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068B1 - 수강 신청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강 신청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068B1
KR101556068B1 KR1020140195770A KR20140195770A KR101556068B1 KR 101556068 B1 KR101556068 B1 KR 101556068B1 KR 1020140195770 A KR1020140195770 A KR 1020140195770A KR 20140195770 A KR20140195770 A KR 20140195770A KR 101556068 B1 KR101556068 B1 KR 101556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se
server
information
enrollment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형기
이원철
이정석
홍철
김용호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5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강 신청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수강 신청 시스템은, 수강 신청에 필요한 수강신청대상자들의 수강신청 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이 저장되는 DB 서버; 사용자 로그인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세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DB 서버가 상기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에서 추출한 대상자 정보를 상기 세션 정보에 저장하는 WAS 서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복수의 웹 페이지가 저장된 웹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WAS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세션 정보를 상기 웹 페이지 중 하나에 자바 스크립터 객체로 제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수강 신청 요청을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자바 스크립터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수강 신청 요청이 기설정된 기본 승인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기본 승인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수강 신청 요청을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강 신청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urse Registration}
본 발명은 수강 신청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온라인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 신청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학은 학기 시작 전에 학생들에게 수강할 과목을 선택하도록 하는 수강 신청을 받는다. 이를 위해, 학생들은 수강 신청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과목에 대한 수강을 신청한다.
종래의 수강 신청 시스템은 JSP/ASP/PHP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고 DB 및 서버 구성이 최적화 되어 있지 않아, 시스템 자원을 많이 사용하고, 부하가 집중되는 수강 신청 기간에는 과도한 트래픽으로 인해 빈번한 장애가 발생하곤 한다.
대학교 측에서도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지만, 일 년에 몇 일 밖에 사용하지 않는 수강 신청 위해 수강 신청기간을 위해 고가의 서버를 증설하는 것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2189호(2008.05.1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2046호(2012.12.05)
[비특허문헌]
강병수, 과목추천 지원 수강신청 시스템 개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년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온라인 수강 신청을 지원하는 수강 신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수강 신청 시스템은, 수강 신청에 필요한 수강신청대상자들의 수강신청 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이 저장되는 DB 서버; 사용자 로그인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세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DB 서버가 상기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에서 추출한 대상자 정보를 상기 세션 정보에 저장하는 WAS 서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복수의 웹 페이지가 저장된 웹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WAS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세션 정보를 상기 웹 페이지 중 하나에 자바 스크립터 객체로 제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수강 신청 요청을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자바 스크립터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수강 신청 요청이 기설정된 기본 승인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기본 승인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수강 신청 요청을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WAS 서버 및 웹 서버를 거쳐 수강 신청에 필요한 수강신청대상자들의 수강신청 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이 저장되는 DB 서버에 수강 신청하는 방법은, 상기 DB 서버가 상기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에서 로그인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WAS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WAS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세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상자 정보를 상기 세션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WAS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대상자 정보를 자바 스크립터 객체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강 신청 요청을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자바 스크립터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수강 신청 요청이 기설정된 기본 승인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WAS 서버가 상기 기본 승인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수강 신청 요청을 확인하면, 상기 DB 서버로 수강 신청 질의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시스템 자원을 이용하여 온라인 수강 신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강 신청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설 강좌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강 신청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지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강 신청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강 신청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하여 설명한 도면.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강 신청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설 강좌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강 신청 시스템은 웹 서버(200), WAS 서버(300) 및 DB 서버(40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수강 신청 시스템에 접속하여 공지 사항, 개설 과목 조회, 수강 신청, 또는 대체 과목(또는, 개수강 과목) 조회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Html5 규격의 문서를 표출 가능한 단말일 수 있으며, 3G 통신, LTE 통신, WiFi 통신 등의 무선 통신 또는 랜 등의 유선 통신을 통해 웹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은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패드, 휴대폰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버(200)와 WAS 서버(300)를 거쳐 DB 서버(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DB 서버의 데이터 저장 구조
DB 서버(400)는 제1 저장부를 구비하고, 제1 저장부에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 개설 강좌 테이블 및 성적 테이블을 저장한다.
먼저,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은 전체 수강신청대상자의 수강신청 관련정보를 하나의 테이블 형태로 구성한 테이블이다. 구체적으로,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은 각 수강신청대상자별로 구분되는 행(또는 열)을 가지며, 각 행(또는 열)은 각 수강신청대상자의 수강신청 관련정보(이하, "대상자 정보"라고 함)를 포함한다. 그리고, 대상자 정보는 학번, 이름, 아이디, 패스워드, 현재 대학명, 현재 대학코드, 현재 학과명, 현재 학과코드, 현재 전공명, 현재 전공코드, 학년, 수강신청 가능 학점, 졸업이수 학점, 성적취득 학점, 공학인증 여부, 공학인증 대상자 여부 및 수강 신청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대상자 정보는 각 수강신청대상자의 입학당시의 대학, 학과 및 전공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런데, 전술한 대학명과 대학코드, 학과명과 학과코드 및 전공명과 전공코드는 각 대학의 정책 및 학칙 변경 등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 1의 입학년도 2010년에는 전자계산과였던 학과는 2014년에는 컴퓨터과학과로 변경될 수 있다. 개설 교과목은 변경된 현재학과 기준으로 개설되기 때문에 2014년 이전에 입학한 전자계산학과 학생들은 자신의 학과로 개설된 과목을 조회할 수 없다. 그래서, 종래의 수강 신청 시스템은 학생 1의 입학당시의 학과명과 현재학과가 동일한 학과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강 신청시에 각 학과의 연혁을 검색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의 수강 신청 시스템은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학과연혁을 조회하는 많은 부하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B 서버(400)는 학생 1의 입학년도가 아니라, 대상자 정보에 강좌가 개설된 현재년도에 사용되는 현재 대학명, 현재 대학코드, 현재 학과명, 현재 학과코드, 현재 전공명, 현재 전공코드 등을 사용하므로, 종래의 수강 신청 시스템의 수강신청시 대학, 학과, 전공 검색이 이뤄지는 연혁 검색에 따른 부하를 없앨 수 있다.
다음으로, 개설 강좌 테이블은 각 개설 과목 정보를 하나의 열(또는, 행)로 구성한 하나의 테이블일 수 있다.
도 2와 같이, 개설 과목 정보는 년도, 학기, 과목코드, 반, 이수구분코드, 개설전공코드, 수강신청인원, 수강신청가능인원, 공학인증구분, 영역구분 등을 포함하는 기본개설정보 이외에 시간표, 담당교수 및 강의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DB 서버(400)는 WAS 서버(300)로부터 공통코드를 포함하는 과목 조회 질의를 수신하면, 개설 강좌 테이블로부터 개설 과목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서는 각 개설 과목 정보가 하나의 열로 이뤄진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여기서, 시간표, 담당교수 및 강의실은 복수 개일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개설 과목 정보는 강의시간과 강의실 정보(예컨대, 화3,4교시, 미래관301호, 수1교시 미래관 201호) 및 대표 교수명과 그외 교수 수(예컨대, 홍일동 외 2명)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과목 조회 요청을 확인하면, 각 개설 과목 정보를 각기 하나의 열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세부적인 강의시간, 강의교수, 강의실을 알기 위해서, 각 과목의 전체 시간표 정보, 전체 교수 정보 또는 전체 강의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시간표 정보, 전체 교수 정보 또는 전체 강의실 정보는 하나의 열(또는 행)으로 구성되므로, DB 서버(400)는 해당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여러 테이블의 정보를 조회하여 복잡한 조인을 수행하지 않고, 단지 개설 강좌 테이블의 단일 행(또는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강신청용 성적 테이블은 수강신청대상자의 이수과목 정보를 포함하고, 각 이수과목 정보는 학번을 기준으로 정렬되어 저장된다. 통상, 수강신청대상자는 수강 신청 이전 또는 중에 자신이 이수한 과목을 조회하여 재이수할 과목, 가상강좌 수강신청 제한학점, 이수가능과목 등을 확인한다. 종래의 수강 신청 시스템의 DB에서는 전체 대학교 내 학생의 성적이 년도별로 분산되어 있어, 성적 조회시마다 여러 번의 데이터 블록(년도별 데이터 블록)에 대한 접근을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강신청대상자가 성적조회를 요청하면, DB 서버(400)는 대상자 정보(또는, 웹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성적 테이블로부터 수강신청대상자의 학번에 대응하는 수강신청대상자의 이수과목을 최소 블록 접근에 의해 조회하고, 이를 WAS 서버(300) 및 웹 서버(200)를 거쳐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B 서버(400)는 대상자 정보, 개설 과목 정보 및 성적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할 때 복잡한 조인을 필요로 하지 않고, 최소한의 블록에 접근하기 때문에 검색 시간 및 검색 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수강 신청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로그인시 대상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세션정보를 자바스크립트 배열객체로 받는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은 수강 신청이 요청되면, 수강 신청 요청이 확인되면, 대상자 정보를 이용하여 수강 신청 요청이 기본 승인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기본 승인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수강 신청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승인조건은 수강신청가능 학점을 초과하지 않을 것, 졸업생일 경우 졸업이수학점을 초과할 것, 공학인증 과목일 경우 공학인증대상자일 것 및 수강가능기간 내의 수강 신청 요청일 것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수강 신청 요청이 확인되면, 수강신청된 전체 과목의 학점이 대상자 정보에 따른 신청가능 학점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하고, 신청가능 학점을 이하이면, 기본 승인조건을 만족하므로, 수강 신청 질의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공학인증 과목에 대한 수강 신청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공학인증대상자인지를 확인하여 공학인증대상자일 경우에 기본 승인조건에 만족하므로 수강 신청 질의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공학인증대상자가 아니면, 사용자에게 수강 신청 불가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수강 신청 요청이 수신된 날짜를 확인하고, 확인된 날짜가 수강 신청기간 내가 아닌 경우, 수강 신청 불가를 안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불필요한 서버 접근에 따른 부하를 보다 줄일 수 있다.
웹 서버(200)는 제2 저장부, 제2 통신부 및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웹 서버(200)는 제2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방식에 기반하여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식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AJAX 방식은 처음 접속시에만 웹 페이지를 전송하고, 이후 접속시에는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에, 웹 서버(200)는 제공부에 의해 사용자의 로그인시에는 사용자 단말(100)로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이후에는 웹 페이지의 일부를 변경하는 데이터를 제공하되, 사용자 단말(200) 및 WAS 서버(300)와 JSON 형식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스크탑은 물론 모바일에서도 사용 가능하고, 모바일에서도 큰 로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웹 서버(200)는 제2 저장부에 복수의 웹 페이지, 공통코드에 대한 콤보 데이터, 예비수강 데이터 및 공통스크립트 파일을 저장한다.
여기서, 복수의 웹 페이지는 HTML5 표준에 따르는 웹 문서의 각 페이지일 수 있으며, 로그인 웹 페이지, 공지 화면 웹 페이지, 수강 신청 화면의 웹 페이지 및 대체과목 조회용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전체 수강 신청에 대한 웹 페이지들일 수 있다. 그리고, 콤보 데이터는 모든 수강 신청자에 대해 공통으로 제공되는 데이터로서, 이수구분명 및 이수구분코드, 대학콤보(현재 대학명 및 현재 대학코드), 학과콤보(현재 학과명 및 현재 학과코드) 및 전공콤보(현재 전공명 및 현재 전공코드)를 포함한다. 콤보 데이터는 학년콤보(학년 및 학년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콤보 데이터는 JSON 형식으로 저장된다. 예를 들어, 이수구분코드는 전공, 기초교양, 균형교양, 특화교양, 학석사연계 등과 같은 과목의 큰 분류명 및 분류코드를 포함하며, 대학콤보는 공과대학, 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등과 같이 대학교 내 각 단과대학명 및 단과대학코드를 포함하며, 학과콤보는 각 단과대학 내 각 학과명 및 학과명코드를 포함하며, 전공콤보는 각 학과 내 각 전공명 및 전공코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개설 과목 조회를 위해 도 5의 51와 같이, 이수구분코드: 전공과목, 대학콤보: 공과대학, 학과콤보: 컴퓨터공학과 및 전공콤보: 컴퓨터공학과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예비 수강 데이터는 사용자가 수강 신청 이전에 과목 조회 요청을 통해 저장한 개설 과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웹 서버(200)의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에 로그인 웹 페이지, 공지 화면 웹 페이지 및 수강 신청 웹 페이지를 제공하며, 자체적으로, 사용자의 수강 신청을 원활히 하기 위한 과목조회용 콤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200)는 모든 수강신청대상자에 대해 공통으로 제공되는 코드를 자체 저장부에 저장하여 제공함에 따라 DB 서버(400)의 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웹 서버(200)는 통신부를 통해 WAS 서버(300)로부터의 개설 과목 정보, 수강 신청 결과 통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WAS 서버(300)는 제3 저장부, 세션 처리부, 서비스부, 가공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는 웹 서버(200) 및 DB 서버(400)와 통신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통신부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WAS 서버(300)는 세션 처리부에 의해 사용자 로그인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세션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또한, WAS 서버(300)는 제3 저장부에 DB 서버(400)에서 전달받은 대상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을 통한 사용자 로그인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세션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AS 서버(300)는 대상자 정보를 세션 정보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학교의 수강신청시스템 구성시 DB 서버(400)는 하나로 구성되고, 웹 서버(200)나 WAS 서버(300)는 복수대로 구성되어, 통합세션관리를 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WAS 서버(300)의 세션 처리부는 각 사용자의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멀티 로그인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WAS 서버(300)의 세션 처리부는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해 로그인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을 이용해 추가로 로그인하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에 대응하는 다른 세션 정보를 각기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WAS 서버(300)의 세션 처리부는 자체적으로 또는 DB 서버(4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 중에서 마지막으로 로그인된 단말의 세션 정보를 DB 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다.
WAS 서버(300)의 서비스부는 수강 신청 서비스를 위한 각종 질의(Query) 및 수강 신청 로직 호출 기능을 제공하며, DB 서버(4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JSON 형식의 데이터로 가공한다.
구체적으로, WAS 서버(300)의 서비스부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과목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DB 서버(400)로 과목 조회 질의(Query)를 송신한다. 가공부는 DB 서버(400)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으로 각 개설 과목 정보를 제공받으면, JSON 형식의 데이터로 가공하여 웹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웹 서버(200)는 각 개설 과목 정보를 각각의 행에 배치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행을 갖는 하나의 테이블 형태로 구성한 과목 선택 테이블을 사용자 단말(100)에 표출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WAS 서버(300)의 서비스부는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기본 승인조건이 점검된 수강 신청 요청을 수신하면, DB 서버(400)로 전달하기 이전에, 대상자 정보의 세션 정보를 확인한 후 DB 서버(400)로 수강 신청 질의를 송신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WAS 서버(300)의 서비스부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세션 정보를 확인하고, 세션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DB 서버(400)로 수강 신청 질의를 송신하고, 세션 정보가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통지 이후에 수강 신청 질의를 송신하거나, 사용자 통지만을 수행하고 수강 신청 질의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WAS 서버(300)의 서비스부는 세션을 점검한 후, DB 서버(400)의 수강 신청 로직을 호출하고, 수강 신청 로직의 수행에 따른 응답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
DB 서버(400)는 각종 검색 기능과 수강 신청 처리를 수행하는 처리부, WAS 서버(300)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 개설 강좌 테이블 및 수강신청용 성적 테이블이 저장된 제1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B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면, 제1 저장부 내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또는 다른 테이블)로부터 로그인 정보에 부합하는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에 로그인 정보에 부합하는 정보가 있으면, 사용자 로그인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그인 정보가 아이디와 패스워드인 경우, DB 서버(400)는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있으면, 사용자 로그인을 허용할 수 있다.
DB 서버(400)는 사용자 로그인을 허용한 후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로부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자 정보를 조회해 WAS 서버(300)로 제공한다.
DB 서버(400)는 WAS 서버(300)로부터 과목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개설 강좌 테이블로부터 과목 조회 질의에 대응하는 개설 과목 정보를 조회하여 WAS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과목 조회 질의는 사용자 정보의 적어도 일부와 이수구분코드, 대학코드, 학과코드, 전공코드 및 학년코드를 파라미터로 포함할 수 있다.
DB 서버(400)는 사용자들의 로그인시마다 WAS 서버(300)에 생성된 세션 정보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주기단위(예컨대, 100만분의 1초 단위)의 웹 세션 정보를 생성하여 제1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후, 웹 세션 정보는 멀티로그인에 따른 수강 신청 요청시 수강 신청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단말을 이용하여 로그인하면, WAS 서버(300)는 복수의 단말 각각에 대한 복수의 세션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DB 서버(400)는 복수의 세션 정보 중에서 마지막으로 로그인된 단말에 대한 세션 정보를 가져와, 웹 세션 정보로 저장한다. 따라서, DB 서버(400)는 복수의 단말로부터 수강 신청 요청이 수신되면, 복수의 수강 신청 요청 중에서 웹 세션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 즉, 마지막으로 로그인된 단말에 대해서만 수강 신청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DB 서버(400)는 그외 단말에 대해서는 멀티 로그인으로 인해 해당 요청에 대해서는 수강 신청을 처리할 수 없음을 안내할 수 있다.
DB 서버(400)는 WAS 서버(300)로부터 수강 신청 로직 호출을 확인하면, 수강 신청 로직에 의해 수강 신청을 처리하거나, 수강 신청 불가를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강 신청 로직은 각 호출에 대해 웹 세션 정보 일치 여부, 중복신청점검, 재이수 점검, 신청학점 점검, 가상학점 점검, 중복허용과목 점검, 시간표 중복점검, 교직점검, 이수구분 점검, 교양 과목 인정 점검, 수강 신청 인원 초과 점검을 수행하고, 점검 결과에 따라 수강 신청을 처리하거나, 수강 신청 불가를 통지한다.
상세하게는, 수강 신청 로직은 수강 신청 요청이 기저장된 웹 세션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로부터 수강 신청 요청인지를 확인하고, 웹 세션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로부터의 수강 신청 요청일 경우에만 수강 신청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수강 신청 로직은 이수구분코드가 전공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전공과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수구분코드가 교양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전공에서 교양과목으로 인정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전공과 부합되는 수강 신청이 아니면, 수강 신청을 불허할 수 있다. 또한, 수강 신청 로직은 하나의 강의에 대해 수강신청 가능한 인원이 풀(Full)이면, 해당 사용자의 수강 신청을 불허할 수 있다.
전술한, 수강 신청 로직은 예컨대, SQL 실행문과 같이, 프로시저 형태로 DB 서버(400)에 저장되어, 관리 메뉴에 의해 관리 및 수정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강 신청 처리 절차의 수강 및 관리의 용이성이 높을 수 잇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프레임워크에 의해 인터넷 익스플로어는 물론 모바일용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는 다양한 웹 브라우저를 통한 크로스 브라우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체 웹 페이지 전송 횟수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 단말에 1차적인 수강신청 필터를 제공하고, 데이터 전송시에는 JSON 형식의 저용량 데이터를 사용하므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웹 서버와 WAS 서버에 의해 DB 서버에 대한 접근 횟수를 줄일 수 있어, DB 서버의 처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 학적테이블, 신상테이블, 성적테이블, 졸업학점테이블, 수강신청가능 학점 테이블, 패스워드 테이블 등과 같이 복수의 테이블로 구성되어, 조인 부하가 많았던 수강 신청에 필요한 수강신청 관련정보들을 하나의 테이블로 구성하여 DB 서버의 검색 및 처리 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강신청대상자의 성적을 하나의 테이블로 별도로 관리함에 따라, 성적 조회시 검색 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강 신청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강 신청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지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강 신청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수강 신청을 위해 웹 서버(200)에 접속하면, 웹 서버(200)는 로그인용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S310).
그러면, 사용자는 로그인 웹 페이지에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메뉴를 클릭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로그인 요청을 송신하고, DB 서버(400)는 웹 서버(200)와 WAS 서버(300)를 거쳐 인증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로그인을 허용한다(S320). 여기서, DB 서버(400)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기등록된 것이면, 사용자의 로그인을 허용할 수 있다. 또는, DB 서버(400)는 사용자가 수강신청대상자일 경우에만 로그인을 허용할 수도 있다.
DB 서버(400)는 사용자 로그인되면,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을 WAS 서버(300)에 알리고,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로부터 로그인 요청에 대응하는 대상자 정보를 검색하여 WAS 서버(300)에 제공한다(S330).
WAS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세션 정보를 생성하고, 세션 정보와 대상자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한다(S340). 이때, 웹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로그인 후 처음으로 제공되는 메인프레임 페이지에 사용자 세션정보를 자바스크립트 배열객체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웹 서버(200)는 추가적인 웹 페이지(예컨대, 도 4와 같은 공지 화면일 수 있음)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지 화면의 왼쪽에 대상자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출할 수 있다. 이때, 웹 서버(200)는 대상자 정보 중에서 콤보 데이터의 하위 항목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면, 콤보 데이터의 하위 항목의 기본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 정보에 사용자의 대학명이 포함된 경우, 웹 서버(200)는 콤보 박스에서 사용자의 대학명이 선택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표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공지 화면에서 "수강 신청" 메뉴를 선택하면(도 4의 상단 메뉴 참조), 웹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도 5와 같은 수강 신청 화면을 표출 가능한 수강 신청용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S350).
이후, 사용자가 이수구분, 대학, 학과 및 전공과 같은 공통코드에 대한 콤보 박스(도 5의 51 참조)에서 각 항목을 선택하면, 웹 서버(200)는 각 선택 메뉴 내 선택 가능한 항목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S360). 이때, 웹 서버(200)는 이수구분, 대학, 학과 및 전공과 같은 공통코드를 자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콤보 박스의 각 항목을 선택한 후 조회 메뉴(도 5의 52 참조)를 선택하면, 웹 서버(200)는 WAS 서버(300)로 과목 조회 요청을 송신하며, WAS 서버(300)는 과목 조회 요청을 확인하면, DB 서버(400)로 과목 조회 질의를 송신한다(S370). 여기서, 과목 조회 요청 및 과목 조회 질의는 이수구분코드, 대학코드, 학과코드, 전공코드 및 학년코드를 포함하는 공통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DB 서버(400)는 과목 조회 질의를 수신하면, 개설 강좌 테이블에서 공통코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설 과목 정보 열(또는, 행)을 검색하여 WAS 서버(300)로 송신한다(S380).
WAS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개설 과목 정보 열을 JSON으로 가공하여 웹 서버(200)로 송신하고, 웹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개설 과목 정보 열을 하나의 테이블 형태로 구성한 과목 선택 테이블을 사용자 단말(100)에 표출할 수 있다(S390). 이때, 웹 서버(200)는 도 4의 하단의 개설 과목 목록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개설 과목 정보 열을 묶은 하나의 테이블 형태로 과목 선택 테이블을 표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과목 선택 테이블로부터 수강 신청할 과목을 선택한 후 수강 신청을 요청하면, 사용자 단말(100)는 수강 신청 요청이 기본 승인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한다(S400).
수강 신청 요청이 기본 승인조건을 만족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버(200)로 수강 신청 요청을 송신한다(S410). 여기서, 기본 승인조건은 수강신청가능 학점을 초과하지 않을 것, 졸업생일 경우 졸업이수학점을 초과할 것, 공학인증 과목일 경우 공학인증대상자일 것 및 수강가능기간 내의 수강 신청 요청일 것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WAS 서버(300)는 기본 승인조건이 만족하는 수강 신청 요청을 확인하면, 사용자 단말(100)의 세션 정보를 확인하고, 세션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강 신청 로직을 호출한다(S420). 참고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세션은 사용자 단말(100)과 송수신되는 정보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없으면 종료되는데, WAS 서버(300)는 수강 신청 요청이 확인되면 세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다.
DB 서버(400)는 수강 신청 로직 호출을 확인하면, 수강 신청 로직에 의해 수강 신청을 처리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상세하게는, 수강 신청 로직은 수강 신청 요청이 기저장된 웹 세션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로부터 수강 신청 요청인지를 확인하고, 웹 세션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로부터의 수강 신청 요청일 경우에만 수강 신청 처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수강 신청 로직은 이수구분코드가 전공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전공과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수구분코드가 교양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전공에서 교양과목으로 인정되는 경우 수강 신청 처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수강 신청 로직은 하나의 강의에 대해 수강신청 가능한 인원이 남아 있는 경우, 수강 신청 처리를 결정할 수 있다.
DB 서버(400)는 (S420)단계의 판단 결과, 수강 신청의 처리를 판단한 경우, 수강 신청을 처리한다(S440).
DB 서버(400)는 (S420)단계의 판단 결과, 수강 신청의 처리불가를 판단한 경우, 수강 신청 불가를 사용자 단말(100)에 통지한다(S450).
(S410)단계에서, 기본 승인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WAS 서버(300)는 사용자 통지한다(S460). 이때, WAS 서버(300)는 사용자 통지 이후에 수강 신청 질의를 송신하거나, 사용자 통지만을 수행하고 수강 신청 질의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체 웹 페이지 전송 횟수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웹 페이지용 객체를 전송할 때에서 저용량 데이터를 사용하므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웹 서버와 WAS 서버에 의해 DB 서버에 대한 접근 횟수를 줄일 수 있어, DB 서버의 처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설 강좌 테이블의 사용 및 개설 과목 조회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수강 신청 메뉴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100)에는 수강 신청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웹 서버(200)는 WAS 서버(300)의 대상자 정보를 참조하여 수강 신청용 웹 페이지의 콤보 박스 내 하위 항목의 적어도 일부의 기본 값을 표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강 신청용 웹 페이지의 콤보 박스(51)에서 이수구분, 대학, 학과, 전공공통코드를 선택한 후 "조회"(52) 버튼을 클릭하면, 웹 서버(200)는 공통코드와 학년정보를 포함하는 과목 조회 요청을 WAS 서버(300)로 전송한다.
WAS 서버(300)는 과목 조회 요청에 따라 과목 조회 질의를 송신할 수 있다.
DB 서버(400)는 과목 조회 질의를 수신하면, 개설 강좌 테이블로부터 과목 조회 질의에 대응하는 각 개설 과목 정보 열을 조회하여 WAS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각 개설 과목 정보 열은 도 5와 같이, 번호, 구분, 분반, 교과번호, 교과목명, 영문교과목명, 학점식수, 교수명, 강의실, 강의시간, 정원, 신청인원, 공학구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각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 강의실이나, 강의시간을 복수 개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개설 과목 정보 열은 대표 교수명의 몇명, 대표 강의실외 몇명, 대표 강의시간외 몇명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웹 서버(200)는 각 개설 과목 정보 열을 각기 행으로 바꿔 구성된 하나의 테이블 형태로 구성한 과목 선택 테이블을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과목 선택 테이블을 확인한 후 해당 강의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과목 선택 테이블 내 교수 정보, 강의실 정보나, 강의 시간 정보를 클릭할 수 있다. 그러면, 웹 서버(200)는 사용자의 요청을 WAS 서버(300)로 알리며, WAS 서버(300)는 사용자의 요청을 과목 조회 질의로 변경하여 DB 서버(400)로 송신한다. 이후, DB 서버(400)는 클릭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교수명, 강의실 정보 또는 강의시간 정보에 링크된 다른 테이블을 각기 조회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도 2의 21 화살표 참조).
한편, 사용자는 "빠른 수강 신청"을 위해서 빠른 검색 박스(54)에 교과번호나 분반을 입력하여 개설 과목을 조회할 수도 있다. 이 경우, WAS 서버(300)는 교과번호나 분반 정보를 포함하는 과목 조회 질의를 DB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DB 서버(400)는 개설 강좌 테이블에서 입력된 교과번호나 분반을 검색하고, 해당 교과번호나 분반이 포함된 개설 과목 정보 열을 WAS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에도, WAS 서버(300)는 개설 과목 정보 열을 JSON 형식의 데이터로 가공하여 웹 서버(200)로 제공하고, 웹 서버(200)는 JSON 형식의 개설 과목 정보 열을 과목 선택 테이블로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강 신청 시스템의 성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강 신청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평균응답시간, 송수신 데이터 크기, 웹 서버의 프로세서 사용률, DB 서버의 페이징 발생률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물론, 모바일용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는 다양한 웹브라우저에서 수강 신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관리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업무 처리의 신속화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실험 데이터는 특정 인터넷 환경, 특정 단말 및 특정 서버를 기준으로 실험된 결과로서, 인터넷 환경, 사용자 단말과 각 서버의 사양 및 성능에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수강 신청에 필요한 수강신청대상자들의 수강신청 관련정보인 대상자 정보를 수강신청대상자별로 하나의 열 또는 행으로 저장하는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이 저장되는 DB 서버;
    상기 수강 신청을 위해 사용자 로그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세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DB 서버에 의해 검색 및 전달된 상기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의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의 열 또는 행에서 일 대상자 정보를 상기 세션 정보 내에 저장하는 WAS 서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복수의 웹 페이지가 저장되며, 상기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 내 모든 수강신청대상자의 수강 신청용 과목 조회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이수구분명과 이수구분코드, 대학명과 대학코드, 학과명과 학과코드, 전공과 전공코드 및 학년과 학년코드를 포함하는 콤보 데이터를 자체 저장하고, 상기 DB 서버와 WAS 서버의 개입 없이 수강 신청용 과목을 조회하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콤보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한 상기 이수구분코드, 대학명, 학과명, 전공 및 학년의 선택을 전달받아, 선택된 상기 이수구분명, 대학, 학과, 전공 및 학년에 대응하는 과목 정보를 요청할 때 상기 콤보 데이터 내 각 코드들인 공통코드를 포함하는 과목 조회 요청을 상기 WAS 서버를 거쳐 상기 DB 서버로 송신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WAS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복수의 웹 페이지 중 메인 프레임 페이지에 상기 일 대상자 정보를 자바 스크립터 객체의 형태로 제공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은, 수강 신청 요청을 상기 웹 서버 및 WAS 서버를 거쳐 상기 DB 서버로 송신하기 전에 상기 메인 프레임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일 대상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강 신청 요청이 상기 일 대상자 정보에 따른 수강신청가능 학점, 졸업이수학점 및 공학인증대상자의 조건충족 여부에 관한 기설정된 기본 승인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기본 승인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웹 서버와 상기 WAS 서버를 거쳐 상기 DB 서버로 상기 수강 신청 요청에 대응하는 수강 신청 질의를 송신하는 것인 수강 신청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B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검색 박스에 입력된 교과번호나 분반에 대응하는 과목 조회 질의를 수신하면, 상기 DB 서버 내 개설 강좌 테이블로부터 상기 교과번호나 상기 분반이 포함된 개설 과목 정보 열 또는 행을 검색하여 상기 WAS 서버 및 웹서버를 거쳐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인 수강 신청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AS 서버는, 상기 DB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식의 데이터로 가공하여 상기 웹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JSON 형식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인 수강 신청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상기 DB 서버에서 과목 조회를 거쳐 선택한 수강 과목 정보를 포함하는 예비 수강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인 수강 신청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 내 각 대상자 정보는,
    각 수강신청대상자의 학번, 이름, 아이디, 패스워드, 현재 대학명, 현재 대학코드, 현재 학과명, 현재 학과코드, 현재 전공명, 현재 전공코드, 학년, 수강신청 가능 학점, 졸업이수 학점, 성적취득 학점, 공학인증 여부, 공학인증 대상자 여부 및 수강 신청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수강 신청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승인조건은,
    상기 수강 신청 요청에 따른 수강 신청 결과 상기 일 대상자 정보에 따른 수강신청가능 학점을 초과하지 않을 것;
    상기 일 대상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가 졸업생인 경우, 상기 수강 신청 요청에 따른 수강 신청 결과 상기 일 대상자 정보에 따른 졸업이수학점을 초과할 것;
    상기 수강 신청 요청에 따른 과목이 공학인증 과목일 경우 상기 일 대상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가 공학인증대상자일 것; 및
    상기 수강 신청 요청이 상기 일 대상자 정보에 따른 수강가능기간 내의 요청일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수강 신청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B 서버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세션 정보를 가져와 저장하되, 상기 사용자가 복수의 단말로 로그인하면 상기 복수의 단말 중에서 마지막 로그인된 단말에 대응하는 세션 정보를 가져와 웹 세션 정보로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단말로부터 상기 수강 신청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상기 웹 세션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에 대한 수강 신청만을 수행하는 것인 수강 신청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B 서버는,
    각 개설 과목 정보가 각 열 또는 행에 포함된 개설 강좌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수강 신청용 과목 조회를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웹 서버 및 상기 WAS 서버를 통해 송신된 상기 공통코드를 포함하는 과목 조회 요청에 대응하는 각 개설 과목 정보를 상기 개설 강좌 테이블의 각 열 또는 행에서 추출하는 것인 수강 신청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B 서버는,
    상기 웹 서버 또는 상기 WAS 서버에 의해 상기 기본 승인조건이 만족된 상기 수강 신청 요청을 수신하면, 이전에 신청 과목이 아닌지 판단, 재이수 과목 판단, 전공 판단, 복수 전공 판단, 교양 과목 인정 판단 및 수강신청 가능 과목 판단, 수강인원 초과 판단 중 적어도 하나의 판단을 거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단 결과에 따라 수강 신청 처리 또는 수강 신청 불가 통지를 수행하는 것인 수강 신청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B 서버는,
    상기 각 수강신청대상자의 학번을 기준으로 정렬된 상기 각 수강신청대상자의 성적을 포함하는 성적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성적조회 요청을 확인하면, 상기 성적 테이블로부터 상기 일 대상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성적을 조회하여 제공하는 것인 수강 신청 시스템.
  12. 사용자 단말이 WAS 서버 및 웹 서버를 거쳐 수강 신청에 필요한 수강신청대상자들의 수강신청 관련정보인 대상자 정보를 수강신청대상자별로 하나의 열 또는 행으로 저장하는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이 저장되는 DB 서버에 수강 신청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DB 서버가 상기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해 로그인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의 하나의 열 또는 행에서 일 대상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WAS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WAS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세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일 대상자 정보를 상기 세션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WAS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복수의 웹 페이지 중 메인 프레임 페이지에 상기 일 대상자 정보를 자바 스크립터 객체의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강신청대상자 테이블 내 모든 수강신청대상자의 수강 신청용 과목 조회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이수구분명과 이수구분코드, 대학명과 대학코드, 학과명과 학과코드, 전공과 전공코드 및 학년과 학년코드를 포함하는 콤보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저장한 상기 웹 서버가, 수강 신청용 과목을 조회하려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이수구분명, 대학명, 학과명, 전공 및 학년의 선택을 위한 상기 콤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이수구분명, 대학, 학과, 전공 및 학년에 대응하여 상기 콤보 데이터 내 각 코드들인 공통코드를 포함하는 과목 조회 요청을 상기 WAS 서버를 거쳐 상기 DB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강 신청 요청을 상기 웹 서버 및 WAS 서버를 거쳐 상기 DB 서버로 송신하기 전에, 상기 수강 신청 요청이 상기 메인 프레임 페이지의 일 대상자 정보에 따른 수강신청가능 학점, 졸업이수학점 및 공학인증대상자의 조건충족 여부에 관한 기설정된 기본 승인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수강 신청 요청이 상기 기본 승인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수강 신청 요청에 대응하는 수강 신청 질의를 상기 웹 서버 및 상기 WAS 서버를 거쳐 상기 DB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강 신청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승인조건은,
    상기 수강 신청 요청에 따른 수강 신청 결과 상기 일 대상자 정보에 따른 수강신청가능 학점을 초과하지 않을 것;
    상기 일 대상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가 졸업생인 경우, 상기 수강 신청 요청에 따른 수강 신청 결과 상기 일 대상자 정보에 따른 졸업이수학점을 초과할 것;
    상기 수강 신청 요청에 따른 과목이 공학인증 과목일 경우 상기 일 대상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가 공학인증대상자일 것; 및
    상기 수강 신청 요청이 상기 일 대상자 정보에 따른 수강가능기간 내의 요청일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수강 신청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B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각 개설 강좌 정보에 대응하는 전체 시간표 정보, 전체 교수 정보 또는 전체 강의실 정보가 요청되면, 그 요청에 대응하여 각기 하나의 열 또는 행으로 구성된 상기 각 개설 강좌 정보에 대응하는 전체 시간표 정보, 전체 교수 정보 또는 전체 강의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수강 신청 시스템.
KR1020140195770A 2014-12-31 2014-12-31 수강 신청 시스템 및 방법 KR101556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770A KR101556068B1 (ko) 2014-12-31 2014-12-31 수강 신청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770A KR101556068B1 (ko) 2014-12-31 2014-12-31 수강 신청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068B1 true KR101556068B1 (ko) 2015-10-01

Family

ID=5433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770A KR101556068B1 (ko) 2014-12-31 2014-12-31 수강 신청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0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300A (ko) 2018-08-30 2020-03-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육 강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9086A (ko) * 2021-09-13 2023-03-21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경남. 고 가용성과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웹시스템 구축 방안.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년
강병수. 과목추천 지원 수강신청 시스템 개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년*
이용진. PEAK TIME시 웹서버의 부하 분산과 DATABASE 튜닝을 통한 성능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300A (ko) 2018-08-30 2020-03-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육 강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9086A (ko) * 2021-09-13 2023-03-21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16915B1 (ko) * 2021-09-13 2023-12-21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100414A4 (en) Data reconciliation based on computer analysis of data
US11188626B2 (en) Multi-user login session
US9984427B2 (en) Data ingestion module for event detection and increased situational awareness
US10977056B2 (en) System for utilizing one or more data sources to generate a customized interface
US201302623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US11048767B2 (en) Combination content search
US20160358259A1 (en) Aggregating account information obtained from multiple institutions
US9912675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geo-verification
US20200401848A1 (en) Machine learning based system for identifying resonated connections in online connection networks
Finch Feminism and qualitative research
KR20150133055A (ko) 인터넷 공유기를 이용한 출결 관리 방법
KR101556068B1 (ko) 수강 신청 시스템 및 방법
Sehgal et al. Job portal-A web application for geographically distributed multiple clients
JP6762641B1 (ja) マッチング支援方法及びサーバ
Alshakrani et al. Online Guide for Bahraini Universities
CN110276593B (zh) 对象推荐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20190080100A (ko) 입시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72002B1 (ko) 학교별 월렛 시스템 및 기업 사서함에 기초한 인재 매칭 시스템
JP2017073051A (ja) 人材検索サーバ
US20150213063A1 (en) Data standardization
JP2011210196A (ja) サーバ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KR102340976B1 (ko) 웹서비스 사용자 경험을 활용한 딥러닝 기반의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230120709A (ko) 사용자 맞춤형 정책 추천 방법 및 시스템
US10845970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method, and apparatus of visualizing information on topic for conversation
Brown Rethinking the troubleshooting model: By jennifer everson brown, university of denver libra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