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079A -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079A
KR20190125079A KR1020180049361A KR20180049361A KR20190125079A KR 20190125079 A KR20190125079 A KR 20190125079A KR 1020180049361 A KR1020180049361 A KR 1020180049361A KR 20180049361 A KR20180049361 A KR 20180049361A KR 20190125079 A KR20190125079 A KR 20190125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ain body
financial automation
automation devic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5175B1 (ko
Inventor
강정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츄럴프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츄럴프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츄럴프리텍
Priority to KR1020180049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17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5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는, 본체의 상측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금융 자동화 기기가 장착되는 상부 플레이트; 일측부는 본체의 바닥부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 되어 금융 자동화 기기의 수직 방향 진동을 억제하는 복수의 에어 완충부; 일측부는 본체의 바닥부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 되어 복수의 에어 완충부의 진동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금융 자동화 기기의 기울어짐을 잡아주는 복수의 충격 흡수부; 및 일측부는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부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본체의 벽부를 지지하여 상부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 변위를 억제하는 복수의 수평 방향 완충부를 포함하고,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포함하고, 본체는 차량에 배치되어 차량과 같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ANTIVIBRATION APPARATUF OF CASH TRANSACTION MACHINE FOR AN VEHICLE}
본 발명은, 진동 억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시 발생 되는 노면 진동이 차량에 장착된 금융 자동화 기기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 및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대부분의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인 금융 자동화 기기가 있다.
금융 자동화 기기 예를 들어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는 직원을 통하지 않고 컴퓨터를 이용해 직접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기이다. 현금 자동 입출금기는 마그네틱 띠가 있는 현금 카드·직불 카드·신용 카드나 통장, 또는 IC칩을 탑재한 스마트카드 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하면 계좌에 돈을 입금하거나 계좌에서 돈을 인출할 수 있고, 은행내·은행간 계좌 이체를 할 수 있으며, 어떤 기기에서는 대출금을 상환하거나 보험금을 납부할 수도 있다.
현금 자동 입출금기의 내부에는 중앙처리장치, 마그네틱 띠 혹은 스마트카드 리더, 숫자 판(터치 스크린으로 대체하기도 함), 암호화 칩, 화면, 기능키 (터치 스크린으로 대체하기도 함), 프린터(이용 명세서를 인쇄함), 금고(현금 입출부 등 접근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부분), 터치 스크린(숫자 판이나 기능키를 대체), 이 밖에도, 휴대전화 적외선 포트나 RF패드 등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고, 지문 인식판 등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전술한 현금 자동 입출금기는 현금을 다루는 전자기기로써 많은 센서와 동작기능을 내장 하고 있고, 또한 정밀한 기능을 필요로 하는 설비로써 수십 시간에서 수만 시간 동안 차량을 운행 함에도 고장 없이 기능을 하여야 한다.
이전의 현금 자동 입출금기는 차량에 장착 시 차량 운행 시 발생되는 노면 진동이 현금 자동 입출금기로 전달되어 많은 센서와 부속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8-0002497호(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2008. 01. 04.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운행시 발생 되는 노면 진동이 차량에 장착된 금융 자동화 기기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 및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의 상측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금융 자동화 기기가 장착되는 상부 플레이트; 일측부는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 되어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의 수직 방향 진동을 억제하는 복수의 에어 완충부; 일측부는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 되어 상기 복수의 에어 완충부의 진동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의 기울어짐을 잡아주는 복수의 충격 흡수부; 및 일측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부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상기 본체의 벽부를 지지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 변위를 억제하는 복수의 수평 방향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차량에 배치되어 차량과 같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에어 완충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 모서리 영역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하측부가 결합 되는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부에 결합 되는 베이스판; 하측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부에 마련되고 상측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부를 지지하여 차량의 노면 진동이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에어 스프링; 및 상기 에어 스프링에 마련되는 에어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충격 흡수부는, 상기 복수의 에어 완충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결합 되는 브래킷 바디; 상기 브래킷 바디에 결합 되는 지지축; 상기 브래킷 바디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결합 되는 충격 흡수 패드; 및 상기 지지축에 중앙부가 결합 되고 상면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부에 결합 되는 커텍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평 방향 완충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부에 결합 되는 장착 바디; 상기 본체의 벽부와 수직되도록 상기 장착 바디에 결합 되는 결합축; 및 상기 결합축에 결합 되어 상기 본체의 벽부를 지지하는 완충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복수의 압력 측정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에어 완충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복수의 에어 주입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에어 완충부에 의해 차량의 노면 진동이 금융 자동화 기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의 충격 흡수부에 의해 댐핑을 줄여줌과 아울러 급정지 등으로 인한 금융 자동화 기기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의 수평 방향 완충부에 의해 금융 자동화 기기의 수평 방향 변위를 억제함으로써 차량 운행시 발생 되는 노면 진동이 차량에 장착된 금융 자동화 기기로 전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감소 및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커버 플레이트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상부 플레이트가 분리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플레이트에 본 실시 예의 주요부가 결합 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바닥부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플레이트의 상측부에 장착 가이드부가 추가로 마련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서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커버 플레이트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상부 플레이트가 분리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플레이트에 본 실시 예의 주요부가 결합 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바닥부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플레이트의 상측부에 장착 가이드부가 추가로 마련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1)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상측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금융 자동화 기기(F)가 장착되는 상부 플레이트(200)와, 일측부는 본체(100)의 바닥부(110)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상부 플레이트(200)에 결합 되어 금융 자동화 기기(F)의 수직 방향 진동을 억제하는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와, 일측부는 본체(100)의 바닥부(110)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상부 플레이트(200)에 결합 되어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의 진동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금융 자동화 기기(F)의 기울어짐을 잡아주는 복수의 충격 흡수부(400)와, 일측부는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부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본체(100)의 벽부를 지지하여 상부 플레이트(200)의 수평 방향 변위를 억제하는 복수의 수평 방향 완충부(500)와, 본체(100)에 마련되어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의 에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 부재(600)와, 본체(100)에 마련되며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와 연결되는 복수의 에어 주입 부재(700)와, 상부 플레이트(200)의 상측부에 결합 되어 금융 자동화 기기(F)의 장착을 쉽게 가이드 하는 장착 가이드부(800)를 구비한다.
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전방에 결합 되는 전방벽(120)과, 바닥부(110)의 우측에 결합 되는 우측벽(130)과, 바닥부(110)의 좌측에 결합 되는 좌측벽(140)과, 바닥부(110)의 후방에 결합 되는 후방벽(150)과, 전방벽(12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또는 볼트 결합 되는 커버 플레이트(160)와, 전방벽(120)과 우측벽(130)과 좌측벽(140)과 후방벽(150)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개구홀(17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본체(100)의 바닥부(11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홀(111)이 마련되고, 복수의 결합홀(111)을 통해 본체(100)를 차량의 적재함에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에 의해 저면부가 지지되고 복수의 충격 흡수부(400)의 상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나사 또는 볼트 결합 될 수 있다.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부는 본체(100)의 바닥부(110)에 결합 되고 상측부는 상부 플레이트(200)를 지지하여 차량의 노면 진동이 금융 자동화 기기(F)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바닥부(110)에 하측부가 결합 되는 베이스 블록(310)과, 베이스 블록(310)의 상면부에 결합 되는 베이스판(320)과, 하측부는 베이스판(320)의 상면부에 마련되고 상측부는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부를 지지하여 차량의 노면 진동이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F)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에어 스프링(330)과, 에어 스프링(330)에 마련되는 에어 주입구(340)를 포함한다.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의 베이스 블록(310)은, 본체(100)의 바닥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도 있고 용접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블록(3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의 베이스판(3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블록(310)의 상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 될 수 있고, 베이스 블록(31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의 에어 스프링(330)은, 베이스판(320)의 상면부에 결합 되며 내부에 채워지는 에어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200)를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의 에어 주입구(3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스프링(330)에 마련되며 에어 주입구(340)를 통해 에어 스프링(330)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어 주입구(340)에는 역류 방지 밸브가 마련되어 에어 스프링(330)의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는 임의적으로 에어 주입구(340)를 통해서 배출될 수 없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4개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는 총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는 상부 플레이트(200)에 장착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F)의 하중에 따라 고유 진동수가 결정될 수 있고, 그 고유 진동수에 따른 주변 진동(차량의 노면 진동)을 비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복수의 충격 흡수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본체(100)에 마련되어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의 진동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금융 자동화 기기(F)의 기울어짐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충격 흡수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에어 완충부(30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본체(100)의 바닥부(110)에 결합 되는 브래킷 바디(410)와, 브래킷 바디(410)에 결합 되는 지지축(420)과, 브래킷 바디(410)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도록 지지축(420)에 각각 결합 되는 복수의 충격 흡수 패드(430)와, 충격 흡수 패드(430)에 접촉되는 복수의 제1 와셔 부재(440)와, 지지축(420)에 결합 되어 복수의 충격 흡수 패드(430)와 복수의 제1 와셔 부재(440)를 브래킷 바디(410)에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450)와, 지지축(420)에 중앙부가 결합 되고 상면부가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부에 결합 되는 커텍터 바디를 포함한다.
복수의 충격 흡수부(400)의 브래킷 바디(410)는, 도 5에 도시되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을 갖는 베이스 판(411)과, 베이스 판(411)의 단부에 마련되어 본체(100)의 바닥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또는 볼트 결합 되는 결합 플랜지(41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판(411)의 일측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413)가 마련되어 지지축(420)을 베이스 판(411)에 쉽게 삽입시킬 수 있다.
복수의 충격 흡수부(400)의 복수의 충격 흡수 패드(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판(411)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접촉되도록 한 쌍이 마련될 수 있고, 탄성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고무나 엘라스토머(elastomer)로 제작될 수 있다.
복수의 충격 흡수부(400)의 제1 와셔 부재(4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충격 흡수 패드(430) 중 상부에 배치되는 충격 흡수 패드(430)의 상면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충격 흡수 패드(430)의 저면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충격 흡수부(400)의 체결 부재(450)는,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와셔 부재(440)와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와셔 부재(440)를 지지하도록 지지축(420)에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복수의 충격 흡수부(400)의 커넥터 바디(4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앙부에 지지축(420)이 결합 되고 커넥터 바디(460)의 상면부에는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부가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커넉터 바디는 상부 플레이트(20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지지축(420)과 커넥터 바디(460)가 결합된 영역에는 결합된 커넥터 바디(46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핀으로 고정하거나 용접을 할 수도 있다.
복수의 수평 방향 완충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부에 결합 되어 상부 플레이트(200)의 수평 방향 변위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수평 방향 완충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부에 결합 되는 장착 바디(510)와, 본체(100)의 벽부와 수직되도록 장착 바디(510)에 결합 되는 결합축(520)과, 결합축(520)에 결합 되어 본체(100)의 벽부를 지지하는 완충 패드(530)와, 본체(100)의 벽부와 멀어지는 방향의 완충 패드(530)에 부착되는 제2 와셔 부재(540)를 포함한다.
복수의 수평 방향 완충부(500)의 장착 바디(5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또는 볼트 결합 되는 수평부(511)와, 수평부(511)에서 수직 연장되며 결합축(520)이 결합 되는 수직부(512)를 포함한다.
복수의 수평 방향 완충부(500)의 결합축(520)은, 장착 바디(510)의 수직부(512)에 끼워 진 후 위치 고정 되도록 핀으로 고정될 수 있고, 용접 결합 될 수도 있다.
복수의 수평 방향 완충부(500)의 완충 패드(530)는, 결합축(520)의 단부에 억지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고, 결합축(520)에 결합된 제2 와셔 부재(540)에 의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수평 방향 완충부(500)의 제2 와셔 부재(540)는, 결합축(520)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고, 용접 결합 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수평 방향 완충부(500)는 총 8개가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측정 부재(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전방벽(120)에 4개가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압력 측정 부재(600)는 각각의 에어 완충부(300)와 연결되어 각각의 에어 완충부(300)의 압력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압력 측정 부재(600)는 도 3에 도시된 설치 브래킷(B)에 나사 또는 볼트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압력 측정 부재(600)는 압력 게이지를 포함한다.
에어 주입 부재(7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압력 측정 부재(60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설치 브래킷(B)에 마련되며 각각의 에어 주입 부재(700)는 호스나 파이프를 통해 각각의 에어 스프링(330)에 연결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부(8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200)의 상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다양한 형태의 금융 자동화 기기(F)를 상부 플레이트(200)에 쉽게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장착 가이드부(8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 마련되어 상부 플레이트(20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 되는 가이드 판(810)과,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마련되어 상부 플레이트(20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 되는 가이드 박스(820)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복수의 에어 완충부에 의해 차량의 노면 진동이 금융 자동화 기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의 충격 흡수부에 의해 댐핑을 줄여줌과 아울러 급정지 등으로 인한 금융 자동화 기기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의 수평 방향 완충부에 의해 금융 자동화 기기의 수평 방향 변위를 억제함으로써 차량 운행시 발생 되는 노면 진동이 차량에 장착된 금융 자동화 기기로 전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감소 및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
100 : 본체
200 : 상부 플레이트
300 : 에어 완충부
400 : 충격 흡수부
500 : 수평 방향 완충부
600 : 압력 측정 부재
700 : 에어 주입 부재
800 : 장착 가이드부
B : 설치 브래킷
F : 금융 자동화 기기

Claims (5)

  1. 본체의 상측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금융 자동화 기기가 장착되는 상부 플레이트;
    일측부는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 되어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의 수직 방향 진동을 억제하는 복수의 에어 완충부;
    일측부는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 되어 상기 복수의 에어 완충부의 진동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의 기울어짐을 잡아주는 복수의 충격 흡수부; 및
    일측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부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상기 본체의 벽부를 지지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 변위를 억제하는 복수의 수평 방향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차량에 배치되어 차량과 같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어 완충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 모서리 영역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하측부가 결합 되는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부에 결합 되는 베이스판;
    하측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부에 마련되고 상측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부를 지지하여 차량의 노면 진동이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에어 스프링; 및
    상기 에어 스프링에 마련되는 에어 주입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충격 흡수부는,
    상기 복수의 에어 완충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결합 되는 브래킷 바디;
    상기 브래킷 바디에 결합 되는 지지축;
    상기 브래킷 바디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결합 되는 충격 흡수 패드; 및
    상기 지지축에 중앙부가 결합 되고 상면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부에 결합 되는 커텍터 바디를 포함하는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 방향 완충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부에 결합 되는 장착 바디;
    상기 본체의 벽부와 수직되도록 상기 장착 바디에 결합 되는 결합축; 및
    상기 결합축에 결합 되어 상기 본체의 벽부를 지지하는 완충 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복수의 압력 측정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에어 완충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복수의 에어 주입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
KR1020180049361A 2018-04-27 2018-04-27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 KR102065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361A KR102065175B1 (ko) 2018-04-27 2018-04-27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361A KR102065175B1 (ko) 2018-04-27 2018-04-27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079A true KR20190125079A (ko) 2019-11-06
KR102065175B1 KR102065175B1 (ko) 2020-01-10

Family

ID=6854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361A KR102065175B1 (ko) 2018-04-27 2018-04-27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1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497A (ko) 2006-06-30 2008-0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진동방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2051A (ja) * 2002-01-04 2003-07-18 Canon Inc 除振装置
JP4721810B2 (ja) * 2005-08-05 2011-07-13 倉敷化工株式会社 輸送防振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497A (ko) 2006-06-30 2008-0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진동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175B1 (ko)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1244B (zh) 媒体蓄积装置
US20110221321A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hield Plate of Automated Teller Machine
CN101685557B (zh) 存取款机及其钱箱
KR102065175B1 (ko) 차량용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진동 억제 장치
WO2019084052A1 (en) AUTOMATED MODULAR TRANSACTION MACHINE
US8328084B2 (en) Device for receiving and/or issuing payment means and/or for processing value documents
JP4701660B2 (ja) 金銭取扱端末
CN108629921B (zh) 用于输入和/或输出一个或多个有价证券的设备、组件以及方法
US9805559B2 (en) Automated teller machine
KR20060117403A (ko) 카세트 프레임 완충장치
KR20130075103A (ko) Atm기의 프론트 도어의 이중락 구조
US6516468B2 (en) Cash transaction having antitheft mechanism
US20180012436A1 (en) Dispenser shutter assembly for an automated teller machine
US10096212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KR20170119363A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0390960Y1 (ko) 카세트 프레임 완충장치
CN209708248U (zh) 高强度atm机机壳
KR102152896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CN104820858A (zh) 点钞机
JP2017010071A (ja) 媒体鑑別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CN203909906U (zh) 纸张类处理装置
CN210836319U (zh) 一种防震的公交车读卡器
US20040222284A1 (en) Means for protecting an automatic money handling machine or a computer
JP2019144944A (ja) 携帯端末装置
JP3198775B2 (ja) 操作装置におけるタッチ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