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896B1 - 금융 자동화 기기 - Google Patents

금융 자동화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896B1
KR102152896B1 KR1020180156944A KR20180156944A KR102152896B1 KR 102152896 B1 KR102152896 B1 KR 102152896B1 KR 1020180156944 A KR1020180156944 A KR 1020180156944A KR 20180156944 A KR20180156944 A KR 20180156944A KR 102152896 B1 KR102152896 B1 KR 102152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medium
detection sensor
tray
lif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0480A (ko
Inventor
황진용
김경수
노정호
서영대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6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8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70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매체가 집적되는 저판 및 상기 저판에 집적되는 매체를 고정하는 클램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트레이부; 상기 저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팅 모듈; 상기 트레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과다 투입 검지 센서; 및 상기 리프팅 모듈이 기 설정된 높이 이하로 상기 저판을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과다 투입 검지 센서에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가 검지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트레이부에 매체가 과다 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 자동화 기기{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 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 자동화 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 자동화 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 입금기 및 입출금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 들어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금융 자동화 기기에 현금 및 수표 등을 입금하는 경우, 적정 입금 수량이 있으며, 이러한 적정 입금 수량을 초과하여 매체를 입금하는 경우에는 금융 자동화 기기 내에서 매체 이동 중 매체가 걸리는 잼 현상이 발생하거나 기타 작동 불량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접객부를 통해 수납된 매체가 문제 없이 처리할 수 있는 적정 수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이 구비된 금융 자동화 기기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매체가 과다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매체가 집적되는 저판 및 상기 저판에 집적되는 매체를 고정하는 클램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트레이부; 상기 저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팅 모듈; 상기 트레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과다 투입 검지 센서; 및 상기 리프팅 모듈이 기 설정된 높이 이하로 상기 저판을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과다 투입 검지 센서에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가 검지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트레이부에 매체가 과다 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저판의 상승 전, 상기 저판이 기준 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분리 모드 검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저판이 상기 리프팅 모듈에 의해 기설정된 높이만큼 하강한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기준 위치부터 상기 과다 투입 검지 센서가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를 검지할 수 있는 높이까지의 거리를 D, 상기 저판에 집적될 수 있는 매체의 최대 높이를 H라 할때, 상기 리프팅 모듈이 상기 저판을 상승 시키는 기준 높이(L)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식 1]
L = D-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리프팅 모듈은 스텝 모터로 구비되고, 상기 스텝 모터가 1회 동작 시 상기 리프팅 모듈이 상기 저판을 상승시키는 높이를 E라 할 때, 상기 스텝 모터가 n회 동작한 후 상기 과다 투입 검지 센서에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가 검지되는 경우, 상기 저판에 집적된 매체의 높이(h)는 하기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식 2]
h = D - (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리프팅 모듈에 의해 상기 저판이 상승하여 상기 과다 투입 검지 센서에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가 검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매체가 과다 투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위치 센서에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매체가 적정량으로 투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매체가 과다 투입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트레이부는 매체를 외부로 이송하여 반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매체가 과다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효율적으로 판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금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분리 모드를 도시한 개략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집적 모드를 도시한 개략 구조도이다.
도 5a는 적정량의 매체가 투입된 트레이부의 저판이 기준 위치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5b는 적정량의 매체가 투입된 트레이부의 저판이 상승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6a는 매체가 과다 투입된 트레이부의 저판이 기준 위치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6b는 매체가 과다 투입된 트레이부의 저판이 상승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개략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 기기의 입출금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된 금융 자동화 기기의 분리 모드를 도시한 개략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집적 모드를 도시한 개략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는 본체(10), 입출금부(20) 및 접객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금융 자동화 기기(1)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으며, 내부에 입출금부(20)가 수용될 수 있다.
접객부(40)는 금융 자동화 기기(1)의 전방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개폐 되는 입출금 셔터(41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금 셔터(410)를 통해 사용자는 금융 자동화 기기(1)에 매체(M)를 입금하거나 금융 자동화 기기(1)로부터 매체(M)를 출금할 수 있다.
입출금부(20)는 본체(10)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입출금을 위한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을 수행할 수 있다. 입출금부(20)는 예를 들어,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210), 분리 집적 모듈(220), 리트팅 모듈(230) 및 트레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입출금부(20)의 구성품들을 수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210)에는 트레이부(30)가 출입할 수 있는 트레입 삽입구(2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분리 집적 모듈(2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에는 분리 모드 검지 센서(510) 및 과다 투입 검지 센서(520)가 구비될 수 있다.
분리 집적 모듈(220)은 분리 롤러(223) 및 집적 롤러(22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롤러(223)는 트레이부(30)에 의해 이송된 매체를 분리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분리 롤러(223)는 트레이부(30)에 수용된 매체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반송로를 통해 이송시킬 수 있다.
분리 롤러(223)는 예를 들어, 트레이부(30)에 의해 이송된 매체를 트레이부(30) 외부로 이송하거나, 반출 대상 매체를 트레이부(30) 내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221) 및 이송 롤러(221)에 의해 반출 대상 매체가 트레이부(30) 내측으로 이송되는 경우 트레이부(30) 내측에 집적된 매체를 거상시켜 반출 대상 매체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거상 롤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집적 롤러(224)는 매체(M)를 트레이부에 집적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210) 내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리프팅 모듈(230)은 하우징(210) 내에 제공되어 트레이부(30)를 상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트레이부(30)는 트레이부(30)에 집적되어 있던 매체가 본체(10) 내부의 이송로를 통해 이송되거나, 본체(10) 내에 있던 매체가 트레이부(30)로 집적되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리프팅 모듈(230)은 일 예로서 스텝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텝 모터의 동작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트레이부(30)가 리프팅 모듈(230)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 트레이부(30)는 분리 롤러(223) 중 일부와 중첩되어 분리 롤러(223)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부(30) 내에 집적된 매체가 본체(10) 내부의 이송로를 통해 분리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부(30)가 하강하여 분리 롤러(223)와 중첩된 상태를 "분리 모드"라 할 수 있다(도 3 참조). 하우징(210)에 구비된 분리 모드 검지 센서(510)는 트레이부(30)가 "분리 모드"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반면에, 트레이부(30)가 리프팅 모듈(230)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트레이부(30)가 집적 롤러(224)와 중첩되어 집적 롤러(224)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부(30)의 내부로 매체가 유입되어 집적될 수 있다. 트레이부(30)가 상승하여 집적 롤러(224)와 중첩된 상태를 "집적 모드"라고 할 수 있다(도 4 참조).
트레이부(30)는 입출금부(20)와 접객부(40)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를 이송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부(30)는 접객부(40)에서 사용자로부터 매체를 공급받아 입출금부(20)로 이동하여 해당 매체를 분리 저장하거나, 입출금부(20)에서 출금 대상 매체를 공급받아 접객부(40)로 이송하여 매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트레이부(30)는 트레이 삽입구(212)를 통해 하우징(21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고, 하우징(210)에 투입되었을 때 리프팅 모듈(230)에 안착될 수 있다.
트레이부(30)는 트레이 바디(300), 저판(310) 및 클램핑 플레이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바디(300)는 입출금부(20)와 접객부(40)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저판(310)은 트레이부(30)의 저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트레이 바디(300)가 하우징(210)에 투입되었을 때 리프팅 모듈(230)에 고정되도록 제공될 수 잇다. 또한, 저판(310) 상에는 매체가 집적되는 매체 집적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 플레이트(320)는 트레이 바디(30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매체 집적공간(S)에 집적된 매체를 가압하여 트레이 바디(300)에 대하여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일 예로서, 클램핑 플레이트(320)는 매체를 자중에 의해 가압할 수 있다. 트레이부(30)에는 클램핑 플레이트(320)의 상하 구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부재(미도시)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는 사용자로부터 트레이부(30)에 유입된 매체(M)가 과다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전술한 구성 중 매체가 집적되는 저판(310) 및 저판(310)에 집적되는 매체(M)를 가압 고정하는 클램핑 플레이트(320)를 포함하는 트레이부(30), 저판(310)을 승강시키는 리프팅 모듈(230), 트레이부(30)의 상측에 배치되는 과다 투입 검지 센서(520), 저판(310)의 상승 전, 저판(310)이 기준 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분리모드 검지 센서(510) 및 리프팅 모듈(230)이 기설정된 높이 만큼 저판(310)을 상승시키는 경우, 과다 투입 검지 센서(520)에 클램핑 플레이트(320)가 검지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트레이부(30)에 매체가 과다 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미도시)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리모드 검지 센서(510) 및 과다 투입 검지 센서(520)는 광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분리모드 검지 센서(510) 및 과다 투입 검지 센서(520)는 검지 대상 매체, 다시 말해 저판(310) 또는 클램핑 플레이트(320)가 특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검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트레이부(30), 리프팅 모듈(230) 세부 구성은 전술한 설명에 갈음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는 적정량의 매체가 투입된 트레이부의 저판이 기준 위치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5b는 적정량의 매체가 투입된 트레이부의 저판이 상승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6a는 매체가 과다 투입된 트레이부의 저판이 기준 위치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6b는 매체가 과다 투입된 트레이부의 저판이 상승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면, 매체(M)가 집적된 트레이부(30)가 입출금부(20) 내부로 유입되면, 트레이부(30)는 리프팅 모듈(230)에 의해 하강하여 분리 모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분리 모드 검지 센서(510)는 트레이부(30)의 저판(310)이 기준 위치(a1)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6b를 참조하면, 분리 모드 검지 센서(510)에 의해 저판(310)이 기준 위치(a1)에 위치한 것으로 검지된 경우, 리프팅 모듈(230)은 저판(31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위치(a1)부터 과다 투입 검지 센서(520)가 클램핑 플레이트(320)를 검지할 수 있는 검지 위치(a3)까지의 거리를 D, 저판(310)에 적정량으로 집적될 수 있는 매체(M)의 최대 높이를 H라 할때, 매체 과다 투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리프팅 모듈(230)이 저판(310)을 상승 시키는 기준 높이(L)는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식 1]
L = D-H
이때, 리프팅 모듈(230)이 저판(310)을 기준 위치(a1)부터 기준 높이(L)만큼 상승시켰을 때의 저판(310)의 위치를 판단 위치(a2)라고 할 수 있다.
저판(310)에 집적된 매체(M)가 적정량에 해당하는 경우(도 5b 참조), 다시 말해서 저판(310)에 집적된 매체(M)의 집적 높이(h)가 최대 높이(H)보다 작을 경우, 저판(310)이 리프팅 모듈(230)에 의해 판단 위치(a2)까지 상승하여도, 클램핑 플레이트(320)는 과다 투입 검지 센서(520)의 검지 높이(a3)에 도달하지 못한다. 따라서, 과다 투입 검지 센서(520)는 클램핑 플레이트(320)를 검지할 수 없고, 이렇게 저판(310)이 판단 위치(a2)까지 상승하였음에도 과다 투입 검지 센서(520)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320)가 검지 되지 않은 경우, 과다 투입 검지 센서(520)는 제어부에 매체가 적정량 집적되었다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저판(310)에 집적된 매체(M)가 적정량으로 집적될 수 있는 매체의 최대 높이(H)이상으로 과다 투입되어 집적된 경우, 다시 말해서, 저판(310)에 집적된 매체(M)의 집적 높이(h)가 최대 높이(H)보다 큰 경우(도 6b 참조), 저판(310)이 리프팅 모듈(230)에 의해 상승하여 기준 높이(L)보다 작은 높이(l)만큼 상승하였을 때 클램핑 플레이트(320)가 과다 투입 검지 센서(520)에 의해 검지될 수 있다. 이렇게 저판(310)이 기준 높이(L)보다 작은 높이(l)만큼 상승하였을 때 클램핑 플레이트(320)가 과다 투입 검지 센서(520)에 의해 검지되면, 과다 투입 검지 센서(520)는 제어부에 매체가 과다 투입되었다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리프팅 모듈(230)의 스텝 모터가 1회 동작 시 리프팅 모듈이 저판(310)을 상승 시키는 높이를 E라 할때, 스텝 모터가 n회 동작한 후 과다 투입 검지 센서에서 클램핑 플레이트가 검지되는 경우, 저판에 집적된 매체(M)의 높이(h)는 하기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식 2]
h = D - (E*n)
도 6b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트레이부(30)에 매체가 과다 투입 되어 제어부에 의해 매체가 과다 투입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분리 집적 모듈(220)에서 매체의 분리 작업은 수행되지 않고, 트레이부(30)는 접객부(40)로 반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는 매체가 과다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효율적으로 판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금융 자동화 기기 10: 본체
20: 입출금부 30: 트레이부
40: 접객부 210: 하우징
220: 분리집적 모듈 230: 리프팅 모듈
510: 분리 모드 검지 센서 520: 과다 투입 검지 센서

Claims (7)

  1. 매체가 집적되는 저판 및 상기 저판에 집적되는 매체를 고정하는 클램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트레이부;
    상기 저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팅 모듈;
    상기 트레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과다 투입 검지 센서; 및
    상기 리프팅 모듈이 기 설정된 높이 이하로 상기 저판을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과다 투입 검지 센서에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가 검지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트레이부에 매체가 과다 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의 상승 전, 상기 저판이 기준 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분리 모드 검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저판이 상기 리프팅 모듈에 의해 기설정된 높이만큼 하강한 위치에 해당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부터 상기 과다 투입 검지 센서가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를 검지할 수 있는 높이까지의 거리를 D, 상기 저판에 집적될 수 있는 매체의 최대 높이를 H라 할때,
    상기 리프팅 모듈이 상기 저판을 상승 시키는 기준 높이(L)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식 1]
    L = D-H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모듈은 스텝 모터로 구비되고,
    상기 스텝 모터가 1회 동작 시 상기 리프팅 모듈이 상기 저판을 상승시키는 높이를 E라 할때,
    상기 스텝 모터가 n회 동작한 후 상기 과다 투입 검지 센서에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가 검지되는 경우, 상기 저판에 집적된 매체의 높이(h)는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식 2]
    h = D - (E*n)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모듈에 의해 상기 저판이 상승하여 상기 과다 투입 검지 센서에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가 검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매체가 과다 투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과다 투입 검지 센서에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매체가 적정량으로 투입된것으로 판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매체가 과다 투입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트레이부는 매체를 외부로 이송하여 반출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0180156944A 2018-12-07 2018-12-07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152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44A KR102152896B1 (ko) 2018-12-07 2018-12-07 금융 자동화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44A KR102152896B1 (ko) 2018-12-07 2018-12-07 금융 자동화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480A KR20200070480A (ko) 2020-06-18
KR102152896B1 true KR102152896B1 (ko) 2020-09-08

Family

ID=7114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944A KR102152896B1 (ko) 2018-12-07 2018-12-07 금융 자동화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8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082B1 (ko) 2012-11-15 2014-06-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장치 및 지폐류 입출금방법
KR101408575B1 (ko) 2012-12-31 2014-06-1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집적부를 갖는 매체집적장치 및 매체집적방법
KR101834498B1 (ko) 2016-05-18 2018-03-06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9121A (ko) * 2009-12-31 2011-07-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리젝트박스의 지폐 풀 감지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082B1 (ko) 2012-11-15 2014-06-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장치 및 지폐류 입출금방법
KR101408575B1 (ko) 2012-12-31 2014-06-1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집적부를 갖는 매체집적장치 및 매체집적방법
KR101834498B1 (ko) 2016-05-18 2018-03-06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480A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450B1 (ko) 지폐 입출금기
EP1008965B1 (en) Machine for depositing/withdrawing bills
KR20120126345A (ko) 금융 기기
KR102255918B1 (ko) 지폐번들용 입출금장치
KR102165719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금융 자동화 기기의 협지력 유지를 위한 매체 분리 방법
KR102152896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154830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취출장치 및 방법
JP6398592B2 (ja)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US10078816B2 (e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with shuttle
KR101098717B1 (ko) 지폐 입출금 장치 및 지폐 입출금 방법
KR101631791B1 (ko) 금융 기기
KR102157686B1 (ko) 트레이 록킹 구조를 갖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100600347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금동작 감지장치
KR102165753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621903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20200077688A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588262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US11514762B2 (e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1385383B1 (ko) 매체집적장치를 포함한 금융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60222B1 (ko) 두께 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2152899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621841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200334476Y1 (ko)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장착구조
KR102030518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KR20210064469A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