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433A -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433A
KR20190122433A KR1020180046197A KR20180046197A KR20190122433A KR 20190122433 A KR20190122433 A KR 20190122433A KR 1020180046197 A KR1020180046197 A KR 1020180046197A KR 20180046197 A KR20180046197 A KR 20180046197A KR 20190122433 A KR20190122433 A KR 20190122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frigerant
evaporator
heat exchang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4404B1 (ko
Inventor
류병진
김경록
하태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404B1/ko
Priority to PCT/KR2019/004778 priority patent/WO2019203621A1/ko
Publication of KR20190122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F25B43/043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for compression ty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25B47/022Defrosting cycles hot gas defro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09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에는, 유동 조절밸브로부터 연장되며,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를 바이패스 하도록 가이드 하는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연결되고 압축기의 흡입측에 배치되는 흡입측 열교환기가 포함되어, 제 1 증발기의 제상운전 및 제 2 증발기의 냉각운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Cooling system for a low temperature storage}
본 발명은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저온 저장고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저온, 특히 영항의 온도가 유지되어야 하는 공장의 대형창고 또는 냉장/냉동이 필요한 음식물 저장고(쇼케이스)를 냉각하는 냉각 시스템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시스템을 구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에 착상이 이루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착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 시스템은 제상운전을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제상운전은 주기적으로 수행되거나, 상기 증발기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제상운전의 수행을 위하여, 상기 냉각 시스템은, 상기 증발기와 인접한 위치에 전기히터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전기히터가 구동하면, 상기 전기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증발기에 전달되어, 착상이 제거될 수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선행 특허문헌]
등록번호 : 10-1266936, 등록일자 : 2013년 5월 16일
발명의 명칭 : 탄소 발생을 감소하기 위한 친환경 저장고 제어장치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히터에 의한 제상방식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과도한 전기에너지가 소모되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히터에 의한 제상운전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증발기를 통한 냉각운전이 정지되어 저장고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저장고에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히터의 잦은 고장으로 인하여 히터의 교체 또는 수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핫가스를 이용하여 제 1 증발기의 제상운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상을 수행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제 2 증발기에서 증발시킴으로써, 제상운전과 함께 냉각운전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압축기의 흡입측에 흡입측 열교환기를 마련하고,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로 가이드 하여, 제상운전 중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실외 공기 열원으로부터 제상에 필요한 열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액분리기와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를 일체로 구성하여, 핫가스로부터 기액분리기로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압축기의 흡입과열도를 증가시키고, 방열과정에서 응축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에서 증발될 수 있으므로 제상열량을 확보하고 신뢰성 있는 사이클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에는, 유동 조절밸브로부터 연장되며,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를 바이패스 하도록 가이드 하는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연결되고 압축기의 흡입측에 배치되는 흡입측 열교환기가 포함되어, 제 1 증발기의 제상운전 및 제 2 증발기의 냉각운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는, 상기 유동 조절밸브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제 1 바이패스 배관이 연결되는 제 1 분지부를 가지며 액관의 제 2 분지부에 연결되는 제 2 바이패스 배관이 더 포함되어, 핫가스의 유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분지부와 상기 제 2 분지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체크밸브가 더 포함되어, 과냉각기를 통과한 냉매가 제 2 바이패스 배관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액관에 연결되며 제 1 밸브가 설치되는 제 1 연결관 및 상기 제 1 연결관으로부터 분지되며 냉매를 상기 제 1 증발기로 가이드 하는 제 3 바이패스 배관이 더 포함되어, 제상을 위한 핫가스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증발기에 연결되는 제 1 증발기 출구배관 및 상기 제 3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제 1 증발기 출구배관에 접속되는 제 2 밸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바이패스 배관으로부터 분지되는 접속배관; 상기 제 2 증발기에 연결되는 제 2 증발기 출구배관; 및 상기 접속배관 및 상기 제 2 증발기출구배관에 접속되는 제 3 밸브가 더 포함되어, 복수의 증발기 중 일 증발기의 제상운전 및 타 증발기의 냉각운전이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은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에 연결되므로, 흡입측 열교환기에서 핫가스 냉매는 용이하게 응축될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가 유동하며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기관이 더 포함되며, 상기 기관의 냉매는 상기 핫가스 냉매와 열교환 될 수 있다.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액관으로 연장되는 열교환기 가이드 배관 및 상기 열교환기 가이드 배관에 설치되는 열교환 팽창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전환밸브로부터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에 구비되는 기관으로 연장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상기 기관으로 전달하는 흡입 연결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냉매 중 기상냉매를 분리하여 상기 압축기로 공급하는 기액분리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기액분리기와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는 일체로 구성되어, 압축기 흡입냉매의 흡입과열도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한 해결수단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핫가스를 이용하여 제 1 증발기의 제상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상시간이 단축되고 제상을 위한 에너지 소모가 절감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제상을 수행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제 2 증발기에서 증발시킬 수 있으므로, 제상운전과 함께 냉각운전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로 가이드 하여, 제상운전 중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실외 공기 열원으로부터 제상에 필요한 열량을 얻을 수 있으므로, 제상운전의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기액분리기와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를 일체로 구성하여, 핫가스로부터 기액분리기로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압축기로 흡입되는 냉매의 흡입과열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방열과정에서 응축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에서 증발될 수 있으므로 제상열량을 확보하고 신뢰성 있는 사이클 운전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이클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냉각운전 수행시,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사이클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증발기의 제상운전 수행시,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사이클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증발기의 제상운전 수행시,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사이클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이클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이클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1)에는,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10)와, 저장고에 배치되며 상기 저장고의 저온 유지를 위하여 냉기를 공급하는 실내기(30) 및 상기 실외기(10)와 상기 실내기(30)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냉각 시스템(10)의 제상운전 수행시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연결유닛(50)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냉각 시스템(1)은, 상기 저장고의 내부온도가 영하로 유지되도록, 상기 저장고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50)은,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다수의 냉매배관 및 밸브로 구성되어 제상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상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는 상기 연결유닛(50)에 분리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실외기(10)와 상기 연결유닛(50)은 2배관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에는, 액관(170)에 접속되는 액관 서비스밸브(175) 및 기관(111)에 접속되는 기관 서비스밸브(25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50)에는, 상기 실외기(10)에 연결되는 2개의 접속부(C1,C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접속부(C1,C2)에는, 상기 실외기(10)의 액관 서비스밸브(175)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부(C1) 및 상기 실외기(10)의 기관 서비스밸브(255)에 접속되는 제 2 접속부(C2)가 포함된다.
상기 냉각 시스템(1)에는, 상기 액관 서비스밸브(175)와 상기 제 1 접속부(C1)를 연결하는 제 1 시스템배관(175a) 및 상기 기관 서비스밸브(255)와 상기 제 2 접속부(C2)를 연결하는 제 2 시스템배관(255a)이 포함된다.
상기 연결유닛(50)과 상기 실내기(30)는 3배관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50)에는, 상기 실내기(30)에 연결되는 3개의 접속부(C3,C4,C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접속부(C3,C4,C5)에는, 실내기(30)에 구비되는 증발기 입구배관(210)에 접속되는 제 3 접속부(C3)와, 제 1 증발기 출구배관(227)에 접속되는 제 4 접속부(C4) 및 제 2 증발기 출구배관(237)에 접속되는 제 5 접속부(C5)가 포함된다.
상기 실외기(10)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0)와, 상기 압축기(110)의 입구측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110)로의 냉매 흡입을 가이드 하는 흡입배관(112) 및 상기 압축기(110)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의 토출을 가이드 하는 토출배관(114)이 포함된다.
상기 흡입배관(112)은 기액분리기(105)로부터 상기 압축기(110)의 흡입포트로 연장되어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기관의 일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기(105)는 냉매 중 기상냉매를 분리하여 상기 압축기(110)로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압축기(110)의 흡입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배관(112)은 상기 기액분리기(105)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압축기(110)의 흡입포트로 가이드 한다.
상기 실외기(10)에는, 상기 기관 서비스밸브(255)로부터 기액분리기(105)로 연장되는 기관(111)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관(111)에는 증발된 기상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관(111)은 흡입측 열교환기(1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토출배관(114)은 상기 압축기(110)의 토출포트로부터 유동 전환밸브(120)로 연장되는 배관으로서 이해되며, 상기 압축기(110)의 토출냉매가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한다. 일례로,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에는 사방변(four-way valve)가 포함되며, 상기 사방변에는 냉매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4개의 포트(120a~120d)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배관(114)은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의 제 1 포트(12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에는, 상기 토출배관(114)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110)에서 냉매와 함께 토출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분리기(115) 및 상기 오일분리기(115)로부터 상기 흡입배관(112)으로 연장되는 회수배관(116)이 더 포함된다. 상기 회수배관(116)을 유동한 오일은 상기 압축기(110)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회수배관(116)에는, 회수되는 오일의 유동량을 조절(감소)하기 위한 오일량 조절장치(117)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오일량 조절장치(117)에는, 캐필러리 튜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토출배관(114)에는, 냉매의 일방향 유동만을 허용하는 제 1 체크밸브(11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크밸브(118)는 상기 압축기(110)로부터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로의 냉매유동을 허용하며, 그 반대방향으로의 냉매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체크밸브(118)는 상기 오일분리기(115)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의 출구측에는, 실외 열교환기(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는 냉매와 외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장치이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의 일측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측으로 외기를 불어주는 실외팬(140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외팬(140a)이 구동하면,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를 유동하는 냉매와 외기가 열교환 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에는,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로부터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로 연장되는 밸브 연결배관(121)이 더 포함된다. 상기 밸브 연결배관(121)은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의 제 2 포트(120b)로부터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의 출구측에는, 액관(170)이 연결된다. 상기 액관(170)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로부터 액관 서비스밸브(175)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액관(170)에는, 리시버(160) 및 제 2 체크밸브(162)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체크밸브(162)는 상기 리시버(160)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시버(160)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장하는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챔버에 저장된 액냉매는 상기 액관 서비스밸브(175)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크밸브(162)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로부터 상기 액관 서비스밸브(175)를 향하는 냉매유동을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으로의 냉매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 2 체크밸브(162)의 출구측에는, 과냉각기(16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과냉각기(164)에서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응축된 메인 냉매와, 상기 메인 냉매로부터 분지된 분지 냉매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에는, 상기 액관(170)에서 분지되어 상기 압축기(110)로 연장되며 상기 분지 냉매가 상기 압축기(110)로 유입되는 것을 가이드 하는 인젝션 배관(165)이 더 포함된다. 상기 인젝션 배관(165)에는, 상기 분지 냉매를 감압하기 위한 과냉각 팽창장치(16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과냉각기(164)에서의 열교환을 통하여, 상기 메인 냉매는 과냉각되고, 상기 분지냉매는 기화되어 상기 압축기(110)로 인젝션 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에는, 상기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고압냉매(핫 가스)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를 바이패스 하도록 가이드 하는 바이패스 배관(130,135)이 더 포함된다. 상기 냉각 시스템(1)의 제상운전 수행시, 상기 바이패스 배관(130,135)을 통한 냉매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바이패스 배관(130,135)에는,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바이패스 배관(130)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바이패스 배관(130)은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의 제 4 포트(120d)로부터 연장되며 제 2 바이패스 배관(13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130,135)에는, 상기 제 1 바이패스 배관(130)이 접속되는 제 1 분지부(132)를 가지는 제 2 바이패스 배관(13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135)은 흡입측 열교환기(150)로부터 상기 액관(170)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액관(170)에는,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135)이 연결되는 제 2 분지부(17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시스템(1)의 제상운전 수행시, 상기 제 1 바이패스 배관(130)을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제 1 분지부(132)에서 분지되어 일부의 냉매는 상기 제 2 분지부(172)로 유동하며, 나머지 냉매는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150)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135)에는, 제 3 체크밸브(13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37)는 상기 제 1 분지부(132)와 상기 제 2 분지부(1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137)는 상기 제 1 분지부(132)로부터 상기 제 2 분지부(172)로의 냉매 유동을 허용하며, 그 반대방향으로의 냉매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에는,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로부터 기관(111)으로 연장되는 흡입 연결관(125)이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흡입 연결관(125)은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의 제 3 포트(120c)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기관(111)의 제 3 분지부(113)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 3 분지부(113)는 상기 흡입 연결관(125)과 상기 기관(111)이 연결되는 지점으로서,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150)의 유입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시스템(1)의 제상운전시, 상기 흡입 연결관(125)을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제 3 분지부(113)에서 상기 기관(111)을 유동하는 기상 냉매와 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합지된 냉매는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15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에는,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150)로부터 상기 액관(170)으로 연장되는 열교환기 가이드배관(142)이 더 포함된다. 상기 액관(170)에는, 상기 열교환기 가이드배관(142)이 접속하는 제 4 분지부(142a)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 가이드배관(142)에는, 응축된 냉매를 감압하기 위한 열교환 팽창장치(145)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 팽창장치(145)에는, 전자 팽창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시스템(1)의 제상운전시,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150)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 가이드배관(142)을 통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로 유입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증발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시스템(1)의 제상운전시,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150)에서는, 상기 기관(111)을 유동하는 저압의 냉매와, 상기 제 1,2 바이패스 배관(130,135)을 유동하는 고압의 냉매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150)에는, 다중관 열교환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저압의 냉매는 상기 고압의 냉매로부터 흡열하여 상기 기액분리기(105)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고압의 냉매는 상기 저압의 냉매로 방열하여 응축된 후 상기 열교환기 가이드 배관(142)을 통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로 유입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증발된 냉매는 상기 밸브 연결배관(121)을 거쳐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의 제 2 포트(120b)로 유입되며,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의 제 3 포트(120c)를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흡입 연결관(125)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연결관(125)의 냉매는 상기 제 3 분지부(113)에서 상기 기관(111)의 냉매와 합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50)에는, 상기 제 1 접속부(C1)로부터 상기 제 3 접속부(C3)로 연장되는 제 1 연결관(214)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연결관(214)에는, 상기 제 1 연결관(214)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 1 밸브(215)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밸브(215)에는,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50)에는, 상기 제 4 접속부(C4)로부터 상기 제 2 접속부(C2)로 연장되는 제 2 연결관(217)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연결관(217)에는, 제 2 밸브(228)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밸브(228)에는 삼방변(three-way valve)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50)에는, 상기 제 5 접속부(C5)로부터 상기 제 2 연결관(217)으로 연장되는 제 3 연결관(218)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 연결관(218)은 상기 제 2 연결관(217)의 제 6 분지부(227a)에서, 상기 제 2 연결관(217)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연결관(218)에는, 제 3 밸브(238)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3 밸브(238)에는 삼방변(three-way valve)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50)에는, 상기 제 1 연결관(214)으로부터 상기 제 2 밸브(228)로 연장되는 제 3 바이패스 배관(24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연결관(214)에는, 상기 제 3 바이패스 배관(240)이 연결되는 제 5 분지부(21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시스템(1)의 제상운전시, 핫가스는 상기 제 1 연결관(214)의 제 5 분지부(214a)에서 상기 제 3 바이패스 배관(240)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2 밸브(228)를 거쳐 제 1 증발기(22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50)에는, 상기 제 3 바이패스 배관(240)으로부터 분지되어 제 3 밸브(238)에 접속하는 접속배관(242)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 밸브(238)의 제 1,2 포트는 상기 제 3 연결관(218)에 접속되며, 제 3 포트는 상기 접속배관(242)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밸브(228)의 제 1,2 포트는 상기 제 2 연결관(217)에 접속되며, 제 3 포트는 상기 제 3 바이패스 배관(24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30)에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복수의 증발기(220,2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증발기(220,230)에는, 제 1 증발기(220) 및 제 2 증발기(2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시스템(1)의 냉각 운전시, 상기 제 1,2 증발기(220,230)에서는 냉매의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냉각 시스템(1)의 제상 운전시, 상기 제 1 증발기(220) 및 상기 제 2 증발기(230) 중 어느 하나는 제상, 다른 하나는 냉매의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내기(30)에는, 상기 연결유닛(50)의 제 3 접속부(C3)로부터 제 1,2 증발기(220,230)의 유입측으로 연장되는 증발기 입구배관(210)이 포함된다.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210)은 분지되어, 상기 제 1,2 증발기(220,23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증발기(220,230)에 연결되는 분지배관을 각각 "제 1 증발기 분지배관" 및 "제 2 증발기 분지배관"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증발기 분지배관에는 제 1 증발기팽창장치(225)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증발기 분지배관에는 제 2 증발기팽창장치(235)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증발기팽창장치(225) 및 상기 제 2 증발기팽창장치(235)에는, 냉매를 감압하기 위한 전자 팽창밸브(EEV)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증발기(220)의 일측에는 제 1 증발팬(220a)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증발기(230)의 일측에는 제 2 증발팬(230a)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2 증발팬(220a,230a)은 저장고의 벽면등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를 향하여 냉기를 불어줄 수 있다.
상기 실내기(30)에는, 상기 제 1 증발기(220)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유닛(50)의 제 4 접속부(C4)로 연장되는 제 1 증발기 출구배관(227) 및 상기 제 2 증발기(230)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유닛(50)의 제 5 접속부(C5)로 연장되는 제 2 증발기 출구배관(237)이 더 포함된다.
상기 냉각 시스템(1)의 냉각운전시, 상기 제 1,2 증발기(220,230)에서 증발된 냉매는 각각 상기 제 1,2 증발기 출구배관(227,228)을 통하여 상기 연결 유닛(50)으로 유동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냉각 시스템(1)의 제상운전, 특히 상기 제 1 증발기(220)의 제상운전시, 제 3 바이패스 배관(240) 및 제 2 밸브(228)를 경유한 핫가스는 상기 제 1 증발기 출구배관(227)을 통하여 상기 제 1 증발기(220)로 유입되어 제상을 수행한 후 상기 제 2 증발기팽창장치(235)에서 감압되고 상기 제 2 증발기(230)에서 증발될 수 있다. 그리고, 증발된 냉매는 상기 제 2 증발기 출구배관(237)을 통하여 연결유닛(50)의 제 5 접속부(C5)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 시스템(1)의 제상운전, 특히 상기 제 2 증발기(230)의 제상운전시, 제 3 바이패스 배관(240), 접속배관(242) 및 제 3 밸브(238)를 경유한 핫가스는 상기 제 2 증발기 출구배관(237)을 통하여 상기 제 2 증발기(230)로 유입되어 제상을 수행한 후 상기 제 1 증발기팽창장치(225)에서 감압되고 상기 제 1 증발기(220)에서 증발될 수 있다. 그리고, 증발된 냉매는 상기 제 1 증발기 출구배관(227)을 통하여 연결유닛(50)의 제 4 접속부(C4)로 유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냉각운전 수행시,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사이클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1)의 냉각운전 수행시,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고압 냉매는 토출배관(114)을 거쳐 유동 전환밸브(120)의 제 1 포트(120a)로 유입되며 제 2 포트(120b)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에서 배출된 냉매는 밸브 연결배관(145)을 거쳐 실외 열교환기(140)로 유입되고 응축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배출된 냉매는 액관(170)을 유동하며 과냉각기(164)를 통과하면서 과냉각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교환 팽창장치(145)는 닫혀지므로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배출된 냉매가 열교환기 가이드배관(142)으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과냉각기(164)에서 과냉각 된 냉매는 액관 서비스밸브(175)를 통하여 배출되며 제 1 접속부(C1)를 통하여 연결 유닛(5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제 3 체크밸브(137)에 의하여 냉매가 제 2 바이패스 배관(135)으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냉각기(164)를 통과한 분지 냉매는 인젝션 배관(165)을 통하여 상기 압축기(110)로 인젝션 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50)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연결관(214)을 유동하며 증발기 입구배관(210)을 통하여 제 1,2 증발기(220,230)로 분지되어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3 바이패스 배관(240)이 접속되는 제 2 밸브(228)의 일 포트 및 접속배관(242)이 접속되는 제 3 밸브(238)의 일 포트가 닫혀져서 상기 제 3 바이패스 배관(240) 및 접속배관(242)으로의 유동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210)에서 분지된 냉매는 상기 제 1,2 증발기(220,230)에서 각각 증발되면서 냉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냉기는 제 1,2 증발팬(220a,230a)에 의하여 저장고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증발기(220,230)에서 증발된 냉매는 각각 제 1,2 증발기 출구배관(227,237)을 유동하며 상기 연결유닛(50)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증발기 출구배관(227)을 유동한 냉매는 제 4 접속부(C4)를 통하여 상기 연결유닛(50)으로 유입되며 제 2 밸브(228)를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증발기 출구배관(237)을 유동한 냉매는 제 5 접속부(C5)를 통하여 상기 연결유닛(50)으로 유입되며 제 3 밸브(238)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밸브(238)를 통과한 냉매는 제 2 연결관(217)의 제 6 분지부(227a)에서, 상기 제 2 밸브(228)를 통과한 냉매와 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합지된 냉매는 제 2 접속부(C2)를 통하여 상기 연결유닛(50)에서 배출되며, 기관 서비스밸브(255)를 통하여 상기 실외기(10)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기(10)로 유입된 냉매는 기관(111)을 유동하며, 흡입측 열교환기(150) 및 기액분리기(105)를 거쳐 상기 압축기(110)로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이 반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매 사이클의 순환에 의하여, 저장고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증발기의 제상운전 수행시,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사이클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1)의 제상운전 수행시, 특히 제 1 증발기(220)의 제상운전 수행시,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고압 냉매는 토출배관(114)을 거쳐 유동 전환밸브(120)의 제 1 포트(120a)로 유입되며 제 4 포트(120d)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에서 배출된 냉매는 제 1 바이패스 배관(130)을 유동하며 제 1 분지부(132)에서 분지되어 제 2 바이패스 배관(135)을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분지된 냉매 중 일부의 냉매는 상기 제 1 분지부(132)로부터 제 2 분지부(172)로 유동하며 상기 액관 서비스밸브(175)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과냉각 팽창장치(167)는 닫혀지므로 냉매가 상기 제 2 분지부(172)로부터 인젝션 배관(165)으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크밸브(162)에 의하여, 냉매가 상기 제 2 분지부(172)로부터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로 유입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분지부(132)에서 분지된 냉매 중 나머지 냉매는 상기 제 1 분지부(132)로부터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150)로 유입되며, 기관(111)의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상기 액관 서비스밸브(175)를 통하여 실외기(10)에서 배출된 냉매는 제 1 접속부(C1)를 통하여 연결 유닛(50)으로 유입되며, 제 5 분지부(214a)에서 제 3 바이패스 배관(240)으로 유동한다. 이 때, 제 1 밸브(215)는 닫혀지므로 냉매가 증발기 입구배관(210)으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바이패스 배관(240)을 유동한 냉매는 제 2 밸브(228)로 유입되며, 제 1 증발기 출구배관(227)을 통하여 상기 제 1 증발기(2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속배관(242)이 접속되는 제 3 밸브(238)의 일 포트는 닫혀지므로, 냉매가 상기 접속배관(242)으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증발기(220)로 유입되는 냉매는 고압의 핫가스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핫가스가 상기 제 1 증발기(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증발기(220)는 제상될 수 있다. 상기 제 1 증발기(220)를 통과한 냉매는 제 2 증발기팽창장치(235)에서 감압되며, 상기 제 2 증발기(230)에서 증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증발기팽창장치(225)는 풀 오픈(full open)되므로, 냉매가 상기 제 1 증발기팽창장치(22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230)에서 냉매가 증발되는 과정에서 냉기는 발생되며, 발생된 냉기는 제 2 증발팬(230a)의 구동에 의하여 저장고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증발기(220)가 제상되는 과정에서 제 2 증발기(230)는 냉각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저장고의 내부 온도가 급상승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230)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 2 증발기 출구배관(237)을 거쳐 상기 제 3 밸브(238)를 통과하고 제 2 접속부(C2)를 통하여 상기 연결유닛(50)에서 배출된다. 상기 연결유닛(50)에서 배출된 냉매는 기관 서비스밸브(255)를 통하여 상기 실외기(10)로 유입되어 기관(111)을 유동하며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15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150)에서는 상기 제 1 분지부(132)에서 분지된 고압의 핫가스와 상기 기관(111)을 유동하는 저압의 냉매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 과정에서, 상기 고압의 핫가스는 응축되며 상기 열교환기 가이드배관(142)로 유입되어 상기 열교환 팽창장치(145)에서 감압될 수 있다. 그리고, 감압된 냉매는 상기 제 4 분지부(142a)를 통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로 유입되어 증발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는 증발기로서 작용하며, 이 과정에서 냉매는 외기로부터 흡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냉각 시스템(1)은 외부 열원으로부터 제상을 위하여 필요한 열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 팽창장치(145)에서 감압된 냉매는 저압을 형성하므로, 압력 차이에 의하여, 냉매가 고압의 핫가스가 유동하는 제 2 분지부(172)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증발된 냉매는 밸브 연결배관(121)을 통하여 유동 전환밸브(120)로 유입된다. 상세히, 냉매는 제 2 포트(120b)를 통하여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로 유입되며 제 3 포트(120c)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전환밸브(120)에서 배출된 냉매는 흡입 연결관(125)을 유동하며 제 3 분지부(113)에서 상기 기관(111)을 유동하는 냉매와 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합지된 냉매는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150)로 유입되어 핫가스 냉매와 열교환 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이 반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매 사이클의 순환에 의하여, 일부 증발기의 제상운전 및 저장고의 냉각운전이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증발기의 제상운전 수행시,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사이클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1)의 제상운전 수행시, 특히 제 2 증발기(230)의 제상운전 수행시, 실외기(10)에서의 냉매 유동은 도 4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며, 실내기(30) 및 연결유닛(50)에서의 냉매 유동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4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도 4의 설명내용을 원용하며, 도 4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1 분지부(132) 및 제 2 분지부(172)를 경유하여 액관 서비스밸브(172)에서 배출된 냉매는 제 1 접속부(C1)를 통하여 연결유닛(50)으로 유입되며, 제 1 연결관(214)을 유동한다. 상기 제 1 밸브(215)는 닫혀지므로 냉매는 제 5 분지부(214a)에서 제 3 바이패스 배관(240)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3 바이패스 배관(240)의 냉매는 분지된 접속배관(242)을 통하여 제 3 밸브(238)로 유입되며, 상기 제 3 밸브(238)에서 배출된 후 제 2 증발기(2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3 바이패스 배관(240)이 접속되는 제 2 밸브(228)의 일 포트는 닫혀지므로, 냉매가 상기 제 2 밸브(228)로 유입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230)로 유입된 냉매, 즉 고압의 핫가스는 상기 제 2 증발기(230)의 제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230)를 통과한 냉매는 제 1 증발기팽창장치(225)에서 감압되며, 상기 제 1 증발기(220)에서 증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증발기팽창장치(235)는 풀 오픈(full open)되므로, 냉매가 상기 제 2 증발기팽창장치(23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증발기(220)에서 냉매가 증발되는 과정에서 냉기는 발생되며, 발생된 냉기는 제 1 증발팬(220a)의 구동에 의하여 저장고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증발기(230)가 제상되는 과정에서 제 1 증발기(220)는 냉각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저장고의 내부 온도가 급상승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증발기(220)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 1 증발기 출구배관(227)을 거쳐 상기 제 2 밸브(228)를 통과하고 제 2 접속부(C2)를 통하여 상기 연결유닛(50)에서 배출된다. 상기 연결유닛(50)에서 배출된 냉매는 기관 서비스밸브(255)를 통하여 상기 실외기(10)로 유입되어 기관(111)을 유동하며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15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150)에서는 상기 제 1 분지부(132)에서 분지된 고압의 핫가스와 상기 기관(111)을 유동하는 저압의 냉매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150)를 통과한 냉매가 열교환 팽창장치(145) 및 실외 열교환기(140)를 통과하고 유동 전환밸브(120)를 거쳐 흡입 연결관(125)을 유동하는 냉매의 모습에 대하여는, 도 4의 설명을 원용한다.
이 과정에서 냉매는 외기로부터 흡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냉각 시스템(1)은 외부 열원으로부터 제상을 위하여 필요한 열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사이클이 반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매 사이클의 순환에 의하여, 일부 증발기의 제상운전 및 저장고의 냉각운전이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부 구성, 즉 기액분리기 및 흡입측 열교환기의 일체형 구조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이클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1a)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액분리기(105)와 흡입측 열교환기(150)가 일체로 구성되어, 일체형 기액분리기(3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체형 기액분리기(300)에는, 제 2 바이패스 배관(135) 및 열교환기 가이드배관(142)이 연결되어 핫가스의 유입 및 응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체형 기액분리기(300)에는 기관(111)이 연결되어, 상기 핫가스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일체형 기액분리기(300)에서는, 상기 기액분리기(300)에서 저장된 냉매가 상기 핫가스로부터 흡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기액분리기(300)에 저장된 액 냉매가 기화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기액분리기(300)에서의 기액분리 성능이 개선되고 상기 압축기(110)로 흡입되는 냉매의 흡입가열도가 증가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한편,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135) 및 열교환기 가이드배관(142)이 상기 일체형 기액분리기(300)에 연결되는 지점은 상기 기액분리기(3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액분리기(300)의 하부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기화된 냉매는 상기 기액분리기(300)의 상부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기상 냉매는 상기 기액분리기(300)의 상부에 연결된 흡입배관(112)을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압축기(110)로 흡입될 수 있다.
1 : 냉각 시스템 10 : 실외기
30 : 실내기 50 : 연결 유닛
110 : 압축기 120 : 유동 전환밸브
130 : 제 1 바이패스 배관 132 : 제 1 분지부
135 : 제 2 바이패스 배관 140 : 실외 열교환기
150 : 흡입측 열교환기 215 : 제 1 밸브
220 : 제 1 증발기 228 : 제 2 밸브
230 : 제 2 증발기 238 : 제 3 밸브
240 : 제 3 바이패스 배관 242 : 접속배관

Claims (13)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출구측에 배출되는 유동 조절밸브;
    상기 유동 조절밸브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유동 조절밸브로부터 연장되며, 냉매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바이패스 하도록 가이드 하는 바이패스 배관;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상기 바이패스 배관을 유동하는 냉매 중 일부의 냉매가 유입되는 흡입측 열교환기;
    상기 바이패스 배관을 유동하는 냉매 중 나머지 냉매가 유입되어 제상이 수행되는 제 1 증발기; 및
    상기 제 1 증발기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가 증발되는 제 2 증발기가 포함되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유동하는 액관이 더 포함되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는,
    상기 유동 조절밸브의 일 포트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제 1 바이패스 배관이 연결되는 제 1 분지부를 가지며, 상기 액관의 제 2 분지부에 연결되는 제 2 바이패스 배관이 더 포함되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분지부와 상기 제 2 분지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체크밸브가 더 포함되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관에 연결되며, 제 1 밸브가 설치되는 제 1 연결관; 및
    상기 제 1 연결관으로부터 분지되며, 냉매를 상기 제 1 증발기로 가이드 하는 제 3 바이패스 배관이 더 포함되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증발기에 연결되는 제 1 증발기 출구배관; 및
    상기 제 3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제 1 증발기 출구배관에 접속되는 제 2 밸브가 더 포함되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바이패스 배관으로부터 분지되는 접속배관;
    상기 제 2 증발기에 연결되는 제 2 증발기 출구배관; 및
    상기 접속배관 및 상기 제 2 증발기출구배관에 접속되는 제 3 밸브가 더 포함되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은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에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핫가스 냉매는 상기 제 1 분지부를 거쳐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가 유동하며,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기관이 더 포함되며,
    상기 기관의 냉매는 상기 핫가스 냉매와 열교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액관으로 연장되는 열교환기 가이드 배관; 및
    상기 열교환기 가이드 배관에 설치되는 열교환 팽창장치가 더 포함되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전환밸브로부터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에 구비되는 기관으로 연장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상기 기관으로 전달하는 흡입 연결관이 더 포함되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냉매 중 기상냉매를 분리하여 상기 압축기로 공급하는 기액분리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기액분리기와 상기 흡입측 열교환기는 일체로 구성되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실외기 및 상기 제 1,2 증발기가 설치되는 실내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기와 2배관 접속, 상기 실내기와 3배관 접속되는 연결유닛이 더 포함되는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KR1020180046197A 2018-04-20 2018-04-20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KR102674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197A KR102674404B1 (ko) 2018-04-20 2018-04-20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PCT/KR2019/004778 WO2019203621A1 (ko) 2018-04-20 2019-04-19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197A KR102674404B1 (ko) 2018-04-20 2018-04-20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433A true KR20190122433A (ko) 2019-10-30
KR102674404B1 KR102674404B1 (ko) 2024-06-13

Family

ID=68238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197A KR102674404B1 (ko) 2018-04-20 2018-04-20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74404B1 (ko)
WO (1) WO20192036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5637B (zh) * 2021-06-29 2023-09-15 江苏拓米洛高端装备股份有限公司 制冷系统多间室电子膨胀阀的控制方法、装置及制冷系统
CN113494790B (zh) * 2021-07-28 2024-04-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制冷系统、化霜控制方法及其制冷设备
CN115751810A (zh) * 2021-09-02 2023-03-07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冷藏冷冻装置的制冷系统及具有其的冷藏冷冻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1232A (ja) * 1998-10-20 2000-04-28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20040064456A (ko) * 2003-01-13 2004-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제상장치
KR100885583B1 (ko) * 2007-08-24 2009-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125141A (ko) * 2013-04-18 2014-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JP2017015299A (ja) * 2015-06-30 2017-01-19 富士電機株式会社 冷却装置
KR101700043B1 (ko) * 2015-10-01 201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JP2017172920A (ja) * 2016-03-25 2017-09-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2018040547A (ja) * 2016-09-08 2018-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凍システムおよび冷凍装置
JP7117323B2 (ja) * 2017-04-27 2022-08-12 アストラゼネカ・アクチエボラーグ フェノキシキナゾリン化合物及び癌の処置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9489B2 (ja) * 2006-01-19 2012-03-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US9915453B2 (en) * 2012-02-07 2018-03-13 Systecon, Inc. Indirect evaporative cooling system with supplemental chiller that can be bypassed
KR101491909B1 (ko) * 2013-06-12 2015-02-1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분할제상이 가능한 실외기 열교환기, 실외기 열교환기 관열 분할 제상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히트펌프 시스템의 작동방법
CN106233077B (zh) * 2014-04-22 2019-08-09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装置
KR101639514B1 (ko) * 2015-01-12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1232A (ja) * 1998-10-20 2000-04-28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20040064456A (ko) * 2003-01-13 2004-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제상장치
KR100885583B1 (ko) * 2007-08-24 2009-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125141A (ko) * 2013-04-18 2014-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JP2017015299A (ja) * 2015-06-30 2017-01-19 富士電機株式会社 冷却装置
KR101700043B1 (ko) * 2015-10-01 201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JP2017172920A (ja) * 2016-03-25 2017-09-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2018040547A (ja) * 2016-09-08 2018-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凍システムおよび冷凍装置
JP7117323B2 (ja) * 2017-04-27 2022-08-12 アストラゼネカ・アクチエボラーグ フェノキシキナゾリン化合物及び癌の処置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4404B1 (ko) 2024-06-13
WO2019203621A1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3827B2 (en) Chiller system including an oil separator and ejector connection
US11333411B2 (en) Heat pump with simultaneous cooling and defrosting of heat exchangers arranged in parallel
US20090223232A1 (en) Defrost system
KR20190122433A (ko)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US10578344B2 (en) Reversible liquid suction gas heat exchanger
US20130061622A1 (en)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US11965683B2 (en) Cooling system for low temperature storage
CN110849044A (zh) 制冷系统
KR20080024937A (ko) 공기조화장치
KR20190128360A (ko)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KR20210096521A (ko) 공기 조화 장치
KR102491229B1 (ko)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JP2007100987A (ja) 冷凍システム
KR100987705B1 (ko) 핫가스 제상용 시스템이 적용된 냉동 사이클장치
KR102583881B1 (ko) 저온 저장고의 냉각 시스템
CN111707028A (zh) 一种热泵空调室外风冷除霜装置
KR20150089228A (ko) 냉장고
KR20200114123A (ko) 공기조화 장치
KR102080053B1 (ko) 제상기능을 갖는 히트펌프 공기조화기
KR102258449B1 (ko)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
KR102232215B1 (ko) 냉장고
CN221055345U (zh) 制冷系统及冷藏设备
WO2023275917A1 (ja) 空気冷媒熱交換器
WO2023275916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H1194395A (ja) 多室形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