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680A -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 Google Patents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680A
KR20190131680A KR1020180056350A KR20180056350A KR20190131680A KR 20190131680 A KR20190131680 A KR 20190131680A KR 1020180056350 A KR1020180056350 A KR 1020180056350A KR 20180056350 A KR20180056350 A KR 20180056350A KR 20190131680 A KR20190131680 A KR 20190131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ody
trocar
abdomen
surgical instrument
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531B1 (ko
Inventor
오철규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6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53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61B2017/3429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having a unitary compressible body, e.g. made of silicone or fo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39Cannula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annula, e.g. expandable
    • A61B2017/3441Cannula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annula, e.g. expandable with distal sea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5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61B2017/3466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for simultaneous sealing of multiple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doscop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는, 일단이 복부 내의 복강에 위치되고, 상기 복부 내 병변부위 측으로 내시경이나 포셉과 같은 수술기구가 통과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본체; 상기 가이드본체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복부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수술기구가 통과된 후 그 수술기구와의 실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가진 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헤드; 및 상기 복강 내 가스가 상기 가이드본체 및 헤드를 경유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본체 내에 설치되는 실링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Laparoscopioc trocar}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강경 수술시 수술기구의 복강 측으로의 접근을 안내하는 트로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하나의 포트에 의해서도 다양한 수술기구를 삽입시켜 시술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에 관한 것이다.
복강경 수술은, 복부에 큰 절개창을 열고 시행하는 개복 수술과 달리, 복부에 0.5~1.5cm 크기의 작은 구멍(절개창)을 여러 개 내고, 그 안으로 비디오 카메라와 각종 기구들을 넣고 시행하는 수술 방법으로,‘최소 침습 수술’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복강경 수술은 전통적인 개복 수술과 비교하여 절개창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수술 상처가 미용적으로 보기 좋고, 창상으로 인한 통증이 훨씬 작다. 또한 빠른 회복 속도를 보이므로, 개복수술에 비하여 재원기간이 짧고, 일상생활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복강경 수술시에는 일반적으로 트로카(Trocar)라는 수술기구가 함께 사용되는데, 상기 트로카는 복강경 수술을 위해 필요한 내시경이나 포셉 등의 수술기구를 복강 내로 원활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트로카의 경우 하나의 제품에 하나의 수술기구만을 복강 내로 안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복수의 수술기구를 활용한 수술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복부에 복수의 트로카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멍들을 형성시켜 주어야 한다. 결국, 종래의 트로카를 이용한 복강경 수술의 경우 수술시간 및 회복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트로카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가이드본체에서 천공장치를 제거하기 전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공장치를 가이드본체에서 제거한 이후 수술기구를 가이드본체에 통과시켜 사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허 제10-1585569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밀성을 향상시켜 가스 누출을 억제시킬 수 있고, 하나의 포트에 의해서도 다양한 수술기구들을 동시에 복강 내로 접근시킬 수 있게 하는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는, 일단이 복부 내의 복강에 위치되고, 상기 복부 내 병변부위 측으로 내시경이나 포셉과 같은 수술기구가 통과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본체; 상기 가이드본체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복부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수술기구가 통과된 후 그 수술기구와의 실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가진 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헤드; 및 상기 복강 내 가스가 상기 가이드본체 및 헤드를 경유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본체 내에 설치되는 실링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는, 상기 복부의 외측에서 상기 가이드본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내측에 배치되고, 탄성복원력을 가진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젤 포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젤 포트부는, 중심에 위치하는 메인 포트부와, 상기 메인 포트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서브 포트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젤 포트부를 통과하는 상기 복수의 수술기구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젤 포트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시키는 구획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획수단은, 상기 젤 포트부를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분할된 영역으로 구획시키는 구획리브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는, 복강경 수술시 사용되는 수술기구를 복강 내로 안내하기 위한 트로카에 있어서, 그 트로카의 헤드 부분을 종래와는 달리 탄성복원력을 가진 수지 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수술기구의 관통에 따른 틈새 부위의 기밀 상태를 재질의 특성에 따른 탄성복원력으로 원활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장점과, 관통 후 형상복원이 용이한 재질이 채용된 헤드 부분에 복수의 수술기구들을 동시에 통과시켜 사용할 있게 됨으로써, 복부에 복수의 수술기구 사용을 위한 복수의 천공부위들을 각각 형성시켜야 하는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트로카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가이드본체에서 천공장치를 제거하기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공장치를 가이드본체에서 제거한 이후 수술기구를 가이드본체에 통과시켜 사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젤 포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는 복강경 수술시 필요한 수술기구(B)들을 복강 내 병원부위 측으로 안내하기 위해 수술기구(B)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가이드본체(1)와 헤드(2)와 실링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본체(1)는, 복강경 수술을 위해 요구되는 복부(A) 천공 이후 일단이 그 천공된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복강 내에 위치되고, 관 형태로 형성되어서 상기 복부(A) 내 병변부위 측으로 내시경이나 포셉과 같은 수술기구(B)가 통과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헤드(2)는, 상기 가이드본체(1)의 타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복부(A)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진 수지 재질로 형성되어서 상기 수술기구(B)가 통과된 후 그 수술기구(B)와의 실링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헤드(2)는 예컨대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서, 상기 가이드본체(1)를 통해 복강 내 병변부위로 접근되어야 할 수술기구(B)의 통과를 가능하게 함은 물론, 그 수술기구(B)의 관통에 의해 형성되는 틈새의 기밀을 통과된 부분에 의한 탄성복원력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실링수단은, 예컨대 체크밸브나 오링과 같은 부품들인 것으로 상기 가이드본체(1) 내에 설치되어서 상기 복강 내 가스가 상기 가이드본체(1) 및 헤드(2)를 경유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복강 내 가스는 복강의 부피를 수술이 가능한 정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게 하는 요소인데, 이 가스의 유출은 복강 공간을 작게 하여 수술의 어려움을 초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는, 복강경 수술시 사용되는 수술기구(B)를 복강 내로 안내하기 위한 트로카에 있어서, 그 트로카의 헤드(2) 부분을 종래와는 달리 탄성복원력을 가진 수지 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수술기구(B)의 관통에 따른 틈새 부위의 기밀 상태를 재질의 특성에 따른 탄성복원력으로 원활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장점과, 관통 후 형상복원이 용이한 재질이 채용된 헤드(2) 부분에 복수의 수술기구(B)들을 동시에 통과시켜 사용할 있게 됨으로써, 복부(A)에 복수의 수술기구(B) 사용을 위한 복수의 천공부위들을 각각 형성시켜야 하는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실시에에 채용된 헤드(2)는, 상기 가이드본체(1)와의 결합을 위해 상대적으로 하드(hard)한 재질로 형성되는 결합부(21)와, 상기 결합부(21)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프트(soft)한 재질로 형성되는 젤 포트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21)는 복부(A)의 외측에서 상기 가이드본체(1)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젤 포트부(22)는, 실리콘과 같이 인체에 무해하고 탄성복원력을 가진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젤 포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젤 포트부(32)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메인 포트부(32a)와 서브 포트부(32b)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포트부(32a)는 젤 포트부(32)의 중심에 위치하는 부분이고, 상기 서브 포트부(32b)들은 상기 메인 포트부(32a)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젤 포트부(32)의 중심에 위치하는 메인 포트부(32a)에 내시경이나 천공 장치를 통과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나머지 복수의 서브 포트부(32b)들에 각각 서로 다른 수술기구를 간섭되지 않게 통과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시술기구의 삽입 및 식별의 원활함을 통해 시술의 정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 포트부(32a)와 서브 포트부(32b)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시키는 구획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젤 포트부(32)를 통과하는 상기 복수의 수술기구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게 한다.
상기 구획수단으로는 상기 젤 포트부(32)를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분할된 영역으로 구획시키는 구획리브(321)들이 채용되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획리브(321)들에 의해 상기 젤 포트부(32)가 단차진 홈 형상의 구획된 영역으로 분할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구획리브(321)들에 의해 구획된 영역을 통해 다양한 수술기구들을 명확히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가이드본체 2:헤드
21:결합부 22,32:젤 포트부
32a:메인 포트부 32b:서브 포트부
321:구획리브 A:복부
B:수술기구

Claims (5)

  1. 일단이 복부 내의 복강에 위치되고, 상기 복부 내 병변부위 측으로 내시경이나 포셉과 같은 수술기구가 통과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본체;
    상기 가이드본체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복부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수술기구가 통과된 후 그 수술기구와의 실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가진 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헤드; 및
    상기 복강 내 가스가 상기 가이드본체 및 헤드를 경유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본체 내에 설치되는 실링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복부의 외측에서 상기 가이드본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내측에 배치되고, 탄성복원력을 가진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젤 포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젤 포트부는, 중심에 위치하는 메인 포트부와, 상기 메인 포트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서브 포트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젤 포트부를 통과하는 상기 복수의 수술기구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젤 포트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시키는 구획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수단은, 상기 젤 포트부를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분할된 영역으로 구획시키는 구획리브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KR1020180056350A 2018-05-17 2018-05-17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KR102102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350A KR102102531B1 (ko) 2018-05-17 2018-05-17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350A KR102102531B1 (ko) 2018-05-17 2018-05-17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680A true KR20190131680A (ko) 2019-11-27
KR102102531B1 KR102102531B1 (ko) 2020-04-21

Family

ID=6872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350A KR102102531B1 (ko) 2018-05-17 2018-05-17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5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5036A (ja) * 2002-01-24 2005-05-26 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浮揚ゲル封止剤を備えた外科手術用の接近装置
JP2006510402A (ja) * 2002-12-02 2006-03-30 ブレア ハウ 万能アクセスシール
WO2009094476A1 (en) * 2008-01-22 2009-07-30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instrument access device
KR20150127232A (ko) * 2013-03-15 2015-11-16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회전 보조 포트
KR20180048714A (ko) * 2015-09-01 2018-05-10 서지퀘스트, 인코포레이티드 최소 침습 수술용 멀티-포트 접근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5036A (ja) * 2002-01-24 2005-05-26 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浮揚ゲル封止剤を備えた外科手術用の接近装置
US7651478B2 (en) * 2002-01-24 2010-01-26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device with floating gel seal
JP2006510402A (ja) * 2002-12-02 2006-03-30 ブレア ハウ 万能アクセスシール
WO2009094476A1 (en) * 2008-01-22 2009-07-30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instrument access device
KR20150127232A (ko) * 2013-03-15 2015-11-16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회전 보조 포트
KR20180048714A (ko) * 2015-09-01 2018-05-10 서지퀘스트, 인코포레이티드 최소 침습 수술용 멀티-포트 접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531B1 (ko)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9934B2 (en) Single port device including selectively closeable openings
US8574153B2 (en) Flexible port seal
USRE44790E1 (en) Skin seal
US5634911A (en) Screw-type skin seal with inflatable membrane
US9532801B2 (en) Seal anchor for use in surgical procedures
US8708963B2 (en) Gel seal for a surgical trocar apparatus
US9017250B2 (en) Seal anchor with non-parallel lumens
JP5630860B2 (ja) 内側部材を含む単一切開の外科手術ポータル装置
US20150351796A1 (en) Seal anchor for use in surgical procedures
KR20060069322A (ko) 투관침 밀봉 조립체
US20100234688A1 (en) Access port including multi-layer seal and suture parks
BRPI0812794B1 (pt) conjunto de vedação e conjunto de trocarte
JP2007330805A (ja) カニューレ組立体
JP2011078784A (ja) 自在高さ発泡体ポート
JP2010518901A (ja) シールを有する可撓性カニューレ
JP2010158518A (ja) ベロー付きデュアルシール
JP2010527640A (ja) 可撓性外部カニューレシース
US9320861B2 (en) Smoke vent for access port device
KR20190131680A (ko)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US11925387B2 (en) Surgical access device with fascial closure system
EP3957260A1 (en) Flexible cannula having selective rigidity
KR20230094323A (ko) 복강경 수술 공간의 기체 유출방지용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