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690A - 가스 이중 공급 라인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 Google Patents

가스 이중 공급 라인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690A
KR20190129690A KR1020190001840A KR20190001840A KR20190129690A KR 20190129690 A KR20190129690 A KR 20190129690A KR 1020190001840 A KR1020190001840 A KR 1020190001840A KR 20190001840 A KR20190001840 A KR 20190001840A KR 20190129690 A KR20190129690 A KR 20190129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flame
ignition
gas
ign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661B1 (ko
Inventor
김태봉
Original Assignee
김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봉 filed Critical 김태봉
Priority to KR1020190001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66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13/00Ignit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Q13/04Ignit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portable burners, e.g. torches, fire p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2Gaseous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400/00Pretreatment and supply of gaseous fuel
    • F23K2400/20Supply line arrangements
    • F23K2401/2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이중 공급 라인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기가 혼합된 가스를 이중 공급라인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분배하여 공급하여, 공기와 혼합된 가스가 불규칙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점화기의 점화 동작시의 소음 문제, 그리고 갑작스러운 불꽃 발생으로 인한 충격 등을 방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스 이중 공급 라인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Charcoal Ignition apparatus with dual gas supply lines}
본 발명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숯불 착화기에서, 공기 혼합 가스를 이중의 공급 라인으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가스 이중 공급 라인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의 육류를 불에 구워 제공하는 식당 등 업체에서는 소비자의 선호로 인해 숯불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종래에는 다양한 숯불 착화기가 개시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종래에 개시된 숯불 착화기들은 공기와 혼합된 가스가 하나의 공급 관체를 통해 가스버너 헤드측에서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관계로, 공기와 혼합된 가스 공급량이 불규칙할 수 있고, 이로인해 점화기의 점화 동작시 "뻥" 소리가 발생하는 소음 문제, 그리고 갑작스러운 불꽃 발생으로 사용자가 놀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285호(공고일 2011.04.18.)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499호(공고일 2011.12.22.) 등록특허공보 제10-1249548호(공고일 2013.04.01.) 등록특허공보 제10-1786376호(공고일 2017.10.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 혼합 가스를 이중 공급 라인을 통해 안정적으로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 이중 공급 라인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가스 이중 공급 라인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는, 숯불 착화구와 덮개를 가지는 본체부에서, 상기 숯불 착화구내의 숯통에 투입된 숯을 착화시키도록 공기 혼합 가스 공급시 점화기의 점화 동작으로 화염을 분출하여 상기 숯불 착화구내의 숯통에 투입된 숯을 착화시키는 화염 분출 노즐을 상기 덮개가 형성하여둔 숯불 착화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축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화염 분출 노즐에 공기 혼합 가스를 이중의 공급라인을 통해 분배하여 공급하는 가스 분배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스 분배부는, 제 1 관체의 타단에 연결되는 T자형의 제 2 관체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기 본체부의 후방 상면으로 인출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 3 관체; 상기 제 3 관체에 각각 L자형의 제 4 관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덮개에 대한 축 기능을 수행하는 마주하는 한 쌍의 제 5 관체; 상기 제 5 관체 사이에 연결되는 T자형의 제 6 관체로부터 상기 덮개의 내부로 관통되어 상기 화염 분출 노즐측으로 연장되는 제 7 관체;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L자형을 이루는 상기 제 4 관체에는 각각 연장 관체를 체결하되, 상기 제 5 관체는 상기 연장 관체에 나선 결합되는 것으로서 일단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걸림홈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걸림되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둔 제 2 몸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숯불 착화기는 공기가 혼합된 가스를 이중 공급라인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분배하여 공급하여, 공기와 혼합된 가스가 불규칙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점화기의 점화 동작시의 소음 문제, 그리고 갑작스러운 불꽃 발생으로 인한 충격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숯불 착화기의 구조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숯불 착화기의 구조를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숯불 착화기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혼합 가스 공급부에 대한 확대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가스 분배부에 대한 평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화염 분출 노즐의 화염 분출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화염 분출 노즐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열교환 처리부에 대한 구조를 보인 절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8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송풍부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송풍부에 설치되는 감지로드와 스위칭부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송풍부에 설치되는 감지로드와 스위칭부의 동작 후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숯불 착화기의 구조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숯불 착화기의 구조를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숯불 착화기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혼합 가스 공급부에 대한 확대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가스 분배부에 대한 평면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화염 분출 노즐의 화염 분출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화염 분출 노즐에 대한 단면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열교환 처리부에 대한 구조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8에 대한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송풍부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송풍부에 설치되는 감지로드와 스위칭부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이며,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송풍부에 설치되는 감지로드와 스위칭부의 동작 후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착화기는, 본체부(10), 화염 분출 노즐(20), 혼합 가스 공급부(30), 가스 분배부(40), 제 2 송풍부(50), 제어부(80), 조작부(93)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열교환 처리부(60), 이물질 제거부(70), 작동 감지부로서 감지로드(91)와 스위칭부(9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0)는 상부에 숯불 착화구(11)가 결합됨은 물론 회전형 덮개(12)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숯불 착화구(11)에는 상기 본체부(10)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으로서 그 하단에는 결합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1a)에는 외주면에 걸림턱(13a)이 형성되는 연통관(13)이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숯불 착화구(11)에는 평면형 또는 원통형으로서 숯이 올려지는 숯통(G1)이 안착되며, 상기 숯통(G1)이 안착되는 상기 숯불 착화구(11) 주변에는 상기 숯에 대한 착화 효율을 높이도록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로부터 분출되는 화염을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염구(11b)를 형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숯통(G1)에 숯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숯을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에서 분출되는 화염으로 착화시, 그 착화에 따른 열은 상기 연통관(13)을 통해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하단으로 배기될 수 있고, 이렇게 배기되는 열은 상기 열교환 처리부(60)를 통해 냉각 처리되면서 상기 제 2 송풍부(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숯불 착화구(11)의 주변에 상기 화염구(11b)를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로부터 분출되는 화염 및 공기를 통과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숯불 착화구(11)가 상기 덮개(12)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화염 분출이 이루어질 때 상기 숯의 착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인 것이다.
즉, 상기 화염구(11b)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숯의 상부측으로만 화염이 전달되지만, 상기 화염구(11b)가 형성되면, 상기 화염구(11b)를 통해 일부 화염이 빠져 나가면서 상기 숯의 측부에도 가해지므로, 상기 숯불 착화구(11)내 숯통(G1)에 넣어진 숯은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을 통해 분출되는 화염, 그리고 상기 화염구(11b)를 통해 빠져 나가면서 가해지는 화염으로 인해 전체적인 착화가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은 상기 덮개(12)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첨부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혼합 가스 공급부(30)에서 상기 가스 분배부(40)를 통해 공기 혼합 가스를 공급받을 때 점화기(21)의 점화 동작이 이루어질 때 화염을 분출하는 것이다.
즉,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은 상기 가스 분배부(40)에 포함되는 후술하는 제 7 관체(46)에 나선 결합되는 결합부(22)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점화기(21)가 형성되는 공기 혼합 가스 수용공간(A4)이 마련되는 원판형 구조물이고, 상기 점화기(21)는 한 쌍으로서 상기 본체부(10)의 후면측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인출되는 복수의 전원라인(L1)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점화기(21)의 점화 동작시 화염을 상기 숯불 착화구(11)의 방향으로 분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혼합가스 공급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것이며, 이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제 1 송풍부(31)에 의해 공기 송풍이 이루어진 이후에 시차를 두고 가스를 공급하면서,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에 공기 혼합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혼합가스 공급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전방측에 형성되고 제어부(80)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M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시로코팬(F1)을 내장하여둔 것으로 제 1 흡입구(311a)와 제 1 토출구(311b)를 가지는 제 1 하우징(311)이 포함되는 상기 제 1 송풍부(31)에 더하여, 상기 제 1 하우징(311)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제 1 하우징(311)의 토출구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스공급배관(32), 그리고 상기 가스공급배관(32)에 배치되며 상기 시로코팬(F1)의 송풍 회전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스를 공급하도록 개방되는 가스공급밸브(33)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80)는 숯불 착화기의 조작부(93)로부터 작동 신호 입력시 상기 모터(M1)의 온 구동과 상기 가스공급밸브(33)의 개방을 순차 제어하기 위한 작동 프로그램을 탑재하여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하우징(311)의 상기 제 1 토출구(311b)에는 제 1 관체(34)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관체(34)의 타단에는 상기 가스 분배 배관(40)을 연결하여둔 것이다.
상기 가스 분배부(40)는 상기 덮개(1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축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혼합가스 공급부(30)에 의해 공기 혼합 가스가 공급시, 이를 분배하여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에 공급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가스 분배부(40)는 첨부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혼합 가스 공급부(30)로부터 이중 라인으로 관체를 분기시킨 후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에 하나의 관체를 연결하여, 공기 혼합 가스를 분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관체(34)의 타단에 연결되는 T자형의 제 2 관체(41)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기 본체부(10)의 후방 상면으로 인출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 3 관체(42, 4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3 관체(42, 42')에는 각각 L자형의 제 4 관체(43, 43')를 통해 상기 덮개(12)에 대한 축 기능을 수행하는 마주하는 한 쌍의 제 5 관체(44, 44')를 연결하여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5 관체(44, 44') 사이에는 T자형의 제 6 관체(45)로부터 상기 덮개(12)의 내부로 관통되어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측으로 연장되는 제 7 관체(46)를 연결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L자형을 이루는 상기 제 4 관체(43, 43')에는 각각 연장 관체(43a, 43a')를 체결하되, 상기 제 5 관체(44, 44')는 상기 연장 관체(43a, 43a')에 일단이 나선 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홈(T1)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 6 관체(45)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T2)에 회전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송풍부(50)는 상기 본체(10)내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숯불 착화구(11)에서 숯불 착화시 발생하는 열기를 외부로 송풍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제 2 송풍부(50)는 첨부된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가동되는 것으로서 그 가동에 따라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열기는 강제 흡입될 수 있으며, 강제 흡입되는 상기 열기는 상기 열교환 처리부(60)에 의해 냉각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송풍부(50)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M2)에 의해 회전하는 시로코팬(F2)을 내장하여둔 것으로 제 2 흡입구(51a)와 제 2 토출구(51b)가 형성되는 제 2 하우징(51)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하우징(51)의 제 2 흡입구(51a)는 후술하는 상부 공간(A1)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하우징(51)의 제 2 토출구(51b)는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 마련되는 열기 토출구(14)와 연통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하우징(51)의 상기 제 2 흡입구(51a)측에는 상기 시로코팬(F2)의 회전력에 따라 유동하는 감지로드(9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로드(91)는 상기 제어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칭부(92)에 연결되면서, 상기 스위칭부(92)는 상기 시로코팬(F2)의 회전력에 의한 상기 감지로드(91)의 유동 여부에 따라 온 또는 오프의 접점 신호를 상기 제어부(80)로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스위칭부(92)에 의해 오프 접점 신호가 입력시 상기 제 2 송풍부(50)가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혼합가스 공급부(30)에 의한 공기 혼합 가스의 공급을 중지시키는 안전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 2 송풍부(50)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또는 그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제 2 흡입구(51a)를 통한 공기 또는 열기 유입 압력이 약하거나 또는 없게 되는 것이고, 이에따라 상기 감지로드(91)의 유동 또한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이는 상기 본체부(10)내의 열기를 외부로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으로서, 따라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본체부(10)내의 열기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안전을 위해 상기 혼합 가스 공급부(30)를 통한 공기 혼합 가스의 공급을 중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열교환 처리부(60)는 상기 본체부(10)내에서 격벽에 의해 분리되는 공간상의 유로를 설명하는 것으로, 이는 첨부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송풍부(50)에 의해 숯불 착화시 발생하는 열기가 송풍될 때 그 송풍 경로를 제공하면서 상기 열기를 냉각 처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0)는 격벽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송풍부(50)와 연통되는 상부 공간(A1)과, 상기 상부 공간(A1)과 격리되는 하부 공간(A2),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공간(A1, A2)을 연결하는 측부 공간(A3)으로 분할하되, 상기 열교환 처리부(60)는 상기 연통관(13)을 통해 상기 하부 공간(A2)으로 배기되는 숯불 착화시의 열기를 상기 측부 공간(A3)으로 가이드하는 제 1 유로(U1), 그리고 상기 제 1 유로(U1)에 의해 상기 측부 공간(A3)으로 배기되는 열기를 상기 상부 공간(A1)으로 가이드하는 제 2 유로(U2)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U1, U2)와 인접하는 상기 본체부(10)의 양측면과 후면에는 각각 상기 제 2 송풍부(50)의 송풍 동작시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U1, U2)측으로 열기 냉각을 위한 외기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기 유입구(61)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70)는 서랍형 구조물로서, 이는 상기 본체부(10)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 공간(A2)에서 상기 숯불 착화구(11)에 결합되는 연통구(13)를 통해 낙하되는 이물질(예; 숯불 착화시 발생하는 미세 먼지 등)을 수납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착화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우선 숯불 착화구(11)내에 숯통(G1)을 집어넣은 후, 상기 숯통(G1)에 숯들을 투입하여둔다.
다음으로, 상기 숯불 착화구(11)의 상부를 덮개(12)로 밀폐시킨 상태에서 조작부(93)의 작동버튼을 누르면, 상기 작동버튼의 누름 신호에 따라 제어부(80)는 제 1 송풍부(31)와 제 2 송풍부(50)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송풍부(31)에 포함되는 모터(M1)의 구동으로부터 시로코팬(F1)이 회전하여 제 1 흡입구(311a)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고 이렇게 흡입된 외기는 제 1 토출구(311b)를 통해 가스 분배부(40)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1 송풍부(31)의 작동으로부터 상기 가스 분배부(40)로 외기 토출이 이루어질 때, 상기 혼합 가스 공급부(30)에 포함되는 가스공급밸브(33)를 열림 제어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제 1 송풍부(31)에 포함되는 제 1 하우징(311)의 내부로 인입된 가스공급배관(32)을 통해 상기 제 1 토출구(311b)측에는 2차 가스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제 1 토출구(311b)에서 상기 가스 분배부(40)로 1차 외기 토출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2차 가스 토출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가스는 상기 제 1 하우징(311)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상기 제 1 토출구(311b)를 통해 1차 토출되는 외기에 혼합되고, 이러한 공기 혼합 가스는 이중 라인으로 이루어진 상기 가스 분배부(40)에 의해 분배된 후 상기 덮개(12)에 마련되는 화염 분출 노즐(20)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에는 점화기(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점화기(21)는 제어부(80)의 제어동작에 따라 점화되면서,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에서는 화염을 분출하게 되고, 이렇게 분출된 화염은 상기 숯불 착화구(11)내 숯통(G1)에 넣어진 숯이 착화되고, 더불어 상기 숯불 착화구(11)에 형성되는 화염구(11b)를 통과하는 화염에 의해 상기 숯에 대한 착화 효율은 높아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숯통(G1)에 넣어진 숯의 착화가 이루어질 때 발생하는 열기는 연통부(13)를 통해 상기 본체부(10)내의 하부공간(A2)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공간(A2)과 격벽을 통해 분리된 상기 본체부(10)내의 상부공간(A1)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송풍부(50)가 가동되고 있으므로, 상기 제 2 송풍부(50)의 가동에 따라 발생하는 흡입력으로부터 상기 하부공간(A1)내의 열기는 측부공간(A3)과 상기 상부공간(A1)을 통과하면서 열교환 처리부(60)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유로(U1, U2)와 외기 유입구(61)에 의해 냉각 처리되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열교환 처리부(60)에 포함되는 제 1 유로(U1)는 상기 연통관(13)을 통해 상기 하부 공간(A2)으로 배기되는 숯불 착화시의 열기를 상기 측부 공간(A3)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제 2 유로(U2)는 상기 제 1 유로(U1)에 의해 상기 측부 공간(A3)으로 배기되는 열기를 상기 상부 공간(A1)으로 가이드하는 것이지만,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U1, U2)에 의해 가이드되는 열기는 상기 외기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제 2 송풍부(50)의 제 2 흡입구(51a)로 냉각 처리된 공기는 제 2 토출구(51b)를 거쳐 상기 본체부(10)의 열기 토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본체부(10)의 외부에서는 일정 온도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열기만이 배출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외부에서 열기 배출에 따른 화상 위험은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가스 이중 공급 라인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본체부 11; 숯불 착화구
11a; 결합부 11b; 화염구
12; 덮개 13; 연통관
13a; 걸림턱 14; 열기 토출구
20; 화염 분출 노즐 21; 점화기
22; 결합부 30; 혼합가스 공급부
31; 제 1 송풍부 311; 제 1 하우징
311a; 제 1 흡입구 311b; 제 1 토출구
32; 가스공급배관 33; 가스공급밸브
34; 제 1 관체 40; 가스 분배부
41; 제 2 관체 42, 42'; 제 3 관체
43, 43'; 제 4 관체 43a, 43a'; 연장 관체
44, 44'; 제 5 관체 T1; 걸림홈
T2; 걸림돌기 45; 제 6 관체
46; 제 7 관체 50; 제 2 송풍부
51; 제 2 하우징 51a; 제 2 흡입구
51b; 제 2 토출구 60; 열교환 처리부
61; 외기 유입구 70; 이물질 제거부
80; 제어부 91; 감지로드
92; 스위칭부 93; 조작부
A1; 상부 공간 A2; 하부 공간
A3; 측부 공간 A4; 수용공간
U1; 제 1 유로 U2; 제 2 유로
M1,M2; 모터 F1,F2; 시로코팬
G1; 숯통 L1; 전원라인

Claims (3)

  1. 숯불 착화구와 덮개를 가지는 본체부에서, 상기 숯불 착화구내의 숯통에 투입된 숯을 착화시키도록 공기 혼합 가스 공급시 점화기의 점화 동작으로 화염을 분출하여 상기 숯불 착화구내의 숯통에 투입된 숯을 착화시키는 화염 분출 노즐을 상기 덮개가 형성하여둔 숯불 착화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축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화염 분출 노즐에 공기 혼합 가스를 이중의 공급라인을 통해 분배하여 공급하는 가스 분배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이중 공급 라인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배부는,
    제 1 관체의 타단에 연결되는 T자형의 제 2 관체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기 본체부의 후방 상면으로 인출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 3 관체;
    상기 제 3 관체에 각각 L자형의 제 4 관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덮개에 대한 축 기능을 수행하는 마주하는 한 쌍의 제 5 관체; 및,
    상기 제 5 관체 사이에 연결되는 T자형의 제 6 관체로부터 상기 덮개의 내부로 관통되어 상기 화염 분출 노즐측으로 연장되는 제 7 관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이중 공급 라인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L자형을 이루는 상기 제 4 관체에는 각각 연장 관체를 체결하되,
    상기 제 5 관체는 상기 연장 관체에 일단이 나선 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 6 관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걸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이중 공급 라인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KR1020190001840A 2019-01-07 2019-01-07 가스 이중 공급 라인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KR10218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840A KR102188661B1 (ko) 2019-01-07 2019-01-07 가스 이중 공급 라인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840A KR102188661B1 (ko) 2019-01-07 2019-01-07 가스 이중 공급 라인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690A true KR20190129690A (ko) 2019-11-20
KR102188661B1 KR102188661B1 (ko) 2020-12-08

Family

ID=68729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840A KR102188661B1 (ko) 2019-01-07 2019-01-07 가스 이중 공급 라인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6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321U (ko) * 2009-04-13 2010-10-21 박도석 숯불착화기
KR200457499Y1 (ko) 2011-02-01 2011-12-22 조재환 숯불착화기
KR101249548B1 (ko) 2011-12-12 2013-04-01 조재환 숯불착화기
KR101760427B1 (ko) * 2016-09-12 2017-07-21 박종태 숯 착화장치
KR101786376B1 (ko) 2016-08-19 2017-10-17 조상훈 송풍부가 연결된 가스버너를 구비한 숯불 착화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321U (ko) * 2009-04-13 2010-10-21 박도석 숯불착화기
KR200453285Y1 (ko) 2009-04-13 2011-04-18 박도석 숯불착화기
KR200457499Y1 (ko) 2011-02-01 2011-12-22 조재환 숯불착화기
KR101249548B1 (ko) 2011-12-12 2013-04-01 조재환 숯불착화기
KR101786376B1 (ko) 2016-08-19 2017-10-17 조상훈 송풍부가 연결된 가스버너를 구비한 숯불 착화기
KR101760427B1 (ko) * 2016-09-12 2017-07-21 박종태 숯 착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661B1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3016B1 (ko) 가스 연소식 헤어 드라이어
TW200409605A (en) Gas combustion-type portable dryer for generating negative ions and negative ion generating method in the portable dryer
KR102188660B1 (ko)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KR20190129689A (ko) 송풍을 이용하여 공기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숯불 착화기
KR101818822B1 (ko) 공기 주입식 가스버너
KR102188662B1 (ko) 숯불 착화기 제어방법
KR102188661B1 (ko) 가스 이중 공급 라인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US20160290635A1 (en) Fuel combustion system
KR102230242B1 (ko) 숯불 착화기
AU2004219831B2 (en) Gas combustion-controlling method and gas combustion device
US7172413B2 (en) Laundry dryer having gas combustion apparatus
US9657938B2 (en) Fuel combustion system
JP4433465B2 (ja) ガスこんろ
CN210241564U (zh) 安全引火系统和燃气设备
KR102279154B1 (ko) 숯불 착화기용 버너
KR100282349B1 (ko)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드레프트 튜브
KR200474843Y1 (ko) 숯불 연소장치
JP4338195B2 (ja) コンロ
CN100383332C (zh) 烘干机用热风供应装置
KR200212864Y1 (ko)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드레프트 튜브
EP0023001B1 (en) Liquid fuel burner for generating a blue flame
KR100282355B1 (ko) 가스연소기 드레프트 튜브의 연소 안정화 구조
JP2006023044A (ja) ガスこんろ
KR20000017154U (ko)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드레프트 튜브
JPH11218305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