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766A -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766A
KR20190126766A KR1020197019408A KR20197019408A KR20190126766A KR 20190126766 A KR20190126766 A KR 20190126766A KR 1020197019408 A KR1020197019408 A KR 1020197019408A KR 20197019408 A KR20197019408 A KR 20197019408A KR 20190126766 A KR20190126766 A KR 20190126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ignal
symbol
time
transmiss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6117B1 (ko
Inventor
유타카 무라카미
야스아키 유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ublication of KR2019012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5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channel estimation, e.g. determination of delay spread, derivative or peak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6Acquisition of further OFDM parameters, e.g. bandwidth, subcarrier spac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7Carri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5Pilot or known symb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송신 장치는, 복수의 유저 변조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유저#k 변조 신호 생성부(104_k)(단, k=1~n)는, 복수의 수신 장치용의 위상 잡음 추정용의 레퍼런스 신호(PT-RS : Reference Signal for Phase Tracking)를 포함하는 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무선부(109_A, 109_B)는, 생성한 변조 신호를 송신한다.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의 보정 계수와, 레퍼런스 신호로서 사용되는 계열의 패턴이 1대1로 관련지어져 있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본 개시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가 구비하는 발진기가 생성하는 신호의 정밀도의 관계상, 변조 신호에 대하여 위상 잡음이 발생한다. 예컨대, 비특허문헌 1에서는, 위상 잡음을 추정하기 위해, 송신 장치가 파일럿 심볼(참조 신호 또는 레퍼런스 신호라고 부르는 일도 있다)을 수신 장치에 송신한다.
도 1은 비특허문헌 1에 개시된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캐리어 번호)이고, 일례로서,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을 나타내고 있다. 세로축은 시간이고, 일례로서, 시각$1로부터 시각$11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는, 시각$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에는, 채널 추정 심볼 01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4, 캐리어 10, 캐리어 16, 캐리어 21, 캐리어 28, 캐리어 33에는, 파일럿 심볼 0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4, 캐리어 10, 캐리어 16, 캐리어 21, 캐리어 28, 캐리어 33 이외의 캐리어에는, 데이터 심볼 02가 배치되어 있다.
송신 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프레임 구성의 변조 신호를 통신 상대인 수신 장치에 송신하고, 수신 장치는, 이 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특히, 파일럿 심볼 03을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한다.
비특허문헌 1 : IEEE P802.11n(D3.00) Draft STANDARD for Information Technology-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Specific requirements-Part11: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 2007.
그렇지만, 상술한 송신 장치의 통신 상대인 수신 장치가 복수 있는 것은 상정되어 있지 않고, 복수의 수신 장치의 각각이 위상 잡음을 정밀하게 추정하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방법에 대해서는 검토되어 있지 않았다.
본 개시의 일 태양은, 복수의 통신 상대가 정밀하게 위상 잡음을 추정할 수 있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의 제공에 도움이 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송신 장치는, 복수의 수신 장치용의 위상 잡음 추정용의 레퍼런스 신호를 포함하는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의 보정 계수와, 상기 레퍼런스 신호로서 사용되는 계열의 패턴이 1대1로 관련지어져 있는 회로와, 상기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수신 장치는, 복수의 수신 장치용의 위상 잡음 추정용의 레퍼런스 신호를 포함하는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의 보정 계수와, 상기 레퍼런스 신호로서 사용되는 계열의 패턴이 1대1로 관련지어져 있는 수신기와, 상기 변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 장치용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하는 회로를 구비한다.
또, 이들의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태양은, 시스템,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록 매체로 실현되더라도 좋고,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되더라도 좋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복수의 통신 상대가 정밀하게 위상 잡음을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기지국과 단말의 통신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송신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유저#k 변조 신호 생성부(104_k)의 내부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스트림#X1의 데이터 심볼, DM-RS 심볼, PT-RS 심볼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스트림#X2의 데이터 심볼, DM-RS 심볼, PT-RS 심볼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무선부(109_A, 109_B)의 내부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변조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수신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BPSK의 I-Q 평면에 있어서의 신호점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QPSK의 I-Q 평면에 있어서의 신호점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16QAM의 I-Q 평면에 있어서의 신호점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64QAM의 I-Q 평면에 있어서의 신호점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변조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변조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변조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변조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변조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변조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변조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송신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스트림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DM-RS 심볼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DM-RS 전송 영역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DFT-s-OFDM 심볼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DFT-s-OFDM 전송 영역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확장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DFT-s-OFDM 심볼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DFT-s-OFDM 전송 영역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형태는 일례이고, 본 개시는 이들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이하에서는, 위상 잡음을 추정하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를 "PT-RS(Reference Signal for Phase Tracking)"라고 기재하고,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를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라고 기재한다.
(실시의 형태 1)
본 실시의 형태의 송신 방법, 송신 장치, 수신 방법, 수신 장치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통신 상태의 일례]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기지국(송신 장치)과 단말(수신 장치)의 통신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401)은, 예컨대, 후술하는 송신 장치의 구성(도 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단말(402_1, 402_2, 402_3)은, 예컨대, 후술하는 수신 장치의 구성(도 9)을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기지국(401)은, 단말(402_1, 402_2, 402_3)에 대하여,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있다. 단말(402_1, 402_2, 402_3)은, 기지국(401)으로부터 송신되는 변조 신호에 포함되는 PT-RS를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한다.
[송신 장치의 구성]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송신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송신 장치는, 예컨대,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401), 또는 액세스 포인트 등이다.
도 3에 있어서, 유저#k 변조 신호 생성부(104_k)(예컨대, k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는, 데이터(101_k), DM-RS(102_k), PT-RS(103_k), 및,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한다. 유저#k 변조 신호 생성부(104_k)는, 제어 신호(1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의 정보 등에 근거하여, 유저#k의 변조 신호(105_k), 및, 변조 신호(106_k)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제어 정보용 매핑부(113)는, 제어 정보(112) 및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 등에 근거하여, 제어 정보(112)에 대하여 매핑을 행하고, 제어 정보 신호(114)를 출력한다.
다중부(신호 처리부)(107_A)는, 유저#1의 변조 신호(105_1), 유저#2의 변조 신호(105_2), …, 유저#n-1의 변조 신호(105_n-1), 유저#n의 변조 신호(105_n), 제어 신호(100), 및, 제어 정보 신호(114)를 입력으로 한다. 다중부(107_A)는, 제어 신호(1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 등에 근거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 신호(108_A)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다중부(신호 처리부)(107_B)는, 유저#1의 변조 신호(106_1), 유저#2의 변조 신호(106_2), …, 유저#n-1의 변조 신호(106_n-1), 유저#n의 변조 신호(106_n), 제어 신호(100), 및, 제어 정보 신호(114)를 입력으로 한다. 다중부(107_B)는, 제어 신호(1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 등에 근거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 신호(108_B)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무선부(109_A)는,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 신호(108_A) 및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한다. 무선부(109_A)는, 제어 신호(100)에 따라, 변조 신호(108_A)에 대한 무선 관련의 처리를 행하고, 송신 신호(110_A)를 생성한다. 송신 신호(110_A)는, 안테나부#A(111_A)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무선부(109_B)는,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 신호(108_B) 및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한다. 무선부(109_B)는, 제어 신호(100)에 따라, 변조 신호(108_B)에 대한 무선 관련의 처리를 행하고, 송신 신호(110_B)를 생성한다. 송신 신호(110_B)는, 안테나부#B(111_B)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안테나부#A(111_A)는,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고 있다. 안테나부#A(111_A)는, 제어 신호(100)에 따라 송신 지향성 제어를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안테나부#A(111_A)의 입력으로서 제어 신호(100)가 없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안테나부#B(111_B)는, 제어 신호(100)를 입력으로 하고 있다. 안테나부#B(111_B)는, 제어 신호(100)에 따라 송신 지향성 제어를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안테나부#B(111_B)의 입력으로서 제어 신호(100)가 없더라도 좋다.
[유저#k 변조 신호 생성부(104_k)의 구성의 예]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유저#k 변조 신호 생성부(104_k)의 내부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오류 정정 부호화부(203)는, 데이터(201)(도 3의 데이터(101_k)에 상당한다), 및, 제어 신호(200)(도 3의 제어 신호(100)에 상당한다)를 입력으로 한다. 오류 정정 부호화부(203)는,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에 관한 정보(예컨대, 오류 정정 부호의 정보, 부호화율, 블록 길이 등) 등에 근거하여, 데이터(201)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204)를 출력한다.
매핑부(205)는,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204),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한다. 매핑부(205)는,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변조 방식의 정보 등에 근거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204)에 대하여 매핑을 행하고,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1, 206_2)를 출력한다. 또, 이하에서는,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1)를 "스트림#X1"이라고 부르고,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2)를 "스트림#X2"라고 부른다.
처리부(207)는,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1, 206_2), DM-RS(202)(도 3의 DM-RS(102_k)에 상당한다), PT-RS(도 3의 PT-RS(103_k)에 상당한다) 및 제어 신호(200)를 입력으로 한다. 처리부(207)는,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 프리코딩에 관한 정보, 송신 파워의 정보, CDD(Cyclic Delay Diversity)(CSD(Cyclic Shift Diversity))에 관한 정보 등에 근거하여, 소정의 처리(예컨대, 프리코딩, 송신 파워 변경, CDD(CSD) 등의 처리)를 행하고, 변조 신호(208_A)(도 3의 변조 신호(105_k)에 상당한다), 및, 변조 신호(208_B)(도 3의 변조 신호(106_k)에 상당한다)를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변조 신호(208_A)를 "u1(i)"라고 나타내고, 변조 신호(208_B)를 "u2(i)"라고 나타내는 일도 있다. 또, i는 심볼 번호이다.
또한, 처리부(207)는, 프리코딩 처리 때, 프리코딩 처리에서 사용하는 프리코딩(행렬)을 복수 심볼 단위로 전환하더라도 좋고, 프리코딩 처리에서 사용하는 프리코딩(행렬)을 심볼 단위로 전환하는 프리코딩 사이클링의 처리를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처리부(207)는, 프리코딩의 처리를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예]
도 5(a)는 도 4의 매핑부(205)에 의한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1)(다시 말해, 스트림#X1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X1의 데이터 심볼에 부가하는 스트림#X1의 DM-RS 심볼, 및, 스트림#X1의 PT-RS 심볼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단, 유저#k로 한다.
도 5(a)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캐리어 번호)이고, 일례로서, 캐리어 k_1로부터 캐리어 k_12를 나타낸다. 또한, 도 5(a)에 있어서, 세로축은 시간이고, 일례로서, 시각$1로부터 시각$11을 나타낸다. 도 5(a)에 있어서, "2B01"은 스트림#X1의 DM-RS 심볼이고, "2B02"는 스트림#X1의 데이터 심볼이고, "2B03"은 스트림#X1의 PT-RS 심볼이다.
도 5(b)는 도 4의 매핑부(205)에 의한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2)(다시 말해, 스트림#X2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X2의 데이터 심볼에 부가하는 스트림#X2의 DM-RS 심볼, 및, 스트림#X2의 PT-RS 심볼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단, 유저#k로 한다.
도 5(b)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캐리어 번호)이고, 일례로서, 캐리어 k_1로부터 캐리어 k_12를 나타낸다. 또한, 도 5(b)에 있어서, 세로축은 시간이고, 일례로서, 시각$1로부터 시각$11을 나타낸다. 또한, 도 5(b)에 있어서, "2C01"은 스트림#X2의 DM-RS 심볼이고, "2C02"는 스트림#X2의 데이터 심볼이고, "2C03"은 스트림#X2의 PT-RS 심볼이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DM-RS(202)에는, 스트림#X1의 DM-RS 심볼(2B01)과 스트림#X2의 DM-RS 심볼(2C01)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PT-RS(203)에는, 스트림#X1의 PT-RS 심볼(2B03)과 스트림#X2의 DM-RS 심볼(2C03)이 포함되어 있다.
처리부(207)는, 제어 신호(2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하여, 도 5(a)에 나타내는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스트림#X1의 변조 신호(208_A), 및, 도 5(b)에 나타내는 프레임 구성에 근거한 스트림#X2의 변조 신호(208_B)를 생성한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은, 스트림#X1의 DM-RS 심볼(2B01), 스트림#X1의 데이터 심볼(2B02), 스트림#X1의 PT-RS 심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a)에 있어서, 시각$1에는 스트림#X1의 DM-RS 심볼(2B01)이 배치되고,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k_4, 캐리어 k_10에 스트림#X1의 PT-RS 심볼(2B03)이 배치되고,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k_4, 캐리어 k_10 이외의 캐리어에 스트림#X1의 데이터 심볼(2B02)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은, 스트림#X2의 DM-RS 심볼(2C01), 스트림#X2의 데이터 심볼(2C02), 스트림#X2의 PT-RS 심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b)에 있어서, 시각$1에는 스트림#X2의 DM-RS 심볼(2C01)이 배치되고,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k_4, 캐리어 k_10에 스트림#X2의 PT-RS 심볼(2C03)이 배치되고,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k_4, 캐리어 k_10 이외의 캐리어에 스트림#X2의 데이터 심볼(2C02)이 배치된다.
도 5(a) 및 도 5(b)의 동일 시각, 또한, 동일 캐리어의 심볼은, 복수의 안테나부(111_A, 111_B)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무선부(109_A, 109_B)의 구성의 예]
도 6은 도 3의 무선부(109_A, 109_B)의 내부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시리얼 패러렐 변환부(302)는,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 신호(301)(도 3의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 신호(108_A) 또는 변조 신호(108_B)에 상당한다), 및, 제어 신호(300)(도 3의 제어 신호(100)에 상당한다)를 입력으로 한다. 시리얼 패러렐 변환부(302)는, 제어 신호(300)에 근거하여, 변조 신호(301)의 시리얼 패러렐 변환을 행하고, 신호(303)를 출력한다.
역 푸리에 변환부(304)는, 신호(303) 및 제어 신호(300)를 입력으로 한다. 역 푸리에 변환부(304)는, 제어 신호(300)에 근거하여, 신호(303)에 대하여 역 푸리에 변환을 실시하고, 역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305)를 출력한다.
처리부(306)는, 역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305) 및 제어 신호(300)를 입력으로 한다. 처리부(306)는, 제어 신호(300)에 근거하여, 역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305)에 대하여, 신호 처리(예컨대, CDD, CSD 또는 위상 변경 등)를 실시하고, 처리 후의 신호(307)(도 3의 송신 신호(110_A) 또는 송신 신호(110_B)에 상당한다)를 출력한다.
또, 처리부(306)는, 신호 처리를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 경우, 역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305)가 그대로 처리 후의 신호(307)가 된다. 또한, 무선부(109_A, 109_B)는 처리부(306)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때, 역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305)가, 무선부(109_A, 109_B)의 출력(다시 말해, 송신 신호(110_A) 또는 송신 신호(110_B)에 상당한다)이 된다. 또한, 무선부(109_A, 109_B)는, CDD, CSD의 처리를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변조 신호(108_A, 108_B)의 프레임 구성의 예]
도 7은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401)(도 3에 나타내는 송신 장치)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캐리어 번호)이고, 세로축은 시간이다. 도 7의 예에서는,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을 나타내고, 시각#a, 시각$1로부터 시각$11을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프레임은, 제어 정보 전송 영역(500), DM-RS 전송 영역(501), 데이터 전송 영역(502), 및, PT-RS 전송 영역(503)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7에 있어서, 시각$1로부터 시각$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12에 존재하는 전송 영역은, 도 2에 나타내는 단말(402_1)을 위한 전송 영역(단말(402_1) 앞으로의 전송 영역)이다. 이하,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402_1)을 위한 전송 영역을 유저#1용의 전송 영역이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도 7에 있어서, 시각$1로부터 시각$11의 캐리어 13으로부터 캐리어 24에 존재하는 전송 영역은, 도 2에 나타내는 단말(402_2)을 위한 전송 영역(단말(402_2) 앞으로의 전송 영역)이다. 이하,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402_2)을 위한 전송 영역을 유저#2용의 전송 영역이라고 부른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시각$1로부터 시각$11의 캐리어 25로부터 캐리어 36에 존재하는 전송 영역은, 도 2에 나타내는 단말(402_3)을 위한 전송 영역(단말(402_3) 앞으로의 전송 영역)이다. 이하,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402_3)을 위한 전송 영역을 유저#3용의 전송 영역이라고 부른다.
도 7에 있어서, 시각#a에 제어 정보 전송 영역(500)이 배치되어 있다. 제어 정보 전송 영역(500)은, 예컨대, 유저#1용의 전송 영역, 유저#2용의 전송 영역, 유저#3용의 전송 영역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존재 위치, 각 전송 영역의 변조 방식에 관한 정보,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에 관한 정보, 프리코딩 행렬에 관한 정보,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프레임 구성에서는, 시각#a에 제어 정보 전송 영역(500)이 배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제어 정보 전송 영역(500)의 존재 위치는,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어느 캐리어에 존재한다, 어느 시각에 존재한다, 어느 캐리어ㆍ시각의 영역에 존재한다고 하는 예를 생각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유저#1용의 전송 영역에 있어서, 시각$1에는 DM-RS 전송 영역(501)이 배치되고,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4 및 캐리어 10에 PT-RS 전송 영역(503)이 배치되고,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4 및 캐리어 10 이외의 캐리어에 데이터 전송 영역(502)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도 7에 나타내는 유저#2용의 전송 영역에 있어서, 시각$1에는 DM-RS 전송 영역(501)이 배치되고,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16 및 캐리어 21에 PT-RS 전송 영역(503)이 배치되고,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16 및 캐리어 21 이외의 캐리어에 데이터 전송 영역(502)이 배치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유저#3용의 전송 영역에 있어서, 시각$1에는 DM-RS 전송 영역(501)이 배치되고,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에 PT-RS 전송 영역(503)이 배치되고,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 이외의 캐리어에 데이터 전송 영역(502)이 배치된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프레임 구성은 일례이고, 캐리어 수 및 시각의 구성은, 도 7의 구성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전송 영역 이외의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있더라도 좋고, 또한, 각 전송 영역의 프레임에 대한 배치는, 도 7의 구성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다음으로,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401)(도 3에 나타내는 송신 장치)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캐리어 번호)이고, 세로축은 시간이다. 도 8의 예에서는,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36을 나타내고, 시각#a, 시각$1로부터 시각$11을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프레임은, 제어 정보 전송 영역(600), DM-RS 전송 영역(601), 데이터 전송 영역(602), 및, PT-RS 전송 영역(603)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8에 있어서, 시각$1로부터 시각$11의 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12에 존재하는 전송 영역은, 도 2에 나타내는 단말(402_1)을 위한 전송 영역(단말(402_1) 앞으로의 전송 영역)이다. 이하,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402_1)을 위한 전송 영역을 유저#1용의 전송 영역이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도 8에 있어서, 시각$1로부터 시각$11의 캐리어 13으로부터 캐리어 24에 존재하는 전송 영역은, 도 2에 나타내는 단말(402_2)을 위한 전송 영역(단말(402_2) 앞으로의 전송 영역)이다. 이하,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402_2)을 위한 전송 영역을 유저#2용의 전송 영역이라고 부른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시각$1로부터 시각$11의 캐리어 25로부터 캐리어 36에 존재하는 전송 영역은, 도 2에 나타내는 단말(402_3)을 위한 전송 영역(단말(402_3) 앞으로의 전송 영역)이다. 이하,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402_3)을 위한 전송 영역을 유저#3용의 전송 영역이라고 부른다.
도 8에 있어서, 시각#a에 제어 정보 전송 영역(600)이 배치되어 있다. 제어 정보 전송 영역(600)은, 예컨대, 유저#1용의 전송 영역, 유저#2용의 전송 영역, 유저#3용의 전송 영역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존재 위치, 각 전송 영역의 변조 방식에 관한 정보,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에 관한 정보, 프리코딩 행렬에 관한 정보,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프레임 구성에서는, 시각#a에 제어 정보 전송 영역(600)이 배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제어 정보 전송 영역(600)의 존재 위치는,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어느 캐리어에 존재한다, 어느 시각에 존재한다, 어느 캐리어ㆍ시각의 영역에 존재한다고 하는 예를 생각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유저#1용의 전송 영역에 있어서, 시각$1에는 DM-RS 전송 영역(601)이 배치되고,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4 및 캐리어 10에 PT-RS 전송 영역(603)이 배치되고,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4 및 캐리어 10 이외의 캐리어에 데이터 전송 영역(602)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도 8에 나타내는 유저#2용의 전송 영역에 있어서, 시각$1에는 DM-RS 전송 영역(601)이 배치되고,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16 및 캐리어 21에 PT-RS 전송 영역(603)이 배치되고,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16 및 캐리어 21 이외의 캐리어에 데이터 전송 영역(602)이 배치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유저#3용의 전송 영역에 있어서, 시각$1에는 DM-RS 전송 영역(601)이 배치되고,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에 PT-RS 전송 영역(603)이 배치되고, 시각$2로부터 시각$11에 있어서,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 이외의 캐리어에 데이터 전송 영역(602)이 배치된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프레임 구성은 일례이고, 캐리어 수 및 시각의 구성은, 도 8의 구성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전송 영역 이외의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있더라도 좋고, 또한, 각 전송 영역의 프레임에 대한 배치는, 도 8의 구성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 7 및 도 8과 같이, 특정한 캐리어에 PT-RS 전송 영역(503, 603)이 배치될 때, PT-RS 전송 영역(503, 603)이 배치되는 캐리어 수는, 각 유저용의 전송 영역에 대하여, 2 캐리어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1 캐리어 이상에 PT-RS 전송 영역(503, 603)이 배치되면,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유저용의 전송 영역에 대하여 PT-RS 전송 영역(503, 603)이 배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더라도 좋다. 또한, 어느 시간의 어느 캐리어 영역에 PT-RS 전송 영역(503, 603)이 배치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심볼과 전송 영역의 관계]
다음으로,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한 "심볼"과,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전송 영역"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유저#k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부(207)에서는, 프리코딩 처리도 행하여진다. 이하, 프리코딩 전의 신호를 s1(i), s2(i)로 나타낸다. 단, i는 심볼 번호로 한다.
즉, 프리코딩 전의 신호 s1(i)는, 스트림#X1의 데이터 심볼(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1))(2B02), 스트림#X1의 DM-RS 심볼(2B01), 및, 스트림#X1의 PT-RS 심볼(2B03)을 포함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프리코딩 전의 신호 s2(i)는, 스트림#X2의 데이터 심볼(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2))(2C02), 스트림#X2의 DM-RS 심볼(2C01), 및, 스트림#X2의 PT-RS 심볼(2C03)을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프리코딩 전의 신호 s1(i) 중, 스트림#X1의 데이터 심볼(2B02)을 "sD1(i)"로 하고, 프리코딩 전의 신호 s2(i) 중, 스트림#X2의 데이터 심볼(2C02)을 "sD2(i)"로 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부(207)의 출력인 변조 신호(208_A) 중, 도 7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영역(502)의 신호를 "uD1(i)"로 하고,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부(207)의 출력인 변조 신호(208_B) 중, 도 8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영역(602)의 신호를 "uD2(i)"로 한다.
또한, (유저#k의) 프리코딩 행렬을 F로 하고, (유저#k의) CDD에 관한 행렬을 W로 하고, 송신(전력) 레벨의 변경치(이하, "보정 계수")를 α1, α2로 한다.
이때, 이하의 식이 성립한다. 단, α1, α2는, 복소수 또는 실수로 정리할 수 있고, 유저마다 설정되더라도 좋고, 복수 심볼 단위로 설정되더라도 좋고, 심볼 단위로 설정되더라도 좋고, 고정치이더라도 좋다. 또, 송신 레벨의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경우, α1=α2=1로 나타내어지고, 이하의 식에 있어서 송신 레벨 변경의 연산이 행하여지지 않게 된다.
프리코딩을 행하고, 또한, CDD를 행하지 않는 경우 :
[수학식 1]
Figure pct00001
또는,
[수학식 2]
Figure pct00002
프리코딩을 행하고, 또한, CDD를 행하는 경우 :
[수학식 3]
Figure pct00003
또는,
[수학식 4]
Figure pct00004
프리코딩을 행하지 않고, 또한, CDD를 행하지 않는 경우 :
[수학식 5]
Figure pct00005
프리코딩을 행하지 않고, 또한, CDD를 행하는 경우 :
[수학식 6]
Figure pct00006
또는,
[수학식 7]
Figure pct00007
<DM-RS 심볼에 대하여>
프리코딩 전의 신호 s1(i) 중, 스트림#X1의 DM-RS 심볼(2B01)을 "sDR1(i)"로 하고, 프리코딩 전의 신호 s2(i) 중, 스트림#X2의 DM-RS 심볼(2C01)을 "sDR2(i)"로 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부(207)의 출력인 변조 신호(208_A) 중, 도 7에 나타내는 DM-RS 전송 영역(501)의 신호를 "uDR1(i)"로 하고,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부(207)의 출력인 변조 신호(208_B) 중, 도 8에 나타내는 DM-RS 전송 영역(601)의 신호를 "uDR2(i)"로 한다.
이때, 이하의 식이 성립한다. 또, 송신(전력) 레벨의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경우, α1=α2=1로 나타내어지고, 이하의 식에 있어서 송신 레벨 변경의 연산이 행하여지지 않게 된다.
프리코딩을 행하고, 또한, CDD를 행하지 않는 경우 :
[수학식 8]
Figure pct00008
또는,
[수학식 9]
Figure pct00009
프리코딩을 행하고, 또한, CDD를 행하는 경우 :
[수학식 10]
Figure pct00010
또는,
[수학식 11]
Figure pct00011
프리코딩을 행하지 않고, 또한, CDD를 행하지 않는 경우 :
[수학식 12]
Figure pct00012
프리코딩을 행하지 않고, 또한, CDD를 행하는 경우 :
[수학식 13]
Figure pct00013
또는,
[수학식 14]
Figure pct00014
<PT-RS 심볼에 대하여>
프리코딩 전의 신호 s1(i) 중, 스트림#X1의 PT-RS 심볼(2B03)을 "sPR1(i)"로 하고, 프리코딩 전의 신호 s2(i) 중, 스트림#2의 PT-RS 심볼(2C03)을 "sPR2(i)"로 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부(207)의 출력인 변조 신호(208_A) 중, 도 7에 나타내는 PT-RS 전송 영역(503)의 신호를 "uPR1(i)"로 하고,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부(207)의 출력인 변조 신호(208_B) 중, 도 8에 나타내는 PT-RS 전송 영역(603)의 신호를 "uPR2(i)"로 한다.
이때, PT-RS의 송신(전력) 레벨의 변경치(보정 계수)를 β1, β2로 하면, 이하의 식이 성립한다. 다시 말해, PT-RS 심볼에 대해서는, 데이터 심볼 및 DM-RS 심볼에 적용되는 송신 레벨의 보정 계수 α1, α2와 상이한 보정 계수 β1, β2가 적용된다. 단, β1, β2는, 복소수 또는 실수로 정리할 수 있고, 유저마다 설정되더라도 좋고, 복수 심볼 단위로 설정되더라도 좋고, 심볼 단위로 설정되더라도 좋고, 고정치이더라도 좋다. 또, 송신 레벨의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경우, β1=β2=1로 나타내어지고, 이하의 식에 있어서 송신 레벨 변경의 연산이 행하여지지 않게 된다.
프리코딩을 행하고, 또한, CDD를 행하지 않는 경우 :
[수학식 15]
Figure pct00015
또는,
[수학식 16]
Figure pct00016
프리코딩을 행하고, 또한, CDD를 행하는 경우 :
[수학식 17]
Figure pct00017
또는,
[수학식 18]
Figure pct00018
프리코딩을 행하지 않고, 또한, CDD를 행하지 않는 경우 :
[수학식 19]
Figure pct00019
프리코딩을 행하지 않고, 또한, CDD를 행하는 경우 :
[수학식 20]
Figure pct00020
또는,
[수학식 21]
Figure pct00021
또, 식 (1)로부터 식 (21)에 있어서, PT-RS 전송 영역의 신호를 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리코딩 행렬과, 데이터 전송 영역의 신호 및 DM-RS 전송 영역의 신호를 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리코딩 행렬이 동일한 행렬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상이한 행렬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프리코딩 행렬 F의 예로서, 이하를 생각할 수 있다.
[수학식 22]
Figure pct00022
식 (22)에 있어서, a, b, c, d는 복소수 또는 실수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a, b, c, d의 조건으로서는, 이하의 조건 <1>~<4>의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면 된다.
<1> a, b, c, d의 전부가 0이 되는 일은 없다.
<2> a, b, c, d 중, 3개 이상이 0이 되는 일은 없다.
<3> a, b, c, d 중, 2개 이상이 0이 되는 일이 없다.
<4> a, b, c, d 중, 2개 이상이 0이 되는 일이 없고, 또한, a=c=0을 만족시키는 일이 없고, 또한, b=d=0을 만족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CDD에 관한 행렬의 예로서, 이하를 생각할 수 있다.
[수학식 23]
Figure pct00023
식 (23)에 있어서, p, q, r, s는 복소수 또는 실수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p, q, r, s의 조건으로서는, 이하의 조건 <5>~<8>의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면 된다.
<5> p=e, 또한, q=0, 또한, r=0, 또한, s=e
단, p와 s는 심볼마다 설정된다.
<6> p=g×e, 또한, q=0, 또한, r=0, 또한, s=h×e
단, p와 s는 심볼마다 설정되고, 또한, g, h는 실수이다.
<7> p=0, 또한, q=e, 또한, r=e, 또한, s=0
단, p와 s는 심볼마다 설정된다.
<8> p=0, 또한, q=g×e, 또한, r=h×e, 또한, s=0
단, p와 s는 심볼마다 설정되고, 또한, g, h는 실수이다.
[수신 장치의 구성의 예]
도 9는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수신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수신 장치는, 예컨대,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401)(도 3에 나타내는 송신 장치)의 통신 상대인 단말(402_1, 402_2, 402_3)이다.
또, 이하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부#A(111_A)로부터 송신되는 변조 신호를 "변조 신호 u1"이라고 부르고, 안테나부#B(111_B)로부터 송신되는 변조 신호를 "변조 신호 u2"라고 부른다.
무선부(703X)는, 안테나부#X(701X)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702X)를 입력으로 한다. 무선부(703X)는, 수신 신호(702X)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 푸리에 변환 등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베이스밴드 신호(704X)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무선부(703Y)는, 안테나부#Y(701Y)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702Y)를 입력으로 한다. 무선부(703Y)는, 수신 신호(702Y)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 푸리에 변환 등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베이스밴드 신호(704Y)를 출력한다.
제어 정보 복조부(709)는, 베이스밴드 신호(704X, 704Y)를 입력으로 한다. 제어 정보 복조부(709)는, 베이스밴드 신호(704X, 704Y)로부터 제어 정보 심볼(예컨대, 도 7에 나타내는 제어 정보 전송 영역(500), 도 8에 나타내는 제어 정보 전송 영역(600))을 추출하고, 이들 제어 정보 심볼(제어 정보 전송 영역)을 복조하고, 제어 정보(710)를 출력한다.
안테나부#X(701X) 및 안테나부#Y(701Y)는, 제어 정보(710)를 입력으로 하고 있다. 안테나부#X(701X) 및 안테나부#Y(701Y)는, 제어 정보(710)에 따라 수신 지향성 제어를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안테나부#X(701X) 및 안테나부#Y(701Y)의 입력으로서 제어 정보(710)가 없더라도 좋다.
변조 신호 u1의 채널 추정부(705_1)는, 베이스밴드 신호(704X) 및 제어 정보(710)를 입력으로 한다. 변조 신호 u1의 채널 추정부(705_1)는, 도 7에 나타내는 DM-RS 전송 영역(501) 및/또는 도 8에 나타내는 DM-RS 전송 영역(601)을 이용하여, 변조 신호 u1의 채널 추정을 행하고, 변조 신호 u1의 채널 추정 신호(706_1)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변조 신호 u1의 채널 추정부(707_1)는, 베이스밴드 신호(704Y) 및 제어 정보(710)를 입력으로 한다. 변조 신호 u1의 채널 추정부(707_1)는, 도 7에 나타내는 DM-RS 전송 영역(501) 및/또는 도 8에 나타내는 DM-RS 전송 영역(601)을 이용하여, 변조 신호 u1의 채널 추정을 행하고, 변조 신호 u1의 채널 추정 신호(708_1)를 출력한다.
변조 신호 u2의 채널 추정부(705_2)는, 베이스밴드 신호(704X) 및 제어 정보(710)를 입력으로 한다. 변조 신호 u2의 채널 추정부(705_2)는, 도 7에 나타내는 DM-RS 전송 영역(501) 및/또는 도 8에 나타내는 DM-RS 전송 영역(601)을 이용하여, 변조 신호 u2의 채널 추정을 행하고, 변조 신호 u2의 채널 추정 신호(706_2)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변조 신호 u2의 채널 추정부(707_2)는, 베이스밴드 신호(704Y) 및 제어 정보(710)를 입력으로 한다. 변조 신호 u2의 채널 추정부(707_2)는, 도 7에 나타내는 DM-RS 전송 영역(501) 및/또는 도 8에 나타내는 DM-RS 전송 영역(601)을 이용하여, 변조 신호 u2의 채널 추정을 행하고, 변조 신호 u2의 채널 추정 신호(708_2)를 출력한다.
위상 잡음 추정부(711)는, 베이스밴드 신호(704X) 및 제어 정보(710)를 입력으로 한다. 위상 잡음 추정부(711)는, PT-RS 전송 영역(503) 및/또는 PT-RS 전송 영역(603)을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하고, 위상 잡음 추정 신호(712)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위상 잡음 추정부(713)는, 베이스밴드 신호(704Y) 및 제어 정보(710)를 입력으로 한다. 위상 잡음 추정부(713)는, PT-RS 전송 영역(503) 및/또는 PT-RS 전송 영역(603)을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하고, 위상 잡음 추정 신호(714)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715)는, 변조 신호 u1의 채널 추정 신호(706_1, 708_1), 변조 신호 u2의 채널 추정 신호(706_2, 708_2), 위상 잡음 추정 신호(712, 714), 베이스밴드 신호(704X, 704Y), 제어 정보(710)를 입력으로 한다. 신호 처리부(715)는, 이들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심볼(데이터 전송 영역(502, 602))의 복조 및 오류 정정 복호 등의 처리를 행하고, 수신 신호(716)를 출력한다.
[위상 잡음의 추정 방법]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내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위상 잡음의 추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례로서, 도 2에 나타내는 단말(402_2)(유저#2)에 있어서 위상 잡음을 높은 정밀도로 추정할 때의 과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401)(도 3에 나타내는 송신 장치)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은,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단말(402_2)(도 9에 나타내는 수신 장치)이 위상 잡음을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2개의 방법 1, 2를 생각할 수 있다.
<방법 1>
방법 1에서는, 단말(402_2)은,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의 자신 앞으로의 PT-RS 심볼(2B03, 2C03), 다시 말해, 도 7에 나타내는 캐리어 16 및 캐리어 21의 유저#2용의 PT-RS 전송 영역(503), 및, 도 8에 나타내는 캐리어 16 및 캐리어 21의 유저#2용의 PT-RS 전송 영역(603)을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한다.
<방법 2>
방법 2에서는, 단말(402_2)은,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의 자신 앞으로의 PT-RS 심볼(2B03, 2C03)에 더하여, 다른 단말 앞으로의 PT-RS 심볼을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한다.
다시 말해, 단말(402_2)은, "도 7에 나타내는 캐리어 16 및 캐리어 21의 유저#2용의 PT-RS 전송 영역(503), 및, 도 8에 나타내는 캐리어 16 및 캐리어 21의 유저#2용의 PT-RS 전송 영역(603)"에 더하여, "도 7에 나타내는 캐리어 4, 캐리어 10,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다른 유저용의 PT-RS 전송 영역(503)", 및, "도 8에 나타내는 캐리어 4, 캐리어 10,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다른 유저용의 PT-RS 전송 영역(603)"을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한다.
이상, 단말(402_2)에 있어서의 위상 잡음을 추정하는 방법 1, 2에 대하여 설명했다.
단말(402_2)(수신 장치)에 있어서 방법 2를 이용하는 쪽이, 방법 1을 이용하는 것보다 많은 PT-RS를 이용하여 위상 잡음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방법 2에 의한 위상 잡음 추정을 실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기지국(401)(송신 장치)은, 유저#1용의 적어도 데이터 심볼(데이터 전송 영역)의 송신 전력을, 단말(402_1)(유저#1)의 상태에 맞추어 조정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401)은, 유저#2용의 적어도 데이터 심볼(데이터 전송 영역)의 송신 전력을, 단말(402_2)(유저#2)의 상태에 맞추어 조정하고, 유저#3용의 적어도 데이터 심볼(데이터 전송 영역)의 송신 전력을, 단말(402_3)(유저#3)의 상태에 맞추어 조정한다.
이때, 기지국(401)은, 유저#1용의 데이터 심볼의 송신 전력의 조정의 규칙에 맞추어, 캐리어 4 및 캐리어 10에 배치되는 PT-RS 심볼(PT-RS 전송 영역)의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401)은, 유저#2용의 데이터 심볼의 송신 전력의 조정의 규칙에 맞추어, 캐리어 16 및 캐리어 21에 배치되는 PT-RS 심볼(PT-RS 전송 영역)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고, 유저#3용의 데이터 심볼의 송신 전력의 조정의 규칙에 맞추어,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에 배치되는 PT-RS 심볼(PT-RS 전송 영역)의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또, 도 7 및 도 8에 있어서의 "전송 영역"과 도 5(a), 도 5(b)에 있어서의 "심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상술한 대로이다.
여기서, 기지국(401)이, 상술한 송신 전력의 조정에 관한 정보(송신 전력 정보)를, 예컨대, 제어 정보 전송 영역(500, 600) 등의 제어 정보 전송 영역에서 송신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도 2에 나타내는 단말(402_2)(도 9에 나타내는 수신 장치)은, 다른 유저의 송신 전력 정보, 다시 말해, 유저#1용의 심볼의 송신 전력 정보, 및, 유저#3용의 심볼의 송신 전력 정보를, 제어 정보 심볼로부터 얻는다. 이것에 의해, 단말(402_2)은, 캐리어 4, 캐리어 10,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에 배치된 PT-RS 전송 영역의 PT-RS 심볼을 위상 잡음의 추정에 이용하는 것이 용이해질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단말(402_2)은, 다른 유저의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위상 잡음 추정에 이용할 수 있고, 소망하는 데이터 심볼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위상 잡음 추정을 행할 때, 다른 유저의 데이터의 보호, 및, 다른 유저의 데이터를 보호하는 구조를 위한 제어 정보의 증가라고 하는 점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방법과는 상이한 위상 잡음 추정의 실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우선, 기지국(401)은, 각 유저의 데이터 심볼의 송신 전력의 조정을 행하고, 송신 전력의 레벨을 나타내는 송신 전력 정보를, 예컨대, 도 7에 나타내는 제어 정보 전송 영역(500) 및/또는, 도 8에 나타내는 제어 정보 전송 영역(600)을 이용하여 송신한다.
일례로서,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기지국(401)은, 유저#1용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을 제외한 전송 영역의 "심볼"의 송신(전력) 레벨을 "1.0"으로 하고, 유저#2용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을 제외한 전송 영역의 "심볼"의 송신(전력) 레벨을 "4.0"으로 하고, 유저#3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을 제외한 전송 영역의 "심볼"의 송신(전력) 레벨을 "16.0"으로 하여, 송신 전력 정보를 송신한다.
한편, 기지국(401)은, 유저#1용의 PT-RS 전송 영역, 다시 말해,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캐리어 4 및 캐리어 10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의 PT-RS 심볼(도 5(a), 도 5(b)를 참조)의 송신(전력) 레벨을 "2.0"으로 하고, 유저#2용의 PT-RS 전송 영역, 다시 말해,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캐리어 16 및 캐리어 21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의 PT-RS 심볼(도 5(a), 도 5(b)를 참조)의 송신(전력) 레벨을 "4.0"으로 하고, 유저#3용의 PT-RS 전송 영역, 다시 말해,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의 PT-RS 심볼(도 5(a) 및 도 5(b)를 참조)의 송신(전력) 레벨을 "8.0"으로 하여, 송신 전력 정보를 송신한다.
즉, 기지국(401)은, 동일 유저에 대한 경우이더라도, PT-RS 전송 영역을 제외한 전송 영역의 "심볼"(단, 데이터 심볼이더라도 좋다)의 송신(전력) 레벨의 제어 방법과, PT-RS 전송 영역의 PT-RS 심볼의 송신(전력) 레벨의 제어 방법을 상이하게 한다. 또는, 기지국(401)은, 동일 유저에 대한 경우이더라도, PT-RS 전송 영역을 제외한 전송 영역의 송신(전력) 레벨의 제어 방법과, PT-RS 전송 영역의 송신(전력) 레벨의 제어 방법을 상이하게 한다.
이때, 기지국(401)은, PT-RS 전송 영역을 제외한 전송 영역의 "심볼", 또는, "전송 영역"에 대하여, 기지국(401)의 통신 상대인 단말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확보하는 것을 달성하도록 송신 전력(전력) 레벨의 제어를 행한다. 한편, 기지국(401)은, PT-RS 전송 영역의 PT-RS 심볼, 또는 PT-RS 전송 영역에 대하여, 소망하는 단말이 위상 잡음을 높은 정밀도로 추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다른 단말이 위상 잡음을 추정하기 위해 PT-RS 심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송신(전력) 레벨의 제어를 행한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0은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의 동상 I-직교 Q 평면(I-Q 평면)에 있어서의 신호점 배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BPSK의 경우, I-Q 평면에 있어서, 2개의 신호점이 배치된다. 신호점을 (I2, Q2)로 나타내면, (I2, Q2)로서 (a2×z, 0), (-a2×z, 0)이 존재한다. 또, 계수 a2는 다음 식 (24)로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24]
Figure pct00024
또한, z는 0보다 큰 실수이다. 이때, 평균 송신 전력은 z2이 된다.
도 11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의 I-Q 평면에 있어서의 신호점 배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QPSK의 경우, I-Q 평면에 있어서, 4개의 신호점이 배치된다. 신호점을 (I4, Q4)로 나타내면, (I4, Q4)로서 (a4×z, a4×z), (-a4×z, a4×z), (a4×z, -a4×z), (-a4×z, -a4×z)가 존재한다. 또, 계수 a4는 다음 식 (25)로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25]
Figure pct00025
또한, z는 0보다 큰 실수이다. 이때, 평균 송신 전력은 z2이 된다. 즉, 식 (25)와 같이 a4를 설정함으로써, BPSK의 송신 레벨과 QPSK의 송신 레벨이 동일해진다.
도 12는 16QAM(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I-Q 평면에 있어서의 신호점 배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16QAM의 경우, I-Q 평면에 있어서, 16개의 신호점이 배치된다. 신호점을 (I16, Q16)으로 나타내면, (I16, Q16)으로서, (a16×z×3, a16×z×3), (a16×z×3, a16×z×1), (a16×z×3, -a16×z×1), (a16×z×3, -a16×z×3), (a16×z×1, a16×z×3), (a16×z×1, a16×z×1), (a16×z×1, -a16×z×1), (a16×z×1, -a16×z×3), (-a16×z×1, a16×z×3), (-a16×z×1, a16×z×1), (-a16×z×1, -a16×z×1), (-a16×z×1, -a16×z×3), (-a16×z×3, a16×z×3), (-a16×z×3, a16×z×1), (-a16×z×3, -a16×z×1), (-a16×z×3, -a16×z×3)이 존재하게 된다. 또, 계수 a16은 다음 식 (26)으로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26]
Figure pct00026
또한, z는 0보다 큰 실수이다. 이때, 평균 송신 전력은 z2이 된다. 즉, 식 (26)과 같이 a16을 설정함으로써, BPSK의 송신 레벨과 QPSK의 송신 레벨과 16QAM의 송신 레벨이 동일해진다.
도 13은 64QAM(64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I-Q 평면에 있어서의 신호점 배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64QAM의 경우, I-Q 평면에 있어서, 64개의 신호점이 배치된다. 신호점을 (I64, Q64)로 나타내면, (I64, Q64)로서, (a64×z×7, a64×z×7), (a64×z×7, a64×z×5), (a64×z×7, a64×z×3), (a64×z×7, a64×z×1), (a64×z×7, -a64×z×1), (a64×z×7, -a64×z×3), (a64×z×7, -a64×z×5), (a64×z×7, -a64×z×7), (a64×z×5, a64×z×7), (a64×z×5, a64×z×5), (a64×z×5, a64×z×3), (a64×z×5, a64×z×1), (a64×z×5, -a64×z×1), (a64×z×5, -a64×z×3), (a64×z×5, -a64×z×5), (a64×z×5, -a64×z×7), (a64×z×3, a64×z×7), (a64×z×3, a64×z×5), (a64×z×3, a64×z×3), (a64×z×3, a64×z×1), (a64×z×3, -a64×z×1), (a64×z×3, -a64×z×3), (a64×z×3, -a64×z×5), (a64×z×3, -a64×z×7), (a64×z×1, a64×z×7), (a64×z×1, a64×z×5), (a64×z×1, a64×z×3), (a64×z×1, a64×z×1), (a64×z×1, -a64×z×1), (a64×z×1, -a64×z×3), (a64×z×1, -a64×z×5), (a64×z×1, -a64×z×7), (-a64×z×1, a64×z×7), (-a64×z×1, a64×z×5), (-a64×z×1, a64×z×3), (-a64×z×1, a64×z×1), (-a64×z×1, -a64×z×1), (-a64×z×1, -a64×z×3), (-a64×z×1, -a64×z×5), (-a64×z×1, -a64×z×7), (-a64×z×3, a64×z×7), (-a64×z×3, a64×z×5), (-a64×z×3, a64×z×3), (-a64×z×3, a64×z×1), (-a64×z×3, -a64×z×1), (-a64×z×3, -a64×z×3), (-a64×z×3, -a64×z×5), (-a64×z×3, -a64×z×7), (-a64×z×5, a64×z×7), (-a64×z×5, a64×z×5), (-a64×z×5, a64×z×3), (-a64×z×5, a64×z×1), (-a64×z×5, -a64×z×1), (-a64×z×5, -a64×z×3), (-a64×z×5, -a64×z×5), (-a64×z×5, -a64×z×7), (-a64×z×7, a64×z×7), (-a64×z×7, a64×z×5), (-a64×z×7, a64×z×3), (-a64×z×7, a64×z×1), (-a64×z×7, -a64×z×1), (-a64×z×7, -a64×z×3), (-a64×z×7, -a64×z×5), (-a64×z×7, -a64×z×7)이 존재하게 된다. 또, 계수 a64는 다음 식 (27)로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27]
Figure pct00027
또한, z는 0보다 큰 실수이다. 이때, 평균 송신 전력은 z2이 된다. 즉, 식 (27)과 같이 a64를 설정함으로써, BPSK의 송신 레벨과 QPSK의 송신 레벨과 16QAM의 송신 레벨과 64QAM의 송신 레벨이 동일해진다.
여기서, 일례로서, 기지국(401)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이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프레임 구성인 경우에, 각 심볼에 대하여, 이하의 변조 방식 및 송신 레벨 조정을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유저#1용의 데이터 전송 영역(502, 602)의 데이터 심볼의 변조 방식을 QPSK로 하고, 송신 레벨의 조정 계수를 b1로 한다. 또, b1은, 상술한 송신 레벨의 변경치 α1에 상당한다. 이 경우, 송신 레벨 조정 후의 데이터 전송 영역(502, 602)의 데이터 심볼의 동상 성분 ID1은, ID1=b1×I4로 나타내어지고, 송신 레벨 조정 후의 데이터 전송 영역(502, 602)의 데이터 심볼의 직교 성분 QD1은, QD1=b1×Q4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예컨대, 유저#2용의 데이터 전송 영역(502, 602)의 데이터 심볼의 변조 방식을 16QAM으로 하고, 송신 레벨의 조정 계수를 b2로 한다. 또, b2는, 상술한 송신 레벨의 변경치 α2에 상당한다. 이 경우, 송신 레벨 조정 후의 데이터 전송 영역(502, 602)의 데이터 심볼의 동상 성분 ID2는, ID2=b2×I16으로 나타내어지고, 송신 레벨 조정 후의 데이터 전송 영역(502, 602)의 데이터 심볼의 직교 성분 QD2는, QD2=b2×Q16으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예컨대, 유저#3용의 데이터 전송 영역(502, 602)의 데이터 심볼의 변조 방식을 64QAM으로 하고, 송신 레벨의 조정 계수를 b3으로 한다. 이 경우, 송신 레벨 조정 후의 데이터 전송 영역(502, 602)의 데이터 심볼의 동상 성분 ID3은, ID3=b3×I64로 나타내어지고, 송신 레벨 조정 후의 데이터 전송 영역(502, 602)의 데이터 심볼의 직교 성분 QD3은, QD3=b3×Q64로 나타내어진다.
한편, 예컨대, 유저#1용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의 PT-RS 심볼의 변조 방식을 BPSK로 하고, 송신 레벨의 조정 계수를 c1로 한다. 또, c1은, 상술한 송신 레벨의 변경치 β1에 상당한다. 이 경우, 송신 레벨 조정 후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의 PT-RS 심볼의 동상 성분 IP1은, IP1=c1×I2로 나타내어지고, 송신 레벨 조정 후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의 PT-RS 심볼의 직교 성분 QP1은, QP1=c1×Q2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예컨대, 유저#2용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의 PT-RS 심볼의 변조 방식을 BPSK로 하고, 송신 레벨의 조정 계수를 c2로 한다. 또, c2는, 상술한 송신 레벨의 변경치 β2에 상당한다. 이 경우, 송신 레벨 조정 후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의 PT-RS 심볼의 동상 성분 IP2는, IP2=c2×I2로 나타내어지고, 송신 레벨 조정 후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의 PT-RS 심볼의 직교 성분 QP2는, QP2=c2×Q2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예컨대, 유저#3용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의 PT-RS 심볼의 변조 방식을 BPSK로 하고, 송신 레벨의 조정 계수를 c3으로 한다. 이 경우, 송신 레벨 조정 후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의 PT-RS 심볼의 동상 성분 IP3은, IP3=c3×I2로 나타내어지고, 송신 레벨 조정 후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의 PT-RS 심볼의 직교 성분 QP3은, QP3=c3×Q2로 나타내어진다.
기지국(401)은, 상기 송신 레벨 조정을 행할 때, 이하의 설정(조건)이 가능하게 된다.
"b1≠c1이 되는 b1, c1을 설정"
"b2≠c2가 되는 b2, c2를 설정"
"b3≠c3이 되는 b3, c3을 설정"
또, 상술한 일례에서는, 유저#1로부터 유저#3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유저의 수는 3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유저 수 n(n은 2 이상의 정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즉, 기지국(401)은, bk≠ck가 되는 bk, ck를 설정할 수 있다(k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
또는, 기지국(401)은, 상기 송신 레벨 조정을 행할 때, 이하의 설정(조건)이 가능하게 된다.
"b1≠c1, b2≠c2, b3≠c3의 어느 하나가 성립하는 시간이 존재"
또, 유저 수가 n일 때, 이하가 성립한다.
"k를 1 이상 n 이하의 정수로 했을 때, bk≠ck가 성립하는 k가 존재한다"고 하는 시간이 존재
또한, 상기의 일례에서는, PT-RS 전송 영역의 PT-RS 심볼의 변조 방식(매핑 방법)을 BPSK로 하고 있지만, 다른 변조 방식이더라도 좋다. 또한, BPSK, π/2 시프트 BPSK, QPSK, π/4 시프트 QPSK,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등은, 위상의 추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PT-RS 전송 영역의 PT-RS 심볼의 변조 방식(매핑 방법)으로서는 적합한 방법이다. 단, 매핑 방법은, 이들 방법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송신 레벨 조정 전의 PT-RS 전송 영역의 PT-RS 심볼의 평균 송신 전력 z2이 되지 않는 매핑이더라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조정 계수 b1, b2, c1, c2를 심볼에 대하여 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식 (1)로부터 식 (21)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조정 계수를 곱하더라도 좋다.
또한, 데이터 전송 영역의 데이터 심볼의 변조 방식(매핑 방법)은, BPSK, QPSK, 16QAM, 64QAM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데이터 전송 영역의 데이터 심볼의 매핑 방법으로서, 비균일 매핑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좋고, π/2 시프트 BPSK, π/4 시프트 QPSK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단, 상술한 계수 a2, a4, a16, a64에 상당하는 계수를 각 변조 방식에서 별도로 정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 심볼의 송신 레벨 조정 계수와, PT-RS 심볼의 송신 레벨 조정 계수의 관계]
다음으로, 데이터 전송 영역의 데이터 심볼의 송신 레벨 조정 계수와, PT-RS 전송 영역의 PT-RS 심볼의 송신 레벨 조정 계수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전송 영역의 데이터 심볼의 송신 레벨의 조정 계수의 최저치를 bmin으로 하고, 최대치를 bmax로 한다. 단, bmin은 0보다 큰 실수이고, bmax는 실수이고, bmin<bmax가 성립한다.
상술한 송신 레벨 조정 계수 b1, b2, b3(단말 수를 n으로 한 경우, bk(k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은, bmin 이상 bmax 이하의 적합한 값으로 정해진다.
또한, PT-RS 전송 영역의 PT-RS 심볼의 송신 레벨 조정 계수의 최소치를 cmin으로 하고, 최대치를 cmax로 한다. 단, cmin은 0보다 큰 실수이고, cmax는 실수이고, cmin<cmax가 성립한다.
상술한 송신 레벨 조정 계수 c1, c2, c3(단말 수를 n으로 한 경우, ck(k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은, cmin 이상 cmax 이하의 적합한 값으로 정해진다.
이때, cmin>bmin이 성립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PT-RS 심볼의 수신 레벨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단말은, 다른 단말용의 PT-RS 전송 영역의 PT-RS 심볼을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PT-RS 심볼의 송신 레벨의 보정 계수의 추정 방법]
다음으로, 단말(도 9에 나타내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PT-RS 심볼의 송신 레벨 보정 계수 β의 추정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PT-RS 전송 영역의 PT-RS 심볼에 대한 송신(전력) 레벨의 보정 계수 β와, PT-RS 전송 영역에 배치되는 PT-RS로서 사용되는 계열의 패턴이 관련지어져 있다. 기지국(401)(송신 장치) 및 각 단말(수신 장치)은, 보정 계수 β와 PT-RS의 패턴의 관련짓기를 공유한다.
이것에 의해, 각 단말은, PT-RS 전송 영역에 배치된 PT-RS의 패턴을 특정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401)으로부터의 보정 계수 β의 명시적인 통지가 없더라도, 그 PT-RS의 패턴에 관련지어진 송신 레벨의 보정 계수 β를 특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401)은, PT-RS의 송신에 의해, 보정 계수 β(다시 말해, PT-RS의 송신 전력 정보)를 암묵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401)은, 예컨대, 제어 정보 전송 영역(500, 600)에, PT-RS 전송 영역의 PT-RS 심볼의 송신 레벨의 정보를 부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PT-RS 전송 영역을 제외한 전송 영역에 있어서의 보정 계수 α를 이용한 송신(전력) 레벨의 제어 방법과, PT-RS 전송 영역에 있어서의 보정 계수 β를 이용한 송신(전력) 레벨의 제어 방법(보정 계수 β)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각 단말은, 다른 단말의 데이터 전송 영역에 관한 정보를 보는 일 없이, PT-RS의 송신(전력) 레벨에 관한 정보(보정 계수 β)를 특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다른 단말의 데이터 보호를 유지하면서, 단말은, 자신용의 PT-RS에 더하여, 다른 단말용의 PT-RS를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정밀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PT-RS에 대한 송신 레벨의 복수 m개의 보정 계수 βn(단, n=1~m의 정수)의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고 한다.
이 경우, m개의 보정 계수 β에 대하여, PT-RS로서 사용되는 계열의 패턴(이하, PT-RS 패턴이라고 부른다)이 각각 관련지어 설정된다. 여기서, 각 PT-RS 패턴은 서로 직교한다. 예컨대, PT-RS 패턴은, 변조 신호로서 서로 직교하더라도 좋고, BPSK, QPSK 등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비트 계열로서 서로 직교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m종류의 PT-RS 패턴을 준비한다. 이때, m종류의 PT-RS 패턴을 un(k)로 나타낸다. 또, PT-RS 패턴이 m종류 존재하기 때문에, n은, 1 이상 m 이하의 정수이다(단, m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이때, un(k)는, 복소수로 정의하더라도 좋고, 실수로 정의하더라도 좋다. 또한, 일례로서, k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한, un(k)는 주기 T(T는 2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계열(다시 말해, un(k=i)=un(k=i+T)가 성립한다)이다. 이때, PT-RS 패턴(un(0)~un(T-1))이 변조 신호로서 서로 직교하고 있는 경우, x는 1 이상 m 이하의 정수, y는 1 이상 m 이하의 정수로 하고, x≠y가 성립할 때, 다음 식 (28)이 성립한다.
[수학식 28]
Figure pct00028
또는, m종류의 PT-RS 패턴을 준비한다. 이때, m종류의 PT-RS 패턴을 {0, 1}로 구성되는 비트 계열 bn(k)로 나타낸다. 또, PT-RS 패턴이 m종류 존재하기 때문에, n은 1 이상 m 이하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단, m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이때, 일례로서, k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한, bn(k)는 주기 T(T는 2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비트 계열(다시 말해, bn(k=i)bn(k=i+T)가 성립한다)로 한다. 이때, PT-RS 패턴(bn(0)~bn(T-1))이 비트 계열로서 서로 직교하고 있는 경우, x는 1 이상 m 이하의 정수, y는 1 이상 m 이하의 정수로 하고, x≠y가 성립할 때, 다음 식 (29)가 성립한다.
[수학식 29]
Figure pct00029
일례로서, BPSK의 변조 신호(다시 말해, 동상 I 성분이 1 또는 -1, 직교 성분은 0(제로))의 주기 T=4, m=4의 PT-RS 패턴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m=4개의 PT-RS 패턴 u1~u4는, 식 (28)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이하로 나타내어진다.
PT-RS 패턴 u1은 이하와 같이 된다.
u1(0+z×T)=(1, 0) 다시 말해, 동상 성분 1, 직교 성분 0
u1(1+z×T)=(1, 0) 다시 말해, 동상 성분 1, 직교 성분 0
u1(2+z×T)=(1, 0) 다시 말해, 동상 성분 1, 직교 성분 0
u1(3+z×T)=(1, 0) 다시 말해, 동상 성분 1, 직교 성분 0
또 z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PT-RS 패턴 u2는 이하와 같이 된다.
u2(0+z×T)=(1, 0) 다시 말해, 동상 성분 1, 직교 성분 0
u2(1+z×T)=(-1, 0) 다시 말해, 동상 성분 -1, 직교 성분 0
u2(2+z×T)=(1, 0) 다시 말해, 동상 성분 1, 직교 성분 0
u2(3+z×T)=(-1, 0) 다시 말해, 동상 성분 -1, 직교 성분 0
또 z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PT-RS 패턴 u3은 이하와 같이 된다.
u3(0+z×T)=(1, 0) 다시 말해, 동상 성분 1, 직교 성분 0
u3(1+z×T)=(1, 0) 다시 말해, 동상 성분 1, 직교 성분 0
u3(2+z×T)=(-1, 0) 다시 말해, 동상 성분 -1, 직교 성분 0
u3(3+z×T)=(-1, 0) 다시 말해, 동상 성분 -1, 직교 성분 0
또 z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PT-RS 패턴 u4는 이하와 같이 된다.
u4(0+z×T)=(1, 0) 다시 말해, 동상 성분 1, 직교 성분 0
u4(1+z×T)=(-1, 0) 다시 말해, 동상 성분 -1, 직교 성분 0
u4(2+z×T)=(-1, 0) 다시 말해, 동상 성분 -1, 직교 성분 0
u4(3+z×T)=(1, 0) 다시 말해, 동상 성분 1, 직교 성분 0
또 z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한, 각 PT-RS 패턴 u1~u4는, 이하와 같이 보정 계수 β14에 각각 관련지어져 있다.
보정 계수 β1=1.0으로 설정할 때 PT-RS 패턴 u1을 사용한다.
보정 계수 β1=2.0으로 설정할 때 PT-RS 패턴 u2를 사용한다.
보정 계수 β1=4.0으로 설정할 때 PT-RS 패턴 u3을 사용한다.
보정 계수 β1=8.0으로 설정할 때 PT-RS 패턴 u4를 사용한다.
우선, 기지국(401)(송신 장치)은, 각 유저용의 전송 영역 내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레벨의 보정 계수 β를 설정한다. 그리고, 기지국(401)은, 설정한 보정 계수 β에 관련지어진 PT-RS 패턴 u를, 그 PT-RS 전송 영역(503, 603)에 배치하는 PT-RS 심볼로서 사용한다.
다시 말해, 각 유저용의 전송 영역 내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에서는, 그 PT-RS 전송 영역에 설정된 보정 계수 β에 관련지어진 PT-RS 패턴을 구성하는 계열(변조 신호 계열 또는 비트 계열)이 송신된다. 또, 기지국(401)은, 유저용의 전송 영역마다 송신 레벨의 보정 계수 β를 설정하므로, 각 유저용의 전송 영역 내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에서 송신되는 PT-RS 패턴은 각각 개별적으로 설정된다.
한편, 단말(수신 장치)은, PT-RS 패턴 u와 보정 계수 β의 관련짓기에 근거하여, PT-RS 전송 영역(503, 603)에서 수신한 PT-RS에 관련지어진 보정 계수 β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은, 각 PT-RS 전송 영역(503, 603)에서 수신한 PT-RS와, PT-RS 패턴 u1~u4의 각각의 상관치를 산출하고, 상관치가 최대가 되는 PT-RS 패턴 un을 특정한다. 또, 식 (28)에 나타내는 관계로부터, PT-RS 전송 영역에서 수신한 PT-RS의 패턴과 상이한 PT-RS 패턴 u에 대한 상관치는 0이 된다. 그리고, 단말은, 상관치가 최대가 되는 PT-RS 패턴 un에 관련지어진 보정 계수 βn을 특정한다.
예컨대, 상기 예에 있어서, 단말은, 자신용의 전송 영역 내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에 배치된 PT-RS 심볼이 PT-RS 패턴 u1인 경우, 그 PT-RS 심볼에 대한 보정 계수 β1=2.0이라고 판정한다. 단말은, 마찬가지로 하여, 다른 유저용의 전송 영역 내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에 배치된 PT-RS 심볼의 PT-RS 패턴 u를 특정하고, 보정 계수 β를 판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단말은, 자신용의 전송 영역의 보정 계수 β에 더하여, 다른 유저용의 전송 영역에 있어서의 보정 계수 β를 각각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각 유저용 전송 영역에서 수신한 PT-RS의 측정치를, 특정한 보정 계수 β에 근거하여 보정하는 것에 의해, 자신 앞으로의 PT-RS에 더하여, 다른 유저 앞으로의 PT-RS를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 PT-RS 패턴 un(k)의 예는 상술한 예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bn(k)로부터 PT-RS 패턴 un(k)를 생성하더라도 좋다.
이상,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지국(도 3의 송신 장치)은, 복수의 수신 장치에 할당된 리소스에 복수의 수신 장치용의 PT-RS(위상 잡음 추정용의 레퍼런스 신호)가 각각 배치된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변조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PT-RS에 대한 송신 전력의 보정 계수 β와, 그 PT-RS에 사용되는 계열의 패턴이 관련지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단말(수신 장치)은, 복수의 유저의 송신 전력 제어가 상이한 경우에도, 각 유저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보정 계수 β)에 근거하여, 각 유저 앞으로의 PT-RS를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올바르게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각 단말은, 복수의 유저 앞으로의 PT-RS를 이용하여 위상 잡음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단말은, PT-RS 전송 영역에 있어서의 PT-RS 패턴을 관측하는 것에 의해, 다른 유저의 데이터 심볼(송신 레벨의 보정 계수 α)과는 관계없이, 다시 말해, 다른 유저의 데이터 심볼을 관측하는 일 없이, 각 단말에 있어서 다른 유저용 전송 영역에 있어서의 PT-RS의 보정 계수 β를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위상 잡음 추정을 행할 때에 다른 유저의 데이터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PT-RS의 송신 레벨의 보정 계수 β는, 송신되는 PT-RS 패턴에 대응지어져 암묵적으로 단말에 통지되므로, 보정 계수 β를 위한 제어 정보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1)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신 레벨 조정에 관하여, PT-RS 전송 영역의 PT-RS 심볼과, 데이터 전송 영역의 데이터 심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PT-RS 전송 영역의 데이터 심볼을 DM-RS 전송 영역의 DM-RS 심볼로 치환하더라도 좋다. 즉, PT-RS 전송 영역의 PT-RS 심볼과 DM-RS 영역의 DM-RS 심볼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송신 레벨 조정을 실시하더라도 좋다.
(변형예 2)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각 유저에 대하여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이 배치(삽입)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유저에 따라서는,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이 배치되지 않는 프레임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배치하는 프레임을 변경하더라도 좋고, 프레임 중의 리소스에 있어서의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삽입 빈도, 삽입 개수, 삽입 규칙, 삽입 방법을 변경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기지국(401)(송신 장치)은, 각 단말(유저)용의 신호에 설정되는 변조 방식(다시 말해, 변조 다치수 : modulation order)에 따라 그 단말에 할당되는 리소스에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배치할지 여부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또한, 기지국(401)(송신 장치)은, 각 단말(유저)용의 신호에 설정되는 변조 방식(다시 말해, 변조 다치수 : modulation order)에 따라, 그 단말에 할당되는 리소스에 있어서,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배치하는 프레임을 변경하더라도 좋고, 프레임 중의 리소스에 있어서의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삽입 빈도, 삽입 개수, 삽입 규칙, 삽입 방법을 변경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기지국(401)은, 단말용의 신호에 설정되는 변조 다치수가 임계치(예컨대, 임계치를 16으로 설정한다) 이상인 경우에 그 단말에 할당되는 리소스에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배치하고, 변조 다치수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그 단말에 할당되는 리소스에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배치하지 않는다. 예컨대, 기지국(401)은, 어느 단말용으로 16QAM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기지국(401)은,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송신한다. 한편, 기지국(401)은, 어느 단말용으로 QPSK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기지국(401)은,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송신하지 않는다. 또, 임계치는, 16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값이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401)은, 단말에 대한 데이터 심볼의 변조 방식이 BPSK(또는 π/2 시프트 BPSK), QPSK(π/4 시프트 QPSK) 등의 변조 다치수가 적은 경우에는 그 단말에 대한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배치하지 않고, 변조 다치수가 많은 경우에 그 단말에 대한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배치하더라도 좋다.
도 14, 도 15를 이용하여 다른 예를 설명한다. 예컨대, 기지국(401)이, 어느 단말(예컨대, 유저#2)에 16QAM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예컨대, 도 14, 도 15와 같이, 유저#2용 전송 영역인 12 캐리어 중, 2 캐리어를 이용하여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401)이, 어느 단말(예컨대, 유저#1)에 QPSK로 변조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기지국(401)은, 예컨대, 도 14, 도 15와 같이, 유저#1용 전송 영역인 12 캐리어 중, 1 캐리어(캐리어 1로부터 캐리어 12를 이용했을 때, 캐리어 4만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배치한다)를 이용하여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401)이, 어느 단말(예컨대, 유저#3)에 BPSK로 변조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기지국(401)은, 예컨대, 도 14, 도 15의 12 캐리어에는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배치하지 않는다(예컨대, 캐리어 25로부터 캐리어 36을 이용했을 때, 캐리어 25로부터 캐리어 36에는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 이 예에서는, 변조 방식에 의해, 12 캐리어 중에 존재하는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수를 변경하고 있지만,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삽입 빈도를 변경하는 방법은,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도 7, 도 8에서는, 시간축에 대하여, 연속으로 배치하는 예를 기재하고 있지만, 변조 방식에 의해, 시간적으로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삽입하는 빈도를 전환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단말(예컨대, 유저#1)에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변조 방식이 16QAM일 때,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시간적으로 연속으로 배치하고, 어느 단말(예컨대, 유저#2)에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변조 방식이 QPSK일 때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시간적으로 2 심볼마다 배치하고, 어느 단말(예컨대, 유저#3)에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변조 방식이 BPSK일 때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시간적으로 5 심볼마다 배치한다고 하는 것처럼 하더라도 좋다. 또한, 변조 방식에 의해, 시간적, 또한, 주파수적으로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삽입 빈도를 전환한다고 하더라도 좋다. 또한, 변조 방식에 의해,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프레임으로의 삽입 규칙을 전환하면 된다. 또, 삽입 규칙에는,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삽입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일반적으로, 변조 다치수가 많을수록, 위상 잡음의 영향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즉, 변조 다치수가 많은 경우에는,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단말에서의 위상 잡음에 의한 수신 성능 열화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변조 다치수가 적은 경우에는, 위상 잡음의 영향이 작아지므로,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이 배치되지 않거나, 또는,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삽입 빈도를 적게 하더라도, 위상 잡음에 의한 성능 열화의 영향이 작고, 또한,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이 삽입되지 않거나, 또는, 적은만큼, 데이터 전송 영역(데이터 심볼)이 증가하므로,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401)은, 유저(단말)에 대하여, 기지국(401)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에서 사용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의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기지국(401)은, 유저에 대한 MCS에 나타내어지는 변조 다치수(modulation order)(또는, 변조 방식)를 판독하고(유저에 대한 MCS에 나타내어지고 있는 변조 다치수(또는, 변조 방식)에 근거하여), 그 유저에 대하여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배치(삽입)할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또는, 그 유저에 대한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예컨대, 프레임에 대한 삽입 빈도, 또는, 삽입 규칙을 결정하더라도 좋다. 상세하게는, 기지국(401)은, MCS(다시 말해, 변조 다치수(또는, 변조 방식)와 부호화율의 조합(전송 속도)) 그 자체가 아닌, MCS에 포함되는 변조 다치수(또는, 변조 방식)에 근거하여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배치의 유무를 판정한다. 또는, 기지국(401)은, MCS(다시 말해, 변조 다치수(또는, 변조 방식)와 부호화율의 조합(전송 속도)) 그 자체가 아닌, MCS에 포함되는 변조 다치수(또는, 변조 방식)에 근거하여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예컨대, 프레임에 대한 삽입 빈도, 또는, 삽입 규칙을 결정한다. 또, "프레임에 대한 삽입 빈도, 또는, 삽입 규칙"에는,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삽입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일이 발생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기지국(401)이, 유저(단말)에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변조 방식으로서, 64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64APSK(Amplitude Phase Shift Keying)가 선택 가능한 것으로 한다. 이때, 기지국(401)은, 예컨대, MCS에 포함되는 변조 방식의 정보에 의해,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프레임에 대한 삽입 빈도, 또는, 삽입 규칙을 결정하게 되지만, 기지국(401)이, 64QAM을 선택했을 때의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프레임에 대한 삽입 빈도(삽입 규칙)와 64APSK를 선택했을 때의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프레임에 대한 삽입 빈도(삽입 규칙)가 상이하더라도 좋다. 또한, 기지국(401)이, 64QAM을 선택했을 때의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프레임에 대한 삽입 빈도(삽입 규칙)와 64APSK를 선택했을 때의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프레임에 대한 삽입 빈도(삽입 규칙)가 상이하더라도 좋다. 또, 삽입 빈도, 삽입 규칙 중에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삽입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기지국(401)이, 유저(단말)에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변조 방식으로서, (uniform) 64QAM 및 NU(Non-Uniform) 64QAM이 선택 가능하다. 이때, 기지국(401)은, 예컨대, MCS에 포함되는 변조 방식의 정보에 의해,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프레임에 대한 삽입 빈도, 또는, 삽입 규칙을 결정하게 되지만, 기지국(401)이, 64QAM을 선택했을 때의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프레임에 대한 삽입 빈도(삽입 규칙)와 NU-64QAM을 선택했을 때의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프레임에 대한 삽입 빈도(삽입 규칙)가 상이하더라도 좋다. 또, 삽입 빈도, 삽입 규칙 중에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삽입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상은 예이고, 다른 표현으로 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기지국(401)이, 유저(단말)에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변조 방식으로서, 동상 I-직교 Q 평면에 N(N은 2 이상의 정수로 한다)개의 신호점을 갖는 제 1 변조 방식과 제 2 변조 방식이 선택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변조 방식의 변조 다치수는 N, 제 2 변조 방식의 변조 다치수도 N이 되지만, 제 1 변조 방식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 있어서의 신호점 배치와 제 2 변조 방식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 있어서의 신호점 배치는 상이하다. 이때, 기지국(401)은, 예컨대, MCS에 포함되는 변조 방식의 정보에 의해,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프레임에 대한 삽입 빈도, 또는, 삽입 규칙을 결정하게 되지만, 기지국(401)이, 제 1 변조 방식을 선택했을 때의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프레임에 대한 삽입 빈도(삽입 규칙)와 제 2 변조 방식을 선택했을 때의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프레임에 대한 삽입 빈도(삽입 규칙)가 상이하더라도 좋다. 또, 삽입 빈도, 삽입 규칙 중에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삽입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예컨대, MCS의 인덱스가 큰 순으로 전송 속도가 빠른 경우, 각 MCS에서의 변조 다치수와 부호화율의 조합에 따라서는, 변조 다치수가 적은 MCS의 인덱스가, 변조 다치수가 많은 MCS의 인덱스보다 커지는 일도 있다. 따라서, 만일, MCS(인덱스)에 따라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배치의 유무가 판정되면, 변조 다치수가 많은 MCS에서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되고, 변조 다치수가 적은 MCS에서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되지 않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MCS에 따라 PT-RS 전송 영역의 배치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은, 위상 잡음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상황에 있어서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고, 단말의 수신 성능이 열화하여 버리는 경우도 생긴다.
이것에 대하여, 변형예 2에서는, 기지국(401)은, MCS에 포함되는 변조 다치수, 및/또는, 신호점 배치에 근거하여 PT-RS 전송 영역의 배치의 유무를 판정하거나, 또는, PT-RS 전송 영역의 삽입 빈도, 삽입 규칙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변조 다치수, 및/또는, 신호점 배치, 또는, 변조 방식에 의존할 가능성이 있는 위상 잡음의 영향을 고려하여, PT-RS 전송 영역의 필요 및 불필요, 삽입 빈도, 삽입 규칙을 적절히 판단할 수 있으므로, 단말에서의 수신 성능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3)
기지국(401)은, 단말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삽입의 유무, 삽입 빈도, 삽입 규칙을 전환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위상 잡음의 주된 요인이 될 수 있는 발진기는, 기지국과 비교하여, 단말 쪽이 저가이고 성능이 낮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상 잡음의 발생은, 기지국의 발진기보다 단말의 발진기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단말이 데이터의 복조 결과를 모니터하고, 단말로부터 기지국(401)에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의 배치가 필요한지 여부, 또는, 삽입 빈도, 삽입 규칙을 나타내는 정보를 피드백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기지국(401)은, 위상 잡음의 영향이 큰 단말에 대하여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배치하고, 위상 잡음의 영향이 작은 단말에 대하여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배치하지 않거나, 또는, 위상 잡음의 영향이 큰 단말에 대하여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조밀하게 삽입하고, 위상 잡음의 영향이 작은 단말에 대하여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성기게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위상 잡음의 영향이 큰 단말에서는,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하고, 위상 잡음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위상 잡음의 영향이 작은 단말에서는,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이 삽입되지 않거나, 또는, 삽입 빈도가 성긴 만큼, 데이터 전송 영역(데이터 심볼)이 증가하므로,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 4)
DM-RS, 데이터 및 PT-RS의 프리코딩은, 각 단말(수신 장치)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단말이, 다른 단말의 PT-RS를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할 때, 단말 사이의 프리코딩이 상이한 것이 문제가 된다. 다시 말해, 단말은, 다른 단말에 대한 프리코딩이 상이한 경우, 다른 단말의 PT-RS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변형예 4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단말에 대한 PT-RS 심볼을 주파수 영역에서 인접시킨다.
도 18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도 7의 변조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19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도 8의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8 및 도 19에 있어서, 도 7 및 도 8과 상이한 점은, 각 유저에 대한 PT-RS 전송 영역(503, 603)의 PT-RS 심볼이, 각 유저가 이용하는 전송 영역(리소스)의 가장 높은 주파수(캐리어) 및 가장 낮은 주파수(캐리어)에 배치되는 점이다. 다시 말해, 기지국(401)은, 단말에 할당되는 리소스의 가장 높은 주파수 및 가장 낮은 주파수에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 할당에 따라서는, PT-RS 전송 영역(503, 603)이 연속한 2 캐리어에 배치된다. 예컨대, 도 18 및 도 19에서는, (캐리어 12와 캐리어 13), (캐리어 24와 캐리어 25)에 있어서, 상이한 유저에 대한 PT-RS 심볼이 인접하는 주파수(캐리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속한 캐리어에 배치되는 PT-RS 전송 영역이 존재하면, 단말(수신 장치)은 캐리어간 간섭(ICI : Inter-Carrier Interference)의 추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단말이 연속한 캐리어에 배치된 PT-RS 전송 영역을 이용하여 ICI를 추정할 때, 유저#1용의 전송 영역에서 이용하는 프리코딩 행렬과, 유저#2의 전송 영역에서 이용하는 프리코딩 행렬과, 유저#3의 전송 영역에서 이용하는 프리코딩 행렬이 동일하더라도 좋고, 상이하더라도 좋다.
또한, 유저#1용의 전송 영역에서 이용하는 프리코딩 행렬과, 유저#2의 전송 영역에서 이용하는 프리코딩 행렬과, 유저#3의 전송 영역에서 이용하는 프리코딩 행렬이 상이한 경우에도, 각 단말은, 다른 유저의 DM-RS 전송 영역의 DM-RS 심볼을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8 및 도 19에 있어서, 유저#2의 단말(수신 장치)은, 유저#2의 전송 영역 내의 캐리어 13 및 캐리어 24의 DM-RS 전송 영역을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유저#2의 단말은, 위상 잡음을 추정하기 위해, 유저#1용의 전송 영역 내의 캐리어 12의 DM-RS 전송 영역, 및, 유저#3용의 전송 영역 내의 캐리어 25의 DM-RS 전송 영역을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2용의 전송 영역인 캐리어 13과 유저#1용의 전송 영역의 캐리어 12는 인접하고 있고, 캐리어 13 및 캐리어 12의 채널 변동은, 대략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2의 단말은, 유저#1용의 전송 영역 내의 캐리어 12의 DM-RS 전송 영역과, 유저#2용 전송 영역 내의 캐리어 13의 DM-RS 전송 영역을 이용하여, 유저#1용의 전송 영역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리코딩 행렬을 추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단말에 있어서 DM-RS 전송 영역을 이용하여 추정되는 수신 신호 레벨은, 그 DM-RS 전송 영역의 채널 특성과, 그 DM-RS 전송 영역에서 사용되는 프리코딩 행렬로부터 정해진다. 따라서, 유저#2의 단말은, 유저#2의 전송 영역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리코딩 행렬을 파악하고 있으므로, 유저#2의 전송 영역 내의 캐리어 13의 DM-RS 전송 영역에서 측정되는 수신 신호 레벨로부터, 캐리어 13의 채널 변동(채널 특성)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추정한 캐리어 13의 채널 특성과 캐리어 12의 채널 특성은 동등하다고 간주할 수 있으므로, 유저#2의 단말은, 캐리어 12의 DM-RS 전송 영역에서 측정되는 수신 신호 레벨로부터, 유저#1의 전송 영역에서 사용되는 프리코딩 행렬을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저#2의 단말은, 유저#1용의 전송 영역인 캐리어 12의 DM-RS 전송 영역을 이용하여, 유저#1의 전송 영역에서 사용되는 프리코딩 행렬을 추정함으로써, 유저#1의 전송 영역 내의 캐리어 12의 PT-RS 전송 영역을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2의 단말은, 유저#2와 유저#1의 사이에서 사용하는 프리코딩이 상이한 경우에도, 유저#2의 PT-RS에 더하여, 유저#1의 PT-RS를 사용하여 위상 추정을 행할 수 있고, 위상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인접하는 캐리어를 이용함으로써, 캐리어간 간섭을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저#2용의 전송 영역인 캐리어 24와 유저#3용의 전송 영역인 캐리어 25는 인접하고 있고, 캐리어 24 및 캐리어 25의 채널 변동은, 대략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2의 단말은, 유저#2용의 전송 영역 내의 캐리어 24의 DM-RS 전송 영역과, 유저#3용의 전송 영역 내의 캐리어 25의 DM-RS 전송 영역을 이용하여, 유저#3용의 전송 영역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리코딩 행렬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2의 단말은, 유저#2와 유저#3의 사이에서 사용하는 프리코딩이 상이한 경우에도, 유저#2의 PT-RS에 더하여, 유저#3의 PT-RS를 사용하여 위상 추정을 행할 수 있고, 위상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인접하는 캐리어를 이용함으로써, 캐리어간 간섭을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 도 7 및 도 8과 같이,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되는 캐리어는, 각 유저용에 대하여 2 캐리어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각 유저에 대하여 1 캐리어 이상에서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되면,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유저용에 대하여,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더라도 좋다.
(변형예 5)
변형예 5에서는, 기지국(401)(송신 장치)은, 유저 할당이 없는 리소스 영역(리소스 블록)에 PT-RS 전송 영역을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기지국(401)의 통신 상대인 각 단말(수신 장치)은, 유저 할당이 없는 영역 내에 존재하는 PT-RS 전송 영역을 위상 잡음 추정에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단말의 위상 잡음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변형예 5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로서, 제 1 예로부터 제 4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예>
도 20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도 7의 변조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21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도 8의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20 및 도 21에 있어서, 도 7 및 도 8과 상이한 점은, 유저용의 데이터 전송 영역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이 존재하고 있는 점, 및,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PT-RS 전송 영역(503, 603) 및 DM-RS 전송 영역(501, 601)이 배치되는 점이다.
예컨대, 유저#2의 단말(수신 장치)은, 유저#2 앞으로의 PT-RS 전송 영역, 다시 말해, 도 20, 도 21에 나타내는 캐리어 16 및 캐리어 21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을 위상 잡음 추정에 이용한다. 또한, 유저#2의 단말은, 자신 앞으로의 PT-RS 전송 영역에 더하여,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삽입되어 있는 적어도 PT-RS 전송 영역(DM-RS 전송 영역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도 20, 도 21에 나타내는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503, 603)(DM-RS 전송 영역(501, 601)을 이용하더라도 좋다))을 위상 잡음 추정에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유저#2의 단말은, 위상 잡음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저#1용의 전송 영역 및 유저#2의 전송 영역과 마찬가지로,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시각$1에, DM-RS 전송 영역(501, 601)이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저#2(또는 유저#1)의 단말은,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DM-RS 전송 영역(501, 601)을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2(또는 유저#1)의 단말은, 채널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되는 캐리어는, 도 20, 도 21과 같이 각 유저용에 대하여 2 캐리어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각 유저에 대하여 1 캐리어 이상에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되면,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유저용에 대하여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더라도 좋다.
또한, 유저 할당이 행하여지지 않은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배치되는 PT-RS 전송 영역은, 2 캐리어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1 캐리어 이상에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되면,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유저 할당이 행하여지지 않은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배치되는 DM-RS 전송 영역의 구성은, 도 20, 도 21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시간$1에 2개 이상 배치되더라도 좋다.
또, 도 20, 도 21에서는, PT-RS 전송 영역을 배치하고 있는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에 DM-RS 전송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단말에 있어서 PT-RS 전송 영역을 위상 잡음 추정에 이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유저#1용의 전송 영역에서 사용되는 프리코딩과, 유저#2용의 전송 영역에서 사용되는 프리코딩 행렬이 동일한 것으로 하고, 그 프리코딩 행렬을 Fc로 나타낸다.
이때, 도 20, 도 21의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및 DM-RS 전송 영역)에서는, 프리코딩 행렬 Fc가 이용되는 것이 하나의 적합한 방법이 된다. 예컨대, 유저#2의 단말은, 자신 앞으로 송신된 전송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리코딩 행렬과,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리코딩 행렬이 동일하기 때문에,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및, DM-RS 전송 영역)을, 위상 잡음의 추정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하나의 적합한 방법으로서, 도 20, 도 21의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및 DM-RS 전송 영역)에서는, 프리코딩을 행하지 않거나, 또는, 프리코딩 행렬 Fx를 다음 식 (30) 또는 (31)로 한다.
[수학식 30]
Figure pct00030
또는,
[수학식 31]
Figure pct00031
또, c는 0 이외의 실수로 한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유저#2의 단말은,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리코딩 행렬을 용이하게 알 수 있고,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및, DM-RS 전송 영역)을, 위상 잡음 추정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지국(401)(송신 장치)은,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에서는 프리코딩 행렬에 의한 복소수 연산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기 때문에,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단, 도 20, 도 21의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및 DM-RS 전송 영역)에 있어서의 프리코딩 방법(사용하는 프리코딩 행렬)은 상기 예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다음으로, 도 20, 도 21에 있어서, 프리코딩 행렬이 유저마다 설정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도 20, 도 21에 있어서, 유저 할당아 행하여지지 않은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PT-RS 전송 영역(및 DM-RS 전송 영역)의 적합한 프리코딩 행렬로서, 식 (30), 식 (31)을 들 수 있다. 단, PT-RS 전송 영역(및 DM-RS 전송 영역)에 있어서의 프리코딩 방법(사용하는 프리코딩 행렬)은 상기 예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유저#2의 단말은,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리코딩 행렬을 용이하게 알 수 있고,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및, DM-RS 전송 영역)을, 위상 잡음 추정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지국(401)은,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에서는 프리코딩 행렬에 의한 복소수 연산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기 때문에,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단, 유저 할당이 행하여지지 않은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예컨대,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및, DM-RS 전송 영역)에서 사용하는 프리코딩 행렬은 상기의 예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제 2 예>
도 22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도 7의 변조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23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도 8의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22 및 도 23에 있어서, 도 7 및 도 8과 상이한 점은, 제 1 예(도 20, 도 21)와 마찬가지로, 유저용의 데이터 전송 영역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이 존재하고 있는 점, 및,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PT-RS 전송 영역(503, 603) 및 DM-RS 전송 영역(501, 601)이 배치되는 점이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서는, 변형예 4(도 18, 도 19)와 마찬가지로, 각 유저용의 전송 영역 또는 미사용의 영역의 가장 낮은 주파수 및 가장 높은 주파수에 PT-RS 전송 영역(및 DM-RS 전송 영역)이 배치되고, PT-RS 심볼이 주파수 영역에서 인접한다.
이것에 의해, 변형예 4와 마찬가지로, 위상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캐리어간 간섭을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유저 할당이 행하여지지 않은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배치되는 PT-RS 전송 영역, DM-RS 전송 영역의 구성 방법, 각 전송 영역에서 사용되는 프리코딩 행렬의 구성 방법, 및, 그 이점에 대해서는, 제 1 예에서 설명한 대로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예>
도 24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도 7의 변조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25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도 8의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24 및 도 25에서는, 제 1 예(도 20, 도 21)와 마찬가지로, 유저용의 데이터 전송 영역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이 존재하고,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PT-RS 전송 영역(503, 603)이 배치된다. 도 24 및 도 25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유저#1용의 전송 영역 및 유저#2의 전송 영역에 있어서 DM-RS 전송 영역(501, 601)이 배치되어 있는 시각$1에 있어서, 유저 할당이 행하여지지 않은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예컨대, 유저#2의 단말은, 유저#2 앞으로의 PT-RS 전송 영역, 다시 말해, 도 24, 도 25에 나타내는 캐리어 16 및 캐리어 21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을 위상 잡음 추정에 이용한다. 또한, 유저#2의 단말은, 자신 앞으로의 PT-RS 전송 영역에 더하여,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삽입되어 있는 적어도 PT-RS 전송 영역, 다시 말해, 도 24, 도 25에 나타내는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503, 603)을 위상 잡음 추정에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유저#2의 단말은, 위상 잡음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4, 도 25에 나타내는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시각$1에, PT-RS 전송 영역(503, 603)이 배치됨으로써, 유저#2(및 유저#1)의 단말은,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을 이용하여, 채널 추정 및/또는 위상 잡음 추정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왜곡(예컨대, 채널 변동, 위상 잡음의 영향)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4, 도 25에 나타내는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시각$1에, DM-RS 전송 영역을 마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유저#2(및 유저#1)의 단말은, DM-RS 전송 영역용의 프리코딩 행렬을 의식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 유저#2(및 유저#1)의 단말은, PT-RS 전송 영역용의 프리코딩 행렬만을 고려하면 된다. 이 때문에, 왜곡(예컨대, 채널 변동, 위상 잡음의 영향)의 추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되는 캐리어는, 도 24, 도 25와 같이 각 유저용에 대하여 2 캐리어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각 유저에 대하여 1 캐리어 이상에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되면,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유저용에 대하여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더라도 좋다.
또한, 유저 할당이 행하여지지 않은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배치되는 PT-RS 전송 영역은, 2 캐리어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1 캐리어 이상에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되면,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예컨대, 유저#1용의 전송 영역에서 사용되는 프리코딩과, 유저#2용의 전송 영역에서 사용되는 프리코딩 행렬이 동일한 것으로 하고, 그 프리코딩 행렬을 Fc로 나타낸다.
이때, 도 24, 도 25의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에서는, 프리코딩 행렬로서 Fc가 이용되는 것이 하나의 적합한 방법이 된다. 예컨대, 유저#2의 단말은, 자기 앞으로 송신된 전송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리코딩 행렬과,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리코딩 행렬이 동일하기 때문에,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을, 위상 잡음의 추정(및, 채널 추정)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하나의 적합한 방법으로서, 도 24, 도 25의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에서는, 프리코딩을 행하지 않거나, 또는, 프리코딩 행렬 Fx를 식 (30) 또는 (31)로 한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유저#2의 단말은,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리코딩 행렬을 용이하게 알 수 있고,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을, 위상 잡음 추정(및, 채널 추정)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지국(401)은,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에서는 프리코딩 행렬에 의한 복소수 연산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기 때문에,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24, 도 25에 있어서, 프리코딩 행렬이 유저마다 설정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도 24, 도 25에 있어서, 유저 할당이 행하여지지 않은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PT-RS 전송 영역의 적합한 프리코딩 행렬로서, 식 (30), 식 (31)을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유저#2의 단말은,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리코딩 행렬을 용이하게 알 수 있고,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을, 위상 잡음 추정(및, 채널 추정)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지국(401)은,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에서는 프리코딩 행렬에 의한 복소수 연산을 행하지 않더라도 좋기 때문에,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단, 유저 할당이 행하여지지 않은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예컨대, 캐리어 28 및 캐리어 33의 PT-RS 전송 영역에서 사용하는 프리코딩 행렬은 상기의 예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제 4 예>
도 26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도 7의 변조 신호(108_A)의 프레임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27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도 8의 변조 신호(108_B)의 프레임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26 및 도 27에서는, 제 3 예(도 24, 도 25)와 마찬가지로, 유저용의 데이터 전송 영역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이 존재하고,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PT-RS 전송 영역(503, 603)이 배치된다. 도 26 및 도 27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제 3 예와 마찬가지로, 유저#1용의 전송 영역 및 유저#2의 전송 영역에 있어서 DM-RS 전송 영역(501, 601)이 배치되어 있는 시각$1에 있어서, 유저 할당이 행하여지지 않은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도 26 및 도 27에서는, 변형예 4(도 18, 도 19)와 마찬가지로, 각 유저용의 전송 영역 또는 미사용의 영역의 가장 낮은 주파수 및 가장 높은 주파수에 PT-RS 전송 영역(및 DM-RS 전송 영역)이 배치되고, PT-RS 심볼이 주파수 영역에서 인접한다.
이것에 의해, 변형예 4와 마찬가지로, 위상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캐리어간 간섭을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유저 할당이 행하여지지 않은 미사용의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배치되는 PT-RS 전송 영역, DM-RS 전송 영역의 구성 방법, 각 전송 영역에서 사용되는 프리코딩 행렬의 구성 방법, 및, 그 이점에 대해서는, 제 3 예에서 설명한 대로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6)
도 5(a)에 나타내는 PT-RS 심볼, 및, 도 5(b)에 나타내는 PT-RS 심볼의 어느 하나가 non-zero 파워의 심볼이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도 5(a)에 나타내는 PT-RS 심볼, 및, 도 5(b)에 나타내는 PT-RS 심볼의 어느 하나가 존재하지 않게(zero 파워) 된다. 또한, 도 5(a)에는, PT-RS 심볼이 존재하고, 도 5(b)에 PT-RS 심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5(a)에 나타내는 PT-RS 심볼이 배치된 시간ㆍ주파수 영역(다시 말해, non-zero 파워)과 동일한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도 5(b)에서는 zero 파워로 한다. 또는, 도 5(b)에 나타내는 PT-RS 심볼이 배치된 시간ㆍ주파수 영역(다시 말해, non-zero 파워)과 동일한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도 5(a)에서는 zero 파워로 한다.
또한, 도 5(a), 도 5(b)에, PT-RS 심볼과 zero 파워의 심볼이 존재하고 있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5(a)의 캐리어 k_4, 시각$2에 PT-RS 심볼이 존재하고, 캐리어 k_4, 시각$3에 zero 파워의 심볼이 존재하고, 캐리어 k_4, 시각$4에 PT-RS 심볼이 존재하고, 캐리어 k_4, 시각$5에 zero 파워의 심볼이 존재하고, …, 로 한다. 그리고, 도 5(a)의 캐리어 k_10, 시각$2에 PT-RS 심볼이 존재하고, 캐리어 k_10, 시각$3에 zero 파워의 심볼이 존재하고, 캐리어 k_10, 시각$4에 PT-RS 심볼이 존재하고, 캐리어 k_10, 시각$5에 zero 파워의 심볼이 존재하고, …, 로 한다.
또한, 도 5(b)의 캐리어 k_4, 시각$2에 zero 파워의 심볼이 존재하고, 캐리어 k_4, 시각$3에 PT-RS 심볼이 존재하고, 캐리어 k_4, 시각$4에 zero 파워의 심볼이 존재하고, 캐리어 k_4, 시각$5에 PT-RS 심볼이 존재하고, …, 로 한다. 그리고, 도 5(b)의 캐리어 k_10, 시각$2에 zero 파워의 심볼이 존재하고, 캐리어 k_10, 시각$3에 PT-RS 심볼이 존재하고, 캐리어 k_10, 시각$4에 zero 파워의 심볼이 존재하고, 캐리어 k_10, 시각$5에 PT-RS 심볼이 존재하고, …, 로 한다.
단, 상기 2개의 예는, 어디까지나 예이고, PT-RS 심볼과 zero 파워의 심볼의 배치는,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의 변형 방법으로서, 도 7에 나타내는 PT-RS 전송 영역, 및, 도 8에 나타내는 PT-RS 심볼의 어느 하나가 non-zero 파워이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도 7에 나타내는 PT-RS 전송 영역, 및, 도 8에 나타내는 PT-RS 전송 영역의 어느 하나가 존재하지 않게(zero 파워) 된다. 또한, 도 7에는, PT-RS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도 8에 PT-RS 전송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내는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된 시간ㆍ주파수 영역(다시 말해, non-zero 파워)과 동일한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도 8에서는 non-zero 파워로 한다. 또는, 도 8에 나타내는 PT-RS 전송 영역이 배치된 시간ㆍ주파수 영역(다시 말해, non-zero 파워)과 동일한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도 7에서는 non-zero 파워로 한다.
또한, 도 7, 도 8에, PT-RS 전송 영역과 zero 파워의 심볼이 존재하고 있더라도 좋다. 예컨대, 유저#1에 주목하여, 도 7의 캐리어 4, 시각$2에 PT-RS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캐리어 4, 시각$3에 zero 파워의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캐리어 4, 시각$4에 PT-RS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캐리어 4, 시각$5에 zero 파워의 전송 영역 심볼이 존재하고, …, 로 한다. 그리고, 도 7의 캐리어 10, 시각$2에 PT-RS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캐리어 10, 시각$3에 zero 파워의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캐리어 10, 시각$4에 PT-RS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캐리어 10, 시각$5에 zero 파워의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 로 한다.
또한, 도 8의 캐리어 4, 시각$2에 zero 파워의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캐리어 4, 시각$3에 PT-RS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캐리어 4, 시각$4에 zero 파워의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캐리어 4, 시각$5에 PT-RS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 로 한다. 그리고, 도 8의 캐리어 10, 시각$2에 zero 파워의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캐리어 10, 시각$3에 PT-RS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캐리어 10, 시각$4에 zero 파워의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캐리어 10, 시각$5에 PT-RS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 로 한다.
단, 상기 2개의 예는, 어디까지나 예이고, PT-RS 전송 영역과 zero 파워의 전송 영역의 배치는,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더라도, 단말은, 변조 신호에 있어서의 위상 잡음의 영향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명세서의 각 실시의 형태를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변형예 7)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MIMO 전송(복수 스트림을 예컨대 복수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한다)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전송 방식은 MIMO 전송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기지국(401)(도 3에 나타내는 송신 장치)은, 싱글 스트림의 송신 방식을 적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도 4에 나타내는 유저#k 변조 신호 생성부(104_k)에 있어서, 매핑부(205)의 출력인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1)(스트림#X1) 및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2)(스트림#X2)는, 동일한 스트림이다.
이 점에 대하여, 예를 설명한다.
예컨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1)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2)가 동일한 변조 신호이더라도 좋다.
또한, 다른 예로서, 기지국(401)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1)에 의해, 제 1 비트열을 전송하고 있는 경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2)에 있어서도 제 1 비트열을 전송한다.
다른 예로서,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1)에 있어서, 제 1 비트열을 전송하는 제 1 심볼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2)에, 제 1 비트열을 전송하는 심볼이 존재한다.
그리고, 동일 스트림인 베이스밴드 신호(206_1, 206_2)가 상이한 안테나부#A(111_A), 안테나부#B(111_B)로부터 송신되더라도 좋고, 베이스밴드 신호(206_1, 206_2)가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더라도 좋다.
또는, 예컨대, 도 4에 나타내는 유저#k 변조 신호 생성부(104_k)에 있어서, 매핑부(205)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206_1)(스트림#X1)만이 출력되고, 처리부(207)로부터 변조 신호(208_A)가 출력되고, 변조 신호(208_A)가 1개의 안테나부#A(111_A)로부터 송신되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매핑부(205) 및 처리부(207)는, 1개의 안테나 계통의 구성(예컨대, 다중부(107), 무선부(109), 안테나부(111))에 대응하는 변조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싱글 스트림의 싱글 안테나 송신이 실행된다. 또, 이때, 처리부(207)에서는 프리코딩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또는, 예컨대, 도 4에 나타내는 유저#k 변조 신호 생성부(104_k)에 있어서, 매핑부(205)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206_1)(스트림#X1)만이 출력되고, 처리부(207)에서 CDD(Cyclic Delay Diversity)(또는 CSD : Cyclic Shift Diversity)를 위한 신호 처리가 실시된 변조 신호(208_A, 208_B)가 출력되고, 변조 신호(208_A, 208_B)가 2개의 안테나부#A(111_A), 안테나부#B(111_B)로부터 각각 송신되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처리부(207)는, 매핑부(205)로부터 출력되는 1개의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2개의 안테나 계통의 구성(예컨대, 다중부(107), 무선부(109), 안테나부(111))에 각각 대응하는 변조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싱글 스트림의 멀티 안테나 송신이 실행된다.
상기와 같이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이 송신한 경우에 대해서도, 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도 5(a), 도 5(b)의 프레임 구성 중, 도 5(a)의 프레임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본 실시의 형태의 상술한 설명을 실시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 7의 프레임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이 송신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도 7, 도 8의 프레임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이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7의 프레임 구성, 도 8의 프레임 구성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도 7, 및/또는, 도 8을 이용하여, 상술한 실시예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 18의 프레임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이 송신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도 18, 도 19의 프레임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이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18의 프레임 구성, 도 19의 프레임 구성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도 18, 및/또는, 도 19를 이용하여, 상술한 실시예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도 20의 프레임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이 송신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도 20, 도 21의 프레임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이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20의 프레임 구성, 도 21의 프레임 구성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도 20, 및/또는, 도 21을 이용하여, 상술한 실시예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도 22의 프레임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이 송신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도 22, 도 23의 프레임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이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22의 프레임 구성, 도 23의 프레임 구성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도 22, 및/또는, 도 23을 이용하여, 상술한 실시예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도 24의 프레임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이 송신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도 24, 도 25의 프레임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이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24의 프레임 구성, 도 25의 프레임 구성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도 24, 및/또는, 도 25를 이용하여, 상술한 실시예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도 26의 프레임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이 송신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도 26, 도 27의 프레임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이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26의 프레임 구성, 도 27의 프레임 구성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도 26, 및/또는, 도 27을 이용하여, 상술한 실시예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변형예 8)
또한, 기지국(401)은, 심볼 번호 i에 있어서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1)(스트림#X1), 심볼 번호 i에 있어서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2)(스트림#X2)에 의해, 상이한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좋고,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기지국(401)은, 심볼 번호 i에 있어서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1)(스트림#X1)에 있어서, b0의 1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심볼 번호 i에 있어서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2)(스트림#X2)에 있어서, b0의 1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좋다.
또한, 기지국(401)은, 심볼 번호 i에 있어서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1)(스트림#X1)에 있어서, b0의 1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심볼 번호 i에 있어서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206_2)(스트림#X2)에 있어서, b0과 상이한 b1의 1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좋다.
따라서, 기지국(401)은, 유저마다, "복수 스트림의 복수의 변조 신호를 송신한다", 및,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송신한다"를 설정하더라도 좋다. 따라서, 프레임에서는, "복수 스트림의 복수의 변조 신호를 송신한다"와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송신한다"가 혼재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를 실현함에 있어서, 기지국(도 3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오류 정정 부호화부(203)를 1개 이상 구비하고, 매핑부(205)에 대해서도 1개 이상 구비하더라도 좋다.
(변형예 9)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MIMO 전송(복수 스트림을 예컨대 복수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한다)에 있어서의,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 DM-RS 전송 영역(DM-RS 심볼), 데이터 전송 영역(데이터 심볼), 2개의 변조 신호(2개의 스트림)를, 2개의 안테나로, 예컨대 기지국이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2개의 변조 신호를 1개의 안테나, 또는, 3개의 안테나로 송신하는 구성이더라도 좋고, 또한, 단말은, 1개의 안테나, 또는, 2개의 안테나, 또는, 3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본 실시의 형태를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MIMO 전송(복수 스트림을 예컨대 복수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한다)에 있어서의,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 DM-RS 전송 영역(DM-RS 심볼), 데이터 전송 영역(데이터 심볼), 2개의 변조 신호(2개의 스트림)를, 2개의 안테나로, 예컨대 기지국이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3개 이상의 변조 신호(3개 이상의 스트림)를, 복수 안테나로, 예컨대 기지국이 송신하는 경우이더라도, 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프레임 구성을 3개 이상 준비하고, 기지국은,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단말은, 1개의 안테나, 또는, 2개의 안테나, 또는, 3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변조 신호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2)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전송에 있어서의 PT-RS의 송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신 장치의 구성]
도 28은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송신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8에 나타내는 송신 장치는, 예컨대, 단말 등이다.
도 28에 있어서, 오류 정정 부호화부(B104)는, 데이터(B101) 및 제어 신호(B100)를 입력으로 한다. 오류 정정 부호화부(B104)는, 제어 신호(B100)에 포함되는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예컨대,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 오류 정정 부호의 블록 사이즈,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 등)의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B101)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실시하고,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B105)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변조 신호 생성부(B106)는,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B105) 및 제어 신호(B100)를 입력으로 한다. 변조 신호 생성부(B106)는, 제어 신호(B100)에 포함되는 변조 방식의 정보에 근거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B105)에 대하여 매핑(변조)을 행하고, 스트림#1의 베이스밴드 신호(B107_1), 및, 스트림#2의 베이스밴드 신호(B107_2)를 출력한다.
처리부(B108)는, 스트림#1의 베이스밴드 신호(B107_1), 스트림#2의 베이스밴드 신호(B107_2), DM-RS(B102), PT-RS(B103), 및, 제어 신호(B100)를 입력으로 한다. 처리부(B108)는, 제어 신호(B100)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 프리코딩에 관한 정보, 송신 파워의 정보, CDD(CSD)에 관한 정보 등에 근거하여, 소정의 처리(예컨대, 프리코딩, 송신 파워 변경, CDD(CSD) 등의 처리)를 행하고, 변조 신호 A(B109_A) 및 변조 신호 B(B109_B)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또, 처리부(B108)는, 프리코딩 처리 때, 프리코딩 처리에서 사용하는 프리코딩(행렬)을 복수 심볼 단위로 전환하더라도 좋고, 프리코딩 처리에서 사용하는 프리코딩(행렬)을 심볼 단위로 전환하는 프리코딩 사이클링의 처리를 행하더라도 좋다.
이산 푸리에 변환부(B110_A)는, 변조 신호 A(B109_A) 및 제어 신호(B100)를 입력으로 한다. 이산 푸리에 변환부(B110_A)는, 제어 신호(B100)에 근거하여, 변조 신호 A(B109_A)에 대하여 이산 푸리에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이산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군(B111_A)을 생성하고,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이산 푸리에 변환부(B110_B)는, 변조 신호 B(B109_B) 및 제어 신호(B100)를 입력으로 한다. 이산 푸리에 변환부(B110_B)는, 제어 신호(B100)에 근거하여, 변조 신호 B(B109_B)에 대하여, 이산 푸리에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이산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군(B111_B)을 생성하고, 출력한다.
서브캐리어 매핑부(B113_A)는, 이산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군(B111_A), 제로 신호군(B112_A), 및 제어 신호(B100)를 입력으로 한다. 서브캐리어 매핑부(B113_A)는, 제어 신호(B100)에 근거하여, 이산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군(B111_A), 및, 제로 신호군(B112_A)을 서브캐리어에 매핑하고, 서브캐리어 매핑 후의 신호군(B114_A)을 생성하고,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서브캐리어 매핑부(B113_B)는, 이산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군(B111_B), 제로 신호군(B112_B), 및 제어 신호(B100)를 입력으로 한다. 서브캐리어 매핑부(B113_B)는, 제어 신호(B100)에 근거하여, 이산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군(B111_B), 및, 제로 신호군(B112_B)을 서브캐리어에 매핑하고, 서브캐리어 매핑 후의 신호군(B114_B)을 생성하고, 출력한다.
역(고속) 푸리에 변환부(또는, 역 이산 푸리에 변환부)(B115_A)는, 서브캐리어 매핑 후의 신호군(B114_A) 및 제어 신호(B100)를 입력으로 한다. 역(고속) 푸리에 변환부(B115_A)는, 제어 신호(B100)에 근거하여, 서브캐리어 매핑 후의 신호군(B114_A)에 대하여 역(고속) 푸리에 변환(역 이산 푸리에 변환)을 실시하고, 역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B116_A)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역(고속) 푸리에 변환부(또는, 역 이산 푸리에 변환부)(B115_B)는, 서브캐리어 매핑 후의 신호군(B114_B) 및 제어 신호(B100)를 입력으로 한다. 역(고속) 푸리에 변환부(B115_B)는, 제어 신호(B100)에 근거하여, 서브캐리어 매핑 후의 신호군(B114_B)에 대하여 역(고속) 푸리에 변환(역 이산 푸리에 변환)을 실시하고, 역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B116_B)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A)는, 역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B116_A), 및 제어 신호(B100)를 입력으로 한다.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A)는, 제어 신호(B100)에 근거하여, 역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B116_A)에 대하여, 사이클릭 프리픽스(CP : Cyclic Prefix)를 부가하고,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B118_A)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B)는, 역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B116_B), 및 제어 신호(B100)를 입력으로 한다.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B)는, 제어 신호(B100)에 근거하여, 역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B116_B)에 대하여, 사이클릭 프리픽스(CP)를 부가하고,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B118_B)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무선부(B119_A)는,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B118_A), 및 제어 신호(B100)를 입력으로 한다. 무선부(B119_A)는, 제어 신호(B100)에 근거하여,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B118_A)에 대하여 무선 관련의 처리를 행하고, 송신 신호 A(B120_A)를 생성한다. 송신 신호 A(B120_A)는, 안테나부#A(B121_A)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무선부(B119_B)는,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B118_B), 및 제어 신호(B100)를 입력으로 한다. 무선부(B119_B)는, 제어 신호(B100)에 근거하여,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B118_B)에 대하여 무선 관련의 처리를 행하고, 송신 신호 B(B120_B)를 생성한다. 송신 신호 B(B120_B)는, 안테나부#B(B121_B)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안테나부#A(B121_A)는, 제어 신호(B100)를 입력으로 하고 있다. 안테나부#A(B121_A)는, 제어 신호(B100)에 따라 송신 지향성 제어를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안테나부#A(B121_A)의 입력으로서 제어 신호(B100)가 없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안테나부#B(B121_B)는, 제어 신호(B100)를 입력으로 하고 있다. 안테나부#B(B121_B)는, 제어 신호(B100)에 따라 송신 지향성 제어를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안테나부#B(B121_B)의 입력으로서 제어 신호(B100)가 없더라도 좋다.
[스트림의 프레임 구성]
도 29(a) 및 도 29(b)는 도 28의 스트림#1의 베이스밴드 신호(B107_1) 및 스트림#2의 베이스밴드 신호(B107_2)의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29(a), 도 29(b)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다.
또한, 도 29(a), 도 29(b)에 있어서, "DFT-s-OFDM 심볼"은, DFT(이산 푸리에 변환) spread OFDM 심볼을 나타낸다. DFT-s-OFDM 심볼은, 데이터 심볼, DM-RS 심볼 또는 PT-RS 심볼로 구성된다.
도 29(a)는 스트림#1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9(a)에 있어서, DFT-s-OFDM 심볼(B201_1_1)은, 도 28에 나타내는 송신 장치(단말)가 제 1 시간에 송신하는 스트림#1의 DFT-s-OFDM 심볼이다. DFT-s-OFDM 심볼(B201_1_2)은, 송신 장치가 제 2 시간에 송신하는 스트림#1의 DFT-s-OFDM 심볼이다. DFT-s-OFDM 심볼(B201_1_3)은, 송신 장치가 제 3 시간에 송신하는 스트림#1의 DFT-s-OFDM 심볼이다.
또, 여기서는, 1 슬롯에 대하여 생각한다. 따라서, DFT-s-OFDM 심볼(B201_1_k)은, 송신 장치가 1 슬롯 내의 제 k 시간에 송신하는 스트림#1의 DFT-s-OFDM 심볼이다. k는, 예컨대, 1 이상 7 이하의 정수로 한다.
DFT-s-OFDM 심볼(B201_1_1, B201_1_2, B201_1_3, …, B201_1_7)은, 스트림#1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1의 DM-RS 심볼, 또는, 스트림#2의 PT-RS 심볼로 구성된다. 이때, 스트림#1의 데이터 심볼은, 도 28의 스트림#1의 베이스밴드 신호(B107_1)에 상당한다. 또한, 스트림#1의 DM-RS 심볼 및 스트림#1의 PT-RS 심볼은, 도 28의 스트림#1의 베이스밴드 신호(B107_1)(데이터 심볼)에 부가되는 스트림#1의 DM-RS 심볼 및 스트림#1의 PT-RS 심볼에 상당한다.
도 29(b)는 스트림#2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9(b)에 있어서, DFT-s-OFDM 심볼(B201_2_1)은, 도 28에 나타내는 송신 장치가 제 1 시간에 송신하는 스트림#2의 DFT-s-OFDM 심볼이다. DFT-s-OFDM 심볼(B201_2_2)은, 송신 장치가 제 2 시간에 송신하는 스트림#2의 DFT-s-OFDM 심볼이다. DFT-s-OFDM 심볼(B201_2_3)은, 송신 장치가 제 3 시간에 송신하는 스트림#2의 DFT-s-OFDM 심볼이다.
또, 여기서는, 1 슬롯에 대하여 생각한다. 따라서, DFT-s-OFDM 심볼(B201_2_k)은, 송신 장치가 1 슬롯 내의 제 k 시간에 송신하는 스트림#2의 DFT-s-OFDM 심볼이다. k는, 예컨대, 1 이상 7 이하의 정수로 한다.
DFT-s-OFDM 심볼(B201_2_1, B201_2_2, B201_2_3, …, B201_2_7)은, 스트림#2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2의 DM-RS 심볼, 또는, 스트림#2의 PT-RS 심볼로 구성된다. 이때, 스트림#2의 데이터 심볼은, 도 28의 스트림#2의 베이스밴드 신호(B107_2)에 상당한다. 또한, 스트림#2의 DM-RS 심볼 및 스트림#2의 PT-RS 심볼은, 도 28의 스트림#2의 베이스밴드 신호(B107_2)(데이터 심볼)에 부가되는 스트림#2의 DM-RS 심볼 및 스트림#2의 PT-RS 심볼에 상당한다.
또, 도 28의 DM-RS(B102)는, 스트림#1의 DM-RS 심볼, 및, 스트림#2의 DM-RS 심볼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28의 PT-RS(B103)는, 스트림#1의 PT-RS 심볼, 및, 스트림#2의 PT-RS 심볼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29(a)의 DFT-s-OFDM 심볼(B201_1_1) 및 도 29(b)의 DFT-s-OFDM 심볼(B201_2_1)은, 제 1 시간(동일 시간)의 동일 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복수의 안테나(안테나부#A 및 안테나부#B)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도 29(a)의 DFT-s-OFDM 심볼(B201_1_2) 및 도 29(b)의 DFT-s-OFDM 심볼(B201_2_2)은, 제 2 시간(동일 시간)의 동일 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복수의 안테나(안테나부#A 및 안테나부#B)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또한, 도 29(a)의 DFT-s-OFDM 심볼(B201_1_3) 및 도 29(b)의 DFT-s-OFDM 심볼(B201_2_3)은, 제 3 시간(동일 시간)의 동일 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복수의 안테나(안테나부#A 및 안테나부#B)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고, DFT-s-OFDM 심볼(B201_1_7) 및 DFT-s-OFDM 심볼(B201_2_7)은, 제 7 시간(동일 시간)의 동일 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복수의 안테나(안테나부#A 및 안테나부#B)를 이용하여 송신된다(도시하지 않음).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
도 30(a) 및 도 30(b)는 변조 신호 A(B109_A) 및 변조 신호 B(B109_B)의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30(a), 도 30(b)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다.
도 30(a), 도 30(b)에 있어서, "DFT-s-OFDM 전송 영역"은, DFT spread OFDM의 전송 영역이다.
도 30(a)의 DFT-s-OFDM 전송 영역은, 도 28의 변조 신호 A(B109_A)를 나타내고, 도 30(b)의 DFT-s-OFDM 전송 영역은, 도 28의 변조 신호 B(B109_B)를 나타낸다.
도 30(a)의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1)은, 도 28의 처리부(B108)에 있어서, 도 29(a)의 DFT-s-OFDM 심볼(B201_1_1) 및 도 29(b)의 DFT-s-OFDM 심볼(B201_2_1)에 대하여 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어진 신호이다.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1)은, 도 28의 송신 장치(단말)로부터 제 1 시간에 송신된다.
도 30(a)의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2)은, 도 28의 처리부(B108)에 있어서, 도 29(a)의 DFT-s-OFDM 심볼(B201_1_2) 및 도 29(b)의 DFT-s-OFDM 심볼(B201_2_2)에 대하여 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어진 신호이다.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2)은, 송신 장치로부터 제 2 시간에 송신된다.
도 30(a)의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3)은, 도 28의 처리부(B108)에 있어서, 도 29(a)의 DFT-s-OFDM 심볼(B201_1_3) 및 도 29(b)의 DFT-s-OFDM 심볼(B201_2_3)에 대하여 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어진 신호이다.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3)은, 송신 장치로부터 제 3 시간에 송신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고, 도 30(a)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7)은, 도 28의 처리부(B108)에 있어서, DFT-s-OFDM 심볼(B201_1_7)(도 29(a)에서 도시하지 않음) 및 DFT-s-OFDM 심볼(B201_2_7)(도 29(b)에서 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어진 신호이다.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7)은, 송신 장치로부터 제 7 시간에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도 30(b)의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1)은, 도 28의 처리부(B108)에 있어서, 도 29(a)의 DFT-s-OFDM 심볼(B201_1_1) 및 도 29(b)의 DFT-s-OFDM 심볼(B201_2_1)에 대하여 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어진 신호이다.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1)은, 송신 장치로부터 제 1 시간에 송신된다.
도 30(b)의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2)은, 도 28의 처리부(B108)에 있어서, 도 29(a)의 DFT-s-OFDM 심볼(B201_1_2) 및 도 29(b)의 DFT-s-OFDM 심볼(B201_2_2)에 대하여 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어진 신호이다.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2)은, 송신 장치로부터 제 2 시간에 송신된다.
도 30(b)의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3)은, 도 28의 처리부(B108)에 있어서, 도 29(a)의 DFT-s-OFDM 심볼(B201_1_3) 및 도 29(b)의 DFT-s-OFDM 심볼(B201_2_3)에 대하여 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어진 신호이다.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3)은, 송신 장치로부터 제 3 시간에 송신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고, 도 30(b)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7)은, 도 28의 처리부(B108)에 있어서, DFT-s-OFDM 심볼(B201_1_7)(도 29(a)에서 도시하지 않음) 및 DFT-s-OFDM 심볼(B201_2_7)(도 29(b)에서 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어진 신호이다.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7)은, 송신 장치로부터 제 7 시간에 송신된다.
따라서, 도 30(a), 도 30(b)의 DFT-s-OFDM 전송 영역은, 데이터 전송 영역, DM-RS 전송 영역, 또는, PT-RS 전송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30(a)의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1) 및 도 30(b)의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1)은, 제 1 시간(동일 시간)의 동일 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복수의 안테나(안테나부#A 및 안테나부#B)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도 30(a)의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2) 및 도 30(b)의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2)은, 제 2 시간(동일 시간)의 동일 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복수의 안테나(안테나부#A 및 안테나부#B)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또한, 도 30(a)의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3) 및 도 30(b)의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3)은, 제 3 시간(동일 시간)의 동일 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복수의 안테나(안테나부#A 및 안테나부#B)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고, 도 30(a)의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7) 및 도 30(b)의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7)은, 제 7 시간(동일 시간)의 동일 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복수의 안테나(안테나부#A 및 안테나부#B)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또한, 도 30(a), 도 30(b)에서는 "CP"가 부가되어 있다. 도 28에 나타내는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A)는, 도 3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1)의 앞에 "CP"를 부가한다. 이후, 마찬가지로,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A)는,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2)의 앞에 "CP"를 부가하고,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3)의 앞에 "CP"를 부가하고, …,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7)의 앞에 "CP"를 부가한다.
마찬가지로, 도 28에 나타내는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B)는, 도 3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1)의 앞에 "CP"를 부가한다. 이후, 마찬가지로,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B)는,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2)의 앞에 "CP"를 부가하고,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3)의 앞에 "CP"를 부가하고, …,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7)의 앞에 "CP"를 부가한다.
또, 도 29(a), 도 29(b)의 DFT-s-OFDM 심볼 및 도 30(a), 도 30(b)의 DFT-s-OFDM 전송 영역에 있어서의 "심볼"과 "전송 영역"의 관계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한 "심볼"과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전송 영역"의 관계를 이용하여 설명한 대로이다. 즉, 도 29(a)의 제 k 시간의 DFT-s-OFDM 심볼(B201_1_k) 및 도 29(b)의 제 k 시간의 DFT-s-OFDM 심볼(B201_2_k)로부터, 도 30(a)의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k) 및 도 30(b)의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k)이 생성된다. 또,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식 (1)로부터 식 (21) 등이 일례이지만, α1, α2, β1, β2를 이용한 송신 레벨의 변경은 행하여지지 않더라도 좋다.
[DM-RS의 프레임 구성]
도 31(a) 및 도 31(b)는 DM-RS 심볼의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31(a), 도 31(b)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다.
예컨대, 도 28에 나타내는 송신 장치(단말)가 도 29(a)의 제 4 시간에 송신하는 DFT-s-OFDM 심볼(B201_1_4)에 있어서 DM-RS 심볼이 송신된다. 도 31(a)는 그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스트림#1의 DM-RS 심볼(B401_1)은, 송신 장치가 제 4 시간에 송신하는 DFT-s-OFDM 심볼(B201_1_4)이다.
마찬가지로, 송신 장치가 도 29(b)의 제 4 시간에 송신하는 DFT-s-OFDM 심볼(B201_2_4)에 있어서 DM-RS 심볼이 송신된다. 도 31(b)는 그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스트림#2의 DM-RS 심볼(B401_2)은, 제 4 시간에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DFT-s-OFDM 심볼(B201_2_4)이다.
도 32(a) 및 도 32(b)는 DM-RS 전송 영역의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32(a), 도 32(b)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다.
상술한 기재로부터, 송신 장치가 도 30(a)의 제 4 시간에 송신하는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4)은 DM-RS 전송 영역이 된다. 도 32(a)는 그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변조 신호 A의 DM-RS 전송 영역(B501_A)은, 제 4 시간에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4)이 된다.
마찬가지로, 송신 장치가 도 30(b)의 제 4 시간에 송신하는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4)은 DM-RS 전송 영역이 된다. 도 32(b)는 그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변조 신호 B의 DM-RS 전송 영역(B501_B)은, 제 4 시간에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4)이 된다.
또, 도 31(a), 도 31(b)의 스트림#1의 DM-RS 심볼 및 스트림#2의 DM-RS 심볼과, 도 32(a), 도 32(b)의 변조 신호 A의 DM-RS 전송 영역 및 변조 신호 B의 DM-RS 전송 영역에 있어서의 "심볼"과 "전송 영역"의 관계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한 "심볼"과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전송 영역"의 관계를 이용하여 설명한 대로이다. 즉, 도 31(a)의 스트림#1의 DM-RS 심볼 및 도 31(b)의 스트림#2의 DM-RS 심볼로부터, 도 32(a)의 변조 신호 A의 DM-RS 전송 영역 및 도 32(b)의 변조 신호 B의 DM-RS 전송 영역이 생성된다. 또,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식 (1)로부터 식 (21) 등이 일례이지만, α1, α2, β1, β2를 이용한 송신 레벨의 변경은 행하여지지 않더라도 좋다.
[DFT-s-OFDM 심볼 및 DFT-s-OFDM 전송 영역의 구성의 예]
도 33(a) 및 도 33(b)는 제 k 시간(단, k=1~3, 5~7)의 DFT-s-OFDM 심볼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33(a), 도 33(b)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다.
예컨대, 도 28에 나타내는 송신 장치(단말)가 도 29(a)의 제 1 시간, 제 2 시간, 제 3 시간, 제 5 시간, 제 6 시간, 제 7 시간(다시 말해, 제 4 시간을 제외한 시간)에 송신하는 DFT-s-OFDM 심볼(B201_1_1, B201_1_2, B201_1_3, B201_1_5, B201_1_6, B201_1_7)에서는, 적어도 데이터 심볼 및 PT-RS 심볼이 송신된다. 도 33(a)는 그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DFT-s-OFDM 심볼은, 적어도 스트림#1의 데이터 심볼(B601_1) 및 스트림#1의 PT-RS 심볼(B602_1)로 구성된다. 또, DFT-s-OFDM 심볼에, 스트림#1의 데이터 심볼(B601_1) 및 스트림#1의 PT-RS 심볼(B602_1) 이외의 심볼이 포함되더라도 좋다. 또한, 스트림#1의 데이터 심볼(B601_1)은 도 28의 스트림#1의 베이스밴드 신호(B107_1)에 상당하고, 스트림#1의 PT-RS 심볼(B602_1)은 도 28의 PT-RS(B103)에 포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송신 장치가 도 29(b)의 제 1 시간, 제 2 시간, 제 3 시간, 제 5 시간, 제 6 시간, 제 7 시간(다시 말해, 제 4 시간을 제외한 시간)에 송신하는 DFT-s-OFDM 심볼(B201_2_1, B201_2_2, B201_2_3, B201_2_5, B201_2_6, B201_2_7)에서는, 적어도 데이터 심볼 및 PT-RS 심볼이 송신된다. 도 33(b)는 그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DFT-s-OFDM 심볼은, 적어도 스트림#2의 데이터 심볼(B601_2) 및 스트림#2의 PT-RS 심볼(B602_2)로 구성된다. 또, DFT-s-OFDM 심볼에, 스트림#2의 데이터 심볼(B601_2) 및 스트림#2의 PT-RS 심볼(B602_2) 이외의 심볼이 포함되더라도 좋다. 또한, 스트림#2의 데이터 심볼(B601_2)은 도 28의 스트림#2의 베이스밴드 신호(B107_2)에 상당하고, 스트림#2의 PT-RS 심볼(B602_2)은 도 28의 PT-RS(B103)에 포함되어 있다.
도 34(a) 및 도 34(b)는 제 k 시간(단, k=1~3, 5~7)의 DFT-s-OFDM 전송 영역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34(a), 도 34(b)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다.
상술한 기재로부터, 송신 장치가 도 30의 제 1 시간, 제 2 시간, 제 3 시간, 제 5 시간, 제 6 시간, 제 7 시간(다시 말해, 제 4 시간을 제외한 시간)에 송신하는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1, B301_1_2, B301_1_3, B301_1_5, B301_1_6, B301_1_7)은, 적어도 변조 신호 A의 데이터 전송 영역 및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이 된다. 도 34(a)는 그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적어도 변조 신호 A의 데이터 전송 영역(B701_1) 및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B702_1)은, 제 k 시간(k=1, 2, 3, 5, 6, 7)에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DFT-s-OFDM 전송 영역(B301_1_k)에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송신 장치가 도 30(b)의 제 1 시간, 제 2 시간, 제 3 시간, 제 5 시간, 제 6 시간, 제 7 시간(다시 말해, 제 4 시간을 제외한 시간)에 송신하는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1, B301_2_2, B301_2_3, B301_2_5, B301_2_6, B301_2_7)은, 적어도 변조 신호 B의 데이터 전송 영역 및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이 된다. 도 34(b)는 그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적어도 변조 신호 B의 데이터 전송 영역(B701_2) 및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B702_2)은, 제 k 시간(k=1, 2, 3, 5, 6, 7)에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DFT-s-OFDM 전송 영역(B301_2_k)에 포함된다.
또, 도 33(a), 도 33(b)의 스트림#1의 데이터 심볼(B601_1) 및 스트림#2의 데이터 심볼(B601_2)과, 도 34(a), 도 34(b)의 변조 신호 A의 데이터 전송 영역(B701_1) 및 변조 신호 B의 데이터 전송 영역(B701_2)에 있어서의 "심볼"과 "전송 영역"의 관계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한 "심볼"과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전송 영역"의 관계를 이용하여 설명한 대로이다. 즉, 도 33(a)의 제 k 시간의 스트림#1의 데이터 심볼(B601_1)과 도 33(b)의 제 k 시간의 스트림#2의 데이터 심볼(B601_2)로부터, 도 34(a)의 변조 신호 A의 데이터 전송 영역(B701_1) 및 도 34(b)의 변조 신호 B의 데이터 전송 영역(B701_2)이 생성된다. 또,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식 (1)로부터 식 (21) 등이 일례이지만, α1, α2, β1, β2를 이용한 송신 레벨의 변경은 행하여지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도 33(a), 도 33(b)의 스트림#1의 PT-RS 심볼(B602_1) 및 스트림#2의 PT-RS 심볼(B602_2)과, 도 34(a), 도 34(b)의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B702_1) 및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B702_2)에 있어서의 "심볼"과 "전송 영역"의 관계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한 "심볼"과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전송 영역"의 관계를 이용하여 설명한 대로이다. 즉, 도 33(a)의 제 k 시간의 스트림#1의 PT-RS 심볼(B602_1)과 도 33(b)의 제 k 시간의 스트림#2의 PT-RS 심볼(B602_2)로부터, 도 34(a)의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B702_1) 및 도 34(b)의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B702_2)이 생성된다. 또,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식 (1)로부터 식 (21) 등이 일례이지만, α1, α2, β1, β2를 이용한 송신 레벨의 변경은 행하여지지 않더라도 좋다.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 구성의 예]
도 35(a) 및 도 35(b)는 도 28의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A, B117_B)의 출력인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B118_A, B118_A)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35(a), 도 35(b)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다.
또, 도 35(a) 및 도 35(b)에 있어서, 도 34(a) 및 도 34(b)와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도 34(a)는 도 28의 역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B116_A)에 상당하는 DFT-s-OFDM 전송 영역이고, 도 35(a)는 도 28의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A)의 출력인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B118_A)에 상당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도 35(a)에 나타내는 신호에서는, 도 34(a)에 나타내는 신호에 대하여, 선두에 사이클릭 프리픽스(다시 말해, 변조 신호 A의 CP(B801_1))가 부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34(b)는 도 28의 역 푸리에 변환 후의 신호(B116_B)에 상당하는 DFT-s-OFDM 전송 영역이고, 도 35(b)는 도 28의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B)의 출력인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B118_B)에 상당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도 35(b)에 나타내는 신호에서는, 도 34(b)에 나타내는 신호에 대하여, 선두에 사이클릭 프리픽스(다시 말해, 변조 신호 B의 CP(B801_2))가 부가되어 있다.
그런데, 도 28의 송신 장치(단말)에 있어서의 연산 규모의 삭감, 다시 말해, 회로 규모의 삭감이라고 하는 이점을 고려하면, 역(고속) 푸리에 변환부(역 이산 푸리에 변환부)(B115_A, B115_B)에서는, 역 이산 푸리에 변환이 아닌,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 :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의 연산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을 고려하면, 도 33(a)에 있어서, 스트림#1의 데이터 심볼의 심볼 수와 스트림#1의 PT-RS 심볼의 심볼 수의 합은, 4, 8, 16, 32, 64, 128, 256, 512, 1024, 2048, 4096, 8192, 16384, 32768, 65536과 같이 2n 심볼(n은 1 이상의 정수)이면 된다. 또, 여기서는, "심볼"로 기재하고 있지만 "칩", "샘플"이라고 하는 어구로 표현되더라도 좋다.
따라서, 도 33(a)에 있어서, 스트림#1의 데이터 심볼(데이터 칩)의 칩 수와 스트림#1의 PT-RS 심볼(PT-RS 칩)의 칩 수의 합은 4, 8, 16, 32, 64, 128, 256, 512, 1024, 2048, 4096, 8192, 16384, 32768, 65536과 같이 2n 칩(n은 1 이상의 정수)이면 된다.
다른 표현으로 하면, 도 33(a)에 있어서, 스트림#1의 데이터 심볼(데이터 샘플)의 샘플 수와 스트림#1의 PT-RS 심볼(PT-RS 샘플)의 샘플 수의 합은 4, 8, 16, 32, 64, 128, 256, 512, 1024, 2048, 4096, 8192, 16384, 32768, 65536과 같이 2n 샘플(n은 1 이상의 정수)이면 된다.
마찬가지로, 도 33(b)에 있어서, 스트림#2의 데이터 심볼의 심볼 수와 스트림#2의 PT-RS 심볼의 심볼 수의 합은 4, 8, 16, 32, 64, 128, 256, 512, 1024, 2048, 4096, 8192, 16384, 32768, 65536과 같이 2n 심볼(n은 1 이상의 정수)이면 된다.
따라서, 다른 표현으로 하면, 도 33(b)에 있어서, 스트림#2의 데이터 심볼(데이터 칩)의 수와 스트림#2의 PT-RS 심볼(PT-RS 칩)의 합은 4, 8, 16, 32, 64, 128, 256, 512, 1024, 2048, 4096, 8192, 16384, 32768, 65536과 같이 2n 칩(n은 1 이상의 정수)이면 된다.
또 다른 표현으로 하면, 도 33(b)에 있어서, 스트림#2의 데이터 심볼(데이터 샘플)의 수와 스트림#2의 PT-RS 심볼(PT-RS 샘플)의 합은 4, 8, 16, 32, 64, 128, 256, 512, 1024, 2048, 4096, 8192, 16384, 32768, 65536과 같이 2n 샘플(n은 1 이상의 정수)이면 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도 34(a)에 있어서, 변조 신호 A의 데이터 전송 영역의 칩 수와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의 칩 수의 합은 4, 8, 16, 32, 64, 128, 256, 512, 1024, 2048, 4096, 8192, 16384, 32768, 65536과 같이 2n 칩(n은 1 이상의 정수)이면 된다.
다른 표현으로 하면, 도 34(a)에 있어서, 변조 신호 A의 데이터 전송 영역의 샘플 수와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의 샘플 수의 합은 4, 8, 16, 32, 64, 128, 256, 512, 1024, 2048, 4096, 8192, 16384, 32768, 65536과 같이 2n 샘플(n은 1 이상의 정수)이면 된다.
마찬가지로, 도 34(b)에 있어서, 변조 신호 B의 데이터 전송 영역의 칩 수와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의 칩 수의 합은 4, 8, 16, 32, 64, 128, 256, 512, 1024, 2048, 4096, 8192, 16384, 32768, 65536과 같이 2n 칩(n은 1 이상의 정수)이면 된다.
다른 표현으로 하면, 도 34(b)에 있어서, 변조 신호 B의 데이터 전송 영역의 샘플 수와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의 샘플 수의 합은 4, 8, 16, 32, 64, 128, 256, 512, 1024, 2048, 4096, 8192, 16384, 32768, 65536과 같이 2n 샘플(n은 1 이상의 정수)이면 된다.
[DFT-s-OFDM 전송 영역에 있어서의 PT-RS 전송 영역의 배치 방법]
다음으로, 도 35(a) 및 도 35(b)를 이용하여, 도 34(a) 및 도 34(b)의 DFT-s-OFDM 전송 영역 내에 있어서의 PT-RS 전송 영역의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5(a)의 변조 신호 A의 CP(B801_1) 및 도 35(b)의 변조 신호 B의 CP(B801_2)의 시간 간격을 "Tz"로 나타낸다.
또한, 도 35(a), 도 3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B702_1) 및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B702_2)의 시간 간격을 "T1"로 나타낸다.
또한,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B702_1) 및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B702_2)의 시간적으로 최후의 타이밍(B850)으로부터, 타이밍(B852)까지의 시간 간격을 "T2"(B802)로 나타낸다. 여기서, T2<T1이 성립한다.
또한,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B702_1) 및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B702_2)의 시간적으로 최후의 타이밍(B850)으로부터, 타이밍(B853)까지의 시간 간격을 "T3"(B803)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T3=T1이 성립한다.
또한,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B702_1) 및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B702_2)의 시간적으로 최후의 타이밍(B850)으로부터, 타이밍(B854)까지의 시간 간격을 "T4"(B804)로 나타낸다. 여기서, T4>T1이 성립한다.
다시 말해, 시간 간격 T2는 PT-RS 전송 영역의 시간 간격 T1보다 짧고, 시간 간격 T3은 PT-RS 전송 영역의 시간 간격 T1과 동일하고, 시간 간격 T4는, PT-RS 전송 영역의 시간 간격 T1보다 길다.
이하, 변조 신호 A의 CP(B801_1) 및 변조 신호 B의 CP(B801_1)의 시간 간격 Tz가 시간 간격 T2, T3, T4인 경우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다.
<Tz=T2의 경우>
변조 신호 A의 CP(B801_1)의 시간 간격 Tz=T2의 경우,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A)는, 도 35(a)의 시간 간격 T2의 시간 파형을 카피하고, 변조 신호 A의 CP(B801_1)의 시간 파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변조 신호 B의 CP(B801_2)의 시간 간격 Tz도 T2가 되므로,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B)는, 도 35(b)의 시간 간격 T2의 시간 파형을 카피하고, 변조 신호 B의 CP(B801_2)의 시간 파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변조 신호 A의 CP(B801_1)는,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B702_1)의 일부로 구성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변조 신호 B의 CP(B801_2)는,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B702_2)의 일부로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도 28의 송신 장치(단말)의 통신 상대인 수신 장치(기지국)(도시하지 않음)는, 변조 신호 A의 CP(B801_1) 및 변조 신호 B의 CP(B801_2)의 양쪽을, PT-RS 전송 영역과 마찬가지로 다룰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신 장치(기지국)는, 위상 잡음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는, 변조 신호 A의 CP(B801_1) 및 변조 신호 B의 CP(B801_2)의 양쪽을, 시간 동기, 주파수 동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 검출 등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특히, PT-RS 심볼이,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있어서 알려져 있는 신호인 경우에, 그 효과는 크다.
<Tz=T3의 경우>
변조 신호 A의 CP(B801_1)의 시간 간격 Tz=T3의 경우,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A)는, 도 35(a)의 시간 간격 T3의 시간 파형을 카피하고, 변조 신호 A의 CP(B801_1)의 시간 파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변조 신호 B의 CP(B801_2)의 시간 간격 Tz도 T3이 되므로,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B)는, 도 35(b)의 시간 간격 T3의 시간 파형을 카피하고, 변조 신호 B의 CP(B801_2)의 시간 파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변조 신호 A의 CP(B801_1)는,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B702_1)과 동일한 시간 파형으로 구성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변조 신호 B의 CP(B801_2)는,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B702_2)과 동일한 시간 파형으로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도 28의 송신 장치(단말)의 통신 상대인 수신 장치(기지국)(도시하지 않음)는, 변조 신호 A의 CP(B801_1) 및 변조 신호 B의 CP(B801_2)의 양쪽을, PT-RS 전송 영역과 마찬가지로 다룰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신 장치(기지국)는, 위상 잡음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는, 변조 신호 A의 CP(B801_1) 및 변조 신호 B의 CP(B801_2)의 양쪽을, 시간 동기, 주파수 동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 검출 등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특히, PT-RS 심볼이,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있어서 알려져 있는 신호인 경우에, 그 효과는 크다.
<Tz=T4의 경우>
변조 신호 A의 CP(B801_1)의 시간 간격 Tz=T4의 경우,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A)는, 도 35(a)의 시간 간격 T4의 시간 파형을 카피하고, 변조 신호 A의 CP(B801_1)의 시간 파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변조 신호 B의 CP(B801_2)의 시간 간격 Tz도 T3이 되므로,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B117_B)는, 도 35(b)의 시간 간격 T4의 시간 파형을 카피하고, 변조 신호 B의 CP(B801_2)의 시간 파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변조 신호 A의 CP(B801_1)는,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과 변조 신호 A의 데이터 전송 영역(B701_1)의 일부로 구성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변조 신호 B의 CP(B801_2)는,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B702_2)과 변조 신호 B의 데이터 전송 영역(B701_2)의 일부로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도 28의 송신 장치(단말)의 통신 상대인 수신 장치(기지국)(도시하지 않음)는, 변조 신호 A의 CP(B801_1) 및 변조 신호 B의 CP(B801_2)의 일부를 PT-RS 전송 영역과 마찬가지로 다룰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신 장치(기지국)는, 위상 잡음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는, 변조 신호 A의 CP(B801_1)의 일부, 및, 변조 신호 B의 CP(B801_2)의 일부를, 시간 동기, 주파수 동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 검출 등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특히, PT-RS 심볼이,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있어서 알려져 있는 신호인 경우, 그 효과는 크다.
이와 같이, 송신 장치는, 변조 신호의 DFT-s-OFDM 전송 영역(DFT-s-OFDM 심볼)의 최후부에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에 의해 CP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신 장치에서는, DFT-s-OFDM 전송 영역(DFT-s-OFDM 심볼)에 포함되는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에 더하여, CP를 위상 잡음의 추정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위상 잡음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의 프레임 구성]
도 36(a) 및 도 36(b)는 도 35(a) 및 도 35(b)에서 설명한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6(a), 도 36(b)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다.
즉, 도 36(a)는 도 28의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B118_A)의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도 36(b)는 도 28의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 후의 신호(B118_B)의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CP(B901_A, B901_B), DFT-s-OFDM 전송 영역(B902_A, B902_B)은, 제 1 시간에, 도 28의 송신 장치(단말)가 송신하는 신호이다. CP(B903_A, B903_B), DFT-s-OFDM 전송 영역(B904_A, B904_B)은, 제 2 시간에,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신호이다. CP(B905_A, B905_B), DFT-s-OFDM 전송 영역(B906_A, B906_B)은, 제 3 시간에,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신호이다.
DFT-s-OFDM 전송 영역(B902_A, B904_A, B906_A)은, 예컨대, 도 35(a)의 변조 신호 A의 데이터 전송 영역(B701_1)과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B702_1)으로 구성된다. CP(B901_A, B903_A, B905_A)는, 도 35(a)의 변조 신호 A의 CP(B801_1)와 같이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DFT-s-OFDM 전송 영역(B902_B, B904_B, B906_B)은, 예컨대, 도 35(b)의 변조 신호 B의 데이터 전송 영역(B701_2)과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B702_2)으로 구성된다. CP(B901_B, B903_B, B905_B)는, 도 35(b)의 변조 신호 B의 CP(B801_2)와 같이 구성된다.
이하, 도 36(a), 도 36(b)의 CP(B901_A, B901_B, B903_A, B903_B, B905_A, B905_B)의 시간 간격을 "Tz0"으로 나타낸다.
이때, 도 35(a), 도 3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P(B901_A, B901_B, B903_A, B903_B, B905_A, B905_B)의 시간 간격 Tz0이 시간 간격 T2, T3, T4인 경우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다.
<Tz0=T2의 경우>
이 경우, 도 35(a), 도 3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P(B901_A, B901_B, B903_A, B903_B, B905_A, B905_B)는, 변조 신호의 PT-RS 전송 영역의 일부로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도 36(a)에 있어서, 예컨대, DFT-s-OFDM 전송 영역(B902_A)과 CP(B903_A)에 주목하면, "DFT-s-OFDM 전송 영역(B902_A)(최후부)에 포함되는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예컨대, 도 35(a)를 참조)"과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CP(B903_A)"가 연속한다. 이 때문에,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PT-RS 전송 영역이 확대되게 된다. 또, 이 점에 대해서는, DFT-s-OFDM 전송 영역(B904_A)과 CP(B905_A)로 구성하는 연속 영역 등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마찬가지로, 도 36(b)에 있어서, 예컨대, DFT-s-OFDM 전송 영역(B902_B)과 CP(B903_B)에 주목하면, "DFT-s-OFDM 전송 영역(B902_B)(최후부)에 포함되는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예컨대, 도 35(b)를 참조)"과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CP(B903_B)"가 연속한다. 이 때문에,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PT-RS 전송 영역이 확대되게 된다. 또, 이 점에 대해서는, DFT-s-OFDM 전송 영역(B904_B)과 CP(B905_B)로 구성하는 연속 영역 등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으로부터, 도 28의 송신 장치(단말)의 통신 상대인 수신 장치(기지국)는,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PT-RS 전송 영역과 CP(PT-RS 전송 영역으로 구성)를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높은 정밀도로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높은 정밀도의 채널 추정, 시간 동기, 주파수 동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z0=T3의 경우>
이 경우, 도 35(a), 도 3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P(B901_A, B901_B, B903_A, B903_B, B905_A, B905_B)는, 변조 신호의 PT-RS 전송 영역과 동일한 시간 파형으로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도 36(a)에 있어서, 예컨대, DFT-s-OFDM 전송 영역(B902_A)과 CP(B903_A)에 주목하면, "DFT-s-OFDM 전송 영역(B902_A)(최후부)에 포함되는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예컨대, 도 35(a)를 참조)"과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CP(B903_A)"가 연속한다. 이 때문에,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PT-RS 전송 영역이 확대되게 된다. 또, 이 점에 대해서는, DFT-s-OFDM 전송 영역(B904_A)과 CP(B905_A)로 구성하는 연속 영역 등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마찬가지로, 도 36(b)에 있어서, 예컨대, DFT-s-OFDM 전송 영역(B902_B)과 CP(B903_B)에 주목하면, "DFT-s-OFDM 전송 영역(B902_B)(최후부)에 포함되는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예컨대, 도 35(b))"과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CP(B903_B)"가 연속한다. 이 때문에,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PT-RS 전송 영역이 확대되게 된다. 또, 이 점에 대해서는, DFT-s-OFDM 전송 영역(B904_B)과 CP(B905_B)로 구성하는 연속 영역 등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으로부터, 수신 장치(기지국)는,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PT-RS 전송 영역과 CP(PT-RS 전송 영역으로 구성)를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높은 정밀도로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높은 정밀도의 채널 추정, 시간 동기, 주파수 동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z0=T4의 경우>
이 경우, 도 35(a), 도 3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P(B901_A, B901_B, B903_A, B903_B, B905_A, B905_B)는, 변조 신호의 PT-RS 전송 영역과 변조 신호의 데이터 전송 영역의 일부로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도 36(a)에 있어서, 예컨대, DFT-s-OFDM 전송 영역(B902_A)과 CP(B903_A)에 주목하면, "DFT-s-OFDM 전송 영역(B902_A)에 포함되는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과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과 데이터 전송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CP(B903_A)"가 연속한다. 이때, 이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영역에서는, "PT-RS 전송 영역", "데이터 전송 영역", "PT-RS 전송 영역"의 순으로 늘어서게 된다. 따라서, "PT-RS 전송 영역"은 불연속이 된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도 36(b)에 있어서, 예컨대, DFT-s-OFDM 전송 영역(B902_B)과 CP(B903_B)에 주목하면, "DFT-s-OFDM 전송 영역(B902_B)에 포함되는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과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과 데이터 전송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CP(B903_B)"가 연속한다. 이때, 이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영역에서는, "PT-RS 전송 영역", "데이터 전송 영역", "PT-RS 전송 영역"의 순으로 늘어서게 된다. 따라서, "PT-RS 전송 영역"은 불연속이 된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단, Tz0=T4의 경우에는, 도 35(a) 및 도 35(b)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기지국)는,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에 더하여, CP를 위상 잡음의 추정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위상 잡음을 높은 정밀도로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높은 정밀도의 채널 추정, 시간 동기, 주파수 동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CP(B901_A, B901_B, B903_A, B903_B, B905_A, B905_B)의 시간 간격 Tz0이 시간 간격 T2, T3, T4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예컨대, 도 28의 송신 장치(단말)는, 도 36(a) 및 도 36(b)의 송신, 또는, 도 37(a) 및 도 37(b)의 송신의 선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또, 도 37(a), 도 37(b)에 있어서, 도 36(a), 도 36(b)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7(a)가 도 36(a)와 상이한 점은, 도 36(a)에 있어서의 CP(B901_A, B903_A, B905_A) 대신에 확장 CP(B1001_A, B1003_A, B1005_A)를 부가하고 있는 점이다. 마찬가지로, 도 37(b)가 도 36(b)와 상이한 점은, 도 36(b)에 있어서의 CP(B901_B, B903_B, B905_B) 대신에 확장 CP(B1001_B, B1003_B, B1005_B)를 부가하고 있는 점이다.
또, 확장 CP의 부가의 방법은, 도 35(a), 도 35(b)를 이용하여 설명한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도 37(a), 도 37(b)에 있어서, CP(B1001_A, B1001_B, B1003_A, B1003_B, B1005_A, B1005_B)의 시간 간격을 "Tz1"로 한다. 또한, Tz1>Tz0이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36(a), 도 36(b)에 있어서의 CP의 시간 간격 Tz0을, T2(도 35를 참조)로 설정한 경우 및 T3(도 35를 참조)으로 설정한 경우의 이점, 효과는 상술한 대로이다. 마찬가지로, 도 37(a), 도 37(b)에 있어서의 확장 CP의 시간 간격 Tz1을, T2로 설정한 경우도, Tz0=T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PT-RS 전송 영역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이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7(a), 도 37(b)에 있어서의 확장 CP의 시간 간격 Tz1을, T3으로 설정한 경우도, Tz0=T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PT-RS 전송 영역이 확대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이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도 28에 나타내는 송신 장치(단말)가, 도 36(a) 및 도 36(b)의 송신, 및, 도 37(a) 및 도 37(b)의 송신의 선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Tz1>Tz0이므로, Tz1=T2 또는 Tz1=T3의 어느 하나를 만족시킴으로써, 송신 장치는, 도 37(a) 및 도 37(b)의 송신, 또는, 도 36(a) 및 도 36(b)의 송신의 어느 하나를 행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이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 대하여 검토한다.
CP의 시간 폭(시간 간격)이 제 1 시간 폭을 갖는 방법으로부터 CP의 시간 폭이 제 n 시간 폭을 갖는 방법의 n가지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송신 장치가 선택하고, 변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 n은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한, 제 k 시간 폭을 "Tzk"로 나타낸다. 또, k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이다. 또한, 모든 k 중에서, Tzk의 최대치를 "Tzmax"로 나타낸다.
이때, Tzmax=T2 또는 Tzmax=T3의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경우, 송신 장치가 제 1 시간 폭을 갖는 방법으로부터 제 n 시간 폭을 갖는 방법의 어느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더라도,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PT-RS 전송 영역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이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8의 송신 장치(단말)가, 도 38(a), 도 38(b)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8(a), 도 38(b)에 있어서, 도 36(a), 도 36(b)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8(a)가 도 36(a)와 상이한 점은, 도 36(a)에 있어서의 CP(B901_A, B903_A, B905_A) 대신에 제 1 CP(B1101_A), 제 2 CP(B1103_A, B1105_A)를 부가하고 있는 점이다. 마찬가지로, 도 38(b)가 도 36(b)와 상이한 점은, 도 36(b)에 있어서의 CP(B901_B, B903_B, B905_B) 대신에 제 1 CP(B1101_B), 제 2 CP(B1103_B, B1105_B)를 부가하고 있는 점이다.
또, 제 1 CP, 제 2 CP의 부가의 방법은, 도 35(a), 도 35(b)를 이용하여 설명한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38(a), 도 38(b)의 제 1 CP(B1101_A, B1101_B)의 시간 간격을 "Ty1"로 나타내고, 제 2 CP(B1103_A, B1105_A, B1103_B, B1105_B)의 시간 간격을 "Ty2"로 나타낸다. 또한, Ty1>Ty2가 성립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38(a), 도 38(b)의 제 1 CP의 시간 간격 Ty1=T2 또는 Ty1=T3으로 설정하면, Ty1>Ty2의 관계가 있으므로, "DFT-s-OFDM 전송 영역"과 "CP(제 1 CP, 제 2 CP)"의 어느 경계에 있어서도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PT-RS 전송 영역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이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 1 CP(B1101_A)의 시간적으로 앞에는, DFT-s-OFDM 전송 영역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이 DFT-s-OFDM 전송 영역은, DM-RS 전송 영역, 또는, 데이터 전송 영역과 PT-RS 전송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이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8(a), 도 38(b)에 있어서의 제 2 CP의 시간 간격 Ty2=T2 또는 Ty2=T3으로 설정하면, "DFT-s-OFDM 전송 영역"과 "제 2 CP"의 어느 경계에 있어서도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PT-RS 전송 영역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이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 대하여 검토한다.
어느 시간 기간에, CP의 시간 폭이 제 1 시간 폭을 갖는 방법으로부터 CP의 시간 폭이 제 n 시간 폭을 갖는 방법의 n가지의 방법의 CP를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또, n은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한, 제 k 시간 폭을 "Tyk"로 나타낸다. 또, k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이다. 또한, 모든 k 중에서, Tyk의 최대치를 "Tymax"로 나타낸다.
이때, Tymax=T2 또는 Tymax=T3의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경우, 제 1 시간 폭을 갖는 CP로부터 제 n 시간 폭을 갖는 CP의 어느 하나의 CP에 있어서도,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PT-RS 전송 영역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이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신 장치(단말)는, 각 송신 시간(제 k 시간)에 송신되는 DFT-s-OFDM 전송 영역의 최후미에 PT-RS 전송 영역을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송신 장치는, 각 송신 시간에 있어서 PT-RS 전송 영역의 시간 파형을 카피하여, CP를 부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장치(예컨대, 기지국)는, 각 송신 시간(심볼)에 있어서, DFT-s-OFDM 전송 영역에 포함되는 PT-RS 전송 영역에 더하여, CP를 위상 잡음의 추정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위상 잡음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는, DFT-s-OFDM 전송 영역이 배치되는 프레임에 있어서, DFT-s-OFDM 전송 영역에 포함되는 PT-RS 전송 영역과 후속하는 CP에 의해, PT-RS 전송 영역을 시간 영역에서 확대할 수 있으므로, 위상 잡음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수신 장치는, 위상 잡음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 1)
또,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도 29(a)의 "DFT-s-OFDM 심볼"의 구성의 예로서, 도 33(a)에 나타내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DFT-s-OFDM 심볼"의 구성은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DFT-s-OFDM 심볼"에는, 도 33(a)에서 나타낸 "스트림#1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1의 PT-RS 심볼" 이외의 심볼이 포함되더라도 좋다. 단, "스트림#1의 PT-RS 심볼"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DFT-s-OFDM 심볼"의 최후부에 배치되면 된다. 또, "스트림#1의 PT-RS 심볼"의 적합한 구성 방법ㆍ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에 대해서는 상술한 대로이다.
마찬가지로, 도 29(b)의 "DFT-s-OFDM 심볼"의 구성의 예로서, 도 33(b)에 나타내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DFT-s-OFDM 심볼"의 구성은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DFT-s-OFDM 심볼"에는, 도 33(b)에서 나타낸 "스트림#2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2의 PT-RS 심볼" 이외의 심볼이 포함되더라도 좋다. 단, "스트림#2의 PT-RS 심볼"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DFT-s-OFDM 심볼"의 최후부에 배치되면 된다. 또, "스트림#2의 PT-RS 심볼"의 적합한 구성 방법ㆍ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에 대해서는, 상술한 대로이다.
예컨대, 도 3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FT-s-OFDM 심볼"에 있어서, 스트림#1의 PT-RS 심볼(B1202_1)이, 시간적으로, 스트림#1의 데이터 심볼(B1201_1, B1203_1)의 앞에 배치되더라도 좋다. 또, 도 3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FT-s-OFDM 심볼의 최후부에는, 도 33(a)와 마찬가지로, 스트림#1의 PT-RS 심볼(B602_1)이 배치되면 된다. 또, 최후부의 "스트림#1의 PT-RS 심볼"의 적합한 구성 방법ㆍ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에 대해서는 상술한 대로이다.
마찬가지로, 도 3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FT-s-OFDM 심볼"에 있어서, 스트림#2의 PT-RS 심볼(B1202_2)이, 시간적으로, 스트림#2의 데이터 심볼(B1201_2, B1203_2)의 앞에 배치되더라도 좋다. 또, 도 3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FT-s-OFDM 심볼의 최후부에는, 도 33(b)와 마찬가지로, 스트림#1의 PT-RS 심볼(B602_2)이 배치되면 된다. 또, 최후부의 "스트림#2의 PT-RS 심볼"의 적합한 구성 방법ㆍ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에 대해서는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도 33(a), 도 33(b)의 설명을 고려하면, 도 29(a), 도 29(b)의 DFT-s-OFDM 심볼(B201_1_1, B201_2_1, B201_1_3)(B201_2_1, B201_2_2, B201_2_3)의 심볼 수는, 4, 8, 16, 32, 64, 128, 256, 512, 1024, 2048, 4096, 8192, 16384, 32768, 65536과 같이 2n 심볼(n은 1 이상의 정수)이면 된다. 또, 여기서는, "심볼"로 기재하고 있지만, "칩", "샘플"이라고 하는 어구로 표현되더라도 좋다.
따라서, 도 33(a), 도 33(b)의 설명을 고려하면, 도 29(a), 도 29(b)의 DFT-s-OFDM 심볼(B201_1_1, B201_1_2, B201_1_3)(B201_2_1, B201_2_2, B201_2_3)의 심볼 수(칩 수)는, 4, 8, 16, 32, 64, 128, 256, 512, 1024, 2048, 4096, 8192, 16384, 32768, 65536과 같이 2n 칩(n은 1 이상의 정수)이면 된다.
다른 표현으로 하면, 도 33(a), 도 33(b)의 설명을 고려하면, 도 29(a), 도 29(b)의 DFT-s-OFDM 심볼(B201_1_1, B201_1_2, B201_1_3)(B201_2_1, B201_2_2, B201_2_3)의 심볼 수(샘플 수)는, 4, 8, 16, 32, 64, 128, 256, 512, 1024, 2048, 4096, 8192, 16384, 32768, 65536과 같이 2n 샘플(n은 1 이상의 정수)이면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도 30(a)의 "DFT-s-OFDM 전송 영역"의 구성의 예로서, 도 34(a)에 나타내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DFT-s-OFDM 전송 영역"의 구성은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DFT-s-OFDM 전송 영역"에는, 도 34(a)에서 나타낸 "변조 신호 A의 데이터 전송 영역",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 이외의 전송 영역이 포함되더라도 좋다. 단,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DFT-s-OFDM 전송 영역"의 최후부에 배치되면 된다. 또,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의 적합한 구성 방법ㆍ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에 대해서는, 상술한 대로이다.
마찬가지로, 도 30(b)의 "DFT-s-OFDM 전송 영역"의 구성의 예로서, 도 34(b)에 나타내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DFT-s-OFDM 전송 영역"의 구성은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DFT-s-OFDM 전송 영역"에는, 도 34(b)에서 나타낸 "변조 신호 B의 데이터 전송 영역",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 이외의 전송 영역이 포함되더라도 좋다. 단,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DFT-s-OFDM 전송 영역"의 최후부에 배치되면 된다. 또,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의 적합한 구성 방법ㆍ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에 대해서는, 상술한 대로이다.
예컨대, 도 4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FT-s-OFDM 전송 영역"에 있어서,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B1302_1)이, 시간적으로, 변조 신호 A의 데이터 전송 영역(B1301_1, B1303_1)의 앞에 배치되더라도 좋다. 또, 도 4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FT-s-OFDM 전송 영역의 최후부에는, 도 34(a)와 마찬가지로,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B702_1)이 배치되면 된다. 또, 최후부의 "변조 신호 A의 PT-RS 전송 영역"의 적합한 구성 방법ㆍ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에 대해서는 상술한 대로이다.
마찬가지로, 도 4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FT-s-OFDM 전송 영역"에 있어서,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B1302_2)이, 시간적으로, 변조 신호 B의 데이터 전송 영역(B1301_2, B1303_2)의 앞에 배치되더라도 좋다. 또, 도 4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FT-s-OFDM 전송 영역의 최후부에는, 도 34(b)와 마찬가지로,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B702_2)이 배치되면 된다. 또, 최후부의 "변조 신호 B의 PT-RS 전송 영역"의 적합한 구성 방법ㆍ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에 대해서는 상술한 대로이다.
(변형예 2)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MIMO 전송(복수 스트림을 예컨대 복수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한다)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전송 방식은 MIMO 전송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도 28에 나타내는 송신 장치(단말)는, 싱글 스트림의 송신 방식을 적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도 28에 나타내는 변조 신호 생성부(B106)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신호(B107_1)(스트림#1) 및 베이스밴드 신호(B107_2)(스트림#2)는, 동일한 스트림이다.
이 점에 대하여, 예를 설명한다.
예컨대, 베이스밴드 신호(B107_1)와 베이스밴드 신호(B107_2)가 동일한 변조 신호이더라도 좋다.
또한, 다른 예로서, 베이스밴드 신호(B107_1)에 의해, 제 1 비트열을 전송하고 있는 경우, 베이스밴드 신호(B107_2)에 있어서도 제 1 비트열을 전송한다.
다른 예로서, 베이스밴드 신호(B107_1)에 있어서, 제 1 비트열을 전송하는 제 1 심볼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베이스밴드 신호(B107_2)에, 제 1 비트열을 전송하는 심볼이 존재한다.
그리고, 동일 스트림인 베이스밴드 신호(B107_1, B107_2)가 상이한 안테나부#A(B121_A), 안테나부#B(B121_B)로부터 송신되더라도 좋고, 베이스밴드 신호(B107_1, B107_2)가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더라도 좋다.
또는, 예컨대, 도 28에 나타내는 변조 신호 생성부(B106)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신호(B107_1)(스트림#1)만이 출력되고, 처리부(B108)로부터 변조 신호(B109_A)가 출력되고, 변조 신호(B109_A)가 1개의 안테나부#A(B121_A)로부터 송신되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변조 신호 생성부(B106) 및 처리부(B108)는, 1개의 안테나 계통의 구성(예컨대, 이산 푸리에 변환부(B110_A)~안테나부#A(B121_A))에 대응하는 변조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싱글 스트림의 싱글 안테나 송신이 실행된다. 또, 이때, 처리부(B108)에서는 프리코딩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또는, 예컨대, 도 28에 나타내는 변조 신호 생성부(B106)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신호(B107_1)(스트림#1)만이 출력되고, 처리부(B108)에서 CDD가 실시된 변조 신호(B109_A, B109_B)가 출력되고, 변조 신호(B109_A, B109_B)가 2개의 안테나부#A(B121_A), 안테나부#B(B121_B)로부터 각각 송신되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처리부(B108)는, 변조 신호 생성부(B106)로부터 출력되는 1개의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2개의 안테나 계통의 구성(예컨대, 이산 푸리에 변환부(B110)~안테나부(B121))에 각각 대응하는 변조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싱글 스트림의 멀티 안테나 송신이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예컨대 단말이 송신한 경우에 대해서도, 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도 29(a), 도 29(b) 중, 도 29(a)를 단말은 송신하고, 도 30(a), 도 30(b) 중, 도 30(a)를 단말은 송신하고, 도 31(a), 도 31(b) 중, 도 31(a)를 단말은 송신하고, 도 32(a), 도 32(b) 중, 도 32(a)를 단말은 송신하고, 도 33(a), 도 33(b) 중 도 33(a)를 단말은 송신하고, 도 34(a), 도 34(b) 중 도 34(a)를 단말은 송신하고, 도 35(a), 도 35(b) 중 도 35(a)를 단말은 송신하고, 도 36(a), 도 36(b) 중 도 36(a)를 단말은 송신하고, 도 37(a), 도 37(b) 중 도 37(a)를 단말은 송신하고, 도 38(a), 도 38(b) 중 도 38(a)를 단말은 송신하고, 도 39(a), 도 39(b) 중 도 39(a)를 단말은 송신하고, 도 40(a), 도 40(b) 중 도 40(a)를 단말은 송신한다. 또, 적합한 송신 방법, 프레임의 구성 방법, 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 등은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단말은, 도 29(a), 도 29(b)의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29(a), 도 29(b)의 변조 신호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그리고, 적합한 송신 방법, 프레임 구성 방법, 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 등은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단말은, 도 30(a), 도 30(b)의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30(a), 도 30(b)의 변조 신호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그리고, 적합한 송신 방법, 프레임 구성 방법, 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 등은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단말은, 도 31(a), 도 31(b)의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31(a), 도 31(b)의 변조 신호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그리고, 적합한 송신 방법, 프레임 구성 방법, 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 등은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단말은, 도 32(a), 도 32(b)의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32(a), 도 32(b)의 변조 신호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그리고, 적합한 송신 방법, 프레임 구성 방법, 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 등은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단말은, 도 33(a), 도 33(b)의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33(a), 도 33(b)의 변조 신호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그리고, 적합한 송신 방법, 프레임 구성 방법, 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 등은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단말은, 도 34(a), 도 34(b)의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34(a), 도 34(b)의 변조 신호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그리고, 적합한 송신 방법, 프레임 구성 방법, 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 등은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단말은, 도 35(a), 도 35(b)의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35(a), 도 35(b)의 변조 신호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그리고, 적합한 송신 방법, 프레임 구성 방법, 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 등은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단말은, 도 36(a), 도 36(b)의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36(a), 도 36(b)의 변조 신호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그리고, 적합한 송신 방법, 프레임 구성 방법, 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 등은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단말은, 도 37(a), 도 37(b)의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37(a), 도 37(b)의 변조 신호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그리고, 적합한 송신 방법, 프레임 구성 방법, 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 등은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단말은, 도 38(a), 도 38(b)의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38(a), 도 38(b)의 변조 신호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그리고, 적합한 송신 방법, 프레임 구성 방법, 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 등은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단말은, 도 39(a), 도 39(b)의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39(a), 도 39(b)의 변조 신호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그리고, 적합한 송신 방법, 프레임 구성 방법, 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 등은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단말은, 도 40(a), 도 40(b)의 구성의 싱글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때, 도 40(a), 도 40(b)의 변조 신호의 생성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그리고, 적합한 송신 방법, 프레임 구성 방법, 구성 요건(예컨대, 시간 폭) 등은 상술한 대로이다.
이상, 본 개시의 각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당연하지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실시의 형태, 그 외의 내용을 복수 조합하여, 실시하더라도 좋다.
또한, 각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는, 어디까지나 예이고, 예컨대,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사용하는 오류 정정 부호, 부호 길이, 부호화율 등), 제어 정보 등"을 예시하고 있더라도, 다른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사용하는 오류 정정 부호, 부호 길이, 부호화율 등), 제어 정보 등"을 적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조 방식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고 있는 변조 방식 이외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실시의 형태, 그 외의 내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APSK(Amplitude Phase Shift Keying)(예컨대, 16APSK, 64APSK, 128APSK, 256APSK, 1024APSK, 4096APSK 등),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예컨대, 4PAM, 8PAM, 16PAM, 64PAM, 128PAM, 256PAM, 1024PAM, 4096PAM 등), PSK(Phase Shift Keying)(예컨대, BPSK, QPSK, 8PSK, 16PSK, 64PSK, 128PSK, 256PSK, 1024PSK, 4096PSK 등),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예컨대, 4QAM, 8QAM, 16QAM, 64QAM, 128QAM, 256QAM, 1024QAM, 4096QAM 등) 등을 적용하더라도 좋고, 각 변조 방식에 있어서, 균일 매핑, 비균일 매핑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I-Q 평면에 있어서의 2개, 4개, 8개, 16개, 64개, 128개, 256개, 1024개 등의 신호점의 배치 방법(2개, 4개, 8개, 16개, 64개, 128개, 256개, 1024개 등의 신호점을 갖는 변조 방식)은, 본 명세서에서 나타낸 변조 방식의 신호점 배치 방법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비트에 근거하여 동상 성분과 직교 성분을 출력한다고 하는 기능이 매핑부에서의 기능이 되고, 그 후, 프리코딩 및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본 개시의 일 태양의 하나의 유효한 기능이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복소 평면이 있는 경우, 예컨대, 편각과 같은, 위상의 단위는, "라디안(radian)"으로 하고 있다. 복소 평면을 이용하면, 복소수의 극좌표에 의한 표시로서 극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복소수 z=a+jb(a, b는 모두 실수이고, j는 허수 단위이다)에, 복소 평면 상의 점 (a, b)를 대응시켰을 때, 이 점이 극좌표에서 [r, θ]로 나타난다면, a=r×cosθ, b=r×sinθ,
[수학식 32]
Figure pct00032
이 성립하고, r은 z의 절대치(r=|z|)이고, θ가 편각(argument)이 된다. 그리고, z=a+jb는, r×e으로 나타내어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신 장치와 안테나가 따로따로로 되어 있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 또는,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을 실시한 신호를, 케이블을 통해서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수신 장치가 구비하고, 수신 장치는 그 후의 처리를 행하게 된다. 또한, 수신 장치가 얻은 데이터ㆍ정보는, 그 후, 영상이나 소리로 변환되고, 디스플레이(모니터)에 표시되거나, 스피커로부터 소리가 출력되거나 한다. 또한, 수신 장치가 얻은 데이터ㆍ정보는, 영상이나 소리에 관한 신호 처리가 실시되고(신호 처리를 실시하지 않더라도 좋다), 수신 장치가 구비하는 RCA 단자(영상 단자, 음용 단자), USB(Universal Serial Bus), HDMI(등록상표)(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디지털용 단자 등으로부터 출력되더라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송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은, 예컨대, 방송국,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단말, 휴대전화(mobile phone) 등의 통신ㆍ방송 기기인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이때, 수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은, 텔레비전, 라디오, 단말, 퍼스널컴퓨터, 휴대전화,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등의 통신 기기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송신 장치, 수신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고 있는 기기이고, 그 기기가, 텔레비전, 라디오, 퍼스널컴퓨터, 휴대전화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에 어떠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할 수 있는 형태인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례로서, 기지국, 단말로 명명하여, 각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예이고, 각 실시의 형태에서 "기지국"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 다른 이름(예컨대, 액세스 포인트, 단말, 휴대전화, 퍼스널컴퓨터 등)이더라도 좋고, 또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 "단말"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 다른 이름(예컨대,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휴대전화, 퍼스널컴퓨터 등)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심볼 이외의 심볼, 예컨대, 파일럿 심볼(프리앰블, 유니크 워드, 포스트앰블, 레퍼런스 심볼 등), 제어 정보용의 심볼 등이, 프레임에 어떻게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그리고, 여기서는, 파일럿 심볼, 제어 정보용의 심볼로 명명하고 있지만, 어떻게 명명하더라도 좋고, 기능 자체가 중요하게 되어 있다.
파일럿 심볼은, 예컨대, 송수신기에 있어서, PSK 변조를 이용하여 변조한 알려져 있는 심볼(또는, 수신기가 동기를 취하는 것에 의해, 수신기는, 송신기가 송신한 심볼을 알 수 있더라도 좋다)이면 되고, 수신기는, 이 심볼을 이용하여,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 (각 변조 신호의) 채널 추정(CSI(Channel State Information)의 추정), 신호의 검출 등을 행하게 된다.
또한, 제어 정보용의 심볼은, (애플리케이션 등의) 데이터 이외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상대에 전송할 필요가 있는 정보(예컨대, 통신에 이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ㆍ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ㆍ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의 부호화율, 상위 레이어에서의 설정 정보 등)를 전송하기 위한 심볼이다.
또, 본 개시는 각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로서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통신 방법을 소프트웨어로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2개의 변조 신호를 2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프리코딩 전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4개의 매핑 후의 신호에 대하여, 프리코딩을 행하고, 4개의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4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방법, 다시 말해, N개의 매핑 후의 신호에 대하여, 프리코딩을 행하고, N개의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N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프리코딩 웨이트(행렬)를 변경하는, 프리코딩 전환 방법으로서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프리코딩", "프리코딩 웨이트" 등의 용어를 이용하고 있지만, 부르는 법 자체는, 어떠한 것이더라도 좋고, 본 개시에서는, 그 신호 처리 자체가 중요하게 된다.
송신 장치의 송신 안테나, 수신 장치의 수신 안테나, 모두, 도면에서 기재되어 있는 1개의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 방법(MIMO, SISO, 시공간 블록 부호, 인터리브 방식),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을 통지할 필요가 있는 실시의 형태에 따라서는 생략되어 있는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프레임에 존재하게 되는 수신 장치는 이것을 얻음으로써, 동작을 변경하게 된다.
또한, 예컨대,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미리 ROM(Read Only Memory)에 저장하여 두고, 그 프로그램을 CPU(Central Processor Unit)에 의해 동작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하고,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컴퓨터의 RAM(Random Access Memory)에 기록하여, 컴퓨터를 그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상기의 각 실시의 형태 등의 각 구성은,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서 실현되더라도 좋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칩화되더라도 좋고, 각 실시의 형태의 모든 구성 또는 일부의 구성을 포함하도록 1칩화되더라도 좋다. 여기서는, LSI로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Integrated Circuit),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일도 있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하더라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를 대체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하더라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는,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각각 상이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시스템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싱글 캐리어에 있어서의 MIMO 통신 시스템, OFDM-MIMO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또한, 복수의 송신 개소를 갖는 유선 통신 시스템(예컨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시스템, 광 통신 시스템, DSL(Digital Subscriber Line : 디지털 가입자선) 시스템), 광, 가시광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MIMO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에 의해, 통신 상대의 수신 장치는, 채널 추정을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DM-RS 전송 영역(DM-RS 심볼)에 의해, 통신 상대의 수신 장치는, 위상 잡음의 추정을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PT-RS 전송 영역(PT-RS 심볼), DM-RS 전송 영역(DM-RS 심볼)에 의해, 다른 왜곡의 추정을 행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캐리어간 간섭의 추정, 심볼간 간섭의 추정,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시간 동기, 주파수 동기, 신호 검출을 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수는,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나타낸 안테나 수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안테나 수가 1개 이상 있으면, 각 실시의 형태는, 마찬가지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DM-RS, PT-RS라고 하는 어구를 사용하고 있지만, 부르는 법은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레퍼런스 신호(RS : Reference Signal), 파일럿 신호, 파일럿 심볼, 기준 신호, 채널 추정 심볼, 유니크 워드 등과 같이 부르더라도 좋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개시는, 기지국 또는 단말 등의 통신 장치에 유용하다.
104_1~104_n : 유저#1 변조 신호 생성부~유저#n 변조 신호 생성부
107_A, 107_B : 다중부(신호 처리부)
109_A, 109_B, 703X, 703Y, B119_A, B119_B : 무선부
111_A, 111_B, B121_A, B121_B : 안테나부#A, 안테나부#B
113 : 제어 정보용 매핑부
203, B104 : 오류 정정 부호화부
205 : 매핑부
207, 306, B108 : 처리부
302 : 시리얼 패러렐 변환부
304 : 역 푸리에 변환부
701X, 701Y : 안테나부#X, 안테나부#Y
705_1, 707_1 : 변조 신호 u1의 채널 추정부
705_2, 707_2 : 변조 신호 u2의 채널 추정부
709 : 제어 정보 복조부
711, 713 : 위상 잡음 추정부
715 : 신호 처리부
B106 : 변조 신호 생성부
B110_A, B110_B : 이산 푸리에 변환부
B113_A, B113_B : 서브캐리어 매핑부
B115_A, B115_B : 역(고속) 푸리에 변환부
B117_A, B117_B :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

Claims (8)

  1. 복수의 수신 장치용의 위상 잡음 추정용의 레퍼런스 신호를 포함하는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의 보정 계수와, 상기 레퍼런스 신호로서 사용되는 계열의 패턴이 1대1로 관련지어져 있는 회로와,
    상기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수신 장치의 각각에 할당되는 리소스의 가장 높은 주파수 및 가장 낮은 주파수에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배치하는 송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상기 수신 장치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리소스에 배치하는 송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의 상기 보정 계수와, 상기 변조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대한 송신 전력의 보정 계수는, 서로 상이한 송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수신 장치용의 신호에 설정되는 변조 다치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그 수신 장치에 할당되는 리소스에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배치하고, 상기 변조 다치수가 상기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상기 리소스에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배치하지 않는 송신 장치.
  6. 복수의 수신 장치용의 위상 잡음 추정용의 레퍼런스 신호를 포함하는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의 보정 계수와, 상기 레퍼런스 신호로서 사용되는 계열의 패턴이 1대1로 관련지어져 있는 수신기와,
    상기 변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 장치용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하는 회로
    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7. 복수의 수신 장치용의 위상 잡음 추정용의 레퍼런스 신호를 포함하는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의 보정 계수와, 상기 레퍼런스 신호로서 사용되는 계열의 패턴이 1대1로 관련지어지고,
    상기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방법.
  8. 복수의 수신 장치용의 위상 잡음 추정용의 레퍼런스 신호를 포함하는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의 보정 계수와, 상기 레퍼런스 신호로서 사용되는 계열의 패턴이 1대1로 관련지어지고,
    상기 변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 장치용의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하는
    수신 방법.
KR1020197019408A 2017-03-08 2018-01-29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KR102556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43599 2017-03-08
JP2017043599 2017-03-08
PCT/JP2018/002723 WO2018163657A1 (ja) 2017-03-08 2018-01-29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766A true KR20190126766A (ko) 2019-11-12
KR102556117B1 KR102556117B1 (ko) 2023-07-14

Family

ID=6344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408A KR102556117B1 (ko) 2017-03-08 2018-01-29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11153125B2 (ko)
EP (2) EP3826219B1 (ko)
JP (1) JP7164514B2 (ko)
KR (1) KR102556117B1 (ko)
CN (2) CN113938366B (ko)
BR (1) BR112019013972A2 (ko)
MX (1) MX2019008156A (ko)
RU (1) RU2742820C1 (ko)
TW (1) TWI741135B (ko)
WO (1) WO2018163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36229A3 (en) * 2017-03-22 2023-11-15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Reference signal for phase tracking insertion
CN110537351B (zh) * 2017-04-28 2022-05-06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测量装置和测量方法
WO2018208291A1 (en) * 2017-05-09 2018-11-15 Intel Corporation Radio resource scheduling
CN112995083B (zh) * 2017-06-13 2022-03-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和装置
US10674395B2 (en) * 2018-06-26 2020-06-0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RAN-aware multi-access edge computing traffic control
CN112822137A (zh) * 2019-11-15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及装置
US11632210B2 (en) * 2020-05-08 2023-04-18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US20210367726A1 (en) * 2020-05-19 2021-11-25 Qualcomm Incorporated Amplitude modulated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s
WO2022216623A1 (en) * 2021-04-05 2022-10-13 Intel Corporation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pattern determination
CN116257730B (zh) * 2023-05-08 2023-08-01 成都戎星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fpga实现频偏跟踪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070A (ko) * 2003-02-18 2005-11-1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채널 추정을 이용하는 적응형 등화기를 구비한 통신 수신기
KR20070004709A (ko) * 2004-03-12 2007-01-09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수신 신호 품질 추정 방법 및 장치
JP2007074763A (ja) * 2003-08-07 2007-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送信方法
KR20070066430A (ko) * 2005-12-22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송수신 경로 보정 장치
KR20110022697A (ko) * 2008-06-24 2011-03-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채널 품질 표시자의 위상 잡음 복구 생성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3985B2 (ja) 2003-08-07 2009-09-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送信方法
US7826555B2 (en) 2005-08-24 2010-11-02 Panasonic Corporation MIMO-OFDM transmission device and MIMO-OFDM transmission method
WO2007135964A1 (ja) * 2006-05-19 2007-11-29 Panasonic Corporation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3259753B (zh) * 2012-02-16 2018-09-11 武汉邮电科学研究院 光通信系统、发送装置和接收装置、发送方法和接收方法
US9362989B2 (en) * 2012-05-22 2016-06-07 Sun Patent Trust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transmitter, and receiver
RU2548032C2 (ru) * 2012-12-11 2015-04-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оссийский институт мощного радиостроения" Способ оценивания отношения сигнал/шум при использовании сигналов с фазовой модуляцией
US9008167B2 (en) * 2012-12-29 2015-04-14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phase tracking for multi-mode operation in wireless networks
EP3051762B1 (en) * 2013-10-29 2019-07-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Phase noise corr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JP6313095B2 (ja) 2014-04-01 2018-04-18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
JPWO2015162886A1 (ja) * 2014-04-24 2017-04-13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装置
CN104764938B (zh) * 2015-03-10 2017-10-1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研究所 自带相参通道的天线近场测量方法
US10652769B2 (en) * 2015-07-25 2020-05-12 Mariana Goldhamer Coupling loss in wireless networks
US10201006B2 (en) * 2016-04-01 2019-02-05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layer transmissions
US10778500B2 (en) 2016-06-27 2020-09-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979191B2 (en) 2016-08-05 2021-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ference signal signaling for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s
KR102380756B1 (ko) * 2016-08-05 2022-03-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상 보상 기준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43057B2 (en) * 2016-08-05 2022-05-24 Apple Inc. Transmission of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s (PT-RS) for bandwidth parts
WO2018062942A1 (en) 2016-09-30 2018-04-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reference signal related to phase noise estimation and user equipment therefor
EP3535884A1 (en) 2016-11-04 2019-09-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t-rs configuration depending on scheduling parameters
WO2018123441A1 (ja) 2016-12-26 2018-07-0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8125910A1 (en) 2016-12-30 2018-07-05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ue), generation node-b (gnb) and methods for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pre-coding
CN108737058B (zh) 2017-01-06 2019-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参考信号的配置方法、装置及系统
JP2020057825A (ja) * 2017-02-02 2020-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070A (ko) * 2003-02-18 2005-11-1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채널 추정을 이용하는 적응형 등화기를 구비한 통신 수신기
JP2007074763A (ja) * 2003-08-07 2007-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送信方法
KR20070004709A (ko) * 2004-03-12 2007-01-09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수신 신호 품질 추정 방법 및 장치
KR20070066430A (ko) * 2005-12-22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송수신 경로 보정 장치
KR20110022697A (ko) * 2008-06-24 2011-03-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채널 품질 표시자의 위상 잡음 복구 생성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0073* *
비특허문헌 1 : IEEE P802.11n(D3.00) Draft STANDARD for Information Technology-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Specific requirements-Part11: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 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53125B2 (en) 2021-10-19
RU2021102311A3 (ko) 2022-03-31
EP3595253B1 (en) 2021-03-03
KR102556117B1 (ko) 2023-07-14
US11757679B2 (en) 2023-09-12
CN113938366B (zh) 2024-05-10
RU2021102311A (ru) 2021-02-08
EP3826219B1 (en) 2023-10-25
EP3595253A4 (en) 2020-04-01
EP3826219A1 (en) 2021-05-26
EP3595253A1 (en) 2020-01-15
US20210281447A1 (en) 2021-09-09
CN113938366A (zh) 2022-01-14
US20190356515A1 (en) 2019-11-21
MX2019008156A (es) 2019-09-06
TW201836297A (zh) 2018-10-01
JPWO2018163657A1 (ja) 2020-01-09
BR112019013972A2 (pt) 2020-03-03
CN110169025A (zh) 2019-08-23
TWI741135B (zh) 2021-10-01
JP7164514B2 (ja) 2022-11-01
RU2742820C1 (ru) 2021-02-11
CN110169025B (zh) 2021-09-07
US20230362036A1 (en) 2023-11-09
WO2018163657A1 (ja)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6117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US11658733B2 (en)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scheme executed by a base station
US97292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46532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参照信号送信装置及び方法
RU2549351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разрешения объединения блоков ресурсов в системах lte-a
CN110519017B (zh) 确定传输块大小的方法和其设备
CN111527729A (zh) 用于配置相位跟踪参考信号的技术
JP2019537373A (ja) 参照信号伝送方法、送信機および受信機
JP2017528974A (ja) 複素次元あたりの投影が少ないコードブック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その利用
WO2010117221A2 (en) Mimo codebook generation
KR2010008975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
JP7136975B2 (j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20210105164A1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22172250A (ja) 受信方法
RU2777352C2 (ru) 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 способ приема
JP2010161647A (ja) 送信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及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