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596A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1596A KR20190121596A KR1020180045103A KR20180045103A KR20190121596A KR 20190121596 A KR20190121596 A KR 20190121596A KR 1020180045103 A KR1020180045103 A KR 1020180045103A KR 20180045103 A KR20180045103 A KR 20180045103A KR 20190121596 A KR20190121596 A KR 201901215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tire
- region member
- width
- body 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60C9/0238—Carcasse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properties of the carcass p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60C9/04—Carcasses the reinforcing cords of each carcass ply arranged in a substantially parallel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상기 사이드월에 연결되는 영역에 위치한 비드부 및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1 폭을 갖는 제1 영역 부재 및 상기 비드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는 제2 영역 부재를 포함하는 바디 플라이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 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타이어는 노면과의 마찰을 통하여 주행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데, 노면 과의 마찰시 타이어에는 노면으로 인한 하중이 전달되고 이러한 하중은 반복된 주행에 따라 타이어의 내구성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이러한 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고 타이어의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타이어는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타이어의 전체적인 내구성 및 하중에 대한 지지 특성은 균일도 향상에 한계가 있어 타이어의 전체적인 내구성, 타이어에 대한 제어를 통한 주행 안정성, 제동 특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의 전체적인 내구성과 강성을 향상하고, 타이어의 전체적인 내구성의 균일도를 향상하고 타이어의 차량에 대한 주행 특성을 향상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탑승자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상기 사이드월에 연결되는 영역에 위치한 비드부 및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1 폭을 갖는 제1 영역 부재 및 상기 비드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는 제2 영역 부재를 포함하는 바디 플라이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부재는 적어도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부재는 적어도 상기 타이어의 중심에서 상기 제1 영역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부재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부재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부재와 제2 영역 부재는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부재 또는 상기 제2 영역 부재는 하나의 가닥 형태를 포함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부재 또는 상기 제2 영역 부재는 복수의 가닥 형태를 포함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는 전체적인 내구성과 강성을 향상하고, 타이어의 전체적인 내구성의 균일도를 향상하고 타이어의 차량에 대한 주행 특성을 향상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탑승자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부분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방향에서 본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Ⅷ-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A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 및 도 8의 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 및 도 8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바디 플라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 방향에서 본 부분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ⅩⅤ-Ⅹ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 및 도 15의 ⅩⅥ-Ⅹ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 및 도 15의 ⅩⅦ-Ⅹ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3 및 도 15의 ⅩⅧ-Ⅹ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3의 A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바디 플라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바디 플라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부분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방향에서 본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Ⅷ-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A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 및 도 8의 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 및 도 8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바디 플라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 방향에서 본 부분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ⅩⅤ-Ⅹ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 및 도 15의 ⅩⅥ-Ⅹ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 및 도 15의 ⅩⅦ-Ⅹ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3 및 도 15의 ⅩⅧ-Ⅹ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3의 A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바디 플라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바디 플라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부분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 및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180), 비드부(140) 및 바디 플라이(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디 플라이(130)는 제1 영역 부재(131) 및 제2 영역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rim, 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타이어(1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110)은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115)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1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1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사이드월(180)은 트레드부(110)과 연결된다. 사이드월(180)은 차량에 타이어(100)를 장착하여 주행 시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체적으로 노면과 이격될 수 있다.
비드부(140)는 사이드월(180)의 영역 중 트레드부(1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1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14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100)를 림(rim)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14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140)는 와이어,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코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영역을 감싸도록 완충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디 플라이(130)는 타이어(1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타이어(1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30)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바디 플라이(130)는 타이어(100)의 폭 방향, 예를들면 도 2 또는 도 3의 Y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측의 비드부(140)에서 타측의 비드부(140)에까지 이르도록 하나의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바디 플라이(130)는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 개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바디 플라이(130)에 포함되는 코드는 하나의 가닥 형태를 포함하거나 섬유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복수 개의 가닥이 꼬아진 혼합 형태일 수 있다.
바디 플라이(13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다양한 합성 수지 계열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스틸 계열의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디 플라이(130)는 제1 영역 부재(131) 및 제2 영역 부재(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 부재(131)는 트레드부(110)에 대응되도록 트레드부(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 부재(131)는 제1 폭(W1)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131)는 일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100)의 폭 방향, 예를들면 도 2 또는 도 3의 Y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디 플라이(130)의 제1 영역 부재(131)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 개의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영역 부재(131)들간에는 제1 간격(D1)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바디 플라이(130)의 제1 영역 부재(131)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1 간격(D1)을 갖고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바디 플라이(130)의 하나의 제1 영역 부재(131)는 하나의 가닥 형태를 포함하는 코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복수 개의 가닥이 꼬아진 혼합 형태의 코드일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는 제1 영역 부재(131)가 복수 개로 구비되고 1층으로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131)는 2층 또는 3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1 영역 부재(131)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밀접도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1 영역 부재(131)는 서로 나란하게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영역 부재(132)는 비드부(14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영역 부재(132)는 비드부(140)의 일면에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14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영역 부재(132)는 제2 폭(W2)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제2 폭(W2)은 상기 제1 폭(W1)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 부재(132)는 일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100)의 중심에서 제1 영역 부재(131)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디 플라이(130)의 제2 영역 부재(13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 개의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2 영역 부재(132)들간에는 제2 간격(D2)이 존재할 수 있다. 제2 간격(D2)은 제1 간격(D1)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간격(D1)과 제2 간격(D2)은 동일할 수도 있고, 거의 유사할 수도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바디 플라이(130)의 제2 영역 부재(132)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제2 간격(D2)을 갖고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바디 플라이(130)의 하나의 제2 영역 부재(132)는 하나의 가닥 형태를 포함하는 코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복수 개의 가닥이 꼬아진 혼합 형태의 코드일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는 제2 영역 부재(132)가 복수 개로 구비되고 1층으로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 부재(132)는 2층 또는 3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2 영역 부재(132)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밀접도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2 영역 부재(132)는 서로 나란하게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3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1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160)는 타이어(1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120)가 바디 플라이(130)와 트레드부(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1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코드(cor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170)이 캡플라이(120)와 바디 플라이(1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170)은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1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1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1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부, 사이드월, 비드부 및 바디 플라이를 포함하고, 바디 플라이는 제1 영역 부재 및 제2 영역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는 타이어의 골격 및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데, 제1 영역 부재는 트레드부에 대응되고 제2 영역 부재는 비드부에 대응될 수 있다.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제1 영역 부재의 폭을 비드부에 대응되는 제2 영역 부재의 폭보다 크도록 하여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타이어의 내구성과 지지력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 및 제2 영역 부재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타이어의 전체 면적에 배치될 수 있는데, 비드부에 대응되는 영역보다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영역은 타이어의 중심에서 멀어지므로 단위 제1 영역 부재의 단위 면적당 밀도가 제2 영역 부재의 단위 면적당 밀도보다 작아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 부재의 제1 폭을 제2 영역 부재의 제2 폭보다 크도록 하여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제1 영역 부재의 단위 면적당 밀도를 증가하여 타이어의 트레드 영역 및 비드부 영역에서의 바디 플라이를 통한 지지력 및 내구성의 편차를 감소하여 타이어의 전체적인 내구성 및 사용자의 핸들링을 향상하고 제동력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의 제1 폭이 제2 영역 부재의 제2 폭보다 크도록 하고 제1 영역 부재간의 제1 간격을 제2 간격과 동일 또는 이와 유사하도록 할 경우 이러한 타이어의 전체적인 내구성 향상 및 핸들링 특성 향상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 방향에서 본 부분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Ⅷ-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A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 및 도 8의 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6 및 도 8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200)는 트레드부(210), 사이드월(280), 비드부(240) 및 바디 플라이(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디 플라이(230)는 제1 영역 부재(231) 및 제2 영역 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타이어(2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2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rim, 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210)는 타이어(2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210)은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2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2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2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215)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2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2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사이드월(280)은 트레드부(210)과 연결된다. 사이드월(280)은 차량에 타이어(200)를 장착하여 주행 시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체적으로 노면과 이격될 수 있다.
비드부(240)는 사이드월(280)의 영역 중 트레드부(2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2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24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200)를 림(rim)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24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240)는 와이어,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코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영역을 감싸도록 완충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디 플라이(230)는 타이어(2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타이어(2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230)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바디 플라이(230)는 타이어(200)의 폭 방향, 예를들면 도 8의 Y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디 플라이(230)는 일측의 비드부(240)에서 타측의 비드부(240)에까지 이르도록 하나의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바디 플라이(230)는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 개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2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바디 플라이(230)에 포함되는 코드는 하나의 가닥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복수 개의 가닥이 꼬아진 혼합 형태일 수 있다.
바디 플라이(23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다양한 합성 수지 계열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스틸 계열의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디 플라이(230)는 제1 영역 부재(231) 및 제2 영역 부재(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 부재(231)는 트레드부(210)에 대응되도록 트레드부(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 부재(231)는 제1 폭(W1)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231)는 일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200)의 폭 방향, 예를들면 도 8 또는 도 9의 Y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디 플라이(230)의 제1 영역 부재(231)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 개의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영역 부재(231)들간에는 제1 간격(D1)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바디 플라이(230)의 제1 영역 부재(231)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1 간격(D1)을 갖고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바디 플라이(230)의 하나의 제1 영역 부재(231)는 하나의 가닥을 포함하는 코드 형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복수 개의 가닥이 꼬아진 혼합 형태의 코드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는 제1 영역 부재(231)가 복수 개로 구비되고 1층으로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231)는 2층 또는 3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1 영역 부재(231)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밀접도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1 영역 부재(231)는 서로 나란하게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영역 부재(232)는 비드부(24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영역 부재(232)는 비드부(240)의 일면에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24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영역 부재(232)는 제2 폭(W2)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제2 폭(W2)은 상기 제1 폭(W1)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 부재(232)는 일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200)의 중심에서 제1 영역 부재(231)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디 플라이(230)의 제2 영역 부재(23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 개의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2 영역 부재(232)들간에는 제2 간격(D2)이 존재할 수 있다. 제2 간격(D2)은 제1 간격(D1)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간격(D1)과 제2 간격(D2)은 동일할 수도 있고, 거의 유사할 수도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바디 플라이(230)의 제2 영역 부재(232)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제2 간격(D2)을 갖고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바디 플라이(230)의 하나의 제2 영역 부재(232)는 하나의 가닥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코드 형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복수 개의 가닥이 꼬아진 혼합 형태의 코드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는 제2 영역 부재(232)가 복수 개로 구비되고 1층으로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 부재(232)는 2층 또는 3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2 영역 부재(232)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밀접도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2 영역 부재(232)는 서로 나란하게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9의 바디 플라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바디 플라이(230) 중 일 바디 플라이(230k)를 도시한 것이고, 편의상 일 바디 플라이(230K)는 도 9에 도시된 것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된 것을 편의상 가리킨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바디 플라이(230K)는 길이를 갖는 하나의 코드 형태일 수 있고, 제1 영역 부재(231) 및 제2 영역 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영역 부재(231) 및 제2 영역 부재(232)는 서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고, 또한 구체적 예로서 일체화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일 바디 플라이(230K)의 제1 영역 부재(231)는 제1 폭(W1)을 갖고, 제2 영역 부재(232)는 이보다 작은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폭(W1) 및 제2 폭(W2)은 제1 영역 부재(231) 및 제2 영역 부재(232)의 두께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직경일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23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2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260)는 타이어(2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220)가 바디 플라이(230)와 트레드부(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2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코드(cor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270)이 캡플라이(220)와 바디 플라이(2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270)은 타이어(2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2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2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2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부, 사이드월, 비드부 및 바디 플라이를 포함하고, 바디 플라이는 제1 영역 부재 및 제2 영역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인접하도록 배열된 복수 개의 코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코드는 제1 영역 부재 및 제2 영역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각 코드는 서로 연결된 제1 영역 부재 및 제2 영역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일체화된 형태로 연결된 제1 영역 부재 및 제2 영역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는 타이어의 골격 및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데, 제1 영역 부재는 트레드부에 대응되고 제2 영역 부재는 비드부에 대응될 수 있다.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제1 영역 부재의 폭을 비드부에 대응되는 제2 영역 부재의 폭보다 크도록 하여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타이어의 내구성과 지지력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 및 제2 영역 부재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타이어의 전체 면적에 배치될 수 있는데, 비드부에 대응되는 영역보다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영역은 타이어의 중심에서 멀어지므로 단위 제1 영역 부재의 단위 면적당 밀도가 제2 영역 부재의 단위 면적당 밀도보다 작아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 부재의 제1 폭을 제2 영역 부재의 제2 폭보다 크도록 하여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제1 영역 부재의 단위 면적당 밀도를 증가하여 타이어의 트레드 영역 및 비드부 영역에서의 바디 플라이를 통한 지지력 및 내구성의 편차를 감소하여 타이어의 전체적인 내구성 및 사용자의 핸들링을 향상하고 제동력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의 제1 폭이 제2 영역 부재의 제2 폭보다 크도록 하고 제1 영역 부재간의 제1 간격을 제2 간격과 동일 또는 이와 유사하도록 할 경우 이러한 타이어의 전체적인 내구성 향상 및 핸들링 특성 향상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A 방향에서 본 부분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ⅩⅤ-Ⅹ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 및 도 15의 ⅩⅥ-Ⅹ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3 및 도 15의 ⅩⅦ-Ⅹ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3 및 도 15의 ⅩⅧ-Ⅹ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는 트레드부(310), 사이드월(380), 비드부(340) 및 바디 플라이(3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디 플라이(330)는 제1 영역 부재(331), 제2 영역 부재(332) 및 제3 영역 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타이어(3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3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rim, 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310)는 타이어(3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310)은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3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3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3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315)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3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3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사이드월(380)은 트레드부(310)과 연결된다. 사이드월(380)은 차량에 타이어(300)를 장착하여 주행 시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체적으로 노면과 이격될 수 있다.
비드부(340)는 사이드월(380)의 영역 중 트레드부(3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3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34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300)를 림(rim)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34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340)는 와이어,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코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영역을 감싸도록 완충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디 플라이(330)는 타이어(3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타이어(3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330)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바디 플라이(330)는 타이어(300)의 폭 방향, 예를들면 도 15의 Y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디 플라이(330)는 일측의 비드부(340)에서 타측의 비드부(340)에까지 이르도록 하나의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바디 플라이(330)는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 개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3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바디 플라이(330)에 포함되는 코드는 하나의 가닥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복수 개의 가닥이 꼬아진 혼합 형태일 수 있다.
바디 플라이(33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다양한 합성 수지 계열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스틸 계열의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디 플라이(330)는 제1 영역 부재(331), 제2 영역 부재(332) 및 제3 영역 부재(3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 부재(331)는 트레드부(310)에 대응되도록 트레드부(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 부재(331)는 제1 폭(W1)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331)는 일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300)의 폭 방향, 예를들면 도 15의 Y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디 플라이(330)의 제1 영역 부재(331)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 개의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영역 부재(331)들간에는 제1 간격(D1)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바디 플라이(330)의 제1 영역 부재(331)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1 간격(D1)을 갖고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바디 플라이(330)의 하나의 제1 영역 부재(331)는 하나의 가닥을 포함하는 코드 형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복수 개의 가닥이 꼬아진 혼합 형태의 코드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5에는 제1 영역 부재(331)가 복수 개로 구비되고 1층으로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331)는 2층 또는 3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1 영역 부재(331)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밀접도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1 영역 부재(331)는 서로 나란하게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영역 부재(332)는 비드부(34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영역 부재(332)는 비드부(340)의 일면에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34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영역 부재(332)는 제2 폭(W2)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제2 폭(W2)은 상기 제1 폭(W1)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 부재(332)는 일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300)의 중심에서 제1 영역 부재(331)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디 플라이(330)의 제2 영역 부재(33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 개의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2 영역 부재(332)들간에는 제2 간격(D2)이 존재할 수 있다. 제2 간격(D2)은 제1 간격(D1)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간격(D1)과 제2 간격(D2)은 동일할 수도 있고, 거의 유사할 수도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바디 플라이(330)의 제2 영역 부재(332)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제2 간격(D2)을 갖고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바디 플라이(330)의 하나의 제2 영역 부재(332)는 하나의 가닥을 포함하는 코드 형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복수 개의 가닥이 꼬아진 혼합 형태의 코드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7에는 제2 영역 부재(332)가 복수 개로 구비되고 1층으로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 부재(332)는 2층 또는 3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2 영역 부재(332)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밀접도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2 영역 부재(332)는 서로 나란하게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3 영역 부재(333)는 제1 영역 부재(331)와 제2 영역 부재(3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 부재(333)는 사이드월(38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3 영역 부재(333)는 사이드월(38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3 영역 부재(333)는 제3 폭(W3)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제3 폭(W3)은 상기 제1 폭(W1)보다 작고 상기 제2 폭(W2)보다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 부재(333)는 일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300)의 중심에서 제1 영역 부재(331)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 부재(333)는 제1 영역 부재(331)로부터 제2 영역 부재(332)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디 플라이(330)의 제3 영역 부재(333)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 개의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3 영역 부재(333)들간에는 제3 간격(D3)이 존재할 수 있다. 제3 간격(D3)은 제1 간격(D1)보다 작고 제2 간격(D2)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3 간격(D3)은 제1 간격(D1)과 동일할 수도 있고, 거의 유사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3 간격(D3)은 제2 간격(D2)과 동일할 수도 있고, 거의 유사할 수도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바디 플라이(330)의 제3 영역 부재(333)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제3 간격(D3)을 갖고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바디 플라이(330)의 하나의 제3 영역 부재(333)는 하나의 가닥을 포함하는 코드 형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복수 개의 가닥이 꼬아진 혼합 형태의 코드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8에는 제3 영역 부재(333)가 복수 개로 구비되고 1층으로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 부재(333)는 2층 또는 3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3 영역 부재(333)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밀접도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3 영역 부재(333)는 서로 나란하게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9는 도 13의 A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바디 플라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바디 플라이(330) 중 일 바디 플라이(330k)를 도시한 것이고, 편의상 일 바디 플라이(330K)는 도 19에 도시된 것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된 것을 편의상 가리킨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바디 플라이(330K)는 길이를 갖는 하나의 코드 형태일 수 있고, 제1 영역 부재(331), 제2 영역 부재(332) 및 제3 영역 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영역 부재(331), 제2 영역 부재(332) 및 제3 영역 부재(333)는 서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고, 또한 구체적 예로서 일체화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일 바디 플라이(330K)의 제1 영역 부재(331)는 제1 폭(W1)을 갖고, 제2 영역 부재(332)는 이보다 작은 제2 폭(W2)을 가질 수 있고, 제3 영역 부재(333)는 제1 폭(W1)보다 작고 제2 폭(W2)보다 큰 제3 폭(W3)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폭(W1), 제2 폭(W2) 및 제3 폭(W3)은 제1 영역 부재(331), 제2 영역 부재(332) 및 제3 영역 부재(333)의 두께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직경일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33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3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360)는 타이어(3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320)가 바디 플라이(330)와 트레드부(3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3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코드(cor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370)이 캡플라이(320)와 바디 플라이(3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370)은 타이어(3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3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3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3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부, 사이드월, 비드부 및 바디 플라이를 포함하고, 바디 플라이는 제1 영역 부재, 제2 영역 부재 및 제3 영역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인접하도록 배열된 복수 개의 코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코드는 제1 영역 부재, 제2 영역 부재 및 제3 영역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각 코드는 서로 연결된 제1 영역 부재, 제2 영역 부재 및 제3 영역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일체화된 형태로 연결된 제1 영역 부재, 제2 영역 부재 및 제3 영역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는 타이어의 골격 및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데, 제1 영역 부재는 트레드부에 대응되고 제2 영역 부재는 비드부에 대응될 수 있고, 제3 영역 부재는 그 사이에 대응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 부재는 사이드월에 대응될 수 있다.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제1 영역 부재의 폭을 비드부에 대응되는 제2 영역 부재의 폭보다 크도록 하여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타이어의 내구성과 지지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그 사이에, 예를들면 사이드월에 대응되도록 제1 영역 부재의 폭보다 작고 제2 영역 부재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제3 영역 부재를 배치하여 트레드부에서 비드부에까지 이르는 영역의 바디 플라이의 폭의 변화가 급격하지 않도록 하여 바디 플라이의 각 영역별로 불균일한 급격한 하중을 받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 및 제2 영역 부재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타이어의 전체 면적에 배치될 수 있는데, 비드부에 대응되는 영역보다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영역은 타이어의 중심에서 멀어지므로 단위 제1 영역 부재의 단위 면적당 밀도가 제2 영역 부재의 단위 면적당 밀도보다 작아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 부재의 제1 폭을 제2 영역 부재의 제2 폭보다 크도록 하여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제1 영역 부재의 단위 면적당 밀도를 증가하여 타이어의 트레드 영역 및 비드부 영역에서의 바디 플라이를 통한 지지력 및 내구성의 편차를 감소하여 타이어의 전체적인 내구성 및 사용자의 핸들링을 향상하고 제동력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의 제1 폭이 제2 영역 부재의 제2 폭보다 크도록 하고 제1 영역 부재간의 제1 간격을 제2 간격과 동일 또는 이와 유사하도록 할 경우 이러한 타이어의 전체적인 내구성 향상 및 핸들링 특성 향상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1 영역 부재와 제2 영역 부재의 사이에 제3 폭을 갖는 제3 영역 부재를 배치하여 트레드부와 비드부의 사이의 영역, 예를들면 사이드월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타이어의 바디 플라이를 통한 지지력 및 내구성의 편차를 감소하여 타이어의 전체적인 내구성 향상, 사용자의 핸들링 향상 및 제동력 향상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바디 플라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는 트레드부(410), 사이드월(480), 비드부(440) 및 바디 플라이(4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디 플라이(430)는 제1 영역 부재(431), 제2 영역 부재(432) 및 제3 영역 부재(433)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410)는 타이어(4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415)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월(480)은 트레드부(410)과 연결된다. 사이드월(480)은 차량에 타이어(400)를 장착하여 주행 시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체적으로 노면과 이격될 수 있다.
비드부(440)는 사이드월(480)의 영역 중 트레드부(4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4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44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400)를 림(rim)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44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440)는 와이어,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코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영역을 감싸도록 완충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디 플라이(430)는 타이어(4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타이어(4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430)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바디 플라이(430)는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 개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4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바디 플라이(430)에 포함되는 코드는 하나의 가닥을 포함하는 코드 형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복수 개의 가닥이 꼬아진 혼합 형태의 코드일 수도 있다.
바디 플라이(43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다양한 합성 수지 계열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스틸 계열의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디 플라이(430)는 제1 영역 부재(431), 제2 영역 부재(432) 및 제3 영역 부재(4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 부재(431)는 트레드부(410)에 대응되도록 트레드부(4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 부재(431)는 제1 폭(W1)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431)는 일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400)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2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디 플라이(430)의 제1 영역 부재(431)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 개의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영역 부재(431)들간에는 제1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바디 플라이(430)의 제1 영역 부재(431)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1 간격을 갖고 원주 방향을 따라서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바디 플라이(430)의 하나의 제1 영역 부재(431)는 하나의 가닥을 포함하는 코드 형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복수 개의 가닥이 꼬아진 혼합 형태의 코드일 수도 있다.
또한, 도 21에는 제1 영역 부재(431)가 복수 개로 구비되고 1층으로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431)는 2층 또는 3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1 영역 부재(431)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밀접도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1 영역 부재(431)는 서로 나란하게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영역 부재(432)는 비드부(44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영역 부재(432)는 비드부(440)의 일면에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44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영역 부재(432)는 제2 폭(W2)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제2 폭(W2)은 상기 제1 폭(W1)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 부재(432)는 일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400)의 중심에서 제1 영역 부재(431)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2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디 플라이(430)의 제2 영역 부재(43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 개의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2 영역 부재(432)들간에는 제2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제2 간격은 제1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간격과 제2 간격은 동일할 수도 있고, 거의 유사할 수도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바디 플라이(430)의 제2 영역 부재(432)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제2 간격을 갖고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바디 플라이(430)의 하나의 제2 영역 부재(432)는 하나의 가닥을 포함하는 코드 형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복수 개의 가닥이 꼬아진 혼합 형태의 코드일 수도 있다.
또한, 도 21에는 제2 영역 부재(432)가 복수 개로 구비되고 1층으로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 부재(432)는 2층 또는 3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2 영역 부재(432)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밀접도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2 영역 부재(432)는 서로 나란하게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3 영역 부재(433)는 제1 영역 부재(431)와 제2 영역 부재(4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 부재(433)는 사이드월(48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3 영역 부재(433)는 사이드월(48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3 영역 부재(433)는 제3 폭(W3)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제3 폭(W3)은 상기 제1 폭(W1)보다 작고 상기 제2 폭(W2)보다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 부재(433)는 일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400)의 중심에서 제1 영역 부재(431)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 부재(433)는 제1 영역 부재(431)로부터 제2 영역 부재(432)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2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디 플라이(430)의 제3 영역 부재(433)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 개의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3 영역 부재(433)들간에는 제3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제3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작고 상기 제2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1 간격과 동일할 수도 있고, 거의 유사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2 간격과 동일할 수도 있고, 거의 유사할 수도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바디 플라이(430)의 제3 영역 부재(433)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제3 간격을 갖고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바디 플라이(430)의 하나의 제3 영역 부재(433)는 하나의 가닥을 포함하는 코드 형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복수 개의 가닥이 꼬아진 혼합 형태의 코드일 수도 있다.
또한, 도 21에는 제3 영역 부재(433)가 복수 개로 구비되고 1층으로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 부재(433)는 2층 또는 3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3 영역 부재(433)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밀접도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2층 또는 3층으로 적층 시 각층의 제3 영역 부재(433)는 서로 나란하게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영역 부재(431)의 제1 폭(W1), 제2 영역 부재(432)의 제2 폭(W2) 및 제3 영역 부재(433)의 제3 폭(W3)은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점진적으로 변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3 영역 부재(433)의 영역 중 제1 영역 부재(431)과 인접한 영역의 폭은 제2 영역 부재(432)와 인접한 영역의 폭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431)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들면 제1 영역 부재(431)의 영역 중 제3 영역 부재(433)과 인접한 영역의 폭은 중앙 영역의 폭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 부재(433)와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폭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들면 제2 영역 부재(432)의 영역 중 제3 영역 부재(433)과 인접한 영역의 폭은 제3 영역 부재(433)와 먼 영역의 폭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 부재(433)와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폭이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43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420)가 바디 플라이(430)와 트레드부(4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4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코드(cor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470)이 캡플라이(420)와 바디 플라이(4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470)은 타이어(4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4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4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4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부, 사이드월, 비드부 및 바디 플라이를 포함하고, 바디 플라이는 제1 영역 부재, 제2 영역 부재 및 제3 영역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인접하도록 배열된 복수 개의 코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코드는 제1 영역 부재, 제2 영역 부재 및 제3 영역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각 코드는 서로 연결된 제1 영역 부재, 제2 영역 부재 및 제3 영역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일체화된 형태로 연결된 제1 영역 부재, 제2 영역 부재 및 제3 영역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는 타이어의 골격 및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데, 제1 영역 부재는 트레드부에 대응되고 제2 영역 부재는 비드부에 대응될 수 있고, 제3 영역 부재는 그 사이에 대응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 부재는 사이드월에 대응될 수 있다.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제1 영역 부재의 폭을 비드부에 대응되는 제2 영역 부재의 폭보다 크도록 하여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타이어의 내구성과 지지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그 사이에, 예를들면 사이드월에 대응되도록 제1 영역 부재의 폭보다 작고 제2 영역 부재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제3 영역 부재를 배치하여 트레드부에서 비드부에까지 이르는 영역의 바디 플라이의 폭의 변화가 급격하지 않도록 하여 바디 플라이의 각 영역별로 불균일한 급격한 하중을 받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 영역 부재의 제1 폭, 제2 영역 부재의 제2 폭 및 제3 영역 부재의 제3 폭은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점진적으로 변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트레드부 영역으로부터 사이드월, 비드부에 이르는 영역까지의 바디 플라이를 통한 타이어의 지지 균일성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 및 제2 영역 부재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타이어의 전체 면적에 배치될 수 있는데, 비드부에 대응되는 영역보다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영역은 타이어의 중심에서 멀어지므로 단위 제1 영역 부재의 단위 면적당 밀도가 제2 영역 부재의 단위 면적당 밀도보다 작아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 부재의 제1 폭을 제2 영역 부재의 제2 폭보다 크도록 하여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제1 영역 부재의 단위 면적당 밀도를 증가하여 타이어의 트레드 영역 및 비드부 영역에서의 바디 플라이를 통한 지지력 및 내구성의 편차를 감소하여 타이어의 전체적인 내구성 및 사용자의 핸들링을 향상하고 제동력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의 제1 폭이 제2 영역 부재의 제2 폭보다 크도록 하고 제1 영역 부재간의 제1 간격을 제2 간격과 동일 또는 이와 유사하도록 할 경우 이러한 타이어의 전체적인 내구성 향상 및 핸들링 특성 향상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1 영역 부재와 제2 영역 부재의 사이에 제3 폭을 갖는 제3 영역 부재를 배치하여 트레드부와 비드부의 사이의 영역, 예를들면 사이드월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타이어의 바디 플라이를 통한 지지력 및 내구성의 편차를 감소하여 타이어의 전체적인 내구성 향상, 사용자의 핸들링 향상 및 제동력 향상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예를들면 제3 영역 부재의 영역 중 제1 영역 부재와 인접한 영역의 폭은 제2 영역 부재와 인접한 영역의 폭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영역 부재의 영역 중 제3 영역 부재와 인접한 영역의 폭은 중앙 영역의 폭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 부재와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폭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2 영역 부재의 영역 중 제3 영역 부재와 인접한 영역의 폭은 제3 영역 부재와 먼 영역의 폭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 부재와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폭이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 예로서 바디 플라이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코드 중 일 코드의 영역 중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영역(제1 영역 부재)로부터 비드부에 대응되는 영역(제2 영역 부재)에까지 점진적으로 폭이 감소하는 영역을 포함하도록 바디 플라이를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대한 내구성 지지뿐만 아니라, 트레드부, 사이드월, 비드부를 포함하는 전체 영역에서의 타이어의 내구성 및 강성의 균일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400: 타이어
110, 210, 310, 410: 트레드부
120, 220, 320, 420: 캡플라이
130, 230, 330, 430: 바디 플라이
131, 231, 331, 431: 제1 영역 부재
132, 232, 332, 432: 제2 영역 부재
140, 240, 340, 440: 비드부
180, 280, 380, 480: 사이드월
160, 260, 360: 이너라이너
170, 270, 370, 470: 벨트층
110, 210, 310, 410: 트레드부
120, 220, 320, 420: 캡플라이
130, 230, 330, 430: 바디 플라이
131, 231, 331, 431: 제1 영역 부재
132, 232, 332, 432: 제2 영역 부재
140, 240, 340, 440: 비드부
180, 280, 380, 480: 사이드월
160, 260, 360: 이너라이너
170, 270, 370, 470: 벨트층
Claims (8)
-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상기 사이드월에 연결되는 영역에 위치한 비드부; 및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1 폭을 갖는 제1 영역 부재 및 상기 비드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는 제2 영역 부재를 포함하는 바디 플라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부재는 적어도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타이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부재는 적어도 상기 타이어의 중심에서 상기 제1 영역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타이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부재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타이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부재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타이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부재와 제2 영역 부재는 연결되도록 형성된 타이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부재 또는 상기 제2 영역 부재는 하나의 가닥 형태를 포함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부재 또는 상기 제2 영역 부재는 복수의 가닥 형태를 포함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5103A KR102057884B1 (ko) | 2018-04-18 | 2018-04-18 | 타이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5103A KR102057884B1 (ko) | 2018-04-18 | 2018-04-18 | 타이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1596A true KR20190121596A (ko) | 2019-10-28 |
KR102057884B1 KR102057884B1 (ko) | 2019-12-20 |
Family
ID=68421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5103A KR102057884B1 (ko) | 2018-04-18 | 2018-04-18 | 타이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788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6758B1 (ko) | 2020-01-17 | 2021-07-13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차량 주행에 따른 타이어 마모 비접촉 모니터링 시스템 |
KR102276759B1 (ko) | 2020-01-20 | 2021-07-13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차량 주행 중 타이어 펑크 복원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26689A (ja) * | 2006-11-16 | 2008-06-05 | Bridgestone Corp | カーカスプライ用ゴム被覆コード、それ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
-
2018
- 2018-04-18 KR KR1020180045103A patent/KR10205788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7884B1 (ko) | 2019-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41104B1 (ja) | 空気入りタイヤ | |
US7934527B2 (en) | Pneumatic radial tire with spiral belt layer for two-wheeled motor vehicle | |
KR102057884B1 (ko) | 타이어 | |
JP2018197019A (ja) | 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 |
JP2004067058A (ja) |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 |
EP3081396B1 (en) | A bidirectional monobelt construction for a pneumatic tire | |
CN110475678B (zh) | 充气轮胎 | |
EP3366492A1 (en) | Pneumatic tire for two-wheeled automotive vehicle | |
JP6709675B2 (ja) | 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 |
KR101905117B1 (ko) | 타이어 | |
CN110520307B (zh) | 充气轮胎 | |
KR101894012B1 (ko) | 타이어 | |
KR102007923B1 (ko) | 타이어 | |
KR102187261B1 (ko) |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 |
KR102502131B1 (ko) |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 |
WO2015156154A1 (ja) | タイヤ | |
KR102200528B1 (ko) | 타이어 | |
KR102015869B1 (ko) | 타이어 | |
KR20200023985A (ko) | 타이어 | |
KR102127454B1 (ko) | 타이어 | |
KR102673126B1 (ko) | 타이어 | |
KR102598512B1 (ko) | 타이어 | |
KR102129580B1 (ko) |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 | |
KR20200017278A (ko) | 타이어 | |
KR20190015875A (ko) | 타이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