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303A - 모니터 지원 장치, 모니터 지원 방법 및 모니터 지원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모니터 지원 장치, 모니터 지원 방법 및 모니터 지원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303A
KR20190125303A KR1020197023788A KR20197023788A KR20190125303A KR 20190125303 A KR20190125303 A KR 20190125303A KR 1020197023788 A KR1020197023788 A KR 1020197023788A KR 20197023788 A KR20197023788 A KR 20197023788A KR 20190125303 A KR20190125303 A KR 20190125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monitor data
data
unit
control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6595B1 (ko
Inventor
기미아키 사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5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6Programming the PL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142Debugging, trac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174Pc, computer connected to plc to simulate mach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모니터 지원 장치(20)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10))에 실행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복수의 명령의 각각이 실행될 때마다, 명령이 실행된 결과가 기억되는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모니터 데이터로 하여, 명령과 대응지어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부(5)와,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복수의 명령과,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서 취득된 모니터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니터 지원 장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모니터 지원 방법 및 모니터 지원 프로그램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PLC)의 상태를 모니터하는 기능을 가지는 모니터 지원 장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모니터 지원 방법 및 모니터 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공장의 생산 설비의 제어에는, 일반적으로 PLC로 불리는 산업용 컨트롤러가 이용되고 있다. PLC의 기억 영역에는, 외부로부터 PLC로 입력되는 데이터, PLC로부터 외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시에 사용하는 데이터 등의 값이 기억된다. 각각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영역을 미리 할당해 두고, 이 기억 영역의 어드레스를 사용함으로써, PLC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은, 각각의 기억 영역에 기억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 프로그램이 기대한 대로 동작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유저는 기억 영역에 기억된 값을 확인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제어 프로그램의 수정 작업을 효율화하기 위해서, 제어 프로그램과 나란히,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의 이력을 그래프 표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각 기억 영역에 기억된 값을 정기적으로 수집하고, 수집 시각과 대응지어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제2014/167726호
그렇지만,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각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일정한 주기로 수집하고 있기 때문에, 수집한 값은 각 명령이 실행되었을 때의 값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제어 프로그램의 각 명령과,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여, 유저가 제어 프로그램의 동작을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어 프로그램의 동작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모니터 지원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지원 장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에 실행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복수의 명령의 각각이 실행될 때마다, 명령이 실행된 결과가 기억되는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모니터 데이터로 하여, 명령과 대응지어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부와,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복수의 명령과,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서 취득된 모니터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지원 장치는 제어 프로그램의 동작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모니터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PLC가 사용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범위 지정부가 화면상에 표시하는 모니터 범위 지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모니터 대상 정보 특정부가 특정하는 모니터 대상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되는 표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프로그램 표시부가 표시한 제어 프로그램에 모니터 데이터 갱신부가 모니터 데이터를 중첩하여 표시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이력 표시부가 표시하는 이력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강조 표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데이터 취득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PLC 및 모니터 지원 장치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PLC 및 모니터 지원 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전용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모니터 지원 장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모니터 지원 방법 및 모니터 지원 프로그램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모니터 지원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모니터 지원 시스템(100)은 PLC(10)와, 모니터 지원 장치(20)를 가진다.
PLC(10)는 공장 등의 생산 설비를 제어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제어 장치이며,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공작 기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모니터 지원 장치(20)는 PLC(10)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램 작성 장치이며, PLC(10)의 상태를 모니터하는 기능을 가진다.
PLC(10)는 프로그램 실행부(1)와, 기억부(2)와,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와, 모니터 데이터 기억부(4)를 가진다. 프로그램 실행부(1)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공작 기계 등을 제어한다. 프로그램 실행부(1)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기억부(2)의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갱신할 수 있다. 프로그램 실행부(1)는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을 실행할 때마다, 실행한 명령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에 통지한다.
기억부(2)는 격납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미리 할당된 복수의 기억 영역을 가진다. 프로그램 실행부(1)는 기억부(2)의 어드레스를 사용함으로써, 기억부(2)의 각 기억 영역에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각 기억 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거나 할 수 있다. 이 기억 영역은 PLC(10)의 외부로부터도 기입하거나 읽어내거나 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PLC(10)의 외부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기억부(2)는 프로그램 실행부(1)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을 때 사용하는 데이터의 값을 격납할 수도 있다. 기억부(2)의 기억 영역은, 데이터 타입을 나타내는 문자와,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는 X, 출력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는 Y,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비트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는 M, 워드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는 D 등으로 정해져 있다. 이 경우, 입력 데이터를 격납하는 기억 영역의 어드레스가 0인 것은 「X0」으로 표기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PLC(10)가 사용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PLC(10)가 사용하는 제어 프로그램은, 시퀀스 프로그램이라고도 불리고, 변수, 기억부(2)의 기억 영역의 어드레스, 수치, 명령 등을 이용하여 기술(記述)된다. 제어 프로그램에는 복수의 명령이 포함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제어 프로그램의 1행째는, 기억 영역 M0의 값이 「ON」인 경우, 기억 영역 D0에 값 「1」을 카피한다고 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 프로그램의 2행째는, 기억 영역 M1의 값이 「ON」인 경우, 기억 영역 D0에 값 「2」를 카피한다고 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 프로그램의 3행째는, 기억 영역 M2의 값이 「ON」인 경우, 기억 영역 D0에 값 「3」을 카피한다고 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 프로그램의 4행째는, 기억 영역 M3의 값이 「ON」인 경우, 기억 영역 D1에 격납된 값에 「1」을 가산한다고 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 프로그램의 5행째는, 기억 영역 M0의 값이 「ON」인 경우, 기억 영역 D0에 값 「1」을 카피한다고 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 프로그램의 6행째는, 기억 영역 M1의 값이 「ON」인 경우, 기억 영역 D0에 값 「2」를 카피한다고 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제어 프로그램은, 복수의 명령과, 각 명령의 실행 조건과, 명령에 의해 갱신되는 기억 영역의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다. 명령은 PLC(10)에 제어시키고 싶은 내용의 최소 단위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프로그램의 4행째의 예에서는, 명령은 「가산한다」이고, 명령의 실행 조건은 「기억 영역 M3의 값이 ON인 것」이고, 명령에 의해 갱신되는 기억 영역의 어드레스는 기억 영역 D1이다.
도 1의 설명으로 돌아간다.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는 모니터 지원 장치(2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이 실행되었을 때의 모니터 대상의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인 모니터 데이터를 생성한다. 모니터 대상의 기억 영역은, 명령이 사용하는 기억 영역이며, 구체적으로는, 명령이 실행된 결과가 기억되는 기억 영역과, 명령을 실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참조하는 기억 영역을 포함한다.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는 생성한 모니터 데이터를, 모니터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모니터 지원 장치(20)에 송신한다.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는 프로그램 실행부(1)로부터, 실행된 명령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통지된 타이밍에 맞춰 기억부(2)의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취득함으로써,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이 실행된 타이밍에 맞춰, 모니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는 실행된 명령과, 당해 명령이 사용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인 모니터 데이터를 대응지어, 모니터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모니터 지원 장치(20)에 송신한다.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는 모니터 데이터를, 모니터 데이터가 취득된 시각 정보와 대응지을 수도 있다.
모니터 데이터 기억부(4)는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로부터 입력되는 모니터 데이터를, 명령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모니터 데이터가 취득된 시각과 대응지어 기억한다. 기억부(2)의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은, 명령의 실행이나 PLC(10)의 외부로부터의 입력 데이터 등에 의해서 고쳐 써지기 때문에, 경시적으로 변화하는 것에 반하여, 모니터 데이터 기억부(4)에는,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이 실행된 타이밍의 값이 유지되게 된다.
모니터 지원 장치(20)는 퍼스널 컴퓨터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툴로서 제공되고, PLC(10)가 설비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의 편집을 지원하거나, PLC(10)를 모니터 지원 장치(20)에 접속하여, 제어 프로그램의 가동 상태를 확인하거나, 편집한 제어 프로그램을 PLC(10)로 전송하거나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모니터 지원 장치(20)는 데이터 취득부(5)와, 표시 데이터 기억부(6)와, 표시 제어부(7)를 가진다. 데이터 취득부(5)는 PLC(10)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 데이터를 PLC(10)로부터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취득부(5)는 제어 프로그램 내의 모니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범위를 지정하는 범위 지정부(51)와, 범위 지정부(51)에 의해서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니터 대상이 되는 기억 영역의 어드레스를 특정하는 모니터 대상 정보 특정부(52)를 포함한다.
범위 지정부(51)는 제어 프로그램 중에서, 모니터 대상이 되는 범위를 지정한다. 모니터 지원 장치(20)의 모니터 기능은, 예를 들면 디버그시 등 제어 프로그램이 기대대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모든 범위의 모니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 처리 부하가 커지거나, 모니터 데이터의 기억 용량이 커지거나 하기 때문에, 범위 지정부(51)는, 필요에 따라서, 모니터 대상이 되는 범위를 좁힐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범위 지정부(51)가 화면상에 표시하는 모니터 범위 지정 화면(51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모니터 범위 지정 화면(511)을 사용함으로써, 유저는 제어 프로그램의 범위를 행수로 지정할 수 있다. 범위 지정부(51)는 유저가 모니터 범위 지정 화면(511)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니터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덧붙여, 범위 지정부(51)가 모니터 대상 범위를 지정하는 방법은, 모니터 범위 지정 화면(511)을 사용하는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범위 지정부(51)는 유저가 입력한 값으로 한정하지 않고, 임의의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도출된 범위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범위 지정부(51)는 기계 학습을 이용해서 도출된 범위를 사용해도 된다.
모니터 대상 정보 특정부(52)는 제어 프로그램 내, 범위 지정부(51)에 의해서 지정된 범위 중에서, 모니터 대상이 되는 기억 영역을 특정한다. 예를 들면, 범위 지정부(51)에 의해서, 2행째~4행째가 모니터 대상 범위로서 지정되었을 경우, 모니터 대상 정보 특정부(52)는 제어 프로그램의 2행째~4행째 중에서, 명령이 사용하고 있는 기억 영역을 특정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모니터 대상 정보 특정부(52)가 특정하는 모니터 대상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모니터 대상 정보 특정부(52)는 제어 프로그램의 2행째의 기억 영역 M1 및 기억 영역 D0, 3행째의 기억 영역 M2 및 기억 영역 D0, 4행째의 기억 영역 M3 및 기억 영역 D1이 모니터 대상이라고 특정할 수 있다.
모니터 대상 정보 특정부(52)는 모니터 대상의 명령과, 명령이 실행된 결과가 기억되는 기억 영역과, 명령을 실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참조하는 기억 영역을 대응지어, 모니터 대상 정보로 한다. 모니터 대상 정보 특정부(52)는 모니터 대상 정보를 PLC(10)에 송신한다.
데이터 취득부(5)는 모니터 대상 정보에 따라서 PLC(10)가 작성한 모니터 데이터와, 모니터 데이터에 대응지어진 명령을 나타내는 정보와, 모니터 데이터가 취득된 시각을 수신하여, 표시 데이터 기억부(6)에 기억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6)로 기억되는 표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데이터는 명령을 나타내는 정보인 제어 프로그램 내의 행수와, 이 명령에 대응지어 취득된 모니터 데이터와, 모니터 데이터가 취득된 시각을 포함하고 있다.
PLC(10)의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는, 명령이 실행될 때마다 모니터 데이터를 취득하여 모니터 지원 장치(20)에 송신하기 때문에, 데이터 취득부(5)는 명령이 실행될 때마다 모니터 데이터를 취득하게 된다. 또, 데이터 취득부(5)는 PLC(10)로부터 모니터 데이터를 취득할 때마다 표시 데이터 기억부(6)에 기억하기 때문에, 표시 데이터 기억부(6)에 기억된 모니터 데이터는, 명령이 실행될 때마다 갱신되게 된다.
표시 제어부(7)는, 화면상에, 제어 프로그램과,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이 실행되었을 때의 모니터 데이터의 값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7)는 프로그램 표시부(71)와, 모니터 데이터 갱신부(72)와, 이력 표시부(73)와, 강조 표시부(74)를 가진다. 표시 제어부(7)가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표시 장치의 화면상에 제어 프로그램, 모니터 데이터 등을 표시해도 되고, 표시 제어부(7)는 외부의 표시 장치와 접속되어 있고, 외부의 표시 장치의 화면상에 제어 프로그램, 모니터 데이터 등을 표시해도 된다.
프로그램 표시부(71)는 화면상에 제어 프로그램을 표시한다. 프로그램 표시부(71)는,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릴레이 회로를 본뜬 래더도의 형식으로 제어 프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다.
모니터 데이터 갱신부(72)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6)에 기억된 모니터 데이터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표시부(71)가 표시한 제어 프로그램에 중첩하여, 모니터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모니터 데이터 갱신부(72)는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을 이 명령과 대응지어 취득된 모니터 데이터와 대응지어 표시한다. 모니터 데이터 갱신부(72)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6)에 기억된 모니터 데이터 중, 명령 및 기억 영역의 조합마다의 최신값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프로그램 표시부(71)가 표시한 제어 프로그램에 모니터 데이터 갱신부(72)가 모니터 데이터를 중첩하여 표시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2행째~4행째가 모니터 범위로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프로그램의 2행째~4행째에 모니터 데이터의 값이 중첩되어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가 표시 데이터 기억부(6)에 기억되어 있는 상태일 때, 표시 제어부(7)가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 프로그램 중의 기억 영역을 나타내는 표시와 중첩되어, 기억 영역에 격납된 값인 모니터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이 화면을 보는 유저는 제어 프로그램의 2행째가 마지막에 실행되었을 때, 기억 영역 M1의 값이 「ON」이고, 기억 영역 D0에 값 「2」가 카피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최신의 모니터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 이외에도, 표시 제어부(7)는 모니터 데이터의 이력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력 표시부(73)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6)에, 동일한 명령과 대응지어진 동일한 모니터 데이터의 값이 복수 기억되어 있는 경우, 이력 표시 지시를 검지하면, 이력 정보로서 복수의 모니터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이력 표시부(73)가 표시하는 이력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력 표시부(73)는, 예를 들면, 제어 프로그램에 명령마다 기술된 기억 영역에 대한 선택 조작을 검지하면, 선택된 기억 영역에 격납된 값의 이력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력 표시부(73)가 이력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도 7에 나타내는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력 표시부(73)는 복수의 기억 영역의 이력을 동시에 표시해도 되며, 이력의 수는 3회분으로 한정하지 않고, 임의의 수로 할 수 있다. 명령 및 기억 영역의 조합마다, 기억 영역에 격납된 값의 이력을 표시함으로써, 명령과, 이 명령이 사용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의 관계를 파악하기 쉬워진다.
강조 표시부(74)는 제어 프로그램상에 표시된 모니터 데이터를 강조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강조 표시부(74)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6)에 기억된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기억 영역이 사용된 순번에 따라서, 강조 표시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차례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 강조 표시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변화시키는 순번은, 기억 영역이 사용된 순번에 기초하여, 새로운 것부터 오래된 것으로 향하는 순번이어도 되고, 오래된 것부터 새로운 것으로 향하는 순번이어도 된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강조 표시부(74)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강조 표시부(74)는 도 8의 (A)에 나타내는 것처럼, 4행째의 기억 영역 M3의 부분을 강조 표시한 상태로부터, 도 8의 (B)에 나타내는 것처럼, 3행째의 기억 영역 M2의 부분을 강조 표시한 상태로 변화시키고, 그 후, 도 8의 (C)에 나타내는 것처럼, 2행째의 기억 영역 D0의 부분을 강조 표시하고, 도 8의 (D)에 나타내는 것처럼, 2행째의 기억 영역 M1의 부분을 강조 표시한 상태로 변화시킨다. 강조 표시부(74)는 모니터 데이터를 새로운 것부터 오래된 것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순번으로 강조 표시하고 있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도 8의 (B)에 나타내는 것처럼, 3행째의 기억 영역 M2의 값이 「OFF」이고, 3행째에서는, 기억 영역 D0에 값 「3」을 카피하는 처리는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강조 표시도 생략된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모니터 지원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모니터 지원 장치(20)는 모니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동작과, 표시하는 동작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모니터 지원 장치(20)가 모니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데이터 취득부(5)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데이터 취득부(5)의 범위 지정부(51)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것 같은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당해 입력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을 검지함으로써, 모니터 대상으로서 지정된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101).
데이터 취득부(5)의 모니터 대상 정보 특정부(52)는, 범위 지정부(51)가 취득한 모니터 대상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모니터 대상의 범위 내의 제어 프로그램으로부터, 모니터 대상의 명령이 실행된 결과가 기억되는 기억 영역 및 모니터 대상의 명령을 실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참조한 기억 영역을 추출하여, 취득하는 대상의 모니터 데이터를 지정하는 모니터 대상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102). 모니터 대상 정보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표의 시각 및 값의 란이 공백의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모니터 대상 정보 특정부(52)는 생성한 모니터 대상 정보를 PLC(10)에 송신한다(스텝 S103). 이어서 데이터 취득부(5)는 모니터 대상 정보의 송신지의 PLC(10)로부터 모니터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4). 모니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04:No), 데이터 취득부(5)는 모니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 스텝 S104의 처리를 반복한다.
모니터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스텝 S104:Yes), 데이터 취득부(5)는 수신한 모니터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로서 표시 데이터 기억부(6)에 기억시킨다(스텝 S105).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부(7)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표시 제어부(7)의 프로그램 표시부(71)는, 제어 프로그램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모니터 데이터 갱신부(72)는 미리 정해진 표시 데이터 갱신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1). 표시 데이터 갱신 시간이 경과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201:No), 모니터 데이터 갱신부(72)는 표시 데이터 갱신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스텝 S201의 처리를 반복한다.
표시 데이터 갱신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스텝 S201:Yes), 모니터 데이터 갱신부(72)는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마다 모니터 데이터의 최신값을 화면상에 표시한다(스텝 S202).
또 강조 표시부(74)는 강조 표시를 지시하는 강조 표시 조작을 검지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3). 강조 표시 조작이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S203:Yes), 강조 표시부(74)는 기억 영역이 사용된 순번에 기초하여, 강조 표시하는 위치를 이동시킨다(스텝 S204). 강조 표시 조작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스텝 S203:No), 스텝 S204의 처리는 생략된다.
이력 표시부(73)는 이력 표시를 지시하는 이력 표시 조작을 검지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5). 이력 표시 조작이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S205:Yes), 이력 표시부(73)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6)에 기억된 데이터로부터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스텝 S206). 이력 표시 조작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스텝 S205:No), 스텝 S206의 처리는 생략된다.
덧붙여, 도 10에 나타낸 동작은 일례이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모니터 데이터 갱신부(72)는 일정한 주기로 표시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으로 했지만, 표시 데이터 기억부(6)의 값이 갱신되는 타이밍을 알 수 있으면, 갱신마다 표시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갱신해도 된다. 또, 표시 제어부(7)가 동작하는 순번은, 도 10에 나타내는 예로 한정하지 않는다. 스텝 S201 및 스텝 S202의 처리와, 스텝 S203 및 스텝 S204의 처리와, 스텝 S205 및 스텝 S206의 처리는 동시에 행해져도 되고, 실행하는 순번을 바꿔 넣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는 모니터 대상 정보를 수신한다(스텝 S301).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는 수신한 모니터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모니터 데이터 기억부(4)에 모니터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영역을 확보한다(스텝 S302).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는 프로그램 실행부(1)로부터 통지되는, 실행한 명령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의 유무에 기초하여, 실행된 명령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 명령이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03).
명령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스텝 S303:No),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는, 스텝 S303의 처리를 반복한다. 명령이 실행되었을 경우(스텝 S303:Yes),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는 모니터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기억부(2)에 기록하여 모니터 데이터를 생성한다(스텝 S304).
모니터 데이터를 생성하면,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는 생성한 모니터 데이터를, 모니터 지원 장치(20)에 송신한다(스텝 S305).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는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06).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되었을 경우(스텝 S306:Yes),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는 처리를 종료한다.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06:No),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3)는, 스텝 S303의 처리로 돌아가,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될 때까지 스텝 S303~스텝 S306의 처리를 반복한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내는 PLC(10) 및 모니터 지원 장치(20)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PLC(10) 및 모니터 지원 장치(20)의 기능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전용의 하드웨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PLC(10) 및 모니터 지원 장치(20)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PLC(10) 및 모니터 지원 장치(20)의 각 기능은, 프로세서(91)가 메모리(92)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9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며,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도 불린다.
메모리(92)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쉬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등록상표)(Electrically EPROM) 등의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이다. 메모리(92)는 프로세서(91)가 실행하는 각 처리에 있어서의 일시 메모리로서도 이용된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PLC(10) 및 모니터 지원 장치(20)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전용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PLC(10) 및 모니터 지원 장치(20)의 기능은, 전용의 하드웨어인 처리 회로(93)를 이용해서 실현할 수도 있다. 처리 회로(93)는, 예를 들면,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이것들을 조합하는 것이다.
상기의 PLC(10) 및 모니터 지원 장치(20)의 각각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통신 매체를 통해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의 형식으로 제공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모니터 지원 장치(20)는, PLC(10)가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을 실행할 때마다, 실행한 명령이 실행된 결과가 기억되는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기록하여 모니터 데이터를 생성한다. 모니터 데이터는 실행한 명령과 대응지어 기억되고, 표시 제어부(7)는 대응하는 명령과 함께 모니터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 때문에, 명령이 실행되었을 때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확실히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유저가 제어 프로그램의 동작을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특히, 제어 프로그램 내에서 동일한 기억 영역에 기억된 값이 복수 회 사용되고 있는 경우나, 제어 프로그램이 반복하여 실행되는 경우에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기억 영역의 값을 취득하면, 각 명령과의 대응 관계를 알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의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제어 프로그램의 디버그 작업 등에서 기억 영역에 기억된 값을 확인할 때, 명령마다 제어 프로그램의 처리를 일시 정지할 필요가 없어져, 명령이 실행되었을 때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 모니터 지원 장치(20)는 모니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범위를 지정하는 범위 지정부(51)를 가진다. 이 때문에, PLC(10) 및 모니터 지원 장치(20)가 취급하는 데이터량을 저감시킬 수 있어, 처리 부하의 저감, 필요한 기억 용량의 저감으로 이어진다. 또, 표시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필요한 범위로 좁힐 수 있기 때문에, 화면상에 표시되는 모니터 데이터가 보기 쉬워져, 제어 프로그램이 취급하는 데이터수가 많은 경우에도, 유저가 제어 프로그램의 동작을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복수의 명령의 각각과, 각 명령이 사용한 기억 영역에 기억된 값을 나타내는 모니터 데이터는, 제어 프로그램 중에서 명령이 기술된 행수를 이용하여 직접 대응지어져 있다. 그렇지만, 명령과 모니터 데이터를 대응짓기 위한 정보는,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데이터 취득부(5)가 명령이 실행될 때마다 모니터 데이터를 시각과 대응지어 취득하고, 프로그램 실행부(1)가 각 명령을 실행한 시각을 기록하고 있으면, 간접적으로, 명령과 모니터 데이터를 대응지을 수 있다.
1: 프로그램 실행부 2: 기억부
3: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 4: 모니터 데이터 기억부
5: 데이터 취득부 6: 표시 데이터 기억부
7: 표시 제어부 10: PLC
20: 모니터 지원 장치 51: 범위 지정부
52: 모니터 대상 정보 특정부 71: 프로그램 표시부
72: 모니터 데이터 갱신부 73: 이력 표시부
74: 강조 표시부 91: 프로세서
92: 메모리 93: 처리 회로
100: 모니터 지원 시스템 511: 모니터 범위 지정 화면

Claims (15)

  1.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에 실행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복수의 명령의 각각이 실행될 때마다, 상기 명령이 실행된 결과가 기억되는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모니터 데이터로 하여, 상기 명령과 대응지어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복수의 명령과, 상기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서 취득된 상기 모니터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취득부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 내의 상기 모니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범위를 지정하는 범위 지정부를 가지고, 지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상기 명령이 실행된 결과가 기억되는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상기 모니터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원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취득부는 상기 모니터 데이터를 당해 모니터 데이터가 취득된 시각과 대응지어 취득하고,
    상기 명령과, 상기 명령과 대응지어 취득된 모니터 데이터와, 당해 모니터 데이터가 취득된 시각을 대응지어 기억하는 표시 데이터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모니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상에 표시된 모니터 데이터의 이력을 상기 명령마다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이력 표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표시한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중첩하여, 상기 모니터 데이터의 이력을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력 표시부는 상기 화면상에 표시된 복수의 모니터 데이터 중, 선택된 모니터 데이터의 이력을, 상기 선택된 모니터 데이터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원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화면상에 표시된 복수의 모니터 데이터를, 당해 모니터 데이터가 취득된 시각에 따라서, 순번대로 강조 표시하는 강조 표시부를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표시한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중첩하여 상기 모니터 데이터를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강조 표시부는 상기 화면상에 표시된 복수의 상기 모니터 데이터 중 강조 표시하는 모니터 데이터를 차례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원 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모니터 데이터 중에서, 명령마다의 최신값을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표시한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중첩하여 상기 최신값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원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취득부는 상기 명령을 실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참조한 기억 영역의 값을 상기 명령과 대응지어 상기 모니터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원 장치.
  12.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실행부와,
    기억하는 데이터의 종류가 할당된 복수의 기억 영역을 가지는 기억부와,
    상기 프로그램 실행부가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을 실행할 때마다, 상기 명령이 실행된 결과가 기억되는 상기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모니터 데이터로서 취득하여, 상기 모니터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니터 지원 장치에 상기 모니터 데이터와 상기 명령을 대응지어 송신하는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데이터 관리부는 취득하는 대상의 모니터 데이터를 지정하는 모니터 대상 정보를 상기 모니터 지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모니터 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니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14. 기억하는 데이터의 종류가 할당된 복수의 기억 영역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와, 당해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상기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모니터하는 모니터 지원 장치를 구비하는 모니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복수의 명령의 각각을,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가 실행할 때마다, 상기 명령이 실행된 결과가 기억되는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모니터 데이터로 하여, 상기 명령과 대응지어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가, 실행된 명령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당해 명령에 대응지어진 상기 모니터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 지원 장치에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모니터 지원 장치가, 상기 실행된 명령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당해 명령에 대응지어진 상기 모니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모니터 지원 장치가,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복수의 명령의 각각과, 상기 복수의 명령의 각각에 대응지어진 상기 모니터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원 방법.
  15.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에 실행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복수의 명령의 각각이 실행될 때마다, 상기 명령이 실행된 결과가 기억되는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값을 모니터 데이터로 하여, 상기 명령과 대응지어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복수의 명령과, 상기 복수의 명령의 각각에 대응지어진 상기 모니터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원 프로그램.
KR1020197023788A 2018-04-25 2018-04-25 모니터 지원 장치, 모니터 지원 방법 및 모니터 지원 프로그램 KR102096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6792 WO2019207679A1 (ja) 2018-04-25 2018-04-25 モニタ支援装置、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モニタ支援方法およびモニタ支援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303A true KR20190125303A (ko) 2019-11-06
KR102096595B1 KR102096595B1 (ko) 2020-04-02

Family

ID=6535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788A KR102096595B1 (ko) 2018-04-25 2018-04-25 모니터 지원 장치, 모니터 지원 방법 및 모니터 지원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69330B1 (ko)
KR (1) KR102096595B1 (ko)
CN (1) CN110637263B (ko)
WO (1) WO20192076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9861B (zh) * 2021-11-10 2022-02-01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分散控制系统后台在线命令接收与下发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8605A (ja) * 2001-03-21 2002-09-27 Hitachi Ltd Plcモニタ装置、及びその参照データ・動作プログラム
KR20070042435A (ko) * 2006-01-05 2007-04-23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디지털 제어용 경보창의 경보 감시방법
WO2014167726A1 (ja) 2013-04-12 2014-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周辺装置およびデバッグ支援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3515A (ja) * 1994-10-25 1996-05-17 Fanuc Ltd シーケンス・プログラムの表示方式
JPH10260864A (ja) * 1997-03-18 1998-09-29 Nec Eng Ltd トレース装置
JP3927042B2 (ja) * 2002-02-05 2007-06-06 株式会社東芝 制御システム
JP2006209381A (ja) * 2005-01-27 2006-08-10 Digital Electronics Corp 制御用表示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434941B2 (ja) * 2011-03-22 2014-03-05 横河電機株式会社 操作監視装置及び操作監視方法
WO2014080490A1 (ja) * 2012-11-22 2014-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方法および記録媒体
CN106462139B (zh) * 2014-05-28 2019-03-08 三菱电机株式会社 可编程显示器以及绘图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8605A (ja) * 2001-03-21 2002-09-27 Hitachi Ltd Plcモニタ装置、及びその参照データ・動作プログラム
KR20070042435A (ko) * 2006-01-05 2007-04-23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디지털 제어용 경보창의 경보 감시방법
WO2014167726A1 (ja) 2013-04-12 2014-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周辺装置およびデバッグ支援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595B1 (ko) 2020-04-02
CN110637263A (zh) 2019-12-31
JPWO2019207679A1 (ja) 2020-05-07
CN110637263B (zh) 2022-08-19
JP6469330B1 (ja) 2019-02-13
WO2019207679A1 (ja)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031B1 (ko) 시스템 구축 지원 툴 및 시스템
US9841744B2 (en) Programmable controller, peripheral device thereof, and table data access program of programmable controller
TWI467472B (zh) 具備可程式顯示器之控制系統、可程式顯示器及屬於其作圖資料作成手段之作圖程式產品
JP5583305B2 (ja)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プログラミングツール及びプログラム・パラメータ編集システム
JP4820265B2 (ja) 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
JP6150956B1 (ja) 負荷分散装置
JP2009104502A (ja) トレンドグラフ表示方法及び装置
JP2019028518A (ja) 数値制御装置、および、数値制御装置の制御方法
CN105408827B (zh) 可编程控制器系统、可编程控制器、程序显示装置、程序的显示方法
CN103477291A (zh) 参数设定装置及参数设定系统
KR102096595B1 (ko) 모니터 지원 장치, 모니터 지원 방법 및 모니터 지원 프로그램
JP2010287034A (ja) 外部機器とPLCとのModbusプロトコル通信アドレス表示方式
CN105869309A (zh) 驱动模块内存数据监测方法及装置
US20190204803A1 (en)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system,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and engineering tool program
JP2008052738A (ja) クロックタイムの最適化、プロセスの最適化及び/又は機械の最適化のための自動化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1010245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21044654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051545B2 (ja) Plcシステム、状態表示方法、plc、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JP6071782B2 (ja) プラント制御装置、プラント制御方法及びプラント制御プログラム
JP2012123498A (ja) 時系列データを保存する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5017047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内部メモリに対する外部アクセスデータ判別システムおよび該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KR101918430B1 (ko) 시스템 설계 지원 툴
CN105706067A (zh) 内置闪存的微型计算机、向内置于微型计算机的闪存的数据写入方法、以及向闪存写入数据的程序
JP5832368B2 (ja) 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
JP2016167182A (ja) 制御プログラム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