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284A -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284A
KR20190129284A KR1020180053697A KR20180053697A KR20190129284A KR 20190129284 A KR20190129284 A KR 20190129284A KR 1020180053697 A KR1020180053697 A KR 1020180053697A KR 20180053697 A KR20180053697 A KR 20180053697A KR 20190129284 A KR20190129284 A KR 20190129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sentence
language
componen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4308B1 (ko
Inventor
김성열
Original Assignee
김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열 filed Critical 김성열
Priority to KR1020180053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30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제 1 언어의 문장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을 해당 언어에서 정의된 문법 구조에 따라 분석하여 구성 성분별로 분리하는 문장 분석부; 상기 제1 언어의 문장의 구성 성분별 단어를 문장 도해상의 제 1 축 방향으로 배치하는 제1 단어 배치부; 상기 제1 언어의 문장의 구성 성분별 단어를 변환한 제 2 언어의 단어 정보를 상기 문장 도해상의 제 2 축 방향으로 배치하는 제2 단어 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문장 도해는 복수의 동심원의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동심원을 구성하는 각각의 원은 상기 제 2 언어의 어순을 근거로 하여 구별되는 문장구성 성분영역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grammar diagram for language learning}
본 발명은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언어학습에 도움을 주는 문장 도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화 시대가 급진전됨에 따라 각국의 인적 물적 교류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세계 공용어 역할을 하고 있는 영어 교육에 대한 필요성도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영어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다양한 교육용 영어 교재가 제작되고 있고, 수많은 학생들이 조기 영어 교육을 받고 있다.
그러나, 영어 단어 및 문장을 공부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면서 영어 공부에 대한 흥미를 잃고 영어학습에 좌절을 느끼고 있는 수많은 피교육자가 있다.
따라서, 그들의 요구와 눈높이에 맞추어 누구나 영어 문장을 쉽고 재미있게 배워 그것을 말할 수 있는 새로운 영어 학습 방법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의 문장 학습 방법은 각 국가 또는 언어권간의 어순 차이를 명확히 고려하지 아니하고, 피상적인 암기학습에만 치중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제 1 언어의 문장을 제 2 언어의 문장으로 쉽게 변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문장 도해를 제공하여, 이를 이용한 문장 학습을 통해 학습 효과를 높여 주는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는, 제 1 언어의 문장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을 해당 언어에서 정의된 문법 구조에 따라 분석하여 구성 성분별로 분리하는 문장 분석부; 상기 제1 언어의 문장의 구성 성분별 단어를 문장 도해상의 제 1 축 방향으로 배치하는 제1 단어 배치부; 상기 제1 언어의 문장의 구성 성분별 단어를 변환한 제 2 언어의 단어 정보를 상기 문장 도해상의 제 2 축 방향으로 배치하는 제2 단어 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문장 도해는 복수의 동심원의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동심원을 구성하는 각각의 원은 상기 제 2 언어의 어순을 근거로 하여 구별되는 문장구성 성분영역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장 도해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은, 가장 중심에 위치한 원을 주어 영역으로 하고, 상기 주어 영역을 직접 감싸는 원을 동사 영역으로 하고, 상기 동사 영역을 직접 감싸는 원을 대상 영역으로 하고, 상기 대상 영역을 직접 감싸는 원을 배경 영역으로 하고, 상기 배경 영역을 직접 감싸는 원을 추상 영역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축 방향은 Y축 방향이고, 상기 제1 단어 배치부는 상기 주어 영역에 배치되는 단어를 기점으로 하여 구성 성분이 동사인 단어, 구성 성분이 대상인 단어, 구성 성분이 배경인 단어, 구성 성분이 추상인 단어를 순차적으로 해당 영역에 배치하되, 상기 Y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어 배치부는, 상기 주어 영역의 단어를 최하위에 배치하고, 동사 영역의 단어를 상기 주어 영역의 단어 위에 배치하고, 대상 영역의 단어를 상기 동사 영역의 단어 위에 배치하고, 배경 영역의 단어를 상기 대상 영역의 단어 위에 배치하고, 추상 영역의 단어를 배경 영역의 단어 위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축 방향은 X축 방향이고, 상기 제2 단어 배치부는 상기 주어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구성 성분이 주어인 단어의 단어 정보를 기점으로 하여 구성 성분이 동사인 단어의 단어 정보, 구성 성분이 대상인 단어의 단어 정보, 구성 성분이 배경인 단어의 단어 정보, 구성 성분이 추상인 단어의 단어 정보를 순차적으로 해당 영역에 배치하되, 상기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어 배치부는, 상기 구성 성분이 주어인 단어의 단어 정보의 우측에 구성 성분이 동사인 단어의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상기 구성 성분이 동사인 단어의 단어 정보의 우측에 구성 성분이 대상인 단어의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상기 구성 성분이 대상인 단어의 단어 정보의 우측에 구성 성분이 배경인 단어의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상기 구성 성분이 배경인 단어의 단어 정보의 우측에 구성 성분이 추상인 단어의 단어 정보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문장 도해의 각각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은 상이한 칼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문장 도해의 각각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에는 해당 영역을 의미하는 단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변환된 문장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변환된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방법은, 입력부가, 제 1 언어의 문장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을 해당 언어에서 정의된 문법 구조에 따라 분석하여 구성 성분별로 분리하는 단계; 제1 단어 배치부가 상기 제1 언어의 문장의 구성 성분별 단어를 문장 도해상의 제 1 축 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 제2 단어 배치부가, 상기 제1 언어의 문장의 구성 성분별 단어를 변환한 제 2 언어의 단어 정보를 상기 문장 도해상의 제 2 축 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문장 도해는 복수의 동심원의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동심원을 구성하는 각각의 원은 상기 제 2 언어의 어순을 근거로 하여 구별되는 문장구성 성분영역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의 제 1 언어(예컨대, 한글)의 문장을 분석하여 구성 성분별로 분해하고, 분해된 구성 성분별 단어 및 해당 단어의 이미지를 제 2 언어(예컨대, 영어)의 어순으로 변환시켜서 문장 도해의 Y축 및/또는 X축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제 1 언어의 문장에 대한 제 2 언어의 문장 구조간 변환과정을 손쉽게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장 도해상의 단어 및 단어 정보의 배열을 보고서 제 2 언어의 문장을 쉽게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언어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문장 도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설명에 채용되는 문장 도해의 예시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문장 도해의 또 다른 예시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문장 도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와는 별개로 구성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는 스탠드 얼론(stand alone)형 컴퓨터에 설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와는 원거리에 떨어져서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서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는, 입력부(10), 문장 분석부(12), 어순 처리부(14), 제1 단어 배치부(16), 단어 정보 추출부(18), 제2 단어 배치부(20), 표시부(22), 변환부(24), 음성 출력부(26), 어순 정보 저장부(28), 단어 정보 저장부(30), 및 제어부(32)를 포함한다.
입력부(10)는 제 1 언어의 문장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제 1 언어는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언어(예컨대, 국어)를 의미할 수 있다.
문장 분석부(12)는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받은 제 1 언어의 문장을 해당 언어에서 정의된 문법 구조에 따라 분석하여 구성 성분(예컨대, 주어, 동사, 대상(목적어, 보어), 배경, 추상 등)으로 분해한다. 여기서, 분해라 함은 제 1 언어의 문장내의 단어를 구성 성분별로 분리해 냄을 의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문장 분석부(12)는 제 1 언어의 문장에서 주어에 해당하는 단어, 동사에 해당하는 단어, 대상에 해당하는 단어, 배경에 해당하는 단어, 추상에 해당하는 단어 등을 분리해 낼 수 있다. 즉, 문장 분석부(12)는 구문 분석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는 파서(parser)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어순 처리부(14)는 문장 분석부(12)의 결과인 구성 성분별 단어를 제 2 언어(예컨대, 외국어)의 어순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환이라 함은 문장 분석부(12)의 결과인 구성 성분별 단어를 제 2 언어의 어순에 맞게 배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단어 배치부(16)는 문장 분석부(12)에서 분해된 구성 성분별 단어(즉, 제 1 언어로 된 제 1 단어)를 제 2 언어의 어순에 따라 문장 도해(40)상의 Y축 방향을 따라 배치한다. 즉, 제1 단어 배치부(16)는 어순 처리부(14)에서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배열한 구성 성분별 제 1 단어를 문장 도해(40)상의 Y축 방향으로 배치한다.
여기서, 문장 도해(40)는 도 2에서와 같이 제 2 언어의 어순을 근거로 대략 5개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즉, 주어 영역, 동사 영역, 대상 영역(목적어, 보어), 배경 영역, 추상 영역(~위하여, ~하기 위해 등의 부가 문구))을 가진다. 즉, 문장 도해(40)는 마치 동심원과 같이 각기 상이한 지름(직경)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원을 가지되, 각각의 원은 하나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이 된다. 여기서, 각각의 원은 타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문장 도해(40)는 일반적인 문법체계에서 문장성분을 한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문법적 기능에 따라 나눈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장 도해(40)는 주어(S), 동사(V), 대상(목적어O, 보어C)이 주 요소인 통상의 문법 기능을 5개의 성분 프레임으로서 구분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주어, 동작, 대상, 배경 및 추상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영역 배치는 언어학적 어순간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든 존재가 주변과의 상호 작용의 결과물임을 전제로 3인칭 시점으로 사물을 관찰하는 동양권 어순과, 개체가 진정한 실체로 취급되는 1인칭 시점에서의 서양권 어순간 순서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 일본어등 동양권 어순은, 주어를 표현한 후 배경을 관찰하여 표현하고 대상을 표현한 후 동작을 표현하는 바, 주어 - 추상 - 배경 - 대상 - 동작 순으로 구성되나, 영어로 대표되는 서양권 어순은 주어로부터 시작하여 주어의 동작, 동작이 닿는 대상 및 배경으로서 눈에 보여지는 순서대로 표현되는 바, 주어 - 동작 - 대상 - 배경 - 추상의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어순에 따른 문화의 차이 등이 반영된 결과로서, 중국어 어순의 경우에는 주어 - 추상 - 배경 - 동작 - 대상과 같이, 동작이 우선하는 성향의 문화권에서는 동작과 대상의 순서가 바뀔 수 있다.
따라서, 문장 도해(40)는 기본적으로는 영어로 대표되는 제 2 언어를 학습하기 위하여, 각 영역이 X축 방향으로는 그 방향 자체가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배치되면서, Y축으로는 제 1 언어의 어순에 따른 단어가 그 단어별 성분 영역을 오가면서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장 도해(40)는 문장을 제 1 언어의 어순에 따라 먼저 Y축방향으로 단어를 각 영역에 배치한 후, 이를 X축으로 이동시키고 제 2 언어로 각각 변환하면, 변환된 문장이 X축 그대로 읽혀질 수 있게 됨으로써, 학습자가 문장간 어순변환 및 단어관계를 명확히 인지하고 다른 문장들도 쉽게 변환해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문장 도해(40)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중에서 가장 중심에 위치한 원은 주어 영역에 해당하고, 주어 영역을 직접 감싸는 원은 동사 영역에 해당하고, 동사 영역을 직접 감싸는 원은 대상 영역에 해당하고, 대상 영역을 직접 감싸는 원은 배경 영역에 해당하고, 배경 영역을 직접 감싸는 원은 추상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문장 도해(40)의 각각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은 상이한 칼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에는 해당 영역을 의미하는 단어(즉, 주어, 동사, 대상, 배경, 추상)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의 칼라를 상이하게 하고 각각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에 주어, 동사, 대상, 배경, 추상이라는 단어중에서 해당하는 단어를 표시하는 것은 문장 도해(40)를 보고 쉽게 제 2 언어의 어순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제1 단어 배치부(16)는 구성 성분별 단어중에서 구성 성분이 주어인 단어를 주어 영역에 배치하고, 구성 성분별 단어중에서 구성 성분이 동사인 단어를 동사 영역에 배치하고, 구성 성분별 단어중에서 구성 성분이 대상인 단어를 대상 영역에 배치하고, 구성 성분별 단어중에서 구성 성분이 배경인 단어를 배경 영역에 배치하고, 구성 성분별 단어중에서 구성 성분이 추상인 단어를 추상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어 배치부(16)는 주어 영역에 배치되는 단어를 기점으로 하여 구성 성분이 동사인 단어, 구성 성분이 대상인 단어, 구성 성분이 배경인 단어, 구성 성분이 추상인 단어를 제 1 언어에 대응한 문장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해당 영역에 배치하되, Y축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어 영역의 단어가 최하위에 배치되고, 동사 영역의 단어가 주어 영역의 단어 위에 배치되고, 대상 영역의 단어가 동사 영역의 단어 위에 배치되고, 배경 영역의 단어가 대상 영역의 단어 위에 배치되고, 추상 영역의 단어가 배경 영역의 단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어순 처리부(14) 및 제1 단어 배치부(16)를 각각 별개로 구성시켰으나, 필요에 따라 어순 처리부(14) 및 제1 단어 배치부(16)를 하나의 모듈로 합해도 무방하다.
단어 정보 추출부(18)는 문장 분석부(12)에서 분해된 구성 성분별 제 1 단어에 부합되는 제2 단어 정보를 단어 정보 저장부(30)의 정보를 근거로 추출한다. 여기서 제2 단어 정보는 제1 단어를 제 2 언어로 변환한 변환 단어일 수 있으며, 텍스트, 이미지 또는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의 단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어 배치부(20)는 단어 정보 추출부(18)에서 추출한 구성 성분별 제 1 단어에 부합하는 제2 단어 정보를 제 2 언어의 어순에 따라 문장 도해(40)상의 X축 방향을 따라 배치한다. 즉, 제2 단어 배치부(20)는 어순 처리부(14)에서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배열한 구성 성분별 단어의 단어 정보를 문장 도해(40)상의 X축 방향으로 배치한다.
예를 들어, 제2 단어 배치부(20)는 구성 성분별 단어중에서 구성 성분이 주어인 단어의 단어 정보를 주어 영역에 배치하고, 구성 성분별 단어중에서 구성 성분이 동사인 단어의 단어 정보를 동사 영역에 배치하고, 구성 성분별 단어중에서 구성 성분이 대상인 단어의 단어 정보를 대상 영역에 배치하고, 구성 성분별 단어중에서 구성 성분이 배경인 단어의 단어 정보를 배경 영역에 배치하고, 구성 성분별 단어중에서 구성 성분이 추상인 단어의 단어 정보를 추상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어 배치부(20)는 구성 성분이 주어인 단어(즉, 주어 영역에 배치되는 단어)의 단어 정보를 기점으로 하여 구성 성분이 동사인 단어의 단어 정보, 구성 성분이 대상인 단어의 단어 정보, 구성 성분이 배경인 단어의 단어 정보, 구성 성분이 추상인 단어의 단어 정보를 순차적으로 해당 영역에 배치하되,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성분이 주어인 단어의 단어 정보의 우측에 구성 성분이 동사인 단어의 단어 정보가 배치되고, 구성 성분이 동사인 단어의 단어 정보의 우측에 구성 성분이 대상인 단어의 단어 정보가 배치되고, 구성 성분이 대상인 단어의 단어 정보의 우측에 구성 성분이 배경인 단어의 단어 정보가 배치되고, 구성 성분이 배경인 단어의 단어 정보의 우측에 구성 성분이 추상인 단어의 단어 정보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도 1에서는 단어 정보 추출부(18) 및 제2 단어 배치부(20)를 각각 별개로 구성시켰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단어 정보 추출부(18) 및 제2 단어 배치부(20)를 하나의 모듈로 통합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단어 정보 추출부(18)가 제2 단어 배치부(2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제1 단어 배치부(16)가 각 영역별 단어(즉, 제 1 언어로 된 단어)를 문장 도해(40)에서 Y축 방향으로 배치하고, 제2 단어 배치부(20)가 각 영역별 단어 정보를 문장 도해(40)에서 X축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은 제 1 언어의 어순이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변환되는 방식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 1 언어의 단어가 Y축으로 먼저 배치되고, 이를 축변환하는 형태의 연속적인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면서, 축변환 이후 제1 언어가 변환된 제2 언어에 대응하는 단어 정보가 X축으로 배치되게 되면, 자연스럽게 제2 언어의 문장이 구현되면서 사용자는 문장의 언어간 구성변화를 쉽게 매칭시킬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학습자는 제1 언어의 문장으로부터 제 2 언어의 문장을 쉽게 연상할 수 있으므로 언어학습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부(22)는 제1 단어 배치부(16)에 의한 각 문장구성 성분영역의 단어(즉, 제 1 언어로 된 단어) 및 제2 단어 배치부(20)에 의해 해당 단어의 단어 정보가 각 문장구성 성분영역에 배치된 문장 도해(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표시부(22)는 제1 단어 배치부(16)에 의해 각각의 문장구성 성분영역별로 단어(즉, 제 1 언어로 된 단어)가 Y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이후 제2 단어 배치부(20)에 의해 각각의 문장구성 성분영역별로 단어 정보가 X축 방향으로 배치된 문장 도해(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22)는 X축 방향으로 배치된 문장 도해에 따라,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변환된 문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변환부(24)는 입력부(10)에서 입력받은 제 1 언어의 단어를 제 2 언어에 맞는 단어로 변환한다.
음성 출력부(26)는 변환부(24)에서의 변환 결과인 제 2 언어의 단어를 음성으로 출력하며, X 축 방향으로 순차 출력됨에 따라 제 2 언어의 변환된 문장이 최종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출력부(26)는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내장한다.
어순 정보 저장부(28)는 각각의 언어의 어순과 관련된 정보(즉, 어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어순 정보 저장부(28)는 제 1 언어의 문장의 구성요소의 배열 순위에 대한 어순 정보, 제 2 언어의 문장의 구성요소의 배열 순위에 대한 어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어순 정보라 함은 제 1 언어의 문장에서 주어에 해당하는 단어가 놓이게 되는 위치, 제 1 언어의 문장에서 동사에 해당하는 단어가 놓이게 되는 위치, 제 1 언어의 문장에서 대상(목적어, 보어)에 해당하는 단어가 놓이게 되는 위치, 제 1 언어의 문장에서 배경에 해당하는 단어가 놓이게 되는 위치, 제 1 언어의 문장에서 추상(~를 위하여, ~하기 위해 등)에 해당하는 단어가 놓이게 되는 위치, 제 2 언어의 문장에서 주어에 해당하는 단어가 놓이게 되는 위치, 제 2 언어의 문장에서 동사에 해당하는 단어가 놓이게 되는 위치, 제 2 언어의 문장에서 대상(목적어, 보어)에 해당하는 단어가 놓이게 되는 위치, 제 2 언어의 문장에서 배경에 해당하는 단어가 놓이게 되는 위치, 제 2 언어의 문장에서 추상(~를 위하여, ~하기 위해 등)에 해당하는 단어가 놓이게 되는 위치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어순 정보 저장부(28)는 제 1 언어의 문장을 제 2 언어의 문장으로 변환(변환)할 때의 문장의 구성요소의 배열 순위를 대한 어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어순 정보 저장부(28)는 "하나님이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라는 제1 어순의 한글 문장이 "God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라는 영어 문장으로 변환될 수 있는 제2 어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어순 정보 저장부(28)는 "하나님이 말씀하시기를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다."라는 제1 어순의 한글 문장이 "God said, "Let there be light" and there was light."라는 영어 문장으로 변환될 수 있는 제2 어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어순 정보 저장부(28)는 "그는 나에게 일주일에 두번 영어를 가르친다."라는 제1 어순의 한글 문장이 "He teaches me English twice a week."라는 영어 문장으로 변환될 수 있는 제2 어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어순 정보 저장부(28)는 상기에서 예시한 어순 정보 이외로, 다양한 어순 정보를 저장한다.
상술한 제 1 언어는 한글 또는 중국어가 될 수 있고, 제 2 언어는 영어가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반대가 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제 1 언어가 일본어가 될 수 있고, 제 2 언어는 영어가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반대가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예로 든 제 1 언어 및 제 2 언어는 한글, 중국어, 영어, 일본어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언어이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어순 정보 저장부(28)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단어 정보 저장부(30)는 단어별 단어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단어 정보는 해당 단어 정보를 보면 그에 상응하는 제 2 언어의 단어를 연상시킬 수 있는 기호를 의미할 수 있다. 기호는 부호, 그림, 문자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단어별 단어 정보는 부호, 그림, 문자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어 정보 저장부(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2)는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2)는 제 1 언어의 문장을 입력받으면 제 1 언어의 문장을 분석하여 구성 성분으로 분해한 후에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2)는 분해된 구성 성분의 단어(즉, 제 1 언어의 단어)를 문장 도해(40)상의 Y축을 따라 배치시키고, 분해된 구성 성분의 단어(즉, 제 1 언어의 단어)의 단어 정보를 문장 도해(40)상의 X축을 따라 배치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2)는 제 1 언어의 문장을 제 2 언어의 문장으로 변환한 결과를 화면표시 및/또는 음성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설명에 채용되는 문장 도해의 예시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한글 문장을 영어 문장으로 변환하는데 도움을 주는 문장 도해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설명한다.
먼저, 입력부(10)가 사용자가 입력한 한글 문장을 입력받는다(S10). 예를 들어, 입력받은 한글 문장이 "하나님이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어, 문장 분석부(12)는 입력부(10)에서 입력받은 한글 문장을 해당 언어에서 정의된 문법 구조에 따라 분석한다(S12).
분석 결과, 문장 분석부(12)는 한글 문장을 구성 성분(예컨대, 주어, 동사, 대상(목적어, 보어), 배경, 추상 등)으로 분해한다. 그에 따라, 문장 분석부(12)는 한글 문장내의 단어를 주어에 해당하는 단어(예컨대, 하나님), 동사에 해당하는 단어(창조하셨다), 대상에 해당하는 단어(하늘, 과, 땅)로 분리해 낼 수 있다(S14).
그리고 나서, 어순 처리부(14)는 문장 분석부(12)의 결과인 구성 성분별 단어를 영어의 어순으로 변환한다(S16). 여기서, 변환이라 함은 문장 분석부(12)의 결과인 구성 성분별 단어를 영어의 어순에 맞게 배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제1 단어 배치부(16)는 문장 분석부(12)에서 분해된 구성 성분별 단어(즉, 한글로 된 단어)를 영어의 어순에 따라 문장 도해(40)상의 Y축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표시부(22)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18). 즉, 제1 단어 배치부(16)는 어순 처리부(14)에서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배열한 구성 성분별 단어를 문장 도해(40)상의 Y축 방향으로 배치하고, 표시부(22)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문장 도해(40)상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중에서 주어 영역에는 "하나님"이라는 한글 단어가 배치되고, 동사 영역에는 "창조하셨다"라는 한글 단어가 배치되고, 대상 영역에는 "하늘", "과", "땅"이라는 한글 단어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단어 정보 추출부(18)는 문장 분석부(12)에서 분해된 구성 성분별 단어(즉, 하나님, 창조하셨다, 하늘, 과, 땅)의 이미지에 부합되는 단어 정보를 단어 정보 저장부(30)의 정보를 근거로 추출한다(S20).
그리고 나서, 제2 단어 배치부(20)는 단어 정보 추출부(18)에서 추출한 구성 성분별 단어의 단어 정보를 제 2 언어의 어순에 따라 문장 도해(40)상의 X축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표시부(22)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22). 즉, 제2 단어 배치부(20)는 어순 처리부(14)에서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배열한 구성 성분별 단어의 단어 정보를 문장 도해(40)상의 X축 방향으로 배치하고, 표시부(22)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문장 도해(40)상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중에서 주어 영역에는 "하나님"이라는 한글 단어의 단어 정보가 배치되고, 동사 영역에는 "창조하셨다"라는 한글 단어의 단어 정보가 배치되고, 대상 영역에는 "하늘", "과", "땅"이라는 한글 단어의 단어 정보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서는 문장 도해(40)상의 Y축을 따라 주어 영역에는 "하나님"이라는 한글 단어가 배치되고, 동사 영역에는 "창조하셨다"라는 한글 단어가 배치되고, 대상 영역에는 "하늘", "과", "땅"이라는 한글 단어가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도 5의 문장 도해(40)상의 X축을 따라 문장구성 성분영역중에서 주어 영역에는 "하나님"이라는 한글 단어의 단어 정보가 배치되고, 동사 영역에는 "창조하셨다"라는 한글 단어의 단어 정보가 배치되고, 대상 영역에는 "하늘", "과", "땅"이라는 한글 단어의 단어 정보가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한글 단어 및 그에 상응하는 단어 정보가 X축 및 Y축으로 나누어 배치되면 사용자는 단어와 단어 정보를 쉽게 매칭시킬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영어의 어순으로 배열된 단어 정보에 상응하는 영어 단어를 쉽게 연상해 내어 영어로 된 문장을 쉽게 완성할 수 있으므로 언어학습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문장 도해(40)상에 Y축을 따라 한글 단어를 표시한 이후에 X축을 따라 단어 정보를 표시할 때 Y축의 한글 단어는 사라지게 하고 X축의 단어 정보만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은 디스플레이 이후에 도 6에서와 같이 문장 도해(40)상의 X축을 따라 주어 영역에는 "하나님"이라는 한글 단어의 단어 정보가 배치되고, 동사 영역에는 "창조하셨다"라는 한글 단어의 단어 정보가 배치되고, 대상 영역에는 "하늘", "과", "땅"이라는 한글 단어의 단어 정보가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도 5 또는 도 6과 같은 문장 도해(40)를 보고, 사용자는 "God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라는 영어 문장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Y축 방향의 "하나님"이라는 한글 단어, "창조하셨다"라는 한글 단어, 및 "하늘", "과", "땅"이라는 한글 단어를 순차적으로 보고서 "God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라는 영어 문장을 완성할 수 있다. 물론, "하나님"이라는 한글 단어의 단어 정보, "창조하셨다"라는 한글 단어의 단어 정보, 및 "하늘", "과", "땅"이라는 한글 단어의 단어 정보를 보고서 "God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라는 영어 문장을 완성할 수도 있다.
이후, 변환부(24)는 입력부(10)에서 입력받은 한글 문장(즉, 하나님은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을 영어의 어순에 맞는 문장(즉, God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영어 문장을 표시부(22)를 통해 화면표시하거나 음성 출력부(26)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S24).
도 7 내지 도 11은 문장 도해의 또 다른 예시이다.
도 7은 "당신은 차고를 가지고 있습니까?"라는 한글 문장을 영어 어순에 맞게 문장 도해(40)상에 단어 정보를 배치시킨 것이다.
즉, 사용자가 "당신은 차고를 가지고 있습니까?"라는 한글 문장을 입력하게 되면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는 도 7에서와 같은 문장 도해(40)를 화면표시한다. 즉, 도 7의 문장 도해(40)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중에서 주어 영역에는 "당신"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동사 영역에는 "가지고 있다"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대상 영역에는 "차고", 및 의문문 표시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예컨대, "?")를 배치한다.
특히, 동사 영역의 "가지고 있다"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배치함에 있어서, 상기의 한글 문장은 의문문이므로 동사 영역에서 주어 영역의 좌측에는 의문문임을 나타내는 단어 정보(예컨대, 조동사 do)를 배치하고, 주어 영역의 우측에는 "가지고 있다"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배치한다.
사용자는 상술한 도 7과 같은 문장 도해(40)를 보고서 "Do you have a garage?"라는 영어 문장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하나님은 빛을 낮이라 하시고 어둠을 밤이라고 하셨다."라는 한글 문장을 영어 어순에 맞게 문장 도해(40)상에 단어 정보를 배치시킨 것이다.
즉, 사용자가 "하나님은 빛을 낮이라 하시고 어둠을 밤이라고 하셨다."라는 한글 문장을 입력하게 되면 이 경우에는 2개의 구문으로 형성되므로, 도 8에서와 같이,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는 2개의 문장 도해를 화면표시한다.
이때, 좌측의 문장 도해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중에서 주어 영역에는 "하나님"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동사 영역에는 "하셨다"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대상 영역에는 "빛", 및 "낮"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각각 배치한다.
그리고, 우측의 문장 도해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중에서 주어 영역에는 "하나님"을 지칭하는 대명사의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동사 영역에는 "하셨다"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대상 영역에는 "어둠", 및 "밤"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각각 배치한다.
특히, 우측의 문장 도해에서 대상 영역의 "어둠", 및 "밤"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배치함에 있어서, 대상 영역에서 주어 영역의 좌측에는 "어둠"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대상 영역에서 주어 영역의 우측에는 "밤"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가 배치한다.
이와 같이 두 개 이상의 구문이 나열된 문장의 경우에는 구문별로 분리하여 각각의 구문에 맞는 문장 도해를 따로 처리하여 나열한다.
사용자는 상술한 도 8과 같은 문장 도해(40)를 보고서 "God called the light "day" and the darkness he called "night"."라는 영어 문장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그는 나에게 일주일에 두번 영어를 가르친다."라는 한글 문장을 영어 어순에 맞게 문장 도해(40)상에 단어 정보를 배치시킨 것이다.
즉, 사용자가 "그는 나에게 일주일에 두번 영어를 가르친다."라는 한글 문장을 입력하게 되면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는 도 9에서와 같은 문장 도해(40)를 화면표시한다. 즉, 도 9의 문장 도해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중에서 주어 영역에는 "그"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동사 영역에는 "가르친다"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대상 영역에는 "나", 및 "영어"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각각 배치하고, 배경 영역에는 "두번", 및 "일주일"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각각 배치한다.
사용자는 상술한 도 9와 같은 문장 도해(40)를 보고서 "He teaches me English twice a week."라는 영어 문장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나는 그녀의 눈에서 눈물을 보았다."라는 한글 문장을 영어 어순에 맞게 문장 도해(40)상에 단어 정보를 배치시킨 것이다.
즉, 사용자가 "나는 그녀의 눈에서 눈물을 보았다."라는 한글 문장을 입력하게 되면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는 도 10에서와 같은 문장 도해(40)를 화면표시한다. 즉, 도 10의 문장 도해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중에서 주어 영역에는 "나"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동사 영역에는 "보았다"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대상 영역에는 "눈물"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배경 영역에는 "그녀", "눈"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각각 배치한다.
사용자는 상술한 도 10과 같은 문장 도해(40)를 보고서 "I saw tears in her eyes."라는 영어 문장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이 얼마나 아름다운 무지개인지!"라는 한글 문장을 영어 어순에 맞게 문장 도해(40)상에 단어 정보를 배치시킨 것이다.
즉, 사용자가 "이 얼마나 아름다운 무지개인지!"라는 한글 문장을 입력하게 되면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는 도 11에서와 같은 문장 도해(40)를 화면표시한다. 즉, 도 11의 문장 도해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중에서 주어 영역에는 "무지개"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배치하되 형용사인 "아름다운"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함께 배치한다. 그리고, 명사가 문장내에 있으므로 "what"으로 시작하는 감탄문을 만들게 되어 대상 영역(특히, 주어 영역의 왼쪽)에는 "what"에 해당하는 단어 정보를 배치한다.
사용자는 상술한 도 11과 같은 문장 도해(40)를 보고서 "What a beautiful rainbow!"라는 영어 문장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여러 가지의 한글 문장에 대하여 영어 문장으로의 변환을 쉽게 유도할 수 있게 도와주는 문장 도해의 예들을 도시 및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및 방법은 상기에서 예시한 한글 문장 이외의 한글 문장에 대해서도 얼마든지 영어 문장으로의 변환을 쉽게 유도할 수 있게 도와주는 문장 도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입력부 12 : 문장 분석부
14 : 어순 처리부 16 : 제1 단어 배치부
18 : 단어 정보 추출부 20 : 제2 단어 배치부
22 : 표시부 24 : 변환부
26 : 음성 출력부 28 : 어순 정보 저장부
30 : 단어 정보 저장부 32 : 제어부
40 : 문장 도해

Claims (14)

  1. 제 1 언어의 문장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을 해당 언어에서 정의된 문법 구조에 따라 분석하여 구성 성분별로 분리하는 문장 분석부;
    상기 제1 언어의 문장의 구성 성분별 단어를 문장 도해상의 제 1 축 방향으로 배치하는 제1 단어 배치부;
    상기 제1 언어의 문장의 구성 성분별 단어를 변환한 제 2 언어의 단어 정보를 상기 문장 도해상의 제 2 축 방향으로 배치하는 제2 단어 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문장 도해는 복수의 동심원의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동심원을 구성하는 각각의 원은 상기 제 2 언어의 어순을 근거로 하여 구별되는 문장구성 성분영역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장 도해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은,
    가장 중심에 위치한 원을 주어 영역으로 하고,
    상기 주어 영역을 직접 감싸는 원을 동사 영역으로 하고,
    상기 동사 영역을 직접 감싸는 원을 대상 영역으로 하고,
    상기 대상 영역을 직접 감싸는 원을 배경 영역으로 하고,
    상기 배경 영역을 직접 감싸는 원을 추상 영역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 방향은 Y축 방향이고,
    상기 제1 단어 배치부는 상기 주어 영역에 배치되는 단어를 기점으로 하여 구성 성분이 동사인 단어, 구성 성분이 대상인 단어, 구성 성분이 배경인 단어, 구성 성분이 추상인 단어를 순차적으로 해당 영역에 배치하되, 상기 Y축 방향으로 제1 언어의 어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하며,
    상기 제1 단어 배치부의 배치 과정이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어 배치부는,
    상기 주어 영역의 단어를 최하위에 배치하고, 동사 영역의 단어를 상기 주어 영역의 단어 위에 배치하고, 대상 영역의 단어를 상기 동사 영역의 단어 위에 배치하고, 배경 영역의 단어를 상기 대상 영역의 단어 위에 배치하고, 추상 영역의 단어를 배경 영역의 단어 위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축 방향은 X축 방향이고,
    상기 제2 단어 배치부는 상기 제1 언어의 문장의 구성 성분별 단어로부터, 상기 주어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구성 성분이 주어인 단어의 제2 단어 정보를 기점으로 하여 구성 성분이 동사인 단어의 제2 단어 정보, 구성 성분이 대상인 단어의 제2 단어 정보, 구성 성분이 배경인 단어의 제2 단어 정보, 구성 성분이 추상인 단어의 제2 단어 정보를 순차적으로 변환 획득하여 해당 영역에 배치하되, 상기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며,
    상기 제2 단어 배치부의 변환 및 배치 과정이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어 배치부는,
    상기 구성 성분이 주어인 단어의 단어 정보의 우측에 구성 성분이 동사인 단어의 제2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상기 구성 성분이 동사인 단어의 단어 정보의 우측에 구성 성분이 대상인 단어의 제2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상기 구성 성분이 대상인 단어의 단어 정보의 우측에 구성 성분이 배경인 단어의 제2 단어 정보를 배치하고, 상기 구성 성분이 배경인 단어의 제2 단어 정보의 우측에 구성 성분이 추상인 단어의 제2 단어 정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장 도해의 각각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은 상이한 칼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장 도해의 각각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에는 해당 영역을 나타내는 단어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변환된 문장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변환된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11. 입력부가, 제 1 언어의 문장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을 해당 언어에서 정의된 문법 구조에 따라 분석하여 구성 성분별로 분리하는 단계;
    제1 단어 배치부가 상기 제1 언어의 문장의 구성 성분별 단어를 문장 도해상의 제 1 축 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
    제2 단어 배치부가, 상기 제1 언어의 문장의 구성 성분별 단어를 변환한 제 2 언어의 단어 정보를 상기 문장 도해상의 제 2 축 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문장 도해는 복수의 동심원의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동심원을 구성하는 각각의 원은 상기 제 2 언어의 어순을 근거로 하여 구별되는 문장구성 성분영역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문장 도해의 문장구성 성분영역은,
    가장 중심에 위치한 원을 주어 영역으로 하고,
    상기 주어 영역을 직접 감싸는 원을 동사 영역으로 하고,
    상기 동사 영역을 직접 감싸는 원을 대상 영역으로 하고,
    상기 대상 영역을 직접 감싸는 원을 배경 영역으로 하고,
    상기 배경 영역을 직접 감싸는 원을 추상 영역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 방향은 Y축 방향이고,
    상기 제 1 축 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주어 영역에 배치되는 단어를 기점으로 하여 구성 성분이 동사인 제1 단어, 구성 성분이 대상인 제1 단어, 구성 성분이 배경인 제1 단어, 구성 성분이 추상인 제1 단어를 순차적으로 해당 영역에 배치하되, 상기 Y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2 축 방향은 X축 방향이고,
    상기 제 2 축 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주어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구성 성분이 주어인 단어의 제2 단어 정보를 기점으로 하여 구성 성분이 동사인 단어의 제2 단어 정보, 구성 성분이 대상인 단어의 제2 단어 정보, 구성 성분이 배경인 단어의 제2 단어 정보, 구성 성분이 추상인 단어의 제2 단어 정보를 순차적으로 해당 영역에 배치하되, 상기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방법.
KR1020180053697A 2018-05-10 2018-05-10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604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697A KR102604308B1 (ko) 2018-05-10 2018-05-10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697A KR102604308B1 (ko) 2018-05-10 2018-05-10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284A true KR20190129284A (ko) 2019-11-20
KR102604308B1 KR102604308B1 (ko) 2023-11-20

Family

ID=6872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697A KR102604308B1 (ko) 2018-05-10 2018-05-10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573A (ko) * 2020-08-12 2022-02-21 박경철 다른 언어간 문장 구조 분석을 기초로 도형화된 문장으로 변환하는 언어 학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414A (ko) * 2011-07-28 2013-02-06 홍성호 외국어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84254B1 (ko) * 2014-08-20 2016-01-11 이승학 언어 학습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70140742A (ko) * 2016-06-13 2017-12-21 (주)기신영 영어식 표현방식 학습을 위한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414A (ko) * 2011-07-28 2013-02-06 홍성호 외국어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84254B1 (ko) * 2014-08-20 2016-01-11 이승학 언어 학습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70140742A (ko) * 2016-06-13 2017-12-21 (주)기신영 영어식 표현방식 학습을 위한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573A (ko) * 2020-08-12 2022-02-21 박경철 다른 언어간 문장 구조 분석을 기초로 도형화된 문장으로 변환하는 언어 학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308B1 (ko) 202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17642A1 (e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95364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reading materials based on reading ability
JPWO2016129515A1 (ja) 外国語学習用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1670326B1 (ko) 언어 문장 패턴 제안을 위한 생성 시스템
Ogundokun et al. An android based language translator application
US20140120503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platform of dual language electronic book file generation
KR20170009486A (ko) 청크 기반 언어 학습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KR102604308B1 (ko)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871490B1 (ko) 성조 컬러표시 장치 및 방법
US202103431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RU2479867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лингвистиче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Tiwari et al. E-learning tool for Japanese language learning through English, Hindi and Tamil: A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CALL) based approach
KR102129725B1 (ko)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US20140272819A1 (en) Computer-implemented language heuristics
CN111047924A (zh) 一种记忆英语单词的视觉化方法及系统
Oxley et al. Considerations for Chinese text input methods in the design of speech generating devices: a tutorial
KR102453876B1 (ko) 외국어 스피킹 훈련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10022288A (ko) 문장을 이루는 단위를 단계별 확장하여 스텝화한 영어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580684A (zh) 基于Web技术实现多学科智能键盘的方法、存储介质
KR102616915B1 (ko)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22399A (ko) 퍼즐 게임으로 어순을 학습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05496A (ko) 외국어 학습 제어 방법
KR102669428B1 (ko) 일본어 문서의 표절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45150B1 (ko) 영어 교육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