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164Y1 -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 Google Patents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164Y1
KR200289164Y1 KR2020020017237U KR20020017237U KR200289164Y1 KR 200289164 Y1 KR200289164 Y1 KR 200289164Y1 KR 2020020017237 U KR2020020017237 U KR 2020020017237U KR 20020017237 U KR20020017237 U KR 20020017237U KR 200289164 Y1 KR200289164 Y1 KR 200289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ter supply
supply pipe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면식
Original Assignee
김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면식 filed Critical 김면식
Priority to KR2020020017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1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164Y1/ko

Links

Landscapes

  • Nozz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파이프 내부가 소정의 압력으로 상승하였을 경우에만 노즐이 개방되어 약제나 물이 안개상태로 작물에 고르게 분사되고, 노즐이 소정의 압력에 미치지 않을 경우에는 노즐이 폐쇄되어 약제나 물이 노즐을 통해 흘러나와 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급수파이프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구멍을 형성하고 여기에 노즐조립체를 설치하여 저수조의 액을 펌프로 압송하여 상기 노즐조립체를 통해 분무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노즐조립체(10)는 급수파이프(1)의 절반을 덮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11)와, 이 결합부(11)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급수파이프(1)에 천공된 체결구멍(2)에 삽입되어 상단이 급수파이프 (1)내부에 위치하는 노즐관부(12)와, 이 노즐관부(12)에서 상기 결합부(11)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관부(13)와, 이 연장관부(13)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프링 (14)에 의해 밀려 막힌 상태를 유지하고 노즐관부(12)로부터 물이나 약제가 소정의 압력이상으로 공급될 때 개방되는 밸브(15)와, 상기 연장관부(13)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개방된 캡 너트(16)와, 이 캡 너트(16)의 내부에 삽입되고 노즐구멍(17a)이 형성된 노즐(17)로 이루어진 노즐몸체(10a)와; 상기 급수파이프(1)의 나머지 절반을 덮도록 결합부(18)가 형성된 체결구(10b)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 몸체(10a)와 체결구(10b)가 볼트(19a)와 너트(19b)에 의해 결합되어 급수파이프(1)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fog system for horticulture and live stock}
본 고안은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종 원예작물시설이나 축산시설 내의 온,습도조절 및 약제살포 또는 축사나 퇴비공장 등에서의 분진방지용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급수파이프 내부가 소정의 압력으로 상승하였을 경우에만 노즐이 개방되어 약제나 물이 안개상태로 작물에 고르게 분사되고, 노즐이 소정의 압력에 미치지 않을 경우에는 노즐이 폐쇄되어 약제나 물이 노즐을 통해 흘러나와 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노즐 내부에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밸브를 설치한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153393호로 방제장치의 노즐구조를 등록받은 바 있고, 또 이를 개량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50884호로 원예축산용 안개분무장치를 등록받은 바 있다.
한편, 전자는 종래 시설하우스나 축사 등에서 설치되어 사용되었던 방제장치의 노즐구조가 지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물에 농약을 희석하여 노즐로 분무하는 방지장치에서 분말농약을 사용할 때 분말농약에 의한 노즐막힘이 발생하지 않는 노즐구조를 제공한 것으로, 이는 저수조의 액을 펌프로 압송하여 급수파이프에 장착된 노즐을 통해 작물의 재배에 필요한 각종 성분을 분무하는 장치에 사용되고, 노즐관이 형성된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 하부에 설치되어 분사된 액을 분무시키는 반사판 및 상기 노즐 본체를 상기 급수파이프에 형성된 구멍에 맞추어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파이프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파이프의 내경안으로 신장되어 파이프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상기 노즐 본체의 노즐관의 상단은 적어도 파이프의 내경상부에 위치하도록 한 것과, 파이프의 내경 상부로 돌출된 노즐 본체의 신장부에는 수류의 상류쪽 면에 노즐관과 관통하는 측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물에 분사된 농약 분말은 고압의 물을 따라 노즐관을 통해 분사되어 반사판의 작용으로 분무되는 과정에서 노즐관 내에 침적되지 않으며, 농약살포작업이 종료된 후 파이프 내에 잔류하고 있던 농약분말도 파이프의 내경과 노즐관 사이에서 장벽으로 작용하는 노즐 본체의 신장부에 의해 노즐관 내에 침적되는 것이 차단되는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었다.
상기한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153393호에 있어서는, 파이프와 노즐 본체와의 사이에서 수밀이 완벽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파이프 내부에 고압이 걸리게 될 경우 액체가 노즐설치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어 효과적인 분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과, 반사판에서 반사된 액체가 다시 반사판의 중간부분에 부딪쳐 물방울로 맺혀 떨어지게 되어 약제의 낭비와 불균일한 분무상태가 되어 각종 원예작물의 균일한 생장과 발육에 지장을 주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장기간 사용시 분말농약과 각종 미세한 이물질이 노즐구멍 또는 노즐구멍 상단의 스트레이너를 막게 되어 노즐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의 또다른 실용신안등록 제250884호는 파이프와 노즐 본체와의 사이에서 완벽한 수밀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반사판에서 반사된 액체가 다시 반사판의 중간부분에 부딪쳐 물방울로 맺혀 떨어지게 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여 약제의 절약과 시설 내부 전체에 걸친 균일한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원예작물의 균일한 생장과 발육이 가능하도록 하고, 노즐의 장기간 사용시 분말농약과 각종 미세한 이물질에 의한 노즐구멍 또는 노즐구멍 상단의 스트레이너가 막히게 될 경우 이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급수파이프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구멍을 형성하고 여기에 노즐조립체를 설치하여 저수조의 액을 펌프로 압송하여 상기 노즐조립체의 노즐구멍을 통해 분무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노즐조립체는 급수파이프의 절반을 덮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급수파이프에 천공된 체결구멍에 삽입되어 상단이 급수파이프 내부에 위치하는 노즐관부와, 이 노즐관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노즐구멍과, 이 노즐구멍의 상단에 부착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노즐구멍의 하단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부딪치는 반사구가 형성되는 노즐 몸체와; 상기 급수파이프의 나머지 절반을 덮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의 중앙에는 걸이구멍이 형성된 체결구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몸체와 체결구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어 급수파이프에 고정되도록 한 원예·축산용 안개분무장치를 제공한 것으로, 상기 노즐 몸체의 노즐관부 외측에는 수밀용 오-링이 끼워져 급수파이프의 체결구멍과 결합부사이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구의 중간부는 반사구에 부딪힌 액체가 다시 부딪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칼날형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관부를 노즐 몸체와 분리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노즐구멍이 막혔을 경우 노즐관부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후자의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는 콤프레셔 등으로부터 급수파이프 내부로 양액 또는 물이 공급될 때, 급수파이프 내부의 압력조건에 상관없이 모든 노즐이 개방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저압상태에서 노즐을 통해 양액이나 물이 미세한 입자로 분무되지 않고 뚝뚝 흘러버리게 되어 작물로 공급되기 이전에 많은 양의 양액이나 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음은 물론, 이 저압상태에서는 양액이나 물 속의 미립자 또는 이물질이 노즐구멍이나 스트레이너 부분에 끼이게 되는 현상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게 됨으로써 안개분무장치의 정상적인 기능이 저하되어 유지보수가 까다로워지게 되고 그 수명도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분무장치의 초기작동시와 작업종료후 급수파이프내의 압력이 떨어진 경우 양액이나 물의 낭비와 더불어 막히게 미립자나 이물질에 의한 급수파이프와 노즐 및 스트레이너의 막힘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원예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시설이나 축산시설 내의 온,습도조절 및 약제살포 또는 축사나 퇴비공장 등에서의 분진방지용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는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를 제공하되, 급수파이프 내부가 소정의 압력으로 상승하였을 경우에만 노즐이 개방되어 약제나 물이 안개상태로 작물에 고르게 분사되고, 노즐이 소정의 압력에 미치지 않을 경우에는 노즐이 폐쇄되어 약제나 물이 노즐을 통해 흘러나와 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급수파이프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구멍을 형성하고 여기에 노즐조립체를 설치하여 저수조의 액을 펌프로 압송하여 상기 노즐조립체를 통해 분무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노즐조립체는 급수파이프의 절반을 덮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급수파이프에 천공된 체결구멍에 삽입되어 상단이 급수파이프 내부에 위치하는 노즐관부와, 이 노즐관부에서 상기 결합부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관부와, 이 연장관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프링에 의해 밀려 막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노즐관부로부터 물이나 약제가 소정의 압력이상으로 공급될 때 개방되는 밸브와, 상기 연장관부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개방된 캡 너트와, 이 캡 너트의 내부에 삽입되고 노즐구멍이 형성된 노즐로 이루어진 노즐몸체와; 상기 급수파이프의 나머지 절반을 덮도록 결합부가 형성된 체결구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 몸체와 체결구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어 급수파이프에 고정되도록 한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또, 상기 급수파이프의 말단에 압력상승시 폐쇄되고 압력저하시 개방되는 퇴수 밸브를 설치하여 급수파이프 내부가 소정의 압력으로 상승한 경우에는 닫히고, 그 전 및 후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잔여의 양액이나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안개분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안개분무장치의 노즐조립체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안개분무장치의 노즐조립체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안개분무장치의 노즐조립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안개분무장치의 노즐조립체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의 개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안개분무장치의 말단에 설치되는 밸브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안개분무장치의 말단에 설치되는 밸브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노즐조립체의 노즐의 일부절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노즐조립체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급수파이프 2 : 체결구멍
3 : 저수조 4 : 펌프
5 : 퇴수 밸브 10 : 노즐조립체
10a : 노즐몸체 10b : 체결구
11 : 결합부 12 : 노즐관부
13 : 연장관부 14 : 스프링
15 : 밸브 16 : 캡 너트
17 : 노즐 18 : 결합부
19a : 볼트 19b : 너트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안개분무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고안에 의한 안개분무장치의 분해 및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노즐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급수파이프(1)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구멍(2)을 형성하고 여기에 노즐조립체(10)를 설치하여 저수조(3)의 액을 펌프(4)로 압송하여 상기 노즐조립체(10)를 통해 분무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노즐조립체(10)는 급수파이프(1)의 절반을 덮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11)와, 이 결합부(11)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급수파이프(1)에 천공된 체결구멍(2)에 삽입되어 상단이 급수파이프(1)내부에 위치하는 노즐관부(12)와, 이 노즐관부(12)에서 상기 결합부(11)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관부(13)와, 이 연장관부(13)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프링(14)에 의해 밀려 막힌 상태를 유지하고 노즐관부(12)로부터 물이나 약제가 소정의 압력이상으로 공급될 때 개방되는 밸브(15)와, 상기 연장관부(13)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개방된 캡 너트(16)와, 이 캡 너트(16)의 내부에 삽입되고 노즐구멍(17a)이 형성된 노즐(17)로 이루어진 노즐몸체(10a)와; 상기 급수파이프(1)의 나머지 절반을 덮도록 결합부(18)가 형성된 체결구(10b)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 몸체(10a)와 체결구(10b)가 볼트(19a)와 너트(19b)에 의해 결합되어 급수파이프(1)에 고정되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도면중 부호 5는 급수파이프(1)의 말단에 설치된 퇴수 밸브이고, 부호 6은 반사구이며, 부호 20은 스트레이너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안개분무장치의 노즐조립체(10)내부에 설치되는 밸브(15)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급수파이프(1)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스프링(14)에 의해 상부로 밀려 노즐관부(12)를 막고 있던 밸브(15)가 하방으로 눌리게 되면서 노즐관부(12)가 개방되어 양액 또는 물이 분사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급수파이프(1)내의 압력이 저하되어 수압보다 스프링(14)의 힘이 커지게 되면 밸브(15)는 상방으로 밀려 다시 닫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안개분무장치의 말단에 설치되는 퇴수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안개분무장치의 말단에 설치되는 퇴수 밸브의폐쇄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파이프(1)의 말단에 설치된 퇴수 밸브(5)는 상기한 노즐조립체(10)에 설치된 밸브(15)와는 반대로 급수파이프(1)내부의 압력상승시에는 폐쇄되고 압력저하시에는 개방되도록 되어 있어 급수파이프 (1)내부가 소정의 압력으로 상승한 경우에는 닫히고, 그 전 및 후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급수파이프(1)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의 양액이나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부호 51은 밸브 몸체이고, 52는 밸브, 53은 스프링, 54 및 55는 각각 밸브 몸체(51)의 양쪽에 끼워지는 이탈방지구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노즐조립체의 노즐의 일부절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대부분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노즐조립체(10)와 같으나, 세라믹 소재로 제작한 납작한 노즐(17)의 위에 동일한 소재로 제작되어지되 그 양측에 구멍(42)이 형성되고 이 구멍(42)으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된 홈(44)을 갖는 또하나의 납작한 노즐(40)이 겹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바, 이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반사구(6)를 노즐조립체(10)의 하단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상부의 노즐(40)에서 양액이나 물이 회전력을 갖도록 안내되어 하부의 노즐(17)중앙에 천공된 노즐구멍(17a)으로 분사됨으로써 넓은 구역으로 물이나 양액이 광폭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노즐(17)자체에서 양액이나 물이 확산되어 분사되므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반사구(6)는 없어도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노즐조립체(10)하부의 연장관부(13)를 좌,우 양쪽으로 분기시켜 양방향으로 양액이나 물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작물의 엽면살포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는 부분 및 부호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고안과 동일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축사나 각종 원예시설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될 경우 노즐구멍 (17a)에서 분사된 물이나 액제가 반사구(15)에 부딪치면서 미세한 입자로 변하여 안개상태로 분무되어 넓은 구역을 효과적으로 분무할 수 있으며, 원예작물의 경우에 비료나 영양제, 미네랄 등을 엽면살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축사 등의 경우에는 안개분무로 구석구석까지 소독을 하거나 지하수를 분사할 경우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액제가 안개상태로 분무되므로 공기중에 잔류하는 시간이 길어 시설 내부를 밀폐시킬 경우 살균 및 소독효과가 향상되고, 노즐구멍의 선단은 급수파이프 내부에 위치하므로 액체에 녹아있는 분말입자나 기타 이물질이 스트레이너를 막거나 노즐구멍을 막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고장이 없고 정상적인 노즐의 기능을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어 이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노즐구멍은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노즐구멍이 확장되어 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시설 내에서 수분 또는 양액이나 약제를 안개상태로 하여 균일하고 넓게 분무시킬 수 있어 각종 원예작물 또는 축산물의 소독과 생육 및 성장을 촉진할 수 있으며, 급수파이프 내부가 소정의 압력으로 상승하였을 경우에만 노즐이 개방되어 약제나 물이 안개상태로 작물에 고르게 분사되고, 노즐이 소정의 압력에 미치지 않을 경우에는 노즐이 폐쇄되어 약제나 물이 노즐을 통해 흘러나와 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본 고안에 의하면 막힘 등 고장의 발생이 없고 물과 양액의 낭비가 없는 실용적인 원예 축산용의 안개분무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4)

  1. 급수파이프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구멍을 형성하고 여기에 노즐조립체를 설치하여 저수조의 액을 펌프로 압송하여 상기 노즐조립체를 통해 분무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노즐조립체(10)는 급수파이프(1)의 절반을 덮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11)와, 이 결합부(11)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급수파이프(1)에 천공된 체결구멍(2)에 삽입되어 상단이 급수파이프(1)내부에 위치하는 노즐관부(12)와, 이 노즐관부(12)에서 상기 결합부(11)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관부(13)와, 이 연장관부(13)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프링(14)에 의해 밀려 막힌 상태를 유지하고 노즐관부(12)로부터 물이나 약제가 소정의 압력이상으로 공급될 때 개방되는 밸브(15)와, 상기 연장관부(13)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개방된 캡 너트(16)와, 이 캡 너트(16)의 내부에 삽입되고 노즐구멍(17a)이 형성된 노즐(17)로 이루어진 노즐몸체(10a)와; 상기 급수파이프(1)의 나머지 절반을 덮도록 결합부(18)가 형성된 체결구(10b)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 몸체(10a)와 체결구(10b)가 볼트(19a)와 너트(19b)에 의해 결합되어 급수파이프(1)에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파이프(1)의 말단에는 급수파이프(1)내부의 압력상승시에는 폐쇄되고 압력저하시에는 개방되는 퇴수 밸브(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17)의 위에는 양측에 구멍(42)이 형성되고 이 구멍(42)으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된 홈(44)을 갖는 또하나의 납작한 노즐(40)이 겹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부(13)는 좌,우 양쪽으로 분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KR2020020017237U 2002-06-05 2002-06-05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KR200289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237U KR200289164Y1 (ko) 2002-06-05 2002-06-05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237U KR200289164Y1 (ko) 2002-06-05 2002-06-05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164Y1 true KR200289164Y1 (ko) 2002-09-13

Family

ID=7312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237U KR200289164Y1 (ko) 2002-06-05 2002-06-05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16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223B1 (ko) 2010-02-26 2012-08-29 문미나 안개분무용 스프링클러
KR20190020236A (ko) * 2017-08-18 2019-02-28 형정문 하우스용 분사장치
KR102031514B1 (ko) 2019-03-15 2019-11-08 손영수 농업용 분무장치
KR20210133612A (ko) * 2020-04-29 2021-11-08 김일웅 가축용 체온조절장치
KR20220161862A (ko) 2021-05-31 2022-12-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혼합 방식의 이류체 노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223B1 (ko) 2010-02-26 2012-08-29 문미나 안개분무용 스프링클러
KR20190020236A (ko) * 2017-08-18 2019-02-28 형정문 하우스용 분사장치
CN109392402A (zh) * 2017-08-18 2019-03-01 金才根 温室大棚喷洒装置
KR101991362B1 (ko) * 2017-08-18 2019-06-21 김재근 하우스용 분사장치
KR102031514B1 (ko) 2019-03-15 2019-11-08 손영수 농업용 분무장치
KR20210133612A (ko) * 2020-04-29 2021-11-08 김일웅 가축용 체온조절장치
KR102403523B1 (ko) * 2020-04-29 2022-05-30 김일웅 가축용 체온조절장치
KR20220161862A (ko) 2021-05-31 2022-12-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혼합 방식의 이류체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168B1 (ko) 저압분무장치
KR100770368B1 (ko)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KR102532835B1 (ko) 식물 재배실의 방제 장치
KR102087803B1 (ko) 과수목 무인 방제용 설치구조물 및 그 설치구조물을 이용한 방제방법
CN108323412B (zh) 农业种植用灌溉装置
US20180177154A1 (en) Water Bowl Connectable to Drip Irrigation System and Emitter Therefor
US20230086006A1 (en) Sub-surface soil irrigation
KR101693260B1 (ko) 다기능 스프링클러
KR200289164Y1 (ko)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KR200485967Y1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101917984B1 (ko) 농업용 액체 분무 노즐
KR20190133452A (ko)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KR200250884Y1 (ko)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CN114097589B (zh) 一种基于作物需水量测量的自动灌溉控制方法及控制系统
KR101730789B1 (ko) 노즐의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농작물용 스프링클러
US20200187434A1 (en) Drip and Bubbler Irrigation Releasing Device and Method
KR20170081545A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20100059399A (ko) 스프링클러
CN211185156U (zh) 一种农业大棚水肥药一体化系统
US8544495B1 (en) Dispenser for liquid and/or solid chemicals
US20220290414A1 (en) Water resources utilization structure
KR200170505Y1 (ko) 농예용 비닐하우스의 살수장치
CN218389457U (zh) 一种用于园林病虫防害喷药装置
KR101715805B1 (ko) 스프링클러 배관용 퇴수밸브
KR101833296B1 (ko) 센서탑재형 회전분무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