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915B1 -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915B1
KR102616915B1 KR1020210121978A KR20210121978A KR102616915B1 KR 102616915 B1 KR102616915 B1 KR 102616915B1 KR 1020210121978 A KR1020210121978 A KR 1020210121978A KR 20210121978 A KR20210121978 A KR 20210121978A KR 102616915 B1 KR102616915 B1 KR 102616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quiz
pronunciation
pronunciation variation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9086A (ko
Inventor
이현정
도미숙
신영화
남웅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1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91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3Query execution using phone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4Query execution using 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8Morphological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4Lexical analysis, e.g. tokenisation or colloc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은, 단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퀴즈 애플리케이션이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 및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포함하는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구축된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복수의 속성 파라미터를 기초로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로부터 교과서 문장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교과서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어절 단위로 분리된 교과서 문장 내 제1 어절에 기초한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어절을 '자소열 나열 형태' 또는 '자소열 및 품사정보 나열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변환한 제1 어절 키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1 어절 키값을 상기 제1 어절을 추출한 문서의 속성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구분해 저장하여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KOREAN SPELLING QUIZZES}
본 발명은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수준에 맞도록 발음변이현상이 포함된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중/고 학생들이나 각종 자격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들은, 특정 시험에 응시하기에 앞서 교과서나 각종 수험서 등을 통해 자신의 학습 능력을 높인다.
특히, 예상되는 시험 문제 등을 미리 학습하고 풀어보는 활동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 학습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전자 문서화된 시험 문제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발전하고 있다.
그 중에서, 대부분의 언어 교육 또는 평가 시험에서는, 다양한 문제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일정 문제를 추출하는 방식인 문제은행식 출제 방식을 따르고 있다.
이러한 상기 문제은행식 출제 방식에 따르면, 표준화된 문제 생성 알고리즘에 의존하므로 출제되는 문제의 다양성이 떨어지고, 사용자별 서로 다른 수준에 따른 맞춤형 학습을 용이하게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동일한 문제의 반복 출제로 인한 학습 능률의 저하 및 학습평가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언어발달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약 6세~10세 사이의 초등생의 학습에 있어서는, 미숙한 언어능력으로 인해 어려움이 발생하는 특정 맞춤법 체계(예컨대, 발음변이 현상 등)에 보다 특화된 맞춤 학습이 중요하나, 이를 위한 기술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새로운 문제 유형을 추가하고자 한다면, 별도의 출제 인력 및 출제 비용이 소요되고 문제 출제 시간이 낭비될 수 있다.
또한, 교과서 내에서 등장하지 않는 어휘 및 문장 구조를 사용한 문제집으로 학습하게 된다면, 정규 교과과정에 최적화된 학습에 있어서는 오히려 효율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078635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에 기초한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은, 소정의 교과서 내 복수의 문장을 발음변이 현상을 포함한 소정의 파라미터별로 그룹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준발음법에서 발췌한 소정의 발음변이 규칙을 데이터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교과서 내 등장하는 복수의 어절의 규칙성을 판단하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교과서 내 등장하는 복수의 어절을 학년, 학기, 과목, 단원뿐만 아니라 발음변이규칙 유형별로 구분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국어 발음표기시스템을 기반으로 교과서에 나타난 발음변이가 발생하는 문장과 유사한 수준의 새로운 문장을 생성하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은, 단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퀴즈 애플리케이션이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 및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포함하는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구축된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복수의 속성 파라미터를 기초로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로부터 교과서 문장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교과서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어절 단위로 분리된 교과서 문장 내 제1 어절에 기초한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어절을 '자소열 나열 형태' 또는 '자소열 및 품사정보 나열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변환한 제1 어절 키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1 어절 키값을 상기 제1 어절을 추출한 문서의 속성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구분해 저장하여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속성 파라미터는, 상기 문서를 특정하는 학년 파라미터, 학기 파라미터, 과목 파라미터 및 단원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복수의 표준 해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준 해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표준 발음변이 규칙을 상기 '자소열 나열 형태' 또는 '자소열 및 품사정보 나열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변환한 복수의 표준 키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복수의 표준 키값 각각과 상기 표준 발음변이 규칙을 특정하는 발음변이 현상정보 각각을 매칭하여 상기 복수의 표준 해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음변이 현상정보는, 받침 대표 발음 현상정보, 이중모음 발음 현상정보, 겹받침 대표 발음 현상정보, 받침 'ㅎ'발음 현상정보, 연음 법칙 현상정보, 구개음화 현상정보, 비음화 현상정보, 자음동화 현상정보, 유음화 현상정보, 경음화 현상정보, 음의 첨가 현상정보 및 사이시옷 발음 현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어절 키값과 상기 복수의 표준 키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어절 키값에 대응되는 제1 표준 키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제1 표준 키값에 매칭된 제1 발음변이 현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제1 발음변이 현상정보를 상기 제1 어절 키값과 매칭한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상기 제1 어절을 추출한 문서의 속성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복수의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복수의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와 상기 제1 어절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어절에 대응되는 제1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가 미검출되면, 상기 제1 어절을 상기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어절 키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로 결정된 제1 어절을 기초로 상기 제1 어절 키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어휘를 포함하는 복수의 어휘셋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문장 구조 템플릿을 포함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출제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제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국어 맞춤법 퀴즈를 구성하는 어휘의 범위를 설정하는 맞춤법 퀴즈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맞춤법 퀴즈 타입에 대응되는 제1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맞춤법 퀴즈 타입에 대응되는 제1 어휘셋에 포함된 제1 어휘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맞춤법 퀴즈 타입에 대응되는 제1 템플릿을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독출된 제1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 상기 제1 어휘 및 상기 제1 템플릿에 기초하여 상기 출제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맞춤법 퀴즈 타입은, 소정의 학년 타입, 학기 타입, 과목 타입, 단원 타입 및 발음변이규칙 유형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에 대한 값을 결정한 정보이다.
또한, 상기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출제 문장을 기초로 상기 국어 맞춤법 퀴즈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시스템은, 국어 맞춤법 퀴즈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 및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포함하는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구축된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복수의 속성 파라미터를 기초로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로부터 교과서 문장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교과서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하고, 상기 어절 단위로 분리된 교과서 문장 내 제1 어절에 기초한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어절을 '자소열 나열 형태' 또는 '자소열 및 품사정보 나열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변환한 제1 어절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어절 키값을 상기 제1 어절을 추출한 문서의 속성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구분해 저장하여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표준발음법에서 발췌한 소정의 발음변이 규칙을 데이터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방대한 양의 맞춤법 규칙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관리할 수 있고, 발음변이 현상이 포함된 다양한 형태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출제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소정의 교과서 내 등장하는 복수의 어절의 규칙성을 판단함으로써, 교과서에서 쓰인 특정 어절에서 발생되는 발음변이 현상의 규칙성 및/또는 불규칙성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소정의 교과서 내 등장하는 복수의 어절을 학년, 학기, 과목, 단원뿐만 아니라 발음변이규칙 유형별로 구분하여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학습자가 취약한 발음변이규칙 유형 문제를 제공하기에 최적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한국어 발음표기시스템을 기반으로 교과서에 나타난 발음변이가 발생하는 문장과 유사한 새로운 문장을 생성함으로써,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 난이도에 대응되는 다양한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을 위한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표준 키값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을 위한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국어 맞춤법 퀴즈의 일례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단말(100) 및 맞춤법 퀴즈 제공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의 각 구성요소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100) 및 맞춤법 퀴즈 제공서버(2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 단말(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퀴즈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소정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자세히, 하드웨어적 관점에서 단말(100)은, 퀴즈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0-1) 및/또는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10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0-1)는, 퀴즈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0-1)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방송용 단말(100)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tablet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100-2)는, 퀴즈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고정형 데스크탑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울트라북(ultrabook)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100)은,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소정의 서버(Server) 컴퓨팅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0-1) 및/또는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100-2)를 단말(100)로 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0-1)의 내부 블록도의 일례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능적 관점에서 단말(100)은, 메모리(110), 프로세서 어셈블리(120), 통신 프로세서(130), 인터페이스부(140), 입력 시스템(150), 센서 시스템(160)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세히, 메모리(110)에는,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이 저장되며,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110)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10)는,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100)을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기능요소들 사이에 연계될 수 있으며, 데이터 영역은, 단말(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와,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0)는, RO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11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10)에 저장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의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모리(110)의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을 통해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포함된 단말(100)에 적합한 시스템 온 칩(SOC)일 수 있으며, 메모리(110)에 저장된 운영체제(OS)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실행할 수 있고, 단말(100)에 탑재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각 구성요소와 내부적으로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 구조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 프로세서(130)는, 외부의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프로세서(13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 프로세서(130)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콘텐츠 소스를 저장한 단말(100)과 통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받은 컨트롤러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 프로세서(130)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타 단말(100) 및/또는 외부의 서버 등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프로세서(13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5G NR(New Radio), WIFI) 또는 근거리 통신방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장치를 통해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100),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 시스템(160)은, 이미지 센서(161), 위치 센서(IMU, 163), 오디오 센서(165), 거리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161)는, 단말(100) 주위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161)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영상(실시예로, 문제 이미지 등)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161)는, 단말(100)의 전면 또는/및 후면에 배치되어 배치된 방향측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단말(100)의 외부를 향해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물리적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161)는, 이미지 센서장치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이미지 센서(161)는, 이미지 센서장치(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161)는,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장치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16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일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는, 가시광선 대역을 촬영하는 일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등의 특수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이미지 센서(161)는,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100)에 포함되어 동작할 수도 있고, 외부의 장치(예컨대, 외부의 서버 등)에 포함되어 상술된 통신 프로세서(130) 및/또는 인터페이스부(140)에 기초한 연동을 통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위치 센서(IMU, 163)는, 단말(100)의 움직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자력계와 같은 다양한 위치 센서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IMU, 163)는, 통신 프로세서(130)의 GPS와 같은 위치 통신 프로세서(130)과 연동하여, 단말(100) 주변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오디오 센서(165)는, 단말(100) 주변의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자세히, 오디오 센서(165)는, 단말(1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오디오 센서(165)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는, 단말(100)을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자세히, 인터페이스부(140)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과 호환되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단말(100)은, 여러 입출력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40)는, 헤드셋 포트나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장치와 연결되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디오 출력장치가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단말(100) 내부에 설치되는 실시예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4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전력 증폭기, RF 회로, 송수신기 및 기타 통신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시스템(150)은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제스처, 음성 명령, 버튼의 작동 또는 다른 유형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입력 시스템(150)은 버튼, 터치 센서 및 사용자 모션 입력을 수신하는 이미지 센서(1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시스템(150)은, 인터페이스부(140)을 통해 외부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맞춤법 퀴즈 이미지, 맞춤법 퀴즈 리스트 및/또는 취약 유형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171) 상에 터치 센서(17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71)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17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171)는 터치 센서(17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단말(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10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100-2)의 내부 블록도의 일례이다.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100-2)의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중 중복되는 내용은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0-1)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0-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100-2)는, 유저 인터페이스 시스템(350)을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예컨대, 터치 입력, 마우스 입력, 키보드 입력, 제스처 입력, 가이드 도구를 이용한 모션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말(100)은, 유저 인터페이스 시스템(350)을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로 마우스(341), 키보드(343), 제스처 입력 컨트롤러, 이미지 센서(361)(예컨대, 카메라) 및 오디오 센서(365) 등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100)은, 후술되는 퀴즈 제공서버(200)의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더 수행할 수 있다.
- 퀴즈 제공서버(20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퀴즈 제공서버(200)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도 1을 더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퀴즈 제공서버(200)는, 해쉬 생성 유닛(210), 문장 생성 유닛(220), 발음변이 표준 해쉬 데이터베이스(230),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40) 및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각 구성요소는, 퀴즈 제공서버(200)와는 별도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퀴즈 제공서버(20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가 퀴즈 제공서버(200)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해쉬 생성 유닛(2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음변이 표준 해쉬 데이터베이스(이하, 표준 해쉬 데이터베이스(230)) 및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40)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해쉬 생성 유닛(210)은, 소정의 키값 및/또는 발음변이 현상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준 해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해쉬 생성 유닛(210)은, 소정의 레이블 정보(실시예에서, 학년, 학기, 과목, 단원 및 발음변이규칙 유형 등)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해쉬 생성 유닛(210)은, 생성된 표준 해쉬 데이터 및/또는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표준 해쉬 데이터베이스(230) 및/또는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40) 상에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저장된 표준 해쉬 데이터 및/또는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상기 표준 해쉬 데이터베이스(230) 및/또는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40)로부터 독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문장 생성 유닛(2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250)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문장 생성 유닛(220)은, 소정의 레이블 정보(실시예에서, 학년, 학기, 과목, 단원 및 발음변이규칙 유형 등)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제 문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문장 생성 유닛(220)은, 생성된 출제 문장 데이터를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250) 상에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저장된 출제 문장 데이터를 상기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독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표준 해쉬 데이터베이스(230),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40) 및/또는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250)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표준 해쉬 데이터베이스(2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준 해쉬 데이터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2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제 문장 데이터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퀴즈 제공서버(200)는, 단말(100)과 같은 외부의 장치에서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프로세스가 구동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의 장치와 교환함으로써 상기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자세히, 퀴즈 제공서버(200)는, 외부의 장치(실시예에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0-1) 및/또는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100-2) 등)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이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퀴즈 제공서버(200)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를 구현하는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이, 단말(100)과 같은 외부의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퀴즈 제공서버(200)는,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을 구현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퀴즈 제공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쉬 생성 유닛(210), 문장 생성 유닛(220), 표준 해쉬 데이터베이스(230),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40) 및/또는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퀴즈 제공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모듈, 메모리 모듈 및 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퀴즈 제공 서버(200)는,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모듈과,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모듈과,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하는 소정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모듈은,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운영체제(OS),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모듈은,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문제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를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기능요소들 사이에 연계될 수 있으며, 데이터 영역은, 문제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메모리 모듈은,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 모듈은, 퀴즈 제공서버(200) 상에 탈착 가능한 형태의 기록매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유닛(unit)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모듈은, 중앙처리장치(CPU) 및/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포함된 단말(100)에 적합한 시스템 온 칩(SOC)일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된 운영체제(OS)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실행할 수 있고, 퀴즈 제공서버(200)가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은, 각 구성요소와 내부적으로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 구조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은,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퀴즈 제공서버(200)가 상술된 바와 같은 기능 동작을 수행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퀴즈 제공서버(200)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단말(100)이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 또한 가능할 수 있다.
-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이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40)를 구축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1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을 실행하거나 백그라운드 상태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어셈블리(120)가, 상기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의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동작하여 상술된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상기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이 수행하는 것으로 단축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을 위한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40)를 구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표준 해쉬 데이터베이스(230)를 구축할 수 있다. (S101)
이때, 표준 해쉬 데이터베이스(230)란, 국립국어원 표준어규정해설 내 표준발음법에서 발췌한 발음 규칙을 데이터화한 발음변이 표준 해쉬 데이터(이하, 표준 해쉬 데이터)의 집합일 수 있다.
여기서, 표준 해쉬 데이터는, 발음변이가 일어나는 자소들을 키값화한 정보인 표준 키값과, 상기 표준 키값이 속하는 해당 발음변이 현상인 발음변이 현상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실시예로, 표준 해쉬 데이터는, 표준발음법 내 발음변이 현상별 규칙을 나타낸 다음의 표와 같은 내용을 담을 수 있다.
발음변이 현상 규칙
받침 대표 발음 받침ㄱㅋㄲ -> 대표소리 ㄱ
이중모음 발음 용언 + 져,쪄,쳐 -> 저, 쩌, 처
겹받침 대표 발음 받침ㄼ,ㄽ,ㄾ -> ㄹ
받침 'ㅎ'발음 받침ㅎ + ㄱㄷㅈ -> ㅋㅌㅊ
연음 법칙 받침ㄱ,ㄴ,ㄷ,ㄹ,ㅁ,ㅂ,ㅅ,ㅈ,ㅊ,ㅋ,ㅌ,ㅍ,ㄲ,ㅆ+ㅇ초성 -> 받침탈락
구개음화 받침ㄷㅌㄾ+모음 ㅣ -> ㅈㅊ초성
비음화 받침ㄱㄲㅋㄳㄺ+ㄴㅁ -> ㅇ
자음동화 받침ㅁㅇ+ㄹ -> ㄴ
유음화 받침ㄴ+ㄹ -> ㄹ
경음화 받침ㄱㄴㄲㅋㄳㄺ+ㄱ -> ㄲ
음의 첨가 자음받침+이야여요유 -> ㄴ첨가
사이시옷 발음 받침ㅅ+이 -> ㄴㄴ첨가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표준 해쉬 데이터는, 2열에 도시된 발음변이가 일어나는 자소들을 키값화한 정보를 1열에 도시된 발음변이 현상 별로 구분하여 저장한 데이터일 수 있다.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표준 키값(12)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요소(10) 및 제2 요소(11)의 결합 시 발생하는 발음변이 규칙을 클래스화하여 표준 키값(12)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a)와 같이 표 1의 11행의 경음화를 예시로 하면, ‘받침ㄱㄴㄲㅋㄳㄺ + ㄱ -> ㄲ' 규칙에 있어서 +를 기준으로 전자에 해당하는 요소를 제1 요소(10), 후자에 해당하는 요소를 제2 요소(11)라고 칭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경음화 예시에서 제1 요소(10) 중 하나에 해당하는 '받침ㄴ'과, 제2 요소(11)에 해당하는 'ㄱ'가 결합하게 되면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해쉬 변화를 수행하여 'VERBㄴEOMIㄱ'이라는 표준 키값(12)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요소(10) 및/또는 제2 요소(20)는, 도시된 바에 한정하지 않고 미존재하거나 자음, 모음 및/또는 음절의 형태 등으로 존재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준 해쉬 데이터 내 표준 키값(12) 및 발음변이 현상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즉,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경음화 현상에 해당하는 '받침ㄱㄴㄲㅋㄳㄺ + ㄱ -> ㄲ' 규칙을 키값화한 'VERBㄴEOMIㄱ'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준 키값(12)과, 상기 복수의 표준 키값(12)에 매칭되는 발음변이 현상정보인 '경음화'를 포함하여 '경음화 표준 해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받침 대표 발음 표준 해쉬 데이터, 이중모음 발음 표준 해쉬 데이터, 겹받침 대표 발음 표준 해쉬 데이터, 받침 'ㅎ'발음 표준 해쉬 데이터, 연음 법칙 표준 해쉬 데이터, 구개음화 표준 해쉬 데이터, 비음화 표준 해쉬 데이터, 자음동화 표준 해쉬 데이터, 유음화 표준 해쉬 데이터, 경음화 표준 해쉬 데이터, 음의 첨가 표준 해쉬 데이터 및/또는 사이시옷 발음 표준 해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준 해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생성된 복수의 표준 해쉬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표준 해쉬 데이터베이스(230)를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쓸 때와 소리내어 읽을 때가 다른 국어 발음변이 현상을 데이터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방대한 양의 맞춤법 규칙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관리할 수 있고, 발음변이 현상이 포함된 다양한 형태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출제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교과서 문장을 추출할 수 있다. (S103)
여기서, 교과서 문장이란, 학교 등의 교육기관에서 소정의 교과 과정에 따라서 사용하는 지정된 문서(실시예에서, 교과서) 내에서 쓰인 문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서를 소정의 레이블 정보별로 구분하여 교과서 문장을 추출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 따른 레이블 정보란, 소정의 문서의 문서유형을 나타내는 속성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속성 파라미터는, 학년 파라미터, 학기 파라미터, 과목 파라미터 및/또는 단원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 1단원에 등장하는 “인형을 안고 잤다”라는 교과서 문장을, 학년은 '초등학교 1학년', 학기는 '1학기', 과목은 '국어', 단원은 '1단원'이라고 구분하여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추출된 교과서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할 수 있다. (S105)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소정의 어절 분석 알고리즘(예컨대, 한글 문장 분리기 및/또는 특수어절 분석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교과서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인형을 안고 잤다.”라는 교과서 문장을 '인형을', '안고', '잤다.'와 같이 어절 단위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분리된 어절이 기분석 사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07)
여기서, 상기 기분석 사전은, 표준어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표준어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에 대한 정보를 기분석 사전에 기저장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추출된 교과서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한 이후, 상기 기분석 사전을 기초로 해당 어절을 규칙 발음변이 어절 및/또는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이란, '밟고 -> [밥꼬]', '넓죽하다 -> [넙쭈카다]' 등과 같이 규칙 발음변이에 해당하지만 예외적으로 규칙과 다르게 발음하는 어절로서, 위와 같은 '밟고', '넓죽하다' 등을 포함하여 표준어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에 대한 정보는 기분석 사전에 기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기분석 사전에 기저장된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을 바탕으로 해당 어절에서 일어난 발음변이가 규칙 발음변이인지 및/또는 불규칙 발음변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추출된 교과서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하고, 그 중 소정의 어절이 기분석 사전에 기저장된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정보에 미존재한다면, 입력된 해당 어절을 규칙 발음변이 어절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추출된 교과서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하고, 그 중 소정의 어절이 기분석 사전에 기저장된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정보에 존재한다면, 입력된 해당 어절을 불규칙 발음변이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상술한 절차를 거쳐 추출된 교과서 문장으로부터 분리되어 규칙 발음변이 어절 및/또는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로 판단된 소정의 어절을 규칙 발음변이 어절 및/또는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추출된 교과서 문장이 '인형을', '안고', '잤다'와 같이 어절 단위로 나뉘게 되면,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기분석 사전을 이용하여 '안고'라는 어절을 기저장된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안고'라는 어절은 정상적으로 경음화 현상이 일어나는 어절로서 기분석 사전에 기저장된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에 미해당하므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해당 어절에서 일어난 발음변이가 규칙 발음변이임을 판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안고'라는 어절을 규칙 발음변이 어절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기분석 사전을 이용하여 소정의 교과서에서 쓰인 어절의 규칙성을 판단함으로써, 특정 어절에서 발생되는 발음변이 현상의 규칙성 및/또는 불규칙성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교과서 문장으로부터 분리된 어절이 규칙 발음변이 어절로 설정된 경우는 S109 단계,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로 설정된 경우는 S113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분리된 규칙 발음변이 어절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어절 키값을 획득할 수 있다. (S109)
여기서, 어절 키값이란, 교과서 문장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절을 '품사정보+자소열' 또는 '자소열' 형태로 변형하여 키값 형태로 구현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형태소 분석은, 형태소보다 큰 언어 단위인 어절 및/또는 문장 등을 최소 의미 단위인 형태소로 분절하여 분석하는 프로세스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교과서 문장으로부터 어절 키값을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교과서 문장으로부터 어절 키값을 획득하기 위하여,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실시예에 따라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는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리된 어절을 형태소로 분절하고, 상기 분절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소 중 연속 배치될 시발음변이가 발생하는 자소열을 키값 형태로 구현하기 위한 키값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태소 분석기는, 해당 어절을 분석하여 품사정보가 필요한 어절인 경우 해당 어절을 '품사정보 + 자소열'의 형태로 변형하고, 품사정보가 불필요한 어절인 경우 해당 어절을 '자소열'의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형태소 분석기는, 품사정보 유무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어제 낮에 인형을 안고 잤다.”라는 교과서 문장을 형태소 분석기에 입력한다면, 해당 문장을 어절 단위로 '어제', '인형을', '안고', '잤다.'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안고'라는 어절로부터 품사정보가 필요한 경우임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ㅇㅏVERBㄴEOMIㄱㅗ'라는 어절 키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낮에'라는 어절로부터는 품사정보가 불필요한 경우임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ㄴㅏㅈㅇㅔ'라는 어절 키값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태소 분석기는, 입력되는 문장을 '품사정보 + 자소열'의 형태로 변형하는 제1 형태소 분석기 및 입력되는 문장을 '자소열'의 형태로 변형하는 제2 형태소 분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태소 분석기는, 제1 및/또는 제2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하기 전에 품사정보의 필요유무를 선행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품사정보 판단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품사정보 판단기에 의해 품사정보가 필요한 경우임이 감지되면 해당 교과서 문장을 제1 형태소 분석기에 입력할 수 있고, 품사정보가 불필요한 경우임이 감지되면 해당 교과서 문장을 제2 형태소 분석기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어절 키값을 기초로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111)
여기서,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란, 발음변이가 발생한 어절 및 해당 어절에 매칭된 발음변이 현상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표준 해쉬 데이터베이스(230)와 연동하여 해당 발음변이가 발생한 어절(이하, 제1 어절)이 어떤 발음변이 규칙에 해당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자세히,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S109 단계에서 획득한 어절 키값과 표준 해쉬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복수의 표준 키값(12)을 비교하여 제1 어절이 어떤 발음변이 규칙에 해당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어절의 어절 키값과 복수의 표준 해쉬 데이터(실시예에서, 받침 대표 발음 표준 해쉬 데이터, 이중모음 발음 표준 해쉬 데이터 및/또는 겹받침 대표 발음 표준 해쉬 데이터 등)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표준 키값(12)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제1 어절의 어절 키값이 표준 키값(12)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값과 일치한다면,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어절과 대응된 표준 키값(12)을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검출된 상기 표준 키값(12)이 속하는 발음변이 현상정보를 상기 제1 어절의 발음변이 현상정보로 매칭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어절 및 제1 어절에 매칭된 발음변이 현상정보를 포함하는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절차를 거쳐 교과서 문장에 포함된 '안고'라는 어절로부터 ‘ㅇㅏVERBㄴEOMIㄱㅗ'라는 어절 키값을 획득한 경우, 상기 어절 키값인 ‘ㅇㅏ VERBㄴEOMIㄱㅗ'과 표준 해쉬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복수의 표준 키값(12)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절 키값에 포함된 ‘VERBㄴEOMIㄱ'는 표준 해쉬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복수의 표준 해쉬 데이터 중 '경음화 표준 해쉬 데이터'의 표준 키값(12)과 일치할 수 있다.
이어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일치된 상기 표준 키값(12)이 속하는 경음화 표준 해쉬 데이터의 발음변이 현상정보인 '경음화'를 상기 제1 어절인 '안고'의 발음변이 현상정보로 매칭할 수 있다.
따라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어절인 '안고' 및 제1 어절에 매칭된 발음변이 현상정보인 '경음화'를 포함하는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이하, 불규칙 어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113)
자세히,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불규칙 어절 데이터는, S105 단계에서 설명한 기분석 사전에 기저장 되어있는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일 수 있다.
즉,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을 데이터화하여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40)를 구축할 수 있다. (S115)
이때,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40)에는,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 및/또는 불규칙 어절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 및/또는 불규칙 어절 데이터를 소정의 학년, 학기, 과목, 단원 및/또는 발음변이규칙 유형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 1단원에 등장하는 “인형을 안고 잤다”라는 교과서 문장에서, '안고'라는 어절을, 학년은 '초등학교 1학년', 학기는 '1학기', 과목은 '국어', 단원은 '1단원', 발음변이규칙 유형은 '경음화'라고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40)는, S101 단계에서 구축한 표준 해쉬 데이터베이스(230)를 기초로 복수의 교과서에 등장하는 방대한 문장으로부터 추출한 어절을 데이터화하여 학년, 학기, 과목, 단원 및/또는 발음변이규칙 유형별로 구분하여 저장한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복수의 교과서에 등장하는 방대한 문장으로부터 추출한 어절을 학년, 학기, 과목, 단원뿐만 아니라 발음변이규칙 유형별로 구분하여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학습자가 취약한 발음변이규칙 유형 문제를 제공하기에 최적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발음변이현상이 나타나는 어절을 데이터로 저장 및 관리하는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40)와 별도로, 교과서에 쓰인 어휘 및/또는 문장과 유사한 수준의 새로운 어휘 및/또는 문장을 생성하여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기 위한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250)를 더 구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을 위한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250)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국어 맞춤법 퀴즈(이하, 맞춤법 퀴즈)를 생성하기 위한 어휘 및/또는 문장 구조를 데이터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250)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250)는,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 및/또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는, 소정의 학년, 학기, 과목 및/또는 단원별로 출현한 어휘의 집합으로서, 실시예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의미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술어로 사용될 수 있는 어휘를 그룹화한 어휘셋(20)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 1단원에 '밥', '김치', '만두', '사과', '물' 이라는 어휘가 등장한다면,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어휘들 중 '밥', '김치', '만두'를 “음식_요리”라는 어휘셋(20)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또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음식_요리” 어휘셋(20)을 학년은 '초등학교 1학년', 학기는 '1학기', 과목은 '국어', 단원은 '1단원'으로 구분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템플릿 데이터베이스(252)는, 소정의 술어를 기반으로 한 문장의 격틀(caseframe)을 정의한 템플릿(30)의 집합으로서, 실시예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템플릿(30)을 학년, 학기, 과목 및/또는 단원별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 1단원에 '동생이 자전거를 타다.'라는 문장이 등장한다면,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타다'라는 술어를 기반으로 “[대명사_인칭]이 [무생물_운송수단]을 {타다}”와 같은 문장 구조를 템플릿(30)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대명사_인칭]이 [무생물_운송수단]을 {타다}” 템플릿(30)을 학년은 '초등학교 1학년', 학기는 '1학기', 과목은 '국어', 단원은 '1단원'으로 구분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250)를 구축함으로써,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복수의 어휘셋(20) 및 템플릿(30)을 조합하여 교과서에 쓰인 어휘 및/또는 문장과 유사한 수준의 새로운 어휘 및/또는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250)에 포함되는 복수의 어휘셋(20) 및 템플릿(30)을 학년, 학기, 과목 및/또는 단원별로 구분하여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교과서에 출현한 문장과 유사한 난이도의 문장으로 형성된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방법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맞춤법 퀴즈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S201)
여기서, 맞춤법 퀴즈 타입이란, 맞춤법 퀴즈를 구성하는 어휘의 범위를 결정하는 파라미터로서, 실시예에서 학년 파라미터, 학기 파라미터, 과목 파라미터, 단원 파라미터 및/또는 발음변이규칙 유형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란,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에서 제공되는 맞춤법 퀴즈를 이용하여 맞춤법을 학습하고자 하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
자세히,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퀴즈 애플리케이션(111)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맞춤법 퀴즈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퀴즈 애플리케이션(111) 사용자는 학년, 학기, 과목, 단원 및/또는 발음변이규칙 유형을 설정하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출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S203)
자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250)에 포함된 각종 어휘 및 템플릿을 조합하여 복수의 출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출제 문장이란, 맞춤법 퀴즈에 사용되는 문장으로서, 소정의 파라미터(실시예예서, 학년 파라미터, 학기 파라미터, 과목 파라미터, 단원 파라미터 및/또는 발음변이규칙 유형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교과서 문장과 유사한 수준의 새로운 문장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으로부터 독출한 제1 어휘셋에 포함된 제1 어휘와, 템플릿 데이터베이스(252)로부터 독출한 제1 템플릿을 조합하여 제1 출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 및/또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252)를 기초로 출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에 저장된 복수의 어휘을 검출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에 저장된 복수의 어휘 중 S201 단계에 따라 퀴즈 애플리케이션(111)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맞춤법 퀴즈 타입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에 속하는 복수의 어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퀴즈 애플리케이션(111) 사용자에 의해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 1단원'으로 맞춤법 퀴즈 타입이 결정되었다면,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에 저장된 복수의 어휘 중 학년은 '초등학교 1학년', 학기는 '1학기', 과목은 '국어', 단원은 '1단원'의 파라미터에 속하는 어휘만을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로부터 검출된 소정의 어휘를, 템플릿 데이터베이스(252)에 저장된 소정의 템플릿에 기초하여 조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에 저장된 복수의 어휘 중 사용자가 결정한 맞춤법 퀴즈 타입에 따라 소정의 파라미터에 속하는 어휘만이 검출되면, 검출된 복수의 어휘를 템플릿 데이터베이스(252)에 저장된 템플릿에 기반하여 조합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에서 검출한 복수의 어휘를 템플릿 데이터베이스(252)에 저장된 템플릿에 대입하여 문법적 및/또는 문맥적으로 적절한 출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 1단원에 '참새', '동생', '과자', '자전거' 등의 어절 및/또는 '[대명사_동등]이 [무생물_운송수단]을 {타다}' 등의 템플릿이 등장한다면,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템플릿을 기반으로 문맥에 어울리는 어절인 '동생'과 '자전거'를 조합하여, “동생이 자전거를 타다.”라는 출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동일한 문장 구조일지라도 해당 교과서에 쓰인 유사한 어절을 이용하여 다른 문장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어휘 및 문장 구조 응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250) 및/또는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30)를 기초로 복수의 발음변이 어절이 포함된 출제 문장(이하, 발음변이 출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자세히, 다른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 템플릿 데이터베이스(252) 및/또는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30)에 포함된 각종 어휘 및 템플릿을 조합하여 발음변이 출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먼저, 다른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30) 및/또는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에 저장된 복수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자세히, 다른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절 및/또는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휘 중 S201 단계에 따라 퀴즈 애플리케이션(111)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맞춤법 퀴즈 타입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에 속하는 복수의 어절 및/또는 어휘를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으로는, 사용자가 맞춤법 퀴즈 타입에서 발음변이 규칙 유형까지 결정한 경우,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결정된 발음변이규칙 유형에 해당하는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상기 퀴즈 애플리케이션(111) 사용자에 의해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 1단원 중 연음법칙'으로 맞춤법 퀴즈 타입이 결정되었다면,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복수의 어절 중 학년은 '초등학교 1학년', 학기는 '1학기', 과목은 '국어', 단원은 '1단원', 발음변이 규칙 유형은 '연음법칙'의 파라미터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절만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에 저장된 복수의 어휘 중 학년은 '초등학교 1학년', 학기는 '1학기', 과목은 '국어', 단원은 '1단원'의 파라미터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휘만을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30) 및/또는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로부터 검출된 소정의 어절 및/또는 어휘를, 템플릿 데이터베이스(252)에 저장된 소정의 템플릿에 기초하여 조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30) 및/또는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로부터 사용자가 결정한 맞춤법 퀴즈 타입에 따라 소정의 파라미터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절 및/또는 어휘만이 검출되면, 검출된 복수의 어절 및/또는 어휘를 템플릿 데이터베이스(252)에 저장된 템플릿에 기반하여 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 1단원에 '참새', '동생', '학원', '자전거' 등의 어절 및/또는 '[대명사_동등]이 [무생물_장소]에 {가다}' 등의 템플릿이 등장한다면,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템플릿을 기반으로 문맥에 어울리는 어절인 '동생'과 '학원'을 조합하여, “동생이 학원에 가다.”라는 출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학원'이라는 어절은 [하권]으로 발음되므로 '연음법칙'에 해당하는 어절로,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230)에서 검출된 어절일 수 있고, '동생'이라는 어절은 어휘셋 데이터베이스(251)에서 검출된 어휘일 수 있다.
이처럼,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검출된 복수의 어절 및/또는 어휘를 템플릿 데이터베이스(252)에 저장된 템플릿에 대입하여 문법적 및/또는 문맥적으로 적절한 출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생성된 출제 문장을 기초로 맞춤법 퀴즈를 생성할 수 있다. (S205)
자세히,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생성된 출제 문장을 소정의 방식에 따라 다양한 출제 유형으로 구현된 맞춤법 퀴즈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발음변이 어절을 포함하는 올바른 표기의 문장을 기초로 소정의 맞춤법 퀴즈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발음변이 어절을 포함하는 올바른 문장 또는 상기 문장 내 소정의 단어 등을 소리로 제공하면, 사용자가 받아쓰는 방식 등의 받아쓰기 퀴즈 형식의 맞춤법 퀴즈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발음변이 규칙에 따라서 소리나는 대로 표기된 문장을 기초로 소정의 맞춤법 퀴즈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발음변이 규칙에 따라 읽힌 문장 또는 상기 문장 내 소정의 단어 등을 글로 제공하면, 사용자가 발음변이가 나타난 어절을 표준어규정에 맞게 수정하는 방식 등의 오기수정 퀴즈 형식의 맞춤법 퀴즈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생성된 맞춤법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 (S207)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국어 맞춤법 퀴즈의 일례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생성된 맞춤법 퀴즈를 소정의 방식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생성된 다양한 유형의 맞춤법 퀴즈를 그래픽 이미지로 단말(100)에 디스플레이 출력하여 도 8의 (a)와 같이 받아쓰기 퀴즈 형식으로 제공하거나 (b)와 같이 오기수정 퀴즈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사용자 입력 등에 따라서 획득되는 소정의 파라미터(실시예에서, 학년, 학기, 과목, 단원 및/또는 발음변이 규칙 등)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수준에 맞는 발음변이가 나타나는 어절이 포함된 맞춤법 문제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퀴즈 애플리케이션(111)은, 한국어 발음표기시스템을 기반으로 교과서에 나타난 발음변이가 발생하는 문장과 유사한 새로운 문장을 생성함으로써,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 난이도에 대응되는 다양한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맞춤법 퀴즈는, 상술한 출제 유형 및/또는 사용자의 정답입력 방식 등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표준발음법에서 발췌한 소정의 발음변이 규칙을 데이터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방대한 양의 맞춤법 규칙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관리할 수 있고, 발음변이 현상이 포함된 다양한 형태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출제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소정의 교과서 내 등장하는 복수의 어절의 규칙성을 판단함으로써, 교과서에서 쓰인 특정 어절에서 발생되는 발음변이 현상의 규칙성 및/또는 불규칙성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소정의 교과서 내 등장하는 복수의 어절을 학년, 학기, 과목, 단원뿐만 아니라 발음변이규칙 유형별로 구분하여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학습자가 취약한 발음변이규칙 유형 문제를 제공하기에 최적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한국어 발음표기시스템을 기반으로 교과서에 나타난 발음변이가 발생하는 문장과 유사한 새로운 문장을 생성함으로써,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 난이도에 대응되는 다양한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3)

  1. 단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퀴즈 애플리케이션이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 및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포함하는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구축된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복수의 속성 파라미터를 기초로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로부터 교과서 문장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교과서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어절 단위로 분리된 교과서 문장 내 제1 어절에 기초한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어절을 '자소열 나열 형태' 또는 '자소열 및 품사정보 나열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변환한 제1 어절 키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1 어절 키값을 상기 제1 어절을 추출한 문서의 속성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구분해 저장하여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복수의 표준 해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준 해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표준 발음변이 규칙을 상기 '자소열 나열 형태' 또는 '자소열 및 품사정보 나열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변환한 복수의 표준 키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복수의 표준 키값 각각과 상기 표준 발음변이 규칙을 특정하는 발음변이 현상정보 각각을 매칭하여 상기 복수의 표준 해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어절 키값과 상기 복수의 표준 키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어절 키값에 대응되는 제1 표준 키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제1 표준 키값에 매칭된 제1 발음변이 현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제1 발음변이 현상정보를 상기 제1 어절 키값과 매칭한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파라미터는,
    상기 문서를 특정하는 학년 파라미터, 학기 파라미터, 과목 파라미터 및 단원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변이 현상정보는,
    받침 대표 발음 현상정보, 이중모음 발음 현상정보, 겹받침 대표 발음 현상정보, 받침 'ㅎ'발음 현상정보, 연음 법칙 현상정보, 구개음화 현상정보, 비음화 현상정보, 자음동화 현상정보, 유음화 현상정보, 경음화 현상정보, 음의 첨가 현상정보 및 사이시옷 발음 현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5. 삭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상기 제1 어절을 추출한 문서의 속성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7. 단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퀴즈 애플리케이션이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 및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포함하는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구축된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복수의 속성 파라미터를 기초로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로부터 교과서 문장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교과서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어절 단위로 분리된 교과서 문장 내 제1 어절에 기초한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어절을 '자소열 나열 형태' 또는 '자소열 및 품사정보 나열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변환한 제1 어절 키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1 어절 키값을 상기 제1 어절을 추출한 문서의 속성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구분해 저장하여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복수의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복수의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와 상기 제1 어절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어절에 대응되는 제1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가 미검출되면, 상기 제1 어절을 상기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어절 키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로 결정된 제1 어절을 기초로 상기 제1 어절 키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8. 삭제
  9. 단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퀴즈 애플리케이션이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 및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포함하는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구축된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복수의 속성 파라미터를 기초로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로부터 교과서 문장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교과서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어절 단위로 분리된 교과서 문장 내 제1 어절에 기초한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어절을 '자소열 나열 형태' 또는 '자소열 및 품사정보 나열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변환한 제1 어절 키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1 어절 키값을 상기 제1 어절을 추출한 문서의 속성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구분해 저장하여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어휘를 포함하는 복수의 어휘셋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문장 구조 템플릿을 포함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출제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제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국어 맞춤법 퀴즈를 구성하는 어휘의 범위를 설정하는 맞춤법 퀴즈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맞춤법 퀴즈 타입에 대응되는 제1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맞춤법 퀴즈 타입에 대응되는 제1 어휘셋에 포함된 제1 어휘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문장 생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맞춤법 퀴즈 타입에 대응되는 제1 템플릿을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독출된 제1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 상기 제1 어휘 및 상기 제1 템플릿에 기초하여 상기 출제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법 퀴즈 타입은,
    소정의 학년 타입, 학기 타입, 과목 타입, 단원 타입 및 발음변이규칙 유형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에 대한 값을 결정한 정보인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출제 문장을 기초로 상기 국어 맞춤법 퀴즈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13. 국어 맞춤법 퀴즈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 및 불규칙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포함하는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구축된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국어 맞춤법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복수의 속성 파라미터를 기초로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로부터 교과서 문장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교과서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하고,
    상기 어절 단위로 분리된 교과서 문장 내 제1 어절에 기초한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어절을 '자소열 나열 형태' 또는 '자소열 및 품사정보 나열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변환한 제1 어절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어절 키값을 상기 제1 어절을 추출한 문서의 속성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구분해 저장하여 상기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표준 발음변이 규칙을 상기 '자소열 나열 형태' 또는 '자소열 및 품사정보 나열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변환한 복수의 표준 키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복수의 표준 키값 각각과 상기 표준 발음변이 규칙을 특정하는 발음변이 현상정보 각각을 매칭하여 상기 복수의 표준 해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어절 키값과 상기 복수의 표준 키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어절 키값에 대응되는 제1 표준 키값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제1 표준 키값에 매칭된 제1 발음변이 현상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발음변이 현상정보를 상기 제1 어절 키값과 매칭한 발음변이 어절 데이터를 생성하는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시스템.
KR1020210121978A 2021-09-13 2021-09-13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16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978A KR102616915B1 (ko) 2021-09-13 2021-09-13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978A KR102616915B1 (ko) 2021-09-13 2021-09-13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086A KR20230039086A (ko) 2023-03-21
KR102616915B1 true KR102616915B1 (ko) 2023-12-21

Family

ID=8580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978A KR102616915B1 (ko) 2021-09-13 2021-09-13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9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554B1 (ko) * 2007-02-16 2007-09-20 (주)엘림에듀 네트워크 언어 학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56068B1 (ko) * 2014-12-31 2015-10-0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수강 신청 시스템 및 방법
KR102201709B1 (ko) * 2020-08-11 2021-01-12 주식회사 대교 국어 텍스트 자동 분석을 통한 독해지수 측정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292B1 (ko) * 1996-12-14 1999-06-15 윤덕용 한문어 문서 음성 변환 시스템을 위한 문서 분석기
KR100484493B1 (ko) * 2002-12-12 2005-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발음사전을 이용한 대화체 연속 음성인식 시스템 및방법
KR100546743B1 (ko) * 2003-10-02 2006-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언어분석 기반 자동 질문/정답 색인 방법과 그 질의응답방법 및 시스템
KR100786352B1 (ko) 2006-08-10 2007-12-1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어 어휘 학습을 위한 자동 문제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554B1 (ko) * 2007-02-16 2007-09-20 (주)엘림에듀 네트워크 언어 학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56068B1 (ko) * 2014-12-31 2015-10-0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수강 신청 시스템 및 방법
KR102201709B1 (ko) * 2020-08-11 2021-01-12 주식회사 대교 국어 텍스트 자동 분석을 통한 독해지수 측정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086A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garwal et al. A review of tools and techniques for computer aided pronunciation training (CAPT) in English
Joseph et al. Mobile devices for language learning: Multimedia approaches
CN103136971A (zh) 语言音素的练习引擎
US10672293B2 (en) Computer system methods for generating combined language content
Mompean et al. Phonetic symbols in contemporary pronunciation instruction
US11210964B2 (en) Learning tool and method
KR102078626B1 (ko)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Henrichsen An illustrated taxonomy of online CAPT resources
Olmanson et al. The challenge of Chinese character acquisition: Leveraging multimodality in overcoming a centuries-old problem
TW202139177A (zh) 明確的自然發音系統
KR20170009486A (ko) 청크 기반 언어 학습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Khaustova et al. CAPTuring accents: An approach to personalize pronunciation training for learners with different L1 backgrounds
KR102616915B1 (ko)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iu et al. Optimization to automated phonetic transcription grading tool (APTgt)–automatic exam generator
Dai [Retracted] An Automatic Pronunciation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Mechanism in English Teaching Based on an Improved Random Forest Model
KR102389153B1 (ko) 음성 반응형 전자책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602678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aching foreign languages
Bédi et al. Using LARA to create image-based and phonetically annotated multimodal texts for endangered languages
Hamada et al. A mobile-based multimedia system for learning Japanese
KR102395702B1 (ko) 문장을 이루는 단위를 단계별 확장하여 스텝화한 영어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Li et al.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CFL)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eaching Chinese pronunciation
Liu Application of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in pronunciation correction of college oral English teaching
Duan et al. Multi-lingual and multi-task DNN learning for articulatory error detection
US201603074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tory capacity development for language processing
Dong et al. The application of big data to improve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evaluation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