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7837A - 누름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누름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7837A
KR20190127837A KR1020197030201A KR20197030201A KR20190127837A KR 20190127837 A KR20190127837 A KR 20190127837A KR 1020197030201 A KR1020197030201 A KR 1020197030201A KR 20197030201 A KR20197030201 A KR 20197030201A KR 20190127837 A KR20190127837 A KR 20190127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protrusion
base
button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라 이자와
히로아키 후지노
마미코 나카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7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누름 버튼 스위치가, 베이스(1)와, 베이스(1)에 대하여 접근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3)과, 베이스(1)과 버튼(3) 사이에 배치되어, 베이스(1)에 대하여 버튼(3)을 이격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4)과, 베이스(1)와 코일 스프링(4) 사이, 또는, 버튼(3)과 코일 스프링(4) 사이에 배치되어, 베이스(1) 또는 버튼(3)에 대하여, 코일 스프링(4)의 단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돌기부(10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누름 버튼 스위치
본 개시는, 누름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베이스로부터 통 형상의 가이드 포스트를 돌출시켜, 이 가이드 포스트의 내경측에서 도광체를 가이드하고, 외경측에 배치한 코일 스프링으로, 버튼을 압입 가능하게 탄성 지지한 구성의 누름 버튼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중국 특허 출원 공개 제104851727호 명세서
그러나,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키보드 등에 채용하고, 게임 소프트의 조작 키로 이용하는 경우, 누름 버튼 스위치를 압입한 상태에서 튀기는 것과 같은 조작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은 누름 버튼 스위치의 압입 방향을 따라서 신축할 뿐이기 때문에, 좀처럼 감쇠하지 않고, 이음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되고 있다.
본 개시는, 사용하는 코일 스프링 진동을 조기에 감쇠시켜서 서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누름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의 일례로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접근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과,
상기 베이스와 상기 버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버튼을 이격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버튼과,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버튼에 대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례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 의하면, 압입한 버튼으로부터 손가락을 뗌에 의해, 버튼을 이격 방향으로 돌출시키도록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이 작용했다고 해도,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도록 했으므로, 코일 스프링이 중심축 방향뿐만 아니라, 이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에도 가압력을 작용시킨다. 이 결과, 코일 스프링의 진동을 조기에 감쇠시켜서 서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로부터 버튼을 푼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를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3의 도광체를 상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도광체를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3의 버튼을 상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버튼을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3의 고정 접촉편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고정 접촉편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3의 가동 접촉편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가동 접촉편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3의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슬라이더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돌기부를 갖는 버튼을 구비한 누름 버튼 스위치와, 돌기부가 없는 누름 버튼 스위치로 코일 스프링의 진동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도광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버튼을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도광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에 관한 일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특정한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어, 「상」, 「하」, 「측」, 「단」을 포함하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그것들의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개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며, 그것들의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개시,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고,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위하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로부터 버튼(3)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누름 버튼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누름 버튼 스위치는, 베이스(1), 버튼(3), 코일 스프링(4), 접점 개폐 기구(5), 슬라이더(6) 및 승강 기구(7)를 구비한다. 버튼(3)은, 베이스(1)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즉, 접근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저부(8)와 사각형 프레임부(9)를 갖고 있다. 저부(8)에는, 도광 부재의 일례의 도광체(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저부(8)에는 평면에서 보아 원 형상의 개구부(10)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0)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즉, 베이스(1)의 저부(8)에 직교하는 방향이고, 버튼(3)의 베이스(1)에 대한 접근 이격 방향)의 중앙 부분에 환상의 걸림 받침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받침부(1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광체(2)의 걸림 클로(29a)가 걸린다.
개구부(10)의 근방에는 제1 설치대(12)와 제2 설치대(1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설치대(12)의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걸림 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저부(8)에는, 제1 걸림 홈(14)에 연속하여 하면에 연통하는 제1 단자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설치대(12)는, 상면이 볼록 형상의 원호면으로 구성된 제1 걸림 돌조(16)를 구비한다. 제2 설치대(13)도 제1 설치대(12)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제2 걸림 홈(17) 및 제2 걸림 돌조(18)를 구비하고, 저부(8)에는 제2 걸림 홈(17)에 연통하는 제2 단자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설치대(12)에는 고정 접촉편(41)이 고정되고, 제2 설치대(13)에는 가동 접촉편(42)이 고정된다. 또한 저부(8)의 일측부 상면에는, 중앙부에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의 오목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부(8)의 네 구석에는 오목부(2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0b)의 저면에는, 버튼(3)을 밀어내린 때, 후술하는 버튼(3)의 맞닿음부(36)의 하단이 맞닿고, 버튼(3)의 그 이상의 이동이 제한된다.
사각형 프레임부(9)는, 대향하는 2조의 측면 벽(21a, 21b)으로 구성되고, 그것들의 외측에는 플랜지부(22)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2)는, 후술하는 승강 기구(7)의 지지에 사용된다. 대향하는 측면 벽(21a)의 외측에서는, 플랜지부(22)의 외측에 압출 방지 벽(23)이 형성되어 있다. 압출 방지 벽(23)은, 제1 암(67) 및 제2 암(68)이 측방으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대향하는 측면 벽(21a)의 외면 중앙부에는,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4)는, 측면 벽(21a)의 상반부가 폭이 좁은 홈부(24a)로 구성되고, 하반부가 홈부(24a)보다도 넓어진 릴리프 오목부(24b)로 구성되어 있다. 홈부(24a)의 폭 치수는, 후술하는 제1 암(67)과 제2 암(68)을 접은 상태에서 삽입 관통 가능한 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체(2)는,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원뿔대 형상의 도광 본체(25)와, 이 도광 본체(25)의 하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탄성체 받침부(26)를 갖고 있다.
도광 본체(25)의 상면에는 복수의 볼록 렌즈(25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록 렌즈(25a)에 의해, 광원인 LED(Light Emitting Diode)(25b)(도 5b 참조)로부터의 광이 확산된다.
탄성체 받침부(26)는 플랜지 형상으로, 상반부의 받침부 본체(27)와, 하반부의 통 형상체(2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 받침부(26)는, 주위 방향 3군데 등분으로 절결(26a)이 형성되고, 거기에는 클로부(2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 본체(27)와 통 형상체(28)는, 절결(26a)에 의해 3개의 원호 형상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받침부 본체(27)는, 베이스(1)의 개구부(10)보다도 외경 치수가 크고, 그 하면이 저부(8)의 상면에 맞닿는다. 통 형상체(28)의 외면은 개구부(10)의 내면에 맞닿고, 베이스(1)에 대하여 도광체(2)를 직경 방향에 위치 결정한다. 또한, 받침부 본체(27)의 하면과 통 형상체(28)의 내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도시하지 않은 LED(25b)를 배치하기 위한 오목부(30)로 되어 있다. 클로부(29)는, 통 형상체(28)와 마찬가지로 하방측으로 연장되고, 선단 부분에는 외경측에 돌출되는 걸림 클로(29a)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클로(29a)는, 베이스(1)의 개구부(10)에 형성된 걸림 받침부(11)에 걸어, 도광체(2)가 개구부(10)로부터 상방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튼(3)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을 갖고 있다. 이 버튼(3)은, 평면 직사각 형상의 평판부(31)와, 평판부(31)가 대향하는 2변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32)와, 평판부(31)가 대향하는 나머지 2변으로부터 각각 측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3a, 33b)를 구비한다.
평판부(31)의 하면 중앙부에는 대략 원통 형상의 가이드부(34)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34)로부터는, 그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돌기부(100)(즉, 제1 돌기(101) 및 제2 돌기(10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돌기(101) 및 제2 돌기(102)는, 가이드부(34)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일 직선 상(즉, 가이드부(34)의 중심에 대하여 주위 방향으로 180°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돌기(101) 및 제2 돌기(102)는, 코일 스프링(4)의 단부에 맞닿는 부분이 산형 또는 U자 형상, 예를 들어 단면 반원 형상으로 되고, 양자의 접촉 면적이 억제되고 있다. 또한 돌기부(100)는, 평판부(31)로부터의 돌출 치수가, 가이드부(34)보다도 작지만, 코일 스프링(4)의 소선 직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평면에서 보아, 코일 스프링(4)의 상단부(즉, 코일 스프링(4)의 최후의 1감기)의 어느 쪽의 개소여도 제1 돌기(101) 및 제2 돌기(102)에 확실하게 맞닿게 하여, 제1 돌기(101) 및 제2 돌기(102)로 코일 스프링(4)의 단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101) 및 제2 돌기(102)는 반드시 코일 스프링(4)의 중심에 대하여 180° 위상을 달리한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한하지 않고, 주위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서 배치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제1 돌기(101) 및 제2 돌기(102)는 단면 반원 형상에 한하지 않고, 단면 삼각 형상 등, 코일 스프링(4)의 단부와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여러가지의 단면 형상이 포함된다. 요는, 코일 스프링(4)의 단부가 돌기부(100)에 압접함으로써 언밸런스로 되고, 코일 스프링(4)이 그 중심축 방향이 아닌, 중심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도 휘게 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제1 돌기(101) 및 제2 돌기(102)이면 된다.
또한 평판부(31)의 하면에는, 3변을 따라 가이드 벽(35)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벽(35)의 양측 대향 벽은, 양단 부분에 다른 부분보다도 돌출된 맞닿음부(36)가 형성됨과 함께, 양단부를 제외하고 내측으로 밀어내기 시작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 벽(35)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맞닿음부(36)의 대향 부분에는, 슬라이더(6)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36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36a)을 구성하는 한쪽의 측벽은 상하 단부를 제외하여 절제되고, 하단부에는 리프트용 돌기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용 돌기부(37)는, 상방을 향하여 점차 경사지는 하방측의 경사면(37a)과, 상방측의 평탄면(37b)을 구비한다.
측벽부(32)에는, 또한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양단 부분에 베어링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각 베어링 구멍(38)에는, 후술하는 제1 암(67) 및 제2 암(68)의 제1 축부(71)(도 3에 도시함)가 각각 회전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쪽의 연장부(33a)에는, 3군데에 오목 형상의 원호면을 갖는 돌기(39)가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31)의 측연부와 돌기(39)의 원호면에서, 도시하지 않은 밸런스 바를 지지하는 지지부(40)가 구성되어 있다.
도 3으로 되돌아가, 코일 스프링(4)은 선재를 나선 형상으로 한 것으로, 도광체(2)의 탄성체 받침부(26)와, 버튼(3)의 가이드부(34) 사이에 배치되고, 베이스(1)에 대하여 버튼(3)을 상방으로 가압한다.
접점 개폐 기구(5)는, 고정 접촉편(41)과 가동 접촉편(42)을 구비하고, 이들은 평판상의 구리 합금을 프레스 및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편(41)은, 제1 평면부(43)와, 제1 평면부(43)의 하부 에지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고정 단자부(44)와, 제1 평면부(43)의 일단측 하부 에지로부터 직교하여 연장되는 제2 평면부(45)와, 제2 평면부(45)의 일단 에지로부터 직교하여 연장되는 제3 평면부(46)와, 제3 평면부(46)에 마련된 고정 접점(47)과, 제1 평면부(43)의 타단 에지로부터 직교하여 연장되고, 제3 평면부(46)에 대향하는 제4 평면부(48)를 구비한다. 고정 단자부(44)의 중앙 부분에는 제1 평면부(43)에 이르는 제1 걸림 돌기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 돌기부(49)가 베이스(1)의 제1 설치대(12)에 형성한 제1 걸림 홈(14)에 걸린다. 고정 단자부(44)가 제1 단자 구멍(15)에 압입되어서 저부(8)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4 평면부(48)에는, 하부 에지 중앙부에 원호 형상으로 절결한 제1 걸림 오목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 오목부(50)는, 상기 제1 설치대(12)의 제1 걸림 돌조(16)에 걸린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접촉편(42)은, 제1 평면부(51)와, 제1 평면부(51)의 일단측 하부 에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동 단자부(52)와, 제1 평면부(51)의 일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연장되는 제2 평면부(53)와, 제1 평면부(51)의 타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2 평면부(53)에 부분적으로 대향하는 제3 평면부(54)를 구비한다. 가동 단자부(52)의 중앙 부분에는 제1 평면부(51)에 이르는 제2 걸림 돌기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평면부(53)에는, 하부 에지 중앙부에 원호 형상으로 절결한 제2 걸림 오목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걸림 오목부(56)는, 상기 제1 설치대(12)의 제2 걸림 돌조(18)에 걸린다. 제3 평면부(54)는, 상부 에지 중앙부에 단면 대략 C자상으로 굴곡한 돌출편(57)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편(57)은, 후술하는 슬라이더(6)의 가압부(59)에 압박되어, 제3 평면부(54)(더욱이 제1 평면부(51))를 탄성 변형시킨다. 제3 평면부(54)의 선단 외면에는 가동 접점(58)이 마련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6)는, 합성 수지 재료를 성형 가공한 평판 형상의 것이다. 슬라이더(6)는, 중앙 부분에 가압부(59)를 구비한다. 가압부(59)는, 상단에서 소정 치수 하방측으로부터 점차 돌출되는 제1 경사면(60)과, 제1 경사면(60)에 연속하는, 돌출 부분의 중앙이 약간 오목해진 오목 곡면(61)을 구비한다. 또한 가압부(59)는, 돌출 부분의 하단측은 점차 돌출 치수가 작아지는 제2 경사면(62)을 구비한다.
또한 슬라이더(6)는, 양단부에 피가이드 돌기부(64)를 구비한다. 피가이드 돌기부(64)는, 슬라이더(6)의 양단부에 마련된 평탄부(65)의 외면 중앙부를 좌우로 2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가이드 돌기부(64)는, 버튼(3)에 형성한 가이드 홈(36a) 내에 삽입되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된다. 평탄부(65)에는, 피가이드 돌기부(64)에 의해 2분된 한쪽의 하방측에 피리프트용 돌기부(66)가 형성되어 있다. 피리프트용 돌기부(66)의 상면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돌출되는 경사면(66a)으로 구성되고, 하면은 평탄면(66b)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리프트용 돌기부(66)의 평탄면(66b)에 리프트용 돌기부(37)의 평탄면(37b)이 맞닿고, 버튼(3)이 상방 이동할 때, 함께 들어 올릴 수 있다.
도 3으로 되돌아가, 승강 기구(7)는, 제1 암(67)과 제2 암(68)을 구비한다. 제1 암(67) 및 제2 암(68)은 대략 동일 형상으로, 각각이 축체(69)와, 그 양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암부(70)를 갖고 있다. 각 축체(69)의 양단부에는 제1 축부(7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암부(70)의 선단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축부(72)와 제1 돌기(73)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의 암부(70)의 선단측에는, 상기 제2 축부(7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는 베어링 구멍(74)과,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7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암(67) 및 제2 암(68)은, 제1 암(67)의 제2 축부(72)를 제2 암(68)의 베어링 구멍(74)에 삽입 관통하고, 제2 암(68)의 제2 축부(72)를 제1 암(67)의 베어링 구멍(74)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연결된다. 연결된 제1 암(67)과 제2 암(68)은, 접은 상태에서, 연결 부분을 베이스(1)의 홈부(24a)에 삽입 관통하여, 릴리프 오목부(24b)에서 확장함으로써, 제1 돌기(73)와 제2 돌기(75)가 릴리프 오목부(24b)를 구성하는 상면에 맞닿고, 베이스(1)로부터의 탈락이 저지된다. 또한, 연결된 제1 암(67)과 제2 암(68)은, 제1 축부(71)를 버튼(3)의 베어링 구멍(38)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버튼(3)에 연결된다. 버튼(3)은, 제1 축부(71)가 베어링 구멍(38)의 내측 에지에 맞닿음으로써 돌출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버튼(3)은, 맞닿음부(36)의 하단이 베이스(1)의 오목부(20b)의 저면에 맞닿음으로써 압입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계속해서, 상기 구성의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저부(8)의 개구부(10)에 도광체(2)를 배치한다. 도광체(2)의 통 형상체(28)를 개구부(10) 내에 삽입하고, 플랜지부(22)를 저부(8)의 상면에 맞닿게 한다. 이에 의해, 클로부(29)의 걸림 클로(29a)가 개구부(10)의 걸림 받침부(11)에 걸려, 도광체(2)를 구비한 베이스(1)가 얻어진다.
저부(8)의 개구부(10)에 배치한 도광체(2)의 주위에 코일 스프링(4)을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4)의 하단부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체(2)의 탄성체 받침부(26)에 맞닿는다.
베이스(1)의 제1 설치대(12)에 고정 접촉편(41)을 설치하고, 제2 설치대(13)에 가동 접촉편(42)을 설치한다. 고정 접촉편(41)은, 고정 단자부(44)를 베이스(1)의 제1 단자 구멍(15)에 압입하고, 제1 걸림 돌기부(49)를 제1 설치대(12)의 제1 걸림 홈(14)에 걸고, 제1 걸림 오목부(50)를 제1 설치대(12)의 제1 걸림 돌조(16)에 걺으로써 베이스(1)에 고정한다. 가동 접촉편(42)는, 가동 단자부(52)를 베이스(1)의 제2 단자 구멍(19)에 압입하고, 제2 걸림 돌기부(55)를 제2 설치대(13)의 제2 걸림 홈(17)에 걸고, 제2 걸림 오목부(56)를 제2 설치대(13)의 제2 걸림 돌조(18)에 걺으로써 베이스(1)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고정 접점(47)에 대하여 가동 접점(58)이 폐쇄 가능하게 대향한다.
제1 암(67)의 제2 축부(72)를 제2 암(68)의 베어링 구멍(74)에 삽입 관통하고, 제2 암(68)의 제2 축부(72)를 제1 암(67)의 베어링 구멍(74)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제1 암(67)과 제2 암(68)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1 암(67)과 제2 암(68)을, 접은 상태에서 베이스(1)의 홈부(24a)를 통해 오목부(30)에 삽입하고, V자상으로 확장한다. 또한, 버튼(3)의 가이드 홈(36)에 슬라이더(6)의 피가이드 돌기부(64)를 가이드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1 암(67)과 제2 암(68)의 제1 축부(71)를 버튼(3)의 베어링 구멍(38)에 삽입 관통한다. 이에 의해, 버튼(3)은, 도광체(2) 사이에 배치한 코일 스프링(4)의 가압력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의 상단부는, 버튼(3)에 형성한 제1 돌기(101) 및 제2 돌기(102)에 맞닿는다. 제1 돌기(101) 및 제2 돌기(102)의 각각은, 코일 스프링(4)의 상단부에 대향하는 만곡면을 갖는 단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만곡면이 코일 스프링(4)의 상단부에 대하여 점 접촉한다. 따라서, 버튼(3)을 압입한 후, 그 압입 상태를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4)은 버튼(3)에 대하여 중심축 방향뿐만 아니라, 이 중심축에 경사진 방향으로도 가압력을 작용시킨다. 또한, 버튼(3)은, 제1 암(67)과 제2 암(68)의 제1 축부(71)가 베어링 구멍(38)의 내측 에지에 맞닿음으로써 돌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누름 버튼 스위치는, LED(25b)를 실장한 프린트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설치한다. 누름 버튼 스위치의 설치에서는, 베이스(1)의 하면에 위치하는 도광체(2)의 오목부(30)에 LED(25b)가 들어간다. 또한, 버튼(3)에는, 도시하지 않은 키캡이 장착되어, 키보드의 키로 된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누름 버튼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키캡을 압입 조작하고 있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버튼(3)은 코일 스프링(4)의 가압력에 의해 상방에 가압되어, 제1 암(67)과 제2 암(68)의 각 제1 축부(71)가 제2 암(68)과 제1 암(67)의 각 베어링 구멍(38)의 내측 에지에 맞닿아 있다. 이에 의해, 버튼(3)은 돌출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가동 접촉편(42)은 돌출편(57)을 슬라이더(6)의 가압부(59)에 압박하여, 가동 접점(58)이 고정 접촉편(41)의 고정 접점(47)으로부터 개방 이격되어 있다.
키캡을 통해 버튼(3)을, 코일 스프링(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어 내리면, 함께 슬라이더(6)도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동 접촉편(42)의 돌출편(57)은 슬라이더(6)의 오목 곡면(61)으로부터 제1 경사면(60)으로 압접 위치를 변경한다. 이에 의해, 가동 접촉편(42)의 제3 평면부(46)에 축적된 탄성 에너지가, 슬라이더(6)를 하방측으로 가압하는 힘에 변환된다. 이 결과, 버튼(3)에 대하여 슬라이더(6)가 단독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고, 피리프트용 돌기부(66)의 하단 평탄면(66b)을 버튼(3)의 리프트용 돌기부(37)의 평탄면(37b)에 충돌시켜서 소리를 발생시킨다. 단순히 슬라이더(6)가 자중에 의해 낙하할 뿐만 아니라, 가동 접촉편(42)으로부터의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발생하는 소리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누름 버튼 스위치를 구비한 키보드라면, 유저는 압입 조작이 적절하게 행하여진 것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를 게임 등에서 사용했다고 하면, 그 압입 조작에 의해 충분한 소리를 발생시켜서 사용 상황에 상응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하고 있었던 가동 접촉편(42)이 형상을 복귀하여 곧바로 연장됨으로써, 가동 접점(58)이 고정 접점(47)에 폐쇄 형성된다.
버튼(3)의 압입 조작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4)의 가압력에 의해 버튼(3)이 상방 이동한다. 버튼(3)이 상방 이동할 때, 코일 스프링(4)의 가압력은, 제1 돌기(101) 및 제2 돌기(102)를 통해 버튼(3)에 작용한다. 제1 돌기(101) 및 제2 돌기(102)의 각각은 코일 스프링(4)에 대하여 대향하는 만곡면을 갖는 단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만곡면과 코일 스프링(4)의 상단부가 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코일 스프링(4)의 상단부가 기울고, 버튼(3)을 그 중심축 CL(도 10에 도시함) 방향뿐만 아니라, 중심축 CL에 대하여 교차한 방향에도 가압력을 작용시켜서 진동시킨다. 이 결과, 코일 스프링(4)에 축적된 탄성 에너지를 조기에 소비시켜, 발생하는 진동을 급속하게 감쇠시킬 수 있다. 즉, 코일 스프링(4)의 서징이 억제되어, 이음의 발생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버튼(3)은, 제1 암(67)과 제2 암(68)의 제1 축부(71)가 베어링 구멍(38)의 내측 에지에 맞닿고,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슬라이더(6)는, 피리프트용 돌기부(66)의 평탄면(66b)에 버튼(3)에 형성한 리프트용 돌기부(37)의 평탄면(37b)이 맞닿아서 들어 올려지고, 가압부(59)가 가동 접촉편(42)의 돌출편(57)을 압박하여 제3 평면부(54)(나아가 제1 평면부(51))를 탄성 변형시킨다. 이에 의해, 가동 접점(58)이 고정 접점(47)으로부터 개방 이격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도 11은, 버튼(3)을 압입하고 나서 손가락을 이격한 때의 코일 스프링(4)의 진동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 중, 실선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을 구비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코일 스프링(4)의 진동 변화를 나타내고, 점선은 돌기부(100)가 없는 버튼(3)을 구비한 누름 버튼 스위치에서의 코일 스프링(4)의 진동 변화를 나타낸다. 이 그래프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에서는, 버튼(3)으로부터 손가락을 이격하고 나서 약 0.1초로 충분히 감쇠시킬 수 있었다. 한편, 돌기부(100)가 없는 버튼(3)을 구비한 누름 버튼 스위치에서는, 코일 스프링(4)의 진동을 충분히 감쇠시키는데, 거의 3배인 약 0.3초 걸렸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버튼(3)에 한 쌍의 돌기부(100)를 형성하도록 했지만,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2에서는, 베이스(1)의 도광체(2)에 한 쌍의 돌기부(110)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즉, 탄성체 받침부(26)의 받침부 본체(27)의 상면에, 제3 돌기(111) 및 제4 돌기(112)를, 도광체(2)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마련하고 있다. 이 돌기부(110)에 의해서도, 버튼(3)에 마련된 돌기부(100)와 마찬가지로, 버튼(3)에 작용시키는 코일 스프링(4)의 가압력을 그 중심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할 수 있고, 코일 스프링(4)의 서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버튼(3)측에는 돌기부(100)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버튼(3)측에 돌기부(10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평면에서 본 주위 방향 위치를, 버튼(3)측과 베이스(1)측으로 비켜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4)의 상단측과 하단측에서 돌기부(100과 110)에 의해 각각 휘어서 비틀어지는 방향을 상위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또한 코일 스프링(4)의 진동을 신속히 감쇠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도광체(2)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와는 약간 상위하다. 즉, 도광체(2)의 하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는, 중심을 향하여 경사진 원추면과, 중심 부분의 오목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광체(2)의 상면 외주에는 환상 돌기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구성에 의해, LED로부터의 광이 주위에 퍼지는 일 없이, 확실하게 버튼(3)의 평판부(31) 전체를 조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또한, 도광체(2)에 형성하는 돌기부(11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채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100 및 110)를 각각 2개의 돌기(101, 102 및 111, 112)로 구성하도록 했지만,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튼(3)측에 1개(돌기(101)만)로 해도 되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측에 1개(돌기(111)만)로 해도 된다. 또한, 돌기는 3개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버튼(3)측과 베이스(1)측의 양쪽에 돌기를 형성해도 되고, 어느 한쪽만으로 해도 된다. 또한, 버튼(3)측과 베이스(1)측에서 돌기의 수를 변경해도 된다. 또한, 버튼(3)측 또는 베이스(1)측에 돌기를 복수 마련하는 경우, 각 측에서의 돌기의 높이를 서로 상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4)의 가압력을,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돌기의 양측에 분산시킬 뿐만 아니라, 돌기 간에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4)의 진동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감쇠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110)를 베이스(1)의 도광체(2)에 형성하도록 했지만, 베이스(1)의 저부(8)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100)를 버튼(3)에 마련하고, 돌기부(110)를 베이스(1)측에 마련하도록 했지만,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120)를 코일 스프링(4)에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에서는, 코일 스프링(4)의 상단부에, 중심축에 대하여 180° 떨어진 위치에 각각 제1 돌기(121) 및 제2 돌기(122)를 형성하고 있다. 단, 코일 스프링(4) 자신으로의 돌기의 가공은 어렵기 때문에, 별도, 돌기를 갖는 부속품을 코일 스프링(4)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부속품은 고무나 합성 수지 재료로 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외주면에 돌기를 마련하여, 통 형상 부분에 코일 스프링(4)의 일단측의 선재를 압입하도록 하면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있어서의 여러가지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마지막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참조 부호도 붙여서 기재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서는,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에 대하여 접근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3)과,
상기 베이스(1)와 상기 버튼(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1)에 대하여 상기 버튼(3)을 이격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4)과,
상기 베이스(1) 또는 상기 버튼(3)과, 상기 코일 스프링(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1) 또는 상기 버튼(3)에 대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4)의 단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돌기부(100)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돌기부(100)가 코일 스프링(4)의 단부에 맞닿아서 요동시켜, 코일 스프링(4)을 중심축을 따른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도 진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코일 스프링(4)에 축적된 탄성 에너지를 조기에 소비하여, 진동을 급속하게 감쇠시킬 수 있다. 즉, 코일 스프링(4)의 서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서는,
상기 돌기부(100)는, 상기 코일 스프링(4)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돌기(101, 102)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코일 스프링(4)의 단부를 제1 돌기(101)와 제2 돌기(102)에 맞닿게 하여, 확실하게 요동시킬 수 있으므로, 코일 스프링(4)의 서징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서는,
상기 돌기부(100)의 높이는, 상기 코일 스프링(4)의 소선 직경보다도 크다.
이 구성에 의해, 돌기부(100)를 확실하게 코일 스프링(4)의 일단부의 어느 한 위치에 맞닿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서는,
상기 돌기부(100)는, 상기 버튼(3)과 상기 코일 스프링(4) 사이의 상기 버튼(3)에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부품 개수를 증대시키지 않고, 돌기부(100)를 간단하게 마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5 양태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서는,
상기 돌기부(100)는, 상기 베이스(1)와 상기 코일 스프링(4) 사이의 상기 베이스(1)에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부품 개수를 증대시키지 않고, 돌기부(100)를 간단하게 마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6 양태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서는,
상기 돌기부(100)는, 상기 버튼(3)과 상기 코일 스프링(4) 사이에 마련된 돌기(101, 102)와, 상기 베이스(1)와 상기 코일 스프링(4) 사이에 마련된 돌기(111, 112)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4)의 중심축 주위에 있어서 상기 돌기(101, 102, 111, 112)의 위치는 서로 상위하다.
이 구성에 의해, 버튼(3)측과 베이스(1)측에서 코일 스프링(4)의 단부를 요동시키는 방향을 상위하게 할 수 있고, 더욱 효과적으로 코일 스프링(4)의 서징을 억제 가능하게 된다.
본 개시의 제7 양태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서는,
상기 돌기부(100)는, 상기 코일 스프링(4)에 마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제8 양태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서는,
상기 돌기부(100)가 복수의 돌기(101, 102, 111, 112)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101, 102, 111, 112)의 높이는, 각각 상기 코일 스프링(4)의 소선 직경보다도 커서 서로 상위하다.
이 구성에 의해, 코일 스프링(4)의 단부가 높이가 상위한 복수의 돌기(101, 102, 111, 112)에 맞닿음으로써, 확실하게 코일 스프링(4)을 요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4)에 축적된 탄성 에너지를 조기에 빼앗아서 진동을 감쇠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개시의 제9 양태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4)은, 상기 버튼(3)과 상기 베이스(1) 사이에 마련된 도광 부재(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투과하는 영역에는 도광 부재(2)만으로 할 수 있고, 도광 효과를 저해하지 않고, 서징을 억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여러가지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 중의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각각이 갖는 효과를 발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예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 형태와 실시예의 조합이 가능함과 함께, 다른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 중의 특징끼리의 조합도 가능하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이 숙련된 사람들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한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중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는, 키보드 등에 채용할 수 있다.
1: 베이스
2: 도광체
3: 버튼
4: 코일 스프링
5: 접점 개폐 기구
6: 슬라이더
7: 승강 기구
8: 저부
9: 사각형 프레임부
10: 개구부
11: 걸림 받침부
12: 제1 설치대
13: 제2 설치대
14: 제1 걸림 홈
15: 제1 단자 구멍
16: 제1 걸림 돌조
17: 제2 걸림 홈
18: 제2 걸림 돌조
19: 제2 단자 구멍
20a, 20b: 오목부
21a, 21b: 측면 벽
22: 플랜지부
23: 압출 방지 벽
24: 오목부
25: 도광 본체
26: 탄성체 받침부
27: 받침부 본체
28: 통 형상체
29: 클로부
30: 오목부
31: 평판부
32: 측벽부
33a, 33b: 연장부
34: 가이드부
35: 가이드 벽
36: 맞닿음부
36a: 가이드 홈
37: 리프트용 돌기부
37a: 경사면
38: 베어링 구멍
39: 돌기
40: 지지부
41: 고정 접촉편
42: 가동 접촉편
43: 제1 평면부
44: 고정 단자부
45: 제2 평면부
46: 제3 평면부
47: 고정 접점
48: 제4 평면부
49: 제1 걸림 돌기부
50: 제1 걸림 오목부
51: 제1 평면부
52: 가동 단자부
53: 제2 평면부
54: 제3 평면부
55: 제2 걸림 돌기부
56: 제2 걸림 오목부
57: 돌출편
58: 가동 접점
59: 가압부
60: 제1 경사면
61: 오목 곡면
62: 제2 경사면
64: 피가이드 돌기부
65: 평탄부
66: 피리프트용 돌기부
67: 제1 암
68: 제2 암
69: 축체
70: 암부
71: 제1 축부
72: 제2 축부
73: 제1 돌기
74: 베어링 구멍
75: 제2 돌기
100, 110, 120: 돌기부
101, 111, 121: 제1 돌기
102, 112, 122: 제2 돌기
113: 환상 돌기부

Claims (9)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접근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과,
    상기 베이스와 상기 버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버튼을 이격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버튼과,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버튼에 대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돌기로 구성되는, 누름 버튼 스위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높이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소선 직경보다도 큰, 누름 버튼 스위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버튼과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의 상기 버튼에 마련되어 있는, 누름 버튼 스위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의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어 있는, 누름 버튼 스위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버튼과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마련된 돌기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마련된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중심축 주위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위치는 서로 상위한, 누름 버튼 스위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에 마련되어 있는, 누름 버튼 스위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의 높이는, 각각 상기 코일 스프링의 소선 직경보다도 커서 서로 상위한, 누름 버튼 스위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버튼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마련된 도광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누름 버튼 스위치.
KR1020197030201A 2017-07-21 2018-06-20 누름 버튼 스위치 KR201901278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42045 2017-07-21
JP2017142045A JP2019021600A (ja) 2017-07-21 2017-07-21 押しボタンスイッチ
PCT/JP2018/023473 WO2019017135A1 (ja) 2017-07-21 2018-06-20 押しボタンスイッ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837A true KR20190127837A (ko) 2019-11-13

Family

ID=65015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201A KR20190127837A (ko) 2017-07-21 2018-06-20 누름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9021600A (ko)
KR (1) KR20190127837A (ko)
CN (1) CN110651345A (ko)
TW (1) TWI681428B (ko)
WO (1) WO2019017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0478B (zh) * 2019-02-15 2019-12-2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鍵盤裝置
TWI776704B (zh) * 2021-10-07 2022-09-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開關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5172B2 (en) 2016-10-13 2019-11-26 Terry Todd Coop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pecan pick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0120A (ja) * 1984-02-14 1985-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キ−ボ−ド
JPS59209219A (ja) * 1984-04-18 1984-11-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押釦装置
JP4005766B2 (ja) * 2000-09-28 2007-11-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4951446B2 (ja) * 2007-08-31 2012-06-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CN203085412U (zh) * 2013-01-17 2013-07-24 罗格朗(北京)电气有限公司 低噪开关按键
JP5741739B1 (ja) * 2014-03-12 2015-07-01 オムロン株式会社 照光スイッチ及びキーボード
CN104851727A (zh) * 2015-05-25 2015-08-19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小型机械开关的超薄复位机构及小型机械开关
CN205303262U (zh) * 2016-01-21 2016-06-08 深圳市亿科德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键盘开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5172B2 (en) 2016-10-13 2019-11-26 Terry Todd Coop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pecan pi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7135A1 (ja) 2019-01-24
CN110651345A (zh) 2020-01-03
TWI681428B (zh) 2020-01-01
TW201909219A (zh) 2019-03-01
JP2019021600A (ja)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8153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6702240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US10002724B2 (en) Switch actuator with haptic and audible feedback
KR20190127837A (ko) 누름 버튼 스위치
WO2020261664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7220590B2 (ja) スイッチ部材及びプッシュスイッチ
CN111095459A (zh) 按键开关
US6545238B2 (en) Key device with a scissors mechanism
JP4414412B2 (ja) 押釦スイッチ
TW202013406A (zh) 用於鍵盤之按鍵模組、鍵盤與提供按鍵挺桿線托架之方法
JP7292059B2 (ja) スイッチ部材
US6420670B1 (en) Push-button type switch
WO2017208644A1 (ja) キースイッチ装置
KR200492586Y1 (ko) 양호한 밸런스를 구비하는 버튼 스위치
JP2003323832A (ja) イネーブルスイッチ
KR100861941B1 (ko) 풋스위치
JP6146659B2 (ja) ペダル装置および楽器
JP6034106B2 (ja) スイッチのステップ動作機構
JP6147959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CN109904022B (zh) 按键
WO2023095398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6469533B2 (ja) プッシュロック機構
KR101713610B1 (ko) 자동복귀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측면 누름버튼
US20200367612A1 (en) Hand fixation band
KR960005881Y1 (ko) 컴퓨터 키이보드의 키이보턴 설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