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651A -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651A
KR20190125651A KR1020180049717A KR20180049717A KR20190125651A KR 20190125651 A KR20190125651 A KR 20190125651A KR 1020180049717 A KR1020180049717 A KR 1020180049717A KR 20180049717 A KR20180049717 A KR 20180049717A KR 20190125651 A KR20190125651 A KR 20190125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ompartment
cooling fins
hea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Priority to KR1020180049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5651A/ko
Priority to CN201910129404.3A priority patent/CN110411070B/zh
Priority to US16/388,694 priority patent/US20190331403A1/en
Publication of KR2019012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with respect to movabl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freez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4Refrigerators with a horizontal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6Refrigerators with a vertical mull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측에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 위치되는 증발기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 유닛은, 내측을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 시켜, 공기를 냉각 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증발기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Evaporator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써,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장고의 내부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며, 냉기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과정을 거치는 냉동 사이클(Cycle)에 의한 냉매의 열 교환 작용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냉장고에는 증발기가 제공된다. 증발기는 내측을 유동하는 냉매와 증발기 주위의 공기를 열교환 시켜,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 때, 공기가 냉각되면서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증발기 주위에서 응결을 일으키면, 공기와 냉매의 열전달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증발기는 동작되는 과정에서 습기의 냉각으로 생성된 성애를 주기적으로 제거하여야 한다.
특허문헌: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8374호(2010.12.31.)
본 발명은 증발기가 효과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증발기 주위에서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결빙되는 현상이 감소되는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냉장실에서 유입된 공기가 냉기와 직접 접하는 것이 방지되는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 위치되는 증발기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 유닛은, 내측을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 시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증발기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복수가 설정 거리 이격 되어 일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는 냉각핀; 및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냉각핀과 열교환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매관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부가 상기 냉각핀의 열 사이로 삽입되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복수가 설정 거리 이격 되어 일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는 냉각핀;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냉각핀과 열교환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매관; 및 상기 냉각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히터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의 폭은 상기 증발기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의 하단은 폭 방향 양단보다 중앙 영역이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복수가 설정 거리 이격 되어 일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는 냉각핀; 및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냉각핀과 열교환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매관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의 하부는 상기 냉각핀의 열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배면을 향해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냉동실 및 냉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을 연결하여, 상기 냉장실의 온기가 상기 냉동실로 유입되게 하는 덕트;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및 상기 냉동실의 일측에 위치되는 증발기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 유닛은, 내측을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 시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덕트를 통해 상기 냉동실로 온기가 유입되는 영역의 앞쪽에 위치되어, 상기 덕트를 통해 유입된 온기와 상기 냉동실을 순환하는 냉기가 직접적으로 만나는 것을 차단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복수가 설정 거리 이격 되어 일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는 냉각핀;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냉각핀과 열교환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매관; 및 상기 냉각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히터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에서 상기 증발기 유닛이 위치되는 영역의 하부에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드레인 홀의 위쪽에 위치되는 영역이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구획부의 외측 모서리 또는 측면에는 설정 길이를 가지고 돌출되는 전달 핀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측을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 시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증발기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증발기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복수가 설정 거리 이격 되어 일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는 냉각핀;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냉각핀과 열교환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매관; 및 상기 냉각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히터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의 하단은 폭 방향 양단보다 중앙 영역이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구획부의 외측 모서리 또는 측면에는 설정 길이를 가지고 돌출되는 전달 핀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증발기가 효과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 주위에서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결빙되는 현상이 감소되는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에서 유입된 공기가 냉기와 직접 접하는 것이 방지되는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냉장고에 제공되는 덕트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도1의 냉장고에서 저장실의 배면 영역에 증발기 유닛이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증발기 유닛을 배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획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증발기 유닛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본체(10) 및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냉장고(1)의 배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을 두께 방향, 냉장고(1)의 일 측면에서 타 측면을 향하는 방향을 폭 방향, 냉장고(1)의 저면에서 상면을 향하는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 한다.
본체(10)는 냉장고(1)의 전체적인 외곽을 제공한다. 본체(1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실(11)이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11)은 배리어(12)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저장실(11)은 냉장실(R)과 냉동실(F)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냉장실(R)은 본체(10)의 상부에 위치되고, 냉동실(F)은 본체(1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20)가 설치된다. 도어(20)는 저장실(11)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일 예로, 도어(2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10)에 대해 회전 됨에 따라 저장실(11)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어(20)는 저장실(11)이 구획된 수에 대응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0)는 냉동실(F) 및 냉장실(R)의 전방에 각각 제공되어, 냉동실(F) 및 냉장실(R)을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냉장실(R)에는 좌우 양측으로 2개의 도어(20)가 제공될 수 도 있다. 도어(20)의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20) 선반(21)이 제공될 수 있다.
저장실(11)의 일측에는 제빙 장치(30)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빙 장치(30)는 저장실(1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냉장실(R)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빙 장치(30)는 도어(20)에 위치되거나, 냉동실(F)에 위치될 수 도 있다.
도 2는 도1의 냉장고에 제공되는 덕트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덕트(40)가 제공될 수 있다.
덕트(40)는 냉기 덕트(41) 및 회수 덕트(45)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 덕트(41)는 증발기(도 4의 51)의 주위 공간에서 형성된 냉기가 냉장고(1)의 다른 영역으로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증발기(51)는 냉동실(F)에 위치되도록 제공되고, 냉기 덕트(41)는 일단이 냉동실(F)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증발기(51)는 냉동실(F)의 배면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냉기 덕트(41)의 일단(이하, 공급단)은 냉동실(F)의 배면에 연결되게 제공될 수 있다.
냉기 덕트(41)는 제1 냉기 덕트(42) 및 제2 냉기 덕트(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기 덕트(42) 및 제2 냉기 덕트(43)는 공급단 또는 공급단에서 설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분지될 수 있다. 제1 냉기 덕트(42)는 제빙 장치(30)에 연결되어, 공급단으로 유입된 냉기를 제빙 장치(30)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냉기 덕트(43)는 냉장실(R)에 연결되어, 공급단으로 유입된 냉기를 냉장실(R)에 공급할 수 있다. 냉기 덕트(41)의 일 지점에는 팬(44)이 제공될 수 있다. 팬(44)은 냉기가 공급단으로 유입된 후 유동되는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팬(44)은 공급단에 위치될 수 있다.
회수 덕트(45)는 냉장고(1)의 다른 영역에서 증발기(51)의 주위로 공기가 회수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회수 덕트(45)는 제1 회수 덕트(46) 및 제2 회수 덕트(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수 덕트(46)의 양단은 제빙 장치(30)와 냉동실(F)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수 덕트(46)는 제빙 장치(30)로 공급된 후 얼음을 얼리는데 사용된 공기가 회수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제2 회수 덕트(47)의 양단은 냉장실(R)과 냉동실(F)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수 덕트(47)는 냉동실(F)에서 냉장실(R)로 공급되는 냉기에 대응하여, 냉장실(R)에서 냉동실(F)로 공기가 회수되게 한다.
도 3은 도 1의 냉장고에서 저장실의 배면 영역에 증발기 유닛이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증발기 유닛을 배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획부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증발기 유닛(50)은 증발기(51) 및 구획부(55)를 포함한다.
증발기 유닛(50)은 저장실(11)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증발기 유닛(50)은 냉동실(F)의 배면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증발기 유닛(50)은 증발기(51)의 외면에 습기의 냉각으로 인한 성애가 생성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내측을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 시켜 공기를 냉각한다.
이하, 증발기 유닛(50)이 도 3과 같이 냉장고(1)의 내측에 설치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냉장고의 두께 방향에 대응되게 배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X)이라 하고, 냉장고(1)의 폭 방향을 제2 방향(Y)이라 하고, 냉장고(1)의 높이 방향을 제3 방향(Z)이라 한다. 또한, 제1 방향(X)은 증발기 유닛(50)의 폭 방향, 제2 방향(Y)은 증발기 유닛(50)의 두께 방향, 제3 방향(Z)은 증발기 유닛(50)의 높이 방향이라 한다.
증발기(51)는 내측을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 시켜, 공기를 냉각 시킨다. 증발기(51)는 냉각핀(500) 및 냉매관(510)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핀(500)은 증발기(51)가 공기와 접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공기가 효과적으로 냉각되도록 한다. 냉각핀(500)은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냉각핀(500)은 복수가 설정 거리 이격 되어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하나의 열(row)을 이룰 수 있다. 냉각핀(500)의 열은 제2 방향(Y)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냉각핀(500)의 열은 제3 방향(Z)을 따라 복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냉각핀(500)의 열은 제1 방향(X)을 따라 복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냉각핀(500)의 열은 증발기(51)의 상부보다 증발기(51)의 하부에 작게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증발기(51)가 7개의 냉각핀(500)의 열을 가지고, 냉각핀(500)의 4개의 열은 증발기(51)의 제1 방향(X) 앞쪽에서 상하로 위치되고, 냉각핀(500)의 3개의 열은 증발기(51)의 제1 방향(X) 뒤쪽에서 상하로 배열되는 형태가 도시 되었다. 이에 따라, 증발기(51)의 하단부에는 냉각핀(500)의 열이 1개 제공된다.
냉매관(510)은 냉매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냉매관(510)은 냉각핀(500)과 접하는 상태로 제공되어, 냉각핀(500)과 열교환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예로, 냉매관(510)은 냉각핀(500)의 열(row) 방향을 따라 냉각핀(500)의 일 지점을 관통하는 형태로 냉각핀(500)의 내측에 위치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냉매관(510)의 외측 둘레에 냉각핀(500)이 위치되는 형태로 이해될 수 도 있다. 냉매관(510)은 냉각핀(500)의 열의 외측에서 구부러지는 구간을 갖도록 제공되어, 냉매관(510)은 모든 냉각핀(500)의 열을 적어도 1회 이상 지나도록 제공된다. 도 4에서는 냉매관(510)이 하나의 냉각핀(500)의 열을 2회 지나는 경우가 도시 되었다.
증발기(51)에는 폭 방향의 외측 영역에 지지부(530)가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530)는 폭 방향 외측의 한 쪽 또는 양 쪽에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530)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530)는 냉각핀(500)의 열의 외측에 위치되고, 냉매관(510)이 관통하면서 지나도록 제공되어, 냉매관(510)을 지지할 수 있다. 냉매관(510)은 일부 구간이 지지부(530)의 외측에서 구부러 질 수 있다.
증발기(51)에는 냉각핀(500)과 인접하게 히터(540)가 제공될 수 있다. 히터(540)는 설정 길이를 갖는 선형 히터(540)로 제공될 수 있다. 히터(540)는 설정 길이를 가지고 냉각핀(500)의 열의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구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히터(540)는 냉각핀(500)의 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냉각핀(500)의 열의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구간을 3개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히터(540)는 지지부(530)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부(530)의 외측에서 구부러진 구간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히터(540)는 증발기(51)의 하부에 위치되고, 냉각핀(500)의 열의 아래쪽에 위치될 수 있다.
구획부(55)는 증발기(51)의 두께 방향 내측 영역에 위치되어, 증발기(51)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구획부(55)는 증발기(51)의 하부 영역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획부(55)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획부(55)는 열 전도성 소재로 제공된다. 일 예로, 구획부(55)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구획부(55)는 높이 방향이 증발기(51)의 높이 방향을 향하고, 폭 방향이 증발기(51)의 폭 방향을 향하도록 증발기(51)에 설치될 수 있다.
구획부(55)의 상하 높이는 증발기(51)의 높이 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구획부(55)가 증발기(51)에 설치되면, 증발기(51)의 하부 영역이 구획부(55)에 의해 두께 방향을 따라 구획될 수 있다.
구획부(55)는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되는 삽입부(551) 및 하부에 위치되는 안내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51)의 하단부에 냉각핀(500)의 열이 1개 제공될 때, 삽입부(551)는 두께 방향으로 배열되는 냉각핀(500)의 열 사이에 삽입되는 형태로 위치되고, 안내부(552)는 증발기(51)의 하단부에 위치된 냉각핀(500)의 열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부(552)는 배면을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삽입부(551)와 안내부(552) 사이에는 냉장고(1)의 두께 방향을 향하는 넓이 방향을 따라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구획부(55)에는 폭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553)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553)는 안내부(552)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고정부(553)는 구획부(55)의 일측면에서 돌출되고, 아래쪽을 향해 개방된 고정홈(554)을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획부(55)는 고정홈(554)이 히터(540)의 위쪽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구획부(55)의 하단은 폭 방향 양단보다 중앙 영역이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부(55)의 하단은 폭 방향 양단에서 중앙 영역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획부(55)의 하단의 중앙 영역에는 위쪽으로 들어간 가이드 홈(555)이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 유닛(50)이 위치되는 저장실(11)의 배면 영역 하부에는 드레인 홀(60)이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홀(60)은 증발기(51)에서 떨어지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드레인 홀(60)의 주위에는 물이 드레인 홀(60)로 유동되도록 드레인 홈(61)이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홈(61)은 드레인 홀(60)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획부(55)의 하단에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된 중앙 영역은 드레인 홀(60)의 위쪽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540)가 동작되어, 증발기(51)의 제상이 이루어 질 때, 제상 과정에서 발생된 물은 구획부(55)의 하단의 중앙 영역으로 이동된 후 드레인 홀(60)을 통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증발기 유닛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증발기 유닛(50)은 증발기(51)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증발기(51)의 운영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증발기 유닛(50)이 냉동실(F)에 위치되면, 증발기 유닛(50)의 뒤쪽에 제1 회수 덕트(46)의 단부 및 제2 회수 덕트(47)의 단부가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수 덕트(46) 및 제2 회수 덕트(47)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51)로 유동하여 다시 냉각될 수 있다.
냉동실(F) 내의 공기는 순환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단에서 냉기의 배출이 발생됨에 따라, 공급단에서 먼 방향에서 공급단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될 수 있다.
증발기 유닛(50)에는 제1 회수 덕트(46)의 단부와 인접한 영역, 제2 회수 덕트(47)의 단부와 인접한 영역에서 냉기 및 온기가 만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 때, 온기가 습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경우, 냉기와 만난 온기에 포함된 습기는 급격히 냉각되면서 얼어, 증발기(51)의 외면에 성애를 형성하여, 증발기(51)의 동작 효율을 저해시킨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 유닛(50)은 온기가 유입되는 영역에서 앞쪽으로 설정 거리 이격 된 지점에 구획부(55)가 위치된다. 또한, 증발기 유닛(50)은 구획부(55)에 의해 증발기(51)의 앞쪽 영역과 뒤쪽 영역이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실(F)의 내부로 유입된 온기와 냉동실(F)의 내부를 순환하는 냉기가 증발기(51)의 주위에서 직접적으로 만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온기는 구획부(55)를 통해 냉기와 간접적으로 열교환을 하게 되어, 온기에 포함된 습기는 구획부(55)의 표면에서 결빙을 일으키게 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51)의 표면에서 결빙이 발생되는 정도가 감소되어, 증발기(51)의 동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온기가 유동 된 경로에 따라, 냉동실(F)로 유입되는 온기에 포함된 습기의 양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실(R)에서 제1 회수 덕트(46)를 통해 유입된 온기는 제빙 장치(30)에서 제2 회수 덕트(47)를 통해 유입된 온기보다 더 많은 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획부(55)는 증발기(5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제1 회수 덕트(46)의 앞쪽에 위치되는 형태로 증발기(51)에 설치될 수 있다.
냉동실(F)로 유입되는 온기는 온기가 유동된 경로에 따라 온도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실(R)에서 제1 회수 덕트(46)를 통해 유입된 온기는 제빙 장치(30)에서 제2 회수 덕트(47)를 통해 유입된 온기보다 온도가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단은 제1 회수 덕트(46)의 단부보다 제2 회수 덕트(47)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수 덕트(46)의 단부 및 제2 회수 덕트(47)의 단부는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되고, 공급단은 제2 회수 덕트(47)의 단부와 제3 방향(X)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제2 회수 덕트(47)의 단부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수 덕트(46)로 유입된 온기는 구획부(55)에 의해 유동이 가이드되어 공급단으로 이동되면서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51)의 하단부에는 구획부(55)를 기준으로 냉각실 배면의 반대 방향에만 냉각핀(500) 열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습기를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한 온기는 구획부(55)를 만나기 전에 냉각되는 정도가 감소되어, 온기에 포함된 습기가 증발기(51) 주위에서 결빙되는 것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구획부(55)는 히터(540)에 직접 접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히터(540)를 가동 시킴에 따라 구획부(55)의 외면에 형성된 성애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가열된 구획부(55)를 통해 증발기(51)로 열이 전달되어 증발기(51)의 제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구획부(56)에는 전달 핀(557)이 제공될 수 있다. 전달 핀(557)은 구획부(56)의 외측 모서리 또는 측면에서 설정 길이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획부(56)가 증발기(51)에 설치되면, 전달 핀(557)은 인접한 냉각핀(500)과 접하거나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전달 핀(557)은 구획부(56)가 설치된 영역보다 높게 위치된 냉각핀(500)과 접하거나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전달 핀(557)이 제공됨에 따라, 구획부(56)와 증발기(51) 사이의 열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51)가 가동될 때, 구획부(56)에 의해 가이드 되어 이동되는 온기는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제상 과정에서 구획부(56)를 통해 증발기(51)가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전달 핀(557)이 제공되는 점 외에, 구획부(56)에 제공되는 삽입부(551'), 안내부(552') 및 고정부(553')의 구성은 도 5의 구획부(55)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본체 11: 저장실
20: 도어 30: 제빙 장치
40: 덕트 41: 냉기 덕트
45: 회수 덕트 50: 증발기 유닛
51: 증발기 55: 구획부

Claims (14)

  1. 내측에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 위치되는 증발기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 유닛은,
    내측을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 시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증발기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복수가 설정 거리 이격 되어 일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는 냉각핀; 및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냉각핀과 열교환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매관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부가 상기 냉각핀의 열 사이로 삽입되는 형태로 위치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복수가 설정 거리 이격 되어 일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는 냉각핀;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냉각핀과 열교환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매관; 및
    상기 냉각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히터에 고정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의 폭은 상기 증발기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의 하단은 폭 방향 양단보다 중앙 영역이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복수가 설정 거리 이격 되어 일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는 냉각핀; 및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냉각핀과 열교환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매관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의 하부는 상기 냉각핀의 열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배면을 향해 노출되는 냉장고.
  7. 내측에 냉동실 및 냉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을 연결하여, 상기 냉장실의 온기가 상기 냉동실로 유입되게 하는 덕트;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및
    상기 냉동실의 일측에 위치되는 증발기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 유닛은,
    내측을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 시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덕트를 통해 상기 냉동실로 온기가 유입되는 영역의 앞쪽에 위치되어, 상기 덕트를 통해 유입된 온기와 상기 냉동실을 순환하는 냉기가 직접적으로 만나는 것을 차단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복수가 설정 거리 이격 되어 일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는 냉각핀;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냉각핀과 열교환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매관; 및
    상기 냉각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히터에 고정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에서 상기 증발기 유닛이 위치되는 영역의 하부에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드레인 홀의 위쪽에 위치되는 영역이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구획부의 외측 모서리 또는 측면에는 설정 길이를 가지고 돌출되는 전달 핀이 제공되는 냉장고.
  11. 내측을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 시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증발기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증발기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복수가 설정 거리 이격 되어 일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는 냉각핀;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냉각핀과 열교환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매관; 및
    상기 냉각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히터에 고정되는 증발기 유닛.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의 하단은 폭 방향 양단보다 중앙 영역이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증발기 유닛.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구획부의 외측 모서리 또는 측면에는 설정 길이를 가지고 돌출되는 전달 핀이 제공되는 증발기 유닛.

KR1020180049717A 2018-04-30 2018-04-30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90125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717A KR20190125651A (ko) 2018-04-30 2018-04-30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201910129404.3A CN110411070B (zh) 2018-04-30 2019-02-21 蒸发单元和具有蒸发单元的冰箱
US16/388,694 US20190331403A1 (en) 2018-04-30 2019-04-18 Evaporation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717A KR20190125651A (ko) 2018-04-30 2018-04-30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651A true KR20190125651A (ko) 2019-11-07

Family

ID=6829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717A KR20190125651A (ko) 2018-04-30 2018-04-30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331403A1 (ko)
KR (1) KR20190125651A (ko)
CN (1) CN1104110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110A (ko) * 2019-04-15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15481A (ko) * 2019-08-02 202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20202172A1 (de) * 2020-02-20 2021-08-26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Lamellenverdampfer
CN115325729B (zh) * 2022-07-01 2024-01-30 镇江市威胜电气有限公司 一种具有除霜功能的蒸发器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8374A (ko) 2009-06-25 2010-12-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제빙기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50361A1 (it) * 2005-05-27 2006-11-28 Itw Ind Components Srl Dispositivo e metodo di controllo della temperatura interna di una cella frigorifera in un frigorifero-congelatore di tipo combinato
JP2010060159A (ja) * 2008-09-01 2010-03-18 Daikin Ind Ltd 冷凍装置
JP2016031165A (ja) * 2014-07-28 2016-03-0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102204295B1 (ko) * 2015-04-20 2021-01-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증발기용 헤더 탱크
CN206113427U (zh) * 2016-09-01 2017-04-19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蒸发管、蒸发器及制冷装置
CN206861988U (zh) * 2016-11-01 2018-01-09 河南科隆集团有限公司 一种冰箱箱体内胆结构
CN207247632U (zh) * 2017-06-29 2018-04-17 青岛海尔特种电冰箱有限公司 蒸发器组件及具有该蒸发器组件的冰箱
CN107791918B (zh) * 2017-11-02 2020-07-03 广东英得尔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巴士专用车载冰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8374A (ko) 2009-06-25 2010-12-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제빙기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31403A1 (en) 2019-10-31
CN110411070A (zh) 2019-11-05
CN110411070B (zh)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3317B2 (en) Refrigerator
KR101649624B1 (ko) 냉장고
CN110411070B (zh) 蒸发单元和具有蒸发单元的冰箱
JP5847198B2 (ja) 冷蔵庫
US10746445B2 (en) Refrigerator
US20160370048A1 (en) Ice making duct for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ethod of using the same
JP6678542B2 (ja) 冷蔵庫
KR100633149B1 (ko) 냉장고
KR100469322B1 (ko) 증발기
JP6866995B2 (ja) 冷蔵庫
JP6697040B2 (ja) 冷蔵庫
KR100374169B1 (ko) 냉기순환 효율이 향상된 냉장고
KR100305542B1 (ko) 냉장고의증발기
US20220146155A1 (en) Refrigerator
CN111886461A (zh) 冰箱
KR102630192B1 (ko) 냉장고
KR100311370B1 (ko) 냉장고의냉기순환장치
KR100232828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KR100451222B1 (ko) 예착상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KR20200004218A (ko)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0149420Y1 (ko) 냉장고의 착상판
KR20020015242A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KR100597675B1 (ko) 냉장고
JP6145640B2 (ja) 冷蔵庫
KR20200004216A (ko)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