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542A - 실리콘 함유 폴리머를 이용한 활성 물질의 방출 - Google Patents

실리콘 함유 폴리머를 이용한 활성 물질의 방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542A
KR20190132542A KR1020197033589A KR20197033589A KR20190132542A KR 20190132542 A KR20190132542 A KR 20190132542A KR 1020197033589 A KR1020197033589 A KR 1020197033589A KR 20197033589 A KR20197033589 A KR 20197033589A KR 20190132542 A KR20190132542 A KR 20190132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substance
active material
group
branched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케 프리츠-랑할스
Original Assignee
와커 헤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커 헤미 아게 filed Critical 와커 헤미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132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5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6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77/2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nitrogen-containing gro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함유 폴리머 (P) 및 활성 물질 (A)을 포함하는 조성물 (C)을 함유한 성형체 (S)를 물과 혼합하고, 상기 조성물 (C)에 의해 활성 물질 (A)이 방출되며, 상기 실리콘-함유 폴리머 (P)가 일반식 I의 하나 이상의 실록산 유닛을 포함하고, 일반식 II의 실록산 유닛을 포함하지 않거나, 하나 이상 포함하는, 활성 물질 (A)을 방출시키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활성 물질 (A)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체 (S), 및 실리콘-함유 폴리머 (P)를 활성 물질 (A)과 혼합하고, 형성된 혼합물을 증발시키는, 성형체 (S)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R 1 b (X) c SiO [4-(b+c)] / 2 (I),
R 2 a SiO (4-a)/ 2 (II),
상기 식에서, R 1 , R 2 , X, a, bc는 제1항에서 정의되는 바와 동일하게 정의된다.

Description

실리콘 함유 폴리머를 이용한 활성 물질의 방출
본 발명은, 실리콘-함유 폴리머 (P) 및 활성 물질 (A)을 포함하는 조성물 (C)을 함유한 성형체 (S)를 물과 혼합하여, 조성물 (C)로부터 활성 물질 (A)을 방출시키는, 활성 물질 (A)의 방출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활성 물질 (A), 성형체 (S), 및 성형체 (S)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활성 물질은 대부분의 다양한 분야, 특히 의학 및 약학, 코스메틱, 농업 및 생물공학 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들 물질의 작용은 함량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함량이 매우 많으면, 부적절한 부작용의 강화가 종종 발생한다. 함량이 매우 적으면, 작용이 약하거나 또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활성 물질을 직접 투여하면, 대게는 활성 물질의 농도가 처음 부적절하게 높지만, 이후 후속적인 프로세스, 예를 들어 대사 공정 또는 희석을 통해 농도가 빠르게 감소한다. 이런 이유로, 활성 물질을 장기간에 걸쳐 가능한 균일하게 방출할 수 있다면 상당히 유용할 것이다. 이런 방식은 또한 제어 방출 (controlled release)로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활성 물질 방출에 대한 또 다른 긍정적인 측면은 활성 물질을 훨씬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과도한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활성 물질의 제어 방출에 사용되는 매트릭스는 활성 물질이 방출될 수 있는 폴리머 물질을 포함한다.
활성 물질의 제어 방출이 축축한 또는 수분 함유 매질과의 접촉을 통해, 예를 들어, 농업 용도의 경우에는 토양에서, 또는 약학 및 의학의 경우에는 체액과의 접촉을 통해 체내에서 또는 땀을 통한 피부 표면 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대체적으로 바람직하다. 활성 물질의 방출은 축축한 또는 수성 환경에서의 폴리머의 수 투과성에 의존한다 (R. Po, J. Macromolec. Sc. C, Rev. Macromol. Chem. Phys., C34, S. 650, 1994). 사용되는 폴리머의 예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또는 소듐 아크릴레이트 및 전분으로부터 유래된 코폴리머가 있다. 그러나, 이들 폴리머 물질의 문제는, 이 물질들이 팽윤 과정 중에 점차 용해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체로 수 불용성이고, 상기한 단점이 없는 물질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기반의 폴리머는 종종 활성 물질의 매트릭스로서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다. 실리콘-함유 폴리머의 이점은 이의 높은 생체적합성, 화학적 불활성 및 수성 매질에 대한 불용성이다. 실리콘-함유 폴리머는 취성이 낮고, 일부 경우에는 가소적으로 변형가능한 또 다른 이점도 있으며, 이는 특히 피부 사용에 유리하다. 실리콘 기반의 물질이 높은 기체 투과성으로 인해 특히 적합한 상기한 용도에서는, 증가된 기체 통과성 (perviousness) 역시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활성 물질에 대한 비히클로서 실리콘을 사용하려는 시도는 이미 행해진 바 있다. 그러나, J. Controlled Release 1990, 12, 121-132에 언급된 바와 같이, 활성 물질은 지금까지 알려진 시스템에서 실리콘 매트릭스 내에 입자 형태로 존재하여야 한다. 활성 물질의 방출은, 활성 물질이 수성 환경으로 방출될 수 있는 포어 또는 채널을 실리콘 폴리머에 형성시키는, 수 팽윤성 활성 물질에 기반한다.
이 방식의 문제점은, 매트릭스로부터 활성 물질의 제어 방출이 수 존재 하에 사용되는 활성 물질의 팽윤 용량에 의존하므로, 따라서 한정된 수준까지만, 예를 들어, 활성 물질 입자의 크기를 통해서만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US 2013/0172419에서는, 순수한 실리콘 물질로부터 활성 물질의 방출이 임의의 상당한 정도로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US 2013/0172419는, 수용액으로부터 활성 물질을 흡수하여 이를 다시 수성 매질로 균일하게 방출할 수 있는, 이온성 페닐 설포네이트 모어어티를 가진 실리콘 폴리머 유래의 복합 재료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재료의 제조 방법이 다단계 공정이어서, 비용이 많이 들고, 특히 처리 공정 중에 제거해야 하는 독성 시약 (α-메틸스티렌, 클로로설폰산)이 과량 사용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
특히 의학적인 용도에서는, 이러한 오염물질을 반드시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또한, 이오노머 실리콘 그 자체로는 충분히 강하지 않기 때문에, 재료에 실리케이트 구조를 포함하는 복합 시스템이 반드시 필수적이다. 그러나, 실리케이트 보강은 제어 방출 능력에 불리한 감소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실리콘-함유 폴리머 (P) 및 활성 물질 (A)을 포함하는 조성물 (C)을 함유한 성형체 (S)를 물과 혼합하여 조성물 (C)로부터 활성 물질 (A)을 방출시키는, 활성 물질 (A)의 방출 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활성 물질 (A)에 관한 것으로서, 실리콘-함유 폴리머 (P)는 일반식 I의 하나 이상의 실록산 유닛을 포함하고, 일반식 II의 실록산 유닛을 포함하지 않거나, 하나 이상 포함한다:
R 1 b (X) c SiO [4-(b+c)] / 2 (I),
R 2 a SiO (4-a)/ 2 (II),
상기 식에서,
R 1 R 2 는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비-분지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탄소수 1-20의 알킬 기, 또는 아릴 기, 또는 아랄킬 기이고, 각각의 비-인접 메틸렌 유닛은 -O-, -CO-, -COO-, -OCO-, -OCOO-, -S- 또는 NR x 기에 의해, 또는 일반식 식 (-O-CH2-CHR 3 -) d 의 옥시알킬렌 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R 3 는 수소 또는 알킬이고,
R x 는 수소 또는 -CN 및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X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유닛을 가진 라디칼로서, 탄소 원자를 통해 실리콘 원자에 부착되며, 일반식 -Y-NR 4 -(CH 2 ) e -CR 5 R 6 -COOM으로 표시되는 라디칼이고,
M은 수소, 금속 또는 암모늄 모이어티 NR 10 4 +이고,
R 10 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C1-C12 알킬, 아릴 또는 아랄킬이고,
R 4 는 수소이거나, 또는 직쇄, 분지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탄소수 1-20의 알킬 기 또는 아릴 기 또는 아랄킬 기이되, 각각의 비-인접 메틸렌 유닛은 -O-, -CO-, -COO-, -OCO-, -OCOO-, -S- 또는 NR x 기에 의해 또는 일반식 (-O-CH2-CHR 3 -) d 의 옥시알킬렌 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R 5 R 6 는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직쇄, 분지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탄소수 1-20의 알킬 기 또는 아릴 기 또는 아랄킬 기이되, 각각의 비-인접 메틸렌 유닛은 -O-, -CO-, -COO-, -OCO-, -OCOO-, -S- 또는 NR x 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이때 R 5 또는 R 6 R 4 에 부착될 수 있으며,
Y는 탄소 원자를 통해 오가노실리콘 화합물에 부착된, 직쇄, 분지형, 고리형, 포화된 또는 모노불포화된 또는 고도불포화된 C1 - C100 알킬렌 라디칼이되, 각각의 탄소 원자는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될 수 있으며,
a는 0, 1, 2 또는 3이고,
b는 0, 1 또는 2이고,
c는 1, 2 또는 3이고,
d는 1-100의 정수이고,
b+c는 1, 2, 3 또는 4이고,
f 0-50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리콘-함유 폴리머 (P) 및 활성 물질 (A)을 포함하는 조성물 (C)을 함유한 성형체 (S)에 관한 것이다.
아미노산 모이어티를 가진 실리콘-함유 폴리머 (P)가 활성 물질 (A)의 제어 방출 (제어 방출 공정)을 위한 고체 비히클 물질로서 매우 적합하고, 전술한 문제들이 없다는 것을, 놀랍게도 알게 되었다. 특히, 실리콘-함유 폴리머 (P)는 놀랍게도 제어 방출 공정에 유익한 양호한 수 투과성을 나타낸다. 이는, 조성물 (C)이 물 첨가시 제어된 방식으로 활성 물질 (A)을 방출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의 추가적인 이점은 무독성하며 생체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아미노산을 폴리머 고체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리콘-함유 폴리머 (P)는 바람직하게는 20℃ 및 1 bar에서 고체이다.
특히, 실리콘-함유 폴리머 (P)는 -10℃ 내지 50℃의 범위 및 1 bar에서 고체이다.
아미노산 모이어티 -Y-NR 4 -(CH 2 ) e - CR 5 R 6 - COOM은 다양한 양성자화 (protonation)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카르복시산 모이어티는 유리 카르복시산 또는 카르복실레이트 염으로서 존재하거나, 또는 이 둘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아미노 모이어티는 유리 아미노 기로서 또는 양성자화된 형태로 암모늄 모이어티로서 또는 이 둘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R 1 R 2 는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비-분지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탄소수 1-6의 알킬 기 또는 벤질 기 또는 페닐 기이되, 비-인접한 메틸렌 유닛은 질소 원자 또는 산소 원자 또는 일반식 (-O-CH2-CHR 3 -) d 의 옥시알킬렌 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라디칼 R 3 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이며, 특히 메틸이다.
R x 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비-치환된 C1-C6 탄화수소 라디칼이다.
M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고, 더 바람직하게 알칼리 금속, 특히 바람직하게는 소듐 또는 포타슘, 또는 암모늄 모이어티이다.
R 10 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C1-C4 알킬이다.
R 4 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이거나, 또는 직쇄, 분지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탄소수 1-10의 알킬 기 또는 벤질 기 또는 페닐 기이되, 비-인접한 메틸렌 유닛은 질소 원자 또는 산소 원자 또는 일반식 (-O-CH2-CHR 3 -) d 의 옥시알킬렌 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R 4 는 더 바람직하게 C1-C6 알킬 기이고, 여기서 메틸렌 유닛은 일반식 -O-(CH2-CHR 3 -) d 의 옥시알킬렌 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라디칼 R 3 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특히 메틸이다.
R 5 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이고, R 6 는 수소이거나, 또는 직쇄, 분지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탄소수 1-10의 알킬 기 또는 아릴 기 또는 아랄킬 기이고, 여기서 각각의 비-인접한 메틸렌 유닛은 -O-, -CO-, -COO-, -OCO-, -OCOO-, -S- 또는 NR x 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특히, R 5 는 수소이고, R 6 는 수소이거나, 또는
-CH3, -CH(CH3)2, -CH2-CH(CH3)2, -CH(CH3)-CH2-CH3, -CH2-OH,
-CH2-CH2-OH, -CHOH-CH3, -CH2-SH, -CH2-S-S-CH2-CH(NH2)COOH, -CH2-CH2-S-CH3, -CH2-CH2-CONH2, -CH2-CONH2, CH2-CH2-COOH, CH2-COOH, -CH2-CH2-CH2-NH-CO-NH2, -CH2-페닐, -CH2-(4-하이드록시페닐), -CH2-CH2-CH2-CH2-NH2, -CH2-CH2-CH2-NH2, -CH2-CH2-CH2-NH-C(=NH)-NH2, 또는 -CH2-(4-이미다졸릴), -CH2-(3-인돌릴)이다.
R 4 R 5 또는 R 6 에 부착된다면, 이들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알킬렌 라디칼, 특히 탄소수 1-6의 알킬렌 라디칼에 의해 연결된다.
Y는 바람직하게는 직쇄 또는 분지형의, 포화된 C1 - C20 알킬렌 라디칼이며, 각각의 탄소 원자는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Y는 모이어티 (Z) e -CR 7 (OH)- CR 8 R 9 이다.
Z는 바람직하게는 오가노실리콘 화합물에 탄소 원자를 통해 결합된 직쇄, 분지형, 고리형, 포화 또는 모노불포화 또는 고도불포화된 C1 - C100의 알킬렌 라디칼이고, 각각의 탄소 원자는 산소 원자로 치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Z는 일반식 -CH2-CH2-CH2-O-(CH2-CHR 11 -O) f -CH2의 옥시알킬렌 라디칼이고, 여기서 라디칼 R 11 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 특히 메틸이고, f는 0-100의 값이고, 바람직하게는 0-50, 더 바람직하게 0이다.
라디칼 R 7 , R 8 R 9 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C1 - C6의 직쇄 알킬 기이고, 더 바람직하게 수소 또는 C1 - C3의 직쇄 알킬 기이다.
라디칼 R 8 R 9 은 또한 서로, 그리고 알킬렌 라디칼 또는 산소를 통해 모이어티 Z에 결합될 수 있다.
d f는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0-50, 더 바람직하게 0-10,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가장 바람직하게는 0-3이다.
e는 바람직하게는 0-10,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가장 바람직하게는 0-3이다.
활성 물질 (A)의 제어 방출을 위해 사용되는 실리콘 폴리머 (P)는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반응을 수행하여 아미노산을 실리콘에 결합시킬 수 있다:
(a) 에폭시-관능화된 실록산에 아미노산의 아미노 기의 첨가 반응,
(b) 비닐 실록산에 티올 모이어티를 함유한 아미노산의 첨가 반응,
(c) 아미노산의 아미노 기에 의한 클로로알킬-관능화된 실록산의 친핵성 치환 반응,
(d) 무수물-관능화된 실록산과 아미노산의 반응.
바람직한 결합 방법은, 아미노산의 아미노 기가 실리콘 폴리머에 존재하는 에폭사이드 모이어티에 첨가되는, 옵션 (a)이다. 이중 첨가 (double addition) 반응도 가능하며, 즉 존재하는 아미노 기 당 2개의 실리콘 라디칼이 결합할 수도 있다. 만일 아미노 기에 염기성 질소-함유 기가 1개 보다 많이 존재한다면, 이는 동일한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으며, 즉 존재하는 아미노 기 각각에 실록산 라디칼 총 2개가 결합할 수 있다.
실록산 유닛 및 아미노산 유닛은 여러가지 다른 배열 (arrangement)로 존재할 수 있다. 라이신을 예를 들어 그 예를 아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활성 물질 (A)을 방출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실리콘-함유 폴리머 (P)은 부가적인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균질한 또는 비-균질한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공유적으로 또는 수소 결합을 통해 폴리머 (P)에 결합할 수 있거나, 또는 전혀 결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리콘-함유 폴리머 (P)는 추가의 폴리머를 일반식 I 및 II의 실록산 유닛 100 중량부 당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상 - 95 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더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상 - 50 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상 - 30 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포함한다.
실리콘-함유 폴리머 (P)는 일반식 I의 실록산 유닛 하나 이상과 일반식 II의 실록산 유닛이 없거나, 하나 이상인 블록, 및 상기 실록산 유닛으로 된 블록 사이에 삽입된(interrupted) 유기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블록은 실록산 유닛으로 된 블록에, 예를 들어 우레아 모이어티, 우레탄 모이어티 또는 에스테르 모이어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유기 블록의 비율은 일반식 I 및 II의 실록산 유닛 100 중량부 당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 이상 - 300 중량부 이하, 더 바람직하게 30 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이다.
활성 물질 (A)의 제어 방출을 위해 사용되는 폴리머 (P)는 가교 또는 비-가교될 수 있다.
조성물 (C)는 고체로서 또는 용해된 형태로 존재하는 추가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고체의 예는 충전제, 예를 들어 콜로이드형 실리카, 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또는 탄소계 충전제, 예를 들어 카본 블랙이 있다.
또한, 조성물 (C)은 첨가제로서 액체 또는 액체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활성 물질 (A)의 방출을 가속화하거나 또는 낮출 수 있다.
액체 첨가제의 비율은 일반식 I 및 II의 실록산 유닛 100 중량부 당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이상 - 1000 중량부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이상 - 100 중량부 이하, 특히 1 중량부 이상 - 10 중량부 이하이다.
바람직한 액체 첨가제는 물, 유기 액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예를 들어, 추가의 실록산, 에스테르, 1가 알코올, 다가 알코올, 에테르, 탄화수소가 있다.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 (A)의 방출은 예를 들어 조성물 (C)과 축축한 물질 및 표면 또는 수용액과의 접촉을 통해 또는 기체상을 통한 수분 노출을 통해 이루어진다.
성형체 (A) 내부에는 수분-함유 매질과 조성물 (C) 사이에 액체 또는 기체 형태로 물의 이동을 허용하는, 추가의 층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들 층을 통한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물 이동은 포어 또는 채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성형체 (S)의 예는 과립, 스틱, 플레이크, 필름, 공동이 존재하는 물질, 예를 들어, 멤브레인, 폼 (foam) 또는 벌집형 구조가 있다.
본원의 맥락에서 활성 물질 (A)은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다.
이러한 것으로는 약물 물질 (약제학적 활성 성분), 호르몬, 비타민, 미량 원소, 농작물 보호제, 페르몬, 식물호르몬, 향수, 효소, 코엔자임 또는 항체, 킬레이트제, 금속 또는 금속 이온, 광 흡수제, 항산화제 및 안료 등이 있다.
이들 활성 물질의 그룹은 예를 들어, Rompp, Chemie Lexikon Online, Thieme, Stuttgart 2015에 정의 및 분류되어 있다.
성형체 (S)는, 예를 들어, 폴리머 (P)의 용액을 원하는 함량의 활성 물질 (A)과 혼합한 다음 바람직하게는 수득한 혼합물을 증발에 의해 농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로써 조성물 (C)이 제조된다.
이는, 예를 들어, 실리콘-함유 폴리머 (P)의 폴리머 매트릭스 내에 활성 물질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다른 가능한 방법은, 폴리머 (P)를 함유한 성형체 (S)를, 활성 물질 (A)가 포함된, 액체, 예를 들어 물 또는 수분-함유 혼합물과 접촉시키는 방식이다. 활성 물질 (A)은 이런 방식으로 액체에서 폴리머 (P)로 확산할 수 있다. 이 역시 조성물 (C)이 제조된다.
증발에 의한 농축 후 또는 액체와의 접촉 후, 고체 조성물 (C)은, 필요에 따라, 분쇄하여 더 작은 크기의 성형체 (S)로 만들 수 있다. 활성 물질 (S)을 함유한 폴리머 (P) 용액은 또한 몰드로 옮기고, 증발에 의해 농축할 수 있다.
활성 물질 (A)의 방출은 바람직하게는 1분 이상 내지 5년 이하의 기간 동안, 더 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상 내지 1년 이하의 기간 동안, 가장 바람직하게는 1일 이상 내지 6개월 이하의 기간 동안 이루어진다.
활성 물질 (A)의 방출은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내지 +2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 이상 내지 10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내지 +50℃ 이하의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활성 물질 (A)의 방출은 바람직하게 0.1 mbar 이상 내지 50 bar이하, 더 바람직하게 100 mbar 이상 내지 20 bar, 특히 바람직하게는 0.9 bar 이상 내지 10 bar 이하의 압력에서 이루어진다.
활성 물질 (A)의 방출은 또한 pH를 통해 또는 pH 변동을 통해 조절되거나 또는 전위 변화를 통해 전기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후술한 실시예들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각각의 경우에, 나타낸 모든 함량 및 % 값들은 중량 기준이며, 온도는 모두 20℃이다.
전술한 식들에 나타낸 모든 기호들의 의미는 각각의 경우에 서로 독립적이다. 실리콘 원자는 모든 식에서 4가이다.
실시예 1 (실리콘-함유 폴리머 물질 (P) 제조)
분자량이 약 900이고 말단 작용기가 글리시독시프로필 기인 실리콘 폴리머 50 g을, 메탄올 75 ml에 용해하고, 이를 메탄올 260 g에 라이신 10 g을 용해한 용액에 첨가하였다. 투명한 폴리머 용액을 9시간 동안 환류 하에 끓인 다음, 여과하고, 고형분 약 40%로 농축하였다.
실시예 2 ( 폴리머 매트릭스 내에 활성 물질 (A)의 도입)
니코틴산 352 mg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머 용액 6.0 g에 용해하였다. 활성 물질-함유한 폴리머 용액을 테플론 몰드에 부었다. 용매를 증발시켜, 니코틴산이 함유된 투명한 폴리머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 따라 수득한 니코틴산 22.9 mg이 함유된 폴리머 필름 489 mg을, 20℃ 물 30 ml에 용해하였다. 지정된 시간 t 경과 후, 물에 용해된 니코틴산의 양을 NMR 스펙트로스코피에 의해 측정하였다.
아래 표 1에 나타낸 값이 수득되었다:
t (시간) mg 니코틴산 / H2O
0 0
1 0.0369
4 0.0885
24 0.233
96 0.462

Claims (10)

  1. 실리콘-함유 폴리머 (P) 및 활성 물질 (A)을 포함하는 조성물 (C)를 함유한 성형체 (S)를 물과 혼합하여 상기 조성물 (C)로부터 활성 물질 (A)을 방출시키는, 활성 물질 (A)의 방출 프로세스에 사용하기 위한 활성 물질 (A)로서,
    상기 실리콘-함유 폴리머 (P)가 일반식 I의 하나 이상의 실록산 유닛을 포함하고, 일반식 II의 실록산 유닛을 포함하지 않거나, 하나 이상 포함하는, 방출 프로세스에 사용하기 위한 활성 물질 (A):
    R 1 b (X) c SiO [4-(b+c)] / 2 (I),
    R 2 a SiO (4-a)/ 2 (II),
    상기 식에서,
    R 1 R 2 는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비-분지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탄소수 1-20의 알킬 기, 또는 아릴 기, 또는 아랄킬 기이되, 각각의 비-인접 메틸렌 유닛은 -O-, -CO-, -COO-, -OCO-, -OCOO-, -S- 또는 NR x 기에 의해, 또는 일반식 식 (-O-CH2-CHR 3 -) d 의 옥시알킬렌 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R 3 는 수소 또는 알킬이고,
    R x 는 수소이거나, 또는 -CN 및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X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유닛을 가진 라디칼로서, 탄소 원자를 통해 실리콘 원자에 부착되며, 일반식 -Y-NR 4 -(CH 2 ) e -CR 5 R 6 -COOM으로 표시되는 라디칼이고,
    M은 수소, 금속 또는 암모늄 모이어티 NR 10 4 +이고,
    R 10 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C1-C12 알킬, 아릴 또는 아랄킬이고,
    R 4 는 수소이거나, 또는 직쇄, 분지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탄소수 1-20의 알킬 기 또는 아릴 기 또는 아랄킬 기이되, 각각의 비-인접 메틸렌 유닛은 -O-, -CO-, -COO-, -OCO-, -OCOO-, -S- 또는 NR x 기에 의해 또는 일반식 (-O-CH2-CHR 3 -) d 의 옥시알킬렌 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R 5 R 6 는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직쇄, 분지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탄소수 1-20의 알킬 기 또는 아릴 기 또는 아랄킬 기이되, 각각의 비-인접 메틸렌 유닛은 -O-, -CO-, -COO-, -OCO-, -OCOO-, -S- 또는 NR x 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R 5 또는 R 6 R 4 에 부착될 수 있으며,
    Y는 탄소 원자를 통해 오가노실리콘 화합물에 부착된, 직쇄, 분지형, 고리형, 포화된 또는 모노불포화된 또는 고도불포화된 C1 - C100의 알킬렌 라디칼이고, 각각의 탄소 원자는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될 수 있으며,
    a는 0, 1, 2 또는 3이고,
    b는 0, 1 또는 2이고,
    c는 1, 2 또는 3이고,
    d는 1-100의 정수이고,
    b+c는 1, 2, 3 또는 4이고,
    f 0-50의 정수임.
  2. 제1항에 있어서,
    R 1 R 2 가 독립적으로 비-분지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탄소수 1-6의 알킬 기인, 방출 프로세스에 사용하기 위한 활성 물질 (A).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M이 수소, 소듐, 포타슘 및 암모늄 모이어티로부터 선택되는, 방출 프로세스에 사용하기 위한 활성 물질 (A).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e가 0-5인, 방출 프로세스에 사용하기 위한 활성 물질 (A).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함유 폴리머 (P)가 추가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방출 프로세스에 사용하기 위한 활성 물질 (A).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함유 폴리머 (P)가 일반식 I의 실록산 유닛 하나 이상과 일반식 II의 실록산 유닛이 없거나, 하나 이상인 블록, 및 상기 실록산 유닛으로 된 블록 사이에 삽입된(interrupted) 유기 블록을 포함하는, 방출 프로세스에 사용하기 위한 활성 물질 (A).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물질 (A)가 생물학적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방출 프로세스에 사용하기 위한 활성 물질 (A).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물질 (A)의 방출이 1분 이상 내지 5년 이하의 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방출 프로세스에 사용하기 위한 활성 물질 (A).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C)을 포함하는 성형체 (S).
  10. 실리콘-함유 폴리머 (P)의 용액을 활성 물질 (A)과 혼합하고, 제조된 혼합물을 증발에 의해 농축하여 조성물 (C)를 제조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성형체 (S)의 제조 방법.
KR1020197033589A 2017-05-16 2017-05-16 실리콘 함유 폴리머를 이용한 활성 물질의 방출 KR201901325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7/061696 WO2018210406A1 (de) 2017-05-16 2017-05-16 Freisetzung von wirkstoffen unter verwendung siliconhaltiger polyme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542A true KR20190132542A (ko) 2019-11-27

Family

ID=5874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589A KR20190132542A (ko) 2017-05-16 2017-05-16 실리콘 함유 폴리머를 이용한 활성 물질의 방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99877A1 (ko)
EP (1) EP3624853A1 (ko)
KR (1) KR20190132542A (ko)
CN (1) CN110636864A (ko)
WO (1) WO201821040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2241A (en) * 1992-08-21 1993-12-21 General Electric Company Amino acid functionalized silicones and method for preparation
US8772422B2 (en) 2012-01-04 2014-07-08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Polymer composites of silicone ionomers
DE102013214081A1 (de) * 2013-07-18 2015-01-22 Evonik Industries Ag Neue aminosäuremodifizierte Siloxa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Anwendung
DE102015210173A1 (de) * 2015-06-02 2016-12-08 Wacker Chem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minosäure-Gruppierungen aufweisenden Organosiliciumverbind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99877A1 (en) 2023-03-30
WO2018210406A1 (de) 2018-11-22
EP3624853A1 (de) 2020-03-25
CN110636864A (zh)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rosiewicz et al. Controlled-release NPK fertilizer encapsulated by polymeric membranes
Neufeld et al. Nitric oxide generation from endogenous substrates using metal–organic frameworks: inclusion within poly (vinyl alcohol) membranes to investigate reactivity and therapeutic potential
JP6074485B2 (ja) ヒドロキシポリアミドゲル形成剤
CN105111512B (zh) 一种化学交联型葡聚糖水凝胶及其制备方法
Audouin et al. Polypeptide-grafted macroporous polyhipe by surface-initiated n-carboxyanhydride (NCA) polymerization as a platform for bioconjugation
Topuz et al. Poly-cyclodextrin cryogels with aligned porous structure for removal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from water
JPH05105701A (ja) 架橋したアルギン酸アルカリ金属塩またはアンモニウム塩ゲルおよびその調製方法
CA2079857A1 (fr) Polymeres absorbants, procede de fabrication et leur application notamment aux articles d'hygiene
Gallagher et al. Main-Chain Zwitterionic Supramolecular Polymers Derived from N-Heterocyclic Carbene–Carbodiimide (NHC–CDI) Adducts
Sharma et al. A self-healing metal–organic gel (MOG) exhibiting pH-responsive release of a chemotherapeutic agent, doxorubicin: modulation of release kinetics by partial dehydration of matrix
Bae et al. In situ formation of enzyme-free hydrogels via ferromagnetic microbead-assisted enzymatic cross-linking
Yao et al. Thermo-gelling dendronized chitosans for modulating protein activity
TWI270377B (en) A method for anhydrous loading of nicotine onto ion exchange resins
Johnson et al. Self-Assembled Melaminium Adipate Lamellae for Adsorptive Removal of Anionic Dyes from Wastewater
KR20190132542A (ko) 실리콘 함유 폴리머를 이용한 활성 물질의 방출
JP6751109B2 (ja) 水性スルホン化芳香族ポリマー及び水性ポリエチレンオキサイドを用いた向上した水分保持のための連続処理
M’Bareck et al. Synthesis of polyacrylonitrile-co-sodium methallyl sulfonate copolymer (AN69) and polyacrylic acid (PAA) membranes for the removal of methylene blue from water
JPH11240949A (ja) 架橋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34731A (ja) 新規なマイクロカプセルとその製造方法
Silvestri et al. Molecularly imprinted bioartificial membranes for the selective recognition of biological molecules. Part 2: release of components and thermal analysis
JP4171100B2 (ja) 架橋ポリコハク酸イミドの製造方法及び架橋ポリアスパラギン酸系樹脂の製造方法
JP4541598B2 (ja) 架橋ポリコハク酸イミドの連続式製造方法
CN108993407B (zh) 一种自组装重金属吸附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8623821A (zh) 一种索拉胶多糖基阳离子高分子水凝胶及其制备方法
Zhu et al. Preparation of Hypromellose-Graft-Polyacrylic Acid Superabsorbent Resin by Ultraviolet Polymerization and Its Slow-Release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