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476Y1 -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476Y1
KR200334476Y1 KR20-2003-0028709U KR20030028709U KR200334476Y1 KR 200334476 Y1 KR200334476 Y1 KR 200334476Y1 KR 20030028709 U KR20030028709 U KR 20030028709U KR 200334476 Y1 KR200334476 Y1 KR 200334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
coin
coins
container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테크
Priority to KR20-2003-0028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4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4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009Depositing devices
    • G07D11/0093Drop bo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2Sorting coins by means of stepped deflectors
    • G07D3/121Sorting coins by means of stepped deflectors arranged on inclined paths
    • G07D3/126Sorting coins by means of stepped deflectors arranged on inclined paths the coins being diverted by ramps in channe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6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in combination with coin-cou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안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화 입금장치를 통해 다량의 주화가 입금되는 입금 보관통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착시킴으로써 비교적 무거운 입금 보관통을 용이하게 입출할 수 있는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안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안착구조는 주화의 종류를 판별하여 종류별로 분류하는 주화 판별/분류수단과, 상기 주화 판별/분류수단에 의해 분리된 주화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보관하는 입금 보관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주화 입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화 입금장치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양측에는 슬라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화 입금 보관통이 안치될 수 있는 안치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서랍과; 상기 서랍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입금 보관통의 후면과 접촉되어 입금 보관통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다수의 접촉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장착구조{A shelf of coin receipt box}
본 고안은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안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화 입금장치를 통해 다량의 주화가 입금되는 입금 보관통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착시킴으로써 비교적 무거운 입금 보관통을 용이하게 입출할 수 있는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안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금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는 카드 또는 통장을 이용하여 지폐 및 수표의 입출금이 가능하도록 현금 및 수표 입출금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금자동 입출금기에는 주화 또는 동전을 자동으로 입금할 수 있는 주화 입금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동전이나 주화를 은행에 입금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창구직원을 통해 처리 할 수 밖에 없었으므로 많은 양의 주화를 한꺼번에 입금할 때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은행 창구업무의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용고객도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주화 또는 동전을 자동으로 입금할 수 있는 주화 입금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주화 입금장치는 현금자동 입출금기의 본체 케이스 일측 공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크게 상부와 하부 공간으로 구획된 사각 형상의 입금장치 본체와, 상기 입금장치 본체의 상부 공간내에 설치되고 투입된 주화의 종류 및 불량주화여부 등을 판별함과 아울러 종류별로 분류하는 주화 판별/분류수단과, 상기 입금장치 본체의 전방에 설치된 입금부를 통해 수납된 동전을 주화 공급기로 이송하기 위한 입금 컨베이어수단과, 상기 컨베이어수단을 통해 이송된 동전을 상기 주화 판별/분류수단에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주화 공급기와, 상기 주화 판별/분류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종류별로 분류된 주화를 하부로 안내하는 분류안내부재, 상기 분류안내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입금된 주화는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임시보관수단과, 상기 입금 임시보관수단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입금된 주화를 종류별로 저장하는 다수의 입금 보관통과, 상기 임시보관수단의 타측 하부에 설치되어 불량주화나 거래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못한 주화를 반환시키는 반환 컨베이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주화 입금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입금 보관통은 상기 주화 판별/분류수단을 통해 분류된 다량의 주화가 충진되기 때문에 주화가 가득차면 수시로 새로운 입금 보관통으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주화가 완전히 충진된 입금 보관통은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이들 입금 보관통을 용이하게 입출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주화가 완전히 충진된 입금 보관통을 주화 입금장치의 하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화 입금장치의 바닥에 설치된 입금 보관통 안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안착구조는 주화의 종류를 판별하여 종류별로 분류하는 주화 판별/분류수단과, 상기 주화 판별/분류수단에 의해 분리된 주화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보관하는 입금 보관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주화 입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화 입금장치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양측에는 슬라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화 입금 보관통이 안치될 수 있는 안치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서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서랍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입금 보관통의 후면과 접촉되어 입금 보관통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다수의 접촉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가 설치되는 현금자동 입출금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주화 입출금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주화 입출금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주화 입금 보관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현금자동 입출금기 16 : 출금부
17 : 입금부 18 : 반환부
20 : 주화 자동 출금장치 50 : 주화 자동 입금장치
52 : 주화 판별/분류장치 53 : 입금 컨베이어수단
54 : 주화 공급기 55 : 분류안내부재
56 : 임시보관수단 57 : 입금 보관통
58 : 주화 반환컨베이어수단 651 : 슬라이딩 서랍
654 : 접촉센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안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50)가 설치되는 현금자동 입출금기(10)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금자동 입출금기(10)는 다수의 공간을 구획하는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외부를 감싸는 다수의 측판(12)으로 이루어진 본체 케이스(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 케이스(13)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는 지폐 및 수표를 입출금하기 위한 통상의 지폐 및 수표 입출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 상부 공간에는 주화를 출금하기 위한 주화 출금장치(20)가 설치되며, 상기 주화 출금장치(20)의 하부에는 주화를 입금하기 위한 주화 입금장치(5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2 및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50)의 외관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50)의 우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3은 상기 주화 입금장치(5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주화 입금장치(50)는 상기 현금자동 입출금기(10)의 본체 케이스(13)의 일측 공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크게 상부와 하부 공간으로 구획된 사각 형상의 입금장치 본체(51)와, 상기 입금장치 본체(51)의 상부 공간내에 설치되고 투입된 주화의 종류 및 불량주화여부 등을 판별함과 아울러 종류별로 분류하는 주화 판별/분류수단(52)과, 상기 입금장치 본체(51)의 전방에 설치된 입금부(17)를 통해 수납된 동전을 주화 공급기(54)로 이송하기 위한 입금 컨베이어수단(53)과, 상기 컨베이어수단(53)을 통해 이송된 동전을 상기 주화 판별/분류수단(52)에 하나씩 공급하기 위항 주화 공급기(54)와, 상기 주화 판별/분류수단(52)의 하부에 설치되어 종류별로 분류된 주화를 하부로 안내하는 분류안내부재(55)와, 상기 분류안내부재(55)의 하부에 설치되어 입금된 주화는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임시보관수단(56), 상기 입금 임시보관수단(56)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입금된 주화를 종류별로 저장하는 다수의 입금 보관통(57)과, 상기 임시보관수단(56)의 타측 하부에 설치되어 불량주화나 입금 거래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못한 주화를 반환시키는 반환 컨베이어수단(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임시보관수단(56)의 일측 하부에는 다수의 입금 보관통(57)이 종류별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입금 보관통(57)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소정 크기의 상자로서, 전면에는 다수의 투시구멍(711)과 입금 보관통을 전방으로 잡아당길 때 사용하는 손잡이 홈(712)이 형성되어 있고, 개방된 상면에는 입금 보관통을 들어올려 운반할 때 사용하는 손잡이 봉(7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의 후방은 소정의 경사면(714)이 형성되어있다.
한편, 상기한 입금 보관통(57)은 도2 및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화 입금장치(50)의 바닥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서랍(561)위에 안착된다. 상기 슬라이딩 서랍(561)은 두 개의 입금 보관통(57)이 동시에 안치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안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각각 슬라이드 레일(65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서랍(561) 위에 상기 입금 보관통(57)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면 상기 슬라이딩 서랍(561)이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어 상기 입금 장치(50)의 하부에 다수의 입금 보관통(57)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입금 보관통(57)에 주화가 완전히 충전되게 되면, 상기 입금 보관통(57)의 전면에 형성된 손잡이 홈(712)을 이용해 앞으로 잡아당기면 비교적 무거운 입금 보관통(57)도 비교적 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서랍(561)의 후방에는 입금 보관통(57)의 후면과 접촉되어 입금 보관통(57)의 장착여부를 탐지하기 위한 다수의 접촉센서(65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센서(654)에 의해 입금 보관통(57)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임시보관수단(56)이 작동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장착구조는 주화 입금장치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입금 보관통이 안착될 수 있으며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서랍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후방에는 입금 보관통의 장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접촉센서가 설치되어 비교적 무거운 입금 보관통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금 보관통이 장착되지 않은 때는 임시보관수단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주화의 종류를 판별하여 종류별로 분류하는 주화 판별/분류수단과, 상기 주화 판별/분류수단에 의해 분리된 주화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보관하는 입금 보관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주화 입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화 입금장치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양측에는 슬라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화 입금 보관통이 안치될 수 있는 안치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서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안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서랍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입금 보관통의 후면과 접촉되어 입금 보관통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다수의 접촉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안착구조.
KR20-2003-0028709U 2003-09-06 2003-09-06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장착구조 KR200334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709U KR200334476Y1 (ko) 2003-09-06 2003-09-06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709U KR200334476Y1 (ko) 2003-09-06 2003-09-06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476Y1 true KR200334476Y1 (ko) 2003-11-28

Family

ID=4942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709U KR200334476Y1 (ko) 2003-09-06 2003-09-06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4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762B1 (ko) 2011-12-02 2013-07-17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주화 수납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762B1 (ko) 2011-12-02 2013-07-17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주화 수납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450B1 (ko) 지폐 입출금기
KR101066750B1 (ko) 지폐처리기
KR101077515B1 (ko) 지폐 취급 장치
KR101502987B1 (ko) 지폐 수납고 및 지폐 취급 장치
KR101157741B1 (ko) 지엽 취급 장치
US6516998B2 (en) Self-service terminal
CN102959593A (zh) 自动交易装置
KR101909021B1 (ko) 금융 기기
KR101165517B1 (ko) 지엽 취급 장치
JP6051060B2 (ja) 紙幣取扱装置
KR200334476Y1 (ko)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장착구조
EP2950280A1 (en) Bill handling apparatus
KR20200037685A (ko) 지폐 처리 장치
KR101631791B1 (ko) 금융 기기
KR20140139639A (ko)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545779B1 (ko) 주화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자동 입출금기
KR100338228B1 (ko) 자동거래장치
JP3600824B2 (ja) 循環式貨幣処理装置
KR102152896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20170130174A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631806B1 (ko) 금융 기기
KR100596311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감지장치
JP5650350B2 (ja) 紙幣取扱装置
JP2022189232A (ja) 貨幣処理装置
JP2024056467A (ja) 硬貨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