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738A -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 Google Patents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738A
KR20190125738A KR1020180049925A KR20180049925A KR20190125738A KR 20190125738 A KR20190125738 A KR 20190125738A KR 1020180049925 A KR1020180049925 A KR 1020180049925A KR 20180049925 A KR20180049925 A KR 20180049925A KR 20190125738 A KR20190125738 A KR 20190125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impedance
cap body
case
ca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712B1 (ko
Inventor
최명규
박재명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9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71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5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8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invasively, e.g. using a cath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에 관한 것으로, 내시경 선단에 탑재되어서 내시경 겸자공을 통해 병변부위에 접근되는 부속기구의 움직임 공간을 크게 확보하여 주고 그 병변부위와 내시경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해, 상기 겸자공의 중심축선 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는 환 형상의 캡본체; 및 상기 캡본체에 설치되고, 점막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임피던스 센서를 구비하는 카테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Endoscope cap unit for impedance measurement}
본 발명은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에 관한 것으로, 내시경과 병변부위 간의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내시경적으로 판단이 어려운 병변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은 수술을 하거나 절개를 하지 않고서는 직접 병변부위를 확인할 수 없는 신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기나 체강 내부를 직접 볼 수 있도록 하는 의료 기기를 의미한다. 초기의 내시경은 신체의 체강 내에 가늘고 긴 삽입부를 삽입하여 체강 내의 장기 등을 단순히 관찰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후 의료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재의 내시경은 고해상도 카메라, 주사침 및 스네어 등을 포함하고, 체강 내의 장기 등을 고해상도 컬러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병변부위에 약물을 직접 주입하여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내시경은 병변부위의 채취나 그 병변부위의 치료뿐만 아니라, 신체 조직에 출혈이나 천공이 발생될 때 봉합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내시경(1)은 외과적 수술 없이도 병변 부위를 치료 및 진단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지나, 병변부위에 근접되어 치료나 진단을 위한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내시경과 병변부위 간의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의 내시경(1)은 내시경적으로 판단이 어려운 역류성식도염 등의 병변을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짐으로써, 역류성식도염의 진단을 위해 내시경(1)과 함께 임피던스 센서(3)가 구비된 감지유닛(2)을 신체 내부에 추가로 삽입해야 한다.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6409호 「내시경용 처치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 시 내시경과 병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내시경 부속기구들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내시경적으로 감지가 어려운 병변의 진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은, 내시경 선단에 탑재되어서 내시경 겸자공을 통해 병변부위에 접근되는 부속기구의 움직임 공간을 크게 확보하여 주고 그 병변부위와 내시경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겸자공의 중심축선 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는 환 형상의 캡본체; 및 상기 캡본체에 설치되고, 점막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임피던스 센서를 구비하는 카테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카테터는, 상기 임피던스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내시경의 메인 서버 측에 송출시키기 위한 제어 장치를 수용시키는 케이스와, 점막의 임피던스 센싱을 위해 상기 케이스 선단에 설치되는 임피던스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본체는, 상기 케이스의 끼움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에 삽입된 케이스의 임의탈거를 방지하기 위한 탈거방지턱을 가지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결합부의 탈거방지턱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본체의 결합부는, 상기 끼움공에 삽입된 케이스를 탄성 가압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임픽던스 센서에 의해 의도치 않게 점막에 가해진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상기 캡본체의 결합부는, 상기 점막에 가해진 충격으로 인한 실시간 손상 위험성을 시술자에게 알려 줄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에 가해진 힘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로드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본체는, 내측으로 유입된 혈액과 같은 액체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120도 각도로 3개소 형성되는 배액공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 캡 유닛은, 캡본체가 내시경 겸자공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카테터가 그 캡본체에 설치되며 점막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임피던스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 시 내시경과 병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내시경 부속기구들의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내시경적으로 감지가 어려운 역류성식도염과 같은 병변의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내시경과 임피던스 센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내시경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Ⅵ-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배액공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내시경과 임피던스 센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내시경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은, 내시경(1)의 선단에 탑재되어서 내시경 겸자공을 통해 병변부위에 접근되는 부속기구의 움직임 공간(작업공간)을 크게 확보하여 주고, 그 병변부위와 내시경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캡본체(100) 및 카테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캡본체(100)는 내시경(1) 겸자공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길이를 갖으며 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본체(100)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병변부위와 내시경(1) 사이에서 내시경 보조기구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캡본체(100)는, 내시경(1)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고 외측과 내측에 내부식성의 보호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본체(100)는, 신체조직과 접촉하는 단부에 라운드면을 구비할 수 있음으로써, 병변 부위(S)로 접근하기 위한 이동 시 상기 신체조직에 상처나 출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200)는 캡본체(100)에 설치되고 임피던스 센서(20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캡본체(100)와 접촉되는 점막 및 병변 부위(S)의 임피던스를 측정 가능하게 한다. 상기 카테터(200)는 점막 및 병변 부위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캡본체(100)의 단부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테터(200)는, 캡본체(100)의 단부를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카테터(200)는 상기 캡본체(100)의 외측에 마련되어, 내시경(1)이 점막에 접촉될 때 그 점막의 임피던스를 연속해서 측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은, 상기 캡본체(100)가 내시경 겸자공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카테터(200)가 그 캡본체(100)에 설치되며 점막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임피던스 센서(201)를 구비함으로써, 내시경(1)을 이용한 치료 시 내시경(1)과 병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내시경 부속기구들의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내시경적으로 감지가 어려운 역류성식도염과 같은 병변의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카테터(200)는, 케이스(202)와 임피던스 센서(2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테터(200)의 케이스(202)는, 제어 장치(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음으로써, 임피던스 센서(201)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내시경(1)의 메인 서버 측에 그 신호를 송출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케이스(202)는 인체에 해가 되지 않는 금속소재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테터(200)에 포함된 임피던스 센서(201)는, 상기 케이스(202)의 선단에 설치되어 점막 및 병변 부위의 임피던스를 센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임피던스 센서(201)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임피던스 센서를 채용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202)에 설치될 수 있도록 별도로 제작되어 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배액공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상기 캡본체(100)와 카테터(20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캡본체(100)는, 카테터(200)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본체(100)에 포함된 결합부(110)는 케이스(202)와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공(10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110)는 탈거방지턱(102)을 구비함으로써, 그 끼움공(101)에 삽입된 케이스(202)의 임의 탈거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탈거방지턱(102)은, 끼움공(101)의 내측면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끼움공(101)의 단면적 크기를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스(202)를 효과적으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카테터(200)에 포함된 케이스(202)는, 걸림부(G)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G)는, 케이스(202)의 외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그 케이스(202)가 끼움공(101)에 억지끼움결합된 경우, 상기 탈거방지턱(102)에 걸림으로써, 내시경(1)의 이동 시 카테터(200)가 결합부(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기 캡본체(100)의 결합부(110)는, 케이스(202)의 단부와 접촉되는 내측에 스프링(10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103)은, 끼움공(101)에 삽입된 케이스(202)를 탄성가압함으로써, 상기 임픽던스 센서(201)에 의해 의도치 않게 점막에 가해진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스프링(103)은, 내시경(1)의 삽입 시 캡본체(100)에 배치된 임피던스 센서(201)가 신체조직에 접촉될 경우, 그 임피던스 센서(201)가 부드럽게 케이스(202)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고, 상기 신체조직과 임피던스 센서(201) 간의 접촉이 해제되면 그 임피던스 센서(201)를 다시 인출되게 함으로써, 내시경(1)의 이동에 따른 신체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나아가, 상기 캡본체(100)의 결합부(101)는, 로드셀(1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드셀(104)은, 케이스(202)에 접촉된 스프링(103)과 결합부(101)이 내측 사이에 마련되어 그 스프링(103)에 가해진 힘을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상기 점막 또는 신체조직에 가해진 충격으로 인한 실시간 손상 위험성을 시술자에게 알려 주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캡본체(100)는, 복수의 배액공들(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액공들(120)은, 그 캡본체(100)에서 120도 각도로 3개소 형성됨으로써, 그 캡본체(100)의 내측으로 유입된 혈액과 같은 액체가 그 내측에서 바쪄나갈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예는, 캡본체(100)의 결합부(110)에 끼움공(101)과 탈거방지턱(102)을 구비하고, 상기 카테터(200)의 케이스(202)에 그 탈거방지턱(102)과 걸리는 걸림부(G)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부(110)의 스프링이 끼움공(101)에 삽입된 케이스(202)를 탄성 가압시키고, 로드셀(104)이 상기 스프링(103)에 가해진 힘을 측정하며, 캡본체(100)의 배액공들(120)을 통해 캡본체(100) 내측의 혈액 등을 외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함으로써, 내시경(1)의 이동 시 상기 점막 또는 신체조직에 가해진 충격으로 인한 실시간 손상 위험성을 시술자에게 알려주고, 내시경(1)의 이동에 따른 신체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며, 임피던스 센서(201)의 안정된 위치고정이 가능하고,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 시 내시경과 병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내시경 부속기구들의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내시경적으로 감지가 어려운 역류성식도염과 같은 병변의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예들 및 본 명세서에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항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10:결합부 101: 끼움공
102: 탈거방지턱 103: 스프링
104: 로드셀 120: 배액공
200: 카테터 201: 임피던스 센서
202: 케이스

Claims (6)

  1. 내시경 선단에 탑재되어서 내시경 겸자공을 통해 병변부위에 접근되는 부속기구의 움직임 공간을 크게 확보하여 주고 그 병변부위와 내시경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겸자공의 중심축선 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는 환 형상의 캡본체; 및
    상기 캡본체에 설치되고, 점막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임피던스 센서를 구비하는 카테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상기 임피던스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내시경의 메인 서버 측에 송출시키기 위한 제어 장치를 수용시키는 케이스와, 점막의 임피던스 센싱을 위해 상기 케이스 선단에 설치되는 임피던스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는, 상기 케이스의 끼움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에 삽입된 케이스의 임의탈거를 방지하기 위한 탈거방지턱을 가지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결합부의 탈거방지턱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의 결합부는, 상기 끼움공에 삽입된 케이스를 탄성 가압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임픽던스 센서에 의해 의도치 않게 점막에 가해진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의 결합부는, 상기 점막에 가해진 충격으로 인한 실시간 손상 위험성을 시술자에게 알려 줄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에 가해진 힘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로드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는, 내측으로 유입된 혈액과 같은 액체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120도 각도로 3개소 형성되는 배액공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KR1020180049925A 2018-04-30 2018-04-30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KR102046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25A KR102046712B1 (ko) 2018-04-30 2018-04-30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25A KR102046712B1 (ko) 2018-04-30 2018-04-30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738A true KR20190125738A (ko) 2019-11-07
KR102046712B1 KR102046712B1 (ko) 2019-11-19

Family

ID=6857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925A KR102046712B1 (ko) 2018-04-30 2018-04-30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7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046B1 (ko) 2020-02-18 2021-08-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용 가변형 캡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4504A (ja) * 2006-12-29 2010-05-06 セント・ジュード・メディカル・エイトリアル・フィブリレーション・ディヴィジョ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接触センサおよびシース進出センサ
JP2012517839A (ja) * 2009-02-17 2012-08-09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胃内視鏡
KR20150145382A (ko) * 2014-06-19 2015-12-30 주식회사 엠아이텍 내시경용 부속 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4504A (ja) * 2006-12-29 2010-05-06 セント・ジュード・メディカル・エイトリアル・フィブリレーション・ディヴィジョ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接触センサおよびシース進出センサ
JP2012517839A (ja) * 2009-02-17 2012-08-09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胃内視鏡
KR20150145382A (ko) * 2014-06-19 2015-12-30 주식회사 엠아이텍 내시경용 부속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712B1 (ko)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9941B2 (en) Balloon assisted endoscope for viewing a fetus during delivery
EP1867271B1 (en) Endoscope insertion shape detecting device
EP1864624B1 (en) Surgery assisting apparatus
US20050101838A1 (en) Endoscope cover
JP6956116B2 (ja) 医療器具を搬送する装置及び方法
ES2961368T3 (es) Aparato para el posicionamiento adecuado de una sonda de ecocardiografía transesofágica usando una cámara para la obtención de imágenes por ultrasonido
US20050222493A1 (en) Endoscope
US20050038370A1 (en) Tissue anchor for endorobots
JP2003534056A (ja) 観察機能を備えるガイドワイヤ
US5058603A (en) Length-measuring device and reference color display device for color tone adjustment for use in combination with endoscope
JP5756629B2 (ja) 内視鏡
US7255310B2 (en) Holder for a medical device
KR102046712B1 (ko)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JP2002136472A (ja) 内視鏡
JP4075310B2 (ja) 体腔内観察用テレビカメラ
KR101977581B1 (ko)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을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JP5259783B2 (ja) 内視鏡の栓体
WO2012070504A1 (ja) 内視鏡
JP2627285B2 (ja) 柔軟組織試料採取用子宮内視鏡
JP3542549B2 (ja) 肛門診断/治療用器具
JP2564367Y2 (ja) 超音波探触子
JP2012110469A (ja) 医療器具
JP4755745B2 (ja) 穿刺アダプタを備えた超音波プローブ
US20170209130A1 (en) Device for taking samples of tissue for cytological/histological tests
US202401889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surgical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