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919A - 문장 형식별 구성요소 배열 및 확장에 따른 언어 교육 시스템 및 방법과 기록 매체: 팩토리얼 언어 교육법 - Google Patents

문장 형식별 구성요소 배열 및 확장에 따른 언어 교육 시스템 및 방법과 기록 매체: 팩토리얼 언어 교육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919A
KR20140094919A KR1020130007577A KR20130007577A KR20140094919A KR 20140094919 A KR20140094919 A KR 20140094919A KR 1020130007577 A KR1020130007577 A KR 1020130007577A KR 20130007577 A KR20130007577 A KR 20130007577A KR 20140094919 A KR20140094919 A KR 20140094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learner terminal
element data
data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호
Original Assignee
원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호 filed Critical 원종호
Priority to KR102013000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4919A/ko
Publication of KR20140094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기술에 의한 언어 교육 시스템은 외국어의 문장구조에 따라, 각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로 구분된 학습자료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학습할 문장구조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언어 교육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장 형식별 구성요소 배열 및 확장에 따른 언어 교육 시스템 및 방법과 기록 매체: 팩토리얼 언어 교육법{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Education according to Arrangement and Expansion by Sentence Type: Factorial Language Education Method, and Record Medium}
본 발명은 언어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장 형식별 구성요소 배열 및 확장에 따른 언어 교육 시스템 및 방법,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국어는 모국어와 다른 어문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외국어의 정확한 문장 구조 분석 및 어순 구조의 이해 과정 없이 전체 문장, 또는 단어(word)나 절(clause), 구(phrase)만으로 내용을 이해하고 문장을 만들어내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과 한계점이 있다.
즉, 외국어 문장의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와 어문 구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긴 단문이나 중문, 복합문 등의 복잡한 문장을 듣거나 읽었을 때, 이를 다시 모국어로 바꾸어 이해하는 데 긴 시간이 소비되고, 내용 이해의 오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현재의 외국어 학습 방법은 학습자가 단순히 전체 문장을 암기하여 말하고 쓰는 방법에 국한되어 있다. 문장의 기본 구조에 대한 이해와 체득 없이 단순히 전체 문장을 암기하고 말하고 쓰는 학습법은, 학습자가 단어나 구를 알고 있다 하더라도 이를 문장으로 완성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문장으로 완성했다 하더라도 문법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황에 맞게 문장을 응용하여 생성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국어 문장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별 구분 학습을 통해 외국어를 용이하게 체득할 수 있는 문장 형식별 구성요소 배열 및 확장에 따른 언어 교육 시스템 및 방법,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시스템은 외국어의 문장구조에 따라, 상기 각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로 구분된 학습자료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학습할 문장구조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언어 교육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학습자 단말기와 접속되는 언어 교육 서버에서의 언어 교육 방법으로서, 외국어의 문장구조에 따라, 상기 각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로 구분된 학습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통신망을 통해 학습자 단말기가 접속하여 학습할 문장구조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요소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요소 데이터를 배열하여 완성 문장을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외국어의 문장구조에 따라, 상기 각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로 구분된 학습자료를 이용하여 언어 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서,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학습할 문장구조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기능;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요소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요소 데이터를 배열하여 완성 문장을 생성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일 수 있다.
본 기술에 의하면, 외국어 문장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요소별로 구별하도록 하고, 구별된 구성요소를 외국어 어문 구조에 맞게 배열하도록 함으로써 문장 형식별 구성 요소 및 배열 순서를 용이하게 체득할 수 있다. 또한, 각 문장 구성 요소들을 순서대로 배열시 문법적으로 그 요소들의 형태를 변형해야 하는 경우, 그 올바른 형태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어를 이용한 문장 생성 및 응용 능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언어 교육 서버의 일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구조 학습부의 일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세부 요소 데이터를 이용한 요소 데이터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서버의 일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서버의 일 예시도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서버의 일 예시도이다.
도 11a 내지 11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서버의 일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서버의 일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언어 교육 시스템(10)은 언어 교육 서버(100), 통신망(200)을 통해 언어 교육 서버(100)와 접속되는 학습자 단말기(300, 4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20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아울러, 학습자 단말기(300, 400)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언어 교육 서버(100)와 접속할 수 있는 데스크톱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300)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언어 교육 서버(100)와 접속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400)가 될 수 있다.
언어 교육 서버(100)는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별로 구축된 학습자료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에서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는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및 이를 수식하거나 확장하는 수식어(단어, 또는 구, 또는 절)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요소들은 단어, 또는 절, 또는 구 형식의 요소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식어는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를 각각 수식하거나 확장하는 수식어(단어, 또는 구 또는 절)이거나, 문장 전체를 수식하거나 확장하는 수식어(단어, 또는 구 또는 절)일 수 있다.
아울러 각 요소들에 포함되는 요소 데이터는 학습 레벨별로 구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습 레벨은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언어 교육 서버(100)는 또한 학습자의 학습 단계 및 레벨에 따라 학습자료를 추출하여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한다. 학습 단계는 예를 들어 문장 구조별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평서문 문장은 다음과 같은 5가지 형식 즉, 문장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 하기에서, 수식어는 단어, 또는 구, 또는 절의 형식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주어, 동사, 보어, (간접/직접)목적어 각각에도 이를 수식하거나 확장하는 수식어가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 주어(S)+동사(V)(+수식어) (1형식)
2. 주어(S)+동사(V)+보어(C)(+수식어) (2형식)
3. 주어(S)+동사(V)+목적어(O)(+수식어) (3형식)
4. 주어(S)+동사(V)+간접목적어(IO)+직접목적어(DO)(+수식어) (4형식)
5. 주어(S)+동사(V)+목적어(O)+목적보어(OC)(+수식어) (5형식)
따라서, 언어 교육 서버(100)는 상기 5가지 문장 구조별로 학습 단계를 구분하고, 문장 구조를 구성하는 각 요소(주어, 동사(서술어), 목적어, 보어)별로 요소 데이터(단어, 또는 절, 또는 구)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상술하였듯이 각 요소 데이터는 기 설정된 학습 레벨별로 구분 저장될 수 있다.
학습자는 학습 단계에 따라 상기 5가지 문장 구조 중에서 선택된 문장 구조를 학습할 수 있으며, 언어 교육 서버(100)는 학습 단계 및 학습 레벨에 맞는 문장 구조를 이루는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단어, 또는 절, 또는 구)를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하고, 학습자가 각 요소별로 요소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배열하도록 한다.
학습자가 요소 데이터를 배열할 때에는 복수의 요소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마우스 또는 손가락 터치로 클릭하거나 드래그하여 선택하는 방법, 또는 직접 타이핑하여 입력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특정 요소 데이터가 절 또는 구 형식으로 이루어진 경우, 해당 요소 데이터는 세부 요소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절 또는 구 형식의 요소 데이터에 대해 세부 요소 데이터를 학습하고 있는 외국어의 문법에 맞게 순차적으로 선택 및 배열하도록 함으로써 요소 데이터 각각에 대한 학습 또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언어 교육 서버의 일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언어 교육 서버(100)는 제어부(101), 메모리(103), 통신망 인터페이스(105), 데이터베이스(107), 학습자 관리부(109), 구조 학습부(111), 문장 제공부(113), 음성 처리부(115), 텍스트 처리부(117) 및 비교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언어 교육 서버(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03)에는 언어 교육 서버(100)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 제어 데이터 및 응용 데이터들이 저장되며, 통신망 인터페이스(105)는 언어 교육 서버(100)와 학습자 단말기(300, 400)가 통신망(200)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107)는 학습자료 DB(1071) 및 학습자 DB(1073)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자료 DB(1071)에는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별로, 나아가 학습 레벨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단어, 또는 절, 또는 구)의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는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및 이러한 기본 구성 요소들 및/또는 문장을 수식하거나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확장하는 수식어(구 또는 절)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학습자료 DB(1071)에는 주어로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요소 데이터, 서술어로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요소 데이터, 목적어가 될 수 있는 복수의 요소 데이터, 보어가 될 수 있는 복수의 요소 데이터, 수식어가 될 수 있는 복수의 요소 데이터가 구분되어 저장되고, 각 요소별 요소 데이터는 학습 레벨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학습자료 DB(1071)에는 각 요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학습자 DB(1073)에는 언어 교육 서버(100)에 접속하여 외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자 관련 정보, 예를 들어 ID, 비밀번호, 학습 단계, 학습 레벨, 학습 이력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학습자 관리부(109)는 언어 교육 서버(100)에 접속한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부터 학습자 식별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학습자를 인증하고, DB(107)를 참조하여 학습자의 학습 단계 및 학습 레벨을 확인하거나, 또는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부터 학습 단계 및 학습 레벨을 수신한다. 아울러, 학습자의 학습이 완료되면 학습자 DB(1073)의 학습 이력을 갱신하며, 필요에 따라 학습 레벨 또한 갱신한다.
구조 학습부(111)는 학습자의 학습 단계 및 레벨에 맞는 학습 자료, 특히 요소 데이터를 DB(107)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요소 데이터를 통신망(200)을 통해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전송하며, 학습자가 제시된 요소 별로 요소 데이터 즉, 단어 또는 절 또는 구를 선택함에 따라 이를 배열하여 문장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구조 학습부(111)는 각 요소별로, 바람직하게는 학습자의 학습 레벨을 고려하여 복수의 요소 데이터(단어, 또는 절, 또는구)를 추출하고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주어, 복수의 서술어, 그리고 문장의 구조에 따라 추가적으로 복수의 목적어 및/또는 복수의 보어를 학습 레벨에 맞게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학습자는 복수의 주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이와 연결될 수 있는 서술어(이에 더하여 보어, 목적어)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문장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구조 학습부(111)는 학습자가 두번째 이상의 요소에 대한 요소 데이터를 선택할 때, 이전 선택한 요소의 요소 데이터와 연결될 수 있는 즉, 이전에 선택한 요소 데이터와 문법적으로 매칭될 수 있는 요소 데이터만을 시각적으로 활성화시켜 문법에 어긋나는 요소 데이터가 선택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어를 학습하는 학습자가 처음 단계에서 주어에 포함되는 요소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이후 서술어에 포함되는 요소 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에서는, 이전에 선택한 주어와 문법적으로 매칭될 수 있는 서술어만을 시각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상술하였듯이, 요소 데이터는 수식어를 포함하는 절 또는 구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구조 학습부(111)는 요소 데이터를 구성하는 세부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학습자는 특정 요소 데이터를 이루는 세부 요소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선택 및 배열하여 해당 요소 데이터(절 또는 구)를 문법에 맞추어 완성하고, 이러한 과정에 의해 완성된 요소 데이터들을 문장 구조에 따라 선택 및 배열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구조 학습부의 일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조 학습부(111)는 요소 추출부(1111) 및 문장 생성부(11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활성화부(1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요소 추출부(1111)는 학습자의 학습 단계에 따라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 즉, 주어, 동사, 보어, 목적어를 각각 복수개씩 추출하여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한다. 학습자의 학습 레벨을 고려하는 학습 방식의 경우 학습 레벨에 맞는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요소 추출부(1111)는 주어 추출부, 동사 추출부, 보어 추출부, 목적어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각 요소 데이터 또는 문장 전체를 수식하거나 구체화하는 수식어 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요소 데이터가 수식어를 포함하는 절 또는 구의 형식을 가진 경우, 요소 추출부(1111)는 주어 추출부, 동사 추출부, 보어 추출부, 목적어 추출부 중 어느 하나에서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는 한편, 수식어 추출부에서 해당 요소 데이터를 수식하는 수식어를 추출하여 제공하게 된다.
문장 생성부(1113)는 요소 추출부(1111)에 의해 제공된 각 요소 별로 학습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요소 데이터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요소 데이터를 배열하여 문장을 생성한다.
활성화부(1115)는 학습자가 각 요소 별로 어느 하나의 요소 데이터를 선택함에 따라, 이에 이어질 수 있는 요소에 포함되는 요소 데이터 중 문법적으로 오류가 없는 요소 데이터만을 시각적으로 활성화시킨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문장 제공부(113)는 학습자가 학습할, 또는 학습하고 있는 외국어 문장, 이의 번역 텍스트 등을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구조 학습부(111)에 의한 학습을 수행하기 전, 학습할 문장 구조에 대한 외국어 문장 및/또는 번역문을 제공하여 학습할 문장 구조를 미리 체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문장 제공부(113)는 구조 학습부(111)를 통해 생성한 완성 문장을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하여 학습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처리부(115)는 학습자가 학습할, 또는 학습하고 있는 외국어 문장의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하거나,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부터 학습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구조 학습부(111)를 통해 문장을 완성한 경우 음성 처리부(115)에 의해 완성된 문장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조 학습부(111)를 통해 문장을 완성한 후,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300, 400)에 연결된 마이크 등과 같은 음성 입력 장치를 이용해 완성된 문장을 발음하면 이를 수신하고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텍스트 처리부(117)는 학습자가 학습할, 또는 학습하고 있는 외국어 문장을 번역문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부터 학습자가 학습하고 있는 외국어 문장 또는 번역문의 텍스트 신호를 수신한다.
비교부(119)는 학습 자료의 음성 데이터와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비교하거나, 또는 학습 자료의 외국어 문장의 텍스트 데이터와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부터 수신된 외국어 문장의 텍스트 데이터를 비교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언어 교육 서버(100)는 문장 구조별로 학습 단계를 나누고, 각 문장 구조에 포함되는 요소별로 학습 자료를 구축한다. 이때 학습 레벨별로 각 요소 데이터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학습자의 학습 요청이 있는 경우 학습자의 학습 단계, 나아가 학습 레벨에 따라 각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 즉, 단어, 또는 절, 또는 구를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면, 학습자는 각 요소에 포함된 요소 데이터 중 하나씩을 선택 및 배열하여 문장을 완성한다. 또한, 각 요소 데이터를 구성하는 세부 요소 데이터를 선택 및 배열하여 요소 데이터를 완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문장 구조별로 이를 구성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면서 문장을 완성할 수 있다. 아울러, 특정 요소에 포함된 요소 데이터(또는 세부 요소 데이터) 선택 후, 이와 이어질 수 있는 요소(또는 세부 요소)에 포함되는 요소 데이터(또는 세부 요소 데이터) 중 문법적으로 오류가 없는 요소 데이터(또는 세부 요소 데이터)만을 시각적으로 활성화시켜 학습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학습자는 이전에 선택한 요소 데이터(또는 세부 요소 데이터)의 형태에 따라 이와 연결될 수 있는, 또는 연결될 수 없는 요소 데이터(또는 세부 요소 데이터)의 형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예를 들어 영어의 1형식(주어(S)+동사(V))을 학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서문을 학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학습 대상 문장은 평서문뿐 아니라 의문문 또는 부정문일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4a를 참조하면, 학습자의 학습 단계가 1형식 학습 단계인 경우, 언어 교육 서버(100)의 구조 학습부(111)는 1형식을 구성하는 요소(주어, 동사) 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한다.
도 4a에는 주어 요소로서 'Tim and Jen', 'Mr. Kim', 'My friend', 'Children', 'A monster'가 제시되고, 서술어 요소로서 'run', 'runs', 'walk', 'walks', 'work', 'works', 'go', 'goes', 'come', 'comes'가 제시됨을 알 수 있다.
그러면, 학습자는 제시된 복수의 주어 요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도 4b에는 학습자가 복수의 주어 요소 데이터 중 'Mr. Kim'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구조 학습부(111)는 선택된 주어 요소 데이터와 연결될 수 있는, 문법적으로 오류가 없는 서술어만을 식각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4b에 도시한 것과 같이, 3인칭 단수의 서술어로서 부적합한 'run', 'walk', 'work', 'go', 'come'은 비활성화되고, 3인칭 단수의 서술어로서 적합한 서술어 요소 데이터인 'runs', 'walks', 'works', 'goes', 'comes'가 활성화되게 된다.
이제 학습자는 활성화된 서술어 요소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c는 학습자가 'runs'를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문장 제공부(113)는 학습자가 선택한 주어 요소 데이터(Mr. Kim) 및 서술어 요소 데이터(runs)를 이용하여, 도 4d와 같이 완성된 문장 'Mr. Kim runs.'를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출력한다.
이에 더하여 문장 제공부(113)는 완성된 문장의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 즉 '김씨는 뜁니다.'를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처리부(115)는 완성된 문장의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하여, 학습자가 완성된 문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학습자가 완성된 문장을 음성으로 입력할 것을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기(300, 400)에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와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완성된 문장을 리딩(reading)하게 되며, 학습자의 음성 데이터는 음성 처리부(115)로 전달되어 적절한 포맷으로 변환된 후 비교부(119)로 제공된다.
또한, 텍스트 처리부(117)는 도 4e 참조와 같이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 및 텍스트 입력 모드를 제공, 학습자가 번역문 텍스트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학습자가 입력 장치를 통해 번역문 텍스트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을 타이핑하면, 텍스트 처리부(117)는 이를 수신하여 비교부(119)로 제공할 수 있다.
학습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학습자의 타이핑 결과를 수신한 비교부(119)는 이를 학습자료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 및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와 비교하여, 정오를 판단하거나, 점수로 환산하는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방법으로 첫번째 주어 요소 데이터 및 서술어 요소 데이터에 대한 학습이 수행되고 난 후에는 나머지 요소 데이터에 대한 학습이 계속해서 수행된다. 즉, 도 4f와 같이 학습 중에 있는 문장 구조에 필요한 요소 데이터를 다시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하여, 학습자가 나머지 요소 데이터에 대해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이전에 학습한 요소 데이터에 대해 반복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요소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선택 및 배열하여 문장이 완성되면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 및, 학습자로부터 외국어 음성 데이터,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은 각 주어 요소 데이터별로 적어도 1회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각 구조 학습 과정에서 문장 만들기 즉, 요소 데이터의 선택 및 배열, 외국어 문장 듣기, 외국어 문장 말하기, 외국어 문장 쓰기 등의 각 구조 학습 과정은 중요도 및 학습자의 필요도에 따라 반복 횟수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각 요소 데이터가 수식어를 포함하는 절 또는 구 형식으로 이루어진 경우, 각 요소 데이터에 대한 세부 요소 데이터를 제시하고 학습자가 이를 순차적으로 배열 및 선택하여 요소 데이터를 완성하도록 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c는 세부 요소 데이터를 이용한 요소 데이터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a는 수식어를 포함하는 주어부를 갖는 영어의 1형식 문장을 학습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5a와 같이 학습하기 위해, 도 3의 주어 추출부로부터는 각각 students, kids, boy, woman이 추출될 수 있고, 이를 각각 수식할 수 있는 수식어인 A Smart, Three, Foolish, A pretty는 각각 수식어 추출부로부터 추출되어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는 제시된 세부 요소 데이터를 문법에 맞게 선택 및 나열하여 주어부를 완성하고, 이에 이어질 수 있는 동사(서술어)(study, cry, jump, swim)를 선택 및 배열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b에는 수식어구를 포함하는 주어부를 갖는 영어의 2형식 문장을 학습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 경우에도 학습자는 주어 및 수식어로 이루어지는 세부 요소 데이터를 선택 및 배열하여 주어부를 완성하고, 이와 이어질 수 있는 동사(서술어) 및 보어를 선택하여 2형식 문장을 만들어 볼 수 있다.
도 5c는 수식어절을 포함하는 주어부를 갖는 영어의 2형식 문장을 학습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5c와 같이 주어부는 주어 및 이를 수식하는 수식어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학습자는 주어 및 이를 수식하는 수식어절을 선택하여 주어부를 완성하고, 이 주어부에 이어질 수 있는 동사(서술어) 및 보어를 선택하고 배열하여 2형식 문장을 완성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c에는 주어를 수식하는 수식어, 수식어 구, 수식어 절을 포함하는 주어부를 학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목적어, 보어 등에 대해서도 유사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외국어 문장 구조의 요소별로 요소 데이터의 배열을 통해 학습을 수행한 후에는 수식어(구 또는 절)를 활용한 확장문 학습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서버(100)는 도 2에 도시한 구성 요소에 더하여 도 6과 같이, 수식어(구 또는 절)를 활용한 확장문 학습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서버의 일 예시도이다.
확장문은 예를 들어, 구조 학습부(111)에서 학습한 문장에 추가적인 문장, 예를 들어 부사 또는 부사구가 추가된 문장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료 DB(1071)에는 학습자의 학습 단계, 나아가 학습 레벨에 따라 복수의 학습문 요소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아울러, 확장문 학습부(121)는 학습자의 학습 단계 및 레벨에 따라 학습자료 DB(1071)로부터 복수의 확장문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학습자는 복수의 확장문 요소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외국어 문장을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는 학습자가 주어 요소 데이터 중 'The pirates'를 선택하고, 서술어 요소 데이터 중 'live'를 선택하고, 확장문 요소 데이터 중 'peacefully'를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문장 제공부(113), 음성 처리부(115) 및 텍스트 처리부(117)는 완성된 외국어 문장의 제공, 완성된 외국어 문장의 음성 데이터 및 번역 텍스트 데이터 제공, 학습자로부터 음성 데이터 및 타이핑된 텍스트 데이터 수신 등의 과정을 통해 수식어를 활용한 확장문 학습 과정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서버의 일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언어 교육 서버(100)는 이에 더하여 변형문 학습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구성요소, 또는 도 에 도시한 구성요소 외에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변형문 학습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형문은 예를 들어, 구조 학습부(111)를 통해 학습한 문장의 변형 문장일 수 있으며, 구조 학습부(111)에서 평서문을 학습하였다면 변형문은 의문문 또는 부정문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변형문 학습부(123)는 평서문 제공부(1231), 조동사/동사 추출부(1233), 서술어 추출부(1235), 부정어 추출부(1237) 및 배열부(1239)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학습자료 DB(1071)는 복수의 조동사, 복수의 부정어를 학습 자료로 저장하고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평서문 제공부(1231)는 이전 학습 과정, 예를 들어 구조 학습부(111) 또는 확장문 학습부(121)에서 학습한 외국어 완성 문장을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한다.
조동사/동사 추출부(1233)는 평서문을 의문문으로 변형할 때 사용 가능한 조동사 또는 동사 리스트를 추출하여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한다. 서술어 추출부(1235)는 평서문 제공부(1231)에서 제공한 평서문으로부터 서술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서술어 및 그 변형어를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한다.
부정어 추출부(1237)는 평서문을 부정문으로 변형할 때 사용 가능한 부정어 리스트를 추출하여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한다.
배열부(1239)는 평서문 제공부(1231)의 각 요소를 학습자가 선택하여 배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평서문은 각 요소별 선택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될 수 있으며, 학습자는 해당 평서문을 의문문 또는 부정문으로 변형하는 변형문 학습 과정에서, 평서문의 각 요소를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터치 스크린의 경우 터치 동작)를 통해 배열하고자 하는 위치로 옮기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예를 들어 변형문 학습부(123)에 의해 평서문을 의문문으로 변형하는 학습과정을 나타낸다.
도 9a를 참조하면, 평서문 제공부(1231)에 의해 평서문 예를 들어, 'Mr. Kim runs fast.'가 제공된다. 아울러, 조동사/동사 추출부(1233)에 의해 복수의 조동사 및 동사(Does, Do, Did, Will, Is)가 추출되어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되는 한편, 서술어 추출부(1235)에 의해 평서문에 사용된 서술어(runs) 및 그 변형어(run, ran, running)를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학습자는 조동사 중 어느 하나(Does)를 선택하고 평서문 중 주어(Mr. Kim)를 해당 위치에 배열하며, 서술어 중 어느 하나(run)를 선택하고, 서술어(구 또는 절)(fast)를 해당 위치에 배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변형된 완성 문장 즉, 'Does Mr. Kim run fast?'가 학습자 단말기(300, 400)에 디스플레이되는 한편, 그 번역문 텍스트 또한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번역문 텍스트는 외국어의 어순에 따라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변형문을 완성한 후에는 문장 제공부(113), 음성 처리부(115) 및 텍스트 처리부(117)에 의해 완성된 변형문의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들려주거나, 학습자로부터 발음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학습자에 의해 타이핑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등의 학습과정(도 9c 참조)이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구조 학습 과정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조 학습부(111)에 의한 학습, 또는 이에 더하여 확장문 학습부(121) 및/또는 변형문 학습부(123)에 의한 학습을 완료한 후에는 학습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과정이 이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서버의 일 예시도이다.
도 10에는 학습 점검부(125)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도 2, 또는 도 6 또는 도 8에 도시한 언어 교육 서버(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학습 점검부(125)는 번연문 제공부(1251), 배열부91253) 및 완성문 제공부(1255)를 포함할 수 있다.
번역문 제공부(1251)는 구조 학습 과정, 또는 확장문 학습 과정 또는 변형문 학습 과정에서 수행한 학습 문장 중 어느 하나의 번역문 텍스트를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한다. 이 때, 해당 번역문을 외국어 문장으로 완성한 경우의 문장 구조에 기초한 문장 구조 또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배열부(1253)는 학습자가 번역문 텍스트를 보고 이를 외국어 문장 구조에 맞게 나열함에 따라 이에 응답하여 번역문 텍스트의 위치를 변경한다.
완성문 제공부(1255)는 학습자가 번역문 텍스트를 외국어 문장 구조로 나열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을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한다.
도 11a 내지 11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1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번역문 제공부(1251)에 의해 번역문 텍스트(그들은 영화관에 있을 것이다.)가 제시된다. 아울러, 이를 외국어 문장으로 완성한 경우의 문장 구조(S+V+수식어(구 또는 절))를 함께 제시한다.
학습자는 도 11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번역문 텍스트를 외국어 문장 구조에 맞게 재배열하고(그들은 / 있을 것이다. / 영화관에), 완성문 제공부(1255)는 학습자가 재배열한 번역문 텍스트에 대응하는 외국어 완성 문자 즉, 'They will be at the movie.'를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한다.
학습 점점부(125)를 구비한 언어 교육 서버(100)가 변형문 학습부(123)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도 11c 및11d와 같이 변형문 학습을 더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11b와 같이 완성문을 제공한 후, 예를 들어 의문문으로 변형하기 위한 조동사들 및 서술어(및 그 변형어)를 제시하고(도 11c), 학습자가 알맞은 조동사 및 서술어를 선택하면 도 11d와 같이 완성된 변형문과 번역문 텍스트, 그에 더하여 완성된 변형문의 음성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1e와 같이, 평서문 제공부(1251)에 의해 평서문이 제공되면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하고 그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을 발음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f와 같이 의문문에 대해서도 번역문 텍스트를 보고 외국어 문장을 발음해 보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외국어 문장을 구조별로 학습한다. 즉, 문장 구조별로 이를 구성하는 요소가 존재하므로, 각 요소별로 요소 데이터를 제시하고 순차적으로 이를 배열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학습자는 각 단어의 품사, 그리고 이들이 어떠한 요소로 사용될 수 있는지 미리 인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서버의 일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서버(100)는 품사 학습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학습자료 DB(1071)에는 복수의 요소 데이터 중 단어들에 대한 의미, 품사를 저장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학습자에게 품사 학습 과정을 제공할 경우, 품사 학습부(127)는 학습 단계 및 학습 레벨에 맞는 단어를 순차적을 제공하면서 학습자가 해당 단어의 의미 및 품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family'라는 단어 및 그에 따른 의미(가족, 친숙한, 돕다)가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제공된 경우, 학습자는 의미에 대한 보기 중 알맞은 것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시어(family)가 활용될 수 있는 품사 위치로 해당 제시어를 마우스 드래그, 또는 스크린 터치 드래그에 의해 이동시켜 각 단어에 대한 의미 및 품사 학습을 수행한다.
각 단어의 의미 및 품사에 대한 선행 학습에 더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도 선행 학습할 수 있으며, 도 14 및 도15에는 이에 대해 도시하였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서버의 일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언어 교육 서버(100)는 요소 학습부(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요소 학습부(129)는 학습자 단말기(300, 400)로 학습할 외국어 문장과, 그 문장의 요소별 번역문 텍스트, 해당 외국어 문장 구조에 포함되는 요소들, 해당 외국어의 대표 품사를 제시한다.
즉,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국어 문장(My friends / will be / at the movie.')과, 이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별 번역문 텍스트(나의 친구들은 / 있을 것이다 / 영화관에)를 제시한다. 아울러, 영어의 문장 구조에 포함되는 요소들 즉,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수식어(구 또는 절) 리스트를 제공하는 한편, 8품사 리스트 또한 함께 제시한다.
학습자는 주어진 외국어 문장의 각 요소를 해당하는 요소 위치로 드래그하여 요소 각각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각 문장에 포함된 단어들을 해당하는 품사 위치로 드래그하여 품사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국어 문장의 구성 요소별로 순차적으로 배열하면서 문장을 완성하는 학습 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이전에 어떠한 요소 데이터가 선택되었을 때, 이와 이어질 수 있는 문법적으로 오류가 없는 요소 데이터만을 시각적으로 활성화시키면서 요소들 각각에 알맞은 데이터를 차례로 선택하며, 이러한 의미에서 본 발명의 학습법은 'Factorial 언어 교육법'이라 지칭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학습법에 의하면 외국어의 문장 구조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고, 각 문장 구조에 어떠한 요소들이 필요한지를 몸소 체득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어 작문이나 대화시에 적절한 요소들을 즉가적으로 떠올려 적용할 수 있어 외국어 학습 및 활용 능력이 배가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언어 교육 방법은 학습자료와 함께 CD, DVD와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해당 기록매체를 학습자 단말기(300, 400)에 삽입하고 설치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외국어 교육 서버
200 : 통신망
300, 4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65)

  1. 외국어의 문장구조에 따라, 상기 각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로 구분된 학습자료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학습할 문장구조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언어 교육 서버;
    를 포함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교육 서버는,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학습할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요소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요소 데이터를 배열한 완성 문장에 대응하는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교육 서버는, 상기 완성 문장에 대응하는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교육 서버는,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서 선택한 요소 데이터 각각의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 및 상기 완성 문장에 대응하는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교육 서버는, 상기 완성 문장에 대응하는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 또는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교육 서버는,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학습할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특정 요소의 요소 데이터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요소 데이터와 문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요소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언어 교육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데이터는 단어, 절, 또는 구 형태인 언어 교육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데이터 각각은 수식어 단어, 또는 수식어 절, 또는 수식어 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세부 요소 데이터를 포함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교육 서버는, 추출한 요소 데이터를 구성하는 세부 요소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세부 요소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세부 요소 데이터를 배열한 완성 요소 데이터에 대응하는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의 문장 구조는, 주어+동사 구조, 주어+동사+보어 구조, 주어+동사+목적어 구조, 주어+동사+간접목적어+직접목적어 구조, 주어+동사+목적어+목적보어 구조 중 어느 하나인 언어 교육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 데이터는 학습 레벨에 따라 구분 저장되는 언어 교육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문장 구조는 문장을 수식하거나 확장하는 수식어 단어, 또는 수식어 절, 또는 수식어 구를 요소 데이터로서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문장 구조는 평서문, 또는 의문문 또는 부정문인 언어 교육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교육 서버는, 구조 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 학습부는,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요소 추출부;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각 요소별로 어느 하나의 요소 데이터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요소 데이터를 배열하여 문장을 생성하는 문장 생성부;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특정 요소의 요소 데이터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요소 데이터와 문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요소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활성화시키는 활성화부;
    를 포함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교육 서버는, 상기 문장 생성부에서 배열한 문장의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문장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교육 서버는,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요소 데이터의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문장 생성부에서 배열한 문장의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입력된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텍스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교육 서버는, 상기 문장 생성부에서 배열한 문장의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입력된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음성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교육 서버는, 상기 구조 학습부에서 추출한 요소 데이터에 부가되는 확장문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확장문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문 요소 데이터는 수식어 단어, 또는 수식어 구, 또는 수식어 절 형식인 언어 교육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교육 서버는, 상기 구조 학습부에 의해 생성된 문장의 변형문을 생성하기 위한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변형문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문은 의문문 또는 부정문인 언어 교육 시스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문 학습부는, 상기 구조 학습부에 의해 생성된 문장을 제공하는 평서문 제공부;
    상기 평서문 제공부에서 제공된 문장을 변형하는 데 필요한 조동사 또는 동사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조동사/동사 추출부;
    상기 평서문 제공부에서 제공된 문장으로부터 서술어 및 서술어의 변형어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술어 추출부;
    상기 평서문 제공부에서 제공된 문장을 부정문으로 변형할 때 필요한 부정어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부정어 추출부;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서문의 배열이 변형됨에 따라 이를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조동사/동사 추출부에 의해 제공된 조동사 또는 동사, 또는 상기 서술어 추출부에 의해 제공된 서술어 또는 서술어의 변형어, 또는 상기 부정어 추출부에 의해 제공된 부정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됨에 따라 이를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제 1 배열부;
    를 포함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교육 서버는, 학습 점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점검부는, 상기 구조 학습부 또는 상기 확장문 학습부 또는 상기 변형문 학습부에서 학습한 문장 중 어느 하나의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번역문 제공부;
    학습자 단말기가 상기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의 배열을 변경함에 따라, 배열이 변경된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제 2 배열부; 및
    상기 제 2 배열부에서 배열된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 및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완성문 제공부;
    를 포함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교육 서버는,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품사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요소 데이터의 품사를 선택하도록 하는 품사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25. 제 14 항 또는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교육 서버는,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요소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요소 데이터의 요소를 선택하도록 하는 요소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시스템.
  26. 통신망을 통해 학습자 단말기와 접속되는 언어 교육 서버에서의 언어 교육 방법으로서,
    외국어의 문장구조에 따라, 상기 각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로 구분된 학습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통신망을 통해 학습자 단말기가 접속하여 학습할 문장구조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요소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요소 데이터를 배열하여 완성 문장을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언어 교육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 문장을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완성 문장에 대응하는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 및 외국어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인 언어 교육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요소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선택됨에 따라, 선택한 요소 데이터 각각의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 문장에 대응하는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 또는 외국어 음성 데이터가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입력됨에 따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방법.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요소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된 특정 요소에 대한 요소 데이터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요소 데이터와 문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요소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방법.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 데이터는 학습 레벨에 따라 구분 저장되는 언어 교육방법.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데이터는 단어, 절, 또는 구 형태인 언어 교육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데이터 각각은 수식어 단어, 또는 수식어 절, 또는 수식어 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세부 요소 데이터를 포함하는 언어 교육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데이터가 세부 요소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요소 데이터를 구성하는 세부 요소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세부 요소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세부 요소 데이터를 배열한 완성 요소 데이터에 대응하는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방법.
  35.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문장 구조는 문장을 수식하거나 확장하는 수식어 단어, 또는 수식어 절, 또는 수식어 구를 요소 데이터로서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방법.
  36.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문장 구조는 평서문, 또는 의문문 또는 부정문인 언어 교육 방법.
  3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의 문장 구조는, 주어+동사 구조, 주어+동사+보어 구조, 주어+동사+목적어 구조, 주어+동사+간접목적어+직접목적어 구조, 주어+동사+목적어+목적보어 구조 중 어느 하나인 언어 교육 방법.
  38.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 문장을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완성 문장에 부가되는 확장문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확장문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문 요소 데이터는 수식어 구, 또는 수식어 절 형식인 언어 교육 방법.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 문장을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완성 문장의 변형문을 생성하기 위한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변형문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문은 의문문 또는 부정문인 언어 교육 방법.
  42.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문 학습 단계는, 상기 완성 문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완성 문장을 변형하는 데 필요한 조동사 또는 동사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완성 문장으로부터 서술어 및 서술어의 변형어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완성 문장을 부정문으로 변형할 때 필요한 부정어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서문의 배열이 변형됨에 따라 이를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고, 조동사 또는 동사, 또는 상기 서술어 또는 상기 서술어의 변형어, 또는 상기 부정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됨에 따라 이를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언어 교육 방법.
  43.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문 학습 단계 이후 학습 점검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점검 단계는, 상기 완성 문장 또는 상기 확장문이 포함된 완성 문장 또는 상기 변형문 중 어느 하나의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의 배열이 변경됨에 따라, 배열이 변경된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배열이 변경된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 및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언어 교육 방법.
  44.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품사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요소 데이터의 품사를 선택하도록 하는 품사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방법.
  45. 제 26 항 또는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요소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요소 데이터의 요소를 선택하도록 하는 요소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언어 교육 방법.
  46. 외국어의 문장구조에 따라, 상기 각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로 구분된 학습자료를 이용하여 언어 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서,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학습할 문장구조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문장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기능;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요소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요소 데이터를 배열하여 완성 문장을 생성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 문장을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기능은, 상기 완성 문장에 대응하는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 및 외국어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48.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요소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선택됨에 따라, 선택한 요소 데이터 각각의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49.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완성 문장에 대응하는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 또는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50.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요소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기능은,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출력된 특정 요소에 대한 요소 데이터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요소 데이터와 문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요소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51.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 데이터는 학습 레벨에 따라 구분 저장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52.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데이터는 단어, 절, 또는 구 형태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데이터 각각은 수식어 단어, 또는 수식어 절, 또는 수식어 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세부 요소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데이터가 세부 요소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기능은, 요소 데이터를 구성하는 세부 요소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기능과;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세부 요소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세부 요소 데이터를 배열한 완성 요소 데이터에 대응하는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55.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문장 구조는 문장을 수식하거나 확장하는 수식어 단어, 또는 수식어 절, 또는 수식어 구를 요소 데이터로서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56.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문장 구조는 평서문, 또는 의문문 또는 부정문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5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의 문장 구조는, 주어+동사 구조, 주어+동사+보어 구조, 주어+동사+목적어 구조, 주어+동사+간접목적어+직접목적어 구조, 주어+동사+목적어+목적보어 구조 중 어느 하나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58. 제4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 문장을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기능에 더하여, 상기 완성 문장에 부가되는 확장문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확장문 학습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문 요소 데이터는 수식어 구, 또는 수식어 절 형식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60.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 문장을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기능에 더하여, 상기 완성 문장의 변형문을 생성하기 위한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변형문 학습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문은 의문문 또는 부정문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62.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문 학습 기능은, 상기 완성 문장을 제공하는 기능;
    상기 완성 문장을 변형하는 데 필요한 조동사 또는 동사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기능;
    상기 완성 문장으로부터 서술어 및 서술어의 변형어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기능;
    상기 완성 문장을 부정문으로 변형할 때 필요한 부정어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기능;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서문의 배열이 변형됨에 따라 이를 학습자 단말기에 출력하고, 조동사 또는 동사, 또는 상기 서술어 또는 상기 서술어의 변형어, 또는 상기 부정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됨에 따라 이를 학습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63.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문 학습 기능에 더하여 학습 점검 기능을 더 실현하며,
    상기 학습 점검 기능은, 상기 완성 문장 또는 상기 확장문이 포함된 완성 문장 또는 상기 변형문 중 어느 하나의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기능;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의 배열이 변경됨에 따라, 배열이 변경된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기능; 및
    상기 배열이 변경된 번역문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외국어 텍스트 데이터 및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64.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전,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품사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출력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출력된 요소 데이터의 품사를 선택하도록 하는 품사 학습 기능을 더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65. 제 46 항 또는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전,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요소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요소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출력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출력된 요소 데이터의 요소를 선택하도록 하는 요소 학습 기능을 더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30007577A 2013-01-23 2013-01-23 문장 형식별 구성요소 배열 및 확장에 따른 언어 교육 시스템 및 방법과 기록 매체: 팩토리얼 언어 교육법 KR20140094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577A KR20140094919A (ko) 2013-01-23 2013-01-23 문장 형식별 구성요소 배열 및 확장에 따른 언어 교육 시스템 및 방법과 기록 매체: 팩토리얼 언어 교육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577A KR20140094919A (ko) 2013-01-23 2013-01-23 문장 형식별 구성요소 배열 및 확장에 따른 언어 교육 시스템 및 방법과 기록 매체: 팩토리얼 언어 교육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919A true KR20140094919A (ko) 2014-07-31

Family

ID=5174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577A KR20140094919A (ko) 2013-01-23 2013-01-23 문장 형식별 구성요소 배열 및 확장에 따른 언어 교육 시스템 및 방법과 기록 매체: 팩토리얼 언어 교육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491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254B1 (ko) * 2014-08-20 2016-01-11 이승학 언어 학습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60107383A (ko) * 2015-03-03 2016-09-19 울산과학기술원 언어 문장 패턴 제안을 위한 생성 시스템
KR101875447B1 (ko) * 2017-02-08 2018-07-10 (주)뉴로네티즘 온라인 영어 학습 서버 및 온라인 영어 학습 방법
KR20180083481A (ko) * 2017-01-13 2018-07-23 (주)스콜라 영어 학습교재
KR20200018054A (ko) * 2018-08-10 2020-02-19 (주)스콜라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KR20200018053A (ko) * 2018-08-10 2020-02-19 (주)스콜라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KR20200107197A (ko) * 2019-03-06 2020-09-16 김주혁 영어 문장 생성 시스템 및 방법
WO2020209651A1 (ko) * 2019-04-10 2020-10-15 박광준 영어 학습 제공 방법
KR102533322B1 (ko) * 2022-05-10 2023-05-17 김진문 타자 및 타겟을 이용한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254B1 (ko) * 2014-08-20 2016-01-11 이승학 언어 학습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60107383A (ko) * 2015-03-03 2016-09-19 울산과학기술원 언어 문장 패턴 제안을 위한 생성 시스템
KR20180083481A (ko) * 2017-01-13 2018-07-23 (주)스콜라 영어 학습교재
KR101875447B1 (ko) * 2017-02-08 2018-07-10 (주)뉴로네티즘 온라인 영어 학습 서버 및 온라인 영어 학습 방법
KR20200018054A (ko) * 2018-08-10 2020-02-19 (주)스콜라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KR20200018053A (ko) * 2018-08-10 2020-02-19 (주)스콜라 영어학습교재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KR20200107197A (ko) * 2019-03-06 2020-09-16 김주혁 영어 문장 생성 시스템 및 방법
WO2020180062A3 (ko) * 2019-03-06 2020-10-29 김주혁 영어 문장 생성 시스템 및 방법
WO2020209651A1 (ko) * 2019-04-10 2020-10-15 박광준 영어 학습 제공 방법
KR102533322B1 (ko) * 2022-05-10 2023-05-17 김진문 타자 및 타겟을 이용한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agg et al. Sign language recognition, generation, and translation: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US9805718B2 (en) Clarifying natural language input using targeted questions
US11250842B2 (en) Multi-dimensional parsing method and system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KR20140094919A (ko) 문장 형식별 구성요소 배열 및 확장에 따른 언어 교육 시스템 및 방법과 기록 매체: 팩토리얼 언어 교육법
KR102439740B1 (ko) 제작자 제공 콘텐츠 기반 인터랙티브 대화 애플리케이션 테일링
Ivanova et al. Do you what I say? People reconstruct the syntax of anomalous utterances
US20070016401A1 (en) Speech-to-speech translation system with user-modifiable paraphrasing grammars
WO2008048090A2 (en) Method, devic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linguistic data in accordance with a formalized natural language.
US20070055520A1 (en) Incorporation of speech engine training into interactive user tutorial
MXPA05011448A (es) Mnemotecnica generica de deletreo.
McTear et al. Voic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Android
US119076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user input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astasopoulos Computational tools for endangered language documentation
Kumar Attar et al. State of the art of automation in sign language: A systematic review
US20230123328A1 (en) Generating cascaded text formatting for electronic documents and displays
WO2022259005A1 (en) Automated no-code coding of app-software using a conversational interface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KR101303975B1 (ko) 영어문장 학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Skidmore Incremental disfluency detection for spoken learner english
KR20170009486A (ko) 청크 기반 언어 학습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AU2015305397A1 (en) Lexical dialect analysis system
WO2015112250A1 (en) Visual-kinesthetic language construction
KR20130077857A (ko) 영어문장 학습방법 및 영어문장 학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Trivedi Fundamentals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erreira 3D Character Animation Using Sign Language
Isaac et al. Improving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for Mobile Learning of Mathematics Through Incremental Par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