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7332A - 압축기의 전자클러치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전자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7332A
KR20190127332A KR1020180051831A KR20180051831A KR20190127332A KR 20190127332 A KR20190127332 A KR 20190127332A KR 1020180051831 A KR1020180051831 A KR 1020180051831A KR 20180051831 A KR20180051831 A KR 20180051831A KR 20190127332 A KR20190127332 A KR 20190127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housing
fuse
thermal fuse
compressor
th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한모
오성택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1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7332A/ko
Publication of KR20190127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4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 F16D2500/30404Clutch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일측에 축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풀리(10)와, 상기 풀리(10)와 마주보며 위치되고 마찰부재가 구비된 디스크(18)와,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필드코일 유닛(300)과, 상기 필드코일 유닛(300)이 내부에 수용되는 코일 하우징(400)과,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RC1)과, 반경 방향 내주면 외측(RC2)에 구비된 복수개의 온도 퓨즈(500)에 의해 상기 풀리(10)와 상기 디스크(18)가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축기의 전자클러치{Electromagnetic clutch of compressor}
본 실시 예는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에 구비된 온도 퓨즈의 위치를 최적화 하여 마찰열을 안정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압축기는 엔진의 구동력을 벨트를 통해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것으로,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로 할 때 구동력을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의 단속에 의해 전달받는다.
상기 압축기의 전자클러치는 엔진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구비되고 압축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전원 인가에 의해 흡인자속을 발생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와,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인자속에 의하여 풀리의 마찰면에 흡착되어 엔진의 동력을 압축기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디스크 및 허브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전원 인가시 권선된 코일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여, 그에 따른 자기력으로 상기 풀리의 디스크와 압축기 구동축의 허브 디스크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압축기의 전자클러치가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풀리의 구동력을 상기 압축기 구동축의 허브 디스크에 전달되게 하는 전기장치이다.
상기 압축기의 전자클러치는 권선된 코일에 대한 전원 인가 여부에 따라 압축기에 대한 동력을 단속하여 자동차 등의 공조장치의 냉방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에는 압축기의 클러치가 과열될 때 코일을 쇼트(short)시키는 온도퓨즈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퓨즈는 비정상적인 요인에 의해 압축기가 로크(Lock)되었을 경우, 압축기 로크시 발생되는 클러치 슬립(slip) 열에 의하여 쇼트되어 전자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엔진에 압축기 로크에 따른 부하가 걸리지 않게 하여 압축기 구동벨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온도퓨즈는 압축기가 로크될 경우 풀리가 구동축의 허브 디스크에 대하여 슬립되어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한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상기 슬립부분의 온도 상승에 의하여 쇼트 되도록 풀리와 디스크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압축기의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의 일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종래의 압축기의 전자클러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에 구비된 온도 퓨즈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압축기의 전자클러치(100)는 압축기의 하우징(110)에 베어링(111)을 매개로 축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풀리(120)와,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필드코일 유닛(130)과, 상기 필드코일 유닛(130)의 전자기력에 의해 풀리(120)의 마찰면(121)에 선택적으로 마찰 접촉하여 구동축(140)으로의 구동을 단속하는 디스크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 유닛은 상기 압축기의 구동축(140)에 고정 결합되는 허브(141)와, 상기 허브(141)와 고정 결합되는 이너링(150)과, 상기 이너링(150)과 탄성부재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웃터링(170)과, 상기 아웃터링(17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필드코일 유닛(13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풀리(120)의 마찰면(121)과 마찰 접촉하는 디스크부재(180)를 포함한다.
상기 풀리(120)의 마찰면(121)에는 디스크부재(180)의 마찰면(181)과의 마찰력을 높이고 접촉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마찰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전술한 압축기의 전자클러치(100)에는 필드코일 유닛(130)의 중간 위치에 온도 퓨즈(30)가 위치된다.
상기 온도 퓨즈(30)가 전술한 위치에 위치될 경우 필드코일 유닛(130)의 권취된 공간을 넓히는데 한정적인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또한 온도 퓨즈(30)는 열 전도가 낮은 수지로 상면이 도포되어 있어 방열이 불안정해 지면서 오작동의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JP2007-092862A(공개일 : 2017년 4월 12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온도 퓨즈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배치 위치를 최적화 시킨 압축기의 전자클러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압축기의 전자클러치는 압축기의 일측에 축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풀리(10); 상기 풀리(10)와 마주보며 위치되고 마찰부재가 구비된 디스크(18);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필드코일 유닛(300); 상기 필드코일 유닛(300)이 내부에 수용되는 코일 하우징(400);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RC1)과, 반경 방향 내주면 외측(RC2)에 구비된 복수개의 온도 퓨즈(500)에 의해 상기 풀리(10)와 상기 디스크(18)가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 퓨즈(500)는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온도 퓨즈(500)는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RC1)에 위치된 제1 온도 퓨즈(510);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외측(RC2)에 위치된 제2 온도 퓨즈(5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도 퓨즈(510)와 상기 제2 온도 퓨즈(520)는 서로 간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1,2 온도 퓨즈(510, 520)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거나,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배치 관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온도 퓨즈(510)는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제1 사분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온도 퓨즈(520)는 상기 제1 온도 퓨즈(510)와 이웃하여 상기 제1 사분면에 위치되거나, 상기 제1 온도 퓨즈(510)와 이격된 제2 사분면 중의 어느 한 곳에 위치된다.
상기 제1,2 온도 퓨즈(510, 520)는 서로 다른 단락 온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압축기의 전자클러치는 압축기의 일측에 축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풀리(10); 상기 풀리(10)와 마주보며 위치되고 마찰부재가 구비된 디스크(18);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필드코일 유닛(300); 상기 필드코일 유닛(300)이 내부에 수용되는 코일 하우징(400);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RC1)과, 반경 방향 내주면 외측(RC2)에 구비된 복수개의 온도 퓨즈(5000)에 의해 상기 풀리(10)와 상기 디스크(18)가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 퓨즈(5000)는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RC1) 중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제1 사분면에 위치된 제1 온도 퓨즈(5100);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외측(RC2)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사분면과 상기 제2 사분면의 경계에 배치된 제2 온도 퓨즈(5200);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RC1) 중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제2 사분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온도 퓨즈(5100)와 제2 온도 퓨즈(5200)가 서로 간에 이격된 제1 이격 길이(L1)와 동일한 길이로 이격된 제2 이격 길이(L2)를 갖고 배치된 제3 온도 퓨즈(5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온도 퓨즈(5100, 5200, 5300)는 서로 다른 단락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온도 퓨즈(5200)는 상기 코일 하우징(400)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최상측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에 구비된 압축기의 작동을 위해 구비된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도모하고, 필드코일 유닛의 코일 공간을 증가시켜 전자기력이 증대된 압축기의 전자클러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온도 퓨즈의 위치를 필드코일 유닛의 반경 방향 중앙을 피하여 배치함으로써 마찰열이 발생될 경우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고, 상기 마찰열의 발생 위치가 불균일한 경우에도 정확한 감지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수분 유입으로 인한 부식이 방지되므로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축기의 전자클러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에 온도 퓨즈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온도 퓨즈가 배치된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에 온도 퓨즈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에 온도 퓨즈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온도 퓨즈가 배치된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압축기의 전자클러치는 압축기의 일측에 축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풀리(10)와, 상기 풀리(10)와 마주보며 위치되고 마찰부재가 구비된 디스크(18)와,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필드코일 유닛(300)과, 상기 필드코일 유닛(300)이 내부에 수용되는 코일 하우징(400)과,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RC1)과, 반경 방향 내주면 외측(RC2)에 구비된 복수개의 온도 퓨즈(500)에 의해 상기 풀리(10)와 상기 디스크(18)가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온도 퓨즈(500)는 복수 개로 구성되는데 일 예로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RC1)에 위치된 제1 온도 퓨즈(510)와,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외측(RC2)에 위치된 제2 온도 퓨즈(5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온도 퓨즈(510)는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측(RC1)에 위치되므로, 베어링(B)과 인접한 위치에서 반경 방향으로 전달되는 열을 감지하여 이상 유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퓨즈(510)는 압축기의 구동벨트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수치 이상의 온도로 상승하면 쇼트되어 상기 필드코일 유닛(30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엔진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퓨즈(510)는 일 예로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측의 의미는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시 방향에 해당되며 수분으로 인한 부식 또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위치에 위치된다.
특히 본 실시 예는 제1 온도 퓨즈(510)가 필드코일 유닛(300)의 반경 방향 중앙 위치가 아닌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측(RC1)에 위치하므로 상기 필드코일 유닛(300)의 크기에 제약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상기 필드코일 유닛(300)의 보다 강한 전자기력의 발생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크(18)는 필드코일 유닛(300)과 마주보는 상대면에서 접촉 또는 분리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압축기의 작동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2 온도 퓨즈(520)는 전술한 제1 온도 퓨즈(510)와는 다르게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외측(RC2)에 위치된다. 상기 위치는 베어링(B)과는 반경 방향에서 위치가 상기 제1 온도 퓨즈(510) 보다는 멀게 이격된 위치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배치될 경우 디스크(18)가 필드코일 유닛(300)과 마주보는 상대면과 접촉에 의해 마찰열이 발생되는 경우에 전술한 제1 온도 퓨즈(510)의 감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온도 퓨즈(520)는 작업자가 전자 클러치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립 공차로 인해 정해진 조립 오차 범위가 넘어서 조립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제1 온도 퓨즈(510)에서 감지 못하는 위치에 제2 온도 퓨즈(520)가 위치되므로 조립 공차로 인해 미처 예상하지 못한 위치에서 마찰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코일 하우징(400)에는 내측에 제1,2 온도 퓨즈(510, 520)에 대한 절연을 위해 수지가 소정의 두께로 도포된다. 상기 수지는 마찰열이 전달될 경우 제1,2 온도 퓨즈(510, 520)로 열전달이 용이하지 않은 특징이 나타난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열전달이 불리한 특징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제1,2 온도 퓨즈(510, 520)가 코일 하우징(400)의 내부에 위치된 필드코일 유닛(300)의 반경 방향 중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 또는 내주면 외측에 위치되어 있어 마찰열을 전도받은 상기 코일 하우징(400) 으로부터 보다 신속하게 마찰열을 전달받아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 온도 퓨즈(510, 520)는 압축기의 전자클러치 작동 중에 마찰열이 발생될 경우 정확하게 열을 전달받아 작동되므로 오작동이 발생될 확률이 감소된다.
상기 필드코일 유닛(300)은 코일 하우징(400)의 한정된 레이아웃에서 최대한 크기가 크게 구성되는 것이 전자기력 증가에 유리해진다. 본 실시 예는 제1,2 온도 퓨즈(510, 520)가 필드코일 유닛(300)의 반경 방향으로 권취된 경로 중 중간에 위치되지 않아 베어링(B) 또는 코일 하우징(400)으로 전달된 마찰열을 신속하게 전달받아 작동될 수 있어 응답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온도 퓨즈(510)와, 상기 제2 온도 퓨즈(520)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 한정하지 않아 다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1,2 온도 퓨즈(510, 520)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거나,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배치 관계가 유지되며 도면에 도시된 배치 상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온도 퓨즈(510)와 상기 제2 온도 퓨즈(520)는 서로 간에 직렬로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온도 퓨즈(510)가 열을 전달받아 단락될 경우 제2 온도 퓨즈(520)의 정상 작동 유무와 상관없이 상기 필드코일 유닛(300)으로 인가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더 이상 전자기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크(10)와 접촉이 해제되어 풀리(10)의 회전이 중지되고, 회전력이 압축기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차량에 구비된 엔진을 안정적으로 보호 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퓨즈(510)는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제1 사분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온도 퓨즈(520)는 상기 제1 온도 퓨즈(510)와 이웃하여 상기 제1 사분면에 위치되거나, 상기 제1 온도 퓨즈(510)와 이격된 제2 사분면 중의 어느 한 곳에 위치된다.
제1 온도 퓨즈(510)와 제2 온도 퓨즈(520)는 서로 근거리에서 마주보며 이웃하여 위치되거나, 각각 서로 다른 사분면에 위치되어 해당 사분면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감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온도 퓨즈(510)는 베어링(B)과 인접한 제1 사분면에 위치되어 있어 마찰열을 감지한다. 제1 사분면은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3시 방향에서부터 12시 방향에 해당되고, 상기 제1 사분면에서 발생된 마찰열을 상기 제1 온도 퓨즈(510)가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온도 퓨즈(520)는 일 예로 제2 사분면에 위치되어 있어 마찰열을 감지한다. 제2 사분면은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12시 방향에서부터 9시 방향에 해당되고, 상기 제2 사분면에서 발생된 마찰열을 상기 제2 온도 퓨즈(520)가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신속한 감지가 가능해 진다.
상기 제1,2 온도 퓨즈(510, 520)는 서로 다른 단락 온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온의 마찰열을 감지하는 제1 온도 퓨즈(510)가 제2 온도 퓨즈(520) 보다 낮은 온도에서 단락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기의 전자클러치 작동 중 마찰열을 전달 받아 제1 온도 퓨즈(510)가 단락될 경우 필드코일 유닛(300)으로 인가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더 이상 전자기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디스크(10)와 접촉이 해제되고, 풀리(10)의 회전이 중지되어 회전력이 압축기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차량에 구비된 엔진을 안정적으로 보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기의 전자클러치는 압축기의 일측에 축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풀리(10)와, 상기 풀리(10)와 마주보며 위치되고 마찰부재가 구비된 디스크(18)와,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필드코일 유닛(300)과, 상기 필드코일 유닛(300)이 내부에 수용되는 코일 하우징(400)과,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RC1)과, 반경 방향 내주면 외측(RC2)에 구비된 복수개의 온도 퓨즈(5000)에 의해 상기 풀리(10)와 상기 디스크(18)가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 퓨즈(5000)는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RC1) 중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제1 사분면에 위치된 제1 온도 퓨즈(5100)와,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외측(RC2)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사분면과 상기 제2 사분면의 경계에 배치된 제2 온도 퓨즈(5200)와,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RC1) 중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제2 사분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온도 퓨즈(5100)와 제2 온도 퓨즈(5200)가 서로 간에 이격된 제1 이격 길이(L1)와 동일한 길이로 이격된 제2 이격 길이(L2)를 갖고 배치된 제3 온도 퓨즈(5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다르게 제1 내지 제3 온도 퓨즈(5100, 5200, 530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배치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배치 상태는 복수 개의 온도 퓨즈가 마찰열이 발생되는 감지영역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의 내주면 외측(RC2)과 내측(RC1)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의 전자클러치가 작동 도중 이상 유무로 인해 특정 위치에서 마찰이 발생될 경우 전술한 제1 내지 제3 온도 퓨즈(5100, 5200, 5300)에 의해 마찰로 인해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필드코일 유닛(300)은 코일 하우징(400)의 한정된 레이아웃에서 최대한 크기가 크게 구성되는 것이 전자기력 증가에 유리해진다. 본 실시 예는 제1 내지 제3 온도 퓨즈(5100, 5200, 5300)가 필드코일 유닛(300)의 반경 방향으로 권취된 경로 중 중간에 위치되지 않아 베어링(B) 또는 코일 하우징(400)으로 전달된 마찰열을 신속하게 전달받아 작동될 수 있어 응답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 온도 퓨즈(5100)는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측(RC1)에 위치되므로, 베어링(B)과 인접한 위치에서 반경 방향으로 전달되는 열을 감지하여 이상 유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퓨즈(5100)는 압축기의 구동벨트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수치 이상의 온도로 상승하면 쇼트되어 상기 필드코일 유닛(30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엔진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퓨즈(5100)는 일 예로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측의 의미는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시 방향에 해당되며 수분으로 인한 부식 또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위치에 위치된다.
특히 본 실시 예는 제1 온도 퓨즈(5100)가 필드코일 유닛(300)의 반경 방향 중앙 위치가 아닌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측(RC1)에 위치하므로 상기 필드코일 유닛(300)의 크기에 제약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상기 필드코일 유닛(300)의 보다 강한 전자기력의 발생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크(18)는 필드코일 유닛(300)과 마주보는 상대면에서 접촉 또는 분리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압축기의 작동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2 온도 퓨즈(5200)는 제1 사분면과 상기 제2 사분면의 경계에 배치되며 전술한 제1 온도퓨즈(5100)와 후술할 제3 온도 퓨즈(5300)보다 코일 하우징(400)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최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위치 근방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제2 온도 퓨즈(5200)는 제1 온도 퓨즈(510)와는 다르게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외측(RC2)에 위치된다. 상기 위치는 베어링(B)과는 반경 방향에서 위치가 상기 제1 온도 퓨즈(510) 보다는 멀게 이격된 위치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배치될 경우 디스크(18)가 필드코일 유닛(300)과 마주보는 상대면과 접촉에 의해 마찰열이 발생되는 경우에 전술한 제1 온도 퓨즈(510)의 감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제3 온도 퓨즈(5300)는 상기 제1 온도 퓨즈(5100)와 제2 온도 퓨즈(5200)가 서로 간에 이격된 제1 이격 길이(L1)와 동일한 길이로 이격된 제2 이격 길이(L2)를 갖고 배치된다. 상기 배치 상태는 베어링(B)이 설치된 위치에서 발생되는 마찰열 또는 코일 하우징(400)의 내주면 외측 원주방향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감지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온도 퓨즈(5100, 5200, 5300)는 서로 다른 단락 온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마찰이 많이 발생되는 곳에 위치된 온도 퓨즈는 단락 온도가 낮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온도 퓨즈(5100, 5200, 5300)는 마찰열 발생시 감지 능력이 향상되고 마찰열이 발생되는 대부분의 위치에 대한 감지를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풀리
18 : 디스크
300 : 필드코일 유닛
400 : 코일 하우징
500 : 온도 퓨즈
510, 5100 : 제1 온도 퓨즈
520, 5200 : 제2 온도 퓨즈
5300 : 제3 온도 퓨즈

Claims (9)

  1. 압축기의 일측에 축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풀리(10);
    상기 풀리(10)와 마주보며 위치되고 마찰부재가 구비된 디스크(18);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필드코일 유닛(300);
    상기 필드코일 유닛(300)이 내부에 수용되는 코일 하우징(400);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RC1)과, 반경 방향 내주면 외측(RC2)에 구비된 복수개의 온도 퓨즈(500)에 의해 상기 풀리(10)와 상기 디스크(18)가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감지하는 전자 클러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퓨즈(500)는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된 전자 클러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퓨즈(500)는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RC1)에 위치된 제1 온도 퓨즈(510);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외측(RC2)에 위치된 제2 온도 퓨즈(5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도 퓨즈(510)와 상기 제2 온도 퓨즈(520)는 서로 간에 직렬로 연결된 전자 클러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온도 퓨즈(510, 520)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거나,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배치 관계가 유지되는 전자 클러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퓨즈(510)는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제1 사분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온도 퓨즈(520)는 상기 제1 온도 퓨즈(510)와 이웃하여 상기 제1 사분면에 위치되거나, 상기 제1 온도 퓨즈(510)와 이격된 제2 사분면 중의 어느 한 곳에 위치된 전자 클러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온도 퓨즈(510, 520)는 서로 다른 단락 온도를 갖는 전자 클러치.
  7. 압축기의 일측에 축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풀리(10);
    상기 풀리(10)와 마주보며 위치되고 마찰부재가 구비된 디스크(18);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필드코일 유닛(300);
    상기 필드코일 유닛(300)이 내부에 수용되는 코일 하우징(400);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RC1)과, 반경 방향 내주면 외측(RC2)에 구비된 복수개의 온도 퓨즈(5000)에 의해 상기 풀리(10)와 상기 디스크(18)가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감지하되,
    상기 온도 퓨즈(5000)는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RC1) 중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제1 사분면에 위치된 제1 온도 퓨즈(5100);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외측(RC2)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사분면과 상기 제2 사분면의 경계에 배치된 제2 온도 퓨즈(5200);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반경 방향 내주면 내측(RC1) 중 상기 코일 하우징(4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제2 사분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온도 퓨즈(5100)와 제2 온도 퓨즈(5200)가 서로 간에 이격된 제1 이격 길이(L1)와 동일한 길이로 이격된 제2 이격 길이(L2)를 갖고 배치된 제3 온도 퓨즈(5300)를 포함하는 전자 클러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온도 퓨즈(5100, 5200, 5300)는 서로 다른 단락 온도를 갖는 전자 클러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 퓨즈(5200)는 상기 코일 하우징(400)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최상측에 위치된 전자 클러치.
KR1020180051831A 2018-05-04 2018-05-04 압축기의 전자클러치 KR20190127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831A KR20190127332A (ko) 2018-05-04 2018-05-04 압축기의 전자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831A KR20190127332A (ko) 2018-05-04 2018-05-04 압축기의 전자클러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332A true KR20190127332A (ko) 2019-11-13

Family

ID=68535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831A KR20190127332A (ko) 2018-05-04 2018-05-04 압축기의 전자클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73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2862A (ja) 2005-09-28 2007-04-12 Sanden Corp 電磁クラッ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2862A (ja) 2005-09-28 2007-04-12 Sanden Corp 電磁クラッ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0325B2 (en) Motor apparatus
EP1746266B1 (en) Dual armature device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 to fans for cooling the engine of motor vehicles
JP6548941B2 (ja) 電磁クラッチ
US9850963B2 (en) Electromagnetic clu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2117551A (ja) 電磁クラッチ
JPH1089385A (ja) 電磁クラッチ
JP7124787B2 (ja) 電源一体型真空ポンプ
US10907635B2 (en) Electric compressor
KR20190127332A (ko) 압축기의 전자클러치
EP2803878B1 (en) Electromagnetic driving devic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nd controlling same
KR101348859B1 (ko)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 및 그의 동작 제어방법
US6599102B2 (en) Gas compresso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508235B1 (ko)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JP2009243381A (ja) ファンモータ
KR101078386B1 (ko) 라디에이터 냉각팬용 비엘디씨 모터
US20160238087A1 (en) Electromagnetic Clutch
JP4260599B2 (ja) 電磁クラッチ付回転機のロック検出機構
JP2018191428A (ja) 制御装置一体型回転電機
CN110999031B (zh) 马达
JP2016089848A (ja) 電磁クラッチ及び電磁クラッチの形成方法
KR102589674B1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16056908A (ja) 電磁クラッチ
JP5953191B2 (ja) 電磁クラッチ
KR101429129B1 (ko)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감지장치용 센서모듈
JP2000230579A (ja) 電磁クラッ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