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725B1 -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 Google Patents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725B1
KR102129725B1 KR1020180093794A KR20180093794A KR102129725B1 KR 102129725 B1 KR102129725 B1 KR 102129725B1 KR 1020180093794 A KR1020180093794 A KR 1020180093794A KR 20180093794 A KR20180093794 A KR 20180093794A KR 102129725 B1 KR102129725 B1 KR 102129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sentence
area
english
ver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053A (ko
Inventor
김대은
Original Assignee
(주)스콜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콜라 filed Critical (주)스콜라
Priority to KR1020180093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7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1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문장의 결합으로 다른 하나의 영어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에 대한 학습을 할 수 있는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인을 나타내는 제1동사(111)가 표시되는 제1동사표시영역(110)이 설정된 제1학습영역(100)과; 원인의 결과를 상태로 나타내는 제2동사(211)가 표시되는 제2동사표시영역(210)이 설정된 제2학습영역(200)과; 제1학습영역(100) 및 제2학습영역(200)의 내용이 결합된 문장의 동사를 표시하는 완성문장동사표시영역(310)이 설정된 완성문장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교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Teaching materials for study of English}
본 발명은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문장의 결합으로 다른 하나의 영어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에 대한 학습을 할 수 있는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어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언어로서 국내의 영어 학습에 관한 관심은 매우 높으나, 다양한 영어 학습 방식에도 불구하고 영어에 대한 학습 능률은 기대한 것처럼 높지 않다.
또한, 영어를 학습하는 사람들에 있어서 영어문장을 독해하거나 듣고 해석하는 데에 비해 영어문장을 완성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특허문헌 1) KR10-1186060 B1
본 발명의 목적은 영어문장을 완성하는 데에 있어서, 학습자가 쉽게 접근가능하도록 진입장벽을 낮추고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을 통해 학습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원인을 나타내는 제1동사(111)가 표시되는 제1동사표시영역(110)이 설정된 제1학습영역(100)과; 원인의 결과를 상태로 나타내는 제2동사(211)가 표시되는 제2동사표시영역(210)이 설정된 제2학습영역(200)과; 제1학습영역(100) 및 제2학습영역(200)의 내용이 결합된 문장의 동사를 표시하는 완성문장동사표시영역(310)이 설정된 완성문장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교재를 개시한다.
제1, 2학습영역(100, 200) 및 완성문장부(300)는 주어(121, 221, 321)가 표시되는 주어표시영역(120, 220, 320)이 설정되고, 주어와 동사를 제외한 나머지 문장구성(131, 231, 331)이 표시되는 문장구성표시영역(130, 230, 330)이 설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동사표시영역(110, 210), 주어표시영역(120, 220, 320) 및 문장구성표시영역(130, 230, 330)은, 각각 제1 및 2동사(111, 211), 주어(121, 221, 321) 및 문장구성(131, 231, 331) 각각에 대응되는 그림, 한글표기 및 영문표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다.
문장구성(131, 231, 331)은, 목적어, 보어, 수식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학습영역(100)과 제2학습영역(200)이 교재 한 페이지에 상하 또는 좌우로 기재될 수 있다.
제1학습영역(100)과 상기 제2학습영역(200)이 결합되는 원리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결합설명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시각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은, 원인을 나타내는 제1동사(111)가 표시되는 제1동사표시영역(110)이 설정된 제1학습영역(100)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1학습영역표시단계와; 원인의 결과를 상태로 나타내는 제2동사(211)가 표시되는 제2동사표시영역(210)이 설정된 제2학습영역(200)을 디스플레이부에 제2학습영역표시단계와; 제1학습영역(100) 및 제2학습영역(200)의 내용을 결합하여 완성된 문장의 동사를 표시하는 완성문장동사표시영역(310)이 설정된 완성문장부(300)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완성문장부표시단계를 포함한다.
제1학습영역(100)과 제2학습영역(200)이 결합되는 원리를 표현하는 결합설명부(400)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결합설명부표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방법은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영어문장을 보다 쉽게 완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그림과 한글표기를 함께 기재하여 직관적으로 단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고, 문장의 결합을 도식화할 수 있어 문장을 완성하는 데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영어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어학습에 손쉽게 접근 가능하고, 핸드폰이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평소에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방법을 교재에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방법을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방법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교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인을 나타내는 제1동사(111)가 표시되는 제1동사표시영역(110)이 설정된 제1학습영역(100)과; 원인의 결과를 상태로 나타내는 제2동사(211)가 표시되는 제2동사표시영역(210)이 설정된 제2학습영역(200)과; 제1학습영역(100) 및 제2학습영역(200)의 내용이 결합된 문장의 동사를 표시하는 완성문장동사표시영역(310)이 설정된 완성문장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동사(111)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사로서, 완성된 문장의 원인이 되는 동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동사(111)는, 제1학습영역(100)과 제2학습영역(200)의 내용이 결합하여 완성된 문장의 동사와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동사(211)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로서, 원인이 되는 움직임에 의해 나타나는 상태 즉, 결과를 나타내는 동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2학습영역(100, 200) 및 완성문장부(300)는 주어(121, 221, 321)가 표시되는 주어표시영역(120, 220, 320)이 설정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어(121, 221, 321)는 명사 또는 대명사인 것이 바람직하나, 주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제1,2학습영역(100, 200) 및 완성문장부(300)의 주어(121, 221, 321)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주어가 일치할 수 있으며, 3개의 주어가 모두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2학습영역(100, 200) 및 완성문장부(300)는 주어와 동사를 제외한 나머지 문장구성(131, 231, 331)이 표시되는 문장구성표시영역(130, 230, 330)이 설정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문장구성(131, 231, 331)은, 목적어, 보어, 수식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문장구성(131, 231, 331)은 형용사, 부사, 형용사구/절, 부사구/절 등 문장을 이루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동사표시영역(110, 210), 주어표시영역(120, 220, 320) 및 문장구성표시영역(130, 230, 330)은, 각각 제1 및 2동사(111, 211), 주어(121, 221, 321) 및 문장구성(131, 231, 331) 각각에 대응되는 그림, 한글표기 및 영문표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표시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영문표기가 필수적으로 기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황에 따라 영문표기를 기재하지 않고, 한글표기에 따른 영문표기를 학습자를 통해 기재하도록 하여 영어단어부터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림, 한글표기 및 영문표기는 상하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교재의 구성에 따라 좌우로 배열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제1학습영역(100)과 제2학습영역(200)을 차례로 진행하면서 문장을 완성하도록 학습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동사표시영역(110, 210), 주어표시영역(120, 220, 320) 및 문장구성표시영역(130, 230, 330)은, 시각적으로 서로 다르게 표시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동사표시영역(110, 210), 주어표시영역(120, 220, 320) 및 문장구성표시영역(130, 230, 330)은, 문장을 구성하는 역할에 따라 색을 달리하거나, 글씨체를 달리하거나, 밑줄, 점선, 굵은선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동사표시영역(110, 210)은 하얀색으로 표시하고, 주어표시영역(120, 220, 320)은 빨간색으로 표시하며, 문장구성표시영역(130, 230, 330)은 파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어(121, 221, 321) 및 문장구성(131, 231, 331) 중 생략되는 구성이 있다면, 주어표시영역(120, 220, 320) 및 문장구성표시영역(130, 230, 330)을 점선으로 표시하거나, 연하게 표시하여 생략되는 구성임을 시각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어(121, 221, 321) 및 문장구성(131, 231, 331)은 서로 같거나 연관관계가 있는 구성으로 다양항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학습영역(100)의 주어(121)와 제2학습영역(200)의 주어(221) 및 완성문장부(300)의 주어(321)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학습영역(100)의 문장구성(131)과 제2학습영역(200)의 문장구성(231)이 동일할 수 있으며, 완성문장부(300)의 문장구성(331)이 상기 동일한 문장구성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학습영역(100)의 문장구성(131)은 생략될 수 있고, 상기 제2학습영역(200)의 주어(221) 및 문장구성(231)이 완성문장부(300)의 문장구성(331)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학습영역(100)의 문장구성(131)과 상기 제2학습영역(200)의 주어(221)가 동일하여, 상기 제2학습영역(200)의 주어(221)가 생략되어 결합되어 완성문장부(30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학습영역(100)과 제2학습영역(200)은, 차례로 진행하면서 문장을 완성하는 학습을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학습영역(100)과 제2학습영역(200)은, 상하 또는 좌우로 기재되고 제1학습영역(100)과 제2학습영역(200)을 차례로 진행하거나, 각각 다른페이지에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완성문장부(300)는, 완성된 문장을 학습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완성문장부(300)는, 영어표기 및 한글표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기재될 수 있으며, 영어표기가 필수적으로 기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한글표기만을 기재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영어표기를 기재하는 학습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완성문장부(300)를 스스로 완성하도록 완성문장부(300)가 빈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이전 페이지에서 먼저 문장을 완성한 뒤 다음 페이지의 완성문장부(300)를 확인하여 학습자가 완성한 문장이 올바른지 확인하도록 학습하도록 완성문장부(300)가 제1학습영역(100) 및 제2학습영역(200)이 기재된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영어학습교재는, 제1학습영역(100)과 상기 제2학습영역(200)이 결합되는 원리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결합설명부(4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설명부(400)는, 서술형으로 기재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제1,2학습영역(100, 200)과 유사하게 도식화되어서 기재되어 있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설명부(400)는, 제1,2학습영역(100, 200)과 마찬가지로 동사표시영역을 가질 수 있고, 기존의 문장에서 결합 시 생략되는 부분을 점선으로 표시하는 등의 기재를 함으로써, 상기 동사의 일반화된 결합방법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학습영역(100, 200), 완성문장부(300) 및 결합설명부(400)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의 주제를 표시하는 주제부(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방법은, 두 개의 문장이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문장을 만드는 학습방법으로 동사의 활용이 주된 내용인 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사를 주제부(500)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제부(500)는, 눈에 잘 띄도록 굵은 글씨 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한글표기와 영문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교재는, 책자 등 물리적 구성 이외에 아래한글 파일, PDF 파일, 워드 파일, 이미지 파일 등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하여 모니터 등 화상에 표시될 수 있는 컴퓨터 파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은, 사용자에게 시각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으로서, 원인을 나타내는 제1동사(111)가 표시되는 제1동사표시영역(110)이 설정된 제1학습영역(100)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1학습영역표시단계와; 원인의 결과를 상태로 나타내는 제2동사(211)가 표시되는 제2동사표시영역(210)이 설정된 제2학습영역(200)을 디스플레이부에 제2학습영역표시단계와; 제1학습영역(100) 및 제2학습영역(200)의 내용을 결합하여 완성된 문장의 동사를 표시하는 완성문장동사표시영역(310)이 설정된 완성문장부(300)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완성문장부표시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어학습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상기한 영어학습교재를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영어학습교재의 어느 한 페이지 전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영어학습교재 대신에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어학습교재의 일부만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화면에 제1학습영역(100)과 제2학습영역(200) 및 완성문장부(300)가 순서대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학습영역(100)과 제2학습영역(200)만 한 화면에 표시된 후, 클릭이나 터치 등에 의해 다른 화면에 완성문장부(300)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학습영역(100)만을 표시하도록 한 후, 클릭이나 터치 등에 의해 다음 화면에 제2학습영역(200)이 표시되도록 한 후, 다시 클릭이나 터치 등에 의해 다음 화면에 완성문장부(300)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다양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영어학습교재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학습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정보 접근을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IT 기기들로서, 휴대폰, 스마트폰, 데스크탑, 노트북 등의 다양한 기기들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단말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모니터, 프로젝션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사용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의 수행에 있어서 제1동사(111), 제2동사(211), 문장 등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정보들은, 사용자 단말을 구성하는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사용자 단말과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서버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의 수행 과정에서 서버를 통하여 참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의 수행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서버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제1학습영역표시단계, 제2학습영역표시단계, 및 완성문장부표시단계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제1학습영역 200 : 제2학습영역
300 : 완성문장부 400 : 결합설명부

Claims (11)

  1. 원인을 나타내는 제1동사(111)가 표시되는 제1동사표시영역(110)이 설정된 제1학습영역(100)과;
    상기 원인의 결과를 상태로 나타내는 제2동사(211)가 표시되는 제2동사표시영역(210)이 설정된 제2학습영역(200)과;
    상기 제1학습영역(100) 및 상기 제2학습영역(200)의 내용이 결합된 문장의 동사를 표시하는 완성문장동사표시영역(310)이 설정된 완성문장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학습영역(100), 상기 제2학습영역 및 상기 완성문장부(300)는, 한 페이지 내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페이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교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학습영역(100, 200) 및 상기 완성문장부(300)는 주어(121, 221, 321)가 표시되는 주어표시영역(120, 220, 320)이 설정되고, 주어와 동사를 제외한 나머지 문장구성(131, 231, 331)이 표시되는 문장구성표시영역(130, 230, 330)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교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동사표시영역(110, 210), 주어표시영역(120, 220, 320) 및 문장구성표시영역(130, 230, 330)은, 각각 상기 제1 및 2동사(111, 211), 주어(121, 221, 321) 및 문장구성(131, 231, 331) 각각에 대응되는 그림, 한글표기 및 영문표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교재.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문장구성(131, 231, 331)은, 목적어, 보어, 수식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교재.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학습영역(100)과 상기 제2학습영역(200)이 결합되는 원리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결합설명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설명부(400)는, 상기 완성문장부(300) 다음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교재.
  7. 사용자에게 시각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으로서,
    원인을 나타내는 제1동사(111)가 표시되는 제1동사표시영역(110)이 설정된 제1학습영역(10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1학습영역표시단계와;
    상기 원인의 결과를 상태로 나타내는 제2동사(211)가 표시되는 제2동사표시영역(210)이 설정된 제2학습영역(20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2학습영역표시단계와;
    상기 제1학습영역(100) 및 상기 제2학습영역(200)의 내용을 결합하여 완성된 문장의 동사를 표시하는 완성문장동사표시영역(310)이 설정된 완성문장부(30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완성문장부표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학습영역(100), 상기 제2학습영역 및 상기 완성문장부(300)는, 한 페이지 내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페이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학습영역(100)과 상기 제2학습영역(200)이 결합되는 원리를 표현하는 결합설명부(400)를 상기 완성문장부(300)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결합설명부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2학습영역(100, 200) 및 상기 완성문장부(300)는 주어(121, 221, 321)가 표시되는 주어표시영역(120, 220, 320)이 설정되고, 주어와 동사를 제외한 나머지 문장구성(131, 231, 331)이 표시되는 문장구성표시영역(130, 230, 330)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동사표시영역(110, 210), 주어표시영역(120, 220, 320) 및 문장구성표시영역(130, 230, 330)은, 각각 상기 제1 및 2동사(111, 211), 주어(121, 221, 321) 및 문장구성(131, 231, 331) 각각에 대응되는 그림, 한글표기 및 영문표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문장구성(131, 231, 331)은, 목적어, 보어, 수식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KR1020180093794A 2018-08-10 2018-08-10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KR102129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794A KR102129725B1 (ko) 2018-08-10 2018-08-10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794A KR102129725B1 (ko) 2018-08-10 2018-08-10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053A KR20200018053A (ko) 2020-02-19
KR102129725B1 true KR102129725B1 (ko) 2020-07-03

Family

ID=6967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794A KR102129725B1 (ko) 2018-08-10 2018-08-10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7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074B1 (ko) 2020-07-30 2021-01-14 정재윤 영어 학습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4970A (ko) * 2006-09-13 2006-10-09 김주형 명사의 수와 격으로 구분하는 문장의 구조와 동사의 수와격으로 구분하는 동사의 구조에 따른 영어문장의 원리
KR20140094919A (ko) * 2013-01-23 2014-07-31 원종호 문장 형식별 구성요소 배열 및 확장에 따른 언어 교육 시스템 및 방법과 기록 매체: 팩토리얼 언어 교육법
KR20180083481A (ko) * 2017-01-13 2018-07-23 (주)스콜라 영어 학습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074B1 (ko) 2020-07-30 2021-01-14 정재윤 영어 학습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053A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garra et al. Processing of gender and number agreement in late Spanish bilinguals
Al-Mouh et al. A first look into MOOCs accessibility: The case of Coursera
Tucci et al. A review of the evidence on strategies for teaching children who are DHH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US95364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reading materials based on reading ability
Moorhouse et al. Generative AI tools and assessment: Guidelines of the world's top-ranking universities
Áfio et al. Accessibility assessment of assistive technology for the hearing impaired
JPWO2016129515A1 (ja) 外国語学習用プログラム及び方法
Gupt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Physical Education
KR102129725B1 (ko)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Hussain et al. Usability evaluation of english, local and plain languages to enhance on-screen text readability: A use case of Pakistan
Taufiqurrochman et al. Student’s Perception of E-Dictionary Arabic Indonesian in IR 4.0 Era
Haramundanis Learnability in information design
Francis Literacy and the language awareness hypothesis
Negreiros et al. Effect of an app on students’ knowledge about diabet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KR20180130743A (ko)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
RU2010153941A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лингвистиче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KR102129726B1 (ko)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Flanagan Map it out! Using technology-based concept mapping for written expression
Kearns et al. Designing online courses for screen reader users.
McDermott-Wells Math in the dark: Tools for expressing mathematical content by visually impaired students
Araújo et al. Pedagogic software evaluation protocol: analyzing a digital educational game for portuguese language teaching
Mangiatordi Us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guidelines to evaluate a computer assisted note taking software solution
Fenwick The effects of discourses in regional contexts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based literacy standards for adolescents in schooling: a comparative study of South Australia and Ontario
McLean From recommendations to reality: Designing effective online tutorials
Crosthwaite Corpora for Language Learning: Bridging the Research-practice Div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