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157A - 정보처리 장치와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처리 장치와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157A
KR20190125157A KR1020180169558A KR20180169558A KR20190125157A KR 20190125157 A KR20190125157 A KR 20190125157A KR 1020180169558 A KR1020180169558 A KR 1020180169558A KR 20180169558 A KR20180169558 A KR 20180169558A KR 20190125157 A KR20190125157 A KR 20190125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ories
meal
exercise
us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치무 이나다
Original Assignee
패밀리 이나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패밀리 이나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패밀리 이나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5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92Nutr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1Ergometry, e.g. by using bicycle typ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6Evaluating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bes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식사와 운동의 양쪽을 고려한 종합적인 건강 관리를 한다. 정보처리 장치(40)는 단위기간 동안의 잉여 칼로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식사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식사 관리 처리와, 상기 단위기간 동안의 부족 운동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운동 관리 처리를 상기 단위기간 동안에 반복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잉여 칼로리는 상기 단위기간 개시시점에서 상기 잉여 칼로리 산출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사용자의 누계 섭취 칼로리와, 상기 기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누계 소비 칼로리에 기초해서 산출된다. 상기 부족 운동량은, 상기 잉여 칼로리를 소비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의 양으로서 산출된다.

Description

정보처리 장치와 그 동작 방법{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개시(開示)는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처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건강관리를 위해 식사에 의한 섭취 칼로리와 운동에 의한 소비 칼로리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개시(開示)하고 있다.
특허문헌 1: 특개2006-15501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1은, 식사와 운동의 양쪽을 고려한 종합적인 관리를 개시(開示)하고 있지 않다. 섭취 칼로리와 소비 칼로리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건강관리에는 식사와 운동의 양쪽을 고려한 종합적인 관리가 요망된다.
본 개시(開示)의 정보처리 장치는, 단위기간 동안의 잉여 칼로리를 포함하는 식사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식사관리 처리와, 상기 단위기간 동안의 부족 운동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동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운동관리 처리를 상기 단위기간 동안에 반복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잉여 칼로리는, 상기 단위기간 개시시점에서부터 상기 잉여 칼로리 산출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사용자(user)의 누계(累計) 섭취 칼로리와 상기 기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누계(累計) 소비 칼로리에 기초해서 산출되고, 상기 부족운동량은 상기 잉여 칼로리를 소비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의 양(量)으로서 산출된다.
본 개시(開示)의 정보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위기간 동안의 잉여 칼로리를 포함하는 식사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식사관리 처리와, 상기 단위기간 동안의 부족 운동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동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운동관리 처리를 상기 단위기간 동안에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잉여 칼로리는, 상기 단위기간 개시시점에서부터 상기 잉여 칼로리 산출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사용자의 누계(累計) 섭취 칼로리와 상기 기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누계(累計) 소비 칼로리에 기초해서 산출되고, 상기 부족 운동량은 상기 잉여 칼로리를 소비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의 양(量)으로서 산출된다.
보다 상세사항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로서 설명된다.
도 1은,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데이터 취득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데이터 생성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관리 데이터 생성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6은, 잉여 칼로리 및 부족 운동량의 갱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잉여 칼로리 및 부족 운동량의 갱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1. 정보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의 개요 >
(1) 실시 형태에 관계된 정보처리 장치는, 단위시간 동안의 잉여 칼로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식사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식사관리 처리와, 상기 단위기간 동안의 부족 운동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동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운동관리 처리를 단위기간 동안에 반복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잉여 칼로리는, 상기 단위기간 개시시점에서부터 상기 잉여 칼로리 산출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사용자의 누계(累計) 섭취 칼로리와, 상기 기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누계(累計) 소비 칼로리에 기초해서 산출된다. 잉여 칼로리는 식사에 의한 섭취 칼로리 및 운동에 의한 소비 칼로리의 양쪽을 반영한 관리 지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식사와 운동의 양쪽을 고려한 종합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 또, 상기 부족 운동량은, 상기 잉여 칼로리를 소비하기 위하여 필요한 운동의 양(量)으로서 산출된다. 부족 운동량은 잉여 칼로리에 기초하기 때문에, 부족 운동량도 식사에 의한 섭취 칼로리 및 운동에 의한 소비 칼로리의 양쪽을 반영한 관리 지표로 되어 있다.
(2) 상기 누계 섭취 칼로리는, 상기 단위기간 동안에, 상기 사용자의 섭취 칼로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할 때마다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계 소비 칼로리는 상기 단위기간 동안에 상기 사용자의 소비 칼로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할 때마다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잉여 칼로리는 상기 누계 섭취 칼로리 및 상기 누계 소비 칼로리의 어느 한쪽이 갱신될 때마다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상기 잉여 칼로리는 더욱더 적정(適正) 칼로리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적정(適正) 칼로리는 상기 잉여 칼로리 산출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적정한 섭취 칼로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잉여 칼로리 및 상기 부족 운동량은 복수의 단위 기간 각각에서 산출 되고, 상기 단위기간 종료시점에서의 상기 잉여 칼로리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상기 부족 운동량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상기 식사관리 데이터 및 상기 운동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어드바이스(advice)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상기 식사관리 데이터 및 상기 운동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해서 운동기구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상기 식사관리 데이터는 상기 단위기간 동안의 부족 영양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부족 영양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해서 서플리먼트(supplement) 생성기(生成器)에서의 서플리먼트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상기 식사관리 데이터 및 상기 운동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해서 마사지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 상기 식사관리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식사 내용에 기초해서 생성되고, 상기 식사 내용은 식사 장소를 다른 시점에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image) 사이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상기 식사 장소를 촬영한 이미지에 기초하는 이미지(image)처리에 의해, 식사 개시(開始)시점과 식사 종료시점을 검출하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image)는 검출된 식사 개시(開始)시점에서의 이미지(image)와, 검출된 식사 종료시점에서의 이미지(imag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상기 식사 관리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식사 내용에 기초해서 생성되고, 상기 식사 내용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의해 음성에 의해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정보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위기간 동안의 잉여 칼로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식사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식사 관리 처리와, 상기 단위기간 동안의 부족 운동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동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운동관리 처리를 상기 단위기간 동안에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잉여 칼로리는 상기 단위기간 개시시점에서부터 상기 잉여 칼로리 산출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사용자의 누계 섭취 칼로리와, 상기 기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누계 소비 칼로리에 기초해서 산출되고, 상기 부족 운동량은 상기 잉여 칼로리를 소비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의 양(量)으로서 산출된다.
< 2. 정보처리 장치의 예 >
도 1에 보여주는 서버(정보처리 장치)(40)는 사용자(20)의 건강 관리를 위한 정보처리를 실행한다. 서버(40)는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사용자(20)가 사용하는 기기(機器)(10,12,14,16,18)와 통신 가능하다. 네트워크(30)는 예를 들어, 인터넷 및 LAN이다. 사용자(20)가 사용하는 기기(機器)는 마사지 장치(10), 스마트 폰(12), 운동기구(14), 서플리먼트 생성기(16) 및 카메라(18)를 포함한다.
서버(40)는 프로세서(50) 및 기억장치(60)를 구비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50)는 기억장치(60)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70)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서버(40)에 건강 관리를 위한 정보처리를 실행시킨다.
프로세서(50)는 컴퓨터 프로그램(70)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취득부(80)로서 기능한다. 데이터 취득부(80)는 사용자측 기기(機器) (10,12,14,16,18)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한다.
데이터 취득부(80)가 취득하는 데이터는 식사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취득부(80)는 식사 데이터 취득부(81)로서의 기능을 구비한다. 식사 데이터 취득부(81)는, 사용자(20)가 섭취한 식사 내용(101)을 식사 데이터로서 검출한다.
식사 내용(101) 예를 들어, 카메라(18)에 의해 촬영한 이미지(110)에 기초하여 검출한다. 카메라(18)는 사용자(20)가 섭취하는 식사를 촬영한다. 카메라가 촬영 한 이미지(동영상)(110)는 카메라(18)에서 서버(40)로 송신된다. 카메라(18)는 사용자(20)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고, 식사 장소인 식탁 위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식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식탁 근방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카메라(18)는 스마트 폰(12)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고, 사용자(20)의 안경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식사 데이터 취득부(81)는 식사 이미지(image) 인식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식사 이미지(image) 인식부(120)는 이미지(110)에 포함되어 있는 식품을 이미지(image) 인식처리에 의해 인식한다. 인식부(120)는 이미지 속의 식품을 식별하도록 기계 학습한 인식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기계 학습은, 예를 들어, 딥 러닝(deep learning)이다. 인식부(120)는 이미지(110)에 포함되는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식품 이미지에 기초하여 식품의 종류를 식별한다. 식별된 하나 또는 복수의 식품이, 식사 내용으로 된다. 예를 들어, 이미지(110 )속에 밥, 된장국, 달걀 프라이가 나타나 있는 경우, 인식부(120)에 의해, 식사 내용(101)은 밥, 된장국, 달걀 프라이인 것으로 검출된다. 식사 내용(101)은 후술하는 섭취 칼로리 및 섭취 영양의 산출에 이용된다.
식사 내용은 하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검출할 수도 있지만, 실시 형태에서, 식사 내용은 복수의 이미지에 기초해서도 검출된다. 예를 들어, 식사 개시(開始)시점 이미지(111) 만에 기초해서 식사 내용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검출된 식사 내용은 식사 개시시점 이미지(111)에 포함되는 식품을 사용자(20)가 전부 먹은 것을 가정한 것으로 된다. 한편, 식사 개시시점 이미지(111)와 식사 종료시점 이미지(112)에 기초하면, 사용자(20)가 실제로 먹은 양(量)을 검출할 수 있다. 즉, 두 이미지(111,112)에서 검출된 식사 내용의 차분(差分)이 사용자(20)가 섭취한 식사의 양으로서 검출된다. 예를 들어, 식사 개시시점 이미지(111)에서 한 공기 분량의 밥이 식별되고, 식사 종료시점 이미지(112)에서 반 공기 분량 남은 밥이 식별된 경우, 이들 밥의 양의 차분인 반 공기 분량의 양이 사용자(20)가 섭취한 밥의 양으로서 검출된다.
인식부(120)는 이미지(111,112)의 취득을 위해, 식사 개시시점의 검출 기능 및 식사 종료시점의 검출 기능을 갖는다. 이들의 검출 기능은 식사 내용의 검출과 마찬가지로, 이미지 인식처리에 의해 행하여진다. 식사 개시시점은, 예를 들어 식탁에 식품이 진열되어 있는 것으로, 카메라 이미지(110) 중에 식품이 비쳐져 있지 아니한 상태에서 비쳐져 있는 상태로 변화한 시점으로서 검출된다. 검출된 식사 개시시점의 카메라 이미지(110)가 식사 개시시점 이미지(111)로서 이용된다. 또, 식사 종료시점은, 예를 들어 식탁에서 식기가 치워진 것으로, 카메라 이미지(110)에 식기가 비쳐져 있는 상태에서 식기가 비쳐져 있지 않은 상태로 변화하기 직전의 시점으로서 검출된다. 검출된 식사 종료시점의 카메라 이미지(110)가 식사 종료시점 이미지(112)로서 이용된다. 또한, 식사 개시시점 및 식사 종료시점은 사용자(20)의 조작에 기초하여 검출되어도 좋다. 즉, 사용자(20)가 스마트 폰(12) 등의 사용자 측 기기를 조작하여 식사 개시 또는 식사 종료를 통지하는 것으로, 서버(40)가 식사 개시시점 또는 식사 종료시점을 검출해도 좋다.
식사 내용(101)은 식사 완료시점만이 아니라 식사 중에도 검출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식사 개시시점 이미지(111)와 식사 도중 이미지와의 차분(差分)으로부터 식사 도중에서의 섭취 끝(종결)의 식사내용을 검출할 수 있다. 식사 도중에서의 섭취 끝의 식사 내용을 검출하는 것으로, 과식이라는 것을 식사 중에 실시간으로 어드바이스(조언)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식사 도중 이미지로서는 식사 개시시점에서 식사 종료시점 사이의 임의의 시점의 카메라 이미지(110)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 식사 내용은 사용자(20)로부터 의해 음성에 의해 입력되어도 좋다. 음성에 의한 식사 내용의 입력에는 예를 들어, 챗봇(chatbot)(130)이 이용된다. 챗봇(130)은 예를 들어, 사용자(20)의 스마트 폰(12)을 음성 입출력 장치로 이용하여 식사 내용을 사용자(20)에게 음성으로 질문하고 식사 내용에 대한 회답의 음성 입력을 접수한다. 식사 내용의 질문은, 예를 들어 "오늘 아침 식사는 무엇을 먹었습니까?"이고, 식사 내용의 회답은 예를 들어, "밥, 된장국, 계란 프라이"이다. 식사 내용의 질문은 서버(40)의 식사 데이터 취득부(81)에서 스마트 폰(12)으로 송신되고, 식사 내용의 회답은 스마트 폰(12)에서 서버(40)의 식사 데이터 취득부(81)로 송신된다.
데이터 취득부(80)가 취득하는 데이터는 운동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취득부(80)는 운동 데이터 취득부(82)로서의 기능을 구비한다. 운동 데이터 취득부(82)는, 사용자(20)가 실행한 운동량을 검출한다. 운동량은 예를 들어, 사용자(20)의 웨어러블(wearable) 기기에 탑재된 활동량계(活動量計)에 의해 측정된다. 웨어러블 기기는, 예를 들어 웨어러블 시계이다. 운동량은 스마트 폰(12)에 탑재된 보행량(步行量) 또는 기타 운동량 측정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측정되어도 좋다. 측정된 운동량은 스마트 폰(12)에서 서버(40)의 운동 데이터 취득부(82)로 송신된다. 운동량은 운동기구(14)에서 서버(40)로 송신되어도 좋다. 운동기구(14)는 사용자(20)가 보행, 주행 또는 그 외의 운동을 하기 위한 기계기구이며, 예를 들어, 러닝 머신(running machine)이다. 운동기구(14)는 사용자의 운동량(주행거리 및 보수(步數) 등)을 측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운동기구(14)에 의해 측정된 운동량이 서버(40)로 송신된다.
데이터 취득부(80)가 취득하는 데이터는 마사지 실행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취득부(80)는 마사지 실행 데이터 취득부 (83)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마사지 실행 데이터는 마사지 장치(20)가 사용자에게 실시한 마사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마사지 실행 데이터는, 예를 들어, 마사지 장치(20)가 사용자에게 실시한 마사지 코스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마사지 실행 데이터는 마사지 장치(20)가 사용자에게 실시한 마사지 동작의 종류, 마사지 시료부위(施療部位), 마사지의 강도 및 마사지 시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해도 좋다. 마사지 실행 데이터는 마사지 장치(10)에서 서버(40)의 마사지 실행 데이터 취득부(83)로 송신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50)는 컴퓨터 프로그램(70)을 실행함으로써, 데이터 생성부(90)로서 기능한다. 데이터 생성부(90)는 다양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생성부(90)는 관리 데이터 생성부(91)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관리 데이터 생성부(91)는 기억 장치(60)의 관리 데이터베이스(75)에 등록되는 관리 데이터를 생성한다. 관리 데이터는 사용자(20)의 건강 관리를 위한 데이터이다. 관리 데이터 베이스(75)에는 사용자마다 관리 데이터가 등록된다. 관리 데이터 생성부(91)는 데이터 취득부 (80)가 취득한 데이터 (실시 형태에서는, 식사 데이터, 운동 데이터 및 마사지 실행 데이터)에 기초해서 관리 데이터를 생성한다. 관리 데이터의 생성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데이터 생성부(90)는 어드바이스 생성부(92)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어드바이스 생성부(92)는 관리 데이터베이스(75)에 등록된 사용자(20)의 관리 데이터에 기초해서 사용자(20)의 식사 또는 운동의 어드바이스를 생성한다. 생성된 어드바이스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서버(40)에서 사용자(20)의 스마트 폰(12)등으로 송신된다.
데이터 생성부(90)는 운동기구 설정 데이터 생성부(93)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운동기구 설정 데이터 생성부(93)는 관리 데이터베이스(75)에 등록된 사용자(20)의 관리 데이터에 기초해서, 사용자(20)가 사용하는 운동기구(14)에서의 사용자의 운동을 위한 설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데이터는 서버(40)에서 운동기구(14)로 송신된다.
데이터 생성부(90)는 서플리먼트 생성 데이터 생성부(94)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서플리먼트 생성 데이터 생성부(94)는, 관리 데이터베이스(75)에 등록된 사용자(20)의 관리 데이터에 기초해서, 서플리먼트 발생기(16)에서 생성해야 할 서플리먼트를 조합(調合)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데이터는 서버 (40)에서 서플리먼트 생성기(16)에 송신된다.
데이터 생성부(90)는 마사지 동작 생성부(95)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마사지 동작 생성부(95)는 관리 데이터베이스(75)에 등록된 사용자(20)의 관리 데이터에 기초해서, 마사지 장치(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권장 마사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데이터는 서버(40)에서 마사지 장치(10)로 송신된다.
도 4는 전술(前述)의 관리 데이터 생성부(91)의 상세사항을 나타내고 있다. 관리 데이터 생성부(91)는 섭취 칼로리 영양 계산부(211)를 구비하고 있다. 계산 부(211)는 식사 내용에서 섭취 칼로리를 계산한다. 섭취 칼로리는 예를 들어, 식사 내용에 대응하는 칼로리가 등록된 테이블(도시 생략)이 기억 장치(60)에 등록되어 있으며, 그 테이블을 참조하는 것으로 계산된다. 또, 계산부(211)는 식사 내용에서 섭취한 영양을 계산한다. 섭취 영양은 예를 들어, 식사 내용에 대응하는 영양이 등록된 테이블(도시 생략)이 기억장치(60)에 등록되어 있으며, 그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계산된다.
도 4에서 섭취 칼로리(t)는 시간 t에서 서버(40)의 데이터 취득부(80)가 취득한 식사 데이터가 나타내는 식사 내용(t)에서 계산되는 섭취 칼로리를 나타내고 있다. 또, 섭취 영양(t)은 식사 내용(t)에서 계산되는 섭취 영양의 종류와 양(量)을 보여주고 있다. 서버(40)는 사용자(20)가 식사를 할 때마다 식사 내용(t)을 취득하기 위해서, 계산부(211)는 사용자(20)가 식사를 할 때마다 그 식사에 대한 섭취 칼로리(t) 및 섭취영양(t)을 계산한다.
관리 데이터 생성부(91)는 누계 섭취 칼로리 계산부(212)를 구비하고 있다. 계산부(212)는 단위기간 동안의 사용자(20)의 누계 섭취 칼로리를 계산한다. 실시 형태에서, 단위기간은 1 일이다. 계산부(212)는 하루 사이에서 섭취 칼로리(t)가 계산될 때마다, 즉 사용자(20)가 식사를 할 때마다, 누계 섭취 칼로리를 반복하여 계산한다. 누계 섭취 칼로리는 하루의 개시시점 (예를 들어, 자정)에서 누계 섭취 칼로리가 계산되는 시점 t까지의 기간에서의 사용자의 섭취 칼로리의 누계이다. 시점 t에서의 누계 섭취 칼로리(t)는 예를 들어, 하루 동안에 시간 t보다도 이전의 시점 t-1까지의 누계 섭취 칼로리(t-1)에, 시점 t에서의 섭취 칼로리(t)를 가산(加算)하는 것으로 계산된다. 이와 같이, 누계 섭취 칼로리는 단위기간인 하루 동안에 반복하여 갱신된다. 또한, 단위기간은 하루에 한정되지 않고 1 주일이라도 좋고, 10 일이라도 좋고, 한 달이라도 좋고, 그 외의 임의의 기간이라도 좋다.
관리 데이터 생성부(91)는 누계 섭취 영양 계산부(213)를 구비하고 있다. 계산부(213)는, 단위기간(예를 들어, 1일) 동안의 사용자(20)의 누계 섭취 영양을 계산한다. 계산부(213)는 단위기간인 하루 동안에 섭취 영양(t)이 계산될 때마다, 즉 사용자(20)가 식사를 할 때마다 누계 섭취 영양을 반복하여 계산한다. 누계 섭취 영양은, 하루 개시시점(예를 들어, 자정)에서 누계 섭취 영양이 계산되는 시점 t까지의 기간에서의 사용자의 섭취 영양의 누계이다. 시점 t에서의 누계 섭취 영양(t)은, 예를 들어 하루 동안에 시점 t보다도 이전의 시점 t-1까지의 누계 섭취 영양 (t-1)에, 시점 t에서의 섭취 영양(t)을 가산하는 것으로 계산된다. 이와 같이, 누계 섭취 영양은 단위기간인 하루 동안에 반복하여 갱신된다.
관리 데이터 생성부(91)는 잉여 칼로리 계산부(214)를 구비하고 있다. 계산부 (214)는 단위기간(예를 들어, 1 일) 동안의 사용자의 잉여 칼로리를 계산하는 식사 관리처리를 실행한다. 계산부(214)는 단위기간인 하루 동안에 잉여 칼로리를 반복하여 계산한다.
잉여 칼로리는 사용자(20)의 소비 칼로리에 비해 사용자(20)가 잉여로 섭취하고 있는 칼로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잉여 칼로리는 사용자(20)의 누계 섭취 칼로리와, 사용자의 누계 소비 칼로리에 기초하여 계산할 수 있다. 잉여 칼로리는 누계 섭취 칼로리 및 누계 소비 칼로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갱신될 때마다 산출된다. 따라서, 잉여 칼로리는 하루 동안에 사용자(20)가 식사를 하거나 운동을 하거나 함으로써 변동한다. 예를 들어, 잉여 칼로리는 사용자(20)가 식사를 하면 증가하고 운동을 하면 감소한다. 그 결과, 어느 날 어느 시점의 잉여 칼로리는, 그 날의 그 시점까지의 섭취 칼로리와 소비 칼로리를 종합한 섭취 칼로리의 잉여를 나타낸다. 또한, 잉여 칼로리 값은 마이너스(minus)가 되는 일도 있다. 마이너스 잉여 칼로리는 부족 칼로리를 나타낸다.
실시 형태에서는, 잉여 칼로리 계산에는 적정 칼로리가 고려된다. 즉, 실시 형태에서는, 잉여 칼로리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계 섭취 칼로리와, 적정 칼로리와 누계 소비 칼로리에 기초해서 계산된다.
적정 칼로리는 사용자(20)의 적정한 섭취 칼로리이다. 적정 칼로리는 예를 들면, 사용자(20)의 속성(연령, 신장, 체중, 성별) 등에 기초해서 사용자(20)의 기초대사(基礎代謝)에 상당(相當)하는 칼로리로서 결정된다. 사용자(20)의 속성은 기억장치(60)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도시 생략)에 의해 특정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잉여 칼로리 산출에 이용되는 적정 칼로리로서는 하루의 적정 칼로리에 시간계수를 곱한 것(하루의 적정 칼로리Х시간계수)이 이용된다. 하루의 적정 칼로리는, 사용자(20)의 입장에서의 하루 동안에 섭취하는 것이 적정한 칼로리이다. 예를 들어, 아침 식사 시점이 포함되는 시간대(예를 들면, 0 시부터 10시부터 사이)이면 시간계수로서 1/3이 이용된다. 또한, 점심 식사 시점이 포함되는 시간대(예를 들어, 10시부터 17시 사이)이면, 시간계수로 2/3가 이용된다. 또, 저녁 식사 시점이 포함된 시간대(예를 들어, 17시부터 24시 사이)이면, 시간계수로서 3/3이 이용된다.
시간계수를 이용하는 것으로 적정 칼로리는 하루 동안에 시간대에 따라 변동하고, 잉여 칼로리를 산출하는 시점에서의 적절한 값이 된다. 예를 들어, 잉여 칼로리 산출시점이 아침 식사 시점이 포함된 시간대 내에 있으면 하루의 적정 칼로리의 1/3가 잉여 칼로리 산출을 위한 적정 칼로리가 된다. 또, 잉여 칼로리 산출시점이 점심 식사 시점이 포함된 시간대 내에 있으면 하루의 적정 칼로리의 2/3가 잉여 칼로리 산출을 위한 적정 칼로리가 된다. 또, 잉여 칼로리 산출시점이 저녁 식사 시점이 포함되는 시간대에 있으면, 하루의 적정 칼로리의 칼로리가 잉여 칼로리 산출을 위한 적정 칼로리가 된다. 또한, 시간계수는 보다 세밀하게 변동시켜서 좋고, 예를 들어, 1 시간 단위로 변동시켜도 좋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에서, 잉여 칼로리는 잉여 칼로리 산출시점 t에서의 누계 섭취 칼로리(t)로부터 잉여 칼로리 산출시점에서의 적정 칼로리 및 누계 소비 칼로리(t)를 감(減)함으로써 산출된다.
관리 데이터 생성부(91)는 부족 영양 계산부(215)를 구비하고 있다. 계산부(215)는 단위기간(예를 들어, 1 일) 동안의 사용자의 부족 영양의 양을 계산한다. 계산부(215)는 단위기간인 하루 동안에 부족 영양을 반복하여 계산한다.
부족 영양은, 사용자(20)에 의한 섭취가 부족하고 있는 영양의 종류와 양을 나타낸다. 부족 영양은 적정 영양에서 누계 섭취 영양을 감함으로써 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에서, 부족 영양(t)은 부족 영양 산출시점 t에서의 적정 영양에서 부족 영양 산출시점 t에서의 누계 섭취 영양(t)을 감함으로써 산출된다. 적정 영양은 사용자(20)가 섭취해야 할 적정한 영양의 종류와 양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에서는, 부족 영양 산출에 이용되는 적정 영양으로서는 하루의 적정 영양에 시간계수를 곱한 값(1 일의 적정 영양Х시간계수)이 이용된다. 시간계수는 하루의 적정 칼로리에 곱해진 것과 유사한 것으로 좋다.
부족 영양은 누계 섭취 영양이 갱신될 때마다 산출된다. 따라서 부족 영양은 사용자가 식사를 하거나 식사를 거르거나 하면 변동한다. 예를 들어, 부족 영양은 사용자가 적절한 식사를 함으로써 감소하고, 영양 부족의 식사를 하거나 식사를 거르거나 하면 증가한다. 그 결과, 어느 날 어느 시점의 부족 영양은 그 날에서의 그 시점까지의 부족 영양을 나타낸다. 또한, 부족 영양의 값은 마이너스(minus)가 될 수도 있다. 마이너스의 부족 영양은 잉여 영양을 나타낸다.
관리 데이터 생성부(91)는 소비 칼로리 계산부(231)를 구비하고 있다. 계산부(231)는 사용자의 운동량에서 소비 칼로리를 계산한다. 소비 칼로리는 운동량에 따라 계산된다. 도 4에서 운동량(t)은 시각 t에서 서버(40)의 데이터 취득부(80)가 취득한 운동량(t)을 나타내고 있다. 서버(40)는 사용자(20)가 운동을 할 때마다 운동량(t)을 취득하기 위해, 계산부(231)는 사용자(20)가 운동을 할 때마다, 소비 칼로리(t)를 계산한다. 혹은, 서버(40)는 운동 단위시간 (예를 들어, 1 시간)마다 운동량(t)를 취득하기 위해, 계산부(231)는 운동 단위시간마다 소비 칼로리(t)를 계산한다. 또한, 소비 칼로리(t)는 운동기구(14) 등으로부터 취득되어도 좋다.
관리 데이터 생성부(91)는 누계 소비 칼로리 계산부(232)를 구비하고 있다. 계산부(232)는 단위기간(예를 들어, 1일) 동안의 사용자(20)의 누계 소비 칼로리를 계산한다. 계산부(232)는 단위기간인 하루 동안에 소비 칼로리(t)가 계산될 때마다, 즉, 사용자(20)가 운동을 할 때마다 또는 운동 단위시간마다 누계 소비 칼로리를 반복하여 계산한다. 누계 소비 칼로리는 하루의 개시시점 (예를 들어, 자정)으로부터 누계 소비 칼로리가 계산되는 시점 t까지의 기간에서의 사용자의 소비 칼로리의 누계이다. 시점 t에서의 누계 소비 칼로리(t)는 예를 들어, 하루 동안에 시간 t보다 이전 시점 t-1까지의 누계 소비 칼로리(t-1)에, 시점 t에서의 소비 칼로리(t)를 가산함으로써 계산된다. 이와 같이, 누계 소비 칼로리는 단위기간인 하루 동안에 반복하여 갱신된다.
누계 소비 칼로리는 전술(前述)한 바와 같이, 누계 섭취 칼로리와 더불어 잉여 칼로리 산출에 이용된다. 잉여 칼로리는 누계 섭취 칼로리가 갱신된 경우 외에, 누계 소비 칼로리가 갱신된 경우에도 산출된다. 따라서, 하루 동안의 어느 시점에서의 잉여 칼로리는 하루 동안에 잉여 칼로리가 산출된 시점까지의 식사와 운동의 내용에 따라 적절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관리 데이터 생성부(91)는 부족 운동량 계산부(233)를 구비하고 있다. 계산부(233)는 단위기간(예를 들어, 1 일) 동안의 사용자의 부족 운동량을 계산하는 운동 관리처리를 실행한다. 부족 운동량은 잉여 칼로리를 소비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의 양으로서 산출된다. 부족 운동량은 잉여 칼로리가 산출될 때마다 산출된다. 따라서, 부족 운동량은 누계 섭취 칼로리와 누계 소비 칼로리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갱신될 때마다 산출된다. 하루 동안의 어느 시점의 부족 운동량은, 하루 동안에 부족 운동량이 산출된 시점까지의 식사와 운동의 내용에 따른 적절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관리 데이터 생성부(91)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데이터(관리 데이터)가 등록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75)를 나타내고 있다. 관리 데이터베이스(75)는 사용자의 관리 데이터를 하루마다(단위기간마다) 관리한다. 하루 분량의 관리 데이터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짜를 나타내는 영역 외에 일(日) 단위의 식사 관리 데이터(300)와, 일(日) 단위의 운동 관리 데이터(400)와, 그 날의 마사지 실행 데이터(500)를 포함한다.
일(日) 단위의 식사 관리 데이터(300)는 누계 섭취 칼로리(301), 잉여 칼로리(302), 누계 섭취 영양(303) 및 부족 영양(304)의 영역을 가진다. 누계 섭취 칼로리(301)에는 누계 섭취 칼로리 계산부(212)에서 계산된 누계 섭취 칼로리가 저장된다. 잉여 칼로리(302)에는 잉여 칼로리 계산부(214)에서 계산된 잉여 칼로리가 저장된다. 누계 섭취 영양(303)에는 누계 섭취 영양 계산부 (213)에서 계산된 누계 섭취 영양이 저장된다. 부족 영양(304)에는 부족 영양 계산부(215)에서 계산된 부족 영양이 저장된다. 현재 날짜의 도중의 시점에서는, 누계 섭취 칼로리(301), 잉여 칼로리(302), 누계 섭취 영양(303) 및 부족 영양(304)의 영역에 저장되는 값은 그 시점에서의 값이다. 과거 날짜에 대한 누계 섭취 칼로리(301), 잉여 칼로리(302), 누계 섭취 영양(303) 및 부족 영양(304)의 영역에 저장된 값은, 각 날짜의 끝 시점(예를 들어, 24시의 시점)에서의 값이다.
일(日) 단위의 운동 관리 데이터(400)는 누계 소비 칼로리(401) 및 부족 운동량(402)의 영역을 가진다. 누계 소비 칼로리(401)에는 누계 소비 칼로리 계산 부(232)에서 계산된 누계 소비 칼로리가 저장된다. 부족 운동량(402)에는 부족 운동량 계산부(233)에서 계산된 부족 운동량이 저장된다. 누계 소비 칼로리(401) 및 부족 운동량(402)의 영역에 저장된 값은, 하루의 끝 시점 (예를 들어, 24시의 시점)에서의 값이다.
마사지 실행 데이터(500)에는 그 날에 사용자에게 행해진 모든 마사지에 관한 마사지 실행 데이터가 저장된다.
하루 분량의 관리 데이터에는 전술(前述)한 데이터(300,400,500)외에 그 날의 식사마다의 식사 관리 데이터(350)와 그 날의 시간단위(또는 운동마다))의 운동 관리 데이터(450)를 포함할 수 있다. 식사마다의 식사 관리 데이터(350)는 식사를 취한 시각(351), 식사 내용을 나타내는 식사 데이터(352), 그 식사에서의 섭취 칼로리(353) 및 섭취 영양(354)의 영역을 포함한다. 시간단위(또는 운동마다)의 운동 관리 데이터(450)는 운동을 한 시각(451), 운동량을 나타내는 운동 데이터(452) 및 소비 칼로리(453)의 영역을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은, 단위기간인 하루 동안의 잉여 칼로리와 부족 운동량의 갱신에 대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하루의 시작에서 잉여 칼로리, 누계 섭취 칼로리, 소비 칼로리, 및 부족 운동량의 초기값은 0(제로)이다. 어느 날 (N 일째)의 아침에 사용자(20)가 아침 식사를 하면, 식사 데이터 취득부(81)는 아침 식사 내용을 나타내는 식사 데이터(352)를 취득한다(스텝 S1). 그러면 섭취 칼로리 영양 계산부(211)는 그 아침 식사 내용을 나타내는 식사 데이터(352)에서 아침 식사에 의한 섭취 칼로리(353)을 계산한다(스텝 S2). 또, 아침 식사에 의한 섭취 영양(354)도 계산된다.
누계 섭취 칼로리 계산부(212)는 스텝 S2에서 계산된 섭취 칼로리(353)를 누계 섭취 칼로리(301)로 한다. 잉여 칼로리 계산부(214)는 이 누계 섭취 칼로리(301)와 아침 식사 시점의 시간계수가 곱해진 적정 칼로리로부터 아침 식사를 취한 직후의 잉여 칼로리(302)를 산출한다(스텝 S3). 또, 아침 식사를 취한 직후의 부족 영양(304)도 계산된다. 부족 운동 계산부(233)는 스텝 S3에서 산출된 잉여 칼로리(302)로부터 아침 식사를 취한 직후의 부족 운동량(402)을 산출한다(스텝 S4).
어드바이스 생성부(92)는 스텝 S3에서 산출된 잉여 칼로리(302) 및 스텝 S4에서 산출된 부족 운동량(402)을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로부터 식사 또는 운동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생성한다(스텝 S5). 어드바이스는, 예를 들어 잉여 칼로리(302)의 값에 따라 다음에 섭취할 식사의 양(量)을 조정해야 하는 취지의 식사 어드바이스이다. 어드바이스는 부족 영양(304)의 값에 따라 다음에 섭취할 식사 내용을 조정해야 하는 취지의 식사 어드바이스이라도 좋다. 어드바이스는 부족 운동량(402)의 값에 따라 사용자에게 권장할 운동량을 나타내는 운동 어드바이스이라도 좋다. 어드바이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20)의 스마트 폰(12)으로 송신된다.
또, 운동기구 설정 데이터 생성부(93)는 스텝 S4에서 산출된 부족 운동량(402)를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로부터 사용자(20)가 실행해야 할 운동량을 운동기구(14)에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부족 운동량(402)이 2km의 러닝(running)에 상당(相當)하는 운동량인 경우, 운동기구 설정 데이터 생성부(93)는 2km의 러닝을 목표 운동량으로 하는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운동기구(14)로 송신한다. 운동기구(14)에는 부족 운동량(402)에 따른 목표 운동량이 자동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20)는 적절한 양의 운동을 행할 수 있다.
또, 서플리먼트 생성 데이터 생성부(94)는 부족 영양(304)을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로부터 사용자(20)가 섭취해야 할 서플리먼트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서플리먼트 생성을 위한 데이터는 사용자(20)에게 부족하고 있는 영양의 종류와 양을 나타낸다. 서플리먼트 생성을 위한 데이터는 서플리먼트 생성기(16)로 송신된다. 서플리먼트 생성기(16)는,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해서 사용자(20)에게 부족하고 있는 영양을 보충할 서플리먼트를 조합(調合)하여, 사용자(20)에게 제공한다.
또, 마사지 동작 데이터 생성부(95)는 사용자의 관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마사지 장치(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권장 마사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마사지 동작 데이터 생성부(95)는 예를 들어, 마사지의 실행 타이밍이 식사 직후이면 식사 직후에 적합한 마사지 동작을 설정한다. 식사 직후에 적합한 마사지 동작은 예를 들면, 소화를 촉진하는 경락을 시료(施療)하는 동작 또는 소화를 저해하는 부위에의 시료(施療)를 회피한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마사지 코스이다. 식사 직후인지 아닌지의 판단은 예를 들어, 관리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사를 한 시각과 마사지를 실행하고자 하는 시각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마사지 동작 데이터 생성부(95)는 관리 데이터에 포함되는 잉여 칼로리(302)에 기초해서, 마사지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잉여 칼로리가 마이너스이고, 칼로리 부족인 경우에는 식욕증진을 위한 경락을 시료(施療)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마사지 코스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마사지 동작 데이터 생성부(95)는 사용자의 관리 데이터에 기초해서 챗봇(chatbot)(130) 등에 의해, 사용자 20에 대해 문진(問診)을 행하고 나서, 마사지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부족의 경우에는 변비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관리 데이터의 부족 운동량(402)이 큰 경우에는 변비인지 아닌지의 문진을 사용자(20)에 대해 행하고, 변비인 것으로 판명되면 변비 해소에 적합한 경락을 시료(施療)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마사지 코스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마사지 동작 데이터 생성부(95)에 의해 생성된 마사지 동작 데이터는 마사지 장치(10)로 송신된다. 마사지 장치(10)는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마사지 동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20)는 관리 데이터에 맞는 적절한 마사지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운동기구(14)를 위한 설정 데이터, 서플리먼트 생성을 위한 데이터 및 마사지 동작 데이터는, 사용자(20)가 필요로 하는 임의의 타이밍(사용자(20)가 운동을 하고 싶을 때, 사용자(20)가 서플리먼트를 생성하고 싶을 때, 사용자(20)가 마사지를 받고 싶을 때)에서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20)가 아침 식사 후, 운동 어드바이스에 따른 운동(운동기구(14)에 의한 운동이라도 좋다)을 실행한 경우, 실행한 운동량이 사용자(20)의 스마트 폰(12) 또는 운동기구(14)에서 서버(40)로 송신된다(스텝 S6). 소비 칼로리 계산부(231)는 운동량으로부터 소비 칼로리(453)를 산출한다(스텝 S7).
누계 칼로리 계산부(232)는 스텝 S7에서 계산된 소비 칼로리(453)를 누계 소비 칼로리(401)로 한다. 잉여 칼로리 계산부(214)는, 이 누계 소비 칼로리(401)와, 현시점에서의 누계 섭취 칼로리(301)와 적정 칼로리로부터 잉여 칼로리(302)의 값을 갱신한다(스텝 S8). 또, 부족 운동 계산부(233)는 부족 운동량(402)을, 스텝 S8에서 갱신된 잉여 칼로리(302)에 기초하여 갱신한다(스텝 S9). 갱신된 잉여 칼로리(302) 및 부족 운동량(402)은, 아침 식사와 아침 식사 후의 운동이 고려된 것이다.
어드바이스 생성부(92)는, 스텝 S8에서 갱신된 잉여 칼로리(302) 및 스텝 S9에서 갱신된 부족 운동량(402)을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에서 식사 또는 운동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다시 생성한다. 어드바이스는 갱신된 관리 데이터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에 어드바이스 시점까지의 식사와 운동이 고려된 적절한 것이 된다.
이어서, 사용자(20)는 식사 어드바이스에 따라 점심 식사를 할 수 있다. 점심 식사를 하면 아침 식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점심 식사의 식사 데이터(352)에 기초하여 잉여 칼로리(302)가 갱신되고(스텝 S11, S12, S13), 부족 운동량(402)도 갱신된다(스텝 S14). 점심 식사 후의 잉여 칼로리(302) 및 부족 운동량(402) 등에 기초하여, 식사 또는 운동에 관한 어드바이스가 다시 생성된다(스텝 S15). 사용자(20)가 점심 식사 후에, 운동 어드바이스에 따른 운동(운동기구(14)에 의한 운동이라도 좋다)을 실행한 경우, 잉여 칼로리(302) 및 부족 운동량(402)이 갱신된다(스텝 S16, S17, S18, S19). 그 운동 후의 잉여 칼로리(302) 및 부족 운동량(402) 등에 기초하여, 식사 또는 운동에 관한 어드바이스가 다시 생성된다(스텝 S20).
마찬가지로, 사용자(20)는 식사 어드바이스에 따라 저녁 식사를 할 수 있다. 저녁 식사를 하면 저녁식사의 식사 데이터(352)에 기초하여, 잉여 칼로리(302)가 갱신되고(스텝 S21, S22, S23), 부족 운동량(402)도 갱신된다(스텝 S24). 저녁 식사 후의 잉여 칼로리(302) 및 부족 운동량(402) 등에 기초하여 식사 또는 운동에 관한 어드바이스가 다시 생성된다(스텝 S25). 사용자(20)가 저녁 식사 후에 운동 어드바이스에 따른 운동(운동기구(14)에 의한 운동이라도 좋다)을 실행한 경우, 잉여 칼로리(302) 및 부족 운동량(402)이 갱신된다(스텝 S26, S27, S28, S29).
하루 동안의 각 시점에서 산출된 잉여 칼로리(302) 및 부족 운동량(402)은 관리 데이터베이스(75)에 갱신되고, 하루의 종료시점(예를 들어, 24시의 시점)의 잉여 칼로리 및 부족 운동량의 값이 일(日) 단위의 잉여 칼로리(302) 및 일(日) 단위의 부족 운동량(402)으로서 보존된다.
그리고, N+1 일째가 되면 잉여 칼로리, 누계 섭취 칼로리, 소비 칼로리 및 부족 운동량의 값은 0(제로)으로 리셋(reset)된다(스텝 S30, S31). N+1 일째의 아침 단계에서는, 잉여 칼로리 및 부족 운동량은 리셋되어 있기 때문에, 전일(N 일째)의 관리 데이터 또는 과거의 여러 날의 관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식사 또는 운동에 관한 어드바이스가 생성된다(스텝 S32). 사용자(20)는 그 식사 어드바이스에 따라 N+1 일째의 아침 식사를 할 수 있다(스텝 S33).
< 3. 부기(付記) >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0 마사지 장치
12 스마트 폰
14 운동기구
16 서플리먼트 생성기
18 카메라
30 네트워크
40 서버(정보처리장치)
50 프로세서
60 기억 장치
70 컴퓨터 프로그램
75 관리 데이터베이스
80 데이터 취득부
81 식사 데이터 취득부
82 운동 데이터 취득부
83 마사지 실행 데이터 취득부
90 데이터 생성부
91 관리 데이터 생성부
92 어드바이스 생성부
93 운동기구 설정 데이터 생성부
94 서플리먼트 생성 데이터 생성부
95 마사지 동작 데이터 생성부
101 식사 내용
110 카메라 이미지
111 식사 시작시점 이미지
112 식사 종료시점 이미지
120 식사 이미지 인식부
130 챗봇(chatbot)
211 섭취 칼로리 영양 계산부
212 누계 섭취 칼로리 계산부
213 누계 섭취 영양 계산부
214 잉여 칼로리 계산부
215 부족 영양 계산부
231 소비 칼로리 계산부
232 누계 소비 칼로리 계산부
233 부족 운동량 계산부

Claims (12)

  1. 단위기간 동안의 잉여 칼로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식사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식사 관리처리; 및
    상기 단위기간 동안의 부족 운동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운동 관리처리;
    를 상기 단위기간 동안에 반복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잉여 칼로리는 상기 단위기간 개시(開始)시점에서 상기 잉여 칼로리 산출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사용자의 누계 섭취 칼로리와, 상기 기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누계 소비 칼로리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부족 운동량은, 상기 잉여 칼로리를 소비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의 양(量)으로서 산출되는, 정보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계 섭취 칼로리는 상기 단위기간 동안에 상기 사용자의 섭취 칼로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할 때마다 갱신되고,
    상기 누계 소비 칼로리는 상기 단위기간 동안에 상기 사용자의 소비 칼로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할 때마다 갱신되고,
    상기 잉여 칼로리는 상기 누계 섭취 칼로리 및 상기 누계 소비 칼로리 중 어느 한쪽이 갱신될 때마다 산출되는, 정보처리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잉여 칼로리는 더한 층 적정 열량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상기 적정 칼로리는 상기 잉여 칼로리 산출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적정한 섭취 칼로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잉여 칼로리 및 상기 부족 운동량은 복수의 단위기간 각각에서 산출되고,
    상기 단위기간 종료시점에서의 상기 잉여 칼로리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상기 부족 운동량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정보처리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사 관리 데이터 및 상기 운동 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해서 상기 사용자에의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정보처리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사 관리 데이터 및 상기 운동 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해서 운동기구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처리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사 관리 데이터는 상기 단위기간 동안의 부족 영양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부족 영양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해서, 서플리먼트 생성기에서의 서플리먼트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처리 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사 관리 데이터 및 상기 운동 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해서, 마사지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처리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사 관리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식사 내용에 따라 생성되고,
    상기 식사 내용은 식사 장소를 다른 시점에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 사이에 기초해서 검출되는, 정보처리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사 장소를 촬영한 이미지에 기초하는 이미지 처리에 의해, 식사 개시시점과 식사 종료시점을 검출하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검출된 식사 개시시점에서의 이미지와, 검출된 식사 종료시점에서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사 관리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식사 내용에 따라 생성되고,
    상기 식사 내용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처리 장치.
  12. 단위기간 동안의 잉여 칼로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식사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식사 관리처리; 및
    상기 단위기간 동안의 부족 운동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운동 관리처리;
    를 상기 단위기간 동안에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잉여 칼로리는 상기 단위기간 개시시점에서 상기 잉여 칼로리 산출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사용자의 누계 섭취 칼로리와, 상기 기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누계 소비 칼로리에 기초해서 산출되고,
    상기 부족 운동량은, 상기 잉여 칼로리를 소비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의 양으로 산출하는, 정보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80169558A 2018-04-27 2018-12-26 정보처리 장치와 그 동작 방법 KR201901251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86148 2018-04-27
JP2018086148A JP2019192060A (ja) 2018-04-27 2018-04-27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157A true KR20190125157A (ko) 2019-11-06

Family

ID=68291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558A KR20190125157A (ko) 2018-04-27 2018-12-26 정보처리 장치와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328322A1 (ko)
JP (1) JP2019192060A (ko)
KR (1) KR20190125157A (ko)
CN (1) CN1104157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0970A (zh) * 2020-11-17 2021-01-26 上海仁于禾实业有限公司 一种智能运动管理系统及执行方法
JP7256907B1 (ja) * 2022-01-07 2023-04-12 日本コンピュータビジ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16487001B (zh) * 2023-06-16 2023-09-26 青岛理工大学 一种基于卡路里摄入量的饮食控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5010A (ja) 2004-11-26 2006-06-15 Takasaki Univ Of Health & Welfare 個人健康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5010A (ja) 2004-11-26 2006-06-15 Takasaki Univ Of Health & Welfare 個人健康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15786A (zh) 2019-11-05
US20190328322A1 (en) 2019-10-31
JP2019192060A (ja)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32813A1 (en) Calories and liquid balance -tracking and control
JP2008242963A (ja) 健康分析表示方法及び健康分析表示装置
KR20190125157A (ko) 정보처리 장치와 그 동작 방법
CN105205769A (zh) 一种基于智能食堂配餐系统的数据挖掘方法
KR101962066B1 (ko) 사용자 맞춤 영양 제공 및 관리 방법
JP7239220B2 (ja) 栄養摂取量の推定装置、健康管理支援装置、栄養摂取量の推定方法、健康管理支援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栄養摂取量の推定システム
JP7038458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23060289A (ja) 健康管理システム
CN114758781B (zh) 一种生成用户的健康画像方法和系统、装置及存储介质
JP2002233507A (ja) 健康状態管理システム、および同システムにおける健康状態のキャラクタ画像への反映方法、ならびに同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24017013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1580016B1 (ko) 식단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9552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etary recommendation
JP6083661B1 (ja) 健康管理サーバおよび健康管理サーバ制御方法並びに健康管理プログラム
WO2023013722A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8059320A (ja) 健康管理システム、健康管理サーバ、健康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48922A (ko) 스마트 테이블 및 스마트 테이블의 제어방법
JP2006085459A (ja) 調理情報提供システム
WO2022254700A1 (ja) 助言生成装置、助言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226621A (ja) 栄養成分解析装置
JP2005141502A (ja) 食品情報管理システム
JP7256907B1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7327833B2 (ja) 健康管理支援装置、健康管理支援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健康管理の支援システム
Al-Maghrabi Measuring Food Volume and Nutritional Values from Food Images
KR20060004040A (ko) 체성분분석결과를 고려한 음식주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