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581B1 -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을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 Google Patents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을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581B1
KR101977581B1 KR1020180102707A KR20180102707A KR101977581B1 KR 101977581 B1 KR101977581 B1 KR 101977581B1 KR 1020180102707 A KR1020180102707 A KR 1020180102707A KR 20180102707 A KR20180102707 A KR 20180102707A KR 101977581 B1 KR101977581 B1 KR 101977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lesion
unit
sensor
magne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우
홍성호
이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Priority to KR1020180102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581B1/ko
Priority to PCT/KR2018/010947 priority patent/WO202004572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3Clip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61B90/98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using electromagnetic means, e.g. transpo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15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61B2034/2046Tracking techniques
    • A61B2034/2051Electromagnetic track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04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specifi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54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magnetic, e.g. NMR or MR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23Magnetic field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과 이를 이용하여 병변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병변 부위에 결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클립 및 상기 자성체를 탐지하여 상기 클립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추적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적부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구비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을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SYSTEM FOR DETECTING LESION LOCATION INCLUDING A CLIP FOR MARKING LESION LOCATION}
본 발명은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일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과 이를 이용하여 병변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내의 종양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내시경 검사가 필요하다. 내시경 검사를 통해 종양이 발견될 경우, 추후 외과 수술을 통해 종양을 제거하기 위해 종양이 발생한 병변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외과 수술, 특히 위의 일부를 절제하는 종양제거와 같은 수술에 있어서, 수술 중 종양이 발생한 병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은 수술의 성공은 물론 환자의 예후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병변 위치의 표시 및 탐지는 아래와 같이 시각적인 방식 내지 촉각적인 방식으로 행하여져 왔다.
먼저, 고전적으로 병변 위치에 잉크를 점적하여 표시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시간이 지나면 잉크가 주변부 및 림프관을 통한 확산되어 사라지기 때문에 병변 위치를 정확히 탐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병변 위치에 표시장치를 설치하고, 내과의가 수술현장에서 내시경의 광원을 직접 해당 표시장치에 비춰서 외과의에게 병변 위치를 확인시켜주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위치파악에 있어 가장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매 수술 시 내시경 장비와 내과의가 동반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병변 표시장치 자체에 발광기능이 있어 외과의가 직접 육안으로 병변 위치를 탐지하는 방식이 있으나, 자체 발광기능을 구비하기 위한 LED 등의 구동을 위해서는 반드시 배터리가 사용되어야만 하며, 이와 같은 LED 장치 및 배터리를 신체 장기의 내부에 삽입하도록 작은 크기로 만들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병변 표시가 오랫동안 정확하게 지속되며, 간편하게 탐지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4627호(2012.01.13 공개)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과 이를 이용하여 병변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벌어진 형태로 뻗어나오는 한 쌍의 암부와, 상기 한 쌍의 암부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암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임링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암부, 파지부 및 조임링 중 적어도 일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임링은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임링은 뮤메탈(mu-meta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병변 부위에 결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클립 및 상기 자성체를 탐지하여 상기 클립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추적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적부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구비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립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벌어진 형태로 뻗어나오는 한 쌍의 암부와, 상기 한 쌍의 암부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암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임링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암부, 파지부 및 조임링 중 적어도 일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임링은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임링은 뮤메탈(mu-meta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계(accelerome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로부터 받은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처리부(processing unit) 및 상기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받은 자성신호를 전송이 가능한 전자신호의 형태로 처리하는 신호처리기 및 상기 신호의 변경 및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신호처리기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신호를 외부에서 인식이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클립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클립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이 표시되는 색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클립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하가 되면 알림음을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클립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하가 되면 진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클립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가 10mm 이하가 되면, 상기 색표시부에 빨간색이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스피커가 알림음을 내거나 또는 상기 진동부가 진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는 일부가 연장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센서장착부가 결합되며, 상기 센서장착부의 슬롯에 상기 센서부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의 외부로 돌출된 센서장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센서부를 고정하기 위한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장착부의 외면에는 나사산(screw)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체내 병변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에서부터 추적하는 과정까지 간편하고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병변 위치 마킹을 위해 병변에 결착되는 클립의 구성 일부를 자성체로 형성함에 따라 생산이 용이하고 소형화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시경 중 내시경 채널을 통해 삽입되는 클립장치에 의해 클립이 병변에 용이하게 결착될 수 있으며, 클립이 병변 위치에 결착된 후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거나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환자의 병변 위치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클립장치를 통해 병변 위치 마킹을 위해 적어도 일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클립의 결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지혈 또는 봉합을 위해 체내 출혈부위 또는 천공부위에 자성체로 이루어지지 않는 클립의 결착도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하나의 클립장치로 병변 위치 마킹과 지혈 및 봉합을 함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수술 시간이 단축되며, 병변 위치 추적을 위해 절개하지 않고 외부에서 상기 클립의 자성체를 탐지하여 병변 위치를 추적하고 수술을 위한 절개를 실시함에 따라, 한 번의 절개만으로 수술이 가능하여 수술로 인한 흉터가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클립을 분리하여 결착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작동원리도.
도 4는 도 1의 A 부분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손잡이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6의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작동원리도.
이하, 본 발명의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Clip) 및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클립을 분리하여 결착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작동원리도, 도 4는 도 1의 A 부분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손잡이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작동원리도이다.
본 발명은, 내시경 검사 이후 복강경 혹은 외과적 수술로 이관해야 하는 경우, 내시경을 통해 환자의 병변 부위에 적어도 일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Clip)을 결착하여 병변 위치를 표시함에 따라, 추후 외과적 수술 시 센서 장치를 통해 외부에서도 병변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대장의 굴곡 형상은 일반적인 정상분포 외에 Alpha, N, Reverse Alpha Loop 모양 등으로 다양하여, 관강안에서 파악하는 위치가 밖에서 보는 위치와 다를 수 있으며, 대장 조직은 절개 시술에 있어 병변에 대한 촉각 식별(tactile identification)이 어려워 시각적 확인(visual identification)이 가능한 마킹이 필수적이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은 크게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100)과, 상기 클립(100)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추적부(200)와, 처리부(300) 및 표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2를 참고하여 병변 위치 마킹을 위한 상기 클립(100)에 관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클립(100)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벌어진 형태로 뻗어나오는 한 쌍의 암부(120)와, 상기 한 쌍의 암부(120)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파지부(140) 및 상기 한 쌍의 암부(120)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임링(160)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암부(120), 파지부(140) 및 조임링(160) 중 적어도 일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조임링(160)이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추후 자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하여 상기 자성체를 탐지함으로써 클립(1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상기 조임링(160)은 본래 자성을 띄는 금속 또는 외부에서 전기장이나 자기장을 걸어주게 될 경우 자성을 띄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성을 띄며 침투성(permeability)이 매우 높은 뮤메탈(mu-meta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수술 기구와 인력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너무 강한 자성체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암부(120)는 대략 U자의 형상을 이루어 나란하게 형성되다가 개폐가 가능하도록 양측으로 벌어지며 뻗어나오는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탄성력을 가져 외부의 물리적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벌어지려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각 암부(120)에는 병변 조직을 과도하게 집었을 때 조직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홀을 형성함으로써, 조직을 과도하게 집었을 때에도 클립의 결찰이 잘 안되거나 다시 벌어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40)는 상기 한 쌍의 암부(120)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암부(120)가 닫힌 상태가 될 때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때, 하나의 파지부에는 일정 모양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파지부에는 그에 대응하는 일정 모양으로 홈이 파인 부분이 형성됨으로써 서로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암부(120)에는 각각 돌기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링(160)이 상기 돌기부(122)에 강제 압입됨에 따라 상기 클립(100)이 병변 부위에 결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돌기부(122)는 상기 각 암부(120)에서 U자의 형상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다가 양측으로 일부 벌어지는 구간에 형성되고 있다.
상기 클립(100)은 내시경 중 내시경 채널을 통해 삽입되는 별도의 클립장치(Clipping device)에 의해 결착될 수 있다. 상기 조임링(160)은 상기 한 쌍의 암부(120) 상에서 상기 돌기부(122)에 압입되기 전까지 전,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클립장치가 상기 조임링(160)을 상기 돌기부(122) 측으로 밀어주어 압입시킴에 따라 상기 클립(100)이 결착된다.
이때, 상기 조임링(160)이 상기 돌기부(122)에 압입되기 전에는 상기 한 쌍의 암부(120) 상에서 움직이며 클립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클립(100)의 개폐가 반복적으로 가능함에 따라 정확한 병변 부위에 클립(100)을 결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진이 내시경을 통해 병변을 발견할 경우 클립장치를 조작하여 클립을 정확한 병변 위치에 용이하게 결착할 수 있으며, 상기 클립(100)은 한 쌍의 암부(120)와 조임링(160)을 통해 병변 부위에 단단하게 결착되므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거나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환자의 병변 위치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는다.
다음으로는, 도 1 및 3을 참고하여 상기 클립(100)의 자성체를 탐지하여 클립(100)의 위치, 즉 병변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추적부(200)에 관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추적부(200)는 상기 클립(100)의 자성체 탐지를 위한 별도의 장치일 수도 있으나, 외과 수술을 위한 복강경 기구 등 수술 기구일 수도 있다.
상기 추적부(20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210)와, 상기 손잡이부(2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장부(220) 및 상기 연장부(220)의 끝단에 구비되는 센서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210)는 사용자가 추적부의 사용 시 파지하기 위한 본체를 이루며, 상기 손잡이부(210)의 일측에는 얇고 긴 기둥 형태의 연장부(22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파지부분이 구비된 gun 타입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막대(rod) 타입 등 파지를 위한 형태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부(210)에서 먼 상기 연장부(220)의 끝단에 구비되는 센서부(230)는 체내 병변 부위에 결착된 클립(100)의 자성체를 탐지하기 위한 것으로, 홀 센서(hall sensor; 232)를 포함한다.
상기 홀 센서(232)는 상기 클립(100)의 자성체, 본 실시 예에서는 조임링(160)에 의해 발생되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230)와 조임링(16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홀 효과란, 자기장으로 인하여 전자가 움직이며 전류를 만들어내는 현상을 말하며, 상기 홀 센서(232)를 통해 측정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자성체의 거리와 반비례하므로 자기장의 세기를 측정함에 따라 상기 센서부(230)와 조임링(16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홀 센서(232)가 지표면과 평행 상태가 유지되지 않을 경우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센서부(230)는 가속도계(accelerometer; 234)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홀 센서(232)와 가속도계(234)는 상기 연장부(220)에 쉽게 부착될 수 있도록 초소형으로 제작되며, 3cm * 3cm 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속도계(234)는 센서부(230)에 가해지는 x, y, z축의 중력 가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센서부(230)의 기울어짐에 따른 영향을 보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추적부(200)의 자유로운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조임링(160)의 x, y, z축 위치값을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홀 센서(232) 및 가속도계(234)를 포함하는 센서부(230)를 통해 상기 조임링(160)의 x, y, z축 위치값 및 상기 센서부(230)와 조임링(160) 사이의 거리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센서부(230)는 상기 연장부(220)의 끝단에 구비되되,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220)의 끝단 내부에 결합되는 별도의 센서장착부(222)를 통해 구비된다.
상기 센서장착부(222)의 일단부는 상기 연장부(220)의 끝단 내부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연장부(22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연장부(22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센서장착부(222)의 타단부는 대략 ㄷ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운데에 슬롯(222a)이 구비된다.
상기 슬롯(222a)은 상기 센서부(230)가 삽입되기 위한 곳으로, 상기 슬롯(222a)의 형상은 센서부(23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222a)에 삽입된 센서부(230)는 상기 센서장착부(222)에 결합되는 커버부(22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24)는 상기 연장부(220)와 대응되도록 연장부(220)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22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센서장착부(222)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센서장착부(222)의 외면에는 나사산(screw)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224)는 상기 센서장착부(222)와 나사 결합을 통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30)의 배선(wire)은 상기 연장부(220)의 내부(중공)를 통과하여 후술할 처리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230)로부터 얻은 정보들을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상기 센서부(230)로부터 받은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처리부(processing unit; 300) 및 상기 처리부(300)를 통해 처리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처리부(300) 및 표시부(400)는 상기 손잡이부(210)에 구비되고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처리부(300)는 상기 센서부(230)로부터 받은 자성신호를 전송이 가능한 전자신호의 형태로 처리하는 신호처리기(320) 및 상기 신호의 변경 및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기(320)를 통해 처리된 전자신호는 상기 표시부(400)로 전송되며, 상기 표시부(400)는 상기 신호처리기(320)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신호를 외부에서 인식이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기(340)는 상기 신호처리기(320)에서 이루어지는 신호의 변경과 변경처리된 신호의 전송 등 상기 센서부(230)로부터 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CPU가 이에 해당한다. 특히, 소형 기기는 MCU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기(340)는 상기 센서부(230) 주변의 전자 장비, 전원 잡음 등에 의한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평균화 작업(Digital filtering)을 통한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340)는 거리 정보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급속한 거리 변화는 예외로 처리함으로써 급격한 움직임 등에 따른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처리기(320)에서 상기 표시부(400)로의 신호 전송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처리부(300) 및 표시부(400)는 신호의 전송을 위한 송수신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을 참고하여 상기 표시부(400)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부(400)는 디스플레이(420)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420)에는 상기 센서부(230)와 상기 클립(100)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420)에 표시되는 거리의 범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50mm 이하의 거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400)는 상기 센서부(230)와 상기 클립(100)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이 표시되는 색표시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표시부(440)에서 서로 다른 색이 표시되는 거리범위 또는 색의 종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0mm 이상 10mm 이하의 범위에서는 빨간색이 표시되고, 10mm 초과 30mm 이하의 범위에서는 노란색이 표시되며, 30mm 초과 50mm 이하의 범위에서는 초록색이 표시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디스플레이(420)와 색표시부(440)에 의한 시각적인 알림뿐만 아니라 청각적인 알림까지 가능하도록, 상기 표시부(400)는 스피커(4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460)는 상기 센서부(230)와 상기 클립(100)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하가 되면 알림음을 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부(230)와 상기 클립(100)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가 10mm 이하가 되면 상기 스피커(460)에서 알림음이 울릴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표시부(400)에 의해 상기 센서부(230)와 상기 클립(100)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가 표시되며, 특히 10mm 이하의 범위에서는 빨간색이 표시되거나 알림음이 울릴 수 있어 사용자가 정확하게 클립(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살펴보면, 상기 표시부(400)가 상기 스피커(460) 대신 진동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480)는 상기 손잡이부(210)의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관하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손잡이부(210)의 파지부분에 구비되고 있다. 상기 진동부(480)는 상기 센서부(230)와 상기 클립(100)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하가 되면 진동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부(230)와 상기 클립(100)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가 10mm 이하가 되면 진동이 울리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420)와 색표시부(440)에 의한 시각적인 알림뿐만 아니라 촉각적인 알림까지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표시부(400)는 디스플레이(420), 색표시부(440), 스피커(460) 및 진동부(48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은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크게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100)과, 상기 클립(100)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추적부(1200)와, 처리부(1300) 및 표시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100)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이한 부분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추적부(120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1210)와, 상기 손잡이부(12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장부(1220) 및 상기 연장부(1220)의 끝단에 구비되는 센서부(1230)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1220) 및 센서부(1230)는 상기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연장부(220) 및 센서부(230)와 동일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손잡이부(1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를 위해 일부분에 홈이 형성된 막대(rod) 타입의 형태로 구비되고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230)로부터 얻은 정보들을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상기 센서부(1230)로부터 받은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처리부(1300) 및 상기 처리부(1300)를 통해 처리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처리부(1300)는 상기 손잡이부(1210)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1400)는 상기 추적부(1200)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고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처리부(1300)는 상기 센서부(1230)로부터 받은 자성신호를 전송이 가능한 전자신호의 형태로 처리하는 신호처리기(1320), 상기 신호의 변경 및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기(1340) 및 상기 신호처리기(1320)에서 처리된 신호를 상기 표시부(1400)로 전송하기 위한 제1 송수신기(1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처리기(1320) 및 제어기(1340)는 상기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신호처리기(320) 및 제어기(340)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신호처리기(1320)에서 처리된 전자신호는 상기 제1 송수신기(1310)를 통해 상기 표시부(1400)로 전송되며, 상기 표시부(1400)는 상기 신호처리기(1320)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신호를 외부에서 인식이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400)는 상기 신호처리기(132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즉 상기 제1 송수신기(1310)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송수신기(14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송수신기(1310)와 제2 송수신기(1410)는 전선으로 연결되어 유선으로 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료진의 자유도를 위해 무선으로 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부(1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20), 색표시부(1440) 및 스피커(1460)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상기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420), 색표시부(440) 및 스피커(460)와 구비된 위치만 상이할 뿐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병변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간략히 살펴보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체내의 종양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내시경 검사가 필요하며 의료진(내과의)은 내시경을 통해 환자 체내의 병변을 검출한다.
내시경을 통해 병변이 발견될 경우, 병변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의료진(내과의)은 클립장치를 이용하여 검출된 병변에 상기 조임링(160)이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클립(100)을 결착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클립장치가 상기 조임링(160)을 상기 한 쌍의 암부(120)의 돌기부(122) 측으로 밀어주어 압입시킴에 따라 상기 클립(100)이 결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장치를 통해 병변 위치 마킹을 위해 상기 조임링(160)이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클립(100)의 결착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혈 또는 봉합을 위해 체내 출혈부위 또는 천공부위에 자성체로 이루어지지 않는 클립의 결착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클립장치로 병변 위치 마킹과 지혈 및 봉합을 함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내시경을 통해 병변 위치의 표시가 끝난 후에는, 외과적 수술을 위해 의료진(외과의)이 상기 추적부(200)를 통해 클립(100), 정확하게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조임링(160)의 위치를 추적한다.
구체적으로, 의료진(외과의)이 상기 손잡이부(210)를 파지한 상태에서 환자의 외부에서 추적부(200)를 움직이면, 상기 센서부(230)가 조임링(160)의 자성체에 의한 홀 효과를 이용하여 조임링(160)의 위치를 추적하게 되고, 상기 표시부(400)를 통해 상기 센서부(230)와 조임링(160) 사이의 거리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환자의 외부에서 상기 추적부(200)를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환자의 병변 위치를 대략적으로 추적할 수 있으며, 이후 수술을 위한 절개를 실시하여 체내에서 구체적인 병변 위치를 추적하고 수술함에 따라 수술 시간이 단축되며 흉터가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복강경 수술 시 환자의 복부에 3개의 홀이 관통되되, 하나의 홀에는 상기 추적부(200)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230)를 통해 정확한 병변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나머지 두개의 홀에 병변의 절개를 위한 복강경 수술기구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체내 병변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에서부터 추적하는 과정까지 간편하고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병변 위치 마킹을 위해 병변에 결착되는 클립의 구성 일부를 자성체로 형성함에 따라 생산이 용이하고 소형화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수술 시간이 단축되며, 병변 위치 추적을 위해 절개하지 않고 외부에서 상기 클립의 자성체를 탐지하여 병변 위치를 추적하고 수술을 위한 절개를 실시함에 따라, 한 번의 절개만으로 수술이 가능하여 수술로 인한 흉터가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제1, 제2 실시예]
100: 클립 120: 한 쌍의 암부
122: 돌기부 140: 파지부
160: 조임링 200: 추적부
210: 손잡이부 220: 연장부
222: 센서장착부 222a: 슬롯
224: 커버부 230: 센서부
232: 홀센서 234: 가속도계
300: 처리부 320: 신호처리기
340: 제어기 400: 표시부
420: 디스플레이 440: 색표시부
460: 스피커 480: 진동부
[제3 실시예]
1200: 추적부 1210: 손잡이부
1220: 연장부 1230: 센서부
1232: 홀센서 1234: 가속도계
1300: 처리부 1310: 제1 송수신기
1320: 신호처리기 1340: 제어기
1400: 표시부 1410: 제2 송수신기
1420: 디스플레이 1440: 색표시부
1460: 스피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병변 부위에 결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클립; 및
    상기 자성체를 탐지하여 상기 클립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추적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적부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구비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홀 센서(hall sensor) 및 가속도계(accelerometer)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벌어진 형태로 뻗어나오는 한 쌍의 암부;
    상기 한 쌍의 암부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암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임링;을 포함하되,
    상기 조임링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5. 병변 부위에 결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클립; 및
    상기 자성체를 탐지하여 상기 클립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추적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적부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구비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홀 센서(hall sensor) 및 가속도계(accelerometer)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는 일부가 연장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센서장착부가 결합되며, 상기 센서장착부의 슬롯에 상기 센서부가 삽입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은 뮤메탈(mu-metal)로 이루어지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받은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처리부(processing unit); 및
    상기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받은 자성신호를 전송이 가능한 전자신호의 형태로 처리하는 신호처리기; 및
    상기 신호의 변경 및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신호처리기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신호를 외부에서 인식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클립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가 표시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클립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이 표시되는 색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클립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하가 되면 알림음을 내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클립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하가 되면 진동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거리는 10mm인,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는 일부가 연장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센서장착부가 결합되며, 상기 센서장착부의 슬롯에 상기 센서부가 삽입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부로 돌출된 센서장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센서부를 고정하기 위한 커버부;
    를 더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착부의 외면에는 나사산(screw)이 형성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102707A 2018-08-30 2018-08-30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을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KR101977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707A KR101977581B1 (ko) 2018-08-30 2018-08-30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을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PCT/KR2018/010947 WO2020045723A1 (ko) 2018-08-30 2018-09-18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707A KR101977581B1 (ko) 2018-08-30 2018-08-30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을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581B1 true KR101977581B1 (ko) 2019-09-03

Family

ID=6795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707A KR101977581B1 (ko) 2018-08-30 2018-08-30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을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7581B1 (ko)
WO (1) WO20200457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579A (ko) * 2020-07-31 2022-02-08 부산대학교병원 자기장 감지형 디텍터를 이용한 복강경 수술용 병변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3054A (ja) * 1993-09-14 1997-03-25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ワシントン 患者の体内の医療用チューブの位置検出装置及び方法
WO1999002098A1 (fr) * 1997-07-07 1999-01-21 Takeshi Ohdaira Detecteur de site presentant une lesion afin d'effectuer une intervention chirurgicale par laparotomie ou laparoscopie
KR20120004627A (ko) 2010-07-07 2012-01-1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병변 표시 장치 및 이를 장착하는 장착 장치
JP2017169676A (ja) * 2016-03-22 2017-09-28 株式会社日進製作所 医療用クリップおよびその位置特定器
KR20180135285A (ko) * 2017-06-12 2018-12-20 한국과학기술원 홀센서 및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병변 위치 탐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22283A3 (en) * 2003-03-17 2012-11-28 Sumitomo Bakelite Co., Ltd. Clip and clipping instrument for biological tissues
KR101263939B1 (ko) * 2011-12-02 2013-05-13 국립암센터 수술용 형광 표시 클립
KR101863440B1 (ko) * 2016-07-25 2018-05-31 (의료)길의료재단 환부 위치 파악을 위한 감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3054A (ja) * 1993-09-14 1997-03-25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ワシントン 患者の体内の医療用チューブの位置検出装置及び方法
WO1999002098A1 (fr) * 1997-07-07 1999-01-21 Takeshi Ohdaira Detecteur de site presentant une lesion afin d'effectuer une intervention chirurgicale par laparotomie ou laparoscopie
KR20120004627A (ko) 2010-07-07 2012-01-1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병변 표시 장치 및 이를 장착하는 장착 장치
JP2017169676A (ja) * 2016-03-22 2017-09-28 株式会社日進製作所 医療用クリップおよびその位置特定器
KR20180135285A (ko) * 2017-06-12 2018-12-20 한국과학기술원 홀센서 및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병변 위치 탐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579A (ko) * 2020-07-31 2022-02-08 부산대학교병원 자기장 감지형 디텍터를 이용한 복강경 수술용 병변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392183B1 (ko) * 2020-07-31 2022-04-27 부산대학교병원 자기장 감지형 디텍터를 이용한 복강경 수술용 병변 감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5723A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4624B1 (en) Surgery assisting apparatus
KR20180053811A (ko) 종양의 실시간 위치 파악이 가능한 거리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거리 검출 방법
EP1867271B1 (en) Endoscope insertion shape detecting device
US9155490B2 (en) Integrated stethoscope-metal detector device
JPH06142114A (ja) 体腔内処置装置
AU2003262269B2 (en) Holder
KR101977581B1 (ko)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을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KR101863440B1 (ko) 환부 위치 파악을 위한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60096284A (ko) 센서부 및 측정부를 구비한 내시경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JP2002113018A (ja) 体内位置検出システム
KR101954402B1 (ko) 홀센서 및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병변 위치 탐지 장치
US20140257089A1 (en) Mean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of retained surgical items and gossypiboma
KR101180078B1 (ko) 병변 표시 장치 및 이를 장착하는 장착 장치
WO1999002098A1 (fr) Detecteur de site presentant une lesion afin d'effectuer une intervention chirurgicale par laparotomie ou laparoscopie
KR101721749B1 (ko) 압력센서를 구비한 복강경 수술기구 및 이를 사용하는 환부 위치 감지 방법
WO2019022335A1 (ko) 오버튜브
KR102046712B1 (ko)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내시경용 캡 유닛
KR102125467B1 (ko)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
KR102373552B1 (ko) 위치탐지부를 이용한 병변 위치 탐지 장치
JP3213655U (ja) 脊髄・神経手術用器具及びシステム
CN219109439U (zh) 一种组织病灶定位检测装置
KR20180130784A (ko)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종양의 실시간 위치 파악이 가능한 방향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종양의 위치 검출 방법
KR102266569B1 (ko) 복강경수술용 금속탐지기
KR102517075B1 (ko) 자성의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의료기구 및 이를 이용한 치료대상 부위 마킹 및 탐지방법
KR101593778B1 (ko) 내시경에 적용될 수 있는 복강내 병변 위치 표지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