조립하기 전에 상기 회전살수부(500)의 수용돌기(520)를 상기 분사부(400)의 수용구(430)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분사부(400)의 체결구(410)를 상기 연결바디(100)의 체결베이스(120)에 조립한다.
상기 분사부(400)의 체결구(410)를 상기 연결바디(100)의 체결베이스(120)에 조립하게 되면, 상기 유출제어부(300)의 장착부재(310)가 상기 체결베이스(1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데, 외부로 노추된 상기 체결베이스(120)의 수용지지구(315)에 상기 회전살수부(500)의 액체분배구(530)를 인입시켜 수용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의 조립이 완료되면 공급배관의 단부에 상기 연결바디(100)의 끼움결합구(110)를 끼워 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급배관의 단부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액체가 유동하는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공급배관(10)을 통해 상기 연결바디(100)의 공급유로(111)로 유입된 액체는 그 공급유로를 거쳐 상기 체결베이스(120)의 필터설치홈(121) 내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된 액체는 1차적으로 상기 필터체(220)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세통공(221)을 통과하여 일정한 수압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유출제어부(300)의 돌출차단구(333)를 타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차단구(333)를 타격하는 타격력이 상기 돌출차단구(333)가 형성된 차폐부재(330)에 결합된 상기 탄성스프링(320)의 탄성압보다 높은 경우, 상기 차폐부재(330)가 승강되면서 상기 수용부재(340)의 관통유로공(341)이 개방된다.
또한, 상기 미세통공(221)으로 유입되지 않은 일부 액체는 상기 필터체(220)의 외주연으로 유동하여 상기 필터체(220)에 형성된 이물질걸림공(223)을 거쳐 상기 관통유로공(341)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폐부재(330)의 초기 승강은 상기 미세통공(221)을 통과한 일정한 수압의 액체의 타격에 의해 승강하게 되고, 이후에는 상기 필터체(220)를 거친 액체의 수압에 의해 지속적으로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출제어부(300)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는 상기 장착부재(310)의 액체분출공(314)을 통해 분출되고, 분출된 액체는 상기 회전살수부(500)의 액체분배구(530)에 의해 분배되어 그 회전살수부의 회전에 의해 사방으로 살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급배관(10)을 통해 공급된 액체는 여러 구멍을 통과하면서 일정한 수압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회전살수부(500)로 분출되어 먼 거리까지 비산되어 살수의 효과가 배가 될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에서는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의 필터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간편한 분해 조립을 통해 누구나 손쉽게 유지 및 보수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공급배관(10)의 선단에 너트와 같은 구성이 결합된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바디(100)의 끼움결합구(110)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출제어부와 필터부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유출제어부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연결바디(100)에 끼워지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분사부(400)의 체결구(41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유출제어부의 내측에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200)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필터부(200)는 내부가 상기 연결바디(100)의 필터설치홈(121)방향을 바라보는 상태로 그 필터설치홈의 상측에 설치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유출제어부가 상기 필터부(20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연결바디(100)의 체결베이스(120) 내측에 설치된다.
한편,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는 그 설치장소의 특이성이나 사용목적 등 여러 다양한 상황에 따라 배관에 연결되게 설치됨으로서 사용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를 비닐하우스의 천장이나 농산물 재배공간의 상측에 거꾸로 설치하여 액체의 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프링클러는 공급되는 액체의 중단시 공급배관(10)에 남아 있는 액체가 스프링클러를 통해 작물로 낙하되는 낙수현상이 방지됨에 따라 이제 막 돋아나는 새싹이나 성장중인 작물의 잎이 낙수되는 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일정량의 액체 살수가 이루어진 후, 공급되는 액체의 중단시 상기 차폐부재(330)을 밀어올리는 수압의 저하로 인해 압축된 상태에 있던 상기 탄성스프링(320)이 신장되어 상기 차폐부재()가 수용부재(340)의 관통유로공(341)를 폐쇄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공급배관(10)에 잔존하는 액체가 스프링클러의 내부를 거쳐 지면방향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10: 공급배관 100: 연결바디
110: 끼움결합구 120: 체결베이스
200: 필터부 210: 지지구
220: 필터체 230: 요동방지편
300: 유출제어부 310: 장착부재
311: 끼움장착구 315: 수용지지구
320: 탄성스프링 330: 차폐부재
331: 모체구 333: 돌출차단구
335: 끼움구 336; 패킹부재
340: 수용부재 400: 분사부
410: 체결구 420: 연결편체
430: 수용구 500: 회전살수부
510: 회전구 520: 수용돌기
530: 액체분배구 540: 살수체

Claims (6)

  1. 농작물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동하는 공급배관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내측에 상기 공급배관으로부터 공급된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급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공급유로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필터설치홈이 형성된 연결바디;
    상기 연결바디에 형성된 상기 필터설치홈의 내측에 수용되게 설치되되 외주연이 상기 필터설치홈의 내주연에 면접되게 설치되는 링형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연결되는 상측이 개구된 상태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상광하협한 형상을 가지되 측면에는 다수개의 이물질걸림공이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상기 이물질걸림공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다수개의 미세통공이 형성된 필터체와, 상기 필터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필터설치홈의 내주연에 면접되어 상기 필터설치홈으로 유입된 액체에 의한 상기 필터체의 요동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요동방지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공급배관으로부터 공급된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거쳐 유동하는 액체의 외부 유출을 제어하도록 상기 필터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내주연에 단턱이 형성된 중공형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단턱에 지지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측에 길이방향 일측이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되 길이방향 타측에 돌출차단구가 형성된 차폐부재와, 상기 돌출차단구의 관통을 위한 관통유로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장착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상기 차폐부재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는 수용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필터부를 거쳐 유동하는 액체의 외부 유출을 제어하는 유출제어부;
    상기 유출제어부가 관통되는 중공형 체결구가 상기 연결바디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수용구가 연결편체를 매개로 상기 체결구와 연결되게 형성된 분사부; 상기 체결구를 관통한 상기 유출제어부에 길이방향 일측이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구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유출제어부로부터 유출된 액체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액체를 흩뿌리는 회전살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미세통공이 형성된 상기 필터체의 하측면 면적은 상기 공급유로의 직경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폐부재는 외주연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액체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모체구와, 상기 모체구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유로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재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돌출차단구와, 상기 모체구의 타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끼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돌출차단구의 외주연에는 패킹설치홈이 형성되고, 그 패킹설치홈에는 상기 돌출차단구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패킹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프링클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살수부는, 상기 체결구를 바라보는 하측면이 중심부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상향경지사게 형성된 원반형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상측면 중심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분사부의 수용구에 수용되는 수용돌기와, 상기 회전구의 하측면 중심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유출제어부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유출제어부의 장착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두갈래로 나누는 액체분배구와, 상기 액체분배구를 거친 액체에 의해 타격되어 상기 회전구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살수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프링클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55330A 2016-05-04 2016-05-04 다기능 스프링클러 KR101693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330A KR101693260B1 (ko) 2016-05-04 2016-05-04 다기능 스프링클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330A KR101693260B1 (ko) 2016-05-04 2016-05-04 다기능 스프링클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260B1 true KR101693260B1 (ko) 2017-01-06

Family

ID=5783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330A KR101693260B1 (ko) 2016-05-04 2016-05-04 다기능 스프링클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2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9108B2 (en) 2016-11-30 2019-09-03 Nelson Irrigation Corporation Sprinkler with modular components and pop up deflector
KR20200120111A (ko) 2019-04-11 2020-10-21 성경애 농작물용 액체비료 공급장치
KR20200121993A (ko) 2019-04-17 2020-10-27 성경애 소량 자동 공급을 위한 농작물용 액체비료 공급장치
KR102280817B1 (ko) * 2020-11-23 2021-07-26 (주)파워레인 조립성이 향상된 스프링클러 유닛
US11745207B2 (en) 2016-11-30 2023-09-05 Nelson Irrigation Corporation Sprinkler with modular components and pop up deflector with lug(s) for rotational engag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504Y1 (ko) * 1999-07-21 2000-02-15 김재일 농예용 스프링클러
KR200170505Y1 (ko) * 1999-07-21 2000-02-15 김재일 농예용 비닐하우스의 살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504Y1 (ko) * 1999-07-21 2000-02-15 김재일 농예용 스프링클러
KR200170505Y1 (ko) * 1999-07-21 2000-02-15 김재일 농예용 비닐하우스의 살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9108B2 (en) 2016-11-30 2019-09-03 Nelson Irrigation Corporation Sprinkler with modular components and pop up deflector
US11325147B2 (en) 2016-11-30 2022-05-10 Nelson Irrigation Corporation Sprinkler with modular components and pop-up deflector
US11745207B2 (en) 2016-11-30 2023-09-05 Nelson Irrigation Corporation Sprinkler with modular components and pop up deflector with lug(s) for rotational engagement
KR20200120111A (ko) 2019-04-11 2020-10-21 성경애 농작물용 액체비료 공급장치
KR20200121993A (ko) 2019-04-17 2020-10-27 성경애 소량 자동 공급을 위한 농작물용 액체비료 공급장치
KR102280817B1 (ko) * 2020-11-23 2021-07-26 (주)파워레인 조립성이 향상된 스프링클러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260B1 (ko) 다기능 스프링클러
US7597276B2 (en) Ultra low flow spray head
US10183302B2 (en) Micro fogging device and method
JP5237256B2 (ja) 低圧噴霧装置
KR200478546Y1 (ko) 식물재배용 회전 분출식 분수 호스
US5400967A (en) Pressure-compensated self-flushing dripper
JP3189781U (ja) 全方向散水機
KR102247842B1 (ko) 수경 및 토양 재배용 균일 물분사장치
KR101613309B1 (ko) 농업용 회전식 스프링쿨러
KR101096464B1 (ko) 농사용 살수방제 회전노즐
KR101917668B1 (ko) 관수 및 방제를 위한 농업용 스프링클러
KR102276493B1 (ko) 농업용 스프링클러
KR101416299B1 (ko) 낙수방지 및 압력보정 기능을 갖는 스프링클러
KR101917984B1 (ko) 농업용 액체 분무 노즐
KR101052269B1 (ko) 스프링클러
KR102017888B1 (ko) 방제용 회전살포노즐
KR101730789B1 (ko) 노즐의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농작물용 스프링클러
KR101052270B1 (ko) 스프링클러
KR101833296B1 (ko) 센서탑재형 회전분무노즐
KR102001131B1 (ko) 저속선회분무형 회전분무노즐
KR200289164Y1 (ko)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KR101715805B1 (ko) 스프링클러 배관용 퇴수밸브
KR20200106803A (ko)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클러
RU235007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брызгивания жидкости сжатым воздухом
KR102280817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스프링클러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