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424A - 시스템 이중 창호 - Google Patents

시스템 이중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424A
KR20190123424A KR1020180047110A KR20180047110A KR20190123424A KR 20190123424 A KR20190123424 A KR 20190123424A KR 1020180047110 A KR1020180047110 A KR 1020180047110A KR 20180047110 A KR20180047110 A KR 20180047110A KR 20190123424 A KR20190123424 A KR 20190123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outdoor side
rai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071B1 (ko
Inventor
최영일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047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07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리프트 슬라이딩 창짝을 결합하고 실외측에 미서기 창짝을 적용하여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되, 한 쌍의 미서기 창짝 중 실외측에 배치되는 창짝을 고정창으로 적용하여 최외측의 레일을 제거해줌으로써 수밀 및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적용함으로써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이중 창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스템 이중 창호{Double window system}
본 발명은 시스템 이중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리프트 슬라이딩(Lift & Sliding) 창짝을 결합하고 실외측에 미서기 창짝을 적용하여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한 쌍의 미서기 창짝 중 실외측에 배치되는 창짝을 고정창으로 적용하여 최외측의 레일을 제거해줌으로써 수밀 및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이중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트 슬라이딩 시스템의 이중 창호에는 적어도 네 개의 레일이 구비된다. 즉 창틀의 실내측 레일에는 한 쌍의 리프트 슬라이딩 창짝이 결합되고, 실외측 레일에 한 쌍의 미서기 창짝이 결합되어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레일은 빗물이나 결로수 등을 일시적으로 담아둠과 아울러 배수가 가능하도록 소정 높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복수의 레일 구조가 적용된 창호에 대하여 종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9952호(공개일: 2011.10.20) 등으로 선 출원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창호는 수밀성능 확보를 위해 레일 사이에 담수공간이 마련되고, 레일에는 담수공간에 담긴 물을 외부로 배출해줄 수 있도록 복수의 배수공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레일 사이에 담수공간이 마련된 창틀은 우천 시 어느 정도의 빗물을 수납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는 있겠으나, 강수량이 어느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담수공간만으로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 상기 담수공간 내에 물 고임이 육안으로 보이게 됨에 따라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창호의 실외측에는 창짝 개방 시 개구부의 적어도 하부를 막아주는 유리난간대가 구비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유리난간대는 대부분 별도의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됨에 따라 구조가 다소 복잡하며, 디자인적으로 일체감이 떨어지게 되어 제품의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리프트 슬라이딩 창짝을 결합하고 실외측에 미서기 창짝을 적용하여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되, 한 쌍의 미서기 창짝 중 실외측에 배치되는 창짝을 고정창으로 적용하여 최외측의 레일을 제거해줌으로써 수밀 및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시스템 이중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적용함으로써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이중 창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이중 창호는, 창틀프레임; 상기 창틀프레임의 실내측 레일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내측 창짝; 및 상기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창짝;을 포함하되, 상기 실외측 창짝은, 상기 창틀프레임의 실외측 레일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창짝; 및 상기 창틀프레임의 최외측 평탄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2창짝;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실내측 창짝을 결합하고, 실외측 창짝으로 미서기 방식의 제1창짝과 고정창인 제2창짝을 적용하여 최외측의 레일을 제거해줌으로써 수밀 및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 창짝을 구성하는 제2창짝의 일측 개구부에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적용함으로써 시야 확보는 물론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유리난간대 하측의 배수구를 통해 빗물 또는 결로수를 효율적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이중 창호의 실외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이중 창호의 실내측 입면도,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측 레일 및 실외측 레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창틀프레임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3에서 하측 요부를 확대한 도면,
도 7은 Ⅱ-Ⅱ'선 단면도,
도 8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9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이중 창호의 실외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이중 창호의 실내측 입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이중 창호(1)는, 창틀프레임(100)과, 창틀프레임(100)의 실내측 레일(110)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내측 창짝(210)과, 창틀프레임(100)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창짝(22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실외측 창짝(220)은 창틀프레임(100)의 실외측 레일(120)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창짝(221)과, 창틀프레임(100)의 최외측 평탄면(130)에 고정 설치되는 제2창짝(223)을 포함한다(도 3 참조).
즉 본 발명은 이중 창호의 구조를 통해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되, 한 쌍의 실외측 창짝(220) 중 평탄면(130)에 배치되는 제2창짝(223)을 고정창으로 적용함으로써 최외측의 레일을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창틀프레임(100)은 3중 레일 구조가 적용된다. 따라서 우천 시 빗물이 기존 창호와 같이 레일 사이의 공간에 담수되지 않고 최외측 평탄면(130)을 통해 외부로 효율적인 배수가 가능함으로써 수밀 및 배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내측 창짝(210)은 창호의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리프트 슬라이딩(Lift sliding) 방식이 적용된다.
참고로,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에 대하여 설명해보면, 먼저 창짝(210)에 구비된 핸들을 개폐방향으로 조작하는 경우 이와 연동되는 복수의 하드웨어(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창짝(210)이 레일로부터 소정높이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창짝(210)의 저면에 구비된 호차(211)가 레일부재(1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창짝(210)의 원활한 개방 조작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창짝(210)의 닫힘 조작시에는 창짝(210)이 하강되면서 창짝(210) 저면에 구비된 가스켓(213)이 창틀프레임의 내주면에 밀착됨에 따라 기밀을 유지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는 종래에 개시된 구조와 동일함에 따라,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실내측 레일(110)은 한 쌍으로 형성되되, 레일 사이에 별도의 담수공간이 없다. 즉 결로현상은 주로 외기와 접하는 실외측 창짝(220)에서 발생하게 됨에 따라 실내측 창짝(210)에서 발생하는 결로수의 양은 실외측 창짝(220)의 경우에 비해 적다.
이러한 실내측 레일(110)은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실내측 창짝(210)이 설치됨에 따라, 실내측 레일(110)은 기존 미서기창의 레일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실내측 레일(110)은 창틀프레임(100)의 실내측 내주면에 결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레일몸체(111)와, 상기 레일몸체(111)의 상면에 창틀프레임(100)의 너비 방향으로 한 쌍이 이격되게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레일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일부재(113)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실내측 창짝(210)의 저면에 구비된 호차의 이동 시 구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실외측 창짝(220)은 슬라이딩 개폐되는 제1창짝(221)과 고정창 구조인 제2창짝(223)을 포함한다. 제1창짝(221)은 실외측 레일(120)에 미서기(Sliding) 방식으로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실외측 창짝(220) 중 제1창짝(221)이 설치되는 실외측 레일(120)은 레일몸체(111)의 실외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그 사이에 결로수 담수공간(W)이 마련된다. 그리고 실외측 레일(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121)이 구비되어 담수공간(W)에 모이는 결로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레일몸체(111)의 실외측 상면(111a)은 실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레일몸체(111) 상면으로 흘러내린 빗물이나 결로수가 담수공간(W) 측으로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다.
상기 담수공간(W)은 소정 높이로 형성된 레일몸체(111)의 구조에 의해 은폐되는 구조로, 실내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담수공간(W)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아울러 실외측 레일(120)의 상부에는 제1창짝(221)의 구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금속 재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재질의 레일부재(123)가 결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창짝(223)은 평탄면(130)에 고정 설치된다. 이 경우 제2창짝(223)이 평탄면(130)에 설치되어 창틀프레임(100)의 최외측에 레일이 제거됨에 따라, 실외측 창짝(220)의 실외측 면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이나 결로수가 평탄면(130)을 통해 외부로 곧바로 배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평탄면(130)은 창틀프레임(100)의 내주면에서 실외측으로 하향 단턱지게 형성된 부분에 마련되어 배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 레일(120)과 제2창짝(223) 사이에는 사이 공간을 메워주는 마감부재(140)가 결합된다. 즉 제1창짝(221)의 닫힘 시 실외측 레일(120)과 제2창짝(223)의 사이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며, 이러한 사이 공간에 마감부재(140)를 결합해줌으로써 창틀프레임(100)의 내주면이 마치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듯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마감부재(140)는 제2창짝(223)이 설치된 사이 공간에 국한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제2창짝(223)의 너비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즉 마감부재(140)가 설치되지 않은 개구부(S)의 하측 공간에는 후술할 배수구(231)(도 7 참조)가 마련된다. 따라서 실외측 레일(120)과 제2창짝(223) 사이 공간에 모이게 되는 결로수는 상기 배수구(2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창짝(221)의 개방 시 노출되는 창틀프레임(100)의 개구부(S)에는 제2창짝(223)과 일렬로 설치되어 개구부(S)의 적어도 하부를 막아주는 유리난간대(230)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유리난간대(230)의 저면은 평탄면(130)에서 소정높이 이격되어 그 사이의 공간 전체를 배수구(231)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유리난간대(230)는 개구부(S) 내에 설치된 외곽프레임(150)의 결합홈(151)에 양측이 결합되는 구조를 적용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리난간대(230)는 별도의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되는 것이 아닌 외곽프레임(150)에 끼움 설치되는 구조로, 말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곽프레임(150)은 복수의 부재를 결합하여 유리난간대(230) 설치용 결합홈(151)을 마련할 수 있다. 즉 외곽프레임(150)은 마치 하나의 프레임처럼 보이도록 조립하는 방식으로 일체화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외곽프레임(150)의 상부에는 롤방충망부(24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방충망부(240)는 외곽프레임(150)의 상부에 권취롤(243)이 수납되는 롤하우징(241)과, 상기 권취롤(243)에 상단이 고정된 후 권취되고 하단은 롤하우징(241)의 하방으로 펼침 조작되는 롤방충망(245)과, 롤방충망(245)의 하단에 구비되어 롤방충망(245)의 펼침 상태를 유지해주는 잠금장치(247)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잠금장치(247)는 롤방충망(245)에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외곽프레임(150)의 내부 양측에는 하방으로 펼침 조작되는 롤방충망(245)의 양측단을 가이드해줄 수 있도록 가이드홈(153)이 구비된다. 가이드홈(153)에는 롤방충망(245)의 적어도 일면에 밀착되어 틈새를 막아주는 가스켓(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롤방충망부(240)는 롤방충망(245)의 펼침 조작 시 롤방충망(245)이 유리난간대(230)의 실내측면에 배치되면서 개구부(S) 전체를 막아준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외부의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창틀프레임(100) 및 실내,외측 창짝(210)(220)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프로파일의 색상을 은폐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색상과 무늬가 인쇄된 마감커버(3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감커버(300)가 창틀프레임(100)과 실외측 창짝(200)의 실외측면에 결합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기로 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로파일의 색상을 은폐시키는 방법으로 마감커버(300)의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마감커버(300) 대신 접착 시트 또는 공압출을 통한 다양한 방식으로 프로파일의 색상을 은폐시키는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이중 창호(1)는, 창틀프레임(100)의 실내측에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실내측 창짝(210)을 결합하고, 실외측 창짝(220)으로 미서기 방식의 제1창짝(221)과 고정창인 제2창짝(223)을 적용하여 최외측의 레일을 제거해줌으로써 수밀 및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 창짝(220)을 구성하는 제2창짝(223)의 일측 개구부(S)에 일체형 유리난간대(230)를 적용함으로써 시야 확보는 물론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유리난간대(230) 하측의 배수구(231)를 통해 빗물 또는 결로수를 효율적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시스템 이중 창호 100 : 창틀프레임
110 : 실내측 레일 111 : 레일몸체
113 : 레일부재 120 : 실외측 레일
121 : 배수공 123 : 레일부재
130 : 평탄면 140 : 마감부재
150 : 외곽프레임 151 : 결합홈
153 : 가이드홈 210 : 실내측 창짝
220 : 실외측 창짝 221 : 제1창짝
223 : 제2창짝 230 : 유리난간대
231 : 배수구 240 : 롤방충망부
241 : 롤하우징 243 : 권취롤
245 : 롤방충망 247 : 잠금장치
300 : 마감커버 S : 개구부
W : 담수공간

Claims (10)

  1. 창틀프레임(100);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실내측 레일(110)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내측 창짝(210); 및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창짝(220);을 포함하되,
    상기 실외측 창짝(220)은,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실외측 레일(120)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창짝(221); 및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최외측 평탄면(130)에 고정 설치되는 제2창짝(223);을 포함하는 시스템 이중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창짝(210)은 리프트 슬라이딩(Lift sliding) 방식이고,
    상기 실외측 창짝(220)의 제1창짝은 미서기(Sliding) 방식인 것인 시스템 이중 창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레일(110)은,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실내측 내주면에 결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레일몸체(111); 및
    상기 레일몸체(111)의 상면에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너비 방향으로 한 쌍이 이격되게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레일부재(113);를 포함하는 시스템 이중 창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레일(120)은,
    상기 레일몸체(111)의 실외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그 사이에 결로수 담수공간을 마련해주는 것인 시스템 이중 창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130)은,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주면에서 실외측으로 하향 단턱지게 형성되어 마련되는 것인 시스템 이중 창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레일(120)과 상기 제2창짝(223) 사이에는,
    사이 공간을 메워주는 마감부재(140);가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이중 창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창짝(221)의 개방 시 노출되는 창틀프레임(100)의 개구부(S)에는,
    상기 제2창짝(223)과 일렬로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S)의 적어도 하부를 막아주는 유리난간대(2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리난간대(230)의 저면은,
    상기 평탄면(130)에서 소정높이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수구(231)가 마련되는 것인 시스템 이중 창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난간대(230)는,
    상기 개구부(S) 내에 설치된 외곽프레임(150)의 결합홈(151)에 양측이 결합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이중 창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150)의 상부에는,
    하방으로 펼침 조작 시 상기 유리난간대(230)의 실내측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개구부(S) 전체를 막아주는 롤방충망부(240);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이중 창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100)과 실내,외측 창짝(210)(220)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프로파일 색상을 은폐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색상과 무늬가 인쇄된 마감커버(300);가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이중 창호.
KR1020180047110A 2018-04-24 2018-04-24 시스템 이중 창호 KR102242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110A KR102242071B1 (ko) 2018-04-24 2018-04-24 시스템 이중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110A KR102242071B1 (ko) 2018-04-24 2018-04-24 시스템 이중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424A true KR20190123424A (ko) 2019-11-01
KR102242071B1 KR102242071B1 (ko) 2021-04-19

Family

ID=6853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110A KR102242071B1 (ko) 2018-04-24 2018-04-24 시스템 이중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07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571A (ko) * 2005-11-02 2007-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서기 창호
KR200443009Y1 (ko) * 2007-07-13 2008-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의 기밀구조
KR20110010336U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케이씨씨 레일조립형 창틀 및 그것을 구비한 이중창
KR200473378Y1 (ko) * 2012-08-08 2014-07-02 신명창호(주) 확장형 창틀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다기능 핸드레일
KR20140136653A (ko) * 2013-05-21 2014-12-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스템 창호
KR20170058532A (ko) * 2015-11-19 2017-05-29 (주)엘지하우시스 배수구 형성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유리난간대
KR101829937B1 (ko) * 2013-07-23 2018-02-19 (주)엘지하우시스 개폐가능한 고정창을 갖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571A (ko) * 2005-11-02 2007-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서기 창호
KR200443009Y1 (ko) * 2007-07-13 2008-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의 기밀구조
KR20110010336U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케이씨씨 레일조립형 창틀 및 그것을 구비한 이중창
KR200473378Y1 (ko) * 2012-08-08 2014-07-02 신명창호(주) 확장형 창틀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다기능 핸드레일
KR20140136653A (ko) * 2013-05-21 2014-12-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스템 창호
KR101829937B1 (ko) * 2013-07-23 2018-02-19 (주)엘지하우시스 개폐가능한 고정창을 갖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KR20170058532A (ko) * 2015-11-19 2017-05-29 (주)엘지하우시스 배수구 형성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유리난간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071B1 (ko) 202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US6470947B1 (en) Hidden window screen for sash window
KR101520149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KR20210068975A (ko) 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대가 포함된 창호
US20090090072A1 (en) Window Assembly with built-in exterior shield
KR20190123424A (ko) 시스템 이중 창호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ITVI20110266A1 (it) Serramento scorrevole a completa scomparsa
KR19990001080U (ko) 창틀 마감재
IT201800003481A1 (it) Serramento
US20030213564A1 (en) Roller screen housing for a folding window
KR200305822Y1 (ko)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복합창호
JP4104564B2 (ja) サッシ窓
JP4282006B2 (ja) 外部開口用下枠フラットサッシ
JP4467272B2 (ja) 引戸構造物の下枠凹溝における蓋体構造
IT201800009386A1 (it) Tenda avvolgibile
KR20100004795U (ko) 미닫이 창문
JP4056483B2 (ja) サッシ窓
JP3801579B2 (ja) 開口部装置
JP3156991B2 (ja) 浴室戸の下枠構造
JP2008013972A (ja) 玄関構造
KR200206313Y1 (ko) 방충망 및 방범창이 설치된 개폐식 창문
JP3213876B2 (ja) 窓用サッシのフラット下枠の排水機構
JP7011424B2 (ja) 障子及びサッシ枠
JP4130794B2 (ja) サッシ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