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656A -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656A
KR20190121656A KR1020180045253A KR20180045253A KR20190121656A KR 20190121656 A KR20190121656 A KR 20190121656A KR 1020180045253 A KR1020180045253 A KR 1020180045253A KR 20180045253 A KR20180045253 A KR 20180045253A KR 20190121656 A KR20190121656 A KR 20190121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hawing
water
drum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654B1 (ko
Inventor
김신원
안인근
허선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5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654B1/ko
Priority to EP19169886.9A priority patent/EP3556931B1/en
Priority to EP20207400.1A priority patent/EP3808889A1/en
Priority to US16/386,559 priority patent/US10988895B2/en
Priority to PCT/KR2019/004638 priority patent/WO2019203566A1/en
Priority to TW108113490A priority patent/TWI715012B/zh
Priority to CN201910312962.3A priority patent/CN110387727B/zh
Publication of KR20190121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654B1/ko
Priority to US17/210,756 priority patent/US1154265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filters or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8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condensation, e.g. condensate water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드럼과 연통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고온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열풍공급부와 연통되며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수분이 응축되어 형성된 물이 수집되도록 구비되는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펌프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수집부의 물이 동결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이를 해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동파되는 경우, 동파를 감지하고 자체적으로 해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리프레셔 등이 있다. 리프레셔는 한 번 입은 의류 등에 묻은 먼지, 세균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상품명으로는 LGE의 트롬 스타일러가 있다.)
건조기에서는 배기식 건조기 또는 순환식 건조기로 구분되는데, 이는 모두 히터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산하고 상기 열풍을 의류에 노출시킴으로 의류의 건조를 수행하였다.
종래 건조기에서 의류를 통과한 열풍은 의류를 통과하면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여 의류를 건조한다. 수분을 함유하여 고온 다습해진 열풍은 드럼 외부로 배출되어 덕트 또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기온이 낮아지게 되고, 수분은 응축된다.
응축된 물은 별도의 수집부에 일정량 수집된 뒤 배수펌프 등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며, 의류의 건조는 완료될 수 있다. 그러나, 겨울철 등 기온이 하강하는 경우에, 수집부에 응축된 물이 그대로 잔류하게 되면 동결될 수 있다.
수집부의 물이 동결되면, 부피가 더 확장되므로 수집부를 파손할 수 있다. 또한, 동결된 상태에서 건조기가 작동하면, 응축된 물이 동결된 얼음 위에 적체가 되어 누수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배수펌프가 물이 얼어 구속된 경우, 강제로 작동하게 되면 배수펌프를 구동하는 모터가 파손될 우려가 까지 있다.
따라서, 수집부의 응축수가 동결되었는지 감지될 필요가 있고, 감지되면 신속하게 해동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종래 건조기는 수집된 응축수가 동결된 것을 제대로 감지할 수 없어 사용자가 해동 조치 등을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건조기는 동결된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작동되어 배수펌프 등이 파손되거나, 배수펌프가 구속됨으로 인해 건조기의 작동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상태가 유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건조기는 응축수가 동결된 것을 자체적으로 해동할 수도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건조기는 응축수가 동결된 것을 사용자가 발견하여도, 뜨거운 물을 건조기 내부에 부어 해동해야 하거나, 자연 해동될 때까지 대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응축수가 동결된 경우 자체적으로 해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응축수가 동결된 경우 자체적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해동 조치를 유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응축수가 동결된 경우 자체적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인지 없이도 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동결된 응축수를 해동할 때, 배수펌프에 과도한 부하가 부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해동이 수행되는 지 여부와 해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까지 감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동결된 응축수를 해동하면서도 응축수의 넘침이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응축수가 동결되어도 작동이 중단되거나 외부에 오류표시를 발생시키지 않고, 해동을 수행하며 의류의 건조까지 완료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드럼과 연통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고온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부, 상기 열풍공급부와 연통되며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수분이 응축되어 형성된 물이 수집되도록 구비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펌프, 상기 구동부, 상기 열풍공급부,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의 동결된 물을 해동시킬 수 있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도록 구비되는 해동명령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동명령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열풍공급부와 상기 구동부 중 하나 이상을 구동시키고, 상기 배수펌프가 기준시간 동안 구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동결된 물이 해동될 수 있도록 열을 공급하되, 배수펌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배수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수집부에서 동결된 물의 해동이 진행되는 상태 또는 상기 해동이 완료되는지 여부를 점검하도록 구비되어 배수펌프 자체만으로 해동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시간 후 상기 배수펌프를 제1시간 간격으로 구동하여 상기 동결된 물의 해동 상태를 점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수펌프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인 것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동이 완료되면 상기 배수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해동된 물을 배출하여 해동코스를 마무리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 또는 상기 열풍공급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온도가 기준온도 미만이며, 상기 배수펌프가 구속되면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동결을 감지하는 별도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온도는 물의 어는 점보다 높도록 구비되어, 온도센서가 위치한 부분이 수집부보다 온도가 높아도 이를 고려하여 동결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된 것이 감지되었으나, 상기 해동명령입력부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구동부, 상기 열풍공급부, 상기 배수펌프의 중 하나 이상의 작동을 중단하여 배수펌프 등 의류처리장치의 파손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드럼과 연통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고온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열풍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수분이 응축되어 형성된 물이 수집되도록 구비되는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펌프와, 상기 열풍공급부,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수집부의 동결된 물을 해동시키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해동명령입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동명령입력부의 입력을 감지하는 해동코스입력단계와, 상기 해동코스입력 단계가 입력되면 상기 열풍공급부를 가동하여 상기 수집부의 물에 열을 전달하는 집중해동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집중해동단계는 상기 열풍공급부를 구동하여 상기 수집부에 온기를 전달하는 열공급단계와, 상기 배수펌프의 구동을 기준시간 동안 차단하여 상기 배수펌프의 파손을 방지하는 배수펌프차단단계를 포함하여, 열을 공급하면서도 배수펌프의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 집중해동단계는 상기 수집부의 물이 해동되는 상태와 해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해동점검단계를 더 포함하여, 해동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여 해동코스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고, 해동코스가 정상적으로 지연되지 않을 시 표시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능동적인 조치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해동점검단계에서는 상기 기준시간 후 상기 배수펌프를 제1시간 간격으로 구동하면서 상기 배수펌프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장시간 열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해동점검단계는 상기 기준시간 후 상기 배수펌프가 기준회전수 이상으로 구동하면 배수펌프의 구속이 해제 되었으므로 해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동결감지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된 것을 감지하였으나, 상기 해동명령입력부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에 에러(error)를 표시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하는 에러표시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능동적으로 동결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해동코스를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드럼과 연통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고온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열풍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수분이 응축되어 형성된 물이 수집되도록 구비되는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상조건판단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드럼과 상기 열풍공급부 중 어느 하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결감지단계는 상기 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이면서 상기 배수펌프가 구속되면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온도는 물의 어는 점보다 높아 열풍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열,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보온 등의 종합적인 상태를 고려하여 수집부의 동결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배수펌프의 구속을 포함하는 이상상태를 감지하면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차단하는 에러무시단계가 수행된다. 이로써,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중단되지 않고 적극적인 해동코스가 수행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열풍공급부를 가동하여 상기 수집부에 열을 전달하는 신속해동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신속해동단계는 상기 열풍공급부를 구동하여 상기 수집부까지 온기를 전달하는 열공급단계와, 상기 배수펌프는 기준시간 동안 작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배수펌프강제정지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해동과정에서 배수펌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의 물이 해동되는 상태와 해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해동점검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해동이 완료되었어도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해동코스가 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의 수위를 점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동점검단계는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또는 상기 수위가 기준수위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배수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해동되는 상태를 점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해동점검단계는 상기 수위가 기준수위에 도달하였을 때부터 제2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수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해동되는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상기 해동점검단계에서 제3시간 동안 상기 배수펌프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으로 돌파하지 않으면 상기 열풍공급부의 가동을 중단하는 건조차단단계를 수행한다. 이로써, 의류에 함유된 수분이 수집부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드럼과 열풍공급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차단단계는 상기 송풍팬은 가동하여 자연해동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해동점검단계는 상기 배수펌프가 상기 기준회전수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수집부의 해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해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수집부의 물을 배출하는 잔수배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수배출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드럼에 의류가 수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포량감지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의류가 수용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건조수행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드럼과 연통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고온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열풍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수분이 응축되어 형성된 물이 수집되도록 구비되는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펌프와, 상기 드럼 또는 상기 열풍공급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하여 상기 드럼에 상기 의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의류수용여부확인단계와, 상기 의류의 수용여부가 점검되면 기준온도 이하이면서 상기 배수펌프가 구속되었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 물의 동결여부를 감지하는 동결감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동결이 감지되면 상기 열풍공급부를 구동하여 상기 수용부를 해동하는 해동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드럼이 비어 있는 것이 감지되고 상기 동결이 감지되면, 상기 배수펌프를 상기 기준시간 이후에만 제1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수펌프를 구동하면서 상기 열풍공급부를 지속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수용부를 해동하는 집중해동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드럼이 비어 있는 것이 감지되고 상기 동결이 감지되면, 상기 배수펌프를 상기 기준시간 이후에만 제1시간 보다 짧은 상기 제2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수펌프를 구동하면서 상기 열풍공급부를 지속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수용부를 해동하는 신속해동단계를 수행한다. 즉, 의류의 수용여부에 따라 해동코스를 선택적, 맞춤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배수펌프의 구속을 포함하는 이상상태를 감지하면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차단하는 에러무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응축수가 동결된 경우 자체적으로 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응축수가 동결된 경우 자체적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해동 조치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응축수가 동결된 경우 자체적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인지 없이도 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동결된 응축수를 해동할 때, 배수펌프에 과도한 부하가 부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해동이 수행되는 지 여부와 해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까지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동결된 응축수를 해동하면서도 응축수의 넘침이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응축수가 동결되어도 작동이 중단되거나 외부에 오류표시를 발생시키지 않고, 해동을 수행하며 의류의 건조까지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응축수가 수집되는 베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펌프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정상상태일 때의 배수펌프의 구동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응축수가 동결되었을 때 이를 해동하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동결된 응축수를 감지하고 이를 해동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동결된 응축수를 감지하고 이를 해동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의류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의류의 구김을 방지하고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스타일러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가 건조기로 구비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는 일실시예 일뿐 상기 의류처리장치(10)가 세탁기 또는 스타일러로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작동명령을 입력하거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컨트롤패널(120)과, 상기 캐비닛(10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50), 응축수가 수집되는 응축통(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20)은 상기 캐비닛(10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고, 내부에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제어부(P)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1)와, 상기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1)는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구비될 수 있고,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21)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상태, 이상상태를 외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21)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알람음을 발산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로터리 놉(122)으로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임의의 건조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입력부(140)와, 별도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명령입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입력부(140)와 명령입력부(130)는 물리적인 버튼으로 구비되어 표시부(12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명령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명령입력부(13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가 동파되었을 때, 해동시키는 명령을 상기 컨트롤패널(120)의 제어부에 전달하는 해동명령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50)는 상기 캐비닛(100)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에 구비된 개구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50)는 일측에 손잡이(151)를 구비하고, 타측에 힌지(152)와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1은 도어(150)가 전방에 구비된 프론트 로드 타입 건조기를 게시하였으나, 상기 도어(150)가 상부에 구비된 탑 로드 타입 건조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과,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00)와, 상기 드럼과 연통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고온 공기(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부(400)와, 상기 열풍공급부(400)를 지지하거나 설치하는 베이스(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은 상기 캐비닛(100)의 개부구와 연통하여 의류가 인출입될 수 있는 투입구(220)를 구비하며,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의류를 상하로 승강시켜 교반할 수 있는 리프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상기 캐비닛(100)의 개구부와 상기 드럼(200)의 투입구(220) 사이에 의류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400)는 상기 드럼(200)의 일측과 연통되어 상기 의류의 수분 및 상기 의류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드럼(200)에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배출덕트(411)과, 상기 배출덕트(411)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시켜 수분을 제거하고 다시 가열하는 히트펌프(420)와, 상기 히트펌프를 통과한 공기를 다시 드럼(200)으로 흡입시키는 흡입덕트(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30)는 상기 흡입덕트(412)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덕트연결홀(2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420)는 상기 배출덕트(411)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422)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여 가열하는 압축기(421)와, 상기 압축기(421)를 통과한 냉매로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 건조한 열풍을 생성하는 웅축기(423)와, 상기 응축기(423)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하여 온도를 절감시키는 팽창밸브(4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50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의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히트펌프(42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500)는 일단이 상기 배출덕트(411)와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덕트(412)와 연통하며 내부에는 상기 히트펌프(420)가 설치되고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베이스(500)에는 상기 증발기(422)에서 응축된 물이 수집될 수 있고, 상기 수집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430)가 상기 베이스(50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500)의 하부에는 상기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수집부(534)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수펌프(430)는 상기 수집부(534)에 응축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430)는 수집된 물을 상기 수용통(110)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통(110)과 상기 배수펌프(430)는 수용관(111)으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베이스(500)에 일정수준의 응축수가 수집되면 상기 수용통(110)으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수용통(110) 인출하여 수집된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10)과, 상기 구동모터(310)를 관통하여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구동회전축(320)과, 상기 구동회전축(320)의 일단에 결합되는 풀리(330)와, 상기 풀리(330)와 상기 드럼(200)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폐곡선으로 구비되는 밸트(3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구동회전축(32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열풍공급부(400)와 드럼(20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팬(4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25)은 상기 열풍공급부(400)에 설치되거나, 상기 베이스(500) 중 상기 열풍공급부(400)와 연통되는 곳에 설치되어 드럼(200)과 상기 열풍공급부(400)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모터(310)가 작동하면 상기 드럼(200)은 회전하며, 동시에 상기 송풍팬(425)도 상기 드럼(200)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25)은 상기 드럼(200) 내부의 공기가 I 방향으로 상기 배출덕트(411)를 통과한 후, 상기 베이스(500) 및 열풍공급부(400)를 지나 II방향으로 상기 흡입덕트(412)로 유입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상기 드럼(200) 또는 상기 열풍공급부(40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S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S1)는 열풍공급부(400)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흡입덕트(41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덕트(412)에 구비된 온도센서(S1)는 상기 응축기(423)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온도센서(S1)로 상기 드럼(200) 내부의 공기의 온도 변화 뿐만 아니라, 상기 의류의 건조 상태, 상기 히트펌프(420)의 작동상태를 종합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도3은 상기 베이스(500)를 배면 상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3(A)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500)는 상기 배출덕트(411)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배출연결덕트(510)와, 상기 배출연결덕트(510)에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며 히트펌프(420) 중 증발기(422)와 상기 응축기(421) 및 팽창밸브가 설치될 수 있는 공기유동부(520)와, 상기 공기유동부(520)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흡입덕트(412)와 연통하는 흡입연결덕트(540)와, 상기 공기유동부(520)와 격벽(550)으로 구분되어 상기 구동부(400) 및 상기 히트펌프(420) 중 상기 압축기(421), 배수펌프(430) 등의 각종 장치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장치장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550)으로 인해 드럼(200) 내부의 공기는 장치장착부(530)로 유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에 충돌되는 것이 차단되어 공기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부(520)에는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된 공기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필요가 있는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장치장착부(530)는 상기 건조공기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필요가 없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부(520)는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증발기(422)와 상기 응축기(423)가 설치될 수 있는 하우징으로 구비되고, 상기 장치장착부(530)와 격벽(55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부(520)의 일단에 구비되는 배출연결덕트(510)는 상기 배출덕트(41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과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출덕트(411)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공기유동부(5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5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출연결덕트(510)는 상기 관통홀(511)에서 상기 공기유동부(520)로 갈수록 면적이 더 넓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배출덕트(411)에서 유입된 공기의 속도를 늦춰 상기 증발기(422)에서 열교환량이 많아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공기유동부(520)의 타단에는 상기 응축기(423)를 통과한 공기를 수집하여 상기 흡입연결덕트(540)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수집리브(5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집리브(521)들은 상기 응축기(423)를 통과하여 고온 건조 공기 또는 열풍을 유동저항을 낮추면서 흡입덕트(412)로 온전히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장치장착부(530)는 상기 송풍팬(425)가 설치되어 지지되거나 일부가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송풍팬 장착부(531)와, 상기 구동부(300)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는 구동부 장착부(532)와, 상기 압축기가 지지될 수 있는 압축기 장착부(533)와, 상기 증발기(422)에서 응축된 물이 수집될 수 있는 응축수 수집부(53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응축수 수집부(534)의 상부면에 상기 배수펌프(4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25)는 상기 공기유동부(520)에 공기를 유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해야 하므로, 상기 송풍팬장착부(531)는 상기 흡입덕트(412)와 상기 공기유동부(520)와 각각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 장착부(531)은 상기 일면이 관통되어 복수의 수집리브(521)의 말단과 마주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흡입덕트(412)와 마주하는 타면이 관통되어 상기 열풍을 상기 흡입덕트(412)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팬 장착부(531)와 상기 구동부장착부(532)가 마주하는 곳은 구동회전축이 지지되는 축지지부(53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장착부(532)에서 상기 압축기 장착부(533)와 마주하는 곳은 상기 구동회전축의 타단이 지지되는 풀리지지부(532A)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422)와 상기 응축기(433)는 금속재질로 구비된 복수의 열교환판과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고,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과 상기 열교환판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된 고온다습한 공기는 상기 증발기(422)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수분은 응축되어 물이되어 상기 공기이동부(520)의 하부에 저장된다. 이후, 상기 응축기(433)를 통과하는 공기는 가열되어 고온 건조한 공기로 재생될 수 있다. 상기 고온 건조한 공기는 상기 드럼(200)으로 다시 유입되어 드럼 내부에 있는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도3(B)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이동부(520)에는 상기 증발기가 안착되는 증발기 장착부(524)와, 상기 응축기가 안착되는 응축기 장착부(5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장착부(524)는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된 린트 등의 이물질이 상기 수납부(53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걸림돌기(524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524a)는 증발기(422)의 하단 양측을 따라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523)는 상기 응축기(423)의 발열로 인해 물이 적체될 가능성이 없으므로 상기 응축기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423)와 상기 베이스(500)의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422)에서 응축된 물은 상기 공기이동부(420) 바닥면에 수집되고, 상기 격벽(55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관통홀(551)을 따라 상기 응축수 수집부(534)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공기이동부(420)의 바닥면은 상기 이동홀(551)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응축수 수집부(534)는 상기 공기이동부(420)의 바닥면보다 낮게 구비될 수 있다.
의류의 양이 많거나, 건조행정이 진행되는 등 상기 증발기(422)에서 응축되는 물이 많아지면 상기 응축수 수집부(534)는 넘치게 되고 상기 이동홀(551)을 따라 상기 공기이동부(420)의 바닥면까지 잔류할 수 있다.
상기 공기이동부(420)에 잔류하는 응축수가 많아지면 상기 공기이동부(420)를 통과하는 공기에 다시 함유되어 건조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는 상기 수집부(534)에서 상기 공기이동부(420)로 넘치 전에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4는 상기 수집부(534)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펌프(430)를 도시한 것이다.
도4(A)는 상기 수집부(534)에 물이 수집되어 있는 것이며, 도4(B)는 상기 수집부(534)에 물이 배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집부(534)는 응축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센서(S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S2)가 상기 수집부(534)의 수위가 기준수위(L1)까지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P)는 만수위로 판단하여 상기 배수펌프(430)를 가동하여 물을 수집부(534)에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430)는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이 될 때마다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집부(534)의 물이 넘치거나 상기 공기이동부(420)에 까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가 접촉식 센서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수위센서는 압력센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배수펌프(430)는 회전자계 또는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432)와,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433)과, 상기 로터(433)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434)으로 구비되는 모터부와, 상기 회전축(434)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임펠러(4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430)는 상기 모터부를 수용하는 제1하우징(431)과, 상기 임펠러(435)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436)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431)에는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434)과 로터(433)는 상기 스테이터(432)와 달리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배수펌프(430)는 상기 회전(434)와 로터(433)를 지지하기 위해 내부케이스(43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431)과 상기 제2하우징(436)이 결합된 부분 중 상기 회전축(434)이 관통되는 부분에는 상기 회전축(434)을 지지하는 베어링부(43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436)은 일면에 상기 수집부(534)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436A)와, 상기 제2하우징(436)의 물이 배출되는 배수홀(436B)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수홀(436B) 에는 상기 수용통(110)과 연통하는 수용관(111)이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임펠러(435)가 회전하면 상기 수집부(534)의 물은 상기 유입홀(436A)로 유입되어 상기 배수홀(436B)을 따라 배출되며, 상기 수용통(110)에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435)는 빠른속도로 회전하므로, 상기 수집부(534)에 일정간격(L2)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도4(B)와 같이 수위가 임펠러(435)의 하단에 위치하는 최저수위(L2)까지 낮아질 수 있고, 상기 배수펌프(430)가 배수를 완료하였을 때도 최주수의(L2)에 해당하는 물이 잔류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가 건조행정을 수행할 때 상기 배수펌프(430)가 작동하는 과정을 시간의 순서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의 건조 행정이 수행되면, 기준시간(t1) 이후에 배수펌프(430)는 작동하여 상기 수집부(534) 내부의 응축수를 배수하는 초기배수(P1)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상기 기준시간(t1)이 경과한 후에 상기 배수펌프(430)를 가동하여 이전의 건조행정에서 수집된 응축수의 배수를 완료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이전 건조행정에서, 건조행정이 완료되기 전에 사용자가 의류의 건조가 완료된 것을 인지하여 의류처리장치(10)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고, 상기 증발기(422)에서 응축된 물이 수집부(534)에 그대로 잔류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새로운 건조행정이 다시 수행되어 증발기(422)에 수분이 응축되는 경우, 수집부(534)는 이전에 수집된 응축수에 새로운 응축수가 추가되어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여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작동되기 시작한 상기 기준시간(t1)이 경과하면, 초기배수단계(P1)를 수행하여 새로운 응축수가 수집되어도 누수 / 물넘침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초기배수단계(P1)는 수위센서(S2)에서 수위가 기준값보다 낮아질 때 까지 수행될 수도 있고, 수위센서(S2)와 관계 없이 일정시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임펠러에 수위가 도달하는 수위인 L2일수 있고, 기준시간은 상기 수집부(534)가 만수위라도 물이 전부 배수될 수 있는 시간일 수 있다.
이후,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상기 수집부(534)의 수위가 만수위인 것을 감지할 때마다 배수펌프(43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열풍공급부(400)가 작동되어 수위가 L1 이상인 만수위가 될 때마다 배수펌프(430)를 가동하는 만수배수(P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만수배수(P2)단계가 수행되는 시점은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 의류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의류의 건조가 완료되어 열풍공급부(400)가 작동이 종료된 경우, 배수펌프(430)를 다시 가동하는 최종배수(P3)를 수행할 수 있다. 최종배수(P3) 단계는 상기 수집부(534)의 수위가 L1 이상인 만수위에 도달하지 않아도 수행되어 상기 수집부(534)에 잔류하는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응축수가 부패하거나, 다음 건조행정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등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은 전술한 것과 달리, 초기배수(p1)를 생략하고 만수위가 되는 시점(t2)에 작동을 수행할 수 있고, 초기배수(p1)를 수행한 뒤에 만수위와 관계없이 예상만수시간(t3)가 경과되면 배수펌프(430)를 가동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상기 수집부(534)에 응축수가 전부 배수되지 않고 잔류하면 겨울철 등 기온이 낮아질 경우에 동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부(534)에 배수펌프(430)가 배수할 수 있는 응축수를 전부 배수하였을지라도, 임폘러(435)와 수집부(534)의 간극 때문에 L2 만큼의 물은 항상 잔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이 동결되는 과정에서 부피가 확장되면서 임펠러(435)에 접촉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상기 응축수가 임펠러(435)와 접촉된 상태에서 동결된 경우, 상기 배수펌프(430)는 구속되어 작동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수펌프(430)가 구속된 상태에서 계속 작동하는 명령이 입력되어 무리하게 작동하게 되면, 상기 배수펌프(430)의 로터(433), 회전축(434), 스테이터(432)를 구성하는 배수모터는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배수모터(430)가 구속된 상태에서는 건조행정이 진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행정이 진행되는 것이 차단된 것을 표시부(121)에 error 표시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무리하게 작동명령을 계속 시도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배수펌프(430)가 동결되어 구속된 경우, 사용자는 자연해동될 때까지 대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혹한 등 일정기간동안 기온이 낮은 상태가 유지된다면 자연해동될 수 없어 사용자는 이 기간동안 의류처리자치(10)를 작동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온수 등으로 응축수를 해동하는 경우, 합선 및 누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는 동결된 경우에도 이를 적극적으로 해동하여 정상적인 상태로 복원될 필요가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상기 의류처리장치(10)는 배수펌프(430)가 구속된 경우에는 외부에 error를 표시하고, 건조행정이 진행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러나, 상기 배수펌프(430)는 이물질이 투입되었거나, 로터(433) 또는 스테이터(431)가 합선된 경우 등 다양한 이유로 구속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펌프(430)의 구속여부 만으로 수집부(534)의 응축수가 동결되었는지 정확히 감지할 수 없고, 사용자는 error의 표시가 동결된 상태인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는 많은 error 중에 동결된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표시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동결된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가 동결된 상태인 경우, 동결된 상태를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해동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6(A)는 동결된 응축수를 적극적으로 해동하는 해동코스의 알고리즘을 도시한 것이며, 도6(B)는 해동코스에서 수행되는 열풍공급부(400)와 배수펌프(430)의 과정을 시간의 순서로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해동명령입력부(130)가 입력되었는지 감지하는 해동코스 입력단계(A2)를 수행하고, 상기 해동코스 입력단계(A2)에서 상기 해동명령입력부(130)가 입력되었는지를 감지하면 동결된 응축수를 해동하는 해동코스를 수행하는 집중해동단계(A3)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해동코스 입력단계(A2)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가 동결된 것을 감지하거나, 의류처리장치(10)가 감지하기 동결된 것을 감지하기 전에도 동결된 것을 인지한 경우에, 컨트롤패널에 구비된 해동명령입력부(130)를 입력한 것을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집중해동단계(A3)는 상기 열풍공급부(400)와 상기 구동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는 열공급단계(A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단계(A3-1)가 수행되어 상기 열풍공급부(400)가 작동하면, 상기 압축기(421)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응축기(423) 및 송풍팬(425)를 통해 상기 공기이동부(520)를 순환하여 베이스(500)를 가열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열공급단계(A3-1)가 수행되어 발생된 열은 상기 관통홀(551)을 통해 상기 수집부(534)에 전달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결된 응축수는 열을 공급받으므로 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펌프(430)는 동결된 응축수에 구속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집중해동단계(A3)는 상기 배수펌프(430)를 기준시간(T4) 동안 차단시키는 배수펌프차단단계(A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중해동단계에서는 초기배수단계(p1)이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기준시간(T4)은 열풍공급부(400)가 수행되어 해동이 어느정도 수행될 수 있는 시간이 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열공급단계(A3-1)가 수행된지 1시간이 지난 시간일수 있다.
한편, 상기 집중해동단계(A3)는 상기 기준시간(t4)이 지난 경우에 상기 배수펌프(430)를 구동하여 상기 수집부의 물이 해동이 수행되는지, 또는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해동점검단계(A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동점검단계(A3-3)은 기준시간(t4)이후, 상기 배수펌프를 제1시간(t5)간격으로 구동하여 해동상태를 점검하는 것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동점검단계(A3-3)는 기준시간(t4)이후 상기 배수펌프(430)를 작동하여 상기 배수펌프(430)의 임펠러(435)가 회전하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의 제어부는 상기 임펠러(435)가 회전하는 것은 상기 배수펌프(430)에 부과된 전류량을 측정하면서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상기 배수펌프(430)를 구동하는 것을 중단하고, 상기 열공급단계(A3)와 상기 배수펌프차단단계(A3-2)를 제1시간(t5) 동안 지속할 수 있다. 상기 해동점검단계(A3-3)에서 배수펌프(430)를 구동하는 것은 응축수를 배수하는 시간이 아니라 응축수가 해동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시험시간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시험시간은 10 일 수 있다. 너무 길면 배수펌프(430)에 과도한 부하가 부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어부는 상기 해동점검단계(A3-3)에서 상기 임펠러(435)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해동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해동되는 속도 등을 점검할 수 있고, 해동상태에 따라 상기 제1시간의 간격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상기 해동점검단계(A3-3)로 인해, 상기 배수펌프(430)가 구속이 완전히 풀리지 않았음에도 강제로 구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동이 완료되지 않은 것까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수펌프(430)가 상기 기준회전수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면 해동이 완료되었다고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수펌프(430)를 기준회전수 이상으로 계속회전하여 해동된 해동수를 전부 배출하는 해동수배출단계(A3-4)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해동수배출단계(A3-4)는 상기 해동점검단계(A3-3)에서 상기 배수펌프(430)가 기준회전수 이상으로 회전한 것을 감지하면 배수펌프(430)를 중단시키지 않고 계속 구동하는 것을 수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상기 수집부(534)의 응축수가 동결되었는지 여부를 적극적으로 판단하는 동결감지단계(A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s1)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준온도 미만이면서, 상기 배수펌프(430)가 구속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수집부(534)의 응축수가 동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온도가 낮으면서 상기 배수펌프(430)가 구속되었다면 상기 응축수가 동결된 것이 가장 큰 이유일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응축수는 통상 섭씨 0도씨 이하이면 동결되므로 상기 기준온도를 섭씨 0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온도센서(s1)가 열풍공급부(400)에 구비되어 있다면, 외부온도 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나아가, 열풍공급부(400)가 조금이라도 작동하는 경우, 외부가 영하의 온도라고 하더라도 응축기(423)에서 발생한 열로 인해 상기 온도센서(s1)를 통과하는 온도는 영상온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s1)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는 섭씨0도 이하의 온도를 감지할 기회가 없을 수 있다. 그 결과, 응축수가 동결된 상태라도 상기 온도센서(s1)가 감지하는 온도가 영상이므로 제어부는 상기 응축수가 동결된 상태임을 인지하거나 감지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온도는 섭씨 0도 이상 또는 상기 기준온도는 물의 어는 점보다 높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영상 3도 또는 영상 5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동결감지단계(A1)에서 제어부가 온도센서로 감지한 온도가 섭씨 3도 또는 5도 씨 이하이면서 배수펌프(430)의 임펠러(435)가 구속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수집부(534)의 응축수가 동결되었다고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동결감지단계(A1)는 의류처리장치의 전원부(140)가 입력되었을?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초기배수단계(p1)에서 배수펌프(430)가 구속된 것이 감지되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동결감지단계(A1)에서 동결이 감지되면 표시부(121)에 동결된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동결된 상태를 알려, 사용자에게 상기 해동명령입력부(130)를 입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동결감지단계(A1)에서 동결이 감지되었음에도 해동코스입력단계(A2)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하고 외부에 동결된 상태를 표시하는 에러표시단계(A4)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에러표시단계(A4)에서는 해동명령입력부(130)나 전원부(140) 외에 모든 버튼이 불활성화될 수 있다.
이는 건조행정이 강제적으로 수행되어 의류처리장치(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동결감지단계(A1)가 수행 중이거나, 수행되기전에 해동코스입력단계(A2)가 수행되면 상기 동결감지단계(A1)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해동점검단계(A3-3)에서 동결여부 및 해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해동코스입력단계(A2)가 수행되는 것은 사용자의 적극적인 의사가 반영되어 있는 것이므로, 상기 드럼(200)에 의류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가 동결된 상태를 인지하는 경우에는, 해동에 주 목적이 있으므로 상기 드럼(200)에 의류를 투입하지 않을 것을 예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집중해동단계(A3)는 상기 제1시간을 30분 간격으로 하여 상기 배수펌프(430)의 시험구동을 최소화하고, 상기 압축기(421)의 구동을 넉넉하게 수행하여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상기 베이스(500)의 응축수를 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200)에 의류가 수용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해동과 더불어 의류를 건조하길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집중해동단계(A3)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집중해동단계(A3) 중에 상기 의류에 함유된 물이 상기 수집부(534)에 수집되는 특이사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해동코스 중에 수집부(534)에 물이 수집되는 것을 고려하면서도, 의류의 건조까지 달성할 수 있는 제어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가 수용되어 있을 때에도 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A)는 상기 실시예의 진행 중에 시간에 따른 배수펌프(430)와 압축기(421)의 구동시점을 도시한 것이며, 도7(B)는 상기 실시예의 알고리즘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럼(200)에는 의류가 수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동결여부와 관계없이 의류처리장치(10)의 건조 행정을 수행하는 명령을 컨트롤패널(120)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건조행정이 수행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상기 수집부(534)의 물이 동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상조건판단단계(B1)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상조건판단단계(B1)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가 정상적으로 건조행정을 수행하는지를 종합적으로 점검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배수펌프(430)가 응축수의 동결로 구속되었는지 여부도 점검할 수 있다.
상기 이상조건판단계(B1)에서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s1)로 감지된 온도가 기준온도 이면서 상기 배수펌프(430)가 구속된 것을 감지하면 응축수가 동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s1)가 열풍공급부(400) 또는 상기 드럼(200)에 구비된 경우에는 영하의 온도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기준온도는 물의 어는 점보다 높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조건판단단계(B1)에서 동결을 감지하는 것은 상기 초기배수단계(p1)를 수행하는 시점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기배수단계(p1)에서 배수펌프(430)를 구동하게 되므로 배수펌프(430)의 구속여부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조건판단단계(B1)에서 동결여부를 감지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동결된 응축수를 즉각적으로 해동시키는 신속해동단계(B2)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동결된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의류처리장치가 작동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고 즉각적으로 응축수를 해동하는 해동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해동명령입력부(130)의 입력을 기다리지 않고 즉시 해동을 수행하여 건조행정이 지연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신속해동단계(B2)는 에러를 표시부(121)에 표시하는 것을 생략하고,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하는 것도 생략하는 에러무시단계(B2-1)를 수행할 수 있다. 즉시, 해동코스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상기 신속해동단계(B2)는 상기 열풍공급부(400)를 구동하여 상기 수집부(534)까지 온기를 전달하여 해동을 수행하는 열공급단계(B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속해동단계(B2)는 상기 배수펌프를 기준시간(t6) 동안 작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배수펌프강제정지단계(B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시간(t6)은 상기 집중해동단계(A3)에서의 기준시간(t4)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기준시간(t6)은 제2기준시간(t6)이라 이라 명명하고, 상기 집중해동단계(A3)의 기준시간(t4)는 제1기준시간(t4)로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기준시간(t6)은 상기 열공급단계(B2-2)가 시작된 시점 또는 의류처리장치(10)가 작동된 시점과 일정시간 이격된 시점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기준시간(t6)는 상기 수위센서(s2)가 만수위를 감지하는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준시간(t6)은 상기 수위센서(s2)가 상기 열공급단계(B2-2)가 시작된 시점 또는 의류처리장치(10)가 작동된 시점에서 측정한 수위보다 일정 수위 더 높은 수위일 수 있다.
상기 제2기준시간(t6)이 상기 수위와 관련된 이유는, 상기 수위가 초기 수위보다 높아졌다는 것은 상기 드럼(200)에 수용된 의류에서 수분이 응축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의류에서 응축된 수분은 상대적으로 많은 열에너지를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새로운 응축수가 상기 동결된 응축수에 적층되면서 상기 동결된 응축수를 일정부분 해동하였다고 예측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새로운 응축수가 일정량 적층 또는 수집되었다는 것은 열풍공급부(400)가 충분한 시간 구동하였음을 의미하므로, 상당한 열이 통해 상기 수집부(534)에 전달되었다고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기준시간(t6)은 상기 수집부(534)의 수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유동적인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2기준시간(t6)을 결정하는 수위는 응축수를 해동할 수 있는 충분한 물과 열이 공급된 기준수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해동되는 상태를 고려하여 해동점검단계(B2-4)가 수행되므로 건조행정이 지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기준시간(t6) 경과 후에, 상기 신속해동단계(B2)는 상기 수집부(534)의 물이 해동되는 상태와 해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감지하는 해동점검단계(B2-4)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신속해동단계(B2)의 상기 해동점검단계(B2-4)는 상기 집중해동단계(A3)에서의 해동점검단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해동점검단계(B2-4)는 상기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였을 때부터 또는 상기 제2기준수위에 도달하였을 ?부터 제2시간(t7) 간격으로 상기 배수펌프(430)을 구동하여 상기 응축수의 해동여부 또는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상기 제2시간(t7)은 상기 집중해동단계(A3)의 제1시간(t5) 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들어 10분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시간(t7)이 상기 제1시간(t5)보다 길면 해동코스가 길어져 건조행정이 지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의류에서 고열을 품은 응축수가 계속 유입되고, 유입된 응축수는 지속적으로 열풍에 노출되므로 수집부(534)가 더 빨리 해동될 수 있음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즉, 제어부는 상기 배수펌프(430)의 구동을 상기 제2기준시간(t6)후에 제2시간(t7) 간격으로 일정시간 동안 구동하여, 임펠러의 회전수를 체크하면서 해동이 잘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해동상태에 따라 상기 제2시간의 간격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해동점감단계(B2-4)에서 상기 배수펌프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으로 돌파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부(534)의 해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수집부(534)의 해동된 응축수와, 새로 수집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잔수배출단계(B2-7)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신속해동단계(B2)가 종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잔수배출단계(B2)가 종료되면, 상기 드럼에 의류가 수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포량감지단계(B3)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의류의 양을 감지하여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시간 및 열풍구동부를 구동하는 코스 등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드럼(200)에 의류가 실제로 수용되어 있는지를 점검하여, 의류가 없는 경우에는 건조행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의류가 수용된 것이 감지되고, 건조코스 또는 옵션이 결정되면 제어부는 상기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건조수행단계(B4)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200)에 의류가 수용된 상태에서, 수집부(534)의 응축수가 동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해동을 완료하고 건조행정 까지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동결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필요 없이 자동적으로 해동되어 의류의 건조가 언제나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속해동단계(B2)는 상기 해동점검단계(B2-4)에서 제3시간(t8) 동안 상기 배수펌프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으로 돌파하지 않으면 상기 열풍공급부의 가동을 중단하는 건조차단단계(B2-6)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시간(t8)은 상기 수집부(534)의 수위가 만수위를 넘어서는 수위일때의 시간일 수 있고, 상기 압축기(421)가 과도하게 수행된 시간일 수 있다.
배수펌프(430)가 원할하게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3시간(t8) 이상 상기 열풍이 상기 드럼(200)에 공급되면, 수집부(534)의 응축수는 넘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응축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열풍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건조차단단계(B2-6) 이후에는 자연해동을 도모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고, 새롭게 공급된 응축수는 상당한 열에너지를 갖고 있으므로 외부 온도가 낮더라고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동결된 응축수를 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차단단계(B2-6)는 상기 송풍팬(425)은 가동하여 상기 드럼(200) 및 의류의 잔열을 상기 수집부(534)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건조차단단계(B2-6)는 압축기(421)의 구동만을 차단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고, 상기 해동점검단계(B2-4)는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차단단계(B2-6)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배수펌프(430)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이 되면 상기 잔수배출단계(B2-7)이 수행되어 상기 신속해동코스(B2)가 완료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마지막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작동을 시작하면, 포량을 감지하여 상기 드럼(200) 내부에 의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의류수용여부 확인단계(C1)를 수행할 수 있다.예를들어, 상기 포량은 상기 드럼(200)을 회전할 때 부과되는 전류량을 판단하여 점검할 수 있다.
상기 의류수용여부 확인단계(C1)에서 의류의 수용여부가 감지되면, 감지된 포량을 바탕으로 향후 건조를 수행하기 위한 적합한 코스 또는 옵션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수용여부 확인단계(C1)가 종료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 내부에 동결상태가 발생하였는지를 점검하는 동결감지단계(C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결감지단계(C2)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수펌프(430)가 구속된 상태이면서, 기준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의류수용여부 확인단계(C1)에서 의류가 상기 드럼(200)에 수용되지 않았다고 감지하고, 상기 동결감지단계(C2-2)에서 동결이 감지되면 이를 해동하는 집중해동단계(C3-2)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집중해동단계(C3-2)는 의류의 건조를 염두하지 않고 수집부(534)의 해동에 집중하는 것으로서, 배수펌프(430)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하는 단계이며, 도5에 도시된 집중해동단계(B2)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집중해동단계(C3-2)는 열풍공급부(400)와, 구동부(300)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열공급단계와, 배수펌프의 구동을 제1기준시간 차단하는 배수펌프차단단계와, 상기 제1기준시간 이후에는 상기 열퐁공급부(400)는 지속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유지하면서 제1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수펌프(430)를 간헐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배수펌프의 임펠러(435)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해동점검단계와, 상기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이면 해동완료라고 판단한고 해동수를 배출하는 해동수배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수용여부확인단계(C1)에서 의류가 상기 드럼(200) 내부에 존재하지 않고, 상기 동결감지단계(C2-2)에서 동결된 상태를 감지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0)의 작동을 종료할 수 있다.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의류수용여부확인단계(C1)에서 의류가 수용된 것을 감지하고, 동결감지단계(C2-1)에서 동결된 것을 감지하는 경우, 동결된 것을 해동하면서 건조행정을 준비하는 신속해동단계(C3-1)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신속해동단계(C3-1)는 도6에 도시된 신속해동단계(B2)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신속해동단계(C3-1)는 상기 구동부(300)와 열풍공급부(400)를 구동하는 열공급단계와, 상기 제2기준시간동안 배수펌프의 구동을 중단하는 배수펌프강제정지단계와, 상기 제2기준시간 이후에는 상기 제1시간보다 짧은 제2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수펌프(430)을 간헐적으로 구동하면서 상기 열풍공급부(400)는 지속적으로 구동하는 해동점검단계와, 상기 해동점검단계에서 상기 임펠러(435)가 기준회전수 이상으로 회전하면 응축수를 배수하는 잔수배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속해동단계(C3-1)는 동결된 것을 감지하여도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차단하는 에러무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행정의 지연을 방지하고 신속한 해동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신속해동단계(C3-1)는 제3시간 동안 상기 임펠러(435)가 기준회전수 이상으로 회전하지 못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열풍공급부(400)의 구동을 차단하는 열공급차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가 수집부(534)에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잔수배출단계까지 완료되면 건조행정을 수행하여 의류의 건조를 완료하는 건조수행단계(C4)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해동과 의류건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동결감지단계(C2-1)에서 동결된 것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신속해동단계(C3-1)는 생략되고 바로 건조수행단계(C4)가 수행될 수 있다.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의류처리장치 100 캐비닛 110 수집통
111 수집관 120 컨트롤패널 121 표시부
122 놉 130 해동제어부 140 전원부
150 도어 151 핸들 152 힌지
200 드럼 210 승강부 300 구동부
310 모터 320 축 330 풀리
340 밸트 400 열풍공급부 410 건조덕트
411 배출덕트 412 흡입덕트 420 히트펌프
421 압축기 422 증발기 423 응축기
424 팽창밸브 425 송풍팬 430 배수펌프
431 제1하우징 436 제2하우징 436a 유입홀
436b 배출홀 432 스테이터 433 로터
434 회전축 435 임펠러 434 배수관
435 배수분지관 436 분지밸브 437 수집통연결관
440 냉각팬 500 베이스 510 배출연결덕트
511 공기유입홀 512 배출홀 540 흡입연결덕트
530 장치장착부 531 송풍팬 장착부 531a 공기유동홀
532 모터 장착부 533 압축기 장착부 534 응축수 수집부
535 배수펌프 결합부 536 팬장착부 520 공기유동부
521 분배가이드 522 증발기 결합부 524 응축기 결합부
524a 걸림돌기 550 격벽 551 응축수 수집홀

Claims (34)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드럼과 연통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고온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부;
    상기 열풍공급부와 연통되며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수분이 응축되어 형성된 물이 수집되도록 구비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펌프;
    상기 구동부, 상기 열풍공급부,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의 동결된 물을 해동시킬 수 있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도록 구비되는 해동명령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동명령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열풍공급부와 상기 구동부 중 하나 이상을 구동시키고,
    상기 배수펌프가 기준시간 동안 구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배수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수집부에서 동결된 물의 해동이 진행되는 상태 또는 상기 해동이 완료되는지 여부를 점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시간 후 상기 배수펌프를 제1시간 간격으로 구동하여 상기 동결된 물의 해동 상태를 점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수펌프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인 것을 감지하여 상기 수집부의 해동이 완료된 것을 점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동이 완료되면 상기 배수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해동된 물을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또는 상기 열풍공급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온도가 기준온도 미만이며, 상기 배수펌프가 구속되면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온도는 물의 어는 점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된 것이 감지되었으나, 상기 해동명령입력부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구동부, 상기 열풍공급부, 상기 배수펌프의 중 하나 이상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드럼과 연통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고온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열풍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수분이 응축되어 형성된 물이 수집되도록 구비되는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펌프와, 상기 열풍공급부,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수집부의 동결된 물을 해동시키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해동명령입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동명령입력부의 입력을 감지하는 해동코스입력단계;
    상기 해동코스입력 단계가 입력되면 상기 열풍공급부를 가동하여 상기 수집부의 물에 열을 전달하는 집중해동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해동단계는
    상기 열풍공급부를 구동하여 상기 수집부에 온기를 전달하는 열공급단계와,
    상기 배수펌프의 구동을 기준시간 동안 차단하여 상기 배수펌프의 파손을 방지하는 배수펌프차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물이 해동되는 상태와 해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해동점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동점검단계는
    기준시간 후 상기 배수펌프를 제1시간 간격으로 구동하면서 상기 배수펌프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동점검단계는
    기준시간 후 상기 배수펌프가 기준회전수 이상으로 구동하면 해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동결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된 것을 감지하였으나, 상기 해동명령입력부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에 에러(error)를 표시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하는 에러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드럼과 연통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고온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열풍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수분이 응축되어 형성된 물이 수집되도록 구비되는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상조건판단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과 상기 열풍공급부 중 어느 하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조건판단단계는 상기 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이면서 상기 배수펌프가 구속되면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온도는 물의 어는 점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배수펌프의 구속을 포함하는 이상상태를 감지하면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차단하는 에러무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열풍공급부를 가동하여 상기 수집부에 열을 전달하는 신속해동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신속해동단계는
    상기 열풍공급부를 구동하여 상기 수집부까지 온기를 전달하는 열공급단계와,
    상기 배수펌프는 기준시간 동안 작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배수펌프강제정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물이 해동되는 상태와 해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해동점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수위를 점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동점검단계는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또는 상기 수위가 기준수위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배수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해동되는 상태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해동점검단계는 상기 수위가 기준수위에 도달하였을 때부터 제2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수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해동되는 상태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해동점검단계에서 제3시간 동안 상기 배수펌프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으로 돌파하지 않으면 상기 열풍공급부의 가동을 중단하는 건조차단단계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드럼과 열풍공급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차단단계는 상기 송풍팬은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해동점검단계는 상기 배수펌프가 상기 기준회전수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수집부의 해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해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수집부의 물을 배출하는 잔수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배출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드럼에 의류가 수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포량감지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의류가 수용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건조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0.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드럼과 연통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고온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열풍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수분이 응축되어 형성된 물이 수집되도록 구비되는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펌프와, 상기 드럼 또는 상기 열풍공급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하여 상기 드럼에 상기 의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의류수용여부확인단계;
    상기 의류의 수용여부가 점검되면 기준온도 이하이면서 상기 배수펌프가 구속되었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수집부 물의 동결여부를 감지하는 동결감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이 감지되면 상기 열풍공급부를 구동하여 상기 수집부를 해동하는 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이 비어 있는 것이 감지되고 상기 동결이 감지되면,
    상기 배수펌프를 기준시간 이후에만 제1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수펌프를 구동하면서 상기 열풍공급부를 지속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수집부를 해동하는 집중해동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이 비어 있는 것이 감지되고 상기 동결이 감지되면,
    상기 배수펌프를 기준시간 이후에만 제1시간 보다 짧은 상기 제2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수펌프를 구동하면서 상기 열풍공급부를 지속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수집부를 해동하는 신속해동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4. 제31항에 있어서,
    배수펌프의 구속을 포함하는 이상상태를 감지하면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의 물이 동결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차단하는 에러무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80045253A 2018-04-18 2018-04-18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KR102102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253A KR102102654B1 (ko) 2018-04-18 2018-04-18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EP19169886.9A EP3556931B1 (en) 2018-04-18 2019-04-17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0207400.1A EP3808889A1 (en) 2018-04-18 2019-04-17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6/386,559 US10988895B2 (en) 2018-04-18 2019-04-17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19/004638 WO2019203566A1 (en) 2018-04-18 2019-04-17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TW108113490A TWI715012B (zh) 2018-04-18 2019-04-17 洗衣處理裝置及其控制方法
CN201910312962.3A CN110387727B (zh) 2018-04-18 2019-04-18 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US17/210,756 US11542655B2 (en) 2018-04-18 2021-03-24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253A KR102102654B1 (ko) 2018-04-18 2018-04-18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656A true KR20190121656A (ko) 2019-10-28
KR102102654B1 KR102102654B1 (ko) 2020-05-29

Family

ID=66217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253A KR102102654B1 (ko) 2018-04-18 2018-04-18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988895B2 (ko)
EP (2) EP3808889A1 (ko)
KR (1) KR102102654B1 (ko)
CN (1) CN110387727B (ko)
TW (1) TWI715012B (ko)
WO (1) WO2019203566A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5685A1 (ko) 2020-10-05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4039861A1 (en) 2021-02-08 2022-08-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4039877A1 (en) 2021-02-08 2022-08-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4039872A2 (en) 2021-02-08 2022-08-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4043636A1 (en) 2021-02-08 2022-08-1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3027448A1 (ko) 2021-04-19 2023-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027457A1 (ko) 2021-04-19 2023-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027454A1 (ko) 2021-04-19 2023-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027452A1 (ko) 2021-04-19 2023-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075406A1 (ko) * 2020-10-27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120926A1 (ko) * 2021-12-22 2023-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결빙 방지 구동 방법
WO2023128214A1 (ko) * 2021-12-29 2023-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9994B2 (en) * 2016-12-16 2022-05-24 Jiangsu Tenesun Electrical Appliance Co., Ltd.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variable-frequency and variable-capacity heat pump hot-air drying system
KR102102654B1 (ko) * 2018-04-18 2020-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KR20200098115A (ko) * 2019-02-12 202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EP3795733B1 (en) * 2019-09-17 2024-01-10 Girbau, S.A. Washing machine with status indication
CN112831979B (zh) * 2019-11-22 2024-03-01 上海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及其排水控制方法
US11319661B1 (en) * 2020-12-22 2022-05-03 Whirlpool Corporation Ventilation solution for closed-loop dryer systems
KR20220114167A (ko) * 2021-02-08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275A (ko) * 2010-07-06 2012-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20012213A (ko) * 2010-07-30 201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17189297A (ja) * 2016-04-12 2017-10-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衣類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1536B2 (en) * 2000-06-05 2004-0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shing apparatus
US20030079368A1 (en) * 2001-10-25 2003-05-01 Hoffman Karl H. Flat material dryer
WO2005032322A2 (en) * 2003-09-29 2005-04-14 Self Propelled Research And Development Specialists, Llc Heat pump clothes dryer
JP4889545B2 (ja) * 2007-03-30 2012-03-07 三洋電機株式会社 乾燥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洗濯乾燥機
KR100894471B1 (ko) 2007-08-06 200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US20090158928A1 (en) * 2007-12-19 2009-06-25 Whirlpool Corporation Squeezable moisture removal device
KR101485850B1 (ko) * 2008-09-10 2015-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JP4625120B2 (ja) * 2008-09-11 2011-0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調ユニット
JP5044597B2 (ja) * 2009-03-24 2012-10-10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KR101306117B1 (ko) * 2009-09-03 2013-10-15 고동근 진공융해용 금속재료 장입장치 및 그 방법
CA2723556C (en) 2009-12-07 2014-02-11 Lg Electronics Inc. Splash detecting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WO2012005514A2 (ko) 2010-07-06 2012-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및 세탁기의 동결 관리 시스템
EP2415927B1 (en) 2010-08-06 2016-07-20 Panasonic Corporation Dehumidifying-warming apparatus and clothes drier
EP2471434A1 (en) * 2010-12-29 2012-07-0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household appliance
ES2617216T3 (es) 2011-03-29 2017-06-15 Lg Electronics Inc. Aparato de tratamiento de ropa que incorpora un dispositivo de limpieza con intercambiador de calor
US20150168064A1 (en) * 2013-12-17 2015-06-18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dryer with emergency closing ventilation system
EP3023531B1 (en) * 2014-11-19 2018-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dryer
KR101613963B1 (ko) * 2014-12-08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JP6321893B2 (ja) * 2016-04-07 2018-05-09 株式会社芝浦電子 乾燥機及び絶対湿度差センサ
CN205803956U (zh) 2016-06-17 2016-12-14 刘共青 热泵干衣机
US10738411B2 (en) * 2016-10-14 2020-08-11 Whirlpool Corporation Filterless air-handling system for a heat pump laundry appliance
US10704189B2 (en) * 2017-08-25 2020-07-07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appliance having an ultrasonic drying mechanism
KR102102654B1 (ko) * 2018-04-18 2020-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US20220056632A1 (en) * 2018-09-14 2022-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US11261560B2 (en) * 2018-12-28 2022-03-01 Util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Nfp Method and system of thermo-vacuum drying and process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275A (ko) * 2010-07-06 2012-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20012213A (ko) * 2010-07-30 201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17189297A (ja) * 2016-04-12 2017-10-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衣類乾燥機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5685A1 (ko) 2020-10-05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075406A1 (ko) * 2020-10-27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4039861A1 (en) 2021-02-08 2022-08-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4039877A1 (en) 2021-02-08 2022-08-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4039872A2 (en) 2021-02-08 2022-08-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4043636A1 (en) 2021-02-08 2022-08-1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3027448A1 (ko) 2021-04-19 2023-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027457A1 (ko) 2021-04-19 2023-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027454A1 (ko) 2021-04-19 2023-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027452A1 (ko) 2021-04-19 2023-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120926A1 (ko) * 2021-12-22 2023-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결빙 방지 구동 방법
WO2023128214A1 (ko) * 2021-12-29 2023-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42655B2 (en) 2023-01-03
CN110387727B (zh) 2022-05-24
WO2019203566A1 (en) 2019-10-24
US20190323164A1 (en) 2019-10-24
US20210222351A1 (en) 2021-07-22
EP3808889A1 (en) 2021-04-21
TWI715012B (zh) 2021-01-01
CN110387727A (zh) 2019-10-29
KR102102654B1 (ko) 2020-05-29
TW201943916A (zh) 2019-11-16
EP3556931B1 (en) 2020-12-16
US10988895B2 (en) 2021-04-27
EP3556931A1 (en)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165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JP5944981B2 (ja) 乾燥機の制御方法
EP2746455A1 (en) Process for operating a washer dryer with a heat pump, and a suitable washer dryer
JP5309871B2 (ja) 衣類乾燥機
JP4862731B2 (ja) 衣類乾燥装置
CN104534754B (zh) 移动空调和移动空调的化霜控制方法
JP2009028112A (ja) 衣類乾燥機
KR100894471B1 (ko) 의류 건조기
US20130145644A1 (en) Process for operating a washer dryer with a sensor placed between a tub and a heat exchanger, and related washer dryer
JP2010082357A (ja)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TW200813286A (en) Washing machine
JP2008000195A (ja) 衣類乾燥機
JP2017189297A (ja) 衣類乾燥機
JP2003232557A (ja) 冷凍装置、空気調和装置並びに室外ファンの駆動制御方法
JP2012245112A (ja) 除湿加温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衣類乾燥機並びに洗濯乾燥機
JP2013000371A (ja) 乾燥機
KR102352396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6118682B2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5402836B2 (ja) 除湿加温装置とそれを用いた衣類乾燥機
JP2011072463A (ja)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JP2002119797A (ja) 洗濯乾燥機
KR20180090130A (ko)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JP2005211394A (ja) 洗濯乾燥機
JP4514683B2 (ja) ドライクリーナー
JP2016052450A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